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482Y1 - Pot with multi function - Google Patents

Pot with multi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482Y1
KR200257482Y1 KR2020010028975U KR20010028975U KR200257482Y1 KR 200257482 Y1 KR200257482 Y1 KR 200257482Y1 KR 2020010028975 U KR2020010028975 U KR 2020010028975U KR 20010028975 U KR20010028975 U KR 20010028975U KR 200257482 Y1 KR200257482 Y1 KR 200257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soil
pots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9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섭
Original Assignee
박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섭 filed Critical 박성섭
Priority to KR2020010028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48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482Y1/en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을 조합하여 실내 디자인이 가능하게 하고 화분을 실용적으로 구성하여 실내 정원용 화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otted plant, which enables the interior design by combining the potted plant and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otted plant that can serve as a potted plant for indoor garden by practically constructing a potted plant.

이를 위한 본 고안의 다기능 화분은, 상기 화분의 저부에 바닥면과의 일정 공간을 갖는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을 가지며, 상기 요홈에 서랍식 형상의 용수유치함을 구비하여 배수 기능 및 물 저장 기능을 갗춰 상기 화분내의 토양에 상기 물의 재흡수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화분 내에 다수개의 포트(pot)식 화분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트식 화분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ultifunction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recess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with a bottom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pot, having at least one water hole on the groove surface, and having a drawer-type water inlet in the groove A drainage function and a water storage function are arranged to allow reabsorption and diffusion of the water into the soil in the pot, and a plurality of pot pots are arranged to be fixed by the soil in the pot, so that the plant is in the pot pot. The planted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insertion.

Description

다기능 화분{POT WITH MULTI FUNCTION}Multifunctional planter {POT WITH MULTI FUNCTION}

본 고안은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분을 실용적으로 구성하면서 실내 정원용으로서 여러 형태의 화분을 조합하여 실내 디자인을 할수 있는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otted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otted plant which can be designed indoors by combining various types of potted plants for indoor gardening while constructing the planter practically.

실내생활을 주로 하는 현대인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은 주거공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삶에 질이 향상함에 따라 주거 공간의 실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분에 작은 나무나 화초 등을 심어 관상용으로 실내를 장식하고 있다.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for modern people who mainly do indoor living is the residential space. In addition, 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the importance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living space is increasing. Accordingly, small trees, flowers, and the like are planted in flower pots to decorate the interior for ornamental purposes.

이러한 식목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주 화분에 용수를 공급해야 한다. 특히,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식목은 며칠정도 용수를 공급하지 않으면 식목이 말라 죽게 되기 때문에 화분에 용수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일이 식목의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화분내에 너무 오래 물이 고여 있게 되면 식물의 생장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므로, 화분내에 담긴 토양이 항상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for these plants to grow normally, they need to be watered frequently. In particular, planting that requires a lot of water is a very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planting, because the planting will dry out if you do not supply water for a few days. In addition, if water is accumulated in the pot too long, it will adversely affect the growth of the plant, it is necessary that the soil contained in the pot always contains the appropriate moisture.

상기 용수 공급의 조절을 위해 종래의 화분은 바닥이나 외벽에 배수공을 구비하여 화분에 파종된 각종의 식목에 공급하는 잔여 용수의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있고, 이러한 식목이 식재된 화분을 이용하여 아파트나 일반 가옥의 정원에 적절히 배치하여 실내환경을 꾸미고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water supply, the conventional flowerpot is provided with drainage holes at the bottom or the outer wall to drain the remaining water supplied to the various plantings sown in the flowerpot. The interior is appropriately arranged in the garden of a general house.

그러나,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목의 용수를 공급하게 되면 모두 흡수하지 못하고 저부로 하강되므로서 실내에 두고 있는 화분의 경우에는 배수되는 물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화분의 저부에 벌레의 서식처가 되는 결함이 있다.However, when supplying the water of the planting planted in the potted plant is not absorbed by all but lowered to the bottom, when the potted plant is placed indoors,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the drained water, which causes the insects at the bottom of the potted plant There is a defect that becomes a habitat.

또한 화분에 배수구 없이 구성하게 되면 화분에 공급된 잔여 용수가 바닥으로 모여져 부패되면서 식재된 식목의 뿌리가 썩게 되는 문제와 아울러, 식물이 시들면 처리하기 곤란한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pot is configured without a dr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t of the planted plant is decaying as the residual water supplied to the pot is gathered and decayed, and it is difficult to treat the plant wither.

또한, 종래의 실내 환경을 꾸미기 위한 화분은 원형 및 장방형의 화분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화분들끼리의 조합 진열이 매우 어렵다. 특히, 도로변의 화분 진열이나 아파트 또는 일반 가옥의 정원에 진열되는 화분들은 대부분 독립적인 색채를 많이 가지면서 진열되기 때문에 투박하고 전체적인 배열이나 조합상에 있어서 매우 불균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ots for decorating the conventional indoor environment is made of round and rectangular pots, the combination display of the pots is very difficult. In particular, potted plants displayed on roadsides or in gardens of apartments or houses are mostly unbalanced in their clunky and overall arrangement or combination because they are displayed with many independent colors.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을 조합하여 실내 디자인이 가능하게 하고 화분을 실용적으로 구성하여 실내 정원용 화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ot that can perform a role as a pot for indoor garden by enabling the indoor design by combining the pots and practically configure the pots.

도 1은 본 고안의 다기능 화분의 정면도 및 평면도.1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multi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 및 도 3을 결합하여 구성한 도면.4 is a view configured by combining FIGS. 1 and 3.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도시한 도면.5 to 7 are views showing a combin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다기능 화분 20 : 요홈10: multifunctional pot 20: groove

30 : 통수공 40 : 노즐30: water hole 40: nozzle

100 : 용수유치함 200 : 포트식 화분100: water container 200: pot type pot

202 : 돌출틀202: protrusion frame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다기능 화분은, 상기 화분의 저부에 바닥면과의 일정 공간을 갖는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을 가지며, 상기 홈에 서랍식 형상의 용수유치함을 구비하여 배수 기능 및 용수 저장 기능을 갖춰 상기 화분내의 식재용 토양에 상기 용수의 재흡수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ultifunction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recess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with a bottom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pot, having at least one water hole in the groove surface, attracting water of the drawer type in the groove Equipped with a drainage function and water storage function to be able to reabsorb and spread the water in the planting soil in the pot.

또한, 본 고안은 다기능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 내에 식재용 토양이 구비되며, 상기 화분 내에 다수개의 포트(pot)식 화분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트식 화분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pot, the planting soil is provided in the pot, a plurality of pot pots (pot) in the pot is arranged to be fixed by the soil pot is planted in the pot p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detachably inserted.

아울러, 본 고안은 다기능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저부에 바닥면과의 일정 공간을 갖는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을 가지며, 상기 요홈에 서랍식 형상의 용수유치함을 구비하여 배수 기능 및 물 저장 기능을 갖춰 상기 화분내의 토양에 상기 물의 재흡수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화분 내에 다수개의 포트(pot)식 화분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트식 화분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functional pot, the bottom of the pot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bottom surface, the groove surface has at least one water hole,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drawer-shaped water attracting The drainage function and water storage function so that the water can be reabsorbed and diffused in the soil in the pot, and a plurality of pot-type pots are arranged to be fixed by the soil in the pot-type po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ted pot is installed detachably insert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다기능 화분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다기능 화분의 정면도이며, 도 4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들을 조합하여 실내용 정원으로서의 디자인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functional plan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pla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 and 2 5 to 8 illustrate a design as an indoor garden by combining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화분(10)은 화분의 저부에 바닥면과의 일정 공간을 갖는 요홈(20)을 구비하고, 요홈(20)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30)을 가지며, 요홈(20)에 서랍식 형상의 용수유치함(100)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배수 기능 및 물 저장 기능을 구비하여 화분(10)내의 토양에 용수의 재흡수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요홈(20)과 용수유치함(100)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3mm 이하이며, 상기 통수공(30)을 통하여 노즐(40)을 끼워넣어 용수유치함(100)으로 용수를 원활히 내려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토양에 수분 공급을 위해 노즐(40)에 직물 재질의 심지(미도시)를 결합함으로써 삼투 현상에 의하여 용수유치함(100)에 저장된 용수를 화분(10)내로 빨아들여 화분(10)에 적당량의 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multifunctional po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2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bottom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pot, at least one water hole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20 It has a 30, so that the drawer-shaped water intake box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0 to have a drainage function and a water storage function so that water can be reabsorbed and diffused into the soil in the pot 10. do.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groove 20 and the water intake box 100 is preferably at least 3mm or less, and inserts the nozzle 40 through the water hole 30 to smoothly discharge the water into the water intake box 100. Make sure In addition, by coupling the wick (not shown) of the fabric material to the nozzle 40 for water supply to the soil by suck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100 by the osmotic phenomenon into the flower pot (10) to the flower pot (10) Make sure that the righ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continuously.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재(미도시)가 구비된 본 고안의 다기능화분(10)에 용수를 공급하면 용수는 식재용 토양에 공급되고, 잔여 용수는 노즐(40)을 통하여 용수유치함(100)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용수유치함(100) 양측의 화분 저부에 용수가 저장되어 식재에 수분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화분(10)내의 식재용 토양에 적정량의 수분을 충전하기 위하여 노즐(40)에 심지를 결합하고, 용수유치함(100)에 저장된 용수를 빨아들여 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시킨다.In more detail,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multifunctional flower po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planting material (not show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ing soil, and the remaining water attracts water through the nozzle 40 (100). Water is stored at the bottom of the pot at the same time to drain the water (100) both sides to supply water to the plant. In addition, in order to fill an appropriate amount of moisture in the planting soil in the pot 10, the wick is coupled to the nozzle 40,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holding box 100 is supplied to continuously supply the water.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사각 화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원형 화분, 부채꼴 화분, 및 육각형 화분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재꼴 화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동일 구성은 동일 부호로 나타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ctangular potted pla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may also be applied to a semi-circular potted plant, a flat potted plant, a hexagonal potted plant, and the like, for example, a member planter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The same configuration is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그 다음,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식재용 토양을 구비하는 화분(10) 내에 다수 개의 포트(pot)식 화분(200)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포트식 화분(200)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때, 포트식 화분(200)의 저부에 돌출틀(202)을 두어 토양에 의해 고정된다.Next, FIG. 3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pot-type pots 200 are fixed by the soil in the pot 10 having planting soil, a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is planted in the pot-type pot 200 is installed detachably inserted. At this time, by placing the protruding frame 202 at the bottom of the pot-type pot 200 is fixed by the soil.

이러한 포트식 화분(200)은 (a)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일반 화분으로 윗면이 아래면 보다 넓게 형성된 화분으로 상기 아래 면은 거칠어도 무방하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포트식 화분(200)을 사실상 위, 아래 면이 없는 원형 화분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실제 제작시 한 면이 거칠게 형성되는 면을 아래 면으로 하면서, 상기 돌출틀(202)에 의해 식재용 토양에 고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포트식 화분을 배치하여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한다.The pot-type pot 200 is, as shown in (a), a general potted plant formed on the top of the wider than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may be rough. Further, as shown in (b), the pot-type pot 200 may be formed as a circular pot withou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t this time, while making the bottom surface is roughly formed at the time of actual production, by fixing to the soil for planting by the protruding frame 202 by placing the pot-type pots of various forms to be removable planted pot. .

이러한 포트식 화분(200)이 구비된 다기능 화분(10)에 의해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들거나 꽃이 진 식물의 경우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정원을 항상 새롭고 신선하며, 향기로운 꽃과 식물로 실내정원을 유지할 수 있다.By the multi-functional pot 10 provided with such a pot-type pot 200 can not only easily replace the pl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ason, it can be easily replaced in the case of plants withered or flowered. Accordingly, the indoor garden can always maintain the indoor garden with fresh, fresh, fragrant flowers and plants.

이어서, 도 4는 상기 도 1과 도 3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화분의 저부에 바닥면과의 일정 공간을 갖는 요홈(20)을 구비하고, 요홈(20)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30)을 가지며, 요홈(20)에 서랍식 형상의 용수유치함(100)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배수 기능 및 물 저장 기능을 구비하여 화분(10)내의 토양에 용수의 재흡수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분(10) 내에 다수 개의 포트(pot)식 화분(200)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포트식 화분(200)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3 are combined to include a recess 2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with a bottom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pot, an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 20. Resorption of water in the soil in the pot 10 by having a drainage function and a water storage function to have a water drawer 100 of the drawer type in the groove 20, at least one water hole (30) And to sprea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t-type pots 200 are arranged in the pot 10 so as to be fixed by the soil, and the pots planted in the pot-type pot 200 are detachably inserted.

상술한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사각 화분, 반원형 화분, 부채꼴 화분 및 육각형 화분 등에 적용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주거 공간에 전체적인 구성배치를 자유롭게 디자인 할 수 있고, 식물의 배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양한 형태로 상기 다기능 화분(10)을 배치하여 실내정원을 꾸밀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pplicable to a square flowerpot, a semi-circle flowerpot, a fan-shaped flowerpot, a hexagonal flowerpot, and the like, by using thi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ayout can be freely designed, and the arrangement of plants can be freely adjusted. That is, as shown in Figures 5 to 7, it is possible to decorate the indoor garden by arranging the multifunctional pot 10 in various forms.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Esau.

상술한 본 고안의 다기능 화분에 의하면, 화분(10)내에 용수유치함(100) 및 포트식 화분(200)을 구비하여 배수 기능 및 용수 저장 능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들거나 꽃이 진 식물의 경우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정원을 항상 새롭고 신선하며, 향기로운 꽃과 식물로 실내정원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multifunction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otting box 100 and the pot-type potted plant 200 in the potted plant 10 to improve the drainage function and water storage capacity, and also easily replace the pl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sons Not only can you do that. Withered or flowered plants can be replaced simply. Accordingly, the indoor garden can always maintain the indoor garden with fresh, fresh, fragrant flowers and plants.

아울러, 상기 다기능 화분을 시각 화분, 반원형 화분 및 부채꼴 화분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하여 세트 조합의 변화에 따른 하나의 정원으로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여려 개의 정원세트로 나눌 수도 있고, 여러 화분의 재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정원형태를 창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potted plant is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visual potted plant, a semi-circular potted plant and a fan-shaped potted plant, and can be divided not only into one garde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t combination, but also divided into several garden sets, and re-combination of several potted plants. It is possible to create various garden forms.

Claims (9)

화분에 있어서,In the flowerpot, 상기 화분의 저부에 일정 간격을 갖는 홈을 구비하고,At the bottom of the pot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을 가지며,Has at least one hole in the groove, 상기 홈에 서랍 형상의 용수유치함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배수 기능 및 용수 저장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화분내의 토양에 상기 용수의 재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Multifunctional p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shaped water drawer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water can be reabsorbed in the soil in the pot by having a drainage function and a water storage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과 상기 용수유치함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Multifunctional p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groove and the water drawer is at least 3m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수공을 통하여 상기 용수유치함으로 응수를 원활히 내려보낼 수 있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Multifunctional po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zzle that can smoothly send out the water by attracting the water through the water hol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용수유치함에 저장된 용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에 수분 공급을 위해 상기 노즐에 심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Multifunctional pots, characterized in that to combine the wick to the nozzle for water supply to the soil us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inl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기능 화분은 사각 화분, 원형 화분, 부채꼴 화분, 반원형 화분 및 육각형 화분 중 어느 하나의 화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The multifunctional pot is a multifunctional po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square pot, a round pot, a fan pot, a semi-circle pot and a hexagon pot. 화분에 있어서,In the flowerpot, 상기 화분 내에 식재용 토양이 구비되며,Planting soil is provided in the pot, 상기 화분 내에 다수개의 포트(pot)식 화분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트식 화분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A multi-functional po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t-type pots are arranged to be fixed by the soil in the pot, so that the pot planted in the pot-type pot is detachably insert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포트식 화분의 저부에 돌출틀을 두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Multifunctional pot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soil by placing a protruding frame at the bottom of the pot-type pots.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화분은 사각 화분, 원형 화분, 부채꼴 화분, 반원형 화분 및 육각형 화분 중 어느 하나의 화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The pot is a multi-functional po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square pot, a round pot, a fan pot, a semi-circle pot and a hexagon pot. 다기능 화분에 있어서,In the multifunctional flower pot, 상기 화분의 저부에 일정 간격을 갖는 홈을 구비하고,At the bottom of the pot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공을 가지며,Has at least one hole in the groove, 상기 홈에 서랍 형상의 용수유치함을 구비하여 배수 기능 및 물 저장 기능을 갖춰 상기 화분내의 식재용 토양에 상기 용수의 재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It is equipped with a drawer-shaped water inlet in the groove to have a drainage function and a water storage function so that the water can be reabsorbed in the planting soil in the flower pot, 상기 화분 내에 다수개의 포트(pot)식 화분이 상기 토양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트식 화분내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A multi-functional po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t-type pots are arranged to be fixed by the soil in the pot, so that the pot planted in the pot-type pot is detachably inserted.
KR2020010028975U 2001-09-19 2001-09-19 Pot with multi function KR2002574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75U KR200257482Y1 (en) 2001-09-19 2001-09-19 Pot with multi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75U KR200257482Y1 (en) 2001-09-19 2001-09-19 Pot with multi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482Y1 true KR200257482Y1 (en) 2001-12-31

Family

ID=7306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975U KR200257482Y1 (en) 2001-09-19 2001-09-19 Pot with multi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482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57B1 (en) * 2012-04-04 2014-06-02 대한민국 vegetables cultivation device for use of home
KR101435568B1 (en) * 2012-12-17 2014-08-28 주식회사 와이즈센싱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a pl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57B1 (en) * 2012-04-04 2014-06-02 대한민국 vegetables cultivation device for use of home
KR101435568B1 (en) * 2012-12-17 2014-08-28 주식회사 와이즈센싱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a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128B1 (en)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KR20100055176A (en) Flower-pot apparatus
KR200257482Y1 (en) Pot with multi function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KR20150083359A (en) Flowerpot kit for cultivating Hydroponic plants and equipment used for growing plants
KR200281182Y1 (en)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KR101380567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CN207022659U (en) A kind of afforestation plant growing pot
JPH11253054A (en) Double pot for plant culture
KR200425493Y1 (en) Desk Flowerpot Having Frame Function
KR20020032504A (en)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KR200404327Y1 (en) The flowerpot for vegetable cultivation
CN217905629U (en) Balcony landscape planting device
KR200339586Y1 (en) The flowerpot for orchid
KR200274703Y1 (en) A well-ventilated & Beautiful flowerpot with two-wall
KR200350600Y1 (en) A flowerpot
KR20170003332U (en) pot insert flowerpot
KR20240029173A (en) Wall flowerpot
KR200271930Y1 (en) Managing apparatus using media cell for cell growing garden plant
KR200313531Y1 (en) The vase growing orchid
JP3076746U (en) Gardening tray
KR200288909Y1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200273611Y1 (en) Managing apparatus using media cell for cell growing garden plant
KR20170010696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led lamp
KR200290527Y1 (en) Flowering plants hydro culture managing apparatus to ornament in and out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