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990A - 레이저 모듈 패키지 - Google Patents

레이저 모듈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90A
KR20230109990A KR1020220005935A KR20220005935A KR20230109990A KR 20230109990 A KR20230109990 A KR 20230109990A KR 1020220005935 A KR1020220005935 A KR 1020220005935A KR 20220005935 A KR20220005935 A KR 20220005935A KR 20230109990 A KR20230109990 A KR 2023010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ide wall
base
module packag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은
김병승
Original Assignee
알에프머트리얼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프머트리얼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프머트리얼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990A/ko
Publication of KR2023010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5/02469Passive cooling, e.g. where heat is removed by the housing as a whole or by a heat pipe without any active cooling element like a TE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25Out-coupling of light
    • H01S5/02253Out-coupling of light us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평면에 배열하여 히트싱크과의 거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전방 단측벽과 후방 단측벽과 한 쌍의 장측벽이 서로 결합되어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이 히트싱크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베이스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 내측에서 상기 장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장측벽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와,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진행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레이저를 반사시킴으로써 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의 1차 미러와, 상기 1차미러를 통해 반사된 각각의 레이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2차 미러와, 상기 2차미러를 통해 각도 변경이 이루어진 레이저를 하나의 초점으로 모이도록 하는 포커싱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각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모듈 패키지{Laser module package}
본 발명은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평면에 배열하여 히트싱크과의 거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빛을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하나의 모듈에 집적화하여 고출력의 레이저를 출사하기 위한 패키지를 말한다.
이러한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사용이 용이하고, 깨끗하며, 신속한 가공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산업 기술 발전에 따라 점점 고출력을 요구받고 있으며, 따라서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출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가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출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공간적 컴바이닝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공간적 컴바이닝 기술이란 각 레이저 다이오드의 배치를 최적화 및 밀접화하여 각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빛을 집광함으로써 출력을 높이는 기술이다.
이러한 공간적 컴바이닝 기술의 예로서, 중국 등록특허 제204349210호(발명의 명칭:Optical fiber coupling semiconductor laser, 2015.01.22출원, 2015.05.20등록)는 복수 개의 반도체 레이저를 계단식으로 배열하고, 상기 반도체 레이저에서 출사되는 광을 미러를 통해 방향 전환하여 집광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미국 등록특허 제10158210호(발명의 명칭: Optical loss management in high power diode laser package, 2015.12.16출원, 2018.12.18등록)는 복수 개의 레이저를 계단식으로 배열하고, 상기 레이저에서 출사되는 광을 미러를 통해 방향 전환하여 집광하며, 이때 광 손실을 광 흡수 부재를 통해 흡수함으로써 광학 손실을 관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공간적 컴바이닝 기술로 계단식 레이저 다이오드 배열을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계단식 배열 구조는 냉각에 있어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냉각을 위해 히트 싱크(Heat sink)의 상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각 레이저에서 발생되는 열은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몸체를 통해 전도되어 상기 히트 싱크로 전달됨으로써 냉각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여기서 히트 싱크(Heat sink)는 열 접촉을 직간접적으로 사용하여 다른 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발산하는 환경이나 물체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패키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냉각체를 포함한다.
그런데, 현재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통상 받은 에너지의 50%를 빛으로 방출하고, 나머지 50%의 에너지를 열로 방출하게 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열의 양이 매우 많으며 따라서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성능은 곧 냉각 성능과 직결되게 된다.
다시 말해, 출력에 따라 냉각 성능이 비례하여 향상되지 않으면 열화로 인하여 레이저 다이오드가 제대로 된 성능을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신뢰성에도 큰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계단식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의 구조를 보면, 레이저 다이오드를 계단식으로 배열함으로써 하단에 위치한 레이저 다이오드에 비하여 상단에 위치한 레이저 다이오드는 냉각에 있어서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상단에 위치한 레이저 다이오드는 하단에 위치한 레이저 다이오드에 비하여 히트 싱크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열유속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냉각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냉각 성능의 한계로 인하여 계단식 배열에서 적층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의 한계가 생기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냉각 성능 한계에 따른 계단 수의 한계가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배열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 또한 한계가 있게 되기 때문에 고출력을 위해 되도록 많은 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적층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등 한정된 계단 수에서 최대한 많은 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배열하는 구조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적층할 수 있는 계단 수의 한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는 실정이었다.
중국 등록특허 제204349210호(Optical fiber coupling semiconductor laser) 미국 등록특허 제10158210호(발명의 명칭: Optical loss management in high power diode laser package)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평면에 배열하여 히트싱크과의 거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레이저 모듈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전방 단측벽과 후방 단측벽과 한 쌍의 장측벽이 서로 결합되어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이 히트싱크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베이스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 내측에서 상기 장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장측벽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와,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진행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레이저를 반사시킴으로써 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의 1차 미러와, 상기 1차미러를 통해 반사된 각각의 레이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2차 미러와, 상기 2차미러를 통해 각도 변경이 이루어진 레이저를 하나의 초점으로 모이도록 하는 포커싱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각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을 따라 배열되되, 레이저가 상기 베이스의 후방 단측벽을 향해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을 기준으로 소정의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2차 미러는 각각 상기 1차 미러에서 반사된 레이저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1차 미러의 반사각 라인상에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레이저가 겹치지 않은 상태로 간격이 축소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ㅅ'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미러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가 포커싱 렌즈에 나란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미러의 반사면과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면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예각)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레이저와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면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예각)의 1/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각각의 전방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를 평행화시키는 복수의 콜리메이팅 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의하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평면에 배치하여 각각이 상기 베이스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와 히트 싱크와의 거리가 균일화되어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성능의 향상에 따라 집적시킬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가 향상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출력이 향상되고, 열화가 방지되며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부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부 평면도 상 레이저의 진행 경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부 평면도 상 레이저의 진행 경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대해 설명하면,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산업용 레이저 장비 등에 장착되어 절단 및 가공 작업 등에 사용되며, 이를 위해 고출력의 레이저를 방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200)로 이루어진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도면부호 없음), 콜리메이팅 렌즈(300), 복수의 1차 미러(400), 복수의 2차 미러(500) 및 포커싱 렌즈(600)를 포함한다.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베이스(100)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몸체를 제공하며, 나머지 각 구성은 베이스(100)에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20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는 콜리메이팅 렌즈(300)를 통과하며 평행화되며, 평행화 된 레이저는 각각 1차 미러(4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다.
그 다음, 각각의 레이저는 2차 미러(500)에 의해 다시 방향이 전환되며, 포커싱 렌즈(600)로 나란하게 입사되는 각 레이저가 포커싱 렌즈(600)를 통과하며 굴절됨으로써 하나로 모이게 된다.
그 후, 하나로 집중된 레이저는 광섬유 등을 통해 전달되어 발출됨으로써 산업용 레이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참조하여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바닥면과, 전방 단측벽, 후방 단측벽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측벽을 갖는다.
이러한 전방 단측벽, 후방 단측벽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측벽은 서로 단부가 연결되어 장방형의 형상을 이룬다.
한편, 바닥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지며, 히트싱크과 접촉되어 레이저 다이오드(200)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한다.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전방 단측벽에는 레이저가 발산되는 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후방 단측벽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리드(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용화를 위해서는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소재로 베이스(100)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은, 다이아몬드, 그래핀 등은 구리보다 열 전도율이 높기는 하지만 가격이 너무 고가이기 때문에 상용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리로 베이스(1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 전도도가 우수한 소재는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장측벽 영역에는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바닥면 내측에서 장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레이저 다이오드(200)가 후방 단측벽을 향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는 베이스(100)의 장측벽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선(C)를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200)는 베이스(100)의 장측벽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 베이스(100)의 후방 단측벽을 향해 레이저가 발산될 수 있도록 각 레이저 다이오드(200)는 장측벽을 기준으로 소정의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발산되는 레이저와 장측벽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 즉 예각,은 2차 미러(500)의 반사면과 베이스(100)의 장측벽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 즉 예각,의 2배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 레이저 다이오드(200)의 전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콜리메이팅 렌즈(300)는 레이저 광을 평행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별도로 구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빠르게 퍼지는 축 기준으로 평행화시키는 FAC(Fast-Axis Collimating) 렌즈와, 느리게 퍼지는 축 기준으로 평행화시키는 SAC(Slow-Axis Collimating)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는 특성상 발진시 상대적으로 빠르게 빛이 퍼지는 축과 느리게 퍼지는 축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Fast Axis와 Slow Axis로 구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레이저에서 나오는 빛은 완벽한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빛을 평행화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레이저 모듈에서는 빛이 퍼지는 속도에 따라 각 축(Axis)에 굴절률이 다른 렌즈를 대응시킴으로써 빛을 평행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200)에서 출사되는 빛은 FAC 렌즈와 SAC렌즈로 구성된 콜리메이팅 렌즈(300)를 통과함으로써 평행화된다.
평행화 된 레이저 광은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된 1차 미러(400)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1차 미러(400)는 각각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00)의 레이저 광 출사면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연스럽게 복수의 1차 미러(400) 들 또한 장측벽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가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기 때문에 1차 미러(400)들 또한 중심선(C)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대칭 배치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1차 미러(400)는 반사면이 각각 전술한 레이저가 출사되는 방향과 베이스(100)의 장측벽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 즉 예각과 동일한 입사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미러(400)에 의해 반사되며 방향이 전환된 레이저는 당연하게도 레이저의 직진성과 입사각, 반사각의 관계에 의해 베이스(100)의 반대쪽 장측벽을 향해 전진시, 상기 베이스(100)의 반대쪽 장측벽과 이루는 각도 역시 레이저가 출사되는 방향과 베이스(100)의 장측벽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 즉 예각과 동일한 각도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미러(400)에 의해 방향 전환된 레이저는 다시 2차 미러(5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포커싱 렌즈(600)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2차 미러(500) 각각은 상기 1차 미러(400)에서 반사된 레이저의 반사각 라인상에 배치되며, 이때 평행하게 전진하는 복수의 레이저가 서로 간 간격이 좁아지면서 포커싱 렌즈(600)로 나란하게 향하게 하기 위하여 2차 미러(5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장측벽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2차 미러(500)는 1차 미러(400)에 의해 변경된 각각의 레이저의 진행 라인상에 배치되며, 이때, 2차 미러(500) 각각은 베이스(100)의 타측벽면(120)을 기준으로 베이스(100)의 일측벽면(110)을 향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되며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2차 미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ㅅ'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며, 이때, 베이스(1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2차 미러(500)의 반사면과 상기 베이스(100)의 장측벽면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예각)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0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와 상기 베이스(100)의 장측벽면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예각)의 1/2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미러(500)에 의해 반사되어 방향이 전환된 레이저는 장측벽을 기준으로는 평행하게, 단측벽을 기준으로는 수직하게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복수의 2차 미러(50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전진하는 평행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은 포커싱 렌즈(600)에 의해 하나의 초점으로 모이게 된다.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200) 한 개당 출력이 2W라고 하고, 총 10개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구성한 경우, 레이저 광의 갯수는 총 20개가 되며, 상기와 같이 포커싱 렌즈(600)에 의해 하나의 초점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2*20이 되어 총 40W의 출력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평면에 배치하여 각각이 상기 베이스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와 히트 싱크와의 거리가 균일화되어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성능의 향상에 따라 집적시킬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가 향상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출력이 향상되고, 열화가 방지되며 레이저 모듈 패키지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모듈 패키지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레이저 다이오드
300 : 콜리메이팅 렌즈
400 : 1차 미러
500 : 2차 미러
600 : 포커싱 렌즈

Claims (6)

  1. 전방 단측벽과 후방 단측벽과 한 쌍의 장측벽이 서로 결합되어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이 히트싱크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베이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 내측에서 상기 장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장측벽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진행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레이저를 반사시킴으로써 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의 1차 미러;
    상기 1차미러를 통해 반사된 각각의 레이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2차 미러; 및
    상기 2차미러를 통해 각도 변경이 이루어진 레이저를 하나의 초점으로 모이도록 하는 포커싱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각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을 따라 배열되되, 레이저가 상기 베이스의 후방 단측벽을 향해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을 기준으로 소정의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미러는 각각 상기 1차 미러에서 반사된 레이저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1차 미러의 반사각 라인상에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레이저가 겹치지 않은 상태로 간격이 축소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ㅅ'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미러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가 포커싱 렌즈에 나란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차 미러의 반사면과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면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예각)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레이저와 상기 베이스의 장측벽면이 이루는 각 중 작은 각(예각)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각각의 전방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를 평행화시키는 복수의 콜리메이팅 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모듈 패키지.
KR1020220005935A 2022-01-14 2022-01-14 레이저 모듈 패키지 KR20230109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35A KR20230109990A (ko) 2022-01-14 2022-01-14 레이저 모듈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35A KR20230109990A (ko) 2022-01-14 2022-01-14 레이저 모듈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90A true KR20230109990A (ko) 2023-07-21

Family

ID=8743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35A KR20230109990A (ko) 2022-01-14 2022-01-14 레이저 모듈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990A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등록특허 제10158210호(발명의 명칭: Optical loss management in high power diode laser package)
중국 등록특허 제204349210호(Optical fiber coupling semiconductor la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8214B2 (en) Light source
US9455552B1 (en) Laser diode apparatus utilizing out of plane combination
US6494371B1 (en) Diode-laser light projector for illuminating a linear array of light modulators
US20070195850A1 (en) Diode laser array stack
JP5155361B2 (ja) 導光部材、レーザ導光構造体、レーザ照射装置および光源装置
US7050238B2 (en) Power combination optical system and light source module
WO2020078197A1 (zh) 一种半导体激光器
WO2020203326A1 (ja) レーザダイオード装置
WO2013150864A1 (ja) 半導体レーザ光学装置
JP2014192450A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WO2018037663A1 (ja) レーザモジュール
JP2024040276A (ja) 発光装置
JP2022518100A (ja) 高出力レーザ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
CN112909736A (zh) 一种半导体激光器
US20060203873A1 (en) Semiconductor laser diode
KR102529166B1 (ko) 레이저 모듈 패키지
KR20230109990A (ko) 레이저 모듈 패키지
CN214044341U (zh) 一种小体积半导体激光器
CN116053933A (zh) 一种半导体激光器装置
CN114243451A (zh) 半导体泵浦源及光纤激光器
CN114976876A (zh) 一种多芯片封装的半导体激光器
JP7316098B2 (ja)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及びレーザ加工装置
CN112787220A (zh) 一种高功率半导体激光器
US7095761B2 (en) DPSS laser
CN112310800A (zh) 一种紧凑式光纤耦合输出半导体激光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