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986U -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986U
KR20240000986U KR2020220002821U KR20220002821U KR20240000986U KR 20240000986 U KR20240000986 U KR 20240000986U KR 2020220002821 U KR2020220002821 U KR 2020220002821U KR 20220002821 U KR20220002821 U KR 20220002821U KR 20240000986 U KR20240000986 U KR 202400009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enlarged head
pair
peripheral surface
coupl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이훈
여운용
Original Assignee
디엘건설 주식회사
(주)윈윈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건설 주식회사, (주)윈윈개발 filed Critical 디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2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986U/ko
Publication of KR20240000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9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는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둘레방향의 리브가 삽입되는 원주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에는 확대머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 및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내측결합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확경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Device for in-situ fastening and anchoring a deformed bar with enlarged head}
본 고안은 철근의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체결하는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철근과 정착철근을 이용하여 철근을 배근함에 있어서, 정착철근이 주철근과 콘크리트에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정착철근의 단부에 갈고리를 형성하여 정착길이를 확보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최상층의 기둥이나 단부측의 보와 같은 부위에는 철근의 단부를 갈고리 형태로 가공하여 정착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의 단부에 확대머리를 형성한 확대머리 철근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확대머리 철근이란 주철근 및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철근의 단부에 단면적이 확대된 확대머리가 형성된 철근을 말한다.
확대머리 철근을 정착철근으로 사용하면, 철근의 단부를 갈고리 형태로 가공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내진성 및 내변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확대머리 철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확대머리를 별도로 제작하여 철근의 단부에 용접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있으며, 철근의 단부를 단조 가공하여 확대머리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확대머리를 제작하여 철근의 단부에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 장비가 필요하며, 철근의 단부에 확대머리를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단부를 나사 결합 가능한 형태로 성형해야 한다.
아울러 철근의 단부를 단조 가공하여 철근의 단부에 확대머리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단조 가공장치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일체형 확대머리 철근은 건설현장에서 쉽게 제작할 수 없다.
즉, 확대머리 철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철근의 단부를 성형하거나 용접하는 등의 번거로운 공정이 반드시 수반되며, 확대머리 철근을 건설 현장에서 손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근의 단부에 확대머리를 용접하거나 나사산 가공 없이 현장에서 직접 안정적으로 철근을 정착시킬 수 있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는 내주면에는 이형철근의 둘레방향의 리브가 삽입되는 원주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전단에는 확대머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 및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절취홈의 후방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고정강화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에 결합된 후 상기 절취홈이 절취되어 분리된 상기 고정강화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절취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중 하나의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절취홈의 부분은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철근의 단부에 확대머리를 용접하거나 나사산 가공 없이 현장에서 직접 안정적으로 철근을 정착시킬 수 있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는 이형 철근(10)의 외주면을 마주보도록 감싸는 한 쌍의 결합부재(20)와, 한 쌍의 결합부재(20)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는 이형철근(10)의 외주면에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각 결합부재(20)는 이형철근(1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내주면(21)을 가진다. 각 결합부재(20)의 내주면(21)에는 이형철근(10)의 둘레방향의 리브(11)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홈(2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각 결합부재(20)의 외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결합부재(20)는 결합된 상태에서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재(30)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수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20)의 몸체 부분의 전단에는 확대머리부(25)가 배치된다.
확대머리부(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반원판 형상으로 내주면은 결합부재(20)와 동일하게 원호 또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확대머리부(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20)의 몸체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철근(10)을 콘크리트에 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와 결합되어 이형철근(10)에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재(30)의 내부에는 전체 길이방향에 걸쳐 결합공(31)이 형성되어 이 결합공(31)에 한 쌍의 결합부재(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고정부재(30)에서 결합공(31)의 내주면은 제1결합구(7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암나사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30)의 결합공(31) 내부로 한 쌍의 결합부재(20)를 삽입시켜 접촉되면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 한 쌍의 결합부재(20)와 나사결합시키고, 고정부재(30)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부재(30)의 내주면이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결합부재(20)의 확대머리부(25) 쪽으로 전진하면서 한 쌍의 결합부재(20)가 이형철근(10)에 더욱 밀착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30)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 결합부재(20)에 결합시킬 때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재(30)를 용이하게 결합부재(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크리트에서 이형철근(10)이 노출된 상태에서 먼저 고정부재(30)의 결합공(31)에 이형철근(10)을 삽입시키고 노출된 이형철근(10)의 외주면에 한 쌍의 결합부재(20)를 마주보도록 결합시킨다.
이 때 이형철근(10)의 리브(11)가 각 결합부재(20)의 홈(22)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한 쌍의 결합부재(20)를 이형철근(10)에 결합시킨 다음, 기결합된 고정부재(30)를 한 쌍의 결합부재(2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한 쌍의 결합부재(20)가 고정부재(30)의 결합공(31) 내주면에 접촉하면 그 때부터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 한 쌍의 결합부재(20)의 외측에 나사결합시킨다.
고정부재(30)를 한 쌍의 결합부재(20)에 나사결합시키면 한 쌍의 결합부재(20)가 이형철근(10)에 고정되어 결합부재의 확대머리부에 의해 추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정착된다.
따라서,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종래 이형철근(10)을 휘어 갈고리 형태로 가공할 필요가 없고 나사결합을 위해 철근에 나사선가공이 필요없어 현장에서 직접 체결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형철근(10)을 콘크리트에 정착시키기 위해 결합부재(20)와 고정부재(30)가 단순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시공현장에서 고정부재(30)에 비해 한 쌍의 결합부재(20)가 형성하는 외주면의 크기가 약간 작거나 클 때에는 고정부재(30)를 결합부재(20)에 결합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나, 본원 고안에서는 고정부재(30)의 내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20)의 외주면이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약간의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고정부재(30)를 결합부재(2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서 결합시킬 때 고정부재(30)가 결합부재(20)의 확대머리부(25) 쪽으로 전진하면서 결합부재(20)가 이형철근(10)에 더욱 밀착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한 쌍의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에 절취홈(35)이 형성되고, 절취홈(35)의 후방에는 고정강화부(36)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에는 절취홈(35)이 형성된다.
절취홈(35)은 절취홈(35) 후방에 형성되는 고정강화부(36)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절취홈(35)은 고정부재(3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부재(20) 중 하나의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의 절취홈(35)의 부분은 고정부재(30)의 결합공(31) 내주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의 절취홈(35)의 부분은 고정부재(30)의 내주면까지 관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강화부(36)가 더욱 용이하게 고정부재(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 한 쌍의 결합부재(20)의 외측에 나사결합시키고 그 다음 절취홈(35)의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강화부(36)를 추가로 회전시켜 절취홈(35)을 절취시킨다.
그러면, 절취홈(35)의 절취에 의해 고정강화부(36)가 고정부재(30) 몸통에서 분리된다.
고정강화부(36)가 고정부재(30) 몸통에서 분리된 다음, 분리된 고정강화부(36)를 추가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고정강화부(36)의 전단이 고정부재(30)의 후단에 접촉하여 고정부재(30)가 결합부재(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이형철근 20 : 한 쌍의 결합부재
22 : 홈 23 : 수나사부
25 : 확대머리부 30 : 고정부재
31 : 결합공 35 : 절취홈
36 : 고정강화부

Claims (7)

  1. 내주면에는 이형철근(10)의 둘레방향의 리브(11)가 삽입되는 원주방향의 홈(22)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전단에는 확대머리부(25)가 배치되고 상기 이형철근(10)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20); 및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결합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1)의 내주면은 상기 결합부재(2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상기 결합공(31)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수나사부(23)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절취홈(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절취홈(35)의 후방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강화부(3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에 결합된 후 상기 절취홈(35)이 절취되어 분리된 상기 고정강화부(36)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상기 절취홈(35)은 상기 고정부재(3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20) 중 하나의 결합부재(20)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상기 절취홈(35)의 부분은 상기 고정부재(30)의 내주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KR2020220002821U 2022-11-30 2022-11-30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KR202400009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821U KR20240000986U (ko) 2022-11-30 2022-11-30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821U KR20240000986U (ko) 2022-11-30 2022-11-30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986U true KR20240000986U (ko) 2024-06-07

Family

ID=9146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821U KR20240000986U (ko) 2022-11-30 2022-11-30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98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333795A3 (en)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elements
KR20180047130A (ko) 철근 이음 장치
JP2016132868A (ja) 棒状金物
US20060059841A1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bar end anchor there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4423644B2 (ja) 中空プレキャスト柱
JP4649303B2 (ja) 柱の締結具
KR20240000986U (ko) 현장체결식 분리형 확대머리 철근 정착장치
CN108625534B (zh) 一种压花式植筋锚头装置
JP4949180B2 (ja) 締結具
JP2009127211A (ja) 締結具
JP72616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JP4866894B2 (ja) 定着部付き鉄筋、定着部付き鉄筋用素材、及び、アンカーボルト
KR102283595B1 (ko) 콘크리트구조물 연결용 더블커플러
JP2002250478A (ja) 連結構造
JP6177041B2 (ja) 連結具
JP4029097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構造
JP7297252B2 (ja) 枠材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連結金具
JP6828868B1 (ja) 木製構造部材の補強構造及び木造建築物
US20190085560A1 (en) Reinforcement steel
JP6968778B2 (ja) 連結構造
JPH0615044Y2 (ja) 鋼管柱の接続構造
JP2007056498A (ja) 既設柱の耐震補強構造
US20180313084A1 (en) Reinforcement steel
RU61311U1 (ru) Стержневой элемент сборного каркаса
JP6664282B2 (ja) 連結具と、この連結具を用いた屋根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