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777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777A
KR20230120777A KR1020220017415A KR20220017415A KR20230120777A KR 20230120777 A KR20230120777 A KR 20230120777A KR 1020220017415 A KR1020220017415 A KR 1020220017415A KR 20220017415 A KR20220017415 A KR 20220017415A KR 20230120777 A KR20230120777 A KR 2023012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part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무
이상화
장철훈
이봉재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777A/ko
Priority to US18/102,853 priority patent/US20230250224A1/en
Priority to CN202310047326.9A priority patent/CN116574361A/zh
Priority to EP23155541.8A priority patent/EP4227364A1/en
Publication of KR2023012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3 내지 33 중량부; 유리 섬유 60 내지 120 중량부;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1 : 0.02 내지 1 : 0.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blend) 등은 각각 유용한 특성을 나타내어, 전기 전자 제품의 내외장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만,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느리고, 기계적 강도가 낮으며, 내충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무기 필러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내충격성,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를 많이 하였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등의 무기 필러로 강화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소재의 경우, 자동차 부품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소재도 내충격성, 강성 등의 향상에 한계가 있으며,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8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3 내지 33 중량부; 유리 섬유 60 내지 120 중량부;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1 : 0.02 내지 1 : 0.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5 내지 1.5 dl/g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4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50 mm × 4 mm 크기 시편에 110℃에서 15 mm × 15 mm × 1 mm 크기로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H.B. Fuller社, EH9777BS)를 도포하고, 도포한 접착제 위에 25 mm × 25 mm × 3 mm(두께) 크기의 유리를 부착한 후, 25℃ 온도 조건 및 50% 습도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 방식의 낙추 평가 장비로 5 내지 100 cm 높이에서 50 내지 900 g의 추(dart)로 시편 5개를 타격하여 측정한 상기 시편이 유리와 탈착될 때의 평균 위치 에너지가 700 내지 870 mJ일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9095에 의거하여 측정한 알루미늄계 금속 시편에 대한 금속 접합력이 35 내지 50 MPa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20 kgf·cm/cm일 수 있다.
8.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재는 상기 8의 성형품으로 플라스틱 부재;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접하는 금속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접착하는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C) 유리 섬유; 및 (D)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특정 함량비의 유리 섬유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등과 디올 성분으로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등을 중축합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5 내지 1.5 dl/g, 예를 들면, 0.7 내지 1.3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금속 접합성, 사출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특정 함량비의 유리 섬유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50,000 g/mol, 예를 들면, 20,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33 중량부, 예를 들면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금속 접합성,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유리 섬유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유리 섬유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특정 함량비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섬유 형태일 수 있고,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및/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섬유형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원형 단면의 유리 섬유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측정한 단면 직경이 5 내지 20 ㎛, 가공 전 길이가 2 내지 20 mm일 수 있고,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유리 섬유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측정한 단면의 종횡비(단면의 장경/단면의 단경)가 1.5 내지 10이고, 단경이 2 내지 10 ㎛일 수 있고, 가공 전 길이가 2 내지 20 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가공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통상의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제로는 실란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120 중량부, 예를 들면 70 내지 1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특정 함량비의 유리 섬유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반응성 기능기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폴리올레핀(올레핀 단독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올레핀-(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에 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4 내지 15 중량%, 예를 들면 5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유동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 공중합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elt-flow index)가 2 내지 8 g/10분, 예를 들면 3 내지 7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유리 접착력,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부, 예를 들면 2 내지 8.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금속 접합성, 유동 특성, 사출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C:D)는 1 : 0.02 내지 1 : 0.12, 예를 들면 1 : 0.02 내지 1 : 0.10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가 1 : 0.02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 : 0.12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 특성, 사출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산화방지제, 적하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 내지 300℃, 예를 들면 260 내지 29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50 mm × 4 mm 크기 시편에 110℃에서 15 mm × 15 mm × 1 mm 크기로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H.B. Fuller社, EH9777BS)를 도포하고, 도포한 접착제 위에 25 mm × 25 mm × 3 mm(두께) 크기의 유리를 부착한 후, 25℃ 온도 조건 및 50% 습도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 방식의 낙추 평가 장비로 5 내지 100 cm 높이에서 50 내지 900 g의 추(dart)로 시편 5개를 타격하여 측정한 상기 시편이 유리와 탈착될 때의 평균 위치 에너지가 700 내지 870 mJ, 예를 들면 730 내지 860 mJ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9095에 의거하여 측정한 알루미늄계 금속 시편에 대한 금속 접합력이 35 내지 50 MPa, 예를 들면 35 내지 45 M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20 kgf·cm/cm, 예를 들면 9 내지 15 kgf·cm/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자 기기의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휴대용 전자통신기기 내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는 상기 성형품으로 플라스틱 부재;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접하는 금속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접착하는 유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와 상기 금속 부재는 접착제 개재 없이 직접 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라스틱 부재와 상기 금속 부재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는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금속 부재는 알루미늄, 티타늄, 철, 아연 중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는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제품(플라스틱 부재 및 금속 부재)을 CNC 공정 등을 통하여 원하는 형태로 가공 후, 여기에 유리 부재를 접착시킨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제조사: Shinkong Synthetic Fibers, 제품명: Shinite K006, 고유점도[η]: 약 1.3 dl/g)를 사용하였다.
(B)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제조사: 롯데케미칼, 중량평균분자량: 약 25,000 g/mol)를 사용하였다.
(C) 유리 섬유
평판형 유리 섬유(제조사: Nittobo, 제품명: CSG 3PA-820, 단경: 약 7 ㎛, 단면의 종횡비: 약 4, 가공 전 길이: 약 3 mm)를 사용하였다.
(D)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D1)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제조사: Arkema, 제품명: AX-8900,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 8 중량%)를 사용하였다.
(D2)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제조사: Arkema, 제품명: AX-8670T,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 9 중량%)를 사용하였다.
(D3)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제조사: Sumitomo, 제품명: BF-7B,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 12 중량%)를 사용하였다
(D4)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제조사: Arkema, 제품명: AX-8750,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 5 중량%)를 사용하였다
(E)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조사: Dupont, 제품명: Elvaloy AC1330)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2, 3 및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약 26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44,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약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약 270℃, 금형 온도: 약 120℃)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3 및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유리 접착력(단위: mJ): 50 mm × 50 mm × 4 mm 크기 시편에 110℃에서 15 mm × 15 mm × 1 mm 크기로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H.B. Fuller社, EH9777BS)를 도포하고, 도포한 접착제 위에 25 mm × 25 mm × 3 mm(두께) 크기의 유리를 부착 후, 25℃ 온도 조건 및 50% 습도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 방식의 낙추 평가 장비로 5 내지 100 cm 높이에서 50 내지 900 g의 추(dart)로 시편 5개를 타격하여, 상기 시편이 유리와 탈착될 때의 평균 위치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위치에너지(Ep) = 질량 (탈착 시 추 무게) × 중력가속도 (9.8) × (탈착 시 추 높이))
(2) 금속 접합력(단위: MPa): ISO 19095에 의거하여, 알루미늄계 금속 시편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을 인서트(insert) 사출성형을 통해 접합한 후 접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금속 시편은 수지 조성물 시편과 접합이 용이하도록 Geo Nation社의 TRI 표면처리가 되어있는 알루미늄계 금속 시편을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된 금속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은 1.2 cm × 4 cm × 0.3 cm 크기이고, 1.2 cm × 0.3 cm 단면을 서로 붙여서 접합강도를 측정하였다.
(3)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5 14.3 30 14.3 14.3 14.3
(C) (중량부) 89.8 89.8 89.8 70 110 89.8
(D1) (중량부) 6.1 6.1 6.1 6.1 6.1 2
(D2) (중량부) - - - - - -
(D3) (중량부) - - - - - -
(D4) (중량부) - - - - - -
(E) (중량부) - - - - - -
유리 접착력 (mJ) 763 816 843 839 753 741
금속 접합력 (MPa) 42.1 41.0 38.1 43.8 36.8 38.7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9.1 11.3 13.2 9.2 14.8 9.3
실시예
7 8 9 10 11 12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14.3 14.3 14.3 14.3 14.3 14.3
(C) (중량부) 89.8 89.8 89.8 89.8 89.8 89.8
(D1) (중량부) 8.2 4.1 - - - -
(D2) (중량부) - - 4.1 6.1 - -
(D3) (중량부) - - - - 6.1 -
(D4) (중량부) - - - - - 6.1
(E) (중량부) - - - - - -
유리 접착력 (mJ) 835 787 776 802 768 766
금속 접합력 (MPa) 42.3 39.9 40.2 41.4 39.5 38.4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12.2 9.8 10.2 11.6 9.9 10.7
비교예
1 2 3 4
(A) (중량부) 100 100 100 100
(B) (중량부) 1 35 14.3 14.3
(C) (중량부) 89.8 89.8 50 130
(D1) (중량부) 6.1 6.1 6.1 6.1
(D2) (중량부) - - - -
(D3) (중량부) - - - -
(D4) (중량부) - - - -
(E) (중량부) - - - -
유리 접착력 (mJ) 680 848 852 689
금속 접합력 (MPa) 41.1 32.4 43.2 34.4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8.7 13.5 7.3 14.9
비교예
5 6 7 8 9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14.3 14.3 14.3 14.3 14.3
(C) (중량부) 89.8 89.8 89.8 60 110
(D1) (중량부) 0.5 10 - 8.2 2
(D2) (중량부) - - - - -
(D3) (중량부) - - - - -
(D4) (중량부) - - - - -
(E) (중량부) - - 6.1 - -
유리 접착력 (mJ) 686 823 691 730 692
금속 접합력 (MPa) 39.8 33.7 34.1 39.8 32.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6.3 15.2 12.3 7.2 7.5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금속 접합력), 내충격성(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유리 접착력,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유리 섬유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유리 섬유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을 소량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유리 접착력,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을 과량 적용한 비교예 6의 경우,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대신에,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를 적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리 섬유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더라도, 유리 섬유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C:D1)가 1 : 0.12를 초과(1 : 0.137)할 경우(비교예 8),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1 : 0.02 미만(1 : 0.018)일 경우(비교예 9), 유리 접착력,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3 내지 33 중량부;
    유리 섬유 60 내지 120 중량부;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 1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1 : 0.02 내지 1 : 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5 내지 1.5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4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50 mm × 4 mm 크기 시편에 110℃에서 15 mm × 15 mm × 1 mm 크기로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H.B. Fuller社, EH9777BS)를 도포하고, 도포한 접착제 위에 25 mm × 25 mm × 3 mm(두께) 크기의 유리를 부착한 후, 25℃ 온도 조건 및 50% 습도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 방식의 낙추 평가 장비로 5 내지 100 cm 높이에서 50 내지 900 g의 추(dart)로 시편 5개를 타격하여 측정한 상기 시편이 유리와 탈착될 때의 평균 위치 에너지가 700 내지 870 mJ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9095에 의거하여 측정한 알루미늄계 금속 시편에 대한 금속 접합력이 35 내지 5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2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9. 제8항의 성형품으로 플라스틱 부재;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접하는 금속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접착하는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KR1020220017415A 2022-02-10 2022-02-1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120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415A KR20230120777A (ko) 2022-02-10 2022-02-1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8/102,853 US20230250224A1 (en) 2022-02-10 2023-01-30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202310047326.9A CN116574361A (zh) 2022-02-10 2023-01-31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生产的制品
EP23155541.8A EP4227364A1 (en) 2022-02-10 2023-02-08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415A KR20230120777A (ko) 2022-02-10 2022-02-1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777A true KR20230120777A (ko) 2023-08-17

Family

ID=8520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15A KR20230120777A (ko) 2022-02-10 2022-02-1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50224A1 (ko)
EP (1) EP4227364A1 (ko)
KR (1) KR20230120777A (ko)
CN (1) CN11657436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878B1 (ko) 2005-12-30 2007-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가지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성형품
US9284449B2 (en) * 2014-06-19 2016-03-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und with chemical resistance
KR20220094807A (ko) * 2020-12-29 2022-07-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74361A (zh) 2023-08-11
EP4227364A1 (en) 2023-08-16
US20230250224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118B1 (ko) 유동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유리섬유 보강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2025714B1 (en)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3941977A1 (en) High stiff thermoplastic compositions for thin-wall structures
KR2021000161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2771109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生产的模制品
KR1024053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12077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948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9663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4096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2016174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1860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9570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1936576A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制造的模制产品
KR10239350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38595B1 (ko)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31270B1 (ko) 내열성 및 굴곡 강성이 우수한 시트 압출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 압출시트
KR202300452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214413A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KR2023013698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439788B1 (ko) 환경응력균열저항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KR2022012212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04910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50076625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