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235A -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235A
KR20230135235A KR1020220032428A KR20220032428A KR20230135235A KR 20230135235 A KR20230135235 A KR 20230135235A KR 1020220032428 A KR1020220032428 A KR 1020220032428A KR 20220032428 A KR20220032428 A KR 20220032428A KR 20230135235 A KR20230135235 A KR 2023013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ing
landmarks
crown
individual teeth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가영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235A/en
Publication of KR2023013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2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generated from 3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and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It includes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and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Description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for correcting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using software for orthodontic simulation,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It's about devices.

치과 교정은 개별 치아의 이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치료인 만큼 그 이동에 앞서 개별치아의 기본적인 랜드마크 정보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과정이 치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더욱이 치아 교정 소프트웨어를 통한 치과 교정은 환자의 문제 상태를 파악하는 데부터 셋업 된 배열로 이동하기 위한 모든 과정이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기준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교정의 가장 필수적인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As orthodontic treatment is a treatment performed through the movement of individual teeth,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treatment is the process of accurately setting the basic landmark information of individual teeth prior to movement. Moreover, since the entire process of dental correction through orthodontic software from identifying the patient's problem status to moving to the set arrangement is based on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 clear definition of the standards is the most essential first step in orthodontics. It can be said to be a stage.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 지정은 소프트웨어의 도입으로 조금 더 정교하고 균일한 수동 지정 방식으로 개선되긴 하였으나, 이러한 수동 지정 방식은 점차 자동화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발전 상황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않다. Although landmark designation of individual teeth has been improved to a more precise and uniform manual designation method with the introduction of software, this manual designation method does not fully utilize the development of software that is gradually becoming automated.

또한, 기존의 소프트웨어 상에서는 다방면에서의 치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화면을 회전하는 등 추가적인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소프트웨어 상에서는 개별 치아들의 랜드마크 정보를 수정하기 위해 별도의 단계 또는 별도의 화면으로 전환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동시에 여러 방면에서 랜드마크의 수정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dditionally, existing software requires additional user manipulation, such as rotating the screen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teeth in various aspects. In addition, existing software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lot of user manipulation because it requires a separate step or switch to a separate screen to modify the landmark information of individual teeth.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modification status of the landmark from multiple directions at the same time.

따라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 상에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Therefore, in software for orthodontic simulation, there is a need to minimize user manipulation to specify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Additionally,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is required.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2925호(2021.07.27. 공개)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92925 (published on July 27, 20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orthodontic software that automatic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in software that provides a orthodontic simulation function, and allows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to be corrected with a simple operation by the user. It provides a simulation method and a device to implement 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 수정을 위해 별도의 화면으로 전환할 필요 없이 동일한 화면에서 랜드마크의 표시 및 수정이 가능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eeth correction that allows landmarks to be displayed and modified on the same screen without the need to switch to a separate screen to modify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in software that provides a tooth correction simulation function. It provides a simulation method and a device to implement 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서, 여러 방면에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that can provide an interface that can simultaneously check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in various aspects in software that provides an orthodontic simulation function, and how to implement this. To provide a device fo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은,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generated from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A step of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and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및 장축(Long axis) 랜드마크 중에서 하나 이상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step of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includes proximal landmarks, occlusion landmarks, and FACC (Facial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It may include a step of displaying one or more landmarks among the Axis of Clinical Crown and long axis landmarks.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a GUI that can modify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includes displaying a manipulation unit that can move or rotate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can do.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점 또는 상기 기준선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랜드마크를 수정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과, 상기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a GUI that can modify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includes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nd adjusting the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according to user input. It may include displaying a user modification area for modifying the landmark and a result confirmation area for displaying the modification result of the landmark.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에 대해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치관 중간 횡단면 및 루트 중간 횡단면을 표시하고, 상기 치관 중간 횡단면에 제1 중점과, 상기 루트 중간 횡단면에 제2 중점을 각각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중점 및 상기 제2 중점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중점과 상기 제2 중점을 연결한 장축(long axis)으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개별 치아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을 표시하고, 상기 협측면과 상기 근심측면에 상기 장축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includes displaying a crown mid-cross section and a root mid-cross sectio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for the individual tooth, Creating and displaying a first midpoint in the crown mid-cross section and a second midpoint in the root mid-cross section, adjusting the first midpoint and the second midpoin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first midpoint and Creating and displaying a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s a long axis connecting the second midpoint, and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mesial side of the individual tooth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and the buccal surface and the mesial sid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landmark of the long axis on the mesial side.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 내의 제1 분할선 및 제2 분할선에서 협 방면으로 가장 볼록한 포인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두 개의 포인트를 연결한 FACC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개별 치아의 교합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a GUI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includes gener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individual tooth, the crown Setting the most convex points in the narrow direction on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lines within the bounding box, generating and displaying a FACC connecting the two set points as a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nd the us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individual tooth in the correc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and mesial surfaces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분할 영역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근심점과,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분할 영역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원심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근심점 및 상기 원심점을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치관의 근심(mesial)측면 및 원심측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교합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a GUI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includes gener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individual tooth, the crown Setting the nearest mesial point in the inner direction within the occlusal direction division area of the bounding box and the nearest distal point in the outer direction within the occlusal direction division area of the crown boundary box, the mesial point and the distal point being set as Cre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displaying the mesial and distal sides of the crow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It can be included.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면에서 상기 개별 치아와 최근접한 절단 에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절단 에지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치관의 교합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a GUI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includes gener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individual tooth, the crown Setting a cutting edge closest to the individual tooth on the occlusal surface of a bounding box,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cutting edge as a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nd display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It may include displaying the buccal and mesial sides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for load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a storage for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generated from 3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It includes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a landmark of the tooth, and an operation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 수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이동 또는 회전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장축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FACC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프록시멀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오클루절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computing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method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dif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for moving or rotat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long-axis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FACC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the proximal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occlusion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ntended to comple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거나, 장치 내에 저장된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한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u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stored in the device. By creating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10,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사용자 단말(10)은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에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분석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의료진의 단말기로, 예컨대 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of a user or medical staff who wishes to analyz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for orthodontic treatment using software provided in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such as a PC, laptop, tablet, or smart phone. It can be implemented as follows.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한다. 이 때,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치아를 선택 시 자동으로 지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는 예컨대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및 장축(Long axis) 랜드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사용자가 치아를 선택 시 선택된 치아만 분리하여 표시하고, 해당 치아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거나 해당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G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다.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the user terminal 10 with information for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on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re preset and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nd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 tooth.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may include, for example, proximal landmarks, oclusal landmarks,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FACC), and long axis landmarks. When a user selects a tooth,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may separate and display only the selected tooth and provide a function to move or rotate the tooth or modify the landmark of the tooth. In addition,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data for display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to the user terminal 10, ,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user input to the GUI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이때,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의 수정하는 과정을 수정 이력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실시간 또는 이전 시점에서 저장된 수정 이력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modifying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can be saved as a modification history, and the modification history saved in real time or at a previous time can be provided as a lis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편리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nd displayed in software that provides an orthodontic simulation function. Additionally, it can provide a convenient screen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modify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지금까지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가 사용자 단말(10)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고, 그 결과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으나,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자체적으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과의 연결 없이 자립형(stand-alone) 단말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So far,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operate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results are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However,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is an individual device on its ow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unction of specify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teeth and displaying a GUI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In this case, it operates as a stand-alone terminal without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10. This can be understood as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Figure 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method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팅 장치(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컴퓨터 프로그램(105)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는 예컨대, 도 1에서 설명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컴퓨팅 장치(1)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버스(107)는 컴퓨팅 장치(1)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컴퓨팅 장치(1)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스토리지(10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0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1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01, a bus 107, a network interface 102, a memory 103 that loads a computer program 105 executed by the processor 101, and a computer. It may include a storage 104 that stores the program 105. The computing device 1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described in FIG. 1 . The processor 1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1. The processor 101 may perform operations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03 stores various data, instructions and/or information. Memory 103 may load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105 from storage 104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s 107 provide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between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1. The network interface 102 support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 Storage 104 may non-transitor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105. The computer program 105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mplementing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uter program 105 is loaded into the memory 103, the processor 101 can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프로세서(101)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뮬레이션 동작을 수행한다.The processor 101 receives user input for orthodontic simulation and performs simulatio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프로세서(101)는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The processor 101 receives 3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on the screen using the received scanning data.

프로세서(10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별 치아가 선택되면, 미리 설정되어 랜드마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선택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표시한다.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는, 예컨대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및 장축(Long axis) 랜드마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되어 랜드마크에 관한 정보는, 각각의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기준선 또는 기준점의 위치 및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an individual tooth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processor 101 automatically designates and displays the landmark of the selected individual too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using preset landmark information.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may include, for example, proximal landmarks, oclusal landmarks,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FACC), and long axis landmarks. At this time, the preset information about the landmar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setting of the reference line or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each landmark.

프로세서(101)는 화면에 표시되는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01)는 GUI를 통해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GUI를 통해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101 provides a GUI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ocessor 101 may receive user input to modify a predefined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to set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through a GUI. Additionally, the processor 101 may receive user input for moving or rotating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through the GUI.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01)는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조정함으로써 랜드마크를 수정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과,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01 displays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of an individual tooth and displays a user correction area for modifying the landmark by adjusting the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according to user input, and a correction result of the landmark. A result confirmation area can be display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지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지정하여 표시하고, 랜드마크 수정을 위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pu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re automatically designated and displayed using preset information without the user having to manually designate them, and the landmarks are displayed. A convenient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for mark mod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은 도 1의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동작의 수행 주체에 대한 기재가 생략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그 주체는 상기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임을 유의한다.The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by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of FIG. 1. Note that description of the subject performing some of the operations includ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and in such case, the subject is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동작 S31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in operation S31,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displays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generated from 3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1은, 개별 치아를 기준으로 정면, 측면, 및 교합면의 세 방향에서의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세 방향에서의 구강 구조의 이미지는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거나. 각각 별도의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operation S31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images of the oral structure in three directions - frontal, side, and occlusal - based on individual teeth. At this time, images of oral structures from three directions are displayed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Each may be displayed as a separate pop-up window.

다음으로, 동작 S32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표시한다. 예로서, 구강 구조내 구현된 치아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치아의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치아에 대해 하나 이상의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으나, 표시되는 랜드마크의 종류나 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및 설정 가능하다. 동작 S32는, 선택된 개별 치아의 분리 상태, 상기 개별 치아의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및 장축(Long axis)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in operation S32,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displays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cavity structure.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one of the teeth implemented in the oral structure, the landmark of the selected tooth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one or more landmarks may be displayed for the selected tooth, but the type or number of displayed landmarks can be changed and set by the user. Operation S32 determines the separation status of the selected individual tooth, the proximal landmark, the occlusion landmark, the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FACC), and the long axis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It may include a display action.

동작 S33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한다. In operation S33,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3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peration S33 may include displaying a manipulation unit that can move or rotate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또한, 동작 S33은,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조정함으로써 랜드마크를 수정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과,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peration S33 displays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of an individual tooth and adjusts the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according to user input to correct the landmark, a user correction area, and a result check that displays the correction result of the landmark. It may include actions that mark an area.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3은, 개별 치아에 대해 사용자 수정 영역에 치관 중간 횡단면 및 루트 중간 횡단면을 표시하고 치관 중간 횡단면에 제1 중점과, 루트 중간 횡단면에 제2 중점을 각각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중점 및 제2 중점을 조정하는 동작, 제1 중점과 제2 중점을 연결한 장축(long axis)으로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 결과 확인 영역에 개별 치아의 협측면((buccal side)과 근심측면(mesial)을 표시하고, 협측면과 근심측면에 장축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예로서, 동작 S33은,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동작, 크라운 경계 박스 내의 제1 분할선 및 제2 분할선에서 협 방면으로 가장 볼록한 포인트를 각각 설정하는 동작, 설정된 두 개의 포인트를 연결한 FACC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개별 치아의 교합(occlusal)면이 표시되고,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이 표시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할선 및 제2 분할선은, 크라운 경계 박스를 교합 방향으로 3분할했을 경우, 예를 들어 1/3 지점과 2/3 지점에서 정의될 수 있고, 그 분할선들의 분할 지점은 사용자에 의해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일 실시예로서, 동작 S33은,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분할 영역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근심점과,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분할 영역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원심점을 설정하는 동작, 근심점 및 상기 원심점을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치관의 근심측면 및 원심측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교합면이 표시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할 영역은, 크라운 경계 박스를 교합 방향으로 3분할했을 경우, 예를 들어 1/3 지점과 2/3 지점에서 정의될 수 있고, 그 분할 영역들의 분할 지점은 사용자에 의해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operation S33 is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rown mid-cross section and a root mid-cross section in a user modification area for an individual tooth, and generating and displaying a first midpoint in the crown mid-cross section and a second mid-point in the root mid-cross section, respectively. , an operation to adjust the first and second midpoints according to user input, an operation to create and display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s a long axi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idpoints, and an operation to display individual teeth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It may include the operation of marking the buccal side and mesial side of the tooth, and displaying long-axis landmarks on the buccal side and mesial side. As an embodiment, operation S33 is performed on individual teeth. An operation of cre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crown, an operation of setting the most convex points in the narrow direction on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lines within the crown boundary box, respectively, the set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a FACC connecting two points as a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nd display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individual tooth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the buccal surface and mesial side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This may include a display operation. At this time, the first dividing line and the second dividing line are defined at, for example, the 1/3 point and the 2/3 point when the crown boundary box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occlusal direction. may be, and the dividing points of the dividing lines may be differently defined by the user. As an embodiment, operation S33 is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an individual tooth, An operation of setting the nearest mesial point in the inner direction within the occlusal direction division area of the crown boundary box and the nearest distal point in the outer direction within the occlusal direction division area of the crown boundary box, the mesial point and the distal point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a landmark of an individual tooth,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mesial side and distal side of the crow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there is. At this time, when the crown boundary box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occlusal direction, the division area may be defined at, for example, the 1/3 point and the 2/3 point, and the division points of the division areas may be defined differently by the user. there is.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3은,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를 생성하는 동작,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면에서 상기 개별 치아와 최근접한 절단 에지(incisal edge)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절단 에지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치관의 교합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이 표시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peration S33 is an operation of cre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a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an individual tooth, and creating an incisal edge closest to the individual tooth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bounding box. An operation of setting, an operation of creating and displaying the cutting edge as a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nd display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and mesial sides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It may include actions that are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도 3의 단계들 중 동작 S31 및 동작 S32에 상응하는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개별 치아를 기준으로 정면(42), 측면(41), 및 교합면(43)의 세 방향에서의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세 방향에서의 구강 구조의 이미지는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개별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 shown in FIG. 4 corresponds to operations S31 and S32 among the steps in FIG. 3 . As shown,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duces images of the oral structure in three directions: the front 42, the side 41, and the occlusal surface 43, based on individual teeth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Display on the screen. At this time, images of the oral structure in three direc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ame screen or may be displayed through separate individual screens.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화면에 표시되는 세 방향의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치아의 분리 상태와, 개별 치아에 대한 복수의 랜드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랜드마크는,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423),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424),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422), 및 장축(Long axis) 랜드마크(4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can display the separation state of teeth and a plurality of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on images of oral structures in three directions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plurality of landmarks are a proximal landmark (423), an occlusion landmark (424), a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FACC) (422), and a long axis land. It may include a mark 421, etc.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에 있어, 여러 방면에서의 치아의 모습을 동일한 화면에서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교정을 위한 개별 치아의 분석을 위해 다양한 랜드마크를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orthodontic simul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and modify the appearance of teeth in various aspects on the same screen. Additionally, various landmarks can be used to analyze individual teeth for correction.

이하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는, 도 3의 단계들 중 동작 S33에 상응하는 예이다.The examples shown in FIGS. 5 to 9 below correspond to operation S33 among the steps in FIG. 3 .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이동 또는 회전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선택된 치아에 대해서 해당 치아를 기준으로 정면, 측면, 및 교합면의 세 방향에서의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Figure 5 is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for moving or rotat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displays images of the oral structure in three directions, front, side, and occlusal,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tooth, and displays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Landmarks can be displayed.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서 개별 치아가 선택되면, 치아 자체의 이동/회전을 제공하는 조작부(51, 52, 5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개별 치아에 대해 표시되는 랜드마크(521, 522, 523, 524)의 표시점 주변 위치에 커서가 위치하면,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랜드마크만 수정이 가능하도록 랜드마크 조작부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an individual tooth is selected on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may display manipulation units 51, 52, and 53 that provide movement/rotation of the tooth itself. In addition,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can only modify the landmark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ursors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around the marking points of the landmarks 521, 522, 523, and 524 displayed for individual teeth. A landmark control panel may be provided to do so.

즉,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조작부(51, 52, 5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별 치아 자체 또는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521, 522, 523, 524) 중 하나 이상의 랜드마크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moves one or more of the individual teeth themselves or the landmarks 521, 522, 523, and 524 of the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manipulation unit 51, 52, and 53. Or you can rotate it.

예로서, 조작부(51, 52, 53)는 상하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방향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동 수치 또는 회전 수치를 미리 지정하고, 마우스 한 클릭당 지정된 수치만큼 이동/회전을 반영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균일하게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정 후의 치아의 위치를 시뮬레이션 함에 있어,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적절한 위치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랜드마크 수정시에 연계된 다른 랜드마크가 자동으로 수정되는 경우, 다른 랜드마크 수정 사항이 해당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수정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수정 동의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다른 랜드마크 수정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수정된 랜드마크만 화면에 적용하고, 연계된 다른 랜드마크는 수정되지 않은 채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s 51, 52, and 53 may be implemented as direction buttons that can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landmark can be uniformly modified by specifying the movement or rotation value in advance and setting it to reflect the movement/rotation by the specified value per mouse click. Accordingly, when simulating the position of teeth after correction,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can be positioned at appropriate positions by moving or rotating the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left and right using the direction buttons. In addition, when one landmark is modified, other associated landmarks are automatically modified, other landmark modifica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notification mess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efore automatic modification or consent to modification may be provided. You can receive feedback on this. At this time, if you do not agree to modify other landmarks, only the modified landmark may be applied to the screen, and other associated landmark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out modification.

이상,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서 선택된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선택된 치아에 대한 독립적인 랜드마크별 수정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화면 영역을 결과 확인 영역과 사용자 수정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해당 명칭은 편의상 직관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각 명칭에 따라 해당 영역의 기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 확인 영역과 사용자 수정 영역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동일한 랜드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과 확인 영역에서 랜드마크에 대한 정보가 수정되면, 수정 사항이 자동으로 적용되어 사용자 수정 영역에 수정된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Above, the screen interface for modifying the landmark of a tooth selected on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Below, the screen interface for modifying the landmark for each independent tooth selected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creen area is explained by dividing it into a result confirmation area and a user modification area. However, the names are intended to be intuitively distinguished for convenience, and the functions of the area are not limited by each name. Since the same landmark is displayed from various aspects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and the user edit area,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landmark is modified in the result check area by the user's input, the modification is automatically applied and the modified mark is displayed in the user edit area. Landmarks may be displayed.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장축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개별 치아에 대한 복수의 랜드마크 중 장축(Long axis)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60)를 제공한다. GUI(60)은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고 결과 확인 영역(601)과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조정함으로써 랜드마크를 수정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60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6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long-axis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a GUI 60 that can modify a long axis landmark among a plurality of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The GUI 60 displays the result of modifying the landmark, displays a result confirmation area 601 and a reference point or base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and adjusts the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according to user input, thereby modifying the landmark. 602) may be included.

도시된 예에서, GUI(60)의 결과 확인 영역(601)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랜드마크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장축(Long axis)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예로서, 결과 확인 영역(601) 상에서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상악 우측 중절치(이하에서는 11번 치아로 명명함)에 대해, 치관 길이의 1/2 지점에 대응하는 단면의 제1 중점(62)과, 치아 루트 길이의 1/2 지점에 대응하는 단면의 제2 중점(61)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결과 확인 영역(601) 상에서 제1 중점(62)과 제2 중점(61)을 연결한 장축(63)이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랜드마크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협측면과 근심측면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11번 치아에 대해 지정된 장축 랜드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long axis landmark may be displayed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601 of the GUI 60 using preset loc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landmark. As an example, for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oth 11)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601, the first midpoint of the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1/2 of the crown length ( 62), and the second midpoint 61 of the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1/2 of the tooth root length can be set. At this time, the long axis 63 connecting the first midpoint 62 and the second midpoint 61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601 may be designated and displayed as a landmark. At this time, the long-axis landmark designated for tooth No. 11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buccal and mesial sides to facilitate landmark identification.

한편, 사용자 수정 영역(602)에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치관 길이의 1/2 지점에 대응하는 제1 단면(65)과, 치아 루트 길이의 1/2 지점에 대응하는 제2 단면(64)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면(65)에는 제1 중점(62)의 위치가 표시되고, 제2 단면(64)에는 제2 중점(61)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수정 영역(602)에 표시된 제1 중점(62) 및 제2 중점(61)의 위치를 수정하게 되면, 결과 확인 영역(601) 상에 수정된 결과가 실시간으로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602, for tooth No. 11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a first cross section 65 corresponding to 1/2 the crown length and a 1/2 point of the tooth root length A corresponding second cross section 64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midpoint 62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cross section 65,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midpoint 61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cross section 64.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midpoint 62 and the second midpoint 61 displayed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602 are modified, the modified result can be appli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601. there is.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FACC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개별 치아에 대한 복수의 랜드마크 중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70)를 제공한다. GUI(70)은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701)과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70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7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FACC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a GUI 70 that can modify a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FACC) landmark among a plurality of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The GUI 70 may include a result confirmation area 701 that displays the result of modifying the landmark and a user modification area 702 that displays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도시된 예에서, GUI(70)의 결과 확인 영역(701)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FACC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FACC landmark may be displayed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701 of the GUI 70 using preset information.

예로서, 결과 확인 영역(701) 상에서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를 가진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700)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기준 1/3 지점에서 협(buccal) 방면으로 가장 볼록한 제1 포인트(71)와, 크라운 경계 박스의 2/3 지점에서 협(buccal) 방면으로 가장 볼록한 제2 포인트(72)가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포인트(71)와 제2 포인트(72)를 연결한 FACC(73)이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결과 확인 영역(701)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랜드마크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협측면(76)과 근심측면(77)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11번 치아에 대해 지정된 FACC 랜드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for tooth No. 11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701, a crown bounding box (CBB) 700 with a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is created and displayed, , a first point 71 that is most convex in the buccal direction at 1/3 of the occlusal direction of the crown boundary box, and a second point 71 that is most convex in the buccal direction at 2/3 of the crown boundary box ( 72) can be set. At this time, the FACC 73 connecting the first point 71 and the second point 72 may be designated as a landmark and displayed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701. At this time, the FACC landmark designated for tooth No. 11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buccal surface 76 and the mesial surface 77 to facilitate confirmation of the landmark.

한편, 사용자 수정 영역(702)에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제1 포인트(71)의 위치가 표시된 교합면(74)과, 제2 포인트(72)의 위치가 표시된 교합면(75)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수정 영역(702)에 표시된 제1 포인트(71) 및 제2 포인트(72)의 위치를 수정하게 되면, 결과 확인 영역(701) 상에 수정된 결과가 실시간으로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702, an occlusal surface 74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7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72 are displayed for the 11th tooth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An occlusal surface 75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oint 71 and the second point 72 displayed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702 are modified, the modified result can be appli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701. there is.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프록시멀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개별 치아에 대한 복수의 랜드마크 중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80)를 제공한다. GUI(80)은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801)과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80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8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the proximal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a GUI 80 that can modify a proximal landmark among a plurality of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The GUI 80 may include a result confirmation area 801 that displays the result of modifying the landmark and a user modification area 802 that displays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도시된 예에서, GUI(80)의 결과 확인 영역(801)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프록시멀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roximal landmark may be displayed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801 of the GUI 80 using preset information.

예로서, 결과 확인 영역(801) 상에서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를 가진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8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기준 말단 지점에서부터 1/3 지점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지점으로 근심점(82)을 설정하고, 교합 방향 기준 말단 지점에서부터 1/3 지점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지점으로 원심점(81)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방향은 구강 구조 상의 정중선(미도시함)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 방향은 구강 구조 상의 정중선에서 먼 방향을 의미한다. 이처럼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근심점(82)과 원심점(81)에 대한 초기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for tooth No. 11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801, a crown bounding box (CBB) 800 with a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is created and displayed. . Then, the mesial point 82 is set as the closest point in the medial direction between the distal point based on the occlusal direction and the 1/3rd point of the crown boundary box, and the most recent point in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distal point and the 1/3rd point based on the occlusal direction is set. The centrifugal point 81 can be set as the point of contact. Here, the inner direction means a direction close to the midline (not shown) on the oral structure, and the outer direction means a direction far from the midline on the oral structure. In this way,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can set initial points for the mesial point 82 and the distal point 81.

그리고, 결과 확인 영역(801) 상에서 근심점(82)과 원심점(81) 각각이 프록시멀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랜드마크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치관의 협측면(86)과 교합면(87)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11번 치아에 대해 지정된 프록시멀 랜드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each of the mesial point 82 and the distal point 81 may be designated and displayed as a proximal landmark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801. At this time, a proximal landmark designated for tooth No. 11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directions of the buccal surface 86 and the occlusal surface 87 of the crown to facilitate confirmation of the landmark.

한편, 사용자 수정 영역(802)에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치관의 근심점(82)의 위치가 표시된 근심측면(84)과, 치관의 원심점(81)의 위치가 표시된 원심(distal)측면(85)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수정 영역(802)에 표시된 근심점(82) 또는 원심점(81)의 위치가 수정되면, 결과 확인 영역(801) 상에 수정된 결과가 실시간으로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802, the mesial side 84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esial point 82 of the crown for the 11th tooth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position of the distal point 81 of the crown The distal side 85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mesial point 82 or the centrifugal point 81 displayed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802 is modified, the modified result may be appli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801.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별 치아의 오클루절 랜드마크를 수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1)는 개별 치아에 대한 복수의 랜드마크 중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GUI(90)를 제공한다. GUI(90)은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901)과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90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9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 for modifying occlusion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1 provides a GUI 90 that can modify an occlusion landmark among a plurality of landmarks for individual teeth. The GUI 90 may include a result confirmation area 901 that displays the result of modifying the landmark and a user modification area 902 that displays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도시된 예에서, GUI(90)의 결과 확인 영역(901)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오클루절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occlusion landmark may be displayed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901 of the GUI 90 using preset information.

예로서, 결과 확인 영역(901) 상에서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를 가진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90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면에서 11번 치아와 최근접한 절단 에지(91)가 설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for tooth No. 11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901, a crown bounding box (CBB) 900 with a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is created and displayed. . And, the cutting edge 91 closest to tooth 11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boundary box can be set.

이 때, 결과 확인 영역(901) 상에서 절단 에지(91)가 오클루절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랜드마크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치관의 협측면(96)과 근심측면(97)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11번 치아에 대해 지정된 오클루절 랜드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utting edge 91 may be designated and displayed as an occlusion landmark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901.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landmarks, designated occlusion landmarks for tooth No. 11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buccal surface 96 and mesial surface 97 of the crown.

한편, 사용자 수정 영역(902)에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11번 치아에 대해, 절단 에지(91)의 위치가 표시된 교합면(94)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 수정 영역(902)에 표시된 절단 에지(91)의 위치가 수정되면, 수정된 결과가 실시간으로 적용되어 결과 확인 영역(901) 상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occlusal surface 94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edge 91 for the 11th tooth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displayed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902.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cutting edge 91 displayed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902 is modified by user input, the modified result may be appli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o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901.

한편,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선택된 치아에 대한 독립적인 랜드마크별 수정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정된 랜드마크와 밀접하게 연관된 다른 랜드마크가 자동으로 수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수정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수정 동의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랜드마크를 나타내는 탭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별도의 팝업 창을 통해 알림 메시지 또는 피드백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수정 동의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다른 랜드마크가 수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랜드마크에 대한 수정 미동의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랜드마크는 수정 전으로 정보가 유지될 수 있으며, 수정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6 to 9, on the independent landmark-specific modification screen interface for the selected tooth, when other landmarks closely related to the landmark modified by the user's input are automatically modified, the You can provide a notification message to users before modifications are made or request feedback on consent to modifications. For example, the color of tabs representing different landmarks can change, or notification messages or feedback requests can be provided through separate pop-up windows. At this time, when consent for modific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other landmarks may be automatically modified. Meanwhile, when non-consent to modification of another landmark is received,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landmark may be maintained as before modification, and a notification message about a situation that may occur if modification is not made may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화면으로 전환할 필요 없이 동일한 화면에서 랜드마크의 표시 및 수정이 가능하고, 여러 방면에서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landmarks can be displayed and modified on the same screen without the need to switch to a separate screen, and an interface can be provided that allows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to be confirmed simultaneously from various aspects. there is.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So fa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been mention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stall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and thus us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operati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In certain situ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requiring such separation,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must understand that it exis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technical ideas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In the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Displaying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generated from 3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and
Comprising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를 기준으로 정면, 측면, 및 교합면의 세 방향에서의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is,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images of the oral structure in three directions: frontal, lateral, and occlusal plane based on the individual teeth,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프록시멀(Proximal) 랜드마크, 오클루절(Occlusal) 랜드마크, FACC(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및 장축(Long axis) 랜드마크 중에서 하나 이상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includes: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one or more landmarks among the proximal landmarks, oclusal landmarks, FACC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and long axis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manipulation unit that can move or rotate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점 또는 상기 기준선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랜드마크를 수정하는 사용자 수정 영역과, 상기 랜드마크의 수정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확인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A user correction area for modifying the landmark by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landmark of the individual tooth and adjusting the reference point or reference line according to user input, and a result confirmation area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correction of the landmark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에 대해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치관 중간 횡단면 및 루트 중간 횡단면을 표시하고, 상기 치관 중간 횡단면에 제1 중점과, 상기 루트 중간 횡단면에 제2 중점을 각각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중점 및 상기 제2 중점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중점과 상기 제2 중점을 연결한 장축(long axis)으로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개별 치아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을 표시하고, 상기 협측면과 상기 근심측면에 상기 장축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Displaying a crown mid-cross section and a root mid-cross sectio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for the individual tooth, and generating and displaying a first midpoint in the crown mid-cross section and a second midpoint in the root mid-cross section, respectively;
adjusting the first midpoint and the second midpoin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gener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as a long axis connecting the first midpoint and the second midpoint; an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mesial side of the individual tooth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and displaying landmarks of the long axis on the buccal surface and the mesial side,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 내의 제1 분할선 및 제2 분할선에서 협 방면으로 가장 볼록한 포인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두 개의 포인트를 연결한 FACC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개별 치아의 교합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Cre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individual tooth;
setting the most convex points in the narrow direction at a first dividing line and a second dividing line within the crown boundary box, respectively;
generating and displaying a FACC connecting the two set points as a landmark for the individual tooth; an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individual tooth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mesi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분할 영역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근심점과,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 방향 분할 영역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최근접한 원심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근심점 및 상기 원심점을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치관의 근심측면 및 원심측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교합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Cre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individual tooth;
Setting a mesial point closest in the inner direction within the occlusal direction division area of the crown boundary box and a distal point closest in the outer direction within the occlusal direction division area of the crown boundary box;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mesial point and the distal point as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an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mesial side and distal side of the crow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최소 크기의 크라운 경계 박스(CBB: Crown Bounding Box)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경계 박스의 교합면에서 상기 개별 치아와 최근접한 절단 에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절단 에지를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정 영역에 상기 치관의 교합면이 표시되고, 상기 결과 확인 영역에 상기 치관의 협측면과 근심측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providing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that can modify the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Creating a crown bounding box (CBB) of the minimum size surrounding the crown of the individual tooth;
setting an incisal edge closest to the individual tooth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bounding box;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cutting edges as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an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in the user modification area and displaying the buccal surface and mesial side of the crown in the result confirmation area,
Orthodontic simulation method.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구강 구조를 스캐닝 하여 획득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구강 구조의 이미지 상에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자동 지정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개별 치아의 랜드마크를 수정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One or more processor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a memory that loads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Including storage for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is,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mage of the oral structure generated from 3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structure,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landmarks of individual teeth on the image of the oral structure, and
Contain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that provide a GUI including a plurality of manipulation tools capable of modifying landmarks of the individual teeth,
Computing device.
KR1020220032428A 2022-03-16 2022-03-16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202301352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28A KR20230135235A (en) 2022-03-16 2022-03-16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28A KR20230135235A (en) 2022-03-16 2022-03-16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35A true KR20230135235A (en) 2023-09-25

Family

ID=8819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28A KR20230135235A (en) 2022-03-16 2022-03-16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23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25A (en) 2020-01-17 2021-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rthodontic mod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25A (en) 2020-01-17 2021-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rthodontic mod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191B2 (en) Digital treatment planning by modeling inter-arch collisions
US10456224B2 (en) Method for guiding dental implant plan, apparatus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1195623B2 (en) Method for dental implant planning, apparatus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ame recorded thereon
JP5497766B2 (en) Tools for customized design of dental restorations
US11696816B2 (en) Orthodontics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20015328A1 (en) Library selection in dental prosthesis design
KR102236359B1 (en) Method for selecting tooth number using panoramic image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same
US20220331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argin line
KR102138919B1 (en) Method for adjusting prosthetic parameter and prosthetic CAD apparatus therefor
KR20230135235A (en) Method for simulat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102523821B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urgical simulations
JP6868255B2 (en) Abutment tooth formation support device
KR102422534B1 (en) Implant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2234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medical images
KR20220019150A (en) Method for picking insertion path setting interface and dental CAD device for same
KR20210009471A (en) Method for adjusting guide area for implant surgery and guide design apparatus thereof
KR102473722B1 (en) Method for providing section image of tooth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102474298B1 (en) Method for designing prosthetic model and apparatus thereof
KR20240038288A (en) Method for generating occlusal point of dental prosthesis,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102389747B1 (en) Method for guide design for implant surgery and apparatus thereof
KR20220156990A (en) Method for designing transparent orthodontic attachment and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304436B1 (en) Method for guide design for implant surgery and apparatus thereof
KR1025862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ing of teeth treatment
KR20240024545A (en) Method for generating cross-sectional image according to object adjustment,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202400483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