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342A -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342A
KR20230156342A KR1020237030747A KR20237030747A KR20230156342A KR 20230156342 A KR20230156342 A KR 20230156342A KR 1020237030747 A KR1020237030747 A KR 1020237030747A KR 20237030747 A KR20237030747 A KR 20237030747A KR 20230156342 A KR20230156342 A KR 2023015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nucleation
alkyl
pattern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훙 유
시솅 창
잉 트리켓
에릭 치-팡 리우
윤 한
헤난 장
코리 와즈다
로버트 디 클락
게릿 제이 뢰싱크
갸나란잔 파타나이크
히로아키 니이미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일렉트론 유.에스.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일렉트론 유.에스.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01L21/76846Layer comb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e.g. cleaning or removal of oxides on underly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2Modification of the material of dielectric layers, e.g. grading, after-treat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ayers, to increase their density etc.
    • H01L21/76826Modification of the material of dielectric layers, e.g. grading, after-treat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ayers, to increase their density etc. by contacting the layer with gases, liquids or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in via holes or trenches, e.g. non-conductive sidewall l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79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by selective deposition of conductive material in the vias, e.g. selective C.V.D. on semiconductor material,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42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 noble metal, e.g. gold
    • H01L23/53252Additional layers associated with noble-metal layers, e.g. adhesion, barrier, clad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제1 층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핵 생성 증강 층을 함입형 형상부의 제1 층의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금속 층은 제2 층 및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기 전에, 초기 금속 층이 함입형 형상부의 제2 층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21년 3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161,909호에 대한 우선권 및 그 출원일의 이점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처리 및 반도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층간 유전체(ILD)와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트렌치 및 비아(via)를 포함하는, 충전된 함입형 형상부(recessed feature)를 포함한다. 금속 화학 기상 증착(CVD) 중에, 유전체 재료 상의 금속 핵 생성은 일반적으로 불량하다. 이러한 문제는 금속 CVD 전에 1 내지 1.5 mm 두께의 TiN 또는 TaN과 같은 라이너를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켜 해결할 수 있다. 라이너는 양호한 핵 생성 표면 및 금속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제공하지만, 라이너가 있으면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될 수 있는 금속의 양이 줄어들고 또한, 함입형 형상부의 하단부에 고 전기 저항 층이 생긴다. 따라서, 라이너의 두께를 더 줄이거나 라이너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함입형 형상부의 무-공극(void-free) 금속 충전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방법은 제1 층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핵 생성 증강 층을 함입형 형상부의 제1 층의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금속 층은 제2 층 및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방법은 제1 층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초기 금속 층을 함입형 형상부의 제2 층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그 후에, 핵 생성 증강 층을 함입형 형상부의 제1 층의 측벽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금속 층은 초기 금속 층 및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방법은, 유전체 재료 내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접촉 금속을 유전체 재료 및 제2 층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접촉 금속이 반응하여 유전체 재료 상에서 금속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금속 산화물 층을 함입형 형상부의 유전체 재료의 측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핵 생성 증강 층을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금속 층은 접촉 층 및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 및 이의 수반되는 많은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의 Ru 금속 충전에 관한 투과 전자 현미경(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저-저항률 금속을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함입형 형상부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한 그리고 복잡한 형상부, 예를 들어 비아, 트렌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금속 충전에서 공극을 형성하지 않고는 충전하기가 어려운 미세 함입형 형상부의 양호한 무-공극 금속 충전을 제공한다. 방법은 저-저항률 금속으로 함입형 형상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증착되는 저-저항률 금속은 예를 들어 Ru 금속, Co 금속, W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금속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패터닝된 기판(1)은 제1 층(100)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110)(예를 들어, 비아 홀) 주위에서 필드 영역(101)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함입형 형상부(110)는 중첩 패터닝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이방성 건식 에칭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함입형 형상부(110)는 측벽(103), 및 함입형 형상부(1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노출 표면(104)을 가지는 제2 층(102)을 포함한다. 패터닝된 기판(1)은 에칭 정지 층(109)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1 층(100)은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고, 제2 층(102)은 금속 층을 포함한다. 유전체 재료는 예를 들어, SiO2, SiN, SiCO, SiCN, 저-유전 상수(저-k) 재료, 예를 들어 불소화 규소 유리(FSG), 탄소 도핑된 산화물, 폴리머, SiCOH-함유 저-k 재료, 비-다공성 저-k 재료, 다공성 저-k 재료, CVD 저-k 재료, 스핀-온 유전체(SOD) 저-k 재료, 또는 고-유전 상수(고-k)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함입형 형상부(110)의 폭(임계 치수(CD))은 약 10 nm 내지 약 100 nm, 약 10 nm 내지 약 20 nm, 약 20 nm 내지 약 90 nm, 또는 약 40 nm 내지 약 80 nm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함입형 형상부(110)의 깊이는 약 40 nm 내지 약 200 nm, 또는 약 50 nm 내지 약 150 nm일 수 있다. 그러나, 방법은 또한 더 작거나 더 큰 CD를 갖는 함입형 형상부를 무-공극 금속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그리고 함입형 형상부(110)는 약 2 내지 약 20 또는 약 4 내지 약 6의 종횡비(깊이/폭)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102)은 Cu 금속, Ru 금속, Co 금속, W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저-저항률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층(102)은 둘 이상의 적층된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된 금속 층의 예는, Cu 금속 상의 Co 금속(Co/Cu), 및 Cu 금속 상의 Ru 금속(Ru/Cu)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제1 층(100)은 SiO2를 포함하고, 제2 층(102)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MOL(middle-of-line)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구조물인, W 금속 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방법은, 제2 층(102)의 노출 표면(104)을 화학적으로 환원시키고 임의의 남아 있는 에칭 잔류물을 함입형 형상부(11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패터닝된 기판(1)을 H2-함유 가스에 노출시키는 세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H2-함유 가스는 H2 가스로 구성될 수 있거나, H2 가스 및 Ar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단계는 H2-함유 가스의 플라즈마 여기와 함께 또는 플라즈마 여기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정 단계는 패터닝된 기판(1)을 약 250℃ 내지 약 400℃의 기판 온도, 약 250 mTorr 내지 약 7 Torr의 가스 압력에서 약 30초 내지 약 60초의 시간 동안 H2 가스 및 Ar 가스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2 층(102)은 Cu 금속 또는 W 금속을 포함하고, 세정 단계는 CuOx 또는 WOx 표면 종(surface species)을 상응하는 원소 금속으로 화학적으로 환원시키고, 그에 따라 최종 소자에서 전기 저항을 감소시킨다.
방법은 핵 생성 증강 층을 패터닝된 기판(1)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핵 생성 증강 층은 측벽(103) 및 제1 층(100)의 필드 영역(101) 상에서의 양호하지 못한 성장 표면을 기상 증착에 의해 후속 금속 증착을 위한 양호한 성장의 표면으로 변환한다. 이는, 금속 증착이 핵 생성 증강 층 및 함입형 형상부(110)의 제2 층(102)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함입형 형상부(110)의 무-공극 금속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핵 생성 증강 층은 통상적인 TiN 및 TaN의 증착된 라이너보다 얇고, 그에 따라 핵 생성 증강 층을 이용할 때,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될 수 있는 금속의 양이 더 많아진다. 또한, 라이너가 없기 때문에 고 전기 저항 층이 함입형 형상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핵 생성 증강 층은 먼저 핵 생성 차단 층을 형성하고, 그 후에 핵 생성 차단 층을 핵 생성 증강 층으로 변환함으로써 형성된다.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는 것은 패터닝된 기판(1)을 반응물 가스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핵 생성 차단 층(120)을 측벽(103) 상에 그리고 제1 층(100)의 필드 영역(101) 상에 형성한다. 이러한 것이 도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반응물 가스는, 제1 층(100) 상의 금속의 증착을 방해하지만 제2 층(102)은 개질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표면 개질제(surface modifier)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반응물 가스는, 기판 상에서 자가-조립 단일층(SAM)을 형성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한다. SAM은, 흡착에 의해서 기판 표면 상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고 다소 큰 규칙적인 도메인(ordered domain)으로 조직화되는, 분자 조립체이다. SAM은, 헤드 그룹, 테일 그룹, 및 기능적 단부 그룹을 가지는 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SAM은 상온 또는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기상으로부터 기판 상으로의 헤드 그룹(head group)의 화학흡착에 의해서, 그리고 그 후의 테일 그룹의 느린 조직화에 의해서 생성된다. 초기에, 표면 상의 낮은 분자 밀도에서, 흡착물 분자가 분자의 불규칙적인 덩어리를 형성하거나 규칙적인 2차원 "쌓이는 상(lying down phase)"을 형성하고, 더 큰 분자 커버리지가, 수 분 내지 수 시간의 기간에 걸쳐, 3차원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구조물(semicrystalline structure)을 기판 표면 상에 형성한다. 헤드 그룹이 기판 상에서 함께 합쳐지는 반면, 테일 그룹은 기판으로부터 먼 곳에서 합쳐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SAM을 형성하는 분자의 헤드 그룹은 티올, 실란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의 예는, C, H, Cl, F, 및 Si 원자, 또는 C, H, Cl, 및 Si 원자를 포함하는 분자를 포함한다. 그러한 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는 퍼플루오로데실트리클로로실란(CF3(CF2)7CH2CH2SiCl3), 퍼플루오로데칸티올(CF3(CF2)7CH2CH2SH), 클로로데실디메틸실란(CH3(CH2)8CH2Si(CH3)2Cl), 및 삼차부틸(클로로)디메틸실란((CH3)3CSi(CH3)2C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반응물 가스는, 알킬 아민 실란, 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알킬 알콕시실록산, 알킬 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킬 알콕시실록산, 아릴 실란, 아실 실란, 아릴 실록산, 아실 실록산, 실라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반응물 가스는, 디메틸실란 디메틸아민(DMSDMA), 트리메틸실란 디메틸아민(TMSDMA), 비스(디메틸아미노) 디메틸실란(BDMADMS), 및 다른 알킬 아민 실란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반응물 가스는, N,O 비스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르아세트아미드(BSTFA) 및 트리메틸실릴-피롤(TMS-피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반응물 가스는 실라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라잔은 포화 규소-질소 수소화물이다. 이들은 --O--를 치환하는 --NH―를 갖는 실록산과 구조가 유사하다. 유기 실라잔 전구체는, Si 원자(들)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알킬기는 페닐기와 같은 고리모양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또한, 알킬기는 비닐기일 수 있다. 디실라잔은 규소 원자에 부착된 1개 내지 6개의 메틸기를 갖거나 규소 원자에 부착된 1개 내지 6개 에틸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규소 원자에 부착된 메틸기 및 에틸기의 조합을 갖는 디실라잔 분자이다. 디실라잔의 예는 헥사메틸디실라잔(HMDS) 및 트리메틸디실라잔(TMDS)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제1 층(100)은 SiO2 층을 포함하고, TMSDMA를 함유하는 반응물 가스는 SiO2 층 상의 친수성 히드록시기(-OH)와 반응하여 SiO2 층 상의 소수성 -SiMe3기를 포함하는 핵 생성 차단 층(120)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로 패턴화된 기판(1)을 처리하여 핵 생성 차단 층(120)을 개질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H2 가스는 Ar 가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iO2 층상의 -SiMe3기의 경우,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에 대한 노출이 Me기의 하나 이상을 제거하여, -SiMex기(x<3)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새로운 흡착 부위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후에, 이 방법은 H2O 증기로 패터닝된 기판(1)을 처리하여 히드록시기(-OH)를 개질된 핵 생성 차단 층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도 1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핵 생성 증강 층(122)을 생성한다. 일 예에서, H2O 증기 노출은 약 160℃의 기판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SiO2 층 상의 -SiMex기의 경우, H2O 증기에 대한 노출은 -SiCOH 또는 -SiCOOH 표면 종을 SiO2 층 상에서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H2O 증기 노출 후에, H*-라디칼 세정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잔류 H2O를 패터닝된 기판(1) 및 공정 챔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정 단계는 약 400℃의 기판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핵 생성 증강 층(122)은 플라즈마-여기된 질소-함유 가스로 핵 생성 차단 층(120)을 처리하여 함입형 형상부(110)의 제1 층(100)의 측벽(103)을 개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질소-함유 가스의 비제한적인 예는 NH3 가스, N2 가스, 또는 N2 가스 및 H2 가스를 포함한다. 질소-함유 가스는 Ar과 같이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가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핵 생성 증강 층(122)을 형성한 후에, 방법은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106)을 함입형 형상부(110)에 증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금속 층(106)은 제2 층(102) 상에 그리고 핵 생성 증강 층(122) 상에 증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1d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형 형상부(110)는 금속 층(106)에 의해서 공극없이 완전히 충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필드 영역(101) 상의 과적재된 금속은 에칭 또는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MP)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층(106)은 Ru 금속, Co 금속, 및 W 금속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Ru 금속은 CVD 또는 원자 층 증착(ALD)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Ru-함유 전구체의 예는, 트리루테늄 도데카카보닐(Ru3(CO)12), (2,4-디메틸펜타디에닐) (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 루테늄 (Ru(DMPD)(EtCp)), 비스(2,4-디메틸펜타디에닐) 루테늄 (Ru(DMPD)2), 4-디메틸펜타디에닐(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루테늄 (Ru(DMPD)(MeCp)), 및 비스(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 루테늄 (Ru(EtCp)2)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 및 다른 Ru 전구체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Ru 금속은 약 120℃ 내지 약 250℃ 사이의 기판 온도, 약 5 mTorr 내지 약 500 mTorr 사이의 가스 압력, 및 약 100초 내지 약 1000초 사이의 가스 노출 시간에서 CO 캐리어 가스 내의 Ru3(CO)12 전구체를 사용하여 CVD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의 Ru 금속 충전에 관한 TEM 이미지를 도시한다. 함입형 형상부는 유전체 재료(500)에 형성되었고, 상단부 부근에서 약 24.7 nm의 폭 및 금속 층(502) 위의 하단부 부근에서 약 11.5 nm의 폭을 갖는다. TMSDMA를 함유하는 반응물 가스를 사용하여 측벽 상에 그리고 필드 영역 상에 핵 생성 차단 층을 형성하였고, 핵 생성 증강 층은 핵 생성 차단 층을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에 노출시키고, 이어서 H2O 증기에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었다. Ru 금속(506)은 약 155℃의 기판 온도, 약 20 mTorr의 가스 압력, 및 약 600초의 가스 노출 시간에서 CO 캐리어 가스 내의 Ru3(CO)12 전구체를 이용하여 CVD에 의해서 증착되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의 패터닝된 기판(1)은 도 2a의 패터닝된 기판(2)으로 재현되었다. 패터닝된 기판(2)은 측벽(103) 상에서 그리고 제1 층(100)의 필드 영역(101) 상에서 핵 생성 차단 층(120)을 포함한다.
방법은 기상 증착에 의해 초기 금속 층(106a)을 패터닝된 기판(2)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초기 금속 층(106a)은 함입형 형상부(110)의 제2 층(102) 상에 우선적으로 증착되고, 초기 금속 층(106a)은 함입형 형상부(110)를 완전히 충전하지 않는다.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증착은 제2 층(102)에 대해서 완전히 선택적(selective)이지 않을 수 있고, 금속 핵(107a)이 측벽(103) 상에 그리고 필드 영역(101)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측벽(103) 및 필드 영역(101) 상의 적절한 핵 생성 부위의 부족으로 인해서, 금속 핵(107a)의 증착은 제2 층(102)에 비해서 시간 지연된다. 초기 금속 층(106a)과 달리, 금속 핵(107a)은 불연속적인 층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금속 핵(107a)의 증착된 금속의 총량은 초기 금속 층(106a)의 금속의 양보다 적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금속 핵(107a)이 측벽(103) 상에 그리고 필드 영역(101) 상에 형성되기 전에, 금속 증착이 중단될 수 있다.
방법은 금속 핵(107a)을 패터닝된 기판(2)으로부터 제거하여 초기 금속 층(106a)을 함입형 형상부(110)의 제2 층(102)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것이 도 2c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 핵이 너무 커지기 전에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가 더 어려워 지기 전에, 금속 증착을 중단시키고 금속 핵(107a)의 제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예에서, Ru 금속 핵(107a)은 오존(O3) 함유 에칭 가스 및 캐리어 가스를 이용하는 에칭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O3를 함유하는 에칭 가스에 대한 노출 후의 패터닝된 기판(2)의 분석은 제1 층(100)의 유전체 재료의 손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O3 함유 에칭 가스는 패터닝된 기판(2)을 포함하는 공정 챔버의 플라즈마 여기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거나, O3 함유 에칭 가스는 오존 생성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생성될 수 있고 O3는 공정 챔버로 유동되고, 이러한 공정 챔버에서 패터닝된 기판(2)에 노출된다.
그 후에, 에칭 가스에 노출시켜 금속 핵(107a)을 제거한 후에, 패터닝된 기판(2)을 H2-함유 가스에 노출시켜 초기 금속 층(106a)의 노출 표면을 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열-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2-함유 가스는 H2 가스로 구성될 수 있거나, H2 가스 및 Ar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열-처리 단계는 H2-함유 가스의 플라즈마 여기와 함께 또는 플라즈마 여기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열-처리 단계는 패터닝된 기판(2)을 약 300℃ 내지 약 350℃의 기판 온도, 약 250 mTorr 내지 약 7 Torr의 가스 압력에서 약 30초 내지 약 60초의 시간 동안 H2 가스 및 Ar 가스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초기 금속 층(106a)은 Ru 금속을 포함하고, 선택적인 제2 열-처리 단계는 임의의 RuOx 표면 종을 상응하는 Ru 원소 금속으로 화학적으로 환원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초기 금속 층(106a) 및 금속 핵(107)을 증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금속 핵(107a)을 제거하는 단계를 적어도 1차례 반복하여 함입형 형상부(110)의 초기 금속 층(106a)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방법은 또한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로 패턴화된 기판(2)을 처리하여, 함입형 형상부(110)의 초기 금속 층(106a) 위의 측벽(103) 상의 핵 생성 차단 층(120)을 개질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H2 가스는 Ar 가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후에, 이 방법은 H2O 증기로 패터닝된 기판(2)을 처리하여 히드록시기(-OH)를 개질된 핵 생성 차단 층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함입형 형상부(110)의 초기 금속 층(106a) 위에서 핵 생성 증강 층(122)을 생성한다. 이러한 것이 도 2d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SiO2 층 상의 -SiMex기의 경우, H2O 증기에 대한 노출은 -SiCOH 또는 -SiCOOH 종을 SiO2 층 상에서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H2O 증기 노출 후에, H*-라디칼 세정 단계를 수행하여 잔류 H2O를 패터닝된 기판(2) 및 공정 챔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정 단계는 약 400℃의 기판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106b)을 함입형 형상부(110)에 증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금속 층(106b)은 초기 금속 층(106a) 상에 그리고 측벽(103) 상의 핵 생성 증강 층(122) 상에 증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형 형상부(110)는 금속 층(106a 및 106b)에 의해서 완전히 충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과적재된 금속은 에칭 또는 CMP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에 설명된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에 설명된 방법보다 개선된, 좁은 고종횡비의 함입형 형상부의 무-공극 금속 충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함입형 형상부(110)의 체적의 일부가 금속 층(106a)으로 이미 충전된 후에 도 2d의 핵 생성 증강 층(122)이 측벽 표면(103) 상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함입형 형상부(110)를 완전히 충전할 때 필요한 부가적인 금속의 양을 줄이고 공극의 가능성을 줄인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패터닝된 기판(3)은 도 1a의 패터닝된 기판(1)과 유사하나, 제1 층(300)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310(예를 들어, 비아) 및 312(예를 들어, 트렌치))를 포함하는 함입형 형상부(314) 주위에서 필드 영역(301)을 포함하는 듀얼 다마신 구조물(dual damascene structure)을 포함한다. 함입형 형상부(312)는 측벽(303) 및 하단부(313)를 포함하고, 함입형 형상부(310)는 측벽(305), 및 노출 표면(304)을 갖는 제2 층(302)을 포함한다. 패터닝된 기판(3)은 에칭 정지 층(309)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제1 층(300)은 저-k 재료를 포함하고, 제2 층(302)은 Cu 금속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백-엔드-오브-라인(BEOL)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방법은 패터닝된 기판(3)을 H2-함유 가스에 노출시켜 제2 층(302)의 노출 표면(304)을 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세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2-함유 가스는 H2 가스로 구성될 수 있거나, H2 가스 및 Ar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단계는 H2-함유 가스의 플라즈마 여기와 함께 또는 플라즈마 여기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정은 패터닝된 기판(3)을 약 250℃ 내지 약 400℃의 기판 온도, 약 250 mTorr 내지 약 7 Torr의 가스 압력에서 약 30초 내지 약 60초의 시간 동안 H2 가스 및 Ar 가스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2 층(302)은 Cu 금속 또는 W 금속을 포함하고, 세정 단계는 CuOx 또는 WOx 표면 종을 상응하는 원소 금속으로 화학적으로 환원시키고, 결과적으로 최종 소자에서 전기 저항을 감소시킨다.
방법은 패터닝된 기판(3)을 반응물 가스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핵 생성 차단 층(320)을 측벽(303 및 305), 하단부(313), 그리고 제1 층(300)의 필드 영역(301) 상에 형성한다. 이러한 것이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핵 생성 차단 층의 형성은 도 1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되어 있다.
방법은 기상 증착에 의해 초기 금속 층(306a)을 패터닝된 기판(3)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초기 금속 층(306a)은 함입형 형상부(310)의 제2 층(302) 상에 우선적으로 증착된다. 도 3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증착은 완전히 선택적이지 않을 수 있고, 금속 핵(307a)은 측벽(303 및 305) 상에, 하단부(313) 상에, 그리고 필드 영역(301)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초기 금속 층(306a)과 달리, 금속 핵(307a)은 불연속적인 층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금속 핵(307a) 내의 금속의 총량은 초기 금속 층(306a) 내의 금속의 양보다 적다.
방법은 금속 핵(307a)을 패터닝된 기판(3)으로부터 제거하여 초기 금속 층(306a)을 함입형 형상부(310)의 제2 층(302)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것이 도 3d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 핵이 너무 커지기 전에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가 더 어려워지기 전에, 금속 증착을 중단시키고 금속 핵(307a)의 제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예에서, Ru 금속 핵(307a)은 오존(O3) 및 캐리어 가스를 함유하는 에칭 가스를 이용하는 에칭에 의해서 제거되었다. O3 함유 에칭 가스는 패터닝된 기판(3)을 포함하는 공정 챔버의 플라즈마 여기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거나, O3 함유 에칭 가스는 오존 생성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생성될 수 있고 공정 챔버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 챔버에서 패터닝된 기판(3)에 노출된다.
그 후에, 에칭 가스에 노출시켜 금속 핵(307a)을 이동시킨 후, 패터닝된 기판(3)을 H2-함유 가스에 노출시켜 초기 금속 층(306a)의 노출 표면을 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열-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2-함유 가스는 H2 가스로 구성될 수 있거나, H2 가스 및 Ar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열-처리 단계는 H2-함유 가스의 플라즈마 여기와 함께 또는 플라즈마 여기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정은 패터닝된 기판(3)을 약 300℃ 내지 약 350℃의 기판 온도, 약 250 mTorr 내지 약 7 Torr의 가스 압력에서 약 30초 내지 약 60초의 시간 동안 H2 가스 및 Ar 가스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초기 금속 층(306a)은 Ru 금속을 포함하고, 선택적인 제2 열-처리 단계는 임의의 RuOx 표면 종을 상응하는 Ru 원소 금속으로 화학적으로 환원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금속 층을 증착시키는 단계 및 금속 핵을 제거하는 단계를 적어도 1차례 반복하여 함입형 형상부(310)의 초기 금속 층(306a)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금속 층을 증착시키는 단계 및 금속 핵을 제거하는 단계는 함입형 형상부(310)가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방법은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로 패턴화된 기판(3)을 처리하여 함입형 형상부(110)의 초기 금속 층(306a) 위의 측벽(305) 상의, 측벽(303) 상의 그리고 함입형 형상부(312)의 하단부(313) 상의, 그리고 필드 영역(301) 상의 핵 생성 차단 층(320)을 개질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 후에, 이 방법은 H2O 증기로 패터닝된 기판(3)을 처리하여 히드록시기(-OH)를 개질된 핵 생성 차단 층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도 3e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금속 층(306a) 위에서 핵 생성 증강 층(322)을 생성한다. SiO2 층 상의 -SiMex기의 경우, H2O 증기에 대한 노출은 -SiCOH 또는 -SiCOOH 종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H2O 증기 노출 후에, H*-라디칼 세정 단계를 수행하여 잔류 H2O를 패터닝된 기판(3) 및 공정 챔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세정 단계는 약 400℃의 기판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306b)을 함입형 형상부(310)에 증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금속 층(306b)은 초기 금속 층(306a) 상에 그리고 핵 생성 증강 층(322) 상에 증착된다. 도 3f에 도시된 일 실시형태에 따라, 함입형 형상부(310 및 312)는 금속 층(306a 및 306b)으로 완전히 충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과적재된 금속은 에칭 또는 CMP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함입형 형상부에서 금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에서, 패터닝된 기판(4)은 제1 층(400)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410) 주위에서 필드 영역(401)을 포함한다. 함입형 형상부(410)는 측벽(403), 및 함입형 형상부(4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제2 층(402)을 포함한다. 제2 층(402)은 산화물 층(415)을 그 위에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제1 층(300)은 저-k 재료를 포함하고, 제2 층(402)은 에피텍셜 Si 또는 SiGe 층을 포함하고, 산화물 층(415)은 SiOx 또는 SiGeOx를 포함한다.
방법은, 산화물 층(415)을 제거하는 화학적 산화물 제거(COR)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산화물 제거는,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402) 상에서 깨끗한 표면(404)을 생성한다. 일 예에서, COR은 NH3 및 HF의 기체 노출, 이어서 휘발상 반응 부산물을 패터닝된 기판(4)으로부터 제거하는 열-처리를 포함한다.
방법은 접촉 금속을 패터닝된 기판(4) 상에 등각적으로(conformally) 증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촉 금속은 티타늄(Ti) 금속 또는 코발트(Co)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Ti 금속의 예에서, Ti 금속은 제1 층(400)의 표면 상의 산소와 반응하여 TiOx 층(423)을 측벽(403) 상에 그리고 필드 영역(401) 상에 형성하나, Ti 금속 층(425)은 깨끗한 표면(404) 상에 증착된다. 이러한 것이 도 4c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서, Ti 금속 층은 플라즈마-증강 CVD에 의해서 증착될 수 있다.
그 후에, 방법은 건식 에칭 공정에 의해 TiOx 층(423)을 측벽(403) 및 필드 영역(40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것이 도 4d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후에, 플라즈마-여기된 질소-함유 가스로 패터닝된 기판(4)을 처리하여 측벽(403) 및 필드 영역(401)을 개질함으로써, 핵 생성 증강 층(427)이 형성된다. 질소-함유 가스의 비제한적인 예는 NH3 가스, N2 가스, 또는 N2 가스 및 H2 가스를 포함한다. 질소-함유 가스는 Ar과 같이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가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핵 생성 증강 층(427)은 도 1c의 핵 생성 증강 층(122)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방법은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406)을 함입형 형상부(410)에 증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금속 층(406)은 Ti 금속 층(425) 상에 그리고 핵 생성 증강 층(427) 상에 증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4f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형 형상부(410)는 금속 층(406)에 의해서 공극없이 완전히 충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과적재된 금속은 에칭 또는 CMP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 내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실시형태에서 개시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명이 완전하다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구체적인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러한 설명 및 이하의 청구범위에는,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는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위와 같은 교시를 고려하여 다수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도면에 도시된 여러 구성 요소에 대한 등가의 다양한 조합 및 대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5)

  1. 반도체 디바이스 형성 방법으로서,
    제1 층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상기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핵 생성 증강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의 제1 층의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금속 층은 상기 제2 층 상에 그리고 상기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반응물 가스에 노출시켜 핵 생성 차단 층을 상기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화된 기판을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로 처리하여 핵 생성 차단 층을 개질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H2O 증기에 노출시켜 히드록시기를 상기 개질된 핵 생성 차단 층에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차단 층은 자가-조립 단일층(SAM)을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가스는, 알킬 아민 실란, 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알킬 알콕시실록산, 알킬 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킬 알콕시실록산, 아릴 실란, 아실 실란, 아릴 실록산, 아실 실록산, 실라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반응물 가스에 노출시켜 핵 생성 차단 층을 상기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화된 기판을 플라즈마-여기된 질소-함유 가스에 노출시켜 상기 핵 생성 차단 층을 개질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가스는, 알킬 아민 실란, 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알킬 알콕시실록산, 알킬 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킬 알콕시실록산, 아릴 실란, 아실 실란, 아릴 실록산, 아실 실록산, 실라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금속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형 형상부는 비아 홀, 및 상기 비아홀 위의 트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층은 상기 전체 비아 홀보다 덜 충전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Ru 금속, Co 금속, W 금속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금속 층은 Cu 금속, Ru 금속, Co 금속, W 금속,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반도체 디바이스 형성 방법으로서,
    제1 층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상기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초기 금속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의 제2 층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그 후에, 핵 생성 증강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의 제1 층의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금속 층은 상기 초기 금속 층 상에 그리고 상기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금속 층을 증착시키는 것은 금속 핵을 상기 제1 층의 측벽 상에 추가적으로 증착시키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금속 핵을 상기 측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을 증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핵을 제거하는 단계를 적어도 1차례 반복하여 상기 함입형 형상부의 초기 금속 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반응물 가스에 노출시켜 핵 생성 차단 층을 상기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화된 기판을 플라즈마-여기된 H2 가스로 처리하여 핵 생성 차단 층을 개질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H2O 증기에 노출시켜 히드록시기를 상기 개질된 핵 생성 차단 층에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차단 층은 자가-조립 단일층(SAM)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가스는, 알킬 아민 실란, 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알킬 알콕시실록산, 알킬 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킬 알콕시실록산, 아릴 실란, 아실 실란, 아릴 실록산, 아실 실록산, 실라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반응물 가스에 노출시켜 핵 생성 차단 층을 상기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화된 기판을 플라즈마-여기된 질소-함유 가스에 노출시켜 상기 핵 생성 차단 층을 개질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가스는, 알킬 아민 실란, 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알킬 알콕시실록산, 알킬 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킬 알콕시실록산, 아릴 실란, 아실 실란, 아릴 실록산, 아실 실록산, 실라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금속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형 형상부는 비아 홀, 및 상기 비아홀 위의 트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금속 층은 상기 비아 홀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방법.
  20. 반도체 디바이스 형성 방법으로서,
    유전체 재료 내에 형성된 함입형 형상부, 및 상기 함입형 형상부에서 노출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접촉 금속을 상기 유전체 재료 상에 그리고 상기 제2 층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접촉 금속이 반응하여 상기 유전체 재료 상에서 금속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산화물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의 유전체 재료의 측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핵 생성 증강 층을 상기 측벽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기상 증착에 의해 금속 층을 상기 함입형 형상부에 증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금속 층은 상기 접촉 금속 상에 그리고 상기 핵 생성 증강 층 상에 증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은 상기 함입형 형상부를 완전히 충전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금속이 Ti 또는 Co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증강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반응물 가스에 노출시켜 핵 생성 차단 층을 상기 측벽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화된 기판을 플라즈마-여기된 질소-함유 가스로 처리하여 상기 함입형 형상부의 제1 층의 측벽을 개질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핵 생성 차단 층은 자가-조립 단일층(SAM)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가스는, 알킬 아민 실란, 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알킬 알콕시실록산, 알킬 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킬 알콕시실록산, 아릴 실란, 아실 실란, 아릴 실록산, 아실 실록산, 실라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30747A 2021-03-16 2022-03-07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 KR202301563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61909P 2021-03-16 2021-03-16
US63/161,909 2021-03-16
PCT/US2022/019152 WO2022197479A1 (en) 2021-03-16 2022-03-07 Method for filling recessed fea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with a low-resistivity me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342A true KR20230156342A (ko) 2023-11-14

Family

ID=8328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747A KR20230156342A (ko) 2021-03-16 2022-03-07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01930A1 (ko)
JP (1) JP2024511023A (ko)
KR (1) KR20230156342A (ko)
TW (1) TW202242964A (ko)
WO (1) WO20221974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428B1 (ko) * 2009-03-03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US8945305B2 (en) * 2010-08-31 2015-02-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selectively forming a material using parylene coating
US10643893B2 (en) * 2016-06-29 2020-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rface area and Schottky barrier height engineering for contact trench epitaxy
US10629478B2 (en) * 2017-08-22 2020-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damascene formation with dielectric spacer and thin liner
US10867905B2 (en) * 2017-11-30 2020-12-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rconnect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923393B2 (en) * 2018-09-24 2021-02-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Contacts and interconnect structures in field-effect transistors
US11024535B2 (en) * 2018-10-10 2021-06-01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for filling recessed fea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with a low-resistivity met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01930A1 (en) 2022-09-22
JP2024511023A (ja) 2024-03-12
WO2022197479A1 (en) 2022-09-22
TW202242964A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6684B2 (ja) 半導体デバイス内の凹状特徴部を低抵抗率金属で充填する方法
US7541679B2 (en) Exposed pore sealing post patterning
TWI459470B (zh) 半導體裝置之表面清理與含金屬之覆蓋層的選擇性沈積
US7498242B2 (en) Plasma pre-treating surface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CN109860102A (zh) 互连结构及其形成方法
US7928006B2 (en) Structure for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248473A1 (en) Selective deposition of metal-containing cap layers for semiconductor devices
KR20180063317A (ko) 상호접속부를 위한 선택적 상향식 금속 피처 충전
US8173538B2 (en) Method of selectively forming a conductive barrier layer by ALD
US10373867B2 (en) Cobalt contact and interconnect structures
KR20230156342A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함입형 형상부를 저-저항률 금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
US20220139776A1 (en) Method for filling recessed fea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with a low-resistivity metal
TWI835883B (zh) 以低電阻率金屬填充半導體元件中之凹陷特徵部的方法
US20230274932A1 (en) Selective inhibition for selective metal deposition
JP2005064521A (ja) 集積回路の銅配線用拡散バリア
JP200614789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