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173A - Wall flowerpot - Google Patents

Wall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173A
KR20240029173A KR1020220107321A KR20220107321A KR20240029173A KR 20240029173 A KR20240029173 A KR 20240029173A KR 1020220107321 A KR1020220107321 A KR 1020220107321A KR 20220107321 A KR20220107321 A KR 20220107321A KR 20240029173 A KR20240029173 A KR 20240029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pace
water
lower body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석동
Original Assignee
박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동 filed Critical 박석동
Priority to KR102022010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173A/en
Publication of KR2024002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17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 구매시 담겨오는 1회용 플라스틱에 담긴 모종을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분갈이 과정을 제거함으로써, 식물에게 급격한 환경변화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은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0)는 내부 상부에 모종(1)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몸체(100) 내부 저면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0); 상기 공간부(10) 상부에 안착되는 모종(1)이 이탈하지 않도록 최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0); 상기 공간부(10)에 수용된 물을 모종(1) 속의 흙 또는 난석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10)의 내부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화분길이의 1/2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 중앙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습기와 물기가 이동되는 습기이동홈(33), 외측 상부에 상기 습기이동홈(33)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35), 하측 가장자리부에 상부 및 하부로 관통되어 하부몸체로부터 이동되는 공기 및 습기를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홀(37), 상기 습기이동홈(33)에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200)의 담수공간(220)에 위치되고 상부가 습기기둥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흙 또는 난석과 접촉되어 습기나 물기를 제공하는 심재(39)로 구성되는 심지(30); 및 상기 상부몸체(100)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200)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일체 또는 결합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00)의 내부에는 물이 담수되는 담수공간(220); 상기 하부몸체(200)의 외측에 상기 담수공간(220)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만나 습기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유입홀(240); 및 상기 하부몸체(200)와 마주보며 이격된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공기유입홀(24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실되지 않도록 유실방지부재(260)가 형성된다. A bottom-watering, wall-walled flower pot has been disclosed that allows seedlings contained in disposable plastic that come with the purchase of plants to be used immediately, thereby eliminating the repotting process and preventing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o the pla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100 and a lower body 200, and the upper body 100 has a seedling (seedl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1) is seated, a space portion 10 capable of receiving water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100;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0 formed along the uppermost edge to prevent the seedlings 1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10 from escaping; In order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0 to the soil or orchids in the seedlings 1, it is form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10 and is formed in a length of more than 1/2 of the length of the flower pot. There is a moisture transfer groove 33 through which moisture and moisture move from the lower central part to the upper direction, a discharge hole 35 on the outer upper part that discharges moisture moving into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to the side, and a discharge hole 35 on the lower edge. A through hole 37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discharge air and moisture moving from the lower body to the upper part, and is formed in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but the lower part is a fresh water space 220 of the lower body 200. A wick (30)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isture column and consists of a core material (39)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soil or rock and provides moisture or moisture; and a fixing groove 40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body 100 to fix the upper body 100 to the wall, and the lower body 200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100. Or, it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and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200 includes a freshwater space 220 in which water is freshened; An air inlet hole 240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space 220 on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20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nd meets water to form moisture; And a loss prevention member 260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upper body 100, which fac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ody 200,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hole 240 from being lost.

Description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WALL FLOWERPOT}Bottom irrigation wall hanging flower pot{WALL FLOWERPOT}

본 발명은 삼투압 현상을 이용한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lower pot with bottom irrigation using the osmotic pressure phenomenon.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 나무 등과 같은 식물을 심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화분은 주택의 베란다, 거실, 방 및 빌딩의 실내 공간 등에 놓고 실내 정원을 조성하거나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 풍요로움을 맛볼 수도 있고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맑은 공기를 마실 수도 있다.Generally, flower pots are used to plant plants such as flowers and trees. These flower pots can be placed on the veranda of a house, living room, room, or indoor space of a building to create an indoor garden or enjoy emotional enrichment by cultivating plants, and can also breathe in the clean air emitted by plants such as trees and flowers.

화분은 물을 식물에 분무하거나 적당량의 물을 용토에 직접 붓는 이른바 ‘상방급수’방식으로 물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화분은 많은 양의 물을 한 번에 주게 되면 식물이나 용토에서 수용하는 양을 넘을 수 있고 넘는 물은 화분 아래로 흘러서 빠져나가게 된다. Flower pots supply water from top to bottom using the so-called ‘upward watering’ method, which involves spraying water onto the plant or pour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directly into the soil. If a large amount of water is given to a pot like this at once, it may exceed the amount that the plant or soil can accommodate, and the excess water will flow down the pot and drain out.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화분 중 하나는 이중화분으로서 저면 관수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One of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to solve this problem is a double flower pot, and technologies for supplying water through bottom irrigation are used.

식물을 건강하고 오래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적당한 햇볕과 함께 온도와 습도를 부여하는 한편 뿌리를 건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뿌리에 적절한 수분과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좋다. 한편 식물을 키우는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물을 한 번 주면 지속적으로 습기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관리가 용이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keep plants healthy and lo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equate sun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while keeping the roots healthy. To achieve this, it is best to provide adequate moisture and air to the roots.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a manager growing plant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dequate moisture continuously after watering once to make management easy.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1638289호(특) 식물이 식재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 일부는 상기 제1몸체의 내부공간 측으로 연장되고, 나머지는 제1몸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하부에서 흡수한 물을 상기 제1몸체의 내부공간 측으로 상승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연장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연장된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내부공간에 담기는 흙이나 난석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흙이나 난석이 접촉하지 않도록 격리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상승된 물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흙이나 난석에 수증기의 형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제1몸체가 상부에 안치 가능하고, 상기 이송부재가 적셔지기 위한 물을 저장 할 수 있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어 내부 에 물을 저장하게 하면서 상기 제1몸체가 안치되는 천장판, 상기 제2몸체의 내부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재를 세워지게 파지하며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이송부재에 공급되게 하는 홀이 형성되는 거치부 및 상기 이송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천장판에 형성되는 삽입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에 의해 일단이 지지된 상기 이송부재를 가이드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에 관한 기술이다.First, 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registration number 10-1638289 (special) is a first body in which an internal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s formed, a part of which extends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remainder is of the first body. A conveying member is exposed at the bottom and raises the water absorbed from the bottom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protrude or recess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and extend toward the inner space. It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ing member and the soil or rock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to isolate the conveying member from contact with the soil or rock, so that water raised by the convey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ncludes a partition member that supplies water in the form of water vapor and a second body that can be placed at the top of the first body and can store water for wetting the transfer member, wherein the second body has an upper portion. An open container body, a ceiling plate on which the first body is placed while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to store water therein, formed on the inner floor of the second body and holding the transfer member upright, and the second body The transfer member is formed arou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iling plate to allow the transfer member to pass through, and a holder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allow the water stored inside to be supplied to the transfer member, and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holder. This is a technology for a multi-purpose flower pot capable of automatically regulating humidity and activating plants, including a guide wall that guides and maintains the erection state.

상기한 기술은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내부에 투입되는 난석의 하부가 물속에 담수되어 있어 아래쪽에 집중적인 수분이 발생할 수도 있고, 수분공급을 위해 천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하도록함에 따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습기 제공이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The above-mentioned technology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lower part of the egg stone inserted inside is submerged in water, so concentrated moisture may be generated at the bottom, and a separate member such as cloth is used to supply moisture. Not only is its structure very complex, but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natural mois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화분과는 달리, 화분 아래에 수분이 고여 집중적인 수분고임 현상을 방지하고, 균일한 수분유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om-irrigated wall-grained flower pot that, unlike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described above, prevents concentrated moisture accumulation at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and provides uniform moisture ret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과 수분공급을 제공하는 도구를 간단한 심재구조를 통해 해결함으로써, 수급공급을 위한 구조를 간명화하여 제조공정의 경제성을 살린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that utilizes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for supply and demand by solving the fabric and tools for providing water supply through a simple cor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 구매시 담겨오는 1회용 플라스틱에 담긴 모종을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분갈이 과정을 제거함으로써, 식물에게 급격한 환경변화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om-watering, wall-walled flower pot that prevents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o the plants by eliminating the repotting process by allowing the seedlings contained in the disposable plastic packaged when purchasing the plants to be used immediat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면관수 방식으로 식물에게 수분을 공급함에 따라서, 종래의 상방급수 방식의 문제점인 흙의 윗 표면을 딱딱하게 만들어서 뿌리에로의 수분공급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moisture to plants by bottom irrigation, which solve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upward watering method by harde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oil and hindering the supply of moisture to the roots. The wall texture provides flower po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을 벽에 간단히 걸수 있어서, 벽면에 수직정원을 형성하여 플랜테리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watering wall-grained flower pot that can simply hang the flower pot on the wall, forming a vertical garden on the wall and providing a plan interior function.

즉 본 발명의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에 의하면, 식물의 흙, 물, 분갈이의 3가지 환경변화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식물의 생존율을 높이는 인큐베이팅역할을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bottom irrigation wall-walled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play an incubating rol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plants by fundamentally eliminating the three environmental changes of soil, water, and repotting of plants.

식물 교체시에도 새로운 화분을 삽입만 하면 되므로 관리측면에서 매우 편리하며, 버려지는 1회용 플라스틱 화분을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보호에 일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t is very convenient in terms of management because you only need to insert a new pot when replacing a plant, and it has the advantage of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protection because discarded disposable plastic pots can be recyc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은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0)는 내부 상부에 모종(1)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몸체(100) 내부 저면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0); 상기 공간부(10) 상부에 안착되는 모종(1)이 이탈하지 않도록 최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0); 상기 공간부(10)에 수용된 물을 모종(1) 속의 흙 또는 난석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10)의 내부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화분길이의 1/2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 중앙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습기와 물기가 이동되는 습기이동홈(33), 외측 상부에 상기 습기이동홈(33)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35), 하측 가장자리부에 상부 및 하부로 관통되어 하부몸체로부터 이동되는 공기 및 습기를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홀(37), 상기 습기이동홈(33)에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200)의 담수공간(220)에 위치되고 상부가 습기기둥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흙 또는 난석과 접촉되어 습기나 물기를 제공하는 심재(39)로 구성되는 심지(30); 및 상기 상부몸체(100)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200)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일체 또는 결합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00)의 내부에는 물이 담수되는 담수공간(220); 상기 하부몸체(200)의 외측에 상기 담수공간(220)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만나 습기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유입홀(240); 및 상기 하부몸체(200)와 마주보며 이격된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공기유입홀(24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실되지 않도록 유실방지부재(260)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100 and a lower body 200, and the upper body 100 has a seedling (seedl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1) is seated, a space portion 10 capable of receiving water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100;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0 formed along the uppermost edge to prevent the seedlings 1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10 from escaping; In order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0 to the soil or orchids in the seedlings 1, it is form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10 and is formed in a length of more than 1/2 of the length of the flower pot. There is a moisture transfer groove 33 through which moisture and moisture move from the lower central part to the upper direction, a discharge hole 35 on the outer upper part that discharges moisture moving into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to the side, and a discharge hole 35 on the lower edge. A through hole 37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discharge air and moisture moving from the lower body to the upper part, and is formed in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but the lower part is a fresh water space 220 of the lower body 200. A wick (30)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isture column and consists of a core material (39)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soil or rock and provides moisture or moisture; and a fixing groove 40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body 100 to fix the upper body 100 to the wall, and the lower body 200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100. Or, it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and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200 includes a freshwater space 220 in which water is freshened; An air inlet hole 240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space 220 on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20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nd meets water to form moisture; And a loss prevention member 260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upper body 100, which fac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ody 200,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hole 240 from being lost.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은 식물 구매시 새 화분과 흙을 구매하여 분갈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시중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는 1회용 화분을 그대로 삽입만 하면 별도의 분갈이가 필요없어 자원의 낭비를 막고 식물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hassle of purchasing and repotting a new pot and soil when purchasing a plant, and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repotting by simply inserting the most widely distributed disposable pot on the market. It can prevent the waste of resources and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plants.

또한, 식물들이 배송 충격과 분갈이 등 급격한 환경변화가 한꺼번에 올 경우 생착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식물의 생존과 성장에 도움을 준다. In addition, it helps the survival and growth of plants by minimizing the problem of low survival rates when plants experienc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shipping and repotting.

또한, 벽걸이 형태로 공간 차지 없이 개인 취향대로 벽면녹화, 수직정원 등을 손쉽게 구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it is wall-mounte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wall greening, vertical gardens, etc.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without taking up space.

또한, 식물 교체시 새로운 화분을 삽입만 하면 되므로 관리측면에서 매우 편리히다. In addition, it is very convenient in terms of management because you only need to insert a new pot when replacing the plant.

또한, 버려지는 1회용 플라스틱 화분을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보호에 도움이 된다. In addition, discarded disposable plastic flower pots can be recycled, helping to protect th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윗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면도이다.
도 6의 왼쪽 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에 채용된 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오른쪽 도면은 심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확대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drawing of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re us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ight drawing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re.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은 크게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로 분별된다.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되어 있되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when describing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irrigation wall-mounted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body 100 and a lower body 200.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may be formed as one piece, or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may be separated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일회용 플라스틱 화분에 담긴 모종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기에, 본 발명인 저면관수 벽결이 화분의 상부몸체(100)는 내부 상부에 일회용 플라스틱에 담긴 모종(1)이 안착된다. Si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seedlings contained in disposable plastic pots as is, the upper body 100 of the bottom watering wall-walled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eedlings 1 contained in disposable plastic seated on the inner upper part.

공간부(10)는 상기 상부몸체(100) 내부 저면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The space 10 refers to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water on the inner bottom of the upper body 100.

이탈방지턱(20)은 상기 공간부(10) 상부에 안착되는 모종(1)이 외부나 내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최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일정 두께를 갖는 턱(미도시)을 의미한다. The escape prevention protrusion 20 refers to a protrusion (not shown) having a certain thickness formed along the uppermost edge to prevent the seedlings 1 se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pace 1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r inside.

심지(30)는 상기 공간부(10)에 수용된 물을 모종(1) 속의 흙 또는 난석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심지(30)는 상기 공간부(10)의 내부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화분길이의 1/2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심지는 습기이동홈(33), 배출홀, 관통홀 및 심재로 구성되는데, 습기이동홈(33)은 하측 중앙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습기와 물기가 이동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섬유조직 사이에 조성된 이 공간은 습기의 원활한 이동을 통해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습기이동홈을 통하여 섬유 내부의 환기를 촉진시킨다.The wick 30 is used to supply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0 to the soil or orchids in the seedlings 1. The wick 30 is form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1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ength of more than 1/2 of the length of the flower po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ick is composed of a moisture transfer groove (33), an exhaust hole, a through hole, and a core material.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performs the function of moving moisture and water from the lower central part to the upper direction, creating a moisture barrier between the fiber tissues. This space prevents the growth of mold or bacteria through smooth movement of moisture. Additionally, ventilation within the fiber is promoted through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배출홀(35)은 외측 상부에 상기 습기이동홈(33)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심지(30)의 옆면에 배치된 이 공간은 흡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화분의 흙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옆면에 위치함으로써 물의 직접적인 전달이 가능하다.The discharge hole 35 functions to discharge moisture moving to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on the outer upper side to the side. This spac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wick 30 serves to effectively transfer the absorbed water to the soil of the pot. By being located on the side, direct delivery of water is possible.

관통홀(37)은 하측 가장자리부에 상부 및 하부로 관통되어 하부몸체로부터 이동되는 공기 및 습기를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심지(30)의 중심에 위치한 이 공간은 물이 섬유 구조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물의 원활한 이동이 보장된다.The through hole 37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lower edge to discharge air and moisture moving from the lower body to the upper part. This spac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ick 30 allows water to pass through the fiber structure, thereby ensuring smooth movement of water.

심재(39)는 상기 습기이동홈(33)에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200)의 담수공간(220)에 위치되고 상부가 습기기둥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흙 또는 난석과 접촉되어 습기나 물기를 제공한다. 심재는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직조된 천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8:2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다른 이 섬유들은 심지를 이루는 전체 섬유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킨다.The core material 39 is formed in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and the lower part is located in the fresh water space 220 of the lower body 200, and the upper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isture colum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soil or rock to collect moisture or moisture. provides. It is desirable to add polyester fiber to the core material at a ratio of 8:2 to the woven fabric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These fibers of different densities enhance the strength of the overall fiber structure that makes up the wick.

고정홈(40)은 상기 상부몸체(100)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The fixing groove 40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body 100 to fix the upper body 100 to the wall.

담수공간(220)은 상기 하부몸체(200)의 내부로서 물이 담수되는 공간이다. The freshwater space 220 is a space inside the lower body 200 where water is freshened.

공기유입홀(240)은 상기 하부몸체(200)의 외측에 상기 담수공간(220)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만나 습기를 형성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The air inlet hole 240 is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space 220 on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200 and functions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 and meet water to form moisture.

유실방지부재(260)는 상기 하부몸체(200)와 마주보며 이격된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다. 유실방지부재는 상기 공기유입홀(24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loss prevention member 260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upper body 100 facing the lower body 200 and spaced apart. The loss prevention member functions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hole 240 from being lost.

1 : 모종 10 : 공간부
20 : 이탈방지턱 30: 심지
40 : 고정홈 100 : 상부몸체
200 : 하부몸체 220 : 담수공간
240 : 공기유입홀 260 : 유실방지부재
1: Seedling 10: Space part
20: Breakaway bump 30: Wick
40: fixing groove 100: upper body
200: lower body 220: freshwater space
240: air inlet hole 260: loss prevention member

Claims (1)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00)는 내부 상부에 일회용 플라스틱에 담긴 모종(1)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몸체(100) 내부 저면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0);
상기 공간부(10) 상부에 안착되는 모종(1)이 이탈하지 않도록 최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0);
상기 공간부(10)에 수용된 물을 모종(1) 속의 흙 또는 난석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10)의 내부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화분길이의 1/2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 중앙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습기와 물기가 이동되는 습기이동홈(33), 외측 상부에 상기 습기이동홈(33)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35), 하측 가장자리부에 상부 및 하부로 관통되어 하부몸체로부터 이동되는 공기 및 습기를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홀(37), 상기 습기이동홈(33)에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200)의 담수공간(220)에 위치되고 상부가 심지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흙 또는 난석과 접촉되어 습기나 물기를 제공하는 심재(39)로 구성되는 심지(30); 및
상기 상부몸체(100)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200)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일체 또는 결합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00)의 내부에는 물이 담수되는 담수공간(220);
상기 하부몸체(200)의 외측에 상기 담수공간(220)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만나 습기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유입홀(240); 및
상기 하부몸체(200)와 마주보며 이격된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공기유입홀(24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실되지 않도록 유실방지부재(2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벽걸이 화분.
It consists of an upper body 100 and a lower body 200,
The upper body 100 has a seedling 1 contained in disposable plastic se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A space portion 10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on the inner bottom of the upper body 100;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0 formed along the uppermost edge to prevent the seedlings 1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10 from escaping;
In order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0 to the soil or orchids in the seedlings 1, it is form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10 and is formed in a length of more than 1/2 of the length of the flower pot. There is a moisture transfer groove 33 through which moisture and moisture move from the lower central part to the upper direction, a discharge hole 35 on the outer upper part that discharges moisture moving into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to the side, and a discharge hole 35 on the lower edge. A through hole 37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discharge air and moisture moving from the lower body to the upper part, and is formed in the moisture transfer groove 33, but the lower part is a fresh water space 220 of the lower body 200. A wick (30) located in the wick and consisting of a core material (39) whose upper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ick and comes into contact with soil or rock to provide moisture or moisture; and
It consists of a fixing groove 40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body 100 to fix the upper body 100 to the wall,
The lower body 200 is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or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200 includes a fresh water space 220 in which water is freshened;
An air inlet hole 240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space 220 on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20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nd meets water to form moisture; and
A bottom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a loss prevention member 260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upper body 100, which fac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ody 200,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hole 240 from being lost. Watering wall-mounted planter.
KR1020220107321A 2022-08-26 2022-08-26 Wall flowerpot KR202400291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321A KR20240029173A (en) 2022-08-26 2022-08-26 Wall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321A KR20240029173A (en) 2022-08-26 2022-08-26 Wall flower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173A true KR20240029173A (en) 2024-03-05

Family

ID=9029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321A KR20240029173A (en) 2022-08-26 2022-08-26 Wall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1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833B2 (en) Live plant box
US2005025742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KR20120086234A (en) Passive water supplying type pot structure
KR101892977B1 (en) Flowerpot using water vapor
KR100419903B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101037162B1 (en) Flower-pot apparatus
KR101838545B1 (en) A Water Storage Apparatus for Vegetation Port
KR20180078992A (en) Hydroponics flower port
KR101031234B1 (en) Flower-pot apparatus
KR200207920Y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20240029173A (en) Wall flowerpot
US20060016126A1 (en) Peripheral planting system
KR20200086550A (en) Flower pot hanger
KR20180079237A (en) Hydroponics flower port
JP5685688B2 (en) Hydroponics equipment
KR102330902B1 (en) Natural circulation humidification pollen by osmotic pressure
JP2006174829A (en) Simplified hydroponics container
KR101638289B1 (en) Automatic moisture control type convertible flowerpot being capable of vitalizing plants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KR102077897B1 (en) Plant-grown pot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KR200281182Y1 (en)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CN207022659U (en) A kind of afforestation plant growing pot
KR20020032504A (en)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KR200257482Y1 (en) Pot with multi function
JP3000999U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