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017A -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017A
KR20230141017A KR1020220040048A KR20220040048A KR20230141017A KR 20230141017 A KR20230141017 A KR 20230141017A KR 1020220040048 A KR1020220040048 A KR 1020220040048A KR 20220040048 A KR20220040048 A KR 20220040048A KR 20230141017 A KR20230141017 A KR 2023014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ight
sheet
transf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080B1 (ko
Inventor
한재형
Original Assignee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080B1/ko
Publication of KR2023014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10Combined ejecting and stripping-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30B15/2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preventing unintended ram movement, e.g. using b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이송시스템의 소재 이송 구간에 소재 안착판과 무게측정수단(Load Cell 등)을 설치하여 이송 소재의 무게가 낱장으로 측정(감지)되면 계속 이송하고 소재 무게가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소재 이송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소재 이송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고가의 금형이나 프레스기 등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며, 쿠션형 제1 완충구와 영구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제2 완충구로 이중 완충되게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에도 이송 소재의 무게가 에러없이 정확히 측정될 수 있도록 한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 형상과 크기와 무게를 가진 복수의 소재가 적층되는 소재적재장치와, 소재적재장치에 적재된 최상부 소재를 흡착한 다음 프레스기의 하부금형으로 이송 및 반입시킨 후 복귀하여 다음 번 소재를 이송을 준비하는 소재 이송시스템과, 소재 이송시스템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송 소재가 안착판에 소정시간 안착하면 무게측정수단으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되 낱장으로 측정되면 소재를 계속 이송하고, 소재 무게가 두장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한장 미만으로 측정되면 소재 이송을 중단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sheet of transfer material installed in a material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재 이송시스템의 소재 이송 구간에 소재 안착판과 무게측정수단(Load Cell 등)을 설치하여 이송 소재의 무게가 낱장으로 측정(감지)되면 계속 이송하고 소재 무게가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소재 이송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소재 이송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고가의 금형이나 프레스기 등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며, 쿠션형 제1 완충구와 영구자석의 척력(斥力, 반발력)을 이용한 제2 완충구로 이중 완충되게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에도 이송 소재의 무게가 에러없이 정확히 측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press machine)는 금형을 사용해서 주로 재료를 굽힘, 교축, 전단 등의 소성가공을 실시하는 기계이며, 고정한 베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슬라이드, 프레임, 원동기, 동력전도기구 등으로 구성되며, 타발(성형)을 전후하여 프레스기의 금형으로 소재를 투입하는 반입공정과, 금형으로 반입된 소재를 타발 성형하는 타발공정과, 타발 성형된 소재를 금형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반출(배출)공정과, 반출된 소재를 다음 타발공정의 금형으로 이송하는 이송공정이 수반되므로 프레스기 주변, 또는 프레스 공정(라인)에는 소재를 흡착한 다음 프레스기의 금형으로 이송, 반입, 반출 및 이송 및/또는 배출시키는 프레스 소재 이송시스템이 설치 및 사용된다.
한편, 프레스 작업 현장(공정)에는 많은 진동과 충격이 발생된다. 특히 프레스의 상부금형이 하강하면서 하부금형으로 반입된 소재를 성형(타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진동이 발생되며, 이외에도 프레스 관련 기구와 장치들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소소한 진동이나 충격이 소재 이송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있어서 이송되는 소재의 로딩 여부를 감지하는 로드셀의 감지불량이 매우 높은 편이다.
예컨대, 소재의 크기와 무게가 큰 경우에는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소재의 감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소재의 크기와 무게가 작은 경우에는 소재 이송 테이블 위로 소재가 로딩(Loading)되더라도 진동과 충격에 의해 로드셀의 오감지가 빈번하여 2장의 소재가 한꺼번에 금형으로 반입되면서 고가의 금형이나 프레스 및 소재가 파손되거나 손상될 뿐 아니라, 소재의 로딩이 정상 감지될 때까지 전체 프레스 공정이 대기 상태로 유지되면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2406호(발명의 명칭: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이송방법, 2010년 9월 20일,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370호(발명의 명칭: 소재 이송용 그립퍼, 2012년 5월 14일, 특허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6942호(발명의 명칭: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2012년 9월 28일, 특허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재 이송시스템의 소재 이송 구간에 무게측정수단(로드셀 등)을 설치하여 이송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소재의 낱장 여부를 신속히 감지(판별)하여 처리함으로써 소재 이송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쿠션형 제1 완충구와 영구자석의 척력(斥力)을 이용한 제2 완충구로 이중 완충되게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에도 소재의 무게가 정확히 측정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소정 형상과 크기와 무게를 가진 복수의 소재가 적층되는 소재적재장치; 소재적재장치에 적재된 최상부 소재를 흡착한 다음 프레스기의 하부금형으로 이송 및 반입시킨 후 복귀하여 다음 번 소재를 이송을 준비하는 소재 이송시스템; 소재 이송시스템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송 소재가 안착판에 소정시간 안착하면 무게측정수단으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되 낱장으로 측정되면 소재를 계속 이송하고, 소재 무게가 두장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한장 미만으로 측정되면 소재 이송을 중단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는, 소재 이송시스템의 텐테이블 상부면 또는 LM 가이드 고정블럭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는, 좌우 한 쌍의 수직판과, 수직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상부면 모서리 부근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완충구 및 복수의 제2 완충구와, 제1, 2 완충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지지판과, 완충지지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무게측정수단과, 무게측정수단의 센싱부에 설치되는 무게 측정판과, 수평판의 전후 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측판과, 측판의 내측에 고정되는 수직 안내판과, 완충지지판과 수직 안내판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이격거리의 틈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안내판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절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판과 완충지지판이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0.5~10㎜의 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완충구는, 무게측정수단이 고정되는 완충지지판과 수평판 사이의 네모서리 부분에 배치하되, 수직 축봉 외면에 기둥형상의 쿠션재가 고정되고, 수직 축봉의 상부는 완충지지판에 형성되는 수직 통공에 헐겁게 끼워져 지지되고, 수직 축봉의 하부는 수평판에 형성되는 요입홈에 결합되어 위치이탈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구는, 무게측정수단이 고정되는 완충지지판과 수평판 사이의 네모서리 부분에 배치하되, 같은 극성이 마주보면서 척력(斥力)이 발생되는 상하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은, 저부면 모서리에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돌기와, 상부면에 고정되고 측정 대상 소재의 저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안착쿠션과,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에 볼트로 체결되는 복수의 지지봉과, 지지봉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향 절곡부와,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장방형의 받침판과, 받침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판의 저부면에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커버 및 복수의 볼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판과 측판 사이에 형성되는 5~50㎜의 이격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적재장치는, 적재된 소재를 간헐적으로 상승시켜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엘리베이터와 소재감지센서 및 제어기; 소재 이송시스템에 의해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가 아암 단부에 설치되는 그립퍼의 흡탈착구에 흡착된 다음 하부금형으로 이송 및 반입되면서 낮아진 소재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기로 입력하는 소재감지센서; 제어기는 엘리베이터를 상승 회전시켜 적재 소재 전체가 상승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재가 소재감지센서에 의해 상한 적재 위치까지 상승한 것으로 감지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켜 소재의 최상부 높이가 항상 일정 높이로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은, 기대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과, 평판의 상부면 중앙에 축설치되고 제1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LM 가이드와, LM 가이드에 미끄럼 결합되고 제2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소재를 목적지로 이송하는 이송테이블과, 이송테이블 일측에 설치되고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아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아암승강유니트와,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흡탈착구로 소재를 흡착 및 탈착하는 그립퍼와, 그립퍼 또는 흡탈착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소재의 흡착과 탈착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는, 이송 소재가 소정시간 안착하는 안착판과, 이송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과, 측정된 소재의 무게가 제어기의 메모리에 미리 입력 및 설정된 소재의 낱장 기준 무게와 비교 연산하여 기준 무게 범위이면 낱장으로 판단하고 그립퍼가 하강하여 소재를 흡착 및 상승하면서 하부금형으로 이송 반입하여 탈착하고, 소재가 탈착된 그립퍼는 제1, 2, 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소재적재장치로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를 반복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은, 복수의 소재가 적층된 소재적재장치의 최상부 소재를 흡착한 다음 후단에 위치하는 프레스기의 하부금형으로 이송 및 반입하고, 제1, 2, 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그립퍼가 소재적재장치로 전진 하강하여 적재된 최상부 소재를 흡탈착구로 흡착한 다음 상승 후진하다가 소재 낱장 감지장치의 안착판 위에 정지한 다음 하강하여 흡착 소재를 탈착함으로써 안착된 소재가 무게측정수단에 의해 순수 무게가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방법은, a)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송테이블과 아암이 전진하여 흡탈착구가 소재적재장치 위에 정지하는 단계와, b)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를 흡착하는 단계와, c) 흡탈착구가 소재를 흡착한 상태에서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상승하는 단계와, d)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후진 및 정지동작에 의해 소재를 흡착하고 있는 흡탈착구가 안착판 위에 정지하는 단계와, e)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안착판 위에 소재를 탈착시키는 단계와, f)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를 탈착시킨 흡탈착구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고 소재 낱장 감지장치의 무게측정수단이 안착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이 있음을 알람하고 정지하며, 측정한 소재의 무게가 낱장 범위로 판명되면 소재의 정상 이송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g)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무게 측정이 완료된 낱장의 소재를 흡착하고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낱장의 소재를 흡착한 흡탈착구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는 단계와, h) 제1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정회전 동작에 의해 낱장 소재를 흡착한 흡탈착구가 180°선회하고,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흡탈착구가 하부금형 위로 진입하는 단계와, i)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하부금형으로 낱장 소재를 탈착시켜 반입하고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가 탈착된 흡탈착구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는 단계와, j)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안착판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180°역방향 선회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 이송과 무게 측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로드셀(Load Cell) 등의 무게측정수단(8)이 설치되는 안착판(7)을 이용하여 이송 소재(1)응 소정시간 안착시켜 무게를 측정하되, 이송 소재(1)의 무게가 낱장으로 측정되면 계속 이송하고, 소재(1)가 두장 이상 겹쳐 이송되거나 규격 이하의 불량 소재여서 측정 무게가 낱장 무게 미만으로 측정되어 소재(1) 무게가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소재(1) 이송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상하부 금형(4)(9)이나 프레스기(3) 등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쿠션 완충방식의 제1 완충구(34)와 영구자석(35a)(35b)의 척력(斥力)을 이용한 제2 완충구(35)로 이중 완충되게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에도 무게측정수단(8)이 이송 소재(1)의 무게를 에러없이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 안내판(39)의 내측면에 절연판(40)이 부착되어 있어 무게측정수단(8)으로 유입될 수 있는 서지전압이나 정전기 등이 차단되면서 전기적인 충격이나 간섭이 방지되므로 소재(1)의 무게 측정 오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재 낱장 감지장치(6)에 의해 낱장의 소재(1)가 하부금형(4)으로 순차 반입되어 타발 성형되므로 두장 이상의 소재(1)가 서로 달라붙은 상태에서 하부금형(4)으로 반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타발 과부하 등에 의한 프레스기(3)와 상하부 금형(4)(9)의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되고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재 이송시스템(5)에 축설치되는 턴테이블(19)의 정역 회전운동과 이송테이블(26)의 직선왕복운동이 복합적으로 구현되면서 최단거리의 이동 동선으로 소재(1)의 이송과 반입(또는 반출)이 달성되므로 소재 이송효율이 극대화되고 진동과 소음 및 관성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종 프레스 공정에 최적화된 획기적인 소재(1) 이송 방법으로 낱장의 소재(1)를 신속히 이송할 수 있어 설비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종래 소재 이송장치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사용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작업환경에 맞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단거리의 이동동선으로 소재(1)를 이송 반입 및 반출할 수 있어 진동소음이 크게 감소되고 안정적이면서 신속한 소재 이송이 달성되어 이송효율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요부 정면 구성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안착판의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안착판과 소재 낱장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소재 낱장 감지장치에 안착판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 도 6의 측면도.
도 8 : 본 발명 도 7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9 : 본 발명 제1 완충구 및 제2 완충구의 배치 평면 예시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소재 낱장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이송테이블과 아암승강유니트의 사시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소재 이송시스템의 턴테이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소재 낱장 감지방법 순서도.
도 14 내지 도 23 : 본 발명에서 소재적재장치의 소재를 이송하면서 낱장여부를 측정한 후 하부금형으로 이송 및 반입하고 복귀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고 이송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낱장(1매) 여부를 판명(판단, 판별)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 예시도이고, 도 3은 그 요부 정면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도 14와 같이 소정 형상과 크기 및 두께와 무게를 가진 복수의 소재(1)가 적층되는 소재적재장치(2)와, 소재적재장치(2)에 적재된 최상부의 소재(1)를 흡착한 다음 프레스기(3)의 하부금형(4)으로 이송 및 반입시킨 후 복귀하여 다음 번 소재(1)를 이송하는 방법으로 소재(1)의 이송과 반입을 반복(연속이나 자동)하여 달성하는 소재 이송시스템(5)과, 소재 이송시스템(5)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송 소재(1)의 무게를 측정하여 낱장 여부를 판명(판별, 판단)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6)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적재장치(2)는, 적재된 소재(1)를 간헐적으로 상승시켜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엘리베이터(10)와 소재감지센서(11) 및 제어기(12)가 구비되며, 소재 이송시스템(1)에 의해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1)가 소재 이송시스템(5)의 아암(13) 단부에 설치되는 그립퍼(14)의 흡탈착구(15)에 의해 흡착된 다음 하부금형(4)으로 이송 및 반입되면서 소재 높이가 낮아지게 되며, 소재감지센서(11)는 이송된 소재(1)에 의해 적재 높이가 낮아진 것을 감지하여 제어기(12)로 입력하고, 제어기(12)는 엘리베이터(10)를 상승 회전시켜 적재 소재(1) 전체가 상승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재(1)가 소재감지센서(11)에 의해 상한 적재 위치까지 상승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기(12)는 엘리베이터(10)를 정지시켜 소재(1)의 상승이 멈추게 되므로 소재(1)의 최상부 높이가 항상 일정 높이로 유지된다. 따라서 소재 이송시스템(1)은 소재적재장치(4)의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1)를 원활하게 흡착시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1)은, 기대(16)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17)과, 평판(17)의 상부면 중앙에 축설치되고 제1 구동수단(18)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턴테이블(19)과, 턴테이블(19) 상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LM 가이드(21)(22)와, LM 가이드(21)(22)에 미끄럼 결합되어 직선 안내되고 제2 구동수단(23)의 회전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LM 가이드(21)(22)와 평행하게 설치된 랙기어(25)에 치합되는 피니언(24)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소재(1)를 이송하는 이송테이블(26)과, 이송테이블(26) 일측에 설치되고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아암(13)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아암승강유니트(28)와, 아암(13) 단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흡탈착구(15)로 소재(1)를 흡착 및 탈착하는 그립퍼(14)와, 그립퍼(14) 또는 흡탈착구(15)에 설치되고 소재(1)의 흡착과 탈착을 감지하는 근접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14)와 흡탈착구(15)는 턴테이블(19)에 의한 정역 회전운동과 이송테이블(26)의 직선 왕복운동이 복합적으로 구현되면서 최단거리의 이동 동선으로 소재(1)의 이송과 반입(또는 반출)이 달성되므로 소재(1) 이송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 그립퍼(14)는 이송 소재(1)의 변경이나 고장수리 등을 위하여 아암(13)으로부터 분리 및/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아암(13) 단부에 체결부재(29)로 체결되어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 소재(1)의 무게를 측정하여 낱장 여부를 감지(판별)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6)는, 텐테이블(19) 상부면 또는 상기 LM 가이드(21)(22)의 일측에 고정되고 이송중인 소재(1)가 안착판(7)에 소정시간 안착하면 무게측정수단(8)으로 소재(1)의 무게를 측정하되 낱장(1매)으로 측정되면 소재(1)를 계속 이송하고, 소재(1) 무게가 두장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한장 미만으로 측정되어(낱장보다 작은 크기이거나 얇은 두께를 가진 규격 이하의 소재 또는 다른 규격의 소재)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소재(1) 이송을 중단시켜 하부금형(4)으로 반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상하부 금형(4)(9)이나 프레스기(3)의 파손 및 손상 등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6)는, 소재(1)가 이송되는 구간에 위치하거나 설치되며, 이송중인 소재(1)의 순수 무게가 측정될 수 있도록 소정시간 안착하는 안착판(7)이 구비되며, 안착판(7)의 저부에는 로드셀(Load Cell)과 같은 무게측정수단(8)이 설치되어 안착 소재(1)의 무게가 측정된 다음 제어기의 메모리에 미리 입력 및 설정된 소재(1)의 낱장 기준 무게(기준값)와 비교 연산되며, 기준 무게 범위를 벗어나면 2장 이상이거나 불량 소재로 판단하여 경보되면서 이송이 중단되고, 측정된 소재(1)의 무게가 기준 무게 범위이면 낱장으로 판단되면서 그립퍼(14)가 하강하여 소재(1)를 흡착 및 상승하면서 하부금형(4)으로 반입하여 탈착하고, 소재(1)가 탈착된 그립퍼(14)는 제1, 2, 3 구동수단(18)(23)(27)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소재적재장치(2)로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1)를 반복 이송하게 된다.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6)는, 소재(1)가 이송되는 구간, 예컨대, LM 가이드(21)(22)가 고정되는 블럭(21a)(22a)의 측면이나 턴테이블(19)의 상부면 일측에 브라켓 등으로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판(31)(32)과, 수직판(31)(32)의 상부면(또는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판(33)과, 수평판(33)의 상부면 모서리 부근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완충구(34) 및 복수의 제2 완충구(35)와, 제1, 2 완충구(34)(35)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지지판(36)과, 완충지지판(3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로드셀(Load Cell) 등으로 구성되는 무게측정수단(8)과, 무게측정수단(8)의 센싱부(39)에 설치되고 소재(1)의 무게가 전달되는 무게 측정판(3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수평판(33)의 전후 좌우 가장자리 부분에는 소정 높이의 측판(38)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판(38)의 내측에는 수직 안내판(39)이 각각 고정되고 완충지지판(36)과 수직 안내판(39)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수직 안내판(39)과 완충지지판(36)의 접촉이나 마찰이 방지되며, 따라서 프레스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완충지지판(36)이 다소 간 상승 및 하강 운동하더라도 완충지지판(36)의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완충지지판(36)과 수직 안내판(39) 사이에 형성되는 틈은 소재 낱장 감지장치(6)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체로 1~10㎜의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안내판(39)의 내측면에는 소정 두께의 절연판(40)이 접착 또는 부착되어 무게측정수단(8)으로 서지전압이나 정전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전기적인 간섭이나 충격이 방지되면서 무게측정수단(8)이 보호되고 소재(1)의 무게 측정 오류가 방지된다.
상기 절연판(40)과 완충지지판(36) 사이에는 0.5~10㎜ 틈(41)을 형성함으로써 완충지지판(36)의 완충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절연 정도는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정판(37)과 측판(38) 사이에는 5~50㎜의 충분한 이격거리(L)를 유지함으로써 소재(1) 무게를 측정할 때 측정판(37)의 저부면이 측판(38)의 상부면에 접하지 않아 소재(1) 무게를 측정할 때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제1 완충구(34)는, 수직 축봉(34a) 외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쿠션재(34b)가 기둥형상으로 고정되거나 피복된 쿠션형 완충구로, 도 9와 같이 완충지지판(36)과 수평판(33) 사이의 네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무게측정수단(8)이 고정되는 완충지지판(36)을 완충 지지하게 되며, 수직 축봉(34a)의 상부는 완충지지판(36)에 형성되는 수직 통공(36a)에 헐겁게 끼워져 완충지지판(36)이 완충 지지되고, 수직 축봉(34a)의 하부는 수평판(33)에 형성된 요입홈(33a)에 결합되어 제1 완충구(34)의 위치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2 완충구(35)는, 같은 극성(N극 또는 S극)이 마주보면서 척력(斥力)이 발생되는 상하 한 쌍의 영구자석(35a)(35b)으로 구성되며, 도 9와 같이 완충지지판(36)과 수평판(33) 사이의 네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무게측정수단(8)이 고정되는 완충지지판(36)을 척력으로 완충 지지하게 된다.
상부 영구자석(35a)은 철금속인 완충지지판(36)의 저부면에 자력으로 흡착되거나 볼트와 너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 영구자석(35b)은 철금속인 수평판(33)의 상부면 자력으로 흡착되거나 볼트와 너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영구자석(35a)(35b)이 흡착되는 부분에는 소정 깊이의 요입홈(33b)을 각각 형성하여 영구자석(35a)(35b)이 결합 및 흡착되게 구성함으로써 영구자석(35a)(35b)의 위치이탈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형 제1 완충구(34)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영구자석(35a)(35b)의 척력(斥力)을 이용한 제2 완충구(35)에 의해 완충지지판(36) 및 완충지지판(3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무게측정수단(8)이 이중으로 완충되므로 프레스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에도 이송 소재(1)의 무게가 에러없이 정확히 측정된다.
본 발명에서 측정판(37)의 상부면에 탈부착되는 안착판(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판(7)은 측정판(37)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평행하는 구성이며, 측정판(37)의 모서리 부분에는 복수의 하향 요입홈(42)이 형성되고, 안착판(7)의 저부면 모서리에는 상기 요입홈(42)에 각각 결합되어 유동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같은 형상의 결합돌기(43)가 하향 돌출형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안착판(7)을 들어올리면 결합돌기(43)가 요입홈(4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탈착되고, 측정판(37)의 상부면에 안착판(7)을 결합시키면 결합돌기(43)들이 요입홈(42)에 각각 결합 부착되면서 안착판(7)의 유동과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안착판(7)의 상부면에는 측정 대상 소재(1)의 저부면이 안정적으로 수평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안착쿠션(44)이 소정간격이나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안착판(7)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소재(1)의 각 측면(변부)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45)이 상향돌출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45)은 안착쿠션(44)보다 바깥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대상 소재(1)의 저부면은 안착쿠션(44)에 지지되고, 소재(1)의 측면은 지지봉(45)에 의해 지지되면서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봉(45)의 높이는 안착쿠션(44)의 높이보다 2~5배 높게 구성하되 상부에 외향 절곡부(46)를 구성하여 무게 측정을 위하여 하강 안착되는 소재(1)가 안착판(7)의 중앙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봉(45)은 안착판(7)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소재(1)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위치와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테면, 지지봉(45)의 하단부에 장방형의 받침판(47) 일측이 고정되고, 받침판(47)의 길이방향으로 장공(48)이 형성되며, 안착판(7)의 상부면에 얹은 다음 안착될 소재(1)의 형상이나 크기 및 지지 방향, 지지 각도 등을 고려하여 지지봉(45)의 위치와 각도 등을 조절한 다음 피스 또는 볼트(49)로 안착판(7)에 형성된 소정의 나사구멍(도시 생략)에 체결시켜 고정하면 지지봉(45)이 고정된다.
상기 안착쿠션(44) 또한 피스 또는 볼트 등으로 안착판(7)에 형성된 소정의 나사구멍(도시 생략)에 체결시켜 고정함으로써 소재(1)가 안착 지지되며, 소재(1) 무게는 안착판(7)과 측정판(37)을 통하여 무게측정수단(8)으로 전달되어 무게 측정된다.
상기 안착판(7)에는 피스 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구멍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안착쿠션(44)과 복수의 지지봉(45)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재(1)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지지 위치와 지지 각도, 지지 방향 등을 결정할 수 있게된다.
상기 안착판(7)은 영구자석(50)의 흡자력을 이용하여 측정판(37)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철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측정판(37)의 저부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영구자석(50)을 끼운 다음 복수의 볼트(51)를 이용하여 커버(52)를 고정함으로써 영구자석(50)이 고정되고, 측정판(37)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안착판(7) 또한 철금속재로 구성함으로써 영구자석(50)의 흡자력에 의해 측정판(37)의 상부면에 안착판(7)이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되므로 이송 소재(1)의 방향이나 각도가 틀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직판(31)(32)에는 LM 가이드(21)(22) 고정블럭(21a)(22b)의 측면에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31a)(32a)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31)(32)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는 보강판(53)을 결합시켜 보강할 수 있으며, 수직판(31)(32)과 수평판(33) 사이에 보조 수평판(54)을 설치하여 소재 낱장 감지장치(6)의 전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 이송테이블(26)의 후방에는 소재 이송용 아암(13)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아암승강유니트(28)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아암승강유니트(28)은, 도 20과 같이 수직판(60)의 전면에 복수 LM 레일(61)(62)(63)과 볼스크류(64)가 수직으로 평행 설치되고, LM 레일(61)(62)(63)에 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는 LM 블럭(65)(66)(67)의 전면에는 아암(13)의 일측이 고정되고, 수직판(60)의 상하에 고정되는 브라켓(68)에는 볼스크류(64)의 상하 단부가 축설치되고, 볼스크류(64)의 하단부에는 피동 타이밍풀리(69)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피동 타이밍풀리(69)는 이송테이블(26)에 설치되는 제3 구동수단(27)의 회전축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동 타이밍풀리(70)와 타이밍벨트(71)로 연결되고, 볼스크류(64)에 나사결합되는 볼너트(도시생략)는 아암(13)에 고정되어 아암(13)이 볼너트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아암(13)의 선단부에는 소재(1)를 흡착 및 탈착하는 복수의 흡탈착구(15)와 소재감지센서(11)로 구성되는 그립퍼(14)가 체결부재(29)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립퍼(14) 및 흡탈착구(15)와 소재감지센서(11)의 교체 및/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테이블(26)의 저부면에는 LM 가이드(21)(22)의 레일 부분에 미끄럼 결합되는 복수의 LM 블럭(72)(73)이 설치된다.
상기 아암(13)의 중간에는 관절을 구성하여 그립퍼(14)를 소정각도로 꺾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 소재 또한 관절운동에 의해 소정각도로 꺾여 이송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13)의 내부에 회전축을 설치하되, 회전축의 후단부에 모터와 연결되는 감속기의 출력축을 축연결함으로써 소재(1)의 성형각도 또는 반입각도를 고려하여 아암(13)과 그립퍼(14)와 소재(1)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 또는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하부금형(4)으로 반입 또는 반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1은 소재 이송시스템(5)의 턴테이블(19) 부분 분해 사시도로, 평판(17) 상부면에 복수의 체결부재(75)로 고정되는 외부 고정링(76)과, 외부 고정링(76)의 내주면에 복수의 강철 볼로 결합되는 내륜(77)과, 내륜(78)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내륜 기어(79)와, 내륜(78)의 상부면에 복수의 체결부재(80)로 고정되는 턴테이블(19)과, 평판(17)의 저부에 고정되는 제1 구동수단(18)과, 제1 구동수단(1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내륜 기어(79)에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81)를 포함한다.
상기 내륜(77)의 상부면은 외부 고정링(76)의 상부면보다 소정높이, 이를테면 3~100㎜ 상승 돌출시켜 턴테이블(19)의 정역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강철 볼로 결합되는 외부 고정링(76)과 내륜(77)은 링기어(Ring Gear)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고정링(76)은 평판(17)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이고, 내륜(78)은 턴테이블(19)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회전체이며, 외부 고정링(76)과 내륜(78) 사이에 설치되는 강철 볼은 제1 구동수단(18)에 의해 내륜(78)이 회전할 때 구름운동하면서 내륜(78)의 원활한 회전을 도우면서 턴테이블(19)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내륜(77)은 내주면 전체에 내륜 기어(79)가 형성되면서 큰 내경의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내륜(77)은 외부 고정링(76)보다 5~100㎜ 높이로 상승 돌출시켜 턴테이블(19)의 회전할 때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 고정링(76)의 상부면에 턴테이블(19)을 얹은 다음 복수의 체결부재(80)로 체결시켜 고정함으로써 제1 구동수단(18)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하면 내륜 기어(79)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내륜 기어(79)에 치합된 내륜(77)과 내륜에 고정된 턴테이블(19)이 역회전 또는 정회전하게된다.
상기에서 피니언기어(81)가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이에 치합된 내륜 기어(79)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내륜(77)과 내륜(77) 상부에 고정된 턴테이블(19)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된다.
상기 내륜(77)과 턴테이블(19) 사이에 보조링(82)을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링(82)은 내륜(77)과 턴테이블(19)의 평탄한 고정(결합) 또는 균일한 고정(결합)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고정(결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평판(17)의 상부면 양측에는 완충구(83)(84)가 설치되고, 턴테이블(19)의 저부면 일측에는 상기 완충구(83)(84)에 의해 턴테이블(19)이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스토퍼(85)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구(83)(8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업소버 또는 스프링, 또는 고무나 실리콘 완충구와 이들이 고정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턴테이블(19)은 상기 완충구(83)와 완충구(84) 사이 구간(회전 각도)을 정회전 및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각도는 180 ~ 270°일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19)은 소재(1) 이송거리를 감안한 길이의 LM 가이드(21)(22)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륜(77)에 고정되는 원형부 양측으로 소정 길이의 직선부가 돌출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19)의 상부면에는 전후 한 쌍의 LM 가이드(21)(22)와 하나의 랙기어(25)가 지지부재(21a)(22a)(86)로 고정되어 소정 높이로 유지되고, LM 블럭(72)(73) 상부면에는 이송테이블(26)이 설치되고, 이송테이블(26) 내부에는 제2 구동수단(23)이 설치되고, 제의 회전축에는 상기 랙기어(25)에 치합되는 헬리컬기어 또는 피니언(24)이 설치되며, 따라서 제2 구동수단(23)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26)이 LM 가이드(21)(2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내륜(77)과 외부 고정링(76)으로 구성되는 링베어링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턴테이블(19)이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진동, 유격에 의한 공차, 좌우 진동 등에 의한 제어 정밀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고, 유지보수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된다.
본 발명은 축부재를 겸하는 링베어링에 의해 턴테이블(19)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별도의 회전축을 구성할 필요없어 설치가 간편하며, 소재(1) 이송에 따른 무게중심이 크게 변화하더라도 턴테이블(19)이 수평으로 균일하게 지지되므로 원활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며, 턴테이블(19)이 일측으로의 처짐이나 진동이 방지된다.
상기 이송테이블(26)의 후방에는 아암(13)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아암승강유니트(28)이 설치된다. 도 21의 미 설명부호 (87)은 보호 커버이고, (88)은 케이블 트레이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제3 구동수단(18)(23)(27)은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일 수 있으며, 센서의 도움없이 정밀 제어가 가능하며, 동력전달수단은 기어와 기어의 치합, 타이및풀리와 타이밍벨트의 결합, 체인과 체인기어의 결합으로 동력이 감속이나 증속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탈착구(15)는 전자석 흡착구 또는 진공흡착구이거나 이들의 복합형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소재 낱장 감지방법 순서도로, 소정 형상과 크기와 무게를 가진 복수의 소재(1)가 적층되는 소재적재장치(2)와, 상기 소재적재장치(2)에 적재된 최상부 소재(1)를 흡착한 다음 프레스기(3)의 하부금형(4)으로 이송 및 반입시킨 후 복귀하여 다음 번 소재를 이송을 준비하는 소재 이송시스템(5)과,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5)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송 소재(1)가 안착판(7)에 소정시간 안착하면 무게측정수단(8)으로 안착 소재(1)의 무게를 측정하되 낱장으로 측정되면 소재(1)를 계속 이송하고, 소재(1) 무게가 두장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한장 미만으로 측정되면 소재 이송을 중단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6)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5)은, 복수의 소재(1)가 적층된 소재적재장치(2)의 최상부 소재(1)를 흡착한 다음 후단에 위치하는 프레스기(3)의 하부금형(4)으로 이송 및 반입하고, 제1, 2, 3 구동수단(18)(23)(27)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그립퍼(14)가 소재적재장치(2)로 전진 하강하여 적재된 최상부 소재(1)를 흡탈착구(15)로 흡착한 다음 상승 후진하다가 소재 낱장 감지장치(6)의 안착판(7) 위에 정지한 다음 하강하여 흡착 소재(1)를 탈착함으로써 무게측정수단(8)에 의해 소재(1) 무게가 신속하면서 정확히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6)는, 이송 소재(1)가 소정시간 안착하는 안착판(7)과, 이송 소재(1)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8)과, 측정된 소재의 무게가 제어기의 메모리에 미리 입력 및 설정된 소재의 낱장 기준 무게와 비교 연산하여 기준 무게 범위이면 낱장으로 판단하고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소재(1)를 흡착 및 상승하면서 하부금형(4)으로 이송 반입하고, 소재(1)가 탈착된 흡탈착구(15)는 제1, 2, 3 구동수단(18)(23)(27)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1)를 반복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송테이블(26)과 아암(13)이 전진하여 흡탈착구(15)가 소재적재장치(2) 위에 정지하는 단계(a 단계)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아암(13)과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1)를 흡착하는 단계(b 단계)와, 흡탈착구(15)가 소재(1)를 흡착한 상태에서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상승하는 단계(c 단계)와,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후진 및 정지동작에 의해 소재(1)를 흡착하고 있는 흡탈착구(15)가 안착판(7) 위에 정지하는 단계(d 단계)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안착판(7) 위에 소재(1)를 안착 및 탈착시키는 단계(e 단계)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1)를 탈착시킨 흡탈착구(15)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고 소재 낱장 감지장치(6)의 무게측정수단(8)이 안착된 소재(1)의 무게를 측정하여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이 있음을 알람하고 정지하며, 측정한 소재(1)의 무게가 낱장 범위로 판명되면 소재(1)의 정상 이송이 이루어지는 단계(f 단계)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무게 측정이 완료된 낱장의 소재(1)를 흡착하고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낱장의 소재(1)를 흡착한 흡탈착구(15)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는 단계(g 단계)와, 제1 구동수단(18)과 동력전달수단의 정회전 동작에 의해 낱장 소재(1)를 흡착한 흡탈착구(15)가 180°선회하고,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흡탈착구(15)가 하부금형(4) 위로 진입하는 단계(h 단계)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하부금형(4)으로 낱장 소재(1)를 탈착시켜 반입하고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1)가 탈착된 흡탈착구(15)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는 단계(i 단계)와,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안착판(7)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구동수단(18)과 동력전달수단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180°역방향 선회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 이송과 무게 측정을 반복하는 단계(j 단계)를 포함한다.
도 14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서 소재적재장치(2)의 소재(1)를 이송하면서 낱장여부를 측정한 후 하부금형(4)으로 이송 및 반입하고 복귀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 도 14는 소재 이송시스템(5)의 흡탈착구(15)가 안착판(7) 상부에 위치하는 초기 상태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송테이블(26)과 아암(13)이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여 흡탈착구(15)가 소재적재장치(2) 위에 정지한 상태이고, 도 16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아암(13)과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1)를 흡착한 상태이고, 소재감지센서(11)는 소재(1) 흡착을 감지하여 제어기로 입력하게된다.
도 17은 흡탈착구(15)가 소재(1)를 흡착한 상태에서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후진 동작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 및 정지함으로써 소재(1)를 흡착하고 있는 흡탈착구(15)가 안착판(7) 위에 정지한 상태이고, 도 18은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안착판(7) 위에 소재(1)를 안착 및 탈착시킨 상태이고, 도 19는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1)를 탈착시킨 흡탈착구(15)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고 소재 낱장 감지장치(6)의 무게측정수단(8)가 안착된 소재(1)의 무게를 소정시간 측정하여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이 있음을 알람하고 정지하며, 측정한 소재(1)의 무게가 낱장 범위로 판명(판단, 판별)되면, 소재(1)의 정상 이송이 이루어지게된다.
즉, 도 20과 같이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무게 측정이 완료된 낱장(정상)의 소재(1)를 흡착하고 소재감지센서(11)는 소재(1) 흡착을 감지하여 제어기로 입력하게되며, 제어기에 의해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낱장의 소재(1)를 흡착한 흡탈착구(15)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게된다.
도 21은 제1 구동수단(18)과 동력전달수단의 정회전 동작에 의해 무게 측정이 끝난 낱장 소재(1)를 흡착한 흡탈착구(15)가 180°선회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흡탈착구(15)가 하부금형(4) 위로 진입하고, 도 22와 같이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하강하여 하부금형(4)으로 낱장의 이송 소재(1)를 탈착시켜 반입한 다음 도 23과 같이 제3 구동수단(27)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1)가 탈착된 흡탈착구(15)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제2 구동수단(23)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안착판(7)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제1 구동수단(18)과 동력전달수단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15)가 180°역방향 선회하여, 도 14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 이송과 무게 측정이 반복하여 이루어지게된다.
본 발명의 소재 낱장 감지장치(6)는, 이송 중인 소재(1)를 안착판(7)에 소정시간 안착시켜 무게측정수단(8)으로 소재(1) 무게를 측정한 다음 소재의 기준무게값과 비교 연산하되 안착 소재(1)가 낱장으로 판명(판단, 판별)되면 소재(1)를 흡착 및 상승시킨 다음 프레스기(3)의 하부금형(4)으로 반입시킨 후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1)의 이송과 반입을 대기하고, 하부금형(4)으로 반입된 소재(1)는 상부금형(9)이 하강하여 타발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며, 안착 소재(1)의 무게가 낱장 무게 범위를 벗어나면 소재(1)의 이송을 중단함으로써 고가의 상하부 금형(4)(9)이나 프레스기(3)의 파손 및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평판(17) 상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19)의 정역회전운동과, 턴테이블(19) 상부에 설치되는 이송테이블(26)의 직선 왕복운동의 조합에 의해 최단거리의 이동 동선을 달성할 수 있어서 소재(1)의 이송과 반입/반출 효율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은 프레스 생산현장에서 생산설비의 변경이나 이설시 설치환경에 따라 간단하고 쉽게 변형이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서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설비투자, 비용절감 등 많은 장점이 있으며, 자동화 및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프레스 산업 관련 가공 생산공정에서 저비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아암(1)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내부 중공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을 축설치하면 소재(1)가 흡탈착되는 흡탈착구(15)를 소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 소재(1)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하거나, 소재(1)를 회전시키면서(기울이면서) 이송시키거나, 또는 소재(1)를 반전(180°회전)시키거나 반전시키면서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소재 (2)--소재적재장치
(3)--프레스기 (4)--하부금형
(5)--소재 이송시스템 (6)--소재 낱장 감지장치
(7)--안착판 (8)--무게측정수단
(9)--상부금형 (10)--엘리베이터
(11)--소재감지센서 (12)--제어기
(13)--아암 (14)--그립퍼
(15)--흡탈착구 (16)--기대
(17)--평판 (18)--제1 구동수단
(19)--턴테이블 (21)(22)--LM 가이드
(21a)(22a)--블럭 (23)--제2 구동수단
(24)--피니언 (25)--랙기어
(26)--이송테이블 (27)--제3 구동수단
(28)--아암승강유니트 (29)--체결부재
(30)--근접센서 (31)(32)--수직판
(33)--수평판 (33a)(33b)(42)--요입홈
(34)--제1 완충구 (34a)--축봉
(35a)(35b)(50)--영구자석 (35)--제2 완충구
(36)--완충지지판 (37)--측정판
(38)--이탈방지판 (39)--수직 안내판
(40)--절연판 (41)--틈
(43)--결합돌기 (44)--안착쿠션
(45)--지지봉 (46)--외향 절곡부
(47)--받침판 (48)--장공
(49)(51)--피스 또는 볼트 (52)--커버
(53)--보강판 (54)--보조 수평판
(60)--수직판 (61)(62)(63)--LM 레일
(64)--볼스크류 (65)(66)(67)(72)(73)--LM 블럭
(68)--브라켓 (69)(70)--타이밍풀리

Claims (11)

  1. 소정 형상과 크기와 무게를 가진 복수의 소재가 적층되는 소재적재장치;
    상기 소재적재장치에 적재된 최상부 소재를 흡착한 다음 프레스기의 하부금형으로 이송 및 반입시킨 후 복귀하여 다음 번 소재를 이송을 준비하는 소재 이송시스템;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송 소재가 안착판에 소정시간 안착하면 무게측정수단으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되 낱장으로 측정되면 소재를 계속 이송하고, 소재 무게가 두장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한장 미만으로 측정되면 소재 이송을 중단하는 소재 낱장 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는,
    소재 이송시스템의 텐테이블 상부면 또는 LM 가이드 고정블럭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재 낱장 감지장치는,
    좌우 한 쌍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상부면 모서리 부근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완충구 및 복수의 제2 완충구;
    상기 제1, 2 완충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지지판;
    상기 완충지지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무게측정수단;
    상기 무게측정수단의 센싱부에 설치되는 무게 측정판;
    상기 수평판의 전후 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내측에 고정되는 수직 안내판;
    상기 완충지지판과 수직 안내판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이격거리의 틈;
    을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내판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절연판;
    을 더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과 완충지지판 사이에 형성되는 0.5~10㎜의 틈;
    을 더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구는,
    무게측정수단이 고정되는 완충지지판과 수평판 사이의 네모서리 부분에 배치하되, 수직 축봉 외면에 기둥형상의 쿠션재가 고정되고, 수직 축봉의 상부는 완충지지판에 형성되는 수직 통공에 헐겁게 끼워져 지지되고, 수직 축봉의 하부는 수평판의 요입홈에 결합되어 위치 이탈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구는,
    무게측정수단이 고정되는 완충지지판과 수평판 사이의 네모서리 부분에 배치하되, 같은 극성이 마주보면서 척력이 발생되는 상하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저부면 모서리에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돌기;
    상부면에 고정되고 측정 대상 소재의 저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안착쿠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에 볼트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봉;
    상기 지지봉 상부에 형성되는 외향 절곡부;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장방형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을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측정판의 저부면에 형성되는 요홈;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커버 및 복수의 볼트;
    를 더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재 이송시스템은,
    기대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
    평판의 상부면 중앙에 축설치되고 제1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턴테이블;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LM 가이드;
    LM 가이드에 미끄럼 결합되고 제2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소재를 목적지로 이송하는 이송테이블;
    이송테이블 일측에 설치되고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아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아암승강유니트;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흡탈착구로 소재를 흡착 및 탈착하는 그립퍼;
    그립퍼 또는 흡탈착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소재의 흡착과 탈착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11. a)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이송테이블과 아암이 전진하여 흡탈착구가 소재적재장치 위에 정지하는 단계;
    b)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를 흡착하는 단계;
    c) 흡탈착구가 소재를 흡착한 상태에서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상승하는 단계;
    d)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후진 및 정지동작에 의해 소재를 흡착하고 있는 흡탈착구가 안착판 위에 정지하는 단계;
    e)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안착판 위에 소재를 탈착시키는 단계;
    f)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를 탈착시킨 흡탈착구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고 소재 낱장 감지장치의 무게측정수단이 안착된 소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낱장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이 있음을 알람하고 정지하며, 측정한 소재의 무게가 낱장 범위로 판명되면 소재의 정상 이송이 이루어지는 단계;
    g)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무게 측정이 완료된 낱장의 소재를 흡착하고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낱장의 소재를 흡착한 흡탈착구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는 단계;
    h) 제1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정회전 동작에 의해 낱장 소재를 흡착한 흡탈착구가 180°선회하고,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흡탈착구가 하부금형 위로 진입하는 단계;
    i)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하강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하강하여 하부금형으로 낱장 소재를 탈착시켜 반입하고 제3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재가 탈착된 흡탈착구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는 단계;
    j) 제2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전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안착판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흡탈착구가 180°역방향 선회 복귀하여 다음번 소재 이송과 무게 측정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방법.
KR1020220040048A 2022-03-31 2022-03-31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10261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48A KR102618080B1 (ko) 2022-03-31 2022-03-31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48A KR102618080B1 (ko) 2022-03-31 2022-03-31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017A true KR20230141017A (ko) 2023-10-10
KR102618080B1 KR102618080B1 (ko) 2023-12-27

Family

ID=8829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048A KR102618080B1 (ko) 2022-03-31 2022-03-31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85452A (zh) * 2024-04-03 2024-05-07 包头江馨微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磁体传送装填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06B1 (ko) 2009-12-28 2010-09-20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20120047370A (ko) 2010-11-02 2012-05-14 한재형 소재 이송용 그립퍼
KR101186942B1 (ko) 2010-11-01 2012-09-28 한재형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KR101639178B1 (ko) * 2015-06-09 2016-07-13 한재형 소재 감지 정확도가 향상된 소재 이송장치
KR101855726B1 (ko) * 2017-03-23 2018-05-09 한재형 무진동 소재 이송장치
KR102229196B1 (ko) * 2019-10-23 2021-03-25 한재형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프레스 소재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06B1 (ko) 2009-12-28 2010-09-20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101186942B1 (ko) 2010-11-01 2012-09-28 한재형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KR20120047370A (ko) 2010-11-02 2012-05-14 한재형 소재 이송용 그립퍼
KR101639178B1 (ko) * 2015-06-09 2016-07-13 한재형 소재 감지 정확도가 향상된 소재 이송장치
KR101855726B1 (ko) * 2017-03-23 2018-05-09 한재형 무진동 소재 이송장치
KR102229196B1 (ko) * 2019-10-23 2021-03-25 한재형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프레스 소재 이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85452A (zh) * 2024-04-03 2024-05-07 包头江馨微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磁体传送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080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406B1 (ko)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100956034B1 (ko)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KR101178422B1 (ko)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KR102229196B1 (ko)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프레스 소재 이송시스템
KR101606259B1 (ko) 트랜스퍼용 수평 운송 암 및 이 수평 운송 암이 적용된 트랜스퍼 로봇
KR102618080B1 (ko) 소재 이송시스템에 설치되는 이송 소재 낱장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CN105246664A (zh) 具备注塑物的重量感知功能的取出机器人
KR100586465B1 (ko) 파장형 스트로크 배가리프트장치
KR101286754B1 (ko)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방법
CN210162622U (zh) 一种Tray盘精定位输送机构
KR101186942B1 (ko)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KR101946396B1 (ko) 관통홀을 포함하는 트랜스퍼 로봇 그 트랜스퍼 로봇을 이용한 이송 시스템
KR101273607B1 (ko) 트레이 이송시스템
KR100950253B1 (ko) 웨이트 밸런싱 장치 및 방법
CN106391515B (zh) 瓷砖在线分拣装置
CN113155261B (zh) 一种物料运输及称重一体化检验***
KR102409342B1 (ko) 다축로봇을 이용한 다공정 프레스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316047U (zh) 瓷砖在线分拣装置的吸取机构及瓷砖在线分拣装置
KR101855726B1 (ko) 무진동 소재 이송장치
KR101892114B1 (ko) 패널 반송 장치
KR101194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JP4317544B2 (ja) 格納式支持装置
KR102610124B1 (ko) 소재 이송시스템의 턴테이블 지지장치
CN221252013U (zh) 一种轴承产品的定量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