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822A -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822A
KR20230174822A KR1020220075911A KR20220075911A KR20230174822A KR 20230174822 A KR20230174822 A KR 20230174822A KR 1020220075911 A KR1020220075911 A KR 1020220075911A KR 20220075911 A KR20220075911 A KR 20220075911A KR 20230174822 A KR20230174822 A KR 2023017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ckage
mixing device
operation unit
induc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22007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822A/ko
Publication of KR2023017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체의 저부를 용이하게 개봉하는 천공핀을 두거나, 또는 포장체 자력으로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아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이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되도록 개봉유도 작동부를 형성한 혼합장치를 제공하고, 이종물질이 든 포장체를 보다 용이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혼합장치{Mixing Devices}
본 발명은 별도로 포장된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장치에 관한 종래의 선행 기술로서는, 미국특허 4,832,230호, 미국특허 4,705,191호, 미국특허 3,080,094호 및 미국특허 5,836,479호 등이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 4,705,191호의 경우는, 연포장 등의 재료로 된 혼합장치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특별한 구조만 적용이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종물질이 든 포장체를 개봉유도부를 통해 혼합하는 것과, 포장체 자체에 개봉유도부를 형성하여 포장체에 든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혼합용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개봉유도부를 두고, 개봉유도부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포함한다.
또한, 천공핀은 갈라진 형태의 공간을 중심으로 본체의 양 하단 내측면부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봉유도부의 내부에는 천공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두고, 상기 천공핀의 천공부 공간은 스프레이어 노즐이 중앙에 형성된 노즐이 위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성 공간을 유지하고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부의 천공핀 하방부에는 안쪽으로 향한 형태의 그물망을 형성하며, 상기 그물망은 갈라진 형태로 한다.
또한 상기 개봉유도부의 천공핀에는 공기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봉유도부의 내부에는 천공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두고, 상기 천공핀에 의해 포장체가 열리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포장하부에 형성된 천공유도부는 다중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연질의 수재로 사출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포장체의 상단부는 게이불탑 형태로 접히도록 접힘선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포장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을 낙하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개봉유도 작동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포장체가 병목에 결합되는 과정에 개봉유도 작동부가 병목 내벽에 저항을 받아 안쪽으로 밀리면서 낙하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더 확장된 형태이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과 측방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으로 구획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상방과 하방과 양 측방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으로 구획되어 저항을 받으면 개봉유도 작동부 전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를 내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은 다색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절단선 형태로 하고 그 상부면을 연질의 필름으로 밀폐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가 있는 포장 본체의 일부에는 포장체 공기유입 유도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체는 포장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그 단부는 시일부에 의해서 밀폐된 포장 상부본체와, 상기 포장 상부본체에 결합되어 저항을 받으면 시일부를 파괴하는 것이 가능한 천공부가 있는 포장 하부본체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 하부본체가 병목에 결합되는 과정에 저항을 받으면, 포장 상부본체가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고, 그 과정에 천공핀이 시일부를 파괴하고,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이 천공핀의 주위에 형성된 낙하공간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장 상부본체와 포장 하부본체가 임의적으로 작동하여 시일부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장치를 부가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측면부고정홈과 고정홈 유도부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체는 스프레이어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삽입공간을 경계로 하여 포장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한 포장 내부 공간의 단부는 별도의 시일부재에 의하여 밀폐된 포장에 있어서, 포장 내부 공간을 열리도록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봉유도 작동부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노즐 삽입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경사각을 갖고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된 형태인 것이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병목의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으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이 절취되면서 낙하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은 다색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연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이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에는 필름형태의 것이 보강된 것이다.
또한, 개봉유도 작동부의 양측에 접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측과 측부에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는 다색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연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며, 상기 접철부에는 길게 연장된 긴 요홈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체의 포장본체 하방부에 형성된 얇은 박판을 파괴하는 개봉유도 작동부를 일체 또는 결합식인 조립식 개봉유도 작동부로 구성하며,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에는 톱날형태의 절취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체의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을 낙하 혼합시키는 개봉유도 작동부를 포장본체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으면 분리되어 안쪽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체는 병목 내벽부 또는 병목 상단부에 개봉유도 작동부가 저항을 받으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이 파괴되면서 낙하공간이 열리는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병목에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포장체의 나사산의 병목의 나사산을 타고 결합되는 과정에 개봉유도 작동부가 파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장체의 상부는 마감되거나 또는 별도의 용기에 결합될 수 있는 용기결합용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체의 내부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이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장본체의 측방이나 포장하부에 별도의 개봉유도 작동부나 밀폐부재를 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장치는, 스프레이어 버틀 또는 각종 음료용기 또는 생활용품 등의 용기에 결합되어 혼합장치에 든 내용물을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고, 또한 개봉유도부를 통하여 포장체에 든 내용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포장체 자체에 형성된 개봉유도부를 통해 이종물질을 혼합할 수 있고, 이러한 혼합장치는 간단하고 제조과정이 복잡하지 않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봉유도부에 의해 포장체에 든 이종물질이 낙하 혼합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노즐 형태가 각기 다른 스프레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개봉유도부의 환테 부위를 보인 요부 종단면이다.
도 5는 개봉유도부가 병목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형태의 개봉유도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포장체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8은 포장체의 다른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9는 포장체의 또 다른 상태를 보인 저부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포장체의 또 다른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포장체의 상부 요부를 보인 전개도이다.
도 12는 포장체의 얇은 박판 부위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포장체의 마감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포장체의 또 다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포장체의 개봉유도부를 보인 요부 저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포장체의 개봉유도부가 병목에 의해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과 같은 상태에서 포장체의 개봉유도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포장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저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포장체 개봉유도부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개봉유도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포장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절개된 상태의 일측면도이다.
도 23은 포장체의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포장체의 응용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와 같은 상태에서 시일부재를 통해 저장공간을 밀폐시킨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와 같은 상태의 포장체가 병목에 결합되는 과정에 저장공간이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과 같은 상태에서 스프레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과 같은 포장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와 같은 포장체의 상부 요부 사시도이다.
도 34는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5는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36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37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9는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0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1 및 도 42는 도 40과 같은 상태의 포장체가 병목에 결합된 후에 노즐의 형태가 각기 다른 스프레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3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3과 같은 상태의 포장체가 병목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와 같은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포장체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7 내지 도 49는 포장체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도 1은 개봉유도부(100)에 의해 포장체(200)에 든 이종물질이 낙하 혼합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이와 같은 포장체(200)는 포장본체(201)를 중심으로 상하부로 포장상부(202)와 포장하부(203)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포장 내부 공간(204)을 형성한다.
그리고 개봉유도부(100)는 병목에 걸려 고정되는 환테(101)와 개봉유도부 본체(102)의 하단 내부에는 천공부 공간(104)이 있는 천공부(10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103)의 하방에는 그물망(105)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물망(105)은 갈라진 형태 또는 일정 크기로 천공된 형태의 구멍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특히 하단이 안쪽으로 모아지게 형성함이 기능상으로 양호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혼합장치 즉, 개봉유도부(100)와 포장체(200)의 사용의 예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병목(300)에 개봉유도부(100)가 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포장체(200)를 개봉유도부(100)를 중심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는 포장하부(203)가 날카로운 형태의 천공부(103)에 의해 열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포장 내부 공간(204)에 보관된 내용물이 천공부 공간(104)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유입 유도부(106)에 의해 포장체(200)의 내부로 공기유입이 가능하여 포장 내부 공간(204)에 든 내용물이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의 경우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포장체(200)를 분리하고, 그 후에 스프레이어(400)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특히 노즐(401)이 중앙 부분에 있는 것일 경우 천공부(103)의 중앙방향에 있는 천공부 공간(104)을 중심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의 경우는 노즐(401)이 외측에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혼합장치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스프레이어(400)를 작동시키면 혼합된 내용물이 분무되는 것이다.
도 4의 경우는 개봉유도부(100)의 환테(101)에 연질 특히 고무재질의 밀폐부(107)를 두어 병목(300) 상단부와 스프레이어(400)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개봉유도부 본체(102)의 환테(101) 하측 외환부에는 적어도 하난 이상의 돌출된 결합유도부(108)를 두어 개봉유도부(100)가 병목(300)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분리 시에도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5의 경우는 병목(300)에 개봉유도부(1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병목(300), 즉 병의 내부로 물을 채우는 과정에 병 내부에 남아 있는 내용물에 의해 거품이 발생할 경우, 그물망(105)에 의해 거품(기포)이 개봉유도부(100)의 외부로 넘치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6의 경우는 다른 형태의 개봉유도부(100)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특히 천공부(103)에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유입공(109)을 형성한다.
도 7의 경우는 포장하부(203)에 얇은 박판(205)을 형성한 것을 보인 것이고, 포장체(200)는 종이 재질이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고, 얇은 박판(205)은 알루미늄 필름 또는 연질의 필름일 수 있다.
도 8은 포장체(200)의 다른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로서, 포장하부(203)에 천공유도부(206)를 형성한 것이며, 천공유도부(206)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중 사출하거나, 또는 절취하기 용이하게 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천공유도부(206)는 도 9와 같이 변형되거나, 또는 도 10과 같이 달팽이관 형태(209) 등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포장체(200)의 상부 마감부를 압인선이나 홈이 파인 형태로 접힘선(207, 207A~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포장체(200)의 상단부는 필름 형태 등으로 마감될 수 있도록 밀폐용 환테 (210)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도 8에서 보인 포장체(200)의 상부 요부를 보인 전개도로서, 종이 재질일 경우 압인하거나, 플라스틱일 경우 홈을 형성함이 좋은 방법이며, 포장체(200)가 튜브일 경우도 압인하여 접힘선을 형성함이 좋다.
도 12는 포장체(200)의 얇은 박판(205) 부위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며, 이 경우 알루미늄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고, ?湛? 박판(205)은 이중 사출에 의해 고무 재질 등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13은 포장체(200)의 마감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포장체(200) 내부에 내용물을 넣은 후에 밀봉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4는 포장체(200)의 또 다른 마감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포장체(200)의 개봉유도부, 상세하게는 개봉유도 작동부(211)를 보인 요부 저부 사시도로서, 포장본체(201)의 하방에 단이진 형태의 포장본체 하측면부(201A)를 형성하고, 상기한 면에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12)으로 구획된 개봉유도 작동부(211)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211)는 포장본체 하측면부(201A)와 포장하부(203A) 사이에 홈이 파인 형태상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한 개봉유도부 작동부(211)는 포장본체 하측면부(201A)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211)의 외경 즉 돌출된 부위의 외경은 대응하는 병목 내경보다도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16은 포장체(200)의 개봉유도 작동부(211)가 병목(300)의 병목 내벽부(301)에 의해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16과 같은 상태에서 포장체(200)를 병목(300)에 밀어 넣게 되면 돌출된 형태의 개봉유도 작동부(211)가 병목 내벽부(301)에 저항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 하단에 형성된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12)이 절취됨과 동시 양측면의 절취선도 절취되기 시작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도 17과 같이 개봉유도 작동부(211)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개봉유도 작동부(211)는 하측부에서 상측부로 더 벌어진 형태로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된, 즉 상방이 하방보다 더 벌어진 경사각으로 유지하게 설계한다.
이상과 같은 개봉유도 작동부(211)는 연결부(213)를 기준으로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부(213)는 절취선으로 변형하여 개봉유도 작동부(211)가 완전히 분리되어 포장 내부 공간(215)이 분리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211)는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12)과 그 측면의 절취선 등이 절취되는 과정에서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절취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12)과 연결된 절취선 등으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12)이 절취되면서 형성된 낙하공간(214)을 통해서는 포장 내부 공간(215)에 든 내용물이 낙하되는 것이다.
도 18은 포장체(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저부 사시도로서, 단이 진 형태의 고정턱(216) 하단부인 포장본체 하측면부(201A)에 형성된 개봉유도 작동부(211)가 다양하게 변형됨을 예시한 것으로, 특히 포장하부(203A)에 연장된 개봉유도 작동부(211)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이 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포장본체 하측면부(201A)에는 포장체 공기유입 유도부(217)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은 포장체(200) 개봉유도 작동부(211)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21은 개봉유도 작동부(211)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9와 같은 상태의 포장체(200)가 병목내부에 결합되게 되면, 개봉유도 작동부(211)가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 도 2O 및 도 21에서 보인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12)이 파괴되면서 낙하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2는 포장상부 본체(218)에 포장하부 본체(223)가 결합된 포장체(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절개된 상태의 일측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포장상부 본체(218)는 상부 측면부(219)의 내부에 포장 내부 공간(220)을 두고, 단부는 시일부(222)로서 밀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측면부(219)에는 측면부 고정홈(221)을 형성한 것이고, 상기 포장하부 본체(223)는 하부 측면부(225)와 저면부(228)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측면부(225)의 상단부에는 환테(224)를 두고, 그 단부에는 고정홈 유도부(226)를 또한 저면부(228)에는 천공부(227)와 천공부 낙하공간(229)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혼합장치의 사용 시에는, 안정장치(측면부 고정홈(221)와 고정홈 유도부(226))에 의해 시일부(222)가 보호되다가, 고정홈 유도부(226)를 측면부 고정홈(221) 부위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포장체(200)를 병목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포장상부 본체(218)를 압박하면 천공부(227)가 시일부(222)를 파괴하고, 그 과정에 포장 내부 공간(220)에 든 내용물이 천공부 낙하공간(229)을 경유하여 낙하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포장체(200)의 응용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환테(210)의 내측부에는 노즐 삽입공간(230)과 포장 내부 공간(233)으로 구별되게 하고, 상기 노즐 삽입공간(230)은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에 의해 절취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 내부 공간(233)은 내용물을 넣은 후에 시일부재(234)로서 밀폐시킨 것이며, 도 2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착면(235)과 노즐 삽입공간부 접착면(235A)으로 구분되지만, 도 2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노즐 삽입공간부 접착면(235A)을 천공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도 26은 도 25와 같은 상태의 포장체(200)가 병목(300)에 결합되는 과정에 저장공간 즉, 포장 내부 공간(233)이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특히 돌출된 형태의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병목 내벽부(301)에 저항을 받아 개봉작동부 절취선(232)이 절취되고, 그 과정에 연결부(236)를 기준으로 하여 하측 노즐 삽입공간(230A)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노즐 삽입공간(230)과 하측 노즐 삽입공간(230A)을 중심으로 노즐(401)를 삽입한 후에 스프레이어(400)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런 상태를 보인 것이 도 27이다.
참고적으로, 도 23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개봉유도 작동부(231)에는 안쪽으로 이동한후 복귀하려는 힘을 제거하기 위해 돌기 형태의 스토퍼(S)를 형성할 수 있고,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8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포장상부(202A)에는 하나 이상의 얇은 박판(237, 237A)을 형성하고 포장본체(201)의 내부는 포장 내부 공간으로 두고, 외부의 측면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벌어진 형태의 개봉유도 작동부(231)를 둔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동 작동부(231)의 양측은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으로 두고, 상부는 접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홈이 형성된 연결부(236)를 형성한 것이며, 포장본체(201)의 하부는 시일부재(234)로서 밀폐시킨 것이다.
이의 사용 시에는, 포장체(200)를 병목에 결합시키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의 하측부터 절취되면서 상측으로 점진적으로 절취되고, 동 과정에 시일부재(234)도 파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서 일부 절개되어 내부를 나타낸 포장 내부 공간(233)에 든 내용물은 낙하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레이어의 노즐을 원하는 방향에 있는 노즐 삽입면(237, 237B)에 위치하여 압박하게 되면 노즐 삽입면(237, 237B)이 파괴되면서 노즐이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포장본체(201)에 형성된 노즐 삽입공간(230)의 크기나 형태, 그리고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B~D)의 형태를 달리 구성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 232B~D)은 별도의 필름 소재에 의해 보강될 수 있거나 또는 다중 사출성형기에 의해 연질의 수지(일 예로 고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2는 도 31과 같은 포장체(200)의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D)이 포장하부(203B)의 겹치는 면에 이어진, 즉 단이 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으면 쉽게 절취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D)이 절취되면서 도 31에서 보인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이 절취됨과 동시에 하측 방향의 노즐 삽입공간(230A)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연결부(239)를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33은 도 32와 같은 포장체(200)의 상부 요부 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특히 노즐 삽입공간(230)을 중심으로 시일부재(238)로 밀폐시킨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4는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노즐 삽입공간(230B)이 중앙에 있는 상태의 포장본체(201)의 상부를 시일부재(238)로서 밀폐시킨 것을 보인 것이며, 개봉유도 작동부(231)는 움푹 파인 형태로 공간이 있고 이런 경계를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으로 구획한 것이고, 이는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을 때에 하측 방향의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부터 상측으로 차츰 절취되게 되는 것이다.
도 35는 포장체(35)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이고, 그 특징은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후방으로 용이하게 밀쳐지게 하기 위하여 양 측방부에 연질, 즉 고무 재질의 접철부(241)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부(241)의 접철을 돕기 위해 상하로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F, 232E)을 형성하고, 측방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긴 요홈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포장체(200)의 사용 시에는,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게 되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F, 232G)이 절취됨과 동시에 연질의 접철부(241)가 접철되면서 노즐 삽입공간(230C)이 뒤로 물러나게 되는 것이다.
즉, 노즐 삽입공간(230C)이 포장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철부(241)는 다중 사출성형기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연질의 필름 등이 접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도 36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저부 사시도로서, 비교적 경질의 접철부(242)가 접철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로 길게 연장된 긴 요홈(240)을 형성한 것이고, 이러한 긴 요홈(240)은 절취선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7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포장본체(201)의 측방과 포장하부(203C)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얇은 박판(243)을 형성함에 있어, 얇은 박판(243)은 연질의 필름소재가 별도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얇은 박판(243)을 파괴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개봉유도 작동부(245)를 결합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톱날 형태의 절취부(248)가 있는 작동편(246)을 두고, 상기 적동편(246)은 연결부(250)에 의해 결합부(249)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장체(200)의 사용 시에는, 병목에 포장체(200)를 결합하게 되면 비교적 좁은 형태의 작동편 하단(247)에 의해 병목 내벽부를 향해 용이하게 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포장체(200)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압박하게 되면 일정 경사각을 갖고 있는 작동편(246)이 차츰 저항을 받아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날카로운 형태의 절취부(248)가 얇은 박판(243, 244)을 파괴하고, 포장 내부 공간(233)에 든 내용물이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개봉유도 작동부(245)는 포장본체(201)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38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포장체(200)의 상부 밀폐는 연질의 필름 또는 별도 제작된 시일부재(251)에 밀폐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고, 포장 내부 공간(233)을 파괴하는 개봉유도 작동부(231)는 좌우 상하면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H)으로 구획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포장체(200)의 사용 시에는, 포장체(200)를 병목에 결합하게 되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H)이 파괴되고,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포장 내부 공간(233)으로 밀리면서 포장 내부 공간(233)에 있던 내용물이 낙하되는 것이다.
도 39는 도 38과 같은 형태의 포장체(200)의 상단부를 별도 연질의 시일부재(238)로 밀폐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0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노즐 삽입공간(230)을 포함하고 있는 개봉유도 작동부(231)의 양측방과 포장하부(203B)의 면까지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I)으로 구획한 것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포장체(200)의 사용 시에는, 포장체(200)를 병목 내벽부를 중심으로 결합하게 되면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하부에서 상부로 차츰 저항을 받아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I)이 절취되면서 개봉유도 작동부(231)가 포장 내부 공간(233)으로 이동하고, 포장 내부 공간(233)에 있던 내용물이 낙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스프레이어(400)를 병목(300)을 중심으로 결합하게 되면 노즐(401)의 형태에 따라 결합이 되게 되며, 이런 상태를 예시한 것이 도 41 및 도 42이다.
도 43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상하 좌우면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J)으로 구획되거나 또는 상부 연결부(253)를 중심으로 양측과 하부가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J)으로 구획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포장체(200)는 병목(300)에 결합하게 되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J)이 파괴되고, 동시에 포장 내부 공간(233)에 있던 내용물이 낙하공간(257)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다(도 44 참고).
또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252)는 포장체(200)의 나사산(255)이 병목(300)의 병목 나사산(302)을 타고 결합되는 과정에서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J)이 파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232J)은 이중 사출에 의해 연질의 수지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필름의 소재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체(200)의 상부는 별도의 소재로 밀폐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블탑 형태로 봉합부(256)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4는 도 43과 같은 상태의 포장체(200)가 병목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5는 도 44와 같은 포장체(200)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포장체(200)의 또 다른 응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결합용 본체(254)의 상부에 상부 결합부(258)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상부 결합부(258)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별도의 용기목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는 외부를 파우치 포장용기가 접착될 수 있게 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호표시 “T"에서 보인 부분을 부호표시 "TB"와 같이 변형이 가능하며, 상세하게는 병목에 걸려 포장체(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B)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7의 경우에는 도 43에서 보인 포장체(200)의 상단부에 배출대(259)를 형성하거나 기나 배출 수단을 응용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도 48의 경우는 조립식 개봉유도 작동부(231A)가 포장 내부 공간(233)의 일부 트인 공간을 막고 있다가 돌출부가 병목 내벽에 저항을 받게 되면 열리게 되는 구조이다.
도 49의 경우는 포장체(200)의 포장하부(203B)에 형성된 낙하공간(260)을 별도 조립된 밀폐부재(270)가 막고 있다가 별도의 천공핀에 저항을 받으면 밀폐부재(270)가 열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Claims (30)

  1. 개봉유도부의 내부에는 천공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두고, 상기 천공핀의 천공부 공간은 스프레이어 노즐이 중앙에 형성된 노즐이 위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성 공간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부의 내벽부에는 공기유입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부의 천공핀 하방부에는 안쪽으로 향한 형태의 그물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갈라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부의 천공핀에는 공기유입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6. 개봉유도부의 내부에는 천공부 공간이 있는 천공핀을 두고, 상기 천공핀에 의해 포장체가 열리도록 구성한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포장하부에 형성된 개봉유도부는 다중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연질의 수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상단부는 게이불탑 형태로 접히도록 접힘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8. 내부에 포장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을 낙하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개봉유도 작동부를 형성한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포장체가 병목에 결합되는 과정에 개봉유도 작동부가 병목내벽에 저항을 받아 안쪽으로 밀리면서 낙하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더 확장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과 측방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동부는 상방과 하방과 양 측방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으로 구획되어 저항을 받으면 개봉유도 작동부 전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를 내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은 다색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개봉유도 작동부절취선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절단선 형태로 하고 그 상부면을 연질의 필름으로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혼합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가 있는 포장본체의 일부에는 포장체 공기유입 유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4. 포장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그 단부는 시일부에 의해서 밀폐된 포장 상부본체와 포장 상부본체에 결합되어 저항을 받으면 시일부를 파괴하는 것이 가능한 천공부가 있는 포장 하부본체를 결합한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 하부본체가 병목에 결합되는 과정에 저항을 받으면 포장 상부본체가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고,
    그 과정에서 천공핀이 시일부를 파괴하고,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이 천공핀의 주위에 형성된 낙하공간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부본체와 포장 하부본체가 임의적으로 작동하여 시일부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장치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측면부 고정홈과 고정홈 유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7. 스프레이어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삽입공간을 경계로 하여 포장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 내부 공간의 단부는 별도의 시일부재에 의하여 밀폐된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 내부 공간을 열리도록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봉유도 작동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노즐 삽입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경사각을 갖고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병목의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으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이 절취되면서 낙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은 다색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연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2. 제17항에 의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에는 필름 형태의 것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의 양측에 접철부를 형성하고, 개봉유도 작동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측과 측부에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다색 사출성형기 의해서 연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에는 길게 연장된 긴 요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6. 포장체의 포장본체 하방부에 형성된 얇은 박판을 파괴하는 개봉유도 작동부를 일체 또는 결합식인 조립식 개봉유도 작동부로 구성하고,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에 톱날 형태의 절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7. 포장체의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을 낙하 혼합시키는 개봉유도 작동부를 포장본체에 형성한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봉유도 작동부는 병목 내벽부에 저항을 받으면 분리되어 안쪽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8. 병목 내벽부 또는 병목 상단부에 개봉유도 작동부가 저항을 받으면 개봉유도 작동부 절취선이 파괴되면서 낙하공간이 열리는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병목에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체의 나사산의 병목의 나사산을 타고 결합되는 과정에 개봉유도 작동부가 파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상부는 마감되거나 또는 별도의 용기에 결합될 수 있는 용기결합용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0. 포장체의 내부 포장 내부 공간에 든 내용물이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하도록 돕기 위해 포장본체의 측방이나 포장하부에 별도의 개봉유도 작동부나 밀폐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KR1020220075911A 2022-06-22 2022-06-22 혼합장치 KR20230174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11A KR20230174822A (ko) 2022-06-22 2022-06-22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11A KR20230174822A (ko) 2022-06-22 2022-06-22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822A true KR20230174822A (ko) 2023-12-29

Family

ID=8933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11A KR20230174822A (ko) 2022-06-22 2022-06-22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759A (en) Container arrangement for cartridge dispensing two-component mass
CN101175673B (zh) 分配封口、使用分配封口的方法以及包括分配封口的容器
KR101296198B1 (ko) 물질 분배 용기
CA1166205A (en) Caulker for dispensing two viscous components
CN1899930B (zh) 一次性施配装置
US20060006077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integral piercing unit
US20030051610A1 (en) Adapter, device and method for sampling from a multichamber bag, use of said adapter and bag packaging
US11155390B2 (en) Coupled structure between pouring spout of refill container and pouring unit of packaging container
CZ298541B6 (cs) Nádoba s integrálním modulem pro ohrev a chlazeníobsahu
EP2694396B1 (en) Cap with additive chamber and associated packaging unit
US20180208363A1 (en) Closing assembly for a container, such as bottles and/or flasks, removable cartridges, closing device, and method
US10961025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EP0093185A1 (en) Caulker for dispensing two viscous components
EP2952446B1 (en) Foam dispensing cap
KR20230174822A (ko) 혼합장치
US5425475A (en) Epoxy dispenser
RU2649511C2 (ru) Пленочная емкость для раздат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еночной емкости
JP5309308B2 (ja) 注出具
EP4173991A1 (en) Flexible mouth insert for pouch
EP3666678B1 (en) Spout stopper and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with spout stopper
KR20240007991A (ko) 혼합장치
CN111746931A (zh) 打开装置、包装和将打开装置施加到包装壁上的方法
JP2002321750A (ja) ツイストオフ口部付き少容量容器
JP6200812B2 (ja) 泡出し複合キャップ
JP2006176144A (ja) スパウ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