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040A -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040A
KR20240016040A KR1020220094064A KR20220094064A KR20240016040A KR 20240016040 A KR20240016040 A KR 20240016040A KR 1020220094064 A KR1020220094064 A KR 1020220094064A KR 20220094064 A KR20220094064 A KR 20220094064A KR 20240016040 A KR20240016040 A KR 2024001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cinic acid
vitamin
composition
cells
in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인섭
손의동
김형준
박원석
홍용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2009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040A/ko
Publication of KR2024001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influx of succinic acid into cells comprising Vitamin C and/or derivatives thereof as an effective ingredient and cosmetic composition}
본 기재는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 중의 하나로서,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의 체내에서 생 합성되는 흔한 물질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어류 및 인간이 포함되는 영장류에서는 비타민 C를 체내에서 합성할 수가 없어 음식물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보충하여야 하는데, 인체에 비타민 C가 결핍되면 괴혈병이 발생한다.
또한 비타민 C는 강한 환원제로서 콜라겐의 합성효소 활성화 등을 위하여 인체에 있어 필수적인 성분이며, 산화 물질로부터 인체 조직 성분을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의 역할도 한다. 동물에서 비타민 C의 이러한 반응들은 특히 상처 치료와 모세 혈관에서의 출혈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비타민 C의 피부에 대한 기능을 살펴보면, 비타민 C는 프롤릴히드록시화제의 활성을 촉진하여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삼중 나선 구조인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향상시킨다(Padh H, Nutrition Reviews 49, 65-70pp, 1991). 실제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내의 비타민 C의 함량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콜라겐의 탄력 감소와 신규 콜라겐의 합성 저하로 주름이 증가하는 현상이 잘 알려져 있다.
비타민 C는 UVA에 대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강하고, UVB로 인해 발생한 홍반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또한 비타민 C는 피부, 혈액 및 기타 조직에서 강력한 생체 항산화제로 작용하는데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 자유 라디칼 및 과산화물에 의하여 생체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원인을 차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다.
한편, 비타민 C는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되는 색소 침착과 관련된 멜라닌 생합성 과정 중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며, 산화된 멜라닌을 환원하여 과다한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Postaire E et al., Biochem Mol Int, 42, 1023-1033pp, 1997).
결과적으로 피부 세포의 비타민 C의 함량 유지는 피부 노화의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Kevin J Lenton et al., Am,. J Clin Nutr 71, 1194-1200pp, 2000).
당 업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효과를 갖는 비타민 C를 이용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열, 빛 또는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한 비타민C의 안정성을 개선시키려는 데 집중되고 있다.
한편, 숙신산(Succinic acid)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이 되며, 항노화, 항염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냄에도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효능, 즉 항노화, 항염 등의 효능을 거의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숙산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숙신산이 가지는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숙신산은 수용성 물질로써 세포 내 투과도가 떨어지며, 세포막에 존재하는 Succinate receptor 1 (SUNR1)에 의해서 유입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Succinate receptor 1 (SUNR1)은 쉽게 발현이 되지 않기에, 상기 숙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처방되어도 상기 조성물 내 숙신산이 피부세포 등 세포 내로 유입되지 못한 것이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가 세포 내 SUNR1 발현을 증가시켜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가짐을 새롭게 확인하고, 결국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일 구현예는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죠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숙신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1:0.1 내지 1:1의 농도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1:1의 농도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3-o-에틸 아스코르브산(3-o-ethyl ascorbic acid),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SAP),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phosphate; MAP),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Cals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코르브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및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부에서 항노화 및 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대사체로 사용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항노화 및 항염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비타민 C가 특이적으로 Succinate receptor 1 (SUNR1) 발현을 증가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숙신산이 비타민 C와 함께 처리될 경우, 세포 내 숙신산의 양이 크게 증가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숙신산과 비타민 C가 특정 농도비로 처리될 경우, 세포 내 숙신산의 양이 더욱 증가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숙신산이 비타민 C 유도체와 함께 처리되는 경우에도, 비타민 C와 마찬가지로 세포 내 숙신산의 양이 크게 증가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비타민 C나 그 유도체는 항산화물질로서, 종래 상기 비타민 C 등의 항산화물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들은 대부분 비타민 C 등의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너무 적어 실질적으로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물질에 의한 유리한 효과(기능성)을 얻을 수 없었다. 즉, 항산화물질은 아직까지도 의약외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의 제형으로서는 그 기능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상기 항산화물질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형의 경우, 다른 제형과 달리 그 기능적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화장품 제형 중에서도 메이크업용의 경우는 상기 항산화물질의 기능성을 적극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제품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당업계에서 비타민 C와 관련된 연구를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여, 비타민 C가 자체적으로 가지는 피부에 대한 유리한 효과(예컨대 피부 보습, 피부장벽 강화 등)에 집중하기보다는, 비타민 C가 다른 유효성분의 세포 내 유입을 증진시키는 인자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실험들을 반복한 결과, 숙신산이 세포 내부에서 항노화 및 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대사체로써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되려면 세포 내로의 유입이 필요한데, 상기 숙신산은 수용성 물질로써 세포 내의 유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고, 추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러한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은 Succinate receptor 1 (SUNR1)에 의해 이루어짐을 이어서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비타민 C나 이의 유도체가 세포 내 Succinate receptor 1 (SUNR1) 발현을 증가시켜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일 구현예에 따른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은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는 세포 내 Succinate receptor 1 (SUNR1) 발현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키는데, 구체적으로 도 1을 보면, 비타민 C가 아닌 다른 물질, 예컨대 니아신아미드, 피루베이트, 아데노신 등은 비타민 C와 달리 세포 내 Succinate receptor 1 (SUNR1) 발현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즉, 비타민 C는 세포 내 Succinate receptor 1 (SUNR1) 발현만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키는 유효 물질로서 작용한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숙신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와 함께 상기 숙신산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조성물이 피부 등에 처방되었을 때,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가 상기 피부세포 내 Succinate receptor 1 (SUNR1)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숙신산이 상기 Succinate receptor 1 (SUNR1)에 의해 피부 세포 내로 다량 유입됨으로써, 항노화 및 항염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보면, 숙신산이 비타민 C와 함께 처리될 경우에는 세포 내 숙신산의 양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비타민 C와 함께 처리된 숙신산이 상기 Succinate receptor 1 (SUNR1)의 발현 증가로 인해 세포 내부로 다량 유입되었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1:0.1 내지 1:1의 농도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농도가 상기 숙신산 농도의 10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숙신산의 상대적 함량이 적어 세포 내부로 유입되는 숙신산의 절대량이 적어지게 되어 항노화 및 항염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농도가 상기 숙신산 농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이미 숙신산의 상대적 함량이 충분하여 세포 내부로 숙신산이 더 유입되더라도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더욱 개선되는 정도가 미미해져, 비경제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1:1의 농도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이 상기 농도비로 포함되는 경우가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을 가장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농도비일 수 있으며, 상기 숙신산이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포함될 경우에는 숙신산의 세포 내 추가 유입이 더뎌지게 되어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매우 크게 개선되는 것은 아니기에,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서로 동일한 농도를 가지도록 제어되어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3-o-에틸 아스코르브산(3-o-ethyl ascorbic acid),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SAP),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phosphate; MAP),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Cals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코르브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및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 피부 항염증용, 피부장벽 강화용, 피부 미백용, 피부 주름 개선용 및/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컨대,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비타민 C, 이의 유도체, 숙신산 등)과 더불어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첨가제 조성물이 첨가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식품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식품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환제, 캅셀제, 정제, 과립제, 캬라멜제 또는 드링크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액제, 분말, 과립, 정제 또는 티백 등의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내지 99.9 중량%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첨가제 조성물이 첨가되는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일 수 있으며, 상기 경구 투여제는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일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으며,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직장, 국소, 피하,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여량은 1 mg/kg/일 내지 10 g/kg/일 또는 5 mg/kg/일 내지 100 mg/kg/일 범위일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항노화 효능 소재 4종에 의한 SUCNR1 발현 증가 확인
사람 섬유아세포에 대표적인 항노화 물질인 Niacinamide, 비타민 C, pyruvate, adenosine 을 각 100 ppm 처리한 후 24시간 경과 후의 세포를 harvest 하였고, RNA를 분리하여, Real time-qPCR을 통해 succinic acid의 transporter인 Succinate Receptor 1 (SUCNR1) 발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Niacinamide, Pyruvate, adenosine에서는 SUCNR1의 발현 변화가 없으나, 비타민 C 처리 시 그 발현량이 2배 이상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Succinic acid의 세포내 투과도 증가 확인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비타민 C에 의한 SUCNR1 발현 증가가 succinic acid의 유입과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0.1% Succinic acid 단독 처리 군과 100 ppm 비타민 C와의 동시 처리 군에서, 세포 내 Succinic acid의 양을 ELISA (Abcam, ab204718)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0.1% Succinic acid 단독 처리 군 대비, 100 ppm 비타민 C와의 동시 처리 군에서 세포 내 Succinic acid의 양이 2배 이상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타민 C가 SUCNR1 발현 증가를 통한 Succinic acid의 유입 증진을 유도함이 증명되었다.
[실험예 3]
Succinic acid 투과도 증진 Vitamin C 최적 농도 선정
Succinic acid 투과도 증진을 유도하는 Vitamin C의 최적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예 2와 동일한 실험법으로 Vitamin C 농도를 0, 0.003, 0.01, 0.03, 0.1% 로 나누어 비교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0.1% Succinic acid 존재 하에 Vitamin C 농도가 0.01~0.1% 처리 시 Succinic acid의 세포 투과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Succinic acid : Vitamin C 농도비를 1:0.1 내지 1:1로 제어 시 효능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Vitamin C 유도체에 의한 Succinic acid 투과도 증진 효능
순수 Vitamin C 뿐만 아니라, 그 유도체도 Succinic acid 투과도 증진 효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비타민 C의 유도체 중 하나인 3-O-ethyl ascorbic acid를 Vitamin C와 동일양으로 처리한 후 Succinic acid 투과도를 비교 실험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Vitamin C와 그 유도체인 3-O-ethyl ascorbic acid 모두 비슷한 Succinic acid 투과도 증진 효능을 보여 Vitamin C뿐만 아니라, 그 유도체도 유사한 효능을 나타낼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에 불과하다.
[제형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숙신산 1.00
비타민 C 1.00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0.6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1.50
세테아릴알코올 (Cetearyl Alcohol) 0.8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 1.00
베헤닐 알코올 (Behenyl alcohol) 1.00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2.50
토코페롤*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Tocopherol*Phytosteryl/Behenyl/Octyldodecyl Lauroyl Glutatmate) 0.5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4.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 5.0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2.50
디메치콘(Dimethicone) 1.00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
글리세린(Glycerin) 3.00
프로판디올(Propandiol) 7.00
1,2-헥산디올(1,2-Hexandiol) 1.00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0.10
토코페롤*에칠헥실글리세린 (Tocopherol*Ethylhexylglycerin) 0.05
정제수*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Water*Sorbitanisostearate*Polyacrylate-13*Polyisobutene*Polysorbate20) 0.70
정제수 잔량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숙신산을 더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3. 제2항에서,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1:0.1 내지 1:1의 농도비로 포함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4. 제2항에서,
    상기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숙신산은 1:1의 농도비로 포함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3-o-에틸 아스코르브산(3-o-ethyl ascorbic acid),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SAP),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phosphate; MAP),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Cals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코르브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및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94064A 2022-07-28 2022-07-28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16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64A KR20240016040A (ko) 2022-07-28 2022-07-28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64A KR20240016040A (ko) 2022-07-28 2022-07-28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040A true KR20240016040A (ko) 2024-02-06

Family

ID=8985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064A KR20240016040A (ko) 2022-07-28 2022-07-28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7471B2 (ja) 機能性粉体
CA2586873C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myrica gale oil
JP4796734B2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KR100782600B1 (ko) 디오스게닌 및 디오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2283040B1 (ko) 아트락틸레놀라이드 i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220025833A (ko)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가진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40016040A (ko) 비타민 c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신산의 세포 내 유입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828077B2 (ja) 皮膚外用剤
KR20140014364A (ko) 탈색소제로서의 델타-토코페릴-탄수화물 용도
CN111447914B (zh) 新的多元醇多鼠李糖苷、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化妆品和/或药物组合物
KR102356451B1 (ko)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EP3366273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containing same
KR102261933B1 (ko)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20037B1 (ko) Μμρ―1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265413B1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93928B1 (ko) 우고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CN113194910B (zh) 皮肤再生用化妆料组合物
KR20210122552A (ko)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비타민 c 산화 방지용 첨가제 조성물
KR20210115745A (ko) 이소린들레인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60529A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156309A (ko)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EP4238548A1 (en) Novel use of 4-amidino benzylamines
KR102418909B1 (ko) 8-진저롤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030256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