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805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805A
KR20240004805A KR1020237041386A KR20237041386A KR20240004805A KR 20240004805 A KR20240004805 A KR 20240004805A KR 1020237041386 A KR1020237041386 A KR 1020237041386A KR 20237041386 A KR20237041386 A KR 20237041386A KR 20240004805 A KR20240004805 A KR 20240004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ru
message
offset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찬
서한별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Vulnerable road user)에 관련된 동작 방법에 있어서,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 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 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LTE, LTE-A, WiFi 등의 다양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이 사용되고 있으며, 5G 도 여기에 포함된다. 5G의 세 가지 주요 요구 사항 영역은 (1) 개선된 모바일 광대역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영역, (2) 다량의 머신 타입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영역 및 (3) 초-신뢰 및 저 지연 통신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사용 예(Use Case)는 최적화를 위해 다수의 영역들이 요구될 수 있고, 다른 사용 예는 단지 하나의 핵심 성능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에만 포커싱될 수 있다. 5G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들을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eMBB는 기본적인 모바일 인터넷 액세스를 훨씬 능가하게 하며, 풍부한 양방향 작업, 클라우드 또는 증강 현실에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커버한다. 데이터는 5G의 핵심 동력 중 하나이며, 5G 시대에서 처음으로 전용 음성 서비스를 볼 수 없을 수 있다. 5G에서, 음성은 단순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연결을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처리될 것이 기대된다. 증가된 트래픽 양(volume)을 위한 주요 원인들은 콘텐츠 크기의 증가 및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수의 증가이다. 스트리밍 서비스 (오디오 및 비디오), 대화형 비디오 및 모바일 인터넷 연결은 더 많은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될수록 더 널리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 및 알림을 푸쉬하기 위해 항상 켜져 있는 연결성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통신 플랫폼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업무 및 엔터테인먼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의 성장을 견인하는 특별한 사용 예이다. 5G는 또한 클라우드의 원격 업무에도 사용되며, 촉각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때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도록 훨씬 더 낮은 단-대-단(end-to-end) 지연을 요구한다. 엔터테인먼트 예를 들어, 클라우드 게임 및 비디오 스트리밍은 모바일 광대역 능력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이다. 엔터테인먼트는 기차, 차 및 비행기와 같은 높은 이동성 환경을 포함하는 어떤 곳에서든지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 필수적이다. 또 다른 사용 예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증강 현실 및 정보 검색이다. 여기서, 증강 현실은 매우 낮은 지연과 순간적인 데이터 양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가장 많이 예상되는 5G 사용 예 중 하나는 모든 분야에서 임베디드 센서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 즉, mMTC에 관한 것이다. 2020년까지 잠재적인 IoT 장치들은 204 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 IoT는 5G가 스마트 도시, 자산 추적(asset tracking), 스마트 유틸리티, 농업 및 보안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 중 하나이다.
URLLC는 주요 인프라의 원격 제어 및 자체-구동 차량(self-driving vehicle)과 같은 초 신뢰 / 이용 가능한 지연이 적은 링크를 통해 산업을 변화시킬 새로운 서비스를 포함한다. 신뢰성과 지연의 수준은 스마트 그리드 제어,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드론 제어 및 조정에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다수의 사용 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5G는 초당 수백 메가 비트에서 초당 기가 비트로 평가되는 스트림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FTTH (fiber-to-the-home) 및 케이블 기반 광대역 (또는 DOCSIS)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속도는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뿐 아니라 4K 이상(6K, 8K 및 그 이상)의 해상도로 TV를 전달하는데 요구된다. VR(Virtual Reality) 및 AR(Augmented Reality) 애플리케이션들은 거의 몰입형(immersive) 스포츠 경기를 포함한다. 특정 응용 프로그램은 특별한 네트워크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게임의 경우, 게임 회사들이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어 서버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에지 네트워크 서버와 통합해야 할 수 있다.
자동차(Automotive)는 차량에 대한 이동 통신을 위한 많은 사용 예들과 함께 5G에 있어 중요한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승객을 위한 엔터테인먼트는 동시의 높은 용량과 높은 이동성 모바일 광대역을 요구한다. 그 이유는 미래의 사용자는 그들의 위치 및 속도와 관계 없이 고품질의 연결을 계속해서 기대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분야의 다른 활용 예는 증강 현실 대시보드이다. 이는 운전자가 앞면 창을 통해 보고 있는 것 위에 어둠 속에서 물체를 식별하고, 물체의 거리와 움직임에 대해 운전자에게 말해주는 정보를 겹쳐서 디스플레이 한다. 미래에, 무선 모듈은 차량들 간의 통신, 차량과 지원하는 인프라구조 사이에서 정보 교환 및 자동차와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보행자에 의해 수반되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 시스템은 운전자가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행동의 대체 코스들을 안내하여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한다. 다음 단계는 원격 조종되거나 자체 운전 차량(self-driven vehicle)이 될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자체 운전 차량들 사이 및 자동차와 인프라 사이에서 매우 신뢰성이 있고, 매우 빠른 통신을 요구한다. 미래에, 자체 운전 차량이 모든 운전 활동을 수행하고, 운전자는 차량 자체가 식별할 수 없는 교통 이상에만 집중하도록 할 것이다. 자체 운전 차량의 기술적 요구 사항은 트래픽 안전을 사람이 달성할 수 없을 정도의 수준까지 증가하도록 초 저 지연과 초고속 신뢰성을 요구한다.
스마트 사회(smart society)로서 언급되는 스마트 도시와 스마트 홈은 고밀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임베디드될 것이다. 지능형 센서의 분산 네트워크는 도시 또는 집의 비용 및 에너지-효율적인 유지에 대한 조건을 식별할 것이다. 유사한 설정이 각 가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창 및 난방 컨트롤러, 도난 경보기 및 가전 제품들은 모두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센서들 중 많은 것들이 전형적으로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 저전력 및 저비용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실시간 HD 비디오는 감시를 위해 특정 타입의 장치에서 요구될 수 있다.
열 또는 가스를 포함한 에너지의 소비 및 분배는 고도로 분산화되고 있어, 분산 센서 네트워크의 자동화된 제어가 요구된다. 스마트 그리드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도록 디지털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이런 센서들을 상호 연결한다. 이 정보는 공급 업체와 소비자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그리드가 효율성, 신뢰성, 경제성, 생산의 지속 가능성 및 자동화된 방식으로 전기와 같은 연료들의 분배를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지연이 적은 다른 센서 네트워크로 볼 수도 있다.
건강 부문은 이동 통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임상 진료를 제공하는 원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다. 이는 거리에 대한 장벽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 거리가 먼 농촌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의료 서비스들로의 접근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중요한 진료 및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 통신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심박수 및 혈압과 같은 파라미터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센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및 모바일 통신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배선은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높다. 따라서, 케이블을 재구성할 수 있는 무선 링크들로의 교체 가능성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매력적인 기회이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는 것은 무선 연결이 케이블과 비슷한 지연, 신뢰성 및 용량으로 동작하는 것과, 그 관리가 단순화될 것이 요구된다. 낮은 지연과 매우 낮은 오류 확률은 5G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새로운 요구 사항이다.
물류(logistics) 및 화물 추적(freight tracking)은 위치 기반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여 어디에서든지 인벤토리(inventory) 및 패키지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에 대한 중요한 사용 예이다. 물류 및 화물 추적의 사용 예는 전형적으로 낮은 데이터 속도를 요구하지만 넓은 범위와 신뢰성 있는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사이드링크(sidelink, SL)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Base Station, BS)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또는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SL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V2X(vehicle-to-everything)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차량, 보행자,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 등과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V2X는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N(vehicle-to- network) 및 V2P(vehicle-to-pedestrian)와 같은 4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V2X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 및/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 또는 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이 논의되고 있는데, 개선된 이동 광대역 통신, 매시브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을 새로운 RAT(new 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NR(new radio)이라 칭할 수 있다. NR에서도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도 1은 NR 이전의 RAT에 기반한 V2X 통신과 NR에 기반한 V2X 통신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V2X 통신과 관련하여, NR 이전의 RAT에서는 BSM(Basic Safety Message), CAM(Cooperative Awareness Message), DENM(Decentralized Environmental Notification Message)과 같은 V2X 메시지를 기반으로, 안전 서비스(safety service)를 제공하는 방안이 주로 논의되었다. V2X 메시지는, 위치 정보, 동적 정보,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주기적인 메시지(periodic message) 타입의 CAM, 및/또는 이벤트 트리거 메시지(event triggered message) 타입의 DENM을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M은 방향 및 속도와 같은 차량의 동적 상태 정보, 치수와 같은 차량 정적 데이터, 외부 조명 상태, 경로 내역 등 기본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CAM을 방송할 수 있으며, CAM의 지연(latency)은 100ms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고장, 사고 등의 돌발적인 상황이 발행하는 경우, 단말은 DENM을 생성하여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전송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량은 CAM 및/또는 DENM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DENM은 CAM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V2X 통신과 관련하여, 다양한 V2X 시나리오들이 NR에서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V2X 시나리오들은, 차량 플래투닝(vehicle platooning), 향상된 드라이빙(advanced driving), 확장된 센서들(extended sensors), 리모트 드라이빙(remote driv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플래투닝을 기반으로, 차량들은 동적으로 그룹을 형성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플래투닝에 기반한 플라툰 동작들(platoon operations)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그룹에 속하는 차량들은 선두 차량으로부터 주기적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에 속하는 차량들은 주기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 사이의 간격을 줄이거나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향상된 드라이빙을 기반으로, 차량은 반자동화 또는 완전 자동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차량은 근접 차량 및/또는 근접 로지컬 엔티티(logical entity)의 로컬 센서(local sensor)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궤도(trajectories) 또는 기동(maneuvers)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 차량은 근접한 차량들과 드라이빙 인텐션(driving intention)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센서들을 기반으로, 로컬 센서들을 통해 획득된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처리된 데이터(processed data), 또는 라이브 비디오 데이터(live video data)는 차량, 로지컬 엔티티, 보행자들의 단말 및/또는 V2X 응용 서버 간에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은 자체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환경 보다 향상된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드라이빙을 기반으로, 운전을 하지 못하는 사람 또는 위험한 환경에 위치한 리모트 차량을 위해, 리모트 드라이버 또는 V2X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리모트 차량을 동작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과 같이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드라이빙이 상기 리모트 차량의 동작 또는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의 백엔드 서비스 플랫폼(cloud-based back-end service platform)에 대한 액세스가 리모트 드라이빙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플래투닝, 향상된 드라이빙, 확장된 센서들, 리모트 드라이빙 등 다양한 V2X 시나리오들에 대한 서비스 요구사항(service requirements)들을 구체화하는 방안이 NR에 기반한 V2X 통신에서 논의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단말들이 센트럴 시스템의 클러스터링 및 취합 시점(timing)에 맞추어 주기적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Vulnerable road user)에 관련된 동작 방법에 있어서,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방법이다.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 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VRU이다..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프로세서.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VRU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저장 매체.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VRU가 속하는 지리적 구획 단위와 분류레벨 값 또는 상기 VRU가 수행한 collision assessment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류레벨 값은 기기 종류 또는 혼잡도(congestion)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 중, 상기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기 전 주기에 기초한 메시지 전송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상기 VRU가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 중,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상기 조정 오프셋의 선택은, 상기 VRU가 상기 조정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소정 시간 동안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상기 조정 오프셋의 선택은, 상기 VRU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러스터 관련 동작은 클러스터의 생성 또는 클러스터에 참가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은 상기 VRU가 산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VAM (VRU awareness message)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의 메시지(정보) 생성 시점부터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서 정보의 실시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NR 이전의 RAT에 기반한 V2X 통신과 NR에 기반한 V2X 통신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C-ITS에서 Serving back-end entity A와 Serving back-end entity B간 통신에 필요한 기능 및 프로필에 대해 정의이다.
도 3은 C-ITS 메시지 교환을 위한 기본적인 IP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내지 도 11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 및 “,”는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 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은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오직 A”, “오직 B”, 및/또는 “A 및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또는”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C-ITS communication
도 2는 Backend hybrid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communication의 Interoperability를 정의하고 있는 기존 기술에서의, Serving back-end entity A와 Serving back-end entity B간 통신에 필요한 기능 및 프로필에 대해 정의를 도시한다. End user entity 또는 Roadside infrastructure를 통해 획득한 C-ITS 정보는 각각의 entity에 연결된 back-end entity 서버간 상호접속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IP-based C-ITS interface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하나의 entity를 C-ITS actor 혹은 Third party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정의하고 있다. C-ITS actor들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국가/지역을 기준으로 동작하며, 관련 지역 내에서 정보를 공유/소비할 수 있도록 각 entity간 연결을 유지한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interface를 BI (Basic Interface)로 정의하며, C-ITS actor가 선택하는 deployment model과는 별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C-ITS 메시지 교환을 위한 기본적인 IP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3에서, C-ITS Actors는 고품질의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C-ITS 스테이션을 운영하거나 C-ITS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인 또는 단체를 뜻한다.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는 다양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 패턴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설계된 바이너리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AMQP 브로커는 메시지 라우팅을 위한 아키텍처 패턴이다.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중재하여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이 서로에 대해 알아야 하는 상호 인식을 최소화하여 디커플링을 효과적으로 구현. 이 사양에서 AMQP 브로커는 C-ITS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사용한다. C-ITS 메시지는 ETSI 및 ISO에서 정의하고 C-ROADS RSP(Roadside System Profile)에 프로파일링된 서명된 메시지이다. Third parties는 C-ITS Actor와 계약을 맺은 모든 조직을 뜻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BI 및 C-ITS actor들이 갖춰야 할 기능적인 요구사항들을 정의하고 있으며, 주요 요구사항은 다음 표 1과 같다.
- BI shall allow C-ITS actors to publish and subscribe to C-ITS messages.
- BI shall allow to filter C-ITS messages according to filtering mechanism.
- BI shall allow to route C-ITS messages
- Filtering by AMQP brokers shall be done without reading the AMQP payload
- A broker shall never remove, alter or add anything to a message payload
- A broker shall never remove or alter any of the AMQP application properties field.
- A broker should drop malformed AMQP messages that do not adhere to this specification or any extension of it and shall log the event.
BI는 C-ITS actor간에 사용하는 interface이며, 종래 기술에서 정의한 BI의 protocol 및 profile은 다음 표 2와 같다.
- BI shall use IPv4 and TCP.
- BI shall implement TLS 1.3.
- BI shall use AMQP version 1.0.
- Filtering mechanism focuses more on DENM and IVIM.
- All AMQP Clients and Brokers shall support filtering on application properties
- All mandatory fields shall be present for publishing for all C-ITS messages.
- Filtering shall be requested by consumer based on selected fields
- All AMQP messages with a DENM as payload exchanged in BI shall contain information
모든 C-ITS message를 filtering 하기 위해 사용되는 data field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2에서 Optional로 포함될 수 있는 data filed는 serviceType, longitude, latitude 이고, 그 외의 data field는 mandatory로 filtering을 위해서 반드시 AMQP message의 application properties field에 포함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1
또한 DENM message filtering을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DENM에 포함되는 causeCode와 subCauseCode값을 mandatory로 AMQP의 application properties field로 포함해야 한다.
IVIM message filtering을 위해 iviType, pictogramCategramCode, iviContainer값들이 optional로 AMQP의 application properties field로 포함될 수 있다.
VRU 클러스터링
클러스터링(Clustering)은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VRU(Vulnerable Road User) 디바이스들을 대표하는 하나의 디바이스만 VRU 보호를 위한 메시지(일례로 VAM)를 전송하여 통신에 사용되는 데이터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VRU 클러스터링은 디바이스간 Creation, Join, Leave, Break up 등의 operation을 포함하는 VRU 보호를 위한 메시지(일례로 VAM broadcasting)을 통해 VRU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클러스터의 leader는 클러스터를 creation하고, 자신이 커버하는 영역과 join한 멤버의 수를 비롯한 다양한 클러스터 정보를 VRU 보호를 위한 메시지(일례로 클러스터 VAM)에 포함하여 송신한다. 해당 클러스터에 Join을 성공한 다른 VRU 디바이스들(일례로 클러스터 멤버들)은 개별적으로 전송하던 VRU 보호 메시지(일례로 individual VAM) 송신을 멈춘다.
Long range communication이 VRU 보호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면,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 VRU 클러스터링을 할 때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들(create, join, leave, break up)을 VRU간 메시지 교환을 통해서가 아니라, 서버의 관리를 통해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클러스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서버에서 클러스터링을 관리하게 되면 서버는 VRU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클러스터 정보를 수집/분석/추출할 수 있으며, 해당 서버는 자신이 분석/조합하여 만들어낸 클러스터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다른 서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Long range communication 전송 환경에서 서버와 같은 센트럴 시스템이 각 UE(VRU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aggregation) 과 같은 동작을 할 때, 각 단말(User Equipment, UE)의 메시지 생성 시점부터 취합까지의 ‘대기시간’이 발생하여 일부 메시지 내의 데이터 요소(data elements)는 시간이 지날수록 실시간성 측면의 가치가 떨어져 효용성이 없어질(deprecated)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대기시간이 발생함에 따라 종단 간(end-to-end) 메시지 전달 지연시간(latency)이 증가하게 된다.
그 밖에도 센트럴 시스템이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 과정을 거쳐 메시지를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횟수 대비 단말들로부터 센트럴 시스템으로 전송된 메시지의 횟수나 양이 더 많은 경우 단말들은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을 하게 되어 데이터 생성 및 처리 부하가 증가하고 대역폭 소비량이 낭비되는 상황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센트럴 시스템에서는 클러스터링을 1회 하는 경우, 특정 UE로부터 2회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전송 되는 경우에는 단말들의 불필요한 메시지 생성/전송이 1회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Uu(Long range communication) 환경에서 서버와 같은 센트럴 시스템이 유사한 특성(위치(position), 동적역학(dynamics) 등)을 가진 단말들의 정보를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aggregation)하는 동작을 할 때, 해당 단말들이 최대한 동일한 메시지 생성 시점을 가질 수 있도록 센트럴 시스템의 오프셋 적용 지시 및 단말의 적용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VRU는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도 4의 S401)한 후, 소정 메시지를 생성(S402)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S403)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될 수 있다. 조정 오프셋이란 센트럴 시스템에 연결된 여러 그룹의 단말들이 각 그룹 별로 상이한 시간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특정 시점으로부터의 일정 값의 시간 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각 그룹들은 각각의 조정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그룹 별로 메시지 생성 시점을 달리하여 센트럴 시스템이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시점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VRU가 속하는 지리적 구획 단위와 분류레벨 값 또는 상기 VRU가 수행한 collision assessment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류레벨 값은 기기 종류 또는 congestion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즉, 조정 오프셋은 특정 값으로 지정되지 아니하고 단말들의 속성(attribute)을 변수로 하여 산출된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타일(tile, 지역)에 있는 단말들끼리는 같은 tile index를 변수로 사용하여 같은 조정 오프셋 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센트럴 시스템 관점에서는 메시지의 도달 시점을 분산하고 동시에 들어오는 메시지 개수를 적절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함께 클러스터링이나 aggregation되어야 하는 메시지들은 비슷한 시점에 생성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트럴 시스템 혹은 단말 스스로 수행한 collision assessment 결과에 의해 충돌 위험이 유사한 단말들은 동일한 조정 오프셋 값을 가지도록 하여 신속하고 잦은 메시지 전송이 필요한 상황에 대하여 충돌 위험성을 가진 단말들이 정보 획득의 실시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 역시 센트럴 시스템이 조정 오프셋을 산출하여 단말에 알려주거나, 혹은 단말이 파악한 정보에 의해 스스로 조정 오프셋 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조정 오프셋은 사전에 정의된 특정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한 영역의 모든 단말이 동일한 조정 오프셋을 가져서 모든 메시지가 비슷한 시점에 생성되고 센트럴 시스템이 적은 지연으로 이를 동시에 처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센트럴 시스템이 단말에 조정 오프셋 값을 알려주거나, 혹은 단말이 파악한 정보에 의해 스스로 사전에 정의된 조정 오프셋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정 오프셋은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것 또는 단말 스스로 선택/결정한 것일 수 있다. 전자와 관련하여, 센트럴 시스템이 동작을 시작하는 즉시 ‘조정 오프셋’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센트럴 시스템의 ‘조정 오프셋’ 전송 업데이트 타이머 만료 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센트럴 시스템은 단말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을 통해 단말의 속성이 변경되는 것을 파악하고 해당 속성이 사전에 정의한 조건에 부합하거나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에 ‘조정 오프셋’을 재선택/재산출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통해 일정 수 이상의 단말들이 tile을 이동한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단말이 이동한 tile에 있는 다른 단말과의 생성 시점을 맞추기 위해 센트럴 시스템은 ‘조정 오프셋’을 단말로 전송한다. 후자와 관련하여, 단말은 동작을 시작하는 즉시 ‘조정 오프셋’을 산출 혹은 선택할 수 있다. (단말 스스로의 동작이므로 전송 과정은 필요하지 않다.) 단말은 조정 오프셋 업데이트 타이머 만료 시 조정 오프셋을 재 산출 혹은 재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센트럴 시스템 혹은 다른 단말들로부터의 메시지, GNSS 정보 등의 수신을 통해 단말의 속성이 변경되는 것을 파악하고 해당 속성이 사전에 정의한 조건에 부합하거나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에 ‘조정 오프셋’을 재선택/재산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llision assessment의 결과에 따라 충돌 위험성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조정 오프셋을 재선택/재산출하거나 메시지 전송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혹은 긴급상황에 준하는 상황으로 인식하여 조정 오프셋의 적용 없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조정 오프셋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 중, 상기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기 전 주기에 기초한 메시지 전송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상기 VRU가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정 오프셋을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말 스스로 선택/산출한 경우, 단말은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기 전의 메시지 생성 시점과 가장 비슷한 시점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조정 오프셋을 자신의 조정 오프셋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센트럴 시스템이 offset_0, offset_1, …, offset_n 과 같이 n개의 조정 오프셋을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각 i번째 오프셋(offset_i)에 대해 |T_GenMsgMax-(T_GenMsg+offset_i)| 을 산출하고 이 중 가장 작은 값을 갖게 하는 i번째 offset을 단말 자신이 적용할 조정 오프셋으로 선택한다. 본 개시에서 T_GenMsg은 메시지 생성 이후의 경과 시간, T_GenMsgMax은 메시지 생성 이후 경과 시간의 최대값, T_GenMsgMin은 메시지 생성 이후 경과 시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 중,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조정 오프셋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므로, 빨리 적용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safety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상기 조정 오프셋의 선택은, 상기 VRU가 상기 조정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소정 시간 동안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단말은 조정 오프셋을 적용했을 시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조정 오프셋을 자신의 조정 오프셋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센트럴 시스템이 offset_0, offset_1, …, offset_n 과 같이 n개의 조정 오프셋을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각 i번째 오프셋(offset_i)에 대해 (T_GenMsg+offset_i) 을 산출하고 이 중 가장 작은 값을 갖게 하는 i번째 offset을 단말 자신이 적용할 조정 오프셋으로 선택한다.
상기 두 번째 방법은 단말 혹은 센트럴 시스템의 상황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첫 번째 방법의 대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의 경우 조정 오프셋을 생성하기 전에 메시지를 생성한 적이 있어야 하므로, VRU가 슬립모드에서 (메시지 트리거링 또는 조정오프셋 수신) 깨어나서 기존 메시지 생성 주기가 없는 경우 또는 단말이 동작과 동시에 조정 오프셋을 먼저 산출하는 경우 등에는 첫 번째 방법 대신 두 번째 방법만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상기 조정 오프셋의 선택은, 상기 VRU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구동(power-on)되고 V2X 메시지 생성을 위한 서비스(service/application)가 활성화되는 즉시 센트럴 시스템에 ‘조정 오프셋’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적용하거나, 단말 스스로 조정 오프셋을 선택/산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시 조정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활성화 이 후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조정 오프셋을 수신하거나 단말 스스로 조정 오프셋을 선택/산출하고 난 이후의 어느 시점에서나 적용할 수 있다. 즉, 단말 스스로의 메시지 생성 조건(message generation event triggering condition)에 따라 개별적인 메시지 생성 시점 및 주기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다가 새로운 조정 오프셋을 수신 혹은 스스로 선택/산출하는 경우에 즉시 메시지 생성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계속해서, 각 단말들은 적용된 ‘조정 오프셋’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한다.
각 단말들은 사전에 취득한 글로벌 현재 시간에 조정 오프셋만큼의 시간 간격을 더한 시점에 첫 메시지 생성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즉 첫 메시지를 생성한다.
첫 메시지가 생성하고 난 이 후 각 단말들은 자신의 메시지 생성 주기(frequency)에 따라 후속 메시지들을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 주기는 단말의 application layer 혹은 facility layer 에서 T_GenMsgMax로 설정되어 T_GenMsg > T_GenMsgMax 일 때 단말은 메시지를 생성한다.
각 단말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 ‘조정 오프셋’에 따른 메시지 생성 시점과 상관없이 예외적으로 인스턴트(instant)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의 인스턴트 메시지 생성 기준은 기존의 표준(ETSI ITS TS 103 300-VRU Basic Service 등)에서 정의하고 있는 것과 같다.
- 단말의 현재 위치와 마지막 생성한 메시지에 포함된 현재 위치의 거리(distance) 차이가 사전에 정의한 임계값(threshold)를 초과하는 경우.
- 단말의 현재 속도(speed)와 마지막 생성한 메시지에 포함된 현재 속도와의 차이가 사전에 정의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 단말의 현재 진행 방향과 마지막 생성한 메시지에 포함된 진행 방향(orientation)과의 차이가 사전에 정의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 단말이 현재 측정한 ‘다른 단말 혹은 차량의 측정 궤도(trajectory)에 대한 충돌/겹침 확률(interception possibility)’가 마지막 생성한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단말 혹은 차량의 측정 궤도(trajectory)에 대한 충돌/겹침 확률(interception possibility)’의 변화량이 사전에 정의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 단말과 차량 혹은 다른 단말에 대한 횡방향 혹은 종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거리가 사전에 정의한 최소 안전 거리(safe distance) 보다 작아지는 경우
기존의 표준에서 정의한 바 없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도 ‘조정 오프셋’에 따른 메시지 생성 시점과 상관없이 예외적으로 인스턴트(instant)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센트럴 시스템 혹은 단말 스스로 파악한 ‘긴급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단말은 조정 오프셋과 상관없이 메시지를 즉시 전송하고 연속되는 메시지들의 주기 역시 기존의 주기와 다른 더 짧은 간격의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llision assessment의 결과에 따라 충돌 위험성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단말들은 ‘긴급상황’으로 판단되어 collission assessment의 주체(예를들어, 센트럴 시스템 혹은 단말 스스로)의 결정에 따라 메시지를 즉시 전송하고 주기 역시 기존의 주기와 다른 짧은 간격의 연속적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주변 단말 클러스터(클러스터)에 가입(join)하고자 하는 경우는 기존 표준(ETSI ITS TS 103 300-VRU Basic Service 등)에서 정의한 생성 기준과 달리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기존 표준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는다. 단말이 생성한 메시지를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하는 주체가 센트럴 시스템 이기 때문에 주변 단말(cluster leader)에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할 필요가 없고, 단말은 서버가 지정한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생성하면 된다.
단말이 ‘조정 오프셋’ 적용 전과 후의 메시지 생성 경과 시간(T_GenMsg)이 단말 자신의 메시지 생성 주기(frequency, T_GenMsgMax) 보다 더 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조정 오프셋’ 적용 이후 시점에서, T_GenMsg > T_GenMsgMax 이 되더라도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고 조정/변경된 메시지 생성 시점에서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말은 ‘조정 오프셋’ 적용과 상관없이 T_GenMsg > T_GenMsgMax 가 되는 시점에서 즉시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각 단말이 센트럴 시스템의 클러스터링 및 취합 시점에 맞추어 주기적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Messege Flow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설명은 다음의 환경 및 동작 요구 사항을 가정할 수 있다.
제안하는 V2X 메시지 전송 동작은 Long range communication 혹은 Short range communication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단말들(UEs)이 센트럴 시스템 혹은 RSU에 대해 주기적으로 V2X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 단말은 메시지 생성을 위한 이벤트 트리거링 조건(triggering condition)으로 메시지 생성 타이머 T_GenMsgMax를 갖고 마지막 메시지 생성 이후의 경과 시간(T_GenMsg)이 해당 타이머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주기적’인 메시지를 생성하며, 메시지 생성 타이머 설정 값은 단말 혹은 외부(일례로, 센트럴 시스템)의 상황(일례로, 단말의 dynamics 변화량이나 센트럴 시스템의 congestion control policy)에 따라 변경되거나 무시(타이머와 상관없이 메시지 생성) 될 수 있다. 단, T_GenMsg의 값이 T_GenMsgMin(메시지 생성 최소 시간 간격) 보다 작은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을 생략할 수 있다.
센트럴 시스템은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aggregation)하여 다른 센트럴 시스템, UEs, OBUs(C-ITS On-Board Unit) 등으로 전달한다. 이 때, 센트럴 시스템은 유사한 특성, 일례로 단말들이 동일 위치/타일(tile)에 존재하거나 Collision Assessment의 결과에 따른 충돌 위험성이 유사 혹은 비슷한 단말들은 클러스터링 및 취합을 위해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모든 단말들이 그룹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부 단말들은 개별 메시지가 개별 생성 시점 및 개별 주기에 따라 생성되어 센트럴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들은 탑재하고 있는 장치나 구성된 소프트웨어 모듈(module)로부터 글로벌(global) 현재 시간을 취득할 수 있다.
단말들은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 생성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 오프셋(offset)’을 간헐적으로 수신한다. 혹은 단말 스스로 파악한 특성 정보에 따라 메시지 생성 시점 및 주기 변경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조정 오프셋(offset)’을 스스로 적용할 수 있다. 단말들은 센트럴 시스템의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여 전송하되, 긴급한 상황에서는 즉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 센트럴 시스템은 클러스터링 및 취합 과정을 생략 혹은 최소화하여 가능한 즉시 다른 시스템(server, RSU, UE, OBU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단말들이 센트럴 시스템의 클러스터링 및 취합 시점(timing)에 맞추어 주기적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의 메시지(정보) 생성 시점부터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서 정보의 실시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단말들로부터의 메시지가 동일한 혹은 비슷한 시점에 센트럴 시스템에 전달되어 클러스터링 및 취합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줄여 종단 간(end-to-end) 지연시간(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센트럴 시스템의 클러스터링 혹은 취합 횟수와 각 단말들의 메시지 생성 횟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단말들이 불필요하게 메시지를 생성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데이터 생성 및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대역폭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상술한 설명이 적용된 구체적인 예시에 관한 것이다. 도 6에는 실시예의 deployment가 도시되어 있다. 센트럴 시스템은 coverage 내의 지역을 일정 크기의 tile로 나누고 numbering 하여 관리하고 있다. 각 tile 내에 여러 단말들(UEs)이 존재하며, 단말1~3은 tile #3에 존재하며 서로 1.0초의 동일한 메시지 생성 주기(frequency/period)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트럴 시스템에 V2X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다. A. 센트럴 시스템은 다음의 방식으로 단말들의 tile index를 활용하여 조정 오프셋을 산출하고 단말로 전송한다.
조정 offset = [{(tile index) mod (분류레벨)} * (기본 offset)]
조정 offset의 단위는 second 혹은 milli second 등이 될 수 있다. 분류레벨 이란 조정 offset을 어느 정도 세분하게 분류할지 결정하는 데 활용되는 값이다. 예를 들어, 조정 오프셋을 10단계로 나누고자 하는 경우 분류레벨을 10으로 적용한다. 기본 offset은 센트럴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값에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 offset 은 0.1초로 한다. 따라서 상기 식에 따라, 단말1~3의 tile index는 3, 분류레벨은 10, 기본 offset 0.1초로 적용하는 경우 해당 tile에 대한 조정 오프셋은 0.3초로 산출되고, 센트럴 시스템 은 간헐적으로 이 값을 해당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Central Sytem이 복수 개의 조정 오프셋을 산출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다음의 방법으로 산출한다.
- 단말의 메시지 생성 간격(주기)을 균일하게 분할하는 값으로 각 조정 오프셋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메시지 생성 간격이 1초인 경우, 2개의 조정 오프셋을 산출할 때에는 0초와 0.5초를 조정 오프셋으로 산출하고, 3개의 조정 오프셋을 산출할 때에는 0초, 0.33초, 0.66초를 조정 오프셋으로 산출.
- 센트럴 시스템의 성능, 처리부하, 스케줄링 동작에 따라 임의의 값으로 조정 오프셋을 산출한다.
각 단말들의 조정 오프셋 적용과 관련하여, 센트럴 시스템이 하나의 조정 오프셋(0.3초)을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이를 수신하는 즉시 메시지 생성 시점을 변경한다. 센트럴 시스템이 두 개의 조정 오프셋(0.3초와 0.8초)을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의 방법으로 적용할 조정 오프셋을 선택하고 적용하여 즉시 메시지 생성 시점을 변경한다.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조정 오프셋을 수신한 시점에서 단말의 T_GenMsg가 0.7s 일 때, 단말은 각 offset_0=0.3s, offset_1=0.8s 에 대해 |T_GenMsgMax-(T_GenMsg+offset_i)| 식을 적용하여 이 중 가장 작은 값을 갖게 하는 조정 오프셋을 선택하는데, 계산 결과는 각각 각각 |1.0-(0.7+0.3)|=0, |1.0-(0.7+0.8)|=0.5으로 산출되므로, offset_0 이 단말이 적용할 조정 오프셋으로 선택된다.
각 단말들이 취득한 글로벌 현재 시간 0시0분0초(자정)에 대해 UE1는 0.0s, UE2는 0.6s, UE3는 0.4s에 각각 메시지 생성을 시작하였다. 이 후 각 UE들은 동일한 T_GenMsgMax 값(1.0s)을 갖고 동일한 주기에 따라 메시지 생성을 지속한다. 각 단말들은 글로벌 시간 2.7s 시점에서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조정 오프셋을 수신하여 즉시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고 메시지 생성 시점을 변경한다.
도 7에는 단일 오프셋을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 생성 시점의 변경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단말들(UE1~3)은 timing 1에서 최소 1회 메시지 생성을 완료한다. 센트럴 시스템이 클러스터링 및 취합을 위해 각 단말로부터의 최소 1회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고 있다면, 0s 부터 timing 1까지 0.6초의 ‘추가 latency’가 발생한다. 이 후 timing 2 지점(2.7s)에서 단말들은 한 개의 조정 오프셋 값 0.3s를 수신하고 즉시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여 3.0s에서 동시에 메시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단말들은 3.0s 에서부터 1.0s에 한번씩 동시에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서 ‘추가 latency’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도 8에는 복수 오프셋을 수신하는 경우 조정 오프셋의 적용으로 인한 메시지 생성 시점의 변경이 도시되어 있다. 단말들이 많이 존재할 경우에는 동시에 생성되는 메시지가 센트럴 시스템의 처리부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센트럴 시스템은 복수 오프셋을 단말들에 전송함으로서 처리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도 8과 같은 UE가 해당 tile3에 더 많이 유입된 경우, 센트럴 시스템은 2개의 전송 오프셋을 산출하여 단말로 전송하고자 할 때, 단말의 메시지 생성 간격(주기)을 균일하게 분할할 수 있도록 0.3s와 0.8s를 조정 오프셋으로 산출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그 결과 각 단말들의 메시지 생성 시점이 두 가지로 분산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한편, 단말은 조정 오프셋 적용으로 인해 메시지 생성 간격(T_GenMsg)이 일시적으로 최대 전송 간격(혹은 주기, T_GenMsgMax) 보다 더 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 전달 공백은 V2X 메시징 기반 Safety Service의 원활한 동작과 제공에 잠재적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생성 간격이 일시적으로 길어지거나 dynamics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즉시 메시지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말은 메시지를 즉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단일 혹은 복수의 적용 오프셋에 대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단일 적용 오프셋의 경우 도 9와 같이 단말이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단일 조정 오프셋 0.3s를 수신하여 3.0s 부터 모든 단말이 동시에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시점이 변경될 때, UE3의 경우 timing 1 지점(점선 원)에서 단말의 T_GenMsg > T_GenMsgMax 가 된다. 이 때 단말은 즉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이 timing 1에서 메시지를 생성하고 난 이 후에는 변경된 메시지 생성 시점에 따라 3.0s 부터 메시지 생성을 지속해야 한다. 단, 단말의 전력량으로 인해 ‘절약모드’ 등이 설정되는 경우, 혹은 timing 1(2.8s)과 변경된 첫 메시지 생성 시점(3.0s) 과의 시간 차이가 단말의 최소 메시지 생성 간격(T_GenMsgMin) 보다 작은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UE3는 dynamics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timing 2 에서와 같이 즉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 마찬가지로, timing 2와 timing 2 이 후의 변경된 메시지 시점(timing 3)과의 시간 차이가 T_GenMsgMin 보다 작은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을 생략하고 변경된 시점(6.0s)에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이 timing 2에서 메시지를 생성하고 난 이 후에는 변경된 메시지 생성 시점에 따라 6.0s 부터 메시지 생성을 지속해야 한다.
단말이 센트럴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조정 오프셋을 수신하는 경우, 기본적인 동작은 단일 조정 오프셋 수신 시 같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메시지 생성 공백이 발생하는 경우 혹은 dynamics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즉시 메시지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 의해 즉각적인 메시지 생성이 발생 가능한 상황에서 메시지가 즉시 생성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단말의 조정 오프셋은 달라진다.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말들(UE1~4)은 두 종류의 조정 오프셋(0.3s, 0.8s)이 적용가능할 때, UE4는 상기 설명한 조정 오프셋 선택 방법에 따라 0.3s를 조정 오프셋으로 선택/적용한다. 그러나 UE4는 timing 1에서 T_GenMsg > T_GenMsgMax 가 되어 즉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 때, UE4 가 timing 1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다시 복수의 조정 오프셋에 대해 자신이 적용할 조정 오프셋을 선택하는 과정을 거치며, 조정 오프셋 0.8s가 선택되어 이 후의 메시지 생성 시점에 적용된다. 만일 UE4가 timing 1에서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결정된 조정 오프셋 0.3s에 따라 변경된 시점에서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말의 급격한 dynamics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메시지 생성이 가능한 상황에서도 동일한 같은 과정을 거친다. 그 결과 각 단말들은 원래의 메시지 생성 시점과 가장 비슷한 시점에서 메시지 생성을 지속할 수 있으며 서버가 지정한 시점으로 분산되어 처리된다.
도 11에는 상술한 V2X 메시지의 전송 시점 조정 방법과 관련된 순서도로써,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예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 기지국(200)/기지국(20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e.g.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무선 기기 예
도 12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12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 예
도 12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은 이동형 로봇, 차량, 기차, 유/무인 비행체(Aerial Vehicle, AV), 선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은 안테나부(108), 통신부(s0), 제어부(120), 구동부(140a), 전원공급부(140b), 센서부(140c) 및 자율 주행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기지국(e.g. 기지국,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등),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의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엔진, 모터, 파워 트레인, 바퀴, 브레이크, 조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b)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c)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주행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 교통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이 자율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140a)를 제어할 수 있다(예, 속도/방향 조절). 자율 주행 도중에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최신 교통 정보 데이터를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며,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교통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도중에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새로 획득된 데이터/정보에 기반하여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위치, 자율 주행 경로, 드라이빙 플랜 등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AI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데이터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AR/VR 및 차량 예
도 12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은 운송수단, 기차, 비행체, 선박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및 위치 측정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또는 기지국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차량(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메모리부(130)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AR/V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HUD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차량(100)의 절대 위치 정보, 주행선 내에서의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주변 차량과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수신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출력부(140a)는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차량 내 유리창에 표시할 수 있다(1410, 1420).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이 주행선 내에서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0)이 주행선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a)를 통해 차량 내 유리창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주변 차량들에게 주행 이상에 관한 경고 메세지를 방송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관계 기관에게 차량의 위치 정보와, 주행/차량 이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XR 기기 예
도 12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XR 기기를 예시한다. XR 기기는 HMD,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XR 기기(100a)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센서부(140b) 및 전원공급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휴대 기기, 또는 미디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미디어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XR 기기(100a)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 및 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XR 기기(100a)의 구동/X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외부로부터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을 획득하며, 생성된 X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b)는 XR 기기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c)는 XR 기기(100a)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XR 기기(100a)의 메모리부(130)는 XR 오브젝트(예, AR/VR/M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예, 데이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사용자로부터 XR 기기(100a)를 조작하는 명령을 회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구동 명령에 따라 XR 기기(100a)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XR 기기(100a)를 통해 영화, 뉴스 등을 시청하려고 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컨텐츠 요청 정보를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100b)) 또는 미디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100b)) 또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영화, 뉴스 등의 컨텐츠를 메모리부(130)로 다운로드/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컨텐츠에 대해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며, 입출력부(140a)/센서부(140b)를 통해 획득한 주변 공간 또는 현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XR 오브젝트를 생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XR 기기(100a)는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 기기(100b)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XR 기기(100a)의 동작은 휴대 기기(100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00b)는 XR 기기(100a)에 대한 콘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XR 기기(100a)는 휴대 기기(100b)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한 뒤, 휴대 기기(100b)에 대응하는 XR 개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로봇 예
도 12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로봇을 예시한다.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로봇(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센서부(140b) 및 구동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다른 로봇, 또는 제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구동 정보,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로봇(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로봇(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로봇(100)의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며, 로봇(100)의 외부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b)는 로봇(100)의 내부 정보,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c)는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c)는 로봇(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c)는 액츄에이터, 모터, 바퀴,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되는 AI 기기 예
도 12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AI 기기를 예시한다. AI 기기는 TV, 프로젝터, 스마트폰,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AI 기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140b), 러닝 프로세서부(140c) 및 센서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AI 기기(예, 도 12, 100x, 200, 400)나 AI 서버(예, 도 12의 400) 등의 외부 기기들과 유무선 신호(예,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메모리부(130) 내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메모리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AI 기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AI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러닝 프로세서부(140c) 또는 메모리부(13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AI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AI 장치(1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부(130) 또는 러닝 프로세서부(140c)에 저장하거나, AI 서버(도 12, 400)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AI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30)는 입력부(140a)로부터 얻은 데이터, 통신부(110)로부터 얻은 데이터, 러닝 프로세서부(140c)의 출력 데이터, 및 센싱부(140)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의 동작/실행에 필요한 제어 정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40a)는 AI 기기(100)의 외부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0a)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이 적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또는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b)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40b)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AI 기기(100)의 내부 정보, AI 기기(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AI 서버(도 12, 400)의 러닝 프로세서부와 함께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러닝 프로세서부(140c)의 출력 값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되거나/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Vulnerable road user)에 관련된 동작 방법에 있어서,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
    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VRU가 속하는 지리적 구획 단위와 분류레벨 값 또는 상기 VRU가 수행한 collision assessment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레벨 값은 기기 종류 또는 혼잡도(congestion)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 중, 상기 조정 오프셋을 적용하기 전 주기에 기초한 메시지 전송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상기 VRU가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오프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 중,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상기 조정 오프셋의 선택은, 상기 VRU가 상기 조정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소정 시간 동안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VRU가 가장 빨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상기 조정 오프셋의 선택은, 상기 VRU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난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관련 동작은 클러스터의 생성 또는 클러스터에 참가 중 하나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오프셋은 상기 VRU가 산출한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VAM (VRU awareness message) 메시지인, 방법.
  1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 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
    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VRU.
  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
    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프로세서.
  14.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VRU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VRU가 글로벌 타이밍을 획득;
    상기 VRU가 소정 메시지를 생성; 및
    상기 VRU가 서버에게 상기 소정 메시지를 전송;
    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메시지 생성에는 상기 서버에 관련된 VRU 클러스터에 포함된 VRU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정 오프셋이 적용되는, 저장 매체.
KR1020237041386A 2021-05-06 2022-05-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KR20240004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8412 2021-05-06
KR1020210058412 2021-05-06
KR20220036368 2022-03-24
KR1020220036368 2022-03-24
PCT/KR2022/006512 WO2022235122A1 (ko) 2021-05-06 2022-05-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 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805A true KR20240004805A (ko) 2024-01-11

Family

ID=8393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386A KR20240004805A (ko) 2021-05-06 2022-05-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36944A1 (ko)
KR (1) KR20240004805A (ko)
WO (1) WO20222351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309399B2 (en) * 2016-08-09 2020-10-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resource sensing for sidelink operation
KR102548544B1 (ko) * 2017-07-01 2023-06-29 인텔 코포레이션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12615704B (zh) * 2018-08-10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的传输方法和装置
WO2021066374A1 (ko) * 2019-10-02 202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s-ssb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6944A1 (en) 2024-03-13
WO2022235122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025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drx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386711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AS configuration 관련 사이드링크 UE의 동작 방법
KR10247845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58351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동작 방법
KR2023008451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rlf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20104188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차량용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64721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서 rrc 연결에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2016476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관련된 릴레이 ue의 동작 방법
KR2023011268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drx 타이머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3004445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 ue의 동작 방법
KR2023004851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 ue 선택에 관련된 동작 방법
KR20240040114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path switching 및 측정 보고에 관련된 리모트 ue의 동작 방법.
KR2023002696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서 릴레이 ue의 rrc 연결 및 연결 실패에 관련된 동작 방법
KR2023001775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서 리모트 ue의 rrc 연결에 관련된 동작 방법
KR20230146428A (ko) 고도 정보를 고려한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1059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에서 psfch 및 pucch 전송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30050381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센서 로우 데이터 공유와 피드백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30044534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시스템 정보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4000480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주기적 메시지 생성시점 조절 방법 및 장치
US202402445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eriodic message generation time point in v2x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2798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bsr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30138857A (ko) 사이드링크 통신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4249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ue의 연결 수립과 자원 할당 모드에 관련된 동작 방법
KR2024002120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vru의 mrs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2024003919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서 페이징 모니터링에 관련된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