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041A -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 Google Patents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041A
KR20230109041A KR1020220005205A KR20220005205A KR20230109041A KR 20230109041 A KR20230109041 A KR 20230109041A KR 1020220005205 A KR1020220005205 A KR 1020220005205A KR 20220005205 A KR20220005205 A KR 20220005205A KR 20230109041 A KR20230109041 A KR 2023010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over
urine
urinal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0598B1 (en
Inventor
현경범
Original Assignee
현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경범 filed Critical 현경범
Priority to KR102022000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98B1/en
Publication of KR2023010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0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며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구비된 보울(11)과,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보울안착부(33)와,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착석부(34)가 구비된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부위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urinal-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the top is open, and the washing water inlet 11a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in from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through the washing water inlet 11a to the inside. A toilet seat body equipped with a bowl 11 that is supplied and stores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and has hinge coupling parts 11b on both rear parts, and a sewage discharge unit 12 that discharges sewage from the bowl 11 to the outside. part 10; The bowl cover 31, which has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bowl 11, is located on both rear parts of the bowl cover 31 and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11b to form the bowl cover ( 31), a hinge part 32 for cover coupling that enables upright rotation, and a bowl seating part 33 locat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bowl cover 31 and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bowl 11 ) and a cover part 30 having a seating part 34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wl seating part 33 so that a user can sit on the upper part;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of the cover part 30, both sides of one end portion are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and when the cover part 30 is erected and rotated and a urine induction unit 50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l 11 to form a urine flow path so that the inputted urine collides and flows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1.

Description

소변기 겸용 좌변기{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본 발명은 보울의 세척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착석에 해당하는 부위를 직립 회동시켜 소변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combined toilet seat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urinal by upright and pivo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at except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washing a bowl.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앉아서 보는 배변을 처리하는 좌변기와, 서서 보는 소변을 처리하는 소변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In general, a toilet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ilet seat for handling defecation while sitting and a urinal for handling urine for standing are separately provided.

이렇게 좌변기와 소변기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므로, 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오수배수설비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게 된다.Since the toilet seat and the urinal are separately provided, a lot of space is occupied, and since sewage drainage facilities must be provided, respectively,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이에 따라, 좌변기와 소변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development of a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for using both a toilet seat and a urinal is required.

소변기 겸용 양변기의 사용예는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xamples of the use of the toilet combined with a urinal come in various forms, and examples thereof are as follows.

첫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의 후부에 소변기를 일체형으로 되어 변기 전체를 180도 회전시켜 좌변기와 소변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13003호(발명의 명칭: 회전형 남녀 공용 변기)가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In the first form, the urinal is integrated into the rear of the toilet seat and the entire toilet is rotated 180 degrees so that the toilet seat and the urinal can be selected and used. Name of: Rotating toilet for men and women), which is shown in FIG.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13003호에 개시된 변기는, 물탱크 부분에 소변기를 구성하여 변기가 앞뒤로 회전하도록 하여 소변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113003, a urinal is configured in a water tank so that the toilet rotates back and forth to utilize the urinal function.

상기 특허는, 변기가 회전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화장실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에 문제점이 있으며, 변기의 회전에 따라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patent requires a space for the toilet to rotate, it occupies a lot of space in the toilet, and there is a problem in space utilization, and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ilet is complicated.

두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 본체와는 별도로 소변기가 구비되며 소변기를 회전 또는 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별명의 명칭: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한국등록특허 제10-1229955호(발명의 명칭: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가 있으며, 이를 각각 도 2와 도 3에 도시하였다.In the second form, a urinal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of the toilet seat, and the urinal is rotated or rotated to urinate. ),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29955 (Title of Invention: Toilet seat equipped with an automatically rotating urinal for men), which are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한국등록특허 제10-1229955호에 개시된 변기는, 좌변기(100)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소변기(400)를 설치하여, 소변을 볼 때에는 소변기(4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In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9955, a urinal 400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ilet seat 100 is installed, so that when urinating, the urinal 400 is rotated forward to urinate. .

상기 특허는, 소변기(400)가 좌변기(100)의 일측에 노출되게 되고, 소변기(40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라인 등이 노출되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변기(100)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The pat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urinal 400 is exposed on one side of the toilet seat 100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for washing the urinal 400 is exposed, which spoils the aesthetics.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seat 100 is large, the area occupied by the toilet becomes large, and space utilization is not efficient.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에 개시된 변기는, 소변용기(51)가 저수조(30)의 설치홈(31)에 접철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소변을 볼 때에는 소변용기(51)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7165 rotates the urine container 51 forward when urinating while the urine container 51 is folded and stor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1 of the water tank 30. allow you to urinate.

상기 특허는,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와는 달리, 소변용기(51)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덜 해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와 마찬가지로, 좌변기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Unlike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7165, in this patent, the urine container 51 is not exposed, so the appearance is less impaired. However, like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7165, the toilet seat is large and occupies a large area of the toilet, which is not efficient in space utilization.

세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의 후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소변기가 결합된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69762호(발명의 명칭: 대소변 겸용 변기), 한국등록특허 제10-1232879호(발명의 명칭: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가 있으며, 이를 각각 도 4와 도 5에 도시하였다. The third form is a form in which a urinal with one side open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toilet seat. (Title of the invention: a foldable urinal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a toilet bowl), which are shown in FIGS. 4 and 5, respectively.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에 개시된 변기는, 좌변기(110)의 후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소변기(1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으로, 좌변기(110)의 상부를 덮으며 착석하도록 하는 좌판(210)과, 좌판(210)에 힌지결합되는 수직판(220)으로 이루어진 커버(200)가 구비되어, 수직판(220)에 의해 소변기(120)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하고 있다.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7165 is a urinal 120 having one side open to the rear of the toilet seat 110 integrally coupled, and a seat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110 to be seated ( 210) and a vertical plate 220 hinged to the seat plate 210, the cover 200 is provided so as to cover one open side of the urinal 120 by the vertical plate 220.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변기는, 전술한 변기와는 달리, 소변을 받기 위한 부위가 직립된 형태로 되어 소변 종료시점에도 소변기(120)로 소변이 투입되게 되므로 소변기(120) 외부로 소변을 흘리는 경우가 적어 위생에 대한 문제점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변을 볼 때, 좌판(210)을 상부로 회동시키고, 다시 좌판(210) 및 수직판(220)을 동시에 상부로 회동시켜 소변기(120)의 개방된 일측을 노출시켜야 하므로, 두 번의 회동작동에 따른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소변기(120)가 좌변기(110)의 후부에 위치하므로 변기의 앞뒤 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에도 화장실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변기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Unlike the toilet bowl described above, in the toile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rtion for receiving urine is in an upright form, and urine is injected into the urinal 120 even at the end of urination, so urine flows out of the urinal 120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are few problems with hygiene because there are few cases. However, when urinating, the seat plate 210 is rotated upward, and the seat plate 210 and the vertical plate 220 are simultaneously rotated upward to expose one open side of the urinal 120, so two rotations are performe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use according to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urinal 12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toilet seat 110, the distance in front and back of the toilet becomes longer, and accordingly, a lot of toilet space is occupied even when the toilet is not used, resulting in a problem in space utilization.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seat is large, the area occupied by the toilet becomes large, and space utilization is not efficient.

한국등록특허 제10-1232879호에 개시된 변기는, 양변기(20)의 저수조(21)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30)를 부착하여 소변부(32)를 90도 회동시켜 개방되도록 하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2879, a detachable and foldable urinal 3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water tank 21 of the toilet 20, and the urinal 32 is rotated 90 degrees to open the urine. making it possible to se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변기는,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에 개시된 변기와는 달리 변기의 앞뒤 거리가 길어지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양변기(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이식 소변기(30)를 탈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Unlike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7165, the toile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ront and rear distance of the toilet does not increase, but when using the toilet 20, the folding urinal 30 )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 removed.

이 또한, 좌변기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seat is large, the area occupied by the toilet is large, and space utilization is not efficient.

네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의 보울에 소변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소변을 보게 될 때에는 보울 전체를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16646호(발명의 명칭: 양변기)가 있으며, 이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In the fourth form, the bowl of the toilet seat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a urinal so that when urinating, the entire bowl is rotated upright to urinate. An example of this is Korean Patent No. 10-1516646 (title of the invention : toilet), which is shown in FIGS. 6 and 7.

한국등록특허 제10-1516646호에 개시된 변기는, 소변받이통(300)이 대변받이통(2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킨 상태에서 소변받이통(300)을 통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소변은 소변받이통(300)을 거쳐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되고,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된 소변은 세척수분사노즐(130)에 의해 대변받이통(200)으로 세척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대변받이통(200)에 수용된 오수를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In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6646, the urine container 3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tool container 200, and the urine container 300 and the stool container 200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rinate through the urine receiver 300 in a state in which the urine receiver 300 and the feces receiver 200 are rotated upright at the same time, and urine passes through the urine receiver 300 The urine moved to the stool container 200 is moved to the stool container 200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the stool container 200 by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30, thereby draining the sewage received in the stool container 200. making it possible

이와 같이 소변을 보게 될 때에는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키게 되므로, 전술한 세 번째 형태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69762호에 개시된 변기와는 달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화장실 공간을 많이 적게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대변받이통(200)에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담수하게 되며, 소변을 보기 위하여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켜야 하므로,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의 무게와 대변받이통(200)에 담수된 물의 무게로 인해, 회동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way, when urinating, the urine receiving tube 300 and the feces receiving tube 200 are rotated upright at the same time, unlike the toilet disclos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69762, which is the third type described above, If you don't see it, it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bathroom,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use the space. However,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feces container 200 to prevent odor, and since the urine container 300 and the feces container 200 must be rotated upright at the same time to urinate, the urine container 30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tation operation is not smooth due to the weight of the feces receiver and the weight of the stool receiver 200 and the weight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ol receiver 200.

또한, 소변받이통(300)에는 소변을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소변배수관(310)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며, 소변배수관(310)의 배출측 단부는, 대변을 보기 위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대변 받이통(200)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소변받이통(300)에는 소변을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소변배수관(310)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변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a urine drainage pipe 310 for moving urine to the feces container 200 should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urine receiving container 300, and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urine drainage pipe 310 moves downward to defecate. In the rotated state, it should be formed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feces container 200. As described above, since a urine drainage pipe 310 for moving urine to the feces container 200 must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urine container 300, the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becomes complicated.

아울러,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키게 되므로, 대변받이통(200)으로부터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50)이 플렉서블한 주름관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나, 잦은 회동에 따라 배수관(15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rine container 300 and the feces container 200 are rotated upright at the same time, the drainage pipe 150 for discharging sewage from the stool container 200 should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exible corrugated pipe, but frequent rotatio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ain pipe 150 is damaged.

일반적인 좌변기는, 사용자가 착석을 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보울을 구비한다. 실제로 넓은 면적의 보울에서 실제로 세척수의 담수 및 오수의 세척을 위해 필요한 부피는 작으나, 사용자의 착석을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보울을 구비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위하여 보울의 크기가 커짐에 따른 보울의 대형화로 인한 무게 증가로 좌변기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보울의 대형화로 인한 세척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A typical toilet seat includes a bowl having a large area for a user to sit on. In practice, a bowl having a large area actually has a small volume required for washing fresh water and sewage water, but a bowl having a large area is inevitably provided for a user to be seated. Accordingly,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toilet seat is not easy due to the weight increase due to the size of the bowl as the size of the bowl increases for the user to sit on, and the increase in washing water due to the size of the bowl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도록 하여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변기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구조가 간단한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rea that occupies the space when not having a bowel movement so that the space can be utilized, and the upright rotation operation of the urinal is smooth. , To provide a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having a simple structure.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toilet by miniaturizing the bowl and reduce waste of washing wat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며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구비된 보울(11)과,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보울안착부(33)와,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착석부(34)가 구비된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부위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rinal 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the washing water inlet (11a)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in from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the washing water inlet A bowl 11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11a)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and equipped with hinge coupling parts 11b on both rear parts, and a sewag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sewage from the bowl 11 to the outside ( 12) is provided with a toilet seat body portion 10; The bowl cover 31, which has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bowl 11, is located on both rear parts of the bowl cover 31 and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11b to form the bowl cover ( 31), a hinge part 32 for cover coupling that enables upright rotation, and a bowl seating part 33 locat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bowl cover 31 and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bowl 11 ) and a cover part 30 having a seating part 34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wl seating part 33 so that a user can sit on the upper part;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of the cover part 30, both sides of one end portion are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and when the cover part 30 is erected and rot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rine induction unit (50)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l (11) to form a urine flow path, thereby inducing the input urine to flow down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1) by colliding with it. do.

상기 보울안착부(33) 내주연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용 돌출부(33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ow prevention protrusion 33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protrude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 upper edge of the bowl 11 to prevent the bowl seating portion 33 from flowing.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상기 보울안착부(33)의 하부에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에 의해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impacted when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due to the lower rotation of the cover portion 30 in order to defec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ing pad for absorption is attach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보울과는 달리 오수의 세척에 관여하는 부위를 제외한 사용자의 착석에만 관여하는 부위를 변형시켜,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urinal 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bowl of a general toilet seat, deforms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except for the part involved in washing the sewage, so that the user's sitting function when having a bowel movement And, when urinating, it rotates upright to assist in urinating, thereby miniaturizing the bowl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toilet and reduce waste of washing water.

아울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를 직립회동시킴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toilet space to be utilized 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toilet bowl by upright rotation of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when not having a bowel movement. In addition, the upright rotation operation of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is smooth, and the structure has a simple effect.

또한, 소변유로를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소변유도부의 회동에 의해 소변유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rine flow path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urine guide unit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the urine flow path, the structure has a very simple effect.

도 1 내지 도 7은 종래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보울과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와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대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에 커버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소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로부터 커버부가 직립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1 to 7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urinal combined toilet sea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wl and the cover of the combined urinal an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toilet seat body and cover of the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body of the urinal-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fecate.
12 and 13 are perspective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upright from the toilet seat body portion to urinate.

이하,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rinal 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보울과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와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대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에 커버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2와 도 13은 소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로부터 커버부가 직립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wl and the cover of the toilet combined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FIGS.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toilet seat body and the cover of the urinal combined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tool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body of the urinal 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viewing, and FIGS.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좌변기 몸체부(10); 커버부(30); 및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seat body portion 10; cover part 30; And it comprises a urine induction unit (50).

상기 좌변기 몸체부(10)는, 보울(11)과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다. The toilet seat body part 10 is provided with a bowl 11 and a sewage discharge part 12.

상기 보울(11)은, 일반적인 좌변기와 마찬가지로,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보울(11)이 벽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The bowl 11, like a general toilet se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has an open top, and a washing water inlet 11a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in from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the washing water inlet 11a ) through which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bowl 11 is installed on the wall.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로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방식에 따라, 직수가 직접공급되는 직수형 좌변기와, 수조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조형 좌변기로 나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water supply method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inlet 11a, it can be divided into a direct water toilet seat in which direct water is supplied and a water tank type toilet seat in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a water tank.

상기 보울(11)은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결합부(11b)에는 후술할 커버부(30)에 구비된 커버결합용 힌지부(32)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게 된다. The bowl 11 is provided with hinge coupling parts 11b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respectively. A hinge portion 32 for coupling a cover provided in the cover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b so that the cover portion 30 is rotated upright.

상기 오수배출부(12)는,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wage discharge unit 12 serves to discharge sewage from the bowl 11 to the outside.

상기 오수배출부(12)는, 통상, 역U자형 또는 S자형으로 되어 보울(11)에 수용된 오수가 배출될 때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보울(11)에 수용된 나머지 오수가 흡입배출되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사이펀관으로 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오수배출부(12)가 사이펀(siphon) 관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다(도 11 및 도 13 참조). The sewage discharge unit 12 is usually in an inverted U-shape or S-shape, and uses the principle of suctioning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sewage contained in the bowl 11 by negativ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sewage contained in the bowl 11 is discharged. It can be used as a siphon tube.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sewage discharge unit 12 is a siphon pipe (see FIGS. 11 and 13).

아울러, 상기 오수배출부(12)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33230호(발명의 명칭: 초절수 양변기)에 개시된 오수배출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오수배출부는 세척수유입로로부터 일부의 세척수를 분기시켜 분기된 세척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오수배출관을 회동시켜 보울에 수용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sewage discharge unit 12 may use the sewage discharge uni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3230 (Title of Invention: Super Water Saving Toilet). The sewage discharge unit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is diverted from the washing water inlet, and when the branched washing water exceeds a certain amount, the sewage discharge pipe is rotated to discharge the sewage contained in the bowl to the outside.

상기 커버부(30)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보울 커버(31)와,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보울안착부(33)와, 착석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over part 30 includes a bowl cover 31, a hinge part 32 for coupling the cover, a bowl seating part 33, and a seating part 34. It is done.

상기 보울 커버(31)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bowl cover 31 is formed to cover the bowl 11 with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보울커버(31)의 상부 개구부(31a)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와 연통되어 대변이 상기 보울(11)로 투입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The upper opening 31a of the bowl cover 31 communicates with the open top of the bowl 11 to see feces, and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feces are put into the bowl 11 .

상기 보울커버(31)의 하부 개구부(31b)는 소변을 보기 위해 상기 보울커버(31)를 직립회동시킬 때 상기 보울(11)이 통과되어 상기 보울커버(31)가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울커버(31)는 상기 보울커버(31)를 회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31c)가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opening 31b of the bowl cover 31 serves to allow the bowl 11 to pass through and allow the bowl cover 31 to rotate upright when the bowl cover 31 is rotated upright to urinate. do Preferably, the bowl cover 31 is provided with a handle 31c at the front to rotate the bowl cover 31 .

상기 보울 커버(31)는, 소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었을 때, 후술할 소변유도부(30)의 전방 외측을 감싸게 됨으로써 소변이 상기 소변유도부(30)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owl cover 31, whe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to urinate, covers the front outside of the urine guide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preventing urine from splashing out of the urine guide part 30 You can do it.

상기 보울 커버(31)에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소변투입공(35)이 구비된다.The bowl cover 31 is provided with a hinge part 32 for coupling the cover and a urine input hole 35.

상기 커버결합용 힌지부(32)는,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hinge parts 32 for coupling the cover are located at rea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wl cover 31 and are coupled with the hinge coupling parts 11b to allow the bowl cover 31 to rotate upright.

상기 커버결합용 힌지부(32)는, 소변을 보기 위한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 및 대변을 보기 위한 상기 보울 커버(31)의 복귀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hinge part 32 for coupling the cover allows the bowl cover 31 to rotate upright to urinate and to rotate the bowl cover 31 to have a bowel movement.

상기 보울안착부(33)는,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cover 31 and serves to be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

상기 착석부(34)는,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ating portion 34 extends outward from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serves to allow a user to sit on the upper portion.

상기 커버결합용 힌지부(32)에 의한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시 상기 착석부(34)의 상면이 벽체와 접하여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bowl cover 31 is rotated upright by the hinge part 32 for coupling the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art 34 be seated in contact with the wall.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안착부(33) 및 상기 착석부(34)는 일체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owl cover 31,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the seating portion 34 are integrally formed.

도면에서는, 상기 보울(11)의 크기를 크게 그렸지만, 상기 보울(11)의 크기는 상기 커버부(30) 크기의 대략 1/3 내지 1/2 수준이다. In the drawing, the size of the bowl 11 is drawn large, but the size of the bowl 11 is approximately 1/3 to 1/2 the size of the cover part 30.

상기 소변유도부(50)는, 판상으로 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The urine induction unit 50 has a plate shape, is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of the cover unit 30, and both sides are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Whe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it rotates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to form a urine flow path, thereby inducing the input urine to collide and flow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1.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양측에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기 위한 보울커버 결합용 힌지부(51)가 구비된다. The urine induction unit 50 is provided with hinge parts 51 for coupling the bowl cover to be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on both sides.

아울러,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소변유도부(50) 상단부위에는 소변을 세척하기 위한 소변세척노즐(52)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urine induction unit 50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unit 30 is rotated upright and the urine induction unit 50 is rotate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from the inside of the bowl cover 31 It is preferable to have a urine washing nozzle 52 for washing urine above.

소변세척노즐(52)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분기시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urine washing nozzle 52 may be supplied by diverging a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inlet 11a.

또,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소변유도부(50) 주위에는, 상기 소변세척노즐(52)에 의한 세척후 상기 소변유도부(50)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 분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변세척노즐(52)에 의한 세척후 상기 소변유도부(50)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and the urine guide part 50 is around the urine guide part 50 in a state in which the urine guide part 50 is rotate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from the inside of the bowl cover 31. After washing by the urine washing nozzle 52, a compressed air inje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urine guiding unit 50, and after washing by the urine washing nozzle 52, the urine guiding unit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50 may be provided.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상기 커버부(30)가 하방 회동될 때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의 전방부위와 접하여 상방으로 회동되게 되며,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될 때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Whe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downward, the urine guide part 50 is rotated upward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bowl 11 inside the bowl cover 31, and the cover part 30 When is rotated upright, it rotates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from the inside of the bowl cover 31 to form a urine flow path.

이때,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좌우방향으로는 상부로 복록한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하방향으로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원활하게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려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상부로 복록한 형상을 이루되, 하방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되게 되면,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가 하방 회동될 때 상기 보울(11)의 전방 단부가 원호로 되어 있고, 상기 소변유도부(50)의 소변과 접촉하는 면이 상기 보울(11)의 전방단부와 같은 원호형태로 되므로, 상기 커버부(30) 하부 회동작동시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11)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의 회동복귀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and the urine guide part 5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l 11 from the inside of the bowl cover 31, the urine guide part 50 ,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forms an arc shape that extends upwards,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so that the inputted urine collides and smoothly flows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1 so that it can be induced.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and the urine guide part 50 is rotate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inside the bowl cover 31, the urine guide part 50 , When it is formed in a convex shape upward and streamlined downward, whe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downward to see the stool, the front end of the bowl 11 is arcuate, and the urine induction part Since the surface in contact with urine of 50 has the same arc shape as the front end of the bowl 11, the urine guide part 50 contacts the bowl 11 whe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30 rotates. As this becomes smooth, the rotation and return operation of the urine guide part 50 becomes smooth.

아울러,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자중에 의해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rine guide part 50 rotates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by its own weight whe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또한, 소변을 보기 위한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또는 대변을 보기 위한 상기 커버부(30)의 하방 복귀회동시,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스프링(미도시됨)으로 탄지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when the cover part 30 rotates upright to urinate or when the cover part 30 rotates downward to defecate, the urine guide part 5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l 11. In order to be rotated, the urine guide part 50 is supported by a spring (not shown) and may be rotate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커버부(30)의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유도부 회동제한돌기(미도시됨)가 구비되도록 한다.On the inside of the bowl cover 31, a urine guide unit rotation limiting projection (not shown) prevents the urine guide unit 50 from rotating outward of the cover unit 30 when the cover unit 30 is rotated upright. to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보울과는 달리 오수의 세척에 관여하는 부위를 제외한 사용자의 착석에만 관여하는 부위를 변형시켜,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urinal-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bowl of a general toilet bowl, deforms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except for the part involved in washing the sewage, so that the user's seating function when having a bowel movement And, when urinating, it rotates upright to assist in urinating, thereby miniaturizing the bowl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toilet and reduce waste of washing water.

아울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를 직립회동시킴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toilet space to be utilized 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toilet bowl by upright rotation of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when not having a bowel movement. In addition, the upright rotation operation of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is smooth, and the structure has a simple effect.

또한, 소변유로를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소변유도부의 회동에 의해 소변유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rine flow path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urine guide unit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the urine flow path, the structure has a very simple effec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변 및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The urinal 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stool and urine to be seen in the following way.

대변의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보울안착부(33)를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 테두리에 안착시키고,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착석부(34)에 착석을 하고 대변을 보게 된다. 대변을 본 후의 상기 보울(11)의 세척과정은 일반변기와 동일하다. In the case of feces, as shown in FIG. 11,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seated on the open upper rim of the bowl 11, and the seating portion 34 extends outward from the bowl seating portion 33. ) to sit down and defecate. The washing process of the bowl 11 after defecation is the same as that of a regular toilet.

소변의 경우에는, 도 11의 상태인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 테두리에 안착된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서로 이격되도록,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보울(11)에 힌지결합된 상기 보울 커버(31)를 직립회동시키면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변을 상기 소변유도부(50)로 투입시키면, 투입된 소변은 상기 소변유도부(50)에 부딪혀 상기 소변유도부(50)에 의해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In the case of urine,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bowl 11 is placed so that the bowl seating parts 33 seated on the open upper rim of the bowl 11 in the state of FIG.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inged bowl cover 31 can be rotated upright. In this case, the urine guide part 50 is rotate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bowl 11 from the inside of the bowl cover 31 . In this state, when urine is injected into the urine guide unit 50, the input urine hits the urine guide unit 50 and flows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1 by the urine guide unit 50.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보울과는 달리 오수의 세척에 관여하는 부위를 제외한 사용자의 착석에만 관여하는 부위를 변형시켜,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urinal-combined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bowl of a general toilet bowl, deforms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except for the part involved in washing the sewage, so that the user's seating function when having a bowel movement And, when urinating, it rotates upright to assist in urinating, thereby miniaturizing the bowl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toilet and reduce waste of washing water.

아울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를 직립회동시킴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toilet space to be utilized 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toilet bowl by upright rotation of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when not having a bowel movement. In addition, the upright rotation operation of the part involved in the user's sitting is smooth, and the structure has a simp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bowl seating portion 33 from moving when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

이를 위하여, 상기 보울안착부(33) 내주연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용 돌출부(33a)(도 10, 도 12 참조)가 구비되도록 한다. To this end, i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 upper edge of the bowl 11 to prevent flow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 protruding portion 33a (see FIGS. 10 and 12)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보울(11)은 세척이 용이한 도자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안착부(33) 및 상기 착석부(34)는 일체형으로 되어 도자기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wl 11 is preferably made of easy-to-clean porcelain, and the bowl cover 31,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the seating portion 34 are integrally made of ceramic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desirable

특히,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안착부(33) 및 상기 착석부(34)가 도자기로 된 경우에는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bowl cover 31,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the seating portion 34 are made of porcelain,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seated on the edge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It absorbs the shock when it is damaged to prevent damage.

이를 위하여, 상기 보울안착부(33)의 하부에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에 의해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미도시됨)가 부착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seated on the upper edge of the open portion of the bowl 11 by the lower rotation of the cover portion 30 in order to defecat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 shock absorbing pad (not shown) is attached so that the shock is absorbed when the shock is absorb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11)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을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시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는 댐퍼실린더(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bowl cover 31 and the bowl 11 to each other so that the cover part 30 maintains an upright rotation when the cover part 30 is rotated upright, and the cover part 30 A damper cylinde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to absorb shock when the bowl seating portion 33 of the cover portion 30 is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during the lower rotation of the bowl 11 It can be.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echnical idea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but also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좌변기 몸체부 11: 보울
11a: 세척수유입로 11b: 힌지결합부
12: 오수배출부 30: 커버부
31: 보울 커버 32: 커버결합용 힌지부
33: 보울안착부 33a: 유동방지용 돌출부
34: 착석부 50: 소변유도부
51: 보울커버 결합용 힌지부 52: 소변세척노즐
10: toilet seat body 11: bowl
11a: washing water inlet 11b: hinge coupling part
12: sewage discharge unit 30: cover unit
31: bowl cover 32: hinge for coupling the cover
33: bowl seating portion 33a: flow prevention protrusion
34: seating unit 50: urine induction unit
51: hinge part for combining bowl cover 52: urine washing nozzle

Claims (3)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며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구비된 보울(11)과,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보울안착부(33)와,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착석부(34)가 구비된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부위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the top is open, and a washing water inlet 11a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in from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pen outer periphery, and is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the washing water inlet 11a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A bowl 11 provided with hinge coupling parts 11b at both rear parts,
a toilet seat body 10 equipped with a sewage discharge unit 12 discharging sewage from the bowl 11 to the outside;
a bowl cover 31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formed to surround the bowl 11;
hinge parts 32 for cover coupling that are located at rea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wl cover 31 and are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s 11b to enable upright rotation of the bowl cover 31;
A bowl seating portion 33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cover 31 and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a cover part 30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wl seating part 33 and having a seating part 34 on which a user can sit;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of the cover part 30, both sides of one end portion are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bowl cover 31, and when the cover part 30 is erected and rot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rine induction unit (50)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l (11) to form a urine flow path, thereby inducing the input urine to flow down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1) by colliding with it. A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안착부(33) 내주연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용 돌출부(33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prevention protrusion 33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and protrude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 upper edge of the bowl 11 to prevent the bowl seating portion 33 from flowing. ) A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안착부(33)의 하부에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에 의해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impacted when the bowl seating portion 33 is seated on the rim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due to the lower rotation of the cover portion 30 in order to defecate. A toilet seat combined with a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ing pad for being absorbed is attached.
KR1020220005205A 2022-01-12 2022-01-12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KR102580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05A KR102580598B1 (en) 2022-01-12 2022-01-12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05A KR102580598B1 (en) 2022-01-12 2022-01-12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041A true KR20230109041A (en) 2023-07-19
KR102580598B1 KR102580598B1 (en) 2023-09-20

Family

ID=8742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205A KR102580598B1 (en) 2022-01-12 2022-01-12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598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9952A1 (en) Toilet device
KR100999397B1 (en)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JP5257846B2 (en) Flush toilet
JP6862690B2 (en) Flush toilet
KR101387640B1 (en) Variable toilet bowl for saving space
US7461413B2 (en) Urinal splash guard insert
KR200443599Y1 (en) Urinal for man
KR101059127B1 (en)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KR100777165B1 (en) Urinal added close-stool
KR100978796B1 (en) Flush toilet having a separate urinal for male
KR101492182B1 (en) Water saving closet with urinal
KR20230109041A (en)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KR2021003484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shing toilet seat or toilet having the same
JP4835303B2 (en) Western-style toilet device
KR200426389Y1 (en) Seat type pot
KR101865904B1 (en) Water saving and deodorization toilet bowl
JP2558873B2 (en) Retractable toilet unit
KR102480617B1 (en)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JPH09165808A (en) Toilet bowl
JP2558874B2 (en) Rotating toilet unit
CN218970166U (en) Deformation combined toilet
CN207707842U (en) A kind of preceding barrier formula toilet lid
CN214712287U (en) Double-layer toilet lid
CN215367622U (en) Spray pipe structure for intelligent closestool
CN208167890U (en) A kind of Anti-water-splashing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