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243A -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243A
KR20240001243A KR1020237041033A KR20237041033A KR20240001243A KR 20240001243 A KR20240001243 A KR 20240001243A KR 1020237041033 A KR1020237041033 A KR 1020237041033A KR 20237041033 A KR20237041033 A KR 20237041033A KR 20240001243 A KR20240001243 A KR 20240001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 seam
sealing member
battery
conductive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펑 왕
닝 펑
Original Assignee
주하이 코스엠엑스 배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 코스엠엑스 배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하이 코스엠엑스 배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01M50/645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제공하며, 전도성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와 전도성 케이스가 둘러져서 챔버를 형성한다. 전도성 케이스 또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상에 챔버와 연통되는 주액홀이 개설되어 있고, 주액홀 상에 밀폐부재가 설치되어 주액홀을 밀폐시킨다. 밀폐부재 상에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용접 이음새는 제1 선단과 제1 끝단을 구비하고, 제2 용접 이음새는 제2 선단과 제2 끝단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1 선단은 제2 끝단과 연결되고, 제2 선단은 제1 끝단과 연결되고, 밀폐부재는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를 통해 전도성 케이스 또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와 연결된다. 즉 밀폐부재와 전도성 톱커버 사이의 연결을 구현하는 용접 이음새는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이며, 구간 별로 용접하는 방식에 의해,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 사이에 기설정 시간만큼 간격을 두어, 제1 용접 이음새가 충분히 방열하도록 하여, 용접 이음새에 열량이 누적되는 것을 낮추고, 황변과 파열점이 발생하는 현상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배터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본 출원은 배터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12월 17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111553172.8이고, 출원의 명칭이 "배터리"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원용되어 본 명세서에 결합된다.
배터리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일상 생활과 업무에서 매우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버튼 배터리는 전자 시계, 블루투스 이어폰, 전동 장난감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흔히 사용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사람들의 생활과 업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버튼 배터리는 전도성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와 전도성 케이스가 둘러져서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챔버에는 전해액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또는 전도성 케이스 상에는 주액홀이 개설되어 있고, 전해액은 주액홀을 통해 챔버 내에 주입되고, 주액홀 상에는 밀폐부재가 더 용접되어 주액홀을 밀폐한다. 일반적으로 밀페부재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또는 전도성 케이스 사이의 용접은 대부분 한꺼번에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용접 이음새 구조는 중간에 멈추지 않고 한꺼번에 형성되고, 전체 용접 과정은 용접 이음새의 선단에서 용접 이음새의 끝단까지 약 60 내지 70밀리초 정도 소요되며, 이로써 밀폐부재 상에 연속적인 원환형 용접 이음새가 형성되고,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형성된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한다.
그러나, 용접 이음새 구조가 한꺼번에 형성되면 열 응집이 보다 높아,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에서 황변이 발생하기 쉽고, 심지어 파열점(bursting point)이 발생하여, 배터리의 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배터리에서 용접 이음새 구조가 한꺼번에 형성되어 열 응집이 보다 높고,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에 황변이 발생하기 쉽고, 심지어 파열점이 발생하여 배터리의 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배터리를 제공하며, 전도성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는 상기 전도성 케이스 상에 덮혀지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와 상기 전도성 케이스가 둘러져서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상에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주액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액홀 상에는 밀폐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주액홀을 밀폐시키고;
상기 밀폐부재 상에는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용접 이음새는 제1 선단과 제1 끝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용접 이음새는 제2 선단과 제2 끝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선단은 상기 제2 끝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선단은 상기 제1 끝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를 통해 상기 전도성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와 연결된다.
즉 밀폐부재와 전도성 톱커버 사이에 연결되는 용접 이음새가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이고,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가 각각 형성되며, 수미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구현한다. 바꾸어 말하면, 밀폐부재와 전도성 톱커버가 용접 연결될 때, 구간 별로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밀폐부재와 전도성 톱커버 상에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를 형성하고, 실제 용접 작업에서, 제1 용접 이음새의 형성과 제2 용접 이음새의 형성은 기설정 시간만큼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로써 제1 용접 이음새가 충분히 방열 냉각되도록 한 후, 나아가 제2 용접 이음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량의 누적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고, 즉 용접 이음새의 열량을 줄이고,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이 연결될 때, 연결 부위에서 파열점이 발생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동시에, 전해액에 열이 인가되는 상황도 완화시킬 수 있고, 전해액이 기화되는 현상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이에 따라 용접 이음새 마감단에 황변이 발생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배터리의 수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는 전도성 톱커버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전도성 케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도성 톱커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절연 설치되고, 상기 주액홀은 상기 전도성 톱커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주액홀은 상기 전도성 톱커버를 관통한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의 용접 깊이는 상기 밀폐부재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전도성 케이스의 두께의 합보다 작고;
또는,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의 용접 깊이는 상기 밀폐부재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전도성 톱커버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의 형상은 모두 원호형이며,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는 동심으로 설치된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끝단은 부분적으로 겹치고, 및/또는, 상기 제2 선단과 상기 제1 끝단 부분적으로 겹친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밀폐부재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외주 상에둘러싸도록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주액홀과 서로 마주하고;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밀폐부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는 상기 연결부 상에 위치한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선단의 겹침 부분의 원심각 도수의 값 범위는 0° 내지 30°이고;
및/또는, 상기 제2 끝단과 상기 제1 선단의 겹침 부분의 원심각 도수의 값 범위는 0° 내지 30°이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는 180° 내지 240°이고, 및/또는, 상기 제2 용접 이음새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는 120° 내지 240°이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의 내경 범위는 3.6 mm 내지 4 mm이고,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의 외경 범위는 4 mm 내지 4.4 mm이고;
및/또는, 상기 제2 용접 이음새의 내경 범위는 3.6 mm 내지 4mm이고, 상기 제2 용접 이음새의 외경 범위는 4 mm 내지 4.4 mm이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전도성 톱커버의 상기 전도성 케이스와 등진 일면에는 제1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1 함몰부 내에 위치한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는 상기 밀폐부재의 상기 전도성 케이스와 등진 일면 상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의 정점은 상기 전도성 톱커버의 상기 전도성 케이스와 등진 일면보다 낮다.
일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상기 제1 함몰부 내에는 제2 함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액홀은 상기 제2 함몰부 내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서 사용이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아래의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을 거치지 않고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기타 첨부 도면을 더 얻어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배터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배터리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배터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전도성 톱커버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밀폐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밀폐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가 다른 밀폐부재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방안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재한다. 물론, 기재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고도 얻어낸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배터리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배터리 구조의 분해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배터리가 버튼 배터리인 예를 들어 설명하며,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배터리(100)는 전도성 케이스(10)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를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는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덮혀지고,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와 전도성 케이스(10)가 둘러져서 챔버(11)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를 결합하면,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는 전도성 톱커버(21)와 커버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22)의 형상은 환형 구조이고, 커버 플레이트(22)는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덮혀질 수 있다.
전도성 톱커버(21)는 커버 플레이트(22) 상에 설치되며, 전도성 톱커버(21)와 커버 플레이트(22) 사이에 절연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도성 톱커버(21)와 커버 플레이트(22) 사이에 제1 절연부재(4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절연부재(40)는 전도성 톱커버(21)와 커버 플레이트(22)를 절연 격리시켜, 전도성 톱커버(21)와 커버 플레이트(22)가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여 배터리(100)의 단락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100)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배터리(100)의 챔버(11) 내에 배터리셀(60)과 전해액(미도시)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배터리셀(60)은 전해액에서 화학반응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배터리셀(60)은 양극탭(61)과 음극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양극탭(61)은 전도성 톱커버(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음극탭은 전도성 케이스(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도성 톱커버(21)가 배터리(100)의 양극단이 되고, 전도성 케이스(10)가 배터리(100)의 음극단이 되도록 한다.
물론, 일부 예시에서, 양극탭(61)이 전도성 케이스(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탭이 전도성 톱커버(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성 케이스(10)가 배터리(100)의 양극단이 되고, 전도성 톱커버(21)가 배터리(100)의 음극단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양극탭(61)과 전도성 톱커버(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탭과 전도성 케이스(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배터리셀(60)과 커버 플레이트(22) 사이에 제2 절연부재(30)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절연부재(30)는 배터리셀(60), 양극탭(61) 모두를 커버 플레이트(22)와 절연 격리시켜, 배터리셀(60) 또는 양극탭(61)과 커버 플레이트(22)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셀(60) 또는 양극탭(61)과 커버 플레이트(22)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배터리(100)의 단락을 초래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배터리(100)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전도성 케이스(10) 또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상에 주액홀(23)이 더 개설되어 있고, 즉 주액홀(23)은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개설될 수 있고, 또는, 주액홀(23)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상에 개설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액홀(23)은 배터리(100)의 챔버(11)와 서로 연통되고, 전해액은 주액홀(23)을 통해 챔버(11) 내에 주입될 수 있다. 주액홀(23) 상에는 밀폐부재(50)가 더 설치되어 있고, 밀폐부재(50)는 주액홀(23)을 밀폐시켜,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하여야 할 점은, 밀폐부재(50)의 작용은 주액홀(23)을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밀폐부재(50)의 설치 위치는 주액홀(23)의 개설 위치와 관련되며, 즉, 주액홀(23)이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상에 개설될 때, 밀폐부재(50)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주액홀(23)이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개설될 때, 밀폐부재(50)는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는 일반적으로 전도성 케이스 또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상에 용접 설치되고, 예를 들어, 관련기술에서, 밀폐부재와 전도성 톱커버 사이에 연속되는 원환형 용접 이음새를 통해 연결되고, 여기서, 해당 용접 이음새는 대부분 한꺼번에 용접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진행하고, 즉 용접 이음새 구조는 한꺼번에 형성되며, 중간에 멈추지 않고, 일반적으로 전체 용접 과정은 시작해서부터 종료하기까지 60 내지 70 밀리초 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또한 용접 이음새의 마감단이 서로 맞닿도록 하고, 심지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한다.
하지만, 용접 이음새 구조가 극히 짧은 시간 내에 한꺼번에 형성될 때, 열량 응집이 보다 높고, 배터리 케이스 내의 전해액이 열을 받아 기화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의 위치에 황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동시에,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겹치며 용접 이음새 형성 시간이 짧고, 선단 방열 시간이 보다 짧고, 효과적인 방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선단과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겹치도록 하여, 용접 이음새가 선단과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겹치는 부위에서 파열점이 발생하기 매우 쉬우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수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상술한 문제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를 제공하며, 용접 이음새에 열량이 응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용접 이음새의 선단과 끝단에 황변 또는 파열점이 발생하는 현상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배터리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 중 영역 A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배터리의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밀폐부재(50) 상에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레이저 용접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접 이음새(70)는 제1 선단(71)과 제1 끝단(72)을 구비하고, 제2 용접 이음새(80)는 제2 선단(81)과 제2 끝단(82)을 구비한다.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이 서로 연결되고,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이 서로 연결되며, 즉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선두와 말미가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스플라이싱을 통해 조합되어 폐합된 용접 이음새를 형성한다.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모두 밀폐부재(50)로부터 전도성 케이스(10) 또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상까지 연장되고, 즉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용접 깊이는 밀폐부재(50)의 두께보다 커서, 밀폐부재(50)가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를 통해 전도성 케이스(10) 또는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또는 전도성 케이스(10) 사이의 연결을 구현하는 용접 이음새는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이고,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는 각각 형성되며, 선두와 말미가 연결된다. 바꾸어 말하면,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가 용접 연결될 때, 구간 별로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두 구간의 용접 이음새를 형성하며, 이로써, 실제 용접 조작에서, 제1 용접 이음새(70)의 형성과 제2 용접 이음새(80)의 형성은 기설정 시간만큼 간격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제1 용접 이음새(70)를 형성하고, 제1 용접 이음새(70)를 완성한 후, 기설정 시간만큼 간격을 두어, 제1 용접 이음새(70)가 효과적으로 방열 냉각되도록 하고, 그 다음 제2 용접 이음새(8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용접 이음새의 열량 응집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즉 용접 이음새의 열량, 특히 제1 용접 이음새(70)의 제1 선단(71)과 제1 끝단(72)의 열량을 낮추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선단과 끝단이 맞닿거나 겹칠 때, 연결 부위에서 파열점이 발생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100)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동시에, 또한 전해액에 열이 인가되는 상황을 완화하고, 전해액에 기화가 발생하는 현상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 이음새 마감단에 황변이 발생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배터리(100)의 수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여기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주액홀(23)이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상에 설치될 때, 주액홀(23)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주액홀(23)은 전도성 톱커버(21)를 관통한다. 여기서, 일부 예시에서, 전도성 톱커버(21)는 전도성 케이스(10)의 저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전도성 톱커버(21)는 전도성 케이스(10)의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고, 즉, 주액홀(23)이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설치될 때, 주액홀(23)의 설치는 전도성 케이스(10) 상에서의 전도성 톱커버(21)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주액홀(23)이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개설될 때, 주액홀(23)은 전도성 케이스(10)의 저벽 상에 개설될 수 있고, 또는, 주액홀(23)은 전도성 케이스(10)의 측벽 상에 개설될 수도 있고, 또는, 주액홀(23)은 전도성 케이스(10)의 상단에 개설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주액홀(23)의 개설 부위는 배터리(100)의 구조 설계 또는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주액홀(23)이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개설될 때, 즉밀폐부재(50)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용접될 때,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용접 깊이는 밀폐부재(50)의 두께보다 크며,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의 두께의 합보다 작을 수 있고, 이로써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에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를 통해 연결을 구현하도록 하는 동시에, 용접 이음새가 전도성 톱커버(21)를 관통하여 전도성 톱커버(21)의 챔버(11)를 향하는 일면에 용접 이음새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전도성 톱커버(21)의 챔버(11)를 향하는 일면에 용접 이음새가 발생하여 전도성 톱커버(21)와 탭(예컨대 양극탭(61))의 전기적 연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탭과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상응하게, 주액홀(23)이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개설될 때, 즉 밀폐부재(50)가전도성 케이스(10) 상에 용접될 때,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용접 깊이는 밀폐부재(50)의 두께보다 크며, 밀폐부재(50)와 전도성 케이스(10)의 두께의 합보다 작을 수 있고, 이로써 용접 이음새가 전도성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전도성 케이스(10)와 탭의 전기적 연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도성 케이스(10)와 탭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주액홀(23)이 전도성 톱커버(21)에 개설되는 것, 즉 밀폐부재(50)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용접되는 것을 예로 들면,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서 연장되는 깊이값은 0.05 mm 내지 0.2 mm일 수 있고, 이로써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과 견고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용접 이음새가 전도성 톱커버(21)를 관통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주액홀(23)이 전도성 톱커버(21)에 개설되는 것, 즉 밀폐부재(50)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계속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형상은 모두 원호형이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동심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더 잘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 및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과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주액홀(23)에 대한 밀폐부재(50)의 밀폐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배터리(1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여기서,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 사이에 부분적 겹침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 사이에 부분적 겹침이 있다. 여기서,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 사이에만 부분적 겹침이 있을 수 있고, 이로써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 사이에만 부분적 겹침이 있을 수도 있고, 이로써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 사이에 부분적 겹침이 있으며,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 사이에도 부분적 겹침이 있을 수도 있고, 이로써 제1 선단(71)과 제2 끝단(82)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 및 제2 선단(81)과 제1 끝단(72)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배터리(100)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끝단(72)과 제2 선단(8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는 0° 내지 30°이고, 및/또는, 제2 끝단(82)과 제1 선단(7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는 0° 내지 30°이다. 여기서, 단지 제1 끝단(72)과 제2 선단(8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가 0° 내지 30°일 수 있고, 또는, 단지 제2 끝단(82)과 제1 선단(7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가 0° 내지 30°일 수 있고, 또는, 제1 끝단(72)과 제2 선단(81)이 겹치는 부분 및 제2 끝단(82)과 제1 선단(7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 범위가 0° 내지 30°일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끝단(72)과 제2 선단(81) 및 제2 끝단(82)과 제1 선단(71) 사이의 겹침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선단과 끝단 사이의 연결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주액홀(23)에 대한 밀폐부재(50)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또한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선단과 끝단이 겹치는 부위가 지나치게 커서 열량이 증가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선단과 끝단이 겹치는 부위에서 황변과 파열점이 발생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배터리(1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용접 이음새(70)의 원심각 도수 범위는 180° 내지 240°일 수 있고, 및/또는, 제2 용접 이음새(80)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는 120° 내지 240°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접 이음새(70)의 원심각 도수 범위가 180° 내지 240°이고, 제2 용접 이음새(80)의 선단 및 끝단이 제1 용접 이음새(70)의 선단 및 끝단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제2 용접 이음새(80)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가 120° 내지 240°이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선단과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제1 용접 이음새(70)의 원심각 도수 범위가 180° 내지 240°이며, 제2 용접 이음새(80)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가 120° 내지 240°일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모두 지나치게 길지 않도록 하고, 또는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 중 하나의 용접 이음새가 지나치게 긴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제1 용접 이음새(70) 및/또는 제2 용접 이음새(80)가 지나치게 길어서 열량이 증가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선단과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겹치는 부위에서 황변과 파열점이 발생하는 상황을 더욱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접 이음새(70)의 내경 범위는 3.6 mm 내지 4 mm일 수 있고, 제1 용접 이음새(70)의 외경 범위는 4 mm 내지 4.4 mm일 수 있고, 및/또는, 제2 용접 이음새(80)의 내경 범위도 3.6 mm 내지 4 mm일 수 있고, 제1 용접 이음새(70)의 외경 범위도 4 mm 내지 4.4 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접 이음새(70)만 내경 범위가 3.6 mm 내지 4 mm이고, 외경 범위가 4 mm 내지 4.4 mm일 수 있고, 또는, 제2 용접 이음새(80)만 내경 범위가 3.6 mm 내지 4 mm이고, 외경 범위가 4 mm 내지 4.4 mm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내경 범위가 모두 3.6 mm 내지 4 mm이며, 외경 범위는 4 mm 내지 4.4 mm일 수도 있다. 해당 사이즈 범위에 있는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가 더욱 잘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허위 솔더링(false welding)이 발생하는 상황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전도성 톱커버(21)와 밀폐부재(50)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과 견고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배터리(1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전도성 톱커버의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전도성 톱커버(21)는 커버 플레이트(22)와 등진 일측에 제1 함몰부(21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밀폐부재(50)는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설치될 때, 제1 함몰부(21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50)가 제1 함몰부(211) 내에 설치될 때, 밀폐부재(50)의 점용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밀폐부재(50)의 설치에 따라 배터리(1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배터리(100)의 스몰화 설계에 유리하다. 동시에, 배터리(100)의 중량을 경감하는데도 기여한다.
여기서, 제1 함몰부(211)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고, 제1 함몰부(211)의 깊이는 0.25 mm일 수 있고, 직경은 4.6 mm일 수 있고, 이로써 배터리(100)의 중량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고, 동시에, 또한 밀폐부재(50)가 제1 함몰부(211) 내에 더욱 잘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배터리(100) 전체 두께에 대한 밀폐부재(50)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한다.
밀폐부재(50) 상에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형성될 때,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밀폐부재(50)의 전도성 케이스(10)와 등진 일면 상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해당 돌기의 정점 높이는 전도성 톱커버(21)의 전도성 케이스(10)와 등진 일면보다 낮을 수 있고, 즉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제1 함몰부(211) 내에 위치하고, 제1 함몰부(211)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로써 배터리(100) 전체 두께에 대한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영향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돌기 두께가 지나치게 높음에 따른 배터리(100)의 전체 사이즈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100)의 경량화 설계에 유리하다.
제1 함몰부(211) 내에 제2 함몰부(212)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주액홀(23)은 제2 함몰부(2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해액을 주입할 때, 쏟아진 전해액이 제2 함몰부(212) 내에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해액이 제1 함몰부(211) 내에 쏟아지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전해액이 제1 함몰부(211) 내에 쏟아짐에 따라 밀폐부재(50)의 정상적인 용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부재(50)의 용접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밀폐부재의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밀폐부재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제1 용접 이음새와 제2 용접 이음새가 다른 밀폐부재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밀폐부재(50)의 형상은 평탄한 판상 구조일 수 있고, 즉 밀폐부재(50)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일치성을 유지하고, 이로써 밀폐부재(5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폐부재(50)의 설계 원가와 가공 원가를 낮추고, 경제 효익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밀폐부재(50)의 직경은 4.4 mm일 수 있고, 이로써 밀폐부재(50)가 주액홀(23)을 충분히 덮도록 하여, 주액홀(23)에 대한 밀폐부재(50)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폐부재(50)의 두께는 0.15mm일 수 있고, 이로써 밀폐부재(50)의 구조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과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주액홀(23)에 대한 밀폐부재(50)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는, 밀폐부재(50)의 형상은 기타 구조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밀폐부재(50)는 밀폐부(51)와 밀폐부(51) 외주 상에 둘러싸며 설치되는 연결부(52)를 포함할 수 있고, 밀폐부재(50)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설치될 때, 밀폐부(51)는 주액홀(23)과 마주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52)의 두께는 밀폐부(5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고, 즉 밀폐부재(50)는 연결부(52)와 밀폐부(51)로 구성되고, 밀폐부(51)는 연결부(52)보다 돌출되고, 연결부(52)에 대해 박형화 처리를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밀폐부재(50)의 연결부(52) 두께는 0.15 mm보다 작을 수 있고, 밀폐부(51)의 두께는 0.15 mm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밀폐부재(50)가 전도성 톱커버(21)와 용접 연결될 때,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연결부(5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52)에 대해 박형화 처리를 수행하여,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도록 하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연결부(52) 상에 형성되고, 이로써 보다 작은 용접 에너지를 사용하여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접을 구현하고,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열량을 더욱 낮출 수 있고, 용접 이음새에 열량이 응집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선단과 끝단이 겹치는 부위에서 황변과 파열점이 발생하는 상황를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하고, 배터리(100)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여기서, 밀폐부(51)의 두께는 0.25 mm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밀폐부(51)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로써 밀폐부(51)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높이차를 줄일 수 있고, 밀폐부(51) 상에 어댑터 탭 또는 기타 구조를 설치할 때, 조작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연결부(52)의 두께는 0.1mm일 수 있고, 이로써 밀폐부재(50)와 전도성 톱커버(21) 사이의 용접 에너지를 더욱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용접 이음새의 열량을 낮춘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와 수치 범위는 근사값으로서, 제조 공정의 영향을 받으며, 일정한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고, 이 부분의 오차에 대해서는 당업자는 무시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성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술한 배터리의 성형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전도성 케이스(10), 배터리셀(60), 커버 플레이트(22) 및 전도성 톱커버(21) 등의 부재의 조립을 완성하여야 하고, 상술한 부재의 조립을 완성한 후, 주액홀(23)을 통해 챔버(11) 내로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폐부재(50)를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부재(50)의 배치는 자동화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로봇암을 이용하여 밀폐부재(50)의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암 상에 서커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서커를 통해 밀폐부재(50)를 흡착 픽업하여, 전도성 톱커버(21) 상의 제1 함몰부(211) 내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밀폐부재(50)를 배치하기 전에, 배치 위치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선 탐측 소자,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전하 커플링 소자) 등을 통해, 전도성 톱커버(21)에 대해 촬영하여 그 위치를 확인한 후, 밀폐부재(50)를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 밀폐부재(50)의 배치를 완성한 후, 밀폐부재(50) 상에 제1 용접 이음새(70)를 형성하고, 기설정 시간동안 냉각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접기를 통해,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기를 사용하여, 먼저 밀폐부재(50)의 연결부(52) 상에 제1 용접 이음새(70)를 형성하고, 제1 용접 이음새(70)를 완성한 후, 기설정 시간만큼 대기하고, 즉 레이저 용접을 중지하여, 제1 용접 이음새(70)의 온도가 충분히 낮추어져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시간은 0.5 s 내지 2 s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용접 이음새(70)가 충분히 방열 강온 및 냉각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의 선단과 끝단에 황변과 파열점이 발생하는 상황을 더욱 줄이고, 배터리(100)의 수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여기서, 제1 용접 이음새를 형성하기 전에, 우선 밀폐부재(50) 상에 몇개의 솔더링 스폿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밀폐부재(50)를 제1 함몰부(211) 내에 배치한 후, 우선 용접기를 통해 밀폐부재(50)의 연결부(52) 상에 몇 개의 기설정 솔더링 스폿을 형성하여, 밀폐부재(50)에 대해 초기 포지셔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설정 솔더링 스폿을 형성한 후, 로봇암과 서커를 철거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용접기를 통해 제1 용접 이음새(70)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멈추어 기설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시 레이저 용접 방식에 의해 밀폐부재(50) 상에 제2 용접 이음새(80)를 형성한다. 또한 제2 용접 이음새(80)의 제2 선단(81)과 제1 용접 이음새(70)의 제1 끝단(72)이 서로 연결되고, 제2 용접 이음새(80)의 제2 끝단(82)과 제1 용접 이음새(70)의 제1 선단(71)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로써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는 선두과 말미가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합된 용접 이음새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를 통해 밀폐부재(50)가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용접 설치되어, 상술한 배터리(100)를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톱", "보텀", "내", "외"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 및 설명의 간소화를 위한 것이고, 지시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구비하고,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동작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본문에서 사용하는 용어 "포함"과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려는 것이며,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하게 열거된 그러한 단계 또는 유닛에 제한될 필요가 ?陋?,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은 것이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에 대한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넓은 의미로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될수도 있고;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두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용어 "제1", "제2" 등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하는 기술특징의 수량을 은닉적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마지막으로 설명하여야 할 점은,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비록 상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전히 상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수정하거나, 그 중 일부 또는 모든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한 치환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치환에 의해, 상응한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00: 배터리 10: 전도성 케이스
11: 챔버 20: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21: 전도성 톱커버 211: 제1 함몰부
212: 제2 함몰부 22: 커버 플레이트
23: 주액홀 30: 제2 절연부재
40: 제1 절연부재 50: 밀폐부재
51: 밀폐부 52: 연결부
60: 배터리셀 61: 양극탭
70: 제1 용접 이음새 71: 제1 선단
72: 제1 끝단 80: 제2 용접 이음새
81: 제2 선단 82: 제2 끝단

Claims (12)

  1. 전도성 케이스(10)와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는 상기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덮여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와 상기 전도성 케이스(10)가 둘러져서 챔버(11)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 또는 상기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상기 챔버(11)와 연통되는 주액홀(23)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주액홀(23) 상에 밀폐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주액홀(23)을 밀폐시키고;
    상기 밀폐부재(50) 상에 제1 용접 이음새(70)와 제2 용접 이음새(8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는 제1 선단(71)과 제1 끝단(7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는 제2 선단(81)과 제2 끝단(8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선단(71)은 상기 제2 끝단(82)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선단(81)은 상기 제1 끝단(72)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밀폐부재(50)는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를 통해 상기 전도성 케이스(10)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20)는 전도성 톱커버(21)와 커버 플레이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2)는 상기 전도성 케이스(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도성 톱커버(2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2) 상에 절연 설치되고, 상기 주액홀(23)은 상기 전도성 톱커버(2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주액홀(23)은 상기 전도성 톱커버(21)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의 용접 깊이가 상기 밀폐부재(50)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밀폐부재(50)와 상기 전도성 케이스(10)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의 용접 깊이가 상기 밀폐부재(50)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밀폐부재(50)와 상기 전도성 톱커버(21)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의 형상은 모두 원호형이며,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는 동심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단(71)과 상기 제2 끝단(82)이 부분적으로 겹치는 것, 및/또는, 상기 제2 선단(81)과 상기 제1 끝단(72)이 부분적으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50)는 밀폐부(51)와 상기 밀폐부(51)의 외주 상에 둘러싸며 설치되는 연결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51)는 상기 주액홀(23)과 서로 마주하고;
    상기 연결부(52)의 두께는 상기 밀폐부(51)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는 상기 연결부(52)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끝단(72)과 상기 제2 선단(8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 도수의 값 범위가 0° 내지 30°인 것;
    및/또는, 상기 제2 끝단(82)과 상기 제1 선단(71)이 겹치는 부분의 원심각 도수의 값 범위가 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가 180° 내지 240°인 것, 및/또는,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의 원심각의 도수 범위가 120° 내지 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의 내경 범위는 3.6 mm 내지 4 mm이고,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의 외경 범위는 4 mm 내지 4.4 mm인 것;
    및/또는,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의 내경 범위는 3.6 mm 내지 4 mm이고,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의 외경 범위는 4 mm 내지 4.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톱커버(21)의 상기 전도성 케이스(10)와 등진 일면 상에는 제1 함몰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50)는 상기 제1 함몰부(21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이음새(70)와 상기 제2 용접 이음새(80)는 상기 전도성 케이스(10)와 등진 상기 밀폐부재(50)의 일면 상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의 정점은 상기 전도성 케이스(10)와 등진 상기 전도성 톱커버(21)의 일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211) 내에는 제2 함몰부(2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액홀(23)은 상기 제2 함몰부(212)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KR1020237041033A 2021-12-17 2022-11-24 배터리 KR20240001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553172.8 2021-12-17
CN202111553172.8A CN114122587A (zh) 2021-12-17 2021-12-17 一种电池
PCT/CN2022/134176 WO2023109467A1 (zh) 2021-12-17 2022-11-24 一种电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243A true KR20240001243A (ko) 2024-01-03

Family

ID=8036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033A KR20240001243A (ko) 2021-12-17 2022-11-24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13404A1 (ko)
EP (1) EP4333170A1 (ko)
JP (1) JP2024521889A (ko)
KR (1) KR20240001243A (ko)
CN (1) CN114122587A (ko)
WO (1) WO2023109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2587A (zh) * 2021-12-17 2022-03-01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7979B2 (ja) * 2014-05-14 2017-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6608787B2 (ja) * 2016-09-15 2019-11-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CN108326419A (zh) * 2017-12-27 2018-07-27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薄板的高速焊接方法
CN214203912U (zh) * 2021-03-02 2021-09-14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
CN113346167B (zh) * 2021-06-04 2024-02-02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盖板的焊接方法
CN114122587A (zh) * 2021-12-17 2022-03-01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21889A (ja) 2024-06-04
WO2023109467A1 (zh) 2023-06-22
US20240113404A1 (en) 2024-04-04
EP4333170A1 (en) 2024-03-06
CN114122587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2225B2 (ja) 二次電池
JP4488937B2 (ja) 二次電池
US20230299447A1 (en)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4235945A2 (en) Button cell and electronic device
JP2023529378A (ja) ボタン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20240001243A (ko) 배터리
CN113506955B (zh) 电池外壳和电池
CN113809444B (zh) 一种电池
CN215815984U (zh) 一种电池及电子产品
CN113708017A (zh) 一种电池
JP7481431B2 (ja) 動力電池トップカバーおよび動力電池
KR100571237B1 (ko) 캔형 이차 전지
CN117638336A (zh) 电池外壳及动力电池
CN209447920U (zh) 二次电池
WO2022206950A1 (zh) 电池盖板以及电池
CN217544755U (zh) 电池盖板组件和电池
CN216436013U (zh) 一种电池
CN219610701U (zh) 电池及电池包
KR100490546B1 (ko) 이차전지
CN217009287U (zh) 一种圆柱型锂离子电池
CN216288661U (zh) 外壳组件及电池
CN218896794U (zh) 电芯及电池
CN116190942A (zh) 电池及电池包
CN216213982U (zh) 一种注液孔盖、注液孔焊接结构、电芯盖板及电池
CN117638339B (zh) 一种盖板组件及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