KR20240034785A - In-vehicl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 Google Patents

In-vehicl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785A
KR20240034785A KR1020247004313A KR20247004313A KR20240034785A KR 20240034785 A KR20240034785 A KR 20240034785A KR 1020247004313 A KR1020247004313 A KR 1020247004313A KR 20247004313 A KR20247004313 A KR 20247004313A KR 20240034785 A KR20240034785 A KR 2024003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olded body
resin molded
glass
glas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츠히로 마츠무라
히토시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엠씨씨 어드반스드 몰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씨 어드반스드 몰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엠씨씨 어드반스드 몰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78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60K35/20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9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giv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B60K2360/65

Abstract

얇은 유리제의 표시 패널의 이면측에, 박스체에 고정하기 위한 계지 부위 등의 수지 성형체를 일체로 마련함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표면에 굴곡을 표출시키지 않고, 수지 성형체를 안정적으로 고착시킨다. 표시 패널(1)을 유리 기재(2)의 이면에 계지 부위가 되는 수지 성형체(3)를 일체로 고착하여 형성한다. 수지 성형체(3)의 사용 재료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또한 인장 탄성률이 100MPa 이하가 되는 수지를 이용한다. 수지 성형체(3)의 인장 탄성률이 작음으로써, 성형 시의 수지의 압축력을 작게 억제하여, 유리 표면의 굴곡의 발생을 억제한다.When a resin molded body such as a locking portion for fixing to a box body is provided integrally on the back side of a thin glass display panel, the resin molded body is stably fixed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curves. The display panel 1 is formed by integrally fixing the resin molded body 3, which serves as a locking portion, to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2. As the material used for the resin molded body 3, a resin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and having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100 MPa or less is used. Since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resin molded body 3 is small,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resin during molding is suppressed to a small extent,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aviness on the glass surface.

Description

차재용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In-vehicl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카 네비게이션 등의 정보나 영상을 표시하는 차재용(車載用)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of an in-vehicl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information and images such as car navigation.

다양한 정보나 영상을 표시하는 차재용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로서는, 합성 수지제의 것과 유리제의 것이 있으나, 고급 지향의 장치에서는 광택이 있는 패널의 질감이 고급감을 자아내는 점에서 유리제의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Display panels for in-vehicle display devices that display various information or images include thos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ose made of glass. However, in high-end devices, glass panels are often used because the glossy texture of the panel creates a sense of luxury. .

표시 패널은 전자 기기를 수납한 박스체의 전측(前側)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유리제의 것에서는 그 이면측을, 점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전측 프레임부에 첩부(貼付)하여 장착한 것이 많다.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frame of the box contain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in many cases made of glass, the back side is attached to the front frame using adhesive tape or the like. .

점착 테이프 등으로 표시 패널을 박스체에 첩부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고정에 필요한 점착 테이프의 준비나,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한 조정 등의 작업이 번잡하였다. 또한, 표시 패널이 상하거나 파손되는 등 하여 표시 패널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 점착 테이프 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교환이 곤란하였다.The method of fixing a display panel by attaching it to a box using adhesive tape or the like requires complicated work such as preparing the adhesive tape needed for fixing and adjusting the fixing position to accurately position it. Additionally, when the display panel needs to be replaced because it is damaged or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display panel if it is fixed with adhesive tape or the like.

그래서, 상기 첩부에 의한 고정 방법 대신에, 유리제의 표시 패널의 이면측에 아웃서트 성형에 의해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리브 등의 계지(係止) 부위를 일체로 장착하고, 상기 박스체의 전측 프레임부에 마련한 피계지 부위에 상기 계지 부위를 결합하여 표시 패널을 박스체에 장착하는 양태가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Therefore, instead of the above fixing method by sticking, a locking portion such as a rib made of a resin member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display panel by outsert molding, and the front frame portion of the box body is provided. An aspect of mounting a display panel to a box by coupling the locking portion to the locked portion provided in has been studi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15911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159114

아웃서트 성형에 의해 유리제의 표시 패널의 이면측에 계지 부위를 마련하는 경우, 계지 부위가 굵고 두꺼우면, 유리와 수지의 열수축차에 의해, 표시 패널 이면에의 계지 부위의 고착이 불충분해져 계지 부위가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When providing a locking portion on the back side of a glass display panel by outsert molding, if the locking portion is large and thick, the adhesion of the locking portion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becomes insufficient due to the difference in heat shrinkage between the glass and the resi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easy to fall off.

또한, 상기 유리제의 표시 패널의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표시 패널을 완만하게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 패널을 유리의 광택이 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면 보기 좋은 외관의 것이 되지만, 이 경우에 표시 패널을 박스체의 전면(前面)에 점착 테이프로 고정한 것에서는, 사용 중에 점착 테이프가 점차 떨어져 표시 패널이 낙하해 버릴 우려가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glass display panel, it is required to form the display panel into a gently curved shape. For example, if the display panel of a car navigation system is formed into a curved shape with a glossy glass surface, it will have an attractive appearance. However, in this case, if the display panel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box with adhesive tape, it will stick during use. There is a risk that the tape may gradually fall off and the display panel may fall.

상기 낙하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이 물리적으로 박스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의 배면에 계지 부위를 마련하고, 이것을 박스체에 마련된 피계지 부위에 접속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와 같이 계지 부위가 두꺼우면 유리와 수지의 열수축차에 의해 계지 부위의 고착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또한, 곡면 형상으로 가공이 가능한 얇은 유리의 이면에 아웃서트 성형에 의해 계지 부위를 마련하는 양태에서는, 계지 부위에 이용한 수지의 열수축에 의해, 계지 부위가 마련된 부분의 바로 뒤쪽에 해당하는 유리의 표면측에, 당해 표면이 볼록 형상으로 약간 불룩해지는 「굴곡(싱크 마크)」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다. 유리의 표면의 굴곡은, 표시 패널이 외광을 반사했을 때에 줄무늬 형상의 광택이 되어 표출되어, 곡면 형상의 깔끔한 표시 패널의 외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In order to eliminate the risk of dropp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panel is physically fixed to the box, for example, to provide a locking portion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connect it to the locked portion provided in the box to secure it. However, if the engaging portion is thick as described above, adhesion of the engaging portion is likely to become insufficient due to the difference in heat shrinkage between the glass and the resin. Additionally, in an aspect in which a 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in glass that can be processed into a curved shape by outsert molding, heat shrinkage of the resin used for the locking portion causes the surface of the glass immediately behind the portion where th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bending (sink marks)” occurs on the side where the surface slightly bulges in a convex shape.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glass is expressed as a striped gloss when the display panel reflects external light, and becomes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quality of the neat appearance of the curved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재용 표시 패널에 있어서, 얇은 유리제의 표시 패널의 이면측에, 박스체에 고정하기 위한 계지 부위가 되는 수지 성형체를 일체로 마련함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표면에 굴곡을 표출시키지 않고, 수지 성형체를 표시 패널의 이면에 안정적으로 고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ese problems with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a display panel for vehicles, a resin molded body that serves as a locking portion for fixing to a box body on the rear side of a thin glass display panel, The goal is to ensure that the resin molded body can be stably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without caus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be curv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의 이면에 수지 성형체를 마련했을 때에, 이 유리의 표면측에 굴곡이 표출되는 조건을 조사한 바, 수지 성형체의 두께에 비해 유리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는 굴곡이 생기지 않지만, 두께 0.3㎜ 정도의 유리를 이용하여, 이것의 이면에 수지 성형체를 마련한 경우에는, 수지 성형체의 두께가 작아도, 유리의 표면에 굴곡이 표출되기 쉬운 것을 알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when the present inventor provided a resin molded body on the back of the glass constituting the display panel, he investigat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waviness was expres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glass, and found that the glass was sufficiently thick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resin molded body. In this case, no waviness occurs, but when glass with a thickness of about 0.3 mm is used and a resin molded body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glass,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resin molded body is small, waviness is likely to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도 3은 표시 패널의 표면측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표시 패널(1)은, 유리판(21)의 이면 주연부를 따라서 접착층(22)이 배치된 유리 기재(基材)(2)의 이면측에 계지 부위인 수지 성형체(3)를 고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표면의 굴곡은, 수지 성형체(3)가 고착된 부분의 바로 뒤쪽에 해당하는 유리판(21)의 표면에, 중앙부가 높고, 그 주위가 약간 낮은 볼록 형상으로 표출되는 것이 많았다.Figure 3 shows the appearan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e illustrated display panel 1 is formed by adhering the resin molded body 3, which is a locking portion, to the back side of a glass substrate 2 on which an adhesive layer 22 is disposed along the back peripheral portion of the glass plate 21. In many cases, the curvature of the glass surface was expressed as a convex shape with a high central portion and a slightly low peripheral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21 immediately behind the portion where the resin molded body 3 was fixed.

이것은,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유리가 얇으면, 유리의 이면에 접촉하는 수지가 성형체의 형상으로 굳어질 때에 유리 이면에 가해지는 수지의 수축력(수축량)(CF)이, 당해 유리를 평면 형상으로 보지(保持)하는 힘(유리의 정지력(靜止力))(SF)보다 뛰어나, 이 수축력(CF)이 작용하여 유리의 수지 성형체가 마련된 부분이 국소적으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고(동(同)도면 중의 파선 부분), 이 볼록 형상의 변형이 유리 표면에 표출된 굴곡의 원인이라고 추측된다.This means that, as shown in FIG. 4, when the glass is thin, the shrinkage force (amount of shrinkage) (CF) of the resin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when the resin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hardens into the shape of a molded body is such that the glass is flat. It is superior to the force that holds the shape (the stopping force of glass) (SF), and this shrinkage force (CF) acts so that the part where the resin molded body of glass is provided is locally deformed into a convex shape ( (dashed line in the same figure), it is assumed that this deformation of the convex shape is the cause of the curvature expressed on the glass surface.

이러한 추측에 의하면, 상기 유리의 정지력에 비해 수지의 수축력이 작으면, 또는 수지 자체가 유리의 정지력보다 약한 것이면, 굴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상정된다.According to this specul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ccurrence of bending can be suppressed if the shrinkage force of the resin is smaller than the stopping power of the glass, or if the resin itself is weaker than the stopping power of the glass.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지견과 상정에 기초하여 수지 성형체의 사용 재료를 선정하고, 유리의 정지력보다 작은 수축력으로 유리에 수지 성형체를 고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 selected the material used for the resin molded body based on the above knowledge and assumptions, verified whether the resin molded body can be fixed to the glass with a shrinkage force smaller than the stopping force of the glas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rrived.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 대로이다.That i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유리 기재의 표리 양측면 중의 일방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지 성형체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 차재용 표시 패널로서,[1] An in-vehicle display pane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esin molded body i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glass substrate, comprising:

상기 수지 성형체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이 수지 성형체의 인장 탄성률이 100MPa 이하이며, 또한, JIS-K-6253에 준거한 A스케일에서의 고무 경도가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용 표시 패널.An automotive display panel, wherein the resin molded body contains a thermoplastic elastomer, the resin molded body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100 MPa or less, and a rubber hardness of 95 or less on the A scale based on JIS-K-6253.

〔2〕 유리 기재의 두께가 0.2㎜ 이상 2.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2]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glass substrate has a thickness of 0.2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3〕 유리 기재의 두께가 0.5㎜ 이하인 상기 〔2〕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3]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2] above, wherein the glass substrate has a thickness of 0.5 mm or less.

〔4〕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4]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where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a polyester-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5〕 수지 성형체는 유리 기재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리 기재의 수지 성형체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대향하는 유리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15㎜ 사방의 평면도가 20㎛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5] The resin molded body is formed on a part of the glass substrate, and the flatness of the 15 mm square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opposite to the portion on which the resin molded body of the glass substrate is formed is 20 μm or less. [1]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y one of to [4].

〔6〕 유리 기재 상에 인쇄층과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고, 이 접착층의 위에 수지 성형체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6]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above, wherein a printing layer and an adhesive layer are laminated on a glass substrate, and a resin molded body is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7]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y of [1] to [6] above.

또한, 상기 「JIS-K-6253」의 규격은 ISO7619-1을 기초로 하여 작성된 것이다.Additionally, the standard of “JIS-K-6253” was created based on ISO7619-1.

본 발명의 차재용 표시 패널에 의하면, 얇은 유리제의 표시 패널의 이면측에, 박스체에 고정하기 위한 계지 부위 등의 수지 성형체를 일체로 마련한 경우라도, 표시 패널의 표면에 굴곡을 표출시키지 않고, 수지 성형체를 표시 패널의 이면에 안정적으로 고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hicl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resin molded body such as a fastening portion for fixing to a box body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a thin glass display panel, the resin molded body does not exhibit waviness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e molded body can be stably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anel.

도 1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복합체인 표시 패널의 표리 양면을 분할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수지 성형체가 마련된 부분의 확대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표면측의 확대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IV-IV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composite display panel manufactured in an example divided into two parts.
FIG. 2 is an enlarged, broken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of FIG. 1 where the resin molded body is provided.
FIG. 3 is an enlarged external view of the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3.
Figure 5 is a graph showing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상술하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gist.

전술과 같이, 본 발명은, 유리 기재의 표리 양측면 중의 일방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지 성형체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 차재용 표시 패널이며, 상기 수지 성형체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이 수지 성형체의 인장 탄성률이 100MPa 이하이며, 또한, JIS-K-6253에 준거한 A스케일에서의 고무 경도가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panel for vehicl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esin molded body i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glass substrate, wherein the resin molded body includes a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tensile elasticity modulus of the resin molded body. This is 100 MPa or less, and the rubber hardness on the A scale based on JIS-K-6253 is 95 or less.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연한 고분자이며, 이것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는 고온에서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충전재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강도를 가진다는 특성을 구비한다. 전술의 계지 부위인 수지 성형체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수지 성형체를 유리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착시킬 수 있고, 아울러 성형 시의 수지의 수축력이 작아, 상기 유리의 정지력을 하회함으로써 유리 표면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Elastomers are soft polymers with rubber-like elasticity, and resin materials containing them are easy to process because they have fluidity at high temperature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strength even without fillers. By forming the resin molded body, which is the above-described locking portion, of a material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the resin molded body can be stably fixed to the glass surface, and the shrinkage force of the resin during molding is small, lowering the stopping power of the glass.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the appearance of waviness on the glass surfac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수지 성형체의 인장 탄성률은 1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이 100MPa보다 크면 수지 성형체가 딱딱하고, 성형 시의 수지의 수축력도 커지기 때문에, 유리의 정지력을 상회하여 유리 표면에 굴곡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100MPa 이하이면, 상기 유리의 볼록 형상의 변형이 작게 억제되어 굴곡이 눈에 띄지 않게 되거나, 또는 수지의 수축력이 유리의 정지력보다 작아져 굴곡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인장 탄성률이 지나치게 작으면 수지 성형체가 지나치게 연해져, 계지 부위로서 기능이 달성되지 않게 되어, 표시 패널을 표시 장치의 박스체에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수지 성형체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은 2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9MPa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또한 상한은 70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50MPa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resin molded body formed from a material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is preferably 100 MPa or less. If the tensile elastic modulus is greater than 100 MPa, the resin molded body is hard and the shrinkage force of the resin during molding also increases, so it exceeds the stopping power of the glass and becomes prone to waviness on the glass surface. If it is 100 MPa or less, the deformation of the convex shape of the glass is suppressed to a small extent so that the bending is not noticeable, or the shrinkage force of the resin becomes smaller than the stopping power of the glass, thereby preventing the bending from occurring. If the tensile modulus is too small, the resin molded body becomes too soft and cannot function as a locking portion, making it difficult to physically fix the display panel to the box of the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resin molded body is preferably 2 MPa or more, more preferably 9 MPa or more,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70 MPa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0 MPa or less.

상기 구성의 차재용 표시 패널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무 경도가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vehicle display pane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preferably has a rubber hardness of 95 or less.

여기서 말하는 고무 경도란, JIS-K-6253에 준거한, A스케일에서의 고무 경도를 말한다.The rubber hardness referred to here refers to the rubber hardness on the A scale based on JIS-K-6253.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수지 성형체의 고무 경도가 95 이하이면, 수지 성형체가 적당히 연하여, 유리와 수지의 접합면에 있어서, 수지의 수축력이 유리에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굴곡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고무 경도가 40 이상이면, 계지 부재로서 적당한 딱딱함을 가질할 수 있다. 고무 경도의 하한은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55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은 85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f the rubber hardness of the resin molded body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is 95 or less, the resin molded body is moderately soft, and at the bonding surface of the glass and the resin, the shrinkage force of the resin can be suppressed from propagating to the glass, thereby preventing bending. You can prevent this from happening. If the rubber hardness is 40 or more, it can have appropriate hardness as a locking member. The lower limit of the rubber hardness is preferably 5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5 or more.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8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80 or less.

또한, 상기 수지 성형체는 유리 기재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리 기재의 수지 성형체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대향하는 유리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15㎜ 사방의 평면도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sin molded body is formed on a part of the glass substrate, and the flatness of the 15 mm squar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opposite to the portion on which the resin molded body of the glass substrate is formed is preferably 20 μm or less.

상기 유리 기재의 표면의 평면도는 상기의 수치 조건이면, 외관상 굴곡이 눈에 띄지 않고, 또한, 표시 패널의 정보나 영상의 표시 출력에도 아무런 영향이 없다.If the flatness of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conditions, no apparent curvature is noticeable and there is no effect on the display output of information or images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차재용 표시 패널은, 유리 기재 상에 인쇄층과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고, 이 접착층의 위에 수지 성형체를 배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for in-vehicl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inting layer and an adhesive layer are laminated on a glass substrate, and a resin molded body is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차재용 표시 패널이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 패널인 경우, 유리 기재는, 평면시(平面視) 직사각 형상의 유리판의 이면측에, 당해 유리판의 4측 주변부를 따라서 띠 형상으로 흑색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이 인쇄층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적층하고, 이 접착층의 위에 수지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vehicl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 navigation display panel, the glass substrate is a black stripe-shaped strip along the four sides of the glass plate on the back side of a rectangular glass plate in plan view. A printed layer can be formed, an adhesive layer can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is printed layer, and a resin molded body can be formed on this adhesive layer.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는, 유리판에 직접 인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유리판 인쇄용으로 시판되어 있는 것 사용할 수 있다.The ink forming the printing layer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printed directly on a glass plate. Those commercially available for glass plate printing can be used.

유리와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실란 커플링제가 첨가되어 있는 잉크가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to glass, ink to which a silane coupling agent has been added is preferred.

상기 잉크는, 카본 블랙 등의 흑색의 착색제를 포함시켜 사용되고, 인쇄층은 유리판의 표면에 흑색의 착색부를 형성한다.The ink is used containing a black colorant such as carbon black, and the printing layer forms a black colored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접착제층은, 인쇄층과 아웃서트 성형하는 수지 성형체를 접합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The adhesive layer can be anything that can bond the printed layer and the resin molded body to be outsert molded.

또한,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시판되어 있는 바인더 잉크, 밀착 보강제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commercially available binder inks and adhesion enhancers used in injection molding can be used.

상기 유리판의 일측의 면에 인쇄층과 접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리 기재는, 그 두께가 0.2㎜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를 만곡시켜 곡면 형상으로 보지하여 고정하는 용도로는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glass substrate, which is formed by laminating a printing layer and an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glass plate,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2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For purposes of bending the glass and holding it in a curved shape and fixing it, the thickness is preferably 0.5 mm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below.

2.0㎜ 이하이면, 차재용 표시 패널을 경량화할 수 있어, 계지부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패널의 이면에 접착하는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If it is 2.0 mm or less,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vehicle display panel can be lightweight and the load on the lock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Additionally, it is desirable becaus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can be improved.

0.5㎜ 이하이면, 유리 기재를 곡면 형상으로 만곡시키는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곡면 형상으로 보지하여 박스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0.2㎜ 이상이면, 유리 기재를 만곡시킨 경우라도, 깨지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다.If it is 0.5 mm or less, processing to bend the glass base material into a curved shape is possible, and it also becomes possible to hold it in a curved shape and install it in a box, so it is preferable. If it is 0.2 mm or mor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break even when the glass substrate is curved.

상기 유리 기재로서는,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알루미노붕규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리 등의 저알칼리 유리 및 무알칼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실리카 글라스나 소다석회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알루미노붕규산 유리 및 이들의 저알칼리 유리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이들의 무알칼리 유리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glass substrate include borosilicate glass, aluminosilicate glass, and aluminoborosilicate glass. In addition, low alkali glass and alkali-free glass such as these glasses can be mentioned. Furthermore, silica glass, soda lime glass, etc. can be mentioned. Among these, borosilicate glass, aluminosilicate glass, aluminoborosilicate glass, and their low alkali glasses are preferred, and their alkali-free glasses are also preferred.

유리 기재는, 무색 또는 착색되어 있어도 상관없지만,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무색 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glass substrate may be colorless or colored, but is preferably colorless and transparent in order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상기 수지 성형체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수지를 재료로서 이용하지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sin molded body uses a resin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as a material,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thermoplastic elastomer.

수지 성형체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니트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과의 접착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르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Thermoplastic elastomers used in resin molded products include styrene-based elastomers, vinyl chloride-based elastomers, olefin-based elastomers, urethane-based elastomers, polyester-based elastomers, nitrile-based elastomers, and polyamide-based elastomers.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to the adhesive layer, styrene-based elastomers, urethane-based elastomers, and polyester-based elastomers are preferable, and among these, polyester-based elastomers are more preferable.

수지 성형체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단체(單體)인 편이 바람직하지만, 인장 탄성률이 100MPa 이하이면,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ABS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OM 수지, PMMA 수지, PBT 수지, PC-ABS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resin molded body is preferably a thermoplastic elastomer alone, but may contain one or more known thermoplastic resins as long as the tensile modulus is 100 MPa or less. Examples of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ABS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amid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M resin, PMMA resin, PBT resin, and PC-ABS resin.

본 발명의 차재용 표시 패널은, 각종 정보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의 표시 패널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로서는, 카 네비게이션, 미터 패널, 히터 컨트롤러 등 들 수 있다.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isplay panel for devices that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images. Examples of display devices include car navigation systems, meter panels, and heater controllers.

이하, 본 발명의 차재용 표시 패널에 관해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in-vehicl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examples. However, the examples shown below are examples to embod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below.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차재용 표시 패널을 제작하였다.A display panel for vehicle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was manufactured.

이 표시 패널(1)은,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 패널로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여 형성되고, 직사각 형상의 유리 기재(2)의 이면측에 계지 부위가 되는 수지 성형체(3)를 일체로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다.This display panel 1 is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it will be used as a display panel for a car navigation system, and is constructed by integrally arranging a resin molded body 3 serving as a locking portion on the back side of a rectangular glass substrate 2. .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 기재(2)는 투명한 유리판(21)의 이면측의 4측 주변부를 따라서 띠 형상으로 흑색의 착색부(22)를 마련하여, 전체로서 0.5㎜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glass substrate 2 is provided with a black colored portion 22 in a strip shape along the four peripheral portions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21, and the overall thickness is 0.5 mm. It is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착색부(22)는, 유리 기재(2)의 이면측에 마련된 인쇄층(22a)에, 접착제층(22b)을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인쇄층(22a)은 실란 커플링제가 들어간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잉크를 유리판(21)의 이면측 주연을 따라서 프레임 형상으로 도포하여 형성되고, 인쇄층(22a)의 건조 후, 그 표면에 2액 경화 폴리우레탄 잉크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접착제층(22b)을 인쇄층(22a)의 상면에 적층하고 있다.The colored portion 22 is formed by laminating an adhesive layer 22b on a printed layer 22a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2. In detail, the print layer 22a is formed by applying an ink made of acrylic urethane resin containing a silane coupling agent in a frame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ck side of the glass plate 21, and after drying of the print layer 22a, it is formed. Two-liquid curing polyurethane ink is applied to the surface, dried, and an adhesive layer 22b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layer 22a.

수지 성형체(3)는, 상기 유리 기재(2)의 이면측으로서, 그 상변측의 중앙과 좌우 측변측의 하부의 3개소에 고착시켜져 있다. 수지 성형체(3)의 사용 재료를 바꾸어, 표시 패널(1)의 표면에 굴곡이 표출되는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성능 평가를 행하였다.The resin molded body 3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2 at three locations: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material used for the resin molded body 3 was chang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including whether or not waviness wa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하이트렐(등록상표) 4047N」(도레이·듀퐁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의 이면에 수지 성형체를 일체로 고착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였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Hytrel (registered trademark) 4047N" (Toray DuPont Co., Ltd.) was used, and the resin molded body was integrally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by injection molding to form a display panel. Produced.

이 사용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종횡이 100㎜×100㎜, 두께가 2㎜인 플레이트 샘플을 제작하였다.Using this material, a plate sample with a length and width of 100 mm x 100 mm and a thickness of 2 mm was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제작한 샘플에 대해, 시가현동북부공업기술센터가 소유하는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 「형식 MD-1 타입A, JIS A 근사값」(고분자계기주식회사)을 이용하여 고무 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고무 경도는, 1회째의 측정은 92이고, 2회째의 측정에서는 93이었다.For the produced samples, the rubber hardness was measured using a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Type MD-1 Type A, JIS A Approximation" (Polymer Instrument Co., Ltd.) owned by Shiga Prefecture Northeast Industrial Technology Center. The measured rubber hardness was 92 in the first measurement and 93 in the second measurement.

또한, 상기 제작한 샘플에 대해, JIS-K-6253에 준거하여, 듀로미터의 타입A를 이용하여 고무 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고무 경도는 94였다.In addition, for the sample produced above, the rubber hardness was measured using a durometer type A in accordance with JIS-K-6253. The measured rubber hardness was 94.

또한, 상기 사용 재료의 탄성률을, JIS K 6251:2010에 준거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구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덤벨 형상 2호형을 이용하였다.Additionally, the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used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a tensile test based on JIS K 6251:2010. Additionally, dumbbell shape No. 2 was used as the test piece.

제작한 표시 패널에 대해,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의 이면의 상변측 중앙에 배치된 수지 성형체(3)의 바로 뒤쪽, 즉 표시 패널(1)의 유리 기재의 표면측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형체(3)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15㎜ 사방의 유리 기재의 평면도를 측정하였다. 평면도의 측정은, 「표면 거칠기·윤곽 형상 측정기 폼트레이서Avant FTA-D4000」(주식회사미츠토요)을 이용하였다. 동측정기에 의해 측정은, JIS B 0633:2001 및 JIS B 0651:2001의 표면 성상(性狀) 평가에 준거한 것이다.Regarding the manufactured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3, immediately behind the resin molded body 3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anel 1, that is, on the surfac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 In this case, the flatness of a 15 mm square glass substrate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resin molded body 3 was measured. The flatness was measured using “Surface Roughness/Contour Measuring Instrument Form Tracer Avant FTA-D4000” (Mitsutoyo Co., Ltd.). Measurement by this measuring instrument is based on the surface property evaluation of JIS B 0633:2001 and JIS B 0651:2001.

또한, 제작한 표시 패널의 표면에 굴곡이 표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whether or not curves were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manufactured display panel.

상기 각 측정 결과와 확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above measurement results and confirm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2〕[Example 2]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하이트렐(등록상표) 3001」(도레이·듀퐁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고, 마찬가지의 측정과 확인을 행하였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Hytrel (registered trademark) 3001” (Toray DuPont Co., Ltd.) was used to produce a display pan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similar measurements and confirmation were performed. .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샘플을 상기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로 측정한 1회째의 고무 경도는 83, 2회째의 고무 경도는 84였다. 또한, 상기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는 86이었다.The sampl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measured with the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and the first rubber hardness was 83 and the second rubber hardness was 84. Additionally, the rubber hardness measured using the durometer was 86.

〔실시예 3〕[Example 3]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테파블록(등록상표) A1700N」(미츠비시케미컬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고, 마찬가지의 측정과 확인을 행하였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epabloc (registered trademark) A1700N"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was used to produce a display pan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similar measurements and confirmation were performed.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샘플을 상기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로 측정한 1회째의 고무 경도는 60, 2회째의 고무 경도는 76이었다. 또한, 상기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는 78이었다.The sampl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measured with the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and the first rubber hardness was 60, and the second rubber hardness was 76. Additionally, the rubber hardness measured using the durometer was 78.

〔실시예 4〕[Example 4]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테파블록(등록상표) A1600N」(미쓰비시케미컬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고, 마찬가지의 측정과 확인을 행하였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epabloc (registered trademark) A1600N"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was used to produce a display pan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similar measurements and confirmation were performed.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샘플을 상기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로 측정한 1회째의 고무 경도는 53, 2회째의 고무 경도는 66이었다. 또한, 상기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는 69였다.When the sampl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measured with the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the first rubber hardness was 53 and the second rubber hardness was 66. Additionally, the rubber hardness measured using the durometer was 69.

〔실시예 5〕[Example 5]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테파블록(등록상표) A1400N」(미쓰비시케미컬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고, 마찬가지의 측정과 확인을 행하였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epabloc (registered trademark) A1400N"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was used to produce a display pan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similar measurements and confirmation were performed.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샘플을 상기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로 측정한 1회째의 고무 경도는 43, 2회째의 고무 경도도 43이었다. 또한, 상기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는 47이었다.When the sampl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measured with the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the first rubber hardness was 43 and the second rubber hardness was 43. Additionally, the rubber hardness measured using the durometer was 4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하이트렐(등록상표) 7247」(도레이·듀퐁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표시 패널의 제작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수지 성형체는 유리 기재로부터 박리되어, 정착시킬 수 없었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Hytrel (registered trademark) 7247” (Toray DuPont Co., Ltd.) was used to produce a display panel similar to Example 1. However, the resin molded body peeled off from the glass substrate and could not be fixed.

상기 수지 성형체에 대해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로 측정한 1회째의 고무 경도는 99, 2회째의 고무 경도는 99였다. 또한,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는 99였다.The first rubber hardness of the resin molded body measured with a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was 99, and the second rubber hardness was 99. Additionally, the rubber hardness measured using a durometer was 99.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하이트렐(등록상표) 5557」(도레이·듀퐁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고, 마찬가지의 측정과 확인을 행하였다.As a material for the resin molded bod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Hytrel (registered trademark) 5557” (Toray DuPont Co., Ltd.) was used to produce a display pan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similar measurements and confirmation were performed. .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샘플을 상기 전자동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로 측정한 1회째의 고무 경도는 97, 2회째의 고무 경도는 98이었다. 또한, 상기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는 98이었다.The sampl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measured with the fully automatic micro rubber hardness meter and the first rubber hardness was 97 and the second rubber hardness was 98. Additionally, the rubber hardness measured using the durometer was 98.

표 1의 「굴곡 평가」는, 육안 확인으로 굴곡이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경우는 「○」, 조금 신경이 쓰이는 경우는 「△」, 신경이 쓰이는 경우는 「×」를 부여하였다.In the "Bending Evaluation" in Table 1, "○" was given when the bending was not a concern at all by visual confirmation, "△" was given when the curvature was a little concerned, and "×" was given when the curvature was a concern.

또한, 각 실시예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재료별의 탄성률과 상기 표시 패널의 유리의 평면도의 측정값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 5에 나타낸다. 동도면 중, 「실1」 내지 「실5」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비2」는 「비교예 2」를 가리킨다.Additionally,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ic modulus of each material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flatness of the glass of the display panel is shown in FIG. 5. In the same drawing, “Example 1” to “Example 5” refers to “Example 1” to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2” refers to “Comparative Example 2.”

표 1에 나타낸 대로, 표시 패널의 표면의 굴곡의 유무·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바, 비교예 2는 굴곡이 발생한 것이 분명히 확인되고, 실시예 1에서는 응시해서 보면 익힘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굴곡은 작아, 조금 신경이 쓰이는 정도였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5에서는, 굴곡은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고, 육안으로 굴곡이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As shown in Table 1, the presence and condition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was visually confirmed to be curved. In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surface was curved, and in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bend when looking at the surface, but the curve was not. It was small, so I was a little concerned. Additionally, in Examples 2 to 5, bending was not a concern at all, and the presence of bending was not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표시 패널을 관찰한 범위에서는, 실시예 1의 조금 신경이 쓰이는 정도의 굴곡의 표출이면,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도 외관의 보기 좋음의 저하는 없어, 실용상의 문제는 없다고 생각된다.In the range of observation of the display panels of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as long as the curves of Example 1 were slightly annoying, there was no deterioration in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panel when used in a car navigation display panel, which was a practical problem. I don't think there is.

상기의 굴곡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에 의하면, 수지 성형체의 사용 재료의 고무 경도는, 비교예 2의 재료보다 작고, 실시예 1의 재료보다 약간 큰 95 이하이면, 표시 패널에 발생하는 굴곡을 신경이 쓰이지 않을 정도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측된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visually checking the above-described waviness, if the rubber hardness of the material used in the resin molded body is 95 or less,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material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slightly larger than the material in Example 1, the waviness occurring in the display panel can be avoided. It is assume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it so inconspicuous that it is not used.

또한, 도 5의 그래프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 재료의 탄성률은 100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의 재료의 탄성률인 68MPa 이하이면, 표시 패널에 발생하는 굴곡을 신경이 쓰이지 않을 정도로 눈에 띄지 않게 하거나, 또는 굴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측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5, if the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used is 100 MPa or less, and preferably 68 MPa or less, which is the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in Example 1, the bending occurring in the display panel will be visible to the eye so as not to be bothersome. It is assume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it invisible or to prevent bending from occurring.

또한, 표시 패널의 평면도가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에서 측정한 평면도인 15㎛ 이하이면, 표시 패널에 발생하는 굴곡을 신경이 쓰이지 않을 정도로 눈에 띄지 않게 하거나, 또는 굴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측된다.In addition, if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is 20 ㎛ or less, preferably 15 ㎛ or less, which is the flatness measured in Example 1, the curvature occurring in the display panel is not noticeable enough to cause concern, or the curvature does not occur. It is assumed that it is possible to avoid this.

또한, 상기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 패널에 본 발명의 복합체를 적용하였으나, 다른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 패널은, 표시 장치에 따른 사이즈로 형성되고, 유리 기재의 이면측에 마련하는 수 성형체는, 표시 장치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수가, 유리 기재의 이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form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of a car navigation system,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of other information display devices.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is formed in a siz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male molded bodie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are installed at appropriate positions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복합체를 구성하는 유리 기재와 수지 성형체의 형상이나 조합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shape and combination of the glass base material and the resin molded body constituting the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based on design requirement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차재용 표시 패널
2 : 유리 기재
21 : 유리판
22 : 착색부
22a : 인쇄층
22b : 접착제층
3 : 수지 성형체
1: In-vehicle display panel
2: Glass base material
21: glass plate
22: Coloring part
22a: printing layer
22b: Adhesive layer
3: Resin molded body

Claims (7)

유리 기재의 표리 양측면 중의 일방측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지 성형체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 차재용 표시 패널로서,
상기 수지 성형체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이 수지 성형체의 인장 탄성률이 100MPa 이하이며, 또한, JIS-K-6253에 준거한 A스케일에서의 고무 경도가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용 표시 패널.
An in-vehicle display panel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sin molded body i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automotive display panel, wherein the resin molded body contains a thermoplastic elastomer, the resin molded body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100 MPa or less, and a rubber hardness of 95 or less on the A scale based on JIS-K-6253.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의 두께가 0.2㎜ 이상 2.0㎜ 이하인 차재용 표시 패널.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panel for vehicle use with a glass substrate thickness of 0.2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제 2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의 두께가 0.5㎜ 이하인 차재용 표시 패널.
According to claim 2,
Automotive display panel with a glass substrate thickness of 0.5 m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차재용 표시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display panel for automobiles in which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a 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 성형체는 유리 기재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리 기재의 수지 성형체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대향하는 유리 기재의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15㎜ 사방의 평면도가 20㎛ 이하인 차재용 표시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or 2,
An in-vehicle display panel in which the resin molded body is formed on a portion of a glass substrate, and the flatness in a 15 mm squar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opposing the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resin molded body is formed is 20 μ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 상에 인쇄층과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고, 이 접착층의 위에 수지 성형체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차재용 표시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display panel for vehicle use, in which a printing layer and an adhesive layer are laminated on a glass substrate, and a resin molded body is placed on the adhesive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차재용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claim 1 or 2.
KR1020247004313A 2021-08-06 2022-08-01 In-vehicl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KR2024003478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9668 2021-08-06
JPJP-P-2021-129668 2021-08-06
PCT/JP2022/029436 WO2023013570A1 (en) 2021-08-06 2022-08-01 Vehicle-mounte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785A true KR20240034785A (en) 2024-03-14

Family

ID=8515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313A KR20240034785A (en) 2021-08-06 2022-08-01 In-vehicl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3013570A1 (en)
KR (1) KR20240034785A (en)
CN (1) CN117836167A (en)
TW (1) TW202311083A (en)
WO (1) WO202301357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9114A (en) 2012-02-06 2013-08-19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Method of joining glass and resin and composite obtained by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676B2 (en) * 2005-08-12 2012-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quipment provided with display device
JP2011118409A (en) * 2011-01-19 2011-06-16 Hitachi Lt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050962B2 (en) * 2011-12-08 2016-12-21 吉田テクノワークス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integrated molded product, glass integrated molded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9114A (en) 2012-02-06 2013-08-19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Method of joining glass and resin and composite obtained by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36167A (en) 2024-04-05
TW202311083A (en) 2023-03-16
JPWO2023013570A1 (en) 2023-02-09
WO2023013570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1661A1 (en)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240011877A (en)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080012273A (en) Removable protection panel mount structure and mounting sheet for use therein
EP3135476A1 (en) Display device having window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member
JP4398951B2 (en) Key sheet
CN111724680A (en) Flexible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device
JP2019119382A (en) On-vehicle display device
TW202106539A (en) Frame on carrier for auto interior cover glass applications
KR20240034785A (en) In-vehicle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KR20210043685A (en) Cover glass with reinforcement for displays or touch panels
KR20230052914A (en) Glass articles for in-vehicle systems with bendable display units
JP6801762B2 (en) Display device
CN214927761U (en) Glass laminate, vehicle interior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1856801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16006465A (en) Display device
JP2001134196A (en) Protective cov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10073467A (en) Display device
CN114391164A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strument panel provided with the display device
CN220626808U (en)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072286B (en) Resin window panel and vehicle body adhesion structure for resin window panel
JP4542192B2 (en) Key sheet
US20240074078A1 (en) Display device cabin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abinet
JP700090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337944B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function
CN217544100U (en) Display assembly for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