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397B1 -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 Google Patents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397B1
KR100999397B1 KR1020080016120A KR20080016120A KR100999397B1 KR 100999397 B1 KR100999397 B1 KR 100999397B1 KR 1020080016120 A KR1020080016120 A KR 1020080016120A KR 20080016120 A KR20080016120 A KR 20080016120A KR 100999397 B1 KR100999397 B1 KR 10099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control valve
water
washing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0711A (en
Inventor
양명훈
Original Assignee
양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명훈 filed Critical 양명훈
Priority to KR102008001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397B1/en
Publication of KR2009009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소변기에 간단한 구성을 결합시켜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소변기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고,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막아 사용자에게 소변의 상쾌함과 함께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combining a simple configuration with a conventional urinal to prevent urinary splatters to prevent contamination around the urinal, and to prevent the odor coming from the drain port with a refreshing urine to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 equipped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provide visual enjoyment and can be used by a user more conveniently.

소변기, 오줌 튀김, 사용자 감지센서, 제어밸브, 수막노즐 Urinal, pee fry, user sensor, control valve, water nozzle

Description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Urinal with pee splatter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소변기에 간단한 구성을 결합시켜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소변기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고,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막아 사용자에게 소변의 상쾌함과 함께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combining a simple configuration with a conventional urinal to prevent urinary splatters to prevent contamination around the urinal, and to prevent the odor coming from the drain port with a refreshing urine to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 equipped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provide visual enjoyment and can be used by a user more conveniently.

일반적으로 소변기는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할 수 있도록 화장실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보통 남성 사용자의 소변을 받는데 사용된다. 즉, 여성 사용자의 경우에는 대소변을 함께 처리할 수 있는 양변기를 사용한다.In general, the urinal is a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to allow the user to urinate, usually used to urinate male users. In other words, a female user uses a toilet that can cope with urine.

이러한 소변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벽걸이형 및 자립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벽걸이형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이고, 자립형은 바닥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 것이다.The urinal can be divided into a wall-mounted type and a stand-alone typ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the wall-mounted type is installed spaced apart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he freestanding type is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surface.

또한, 소변기는 기능에 따라 수세 및 비수세 소변기로 나눌 수 있으나, 상기 비수세 소변기는 오줌을 방뇨한 후 소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의 물내림 기능이 없어 위생문제로 인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세 소변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수세 소변기에는 세정 수전식, 세정 밸브식 및 전자밸브식 수세 소변기로 나눌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al can be divided into the washing and non-washing urinal according to the function, but the non-washing urinal is not used at present due to hygiene problems because there is no flushing function of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urinal after pissing urine It is true. Therefore, a flushing urinal is generally used, and such a flushing urinal can be divided into a washing faucet type, a washing valve type and a solenoid type flushing urinal.

세정 수전식 수세 소변기는 핸들을 돌려 물내림을 하는 것으로,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나 소변기의 세정에 확실성이 없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정 밸브식 수세 소변기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어밸브에 푸시버튼을 설치하여 상기 푸시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의 오줌 방뇨 후 소변기를 세척수로 세척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세정 밸브식 수세 소변기 역시, 푸시버튼을 눌러야 하는 조작 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많은 사용자가 자신의 성기를 잡고 있던 손으로 푸시버튼을 눌러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하여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편리하고, 위생적인 전자 밸브식 수세 소변기를 각 건물의 남성 화장실에 대부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Washing faucet flusher to flush the water by turning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washing water,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certainty, uncomfortable cleaning of the urinal. In addition, the washing valve type flushing urinal is a method of washing the urinal with the washing water after the urinary pissing of the user by pressing the push button by installing a push button on the control valve that receiv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cleaning valve-type flushing urinal has also caused hygiene problems by pushing a pushbutton with a hand held by the user of his penis with the trouble of operating the pushbutton. Therefore, in recent years, a convenient and hygienic solenoid valve flusher is installed in most male toilets in each building.

상기와 같은 전자 밸브식 수세 소변기는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 예컨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알아낸 후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마이콤에서 입력받아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어밸브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소변기를 자동적으로 세척하는 방식이다.The electromagnetic valve type flushing urinal electronically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through a user sensor,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and receives a signal detected by the user sensor from the microcomputer and receives a control valv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electronically. This is a method of automatically cleaning the urinal by controlling.

도 1은 종래의 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rinal,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변기는, 남성 사용자가 직립하여 내부를 향해 오줌을 방뇨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오줌을 일시 수용하는 저장조(11) 및 배수구(12)가 구비된 소변기 본체(10)와, 상기 소변기 본체(10)의 상방에 설치된 제어블럭(20)과, 상기 제어블럭(20)에 설치되어 근접한 거리에 상기 남성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30)와, 상기 제어블럭(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콤(40)과, 상기 제어블럭(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마이콤(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제어밸브(50)와, 상기 소변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밸브(5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5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변기 본체(10)의 내부 벽면을 향해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ur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front opening to allow a male user to stand up and pee urine inward, and a reservoir 11 and a drain 12 temporarily receiving the urine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provided with a urinal main body 10, the control block 20 installed above the urinal main body 10, the user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control block 20 to detect whether the male user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30 and the microcomputer 40 installed in the control block 20 to receive a signal sensed by the user sensor 30, and installed in the control block 20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valve 50 is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and is switch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40, and is installed on the urinal main body 10. The control valve 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50. Receiving the washing water from It comprises a washing unit 60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ilet body (10).

상기 마이콤(40)은 사용자 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밸브(50)를 절환하여 세척부(60)에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소변기 본체(10)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즉, 마이콤(40)에 설정된 프로그램의 세척방식에 따라 1타임, 2타임 및 3타임 세척방식이 있다.The microcomputer 40 receives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user sensor 30 to switch the control valve 50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60, thereby cleaning the inside of the urinal body 10. That is,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of the program set in the microcomputer 40, there are one time, two time and three time washing method.

1타임 세척방식은 사용자 감지센서(30)가 소변을 보기 위해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한 후, 상기 사용자가 소변을 보고 난후 멀어지면 마이콤(40)이 상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밸브(50)를 절환하여 세척부(60)에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변 후 한번 세척하는 방식이다. 2타임 세척방식은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1번,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 멀어지면 다시 1번, 총 2번을 세척하는 방식이며, 3타임 세척방식은 2타임 세척방식에 사용자가 소변을 보고 있는 도중에 1번 더 세척하여 총 3번을 세척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2타임 세척방식이 위생 및 절수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one-time washing method, after the user sensor 30 detects a user near to urinate, and the user moves away after urinating, the microcomputer 40 receives the detected signal and receives the control valve 50.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60 by switching, it is a method of washing once after the user's urine. The two-time cleaning method is one time when the user is close, and once again after the user urinates, the second time and a total of two times. The three-time cleaning method is a two-time washing method while the user is urinating. Wash one more time to wash a total of three times. In general, the two-time cleaning method is most used in terms of hygiene and water saving.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변기에 남성 사용자들이 오줌을 방뇨할 경우 오줌의 과녁을 소변기 본체(10)의 내부 벽면에서부터 바닥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바닥에 떨어지는 오줌은 그 낙차로 인하여 외부로 튕겨 나가게 된다. 특히, 남성 사용자들이 오줌을 방뇨시 오줌의 과녁을 처음부터 소변기 본체(10)의 바닥면을 향해 방뇨하게 되면 가속력에 의해서 소변기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튕겨 나가는 양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When the male users urinate in the conventional urinal as described above to move the target of urin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rinal body 10 to the bottom surface, the urine falling on the floor is bounced out due to the fall. In particular, when the male users pissing urin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rinal main body 10 from the beginning of the urine, the amount of jumping ou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rinal body 10 by the acceleration force becomes more.

이러한 이유로 소변기에 남성들이 오줌을 방뇨할 경우, 소변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저장조(11)의 바닥면에 방뇨된 오줌이 떨어지게 되고, 그 낙차로 인하여 큰 소음과 함께 오줌이 주위로 튀어 올라 소변기는 물론 사용자의 옷이나 신발 및 소변기 주변까지 오염시킨다. 그에 따라, 방뇨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그 다음 사용자에게까지 불쾌감을 주고, 심한 악취와 함께 외관이 더럽혀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 특히, 배수구(12)와 연결된 정화조 등으로부터 악취가 흘러나와 소변을 보는 사용자에게 더욱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가 있다.For this reason, when men urinate in the urinal, the urine fal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1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urinal body 10, and the urine is popped up with a loud noise due to the drop. The urinal, as well as the user's clothes, shoes and around the urinals. As a result, it is unpleasant not only to the user pissing but also to the next user, and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dirt with a bad smell.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flows from the septic tank and the like connected to the drain 12 to create a more unpleasant to the user to urinat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소변기에 간단한 구성을 결합시켜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소변기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고,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막아 사용자에게 소변의 상쾌함과 함께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mbining a simple configuration to a conventional urinal to prevent urinary splatters to prevent contamination around the urinal, to prevent the odor coming from the drain to urinate to the user In addition to providing a refreshing visual enjoyment, and to provide a urinal with a function to prevent urinary fry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남성 사용자가 직립하여 내부를 향해 오줌을 방뇨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오줌을 일시 수용하는 저장조 및 배수구가 구비된 소변기 본체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방에 설치된 제어블럭과, 상기 제어블럭에 설치되어 근접한 거리에 상기 남성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콤과, 상기 제어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제어밸브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 급받아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 벽면을 향해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부와, 상기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저장조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rinal provided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pening is open so that a male user can pee urine toward the inside upright, and temporarily storing the urine at the bottom and A urinal body having a drain hole, a control block installed above the urinal body, a user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control block to detect whether the male user is located at a close distance, and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lock; A microcompute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a user sensor, a control valve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lock to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switch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installed above the urinal body. And the urinal connected with the control valv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A washing par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a water film nozzl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reservoir to form a water film. It is made to include.

또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남성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하고자 상기 제어블럭에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막노즐에 공급하고, 상기 남성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한 후 상기 제어블럭으로부터 이격된 경우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밸브를 절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icom, when the male user is close to the control block to urinate urine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to the water film nozzle, when the male user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block after pissing urine And switching the control valv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from the control valve.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는 집수실과, 상기 집수실에 공급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 벽면을 따라 배출하도록 상기 집수실의 하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측 벽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urinal body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control valve, and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collecting chamb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of the collecting cha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lower side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rinal body.

또한, 상기 수막노즐은, 상기 저장조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 벽면을 향해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film nozzle is installed in the inner front of the reservoir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water film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rinal body.

또한, 상기 수막노즐은, 일단이 부채꼴 형상이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상기 일단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수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film nozzle, one end is a fan-shaped,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a slit formed on the upper end to form a water film.

또한, 상기 수막노즐에 형성된 슬릿은 하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lit formed in the water film nozzle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 따른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종래의 소변기의 제어밸브와 간단하게 연결 설치된 수막노즐을 이용하여 소변기 본체 하부의 저장조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수막을 형성하여 오줌의 방뇨시 소변기 본체의 바닥면에 오줌이 직접 낙하하지 않고, 수막을 따라 소변기 본체의 내벽으로 흘러내려 소음을 줄일 수 있다.Urinal with urine splash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water film so as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reservoir of the lower urinal main body by using a water film nozzle that is simply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of the conventional urinal urinal during urination The urine does not directly fall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but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main body along the water film to reduce noise.

또한, 수막노즐에 의해 형성된 수막에 의해 오줌이 소변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배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막아 사용자에게 청결하고 상쾌한 방뇨를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수막의 부드러운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방뇨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film formed by the water film nozzle prevents urine from splash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rinal body and prevents odor generated from the drainage por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clean and refreshing urination, and the soft visual effect of the water film. We can offer pleasure of pissing by.

또한, 사용자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밸브가 절환됨으로써 소변기 본체의 세척 및 수막 형성에 따른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을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valv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received the signal sensed by the user detection sensor,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the pee fry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washing of the urinal body and the formation of the water film.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rinal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막노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rinal provided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Figure 3 seen from below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ater film nozzle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본 발명에 따른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되고 저장조(110) 및 배수구(120)가 구비된 소변기 본체(100), 제어블럭(200), 사용자 감지센서(300), 마이콤(400), 제어밸브(500), 세척부(600) 및 수막노즐(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척부(600)는 집수실(610) 및 배출공(620)을 구비하고, 상기 수막노즐(700)은 슬릿(750)이 형성된다.Urinal with urine splash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7 the urine main body 100, the control block 200 is provided with a front opening and the reservoir 110 and the drain 120. , The user detection sensor 300, the microcomputer 400, the control valve 500, the washing unit 600 and the water film nozzle 700 are formed. In addition, the washing unit 600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chamber 610 and the discharge hole 620, the water film nozzle 700 is formed with a slit 750.

소변기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 사용자가 직립하여 내부를 향해 오줌을 방뇨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오줌을 일시 수용하는 저장조(110) 및 상기 오줌을 배수하는 배수구(120)가 구비된다. 상기 소변기 본체(100)는 설치 형태에 벽걸이형 및 자립형 소변기로 나눌 수 있고, 구조나 모양에 따라 스톨형, 블로 아웃형 및 트랩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소변기 본체(100)이든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하기 위하여 전방이 개구되며, 하부에는 저장조(110) 및 배수구(120)를 구비하므로 본 발명의 소변기 본체(100)는 설치, 구조나 모양에 무관하게 어떠한 소변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rinal main body 100 has a front opening so that a male user can stand up and pee urine inwardly, and a reservoir 110 temporarily receiving the urin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draining the urine. Drain hole 120 is provided. The urinal main body 100 can be divided into a wall-mounted and freestanding urinal in the installation form, and may be divided into a stall type, a blowout type and a trap ty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shape. However, any urinal body 100, the front is opened to the user to urinate, the lower portion of the urinal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110 and a drain 120, the installation, structure or shape It can be used for any urinal regardless.

제어블럭(200)은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상방에 설치되고, 후술할 사용자 감지센서(300), 마이콤(400) 및 제어밸브(500)가 내장된다. 제어블럭(200)의 전방 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고, 램프를 통해 사용자 감지센서(30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마이콤(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밸브(500)가 절환되어 소변기 본체(100)를 세척수로 세척되는지 여부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블럭(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상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재질은 합성수지나 스틸 등 어떠한 것이든 무관하다. 이러한 제어블럭(200)은 도 3과 같이 소변기 본체(100)의 상방에 화장실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고, 화장실의 벽체에 함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ntrol block 200 is installed above the urinal body 100, and has a user sensor 300, a microcomputer 400, and a control valve 500 to be described later. A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ontrol block 200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detected by the user sensor 300 through a lamp, and the control valve 5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400. It is also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switch is washed in the urinal body 100 with the washing water.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block 200 may be formed in a general box shape, and the material may be any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steel. The control block 200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wall of the toilet above the urinal body 100, as shown in Figure 3, it may be installed in the wall of the toilet.

사용자 감지센서(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블럭(200)에 설치되어 근접한 거리에 상기 남성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한다. 이러한 사용자 감지센서(300)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크게 광센서, 전자파센서, 초음파센서, 기계적센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러나, 소변기에 사용되는 사용자 감지센서(300)는 일반적으로 광센서의 일종인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다. 적외선 센서는 크게 능동식과 수동식이 있는데, 능동식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모두 가지는 구조이고, 수동식은 수광부만 가지고 있는 구조이다. 즉, 능동식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발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설치되어 빛의 반사 작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한다. 그러나, 수동식 적외선 센서는 수광부만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 즉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한다. 어떠한 센서이든 사용자 감지센서(300)는 상기 제어블럭(200)에 설치되어 근접한 거리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user senso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block 200 to detect whether the male user is located at a close distance. The user sensor 300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object, largely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light sensor, electromagnetic sensor, ultrasonic sensor, mechanical sensor. However, the user detection sensor 300 used in the urinal generally uses an infrared sensor which is a kind of optical sensor. There are two types of infrared sensor, active and passive. Active type has a light emitting part and a light receiving part, and passive type has a light receiving part only.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an active infrared sensor,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installed together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by using the light reflection action. However, the passive infrared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by using only heat-receiving unit installed heat emitted from the user, that is, infrared light. Any sensor user senso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block 200 can detect whether the user is located at a close distance.

마이콤(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블럭(200)의 내부에 설치 되어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3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후술할 제어밸브(5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절환시킨다. 즉, 마이콤(400)은 사용자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제어밸브(5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밸브(500)가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microcomputer 400 is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lock 200 and receives a signal sensed by the user sensor 300.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valve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switch. That is, the microcomputer 400 receives a signal sensed by the user sensor 300 and is responsible for a control function of controlling the control valve 500 to be switched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500 accordingly. .

제어밸브(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블럭(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마이콤(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된다. 제어밸브(500)의 절환에 따라 후술할 세척부(600) 또는 수막노즐(700)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상기 제어밸브(400)는 마이콤(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마이콤(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3위치를 가지는 전자식 작동 밸브이다. 즉, 제어밸브(500)의 중립위치는 세척부(600) 및 수막노즐(700) 어느 쪽에도 연결되지 않는 위치이고, 제어밸브(500)의 제1 절환위치는 세척부(600)로 연결되는 위치이며, 제어밸브(500)의 제2 절환위치는 수막노즐(700)과 연결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제어밸브(400)는 통상 중립위치에 놓여있다가 상기 마이콤(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절환위치 또는 제2 절환위치로 절환되어 세척부(600) 또는 수막노즐(700)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어밸브(500)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데, 여기서 외부는 건물에 구비되는 수돗물 탱크 또는 상수원이나 지하수를 말하며, 제어밸브(50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일반적으로 펌프(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제어밸브(500)에 공급된 세척수는 가압된 상태로 제어밸브(500)를 통과하여 후술할 세척부(600) 또는 수막노즐(700)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valve 500 is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lock 200 to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400.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control valve 500,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unit 600 or the water film nozzle 70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valve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400, and is an electronically operated valve having a three position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400. That is, the neutral position of the control valve 500 is a position that is not connected to either the washing unit 600 and the water film nozzle 700,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of the control valve 50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unit 600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of the control valve 500 is a position connected to the water film nozzle 700. Therefore, the control valve 400 is normally placed in the neutral position and is switched to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or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400 to be connected to the washing unit 600 or the water film nozzle 700. Will be. The control valve 500 is supplied with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where the outside refers to a tap water tank or a water source or ground water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control valve 500 is generally pressurized by a pump (not shown). Supplied. Therefor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control valve 50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unit 600 or the water film nozzle 7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ntrol valve 500 in a pressurized state.

세척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밸브(5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50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상기 세척수를 배출한다. 상기 세척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실(610) 및 배출공(620)으로 구성된다. 집수실(610)은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밸브(50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고, 배출공(620)은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실(610)에 공급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배출하도록 상기 집수실(610)의 하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세척부(600)는 제어밸브(500)의 절환에 따라 세척수를 집수실(610)에 공급받고, 집수실(61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620)으로부터 세척수가 배출되어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배출됨으로써 소변기 본체(100)를 세척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부(600)는 종래 기술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4, the washing unit 600 is installed above the urinal bod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500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500.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100. As shown in FIG. 5, the washing unit 600 includes a water collecting chamber 610 and a discharge hole 620. A collecting chamber 610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urinal body 100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50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620 are provided to the collecting chamber 610. The washing water i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on chamber 610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That is, the washing unit 600 is supplied with the washing water to the collecting chamber 61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control valve 500,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620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chamber 610 The urinal body 100 is washed by being discharg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Since the cleaning unit 600 may be implemented in the pri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막노즐(70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밸브(5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50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저장조(11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컴(400)에서 제어신호를 제어밸브(500)에 인가하고, 제어밸브(500)가 절환되어 수막노즐(700)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수막노즐(700)은 제어밸브(5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저장조(11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한다. 형성된 수막은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차폐된 내부 공간을 향해 사용자가 오줌 을 방뇨하더라도 수막과 함께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그에 따라, 저장조(110)의 바닥면에 오줌이 직접 낙하하지 않아 큰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오줌이 튀지 않아 사용자 및 외부가 오염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수막이 얇아 방뇨된 오줌이 수막을 관통하는 경우라도 저장조(110) 바닥면에 오줌이 튀게 되지만, 튄 오줌은 다시 수막과 함께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흘러가게 될 것이므로 오염 방지는 완벽히 이루어낼 수 있다. 더욱이, 배수조(120)와 연결된 정화조 등에서 발생한 악취도 수막노즐(700)에 의해 형성된 수막에 차폐되어 사용자는 상쾌한 방뇨를 즐길 수 있다.3 and 4, the water film nozzle 7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500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500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of the reservoir 110. Spray to form a water film. That is, the microcomputer 400 receiving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user sensor 30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500, and the control valve 500 is switch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film nozzle 700. Accordingly, the water film nozzle 700 receiv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500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of the reservoir 110 to form a water film. The formed water film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and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together with the water film even if the user pissed toward the shielded inner space. Accordingly, the urine does not directly fal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10 to reduce the loud noise, and the urine does not splash so that the user and the outside are not polluted. If the urine is thin because the meninges penetrate the meninges, urine will splash on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10, but the splattered urine will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together with the meninges to prevent contamination. Can be done perfectly. Furthermore, the odor generated in the septic tank connected to the drainage tank 120 is also shielded by the water film formed by the water film nozzle 700 so that the user can enjoy fresh urination.

수막노즐(700)은 상기 저장조(110)의 전후방이나, 좌우측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세척수의 분사에 따른 고른 수막 형성을 고려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11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향해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밸브(500)로부터 수막노즐(700)에 연결된 연결튜브를 길게 형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 본체(100)가 설치된 화장실 벽면을 따라 연결튜브를 설치하거나, 소변기 본체(100)의 옆면을 따라 연결튜브를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소변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소변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오줌을 방뇨하고, 수막노즐(500) 역시 소변기(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수막과 방뇨된 오줌이 같은 방향으로 분사되어 함께 어우러져 소변기(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용이하게 흘러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The water film nozzle 700 may be installed in front, rear, left, or right sides of the storage tank 110, but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an even water film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as shown in FIG. 3, installed in the inner front of the storage tank 110. And spray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to form a water film. In this case, a connecting tube connected to the water film nozzle 700 is formed long from the control valve 500, and as shown in FIG. 3, a connecting tube is installed along the toilet wall on which the urinal body 100 is installed, or the urinal body (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connection tube along the side of 100). Accordingly, the user pissing urine from the front of the urinal body 100 to the rear of the urinal body 100, the water film nozzle 500 also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front of the urinal 100 to the rear to form a water film, The formed meninges and urine urine are sprayed in the same direction and can be easily flowed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100.

수막노즐(70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부채꼴 형상이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상기 일단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750)을 통하여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수막을 형성한다. 수막노즐(700)의 일단에 형성된 슬릿(750)은 상기 일단의 상부 또는 하부 어디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수막노즐(700)의 작동을 멈출 때, 세척수가 수막노즐(700)로부터 세지않고, 수막노즐(700) 내부에 수용되어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수막노즐(700)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수막노즐(700)에 수용된 세척수와 함께 분사되어 수막 형성의 신속성 역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막노즐(700)은 그 일단이 부채꼴 형상이되 상기 일단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750)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되어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저장조(110)의 내부공간을 균일하게 차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막노즐(700)에 형성된 슬릿(750)은 하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슬릿(750)을 통과한 세척수가 수막을 형성할 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수막을 형성시킨다. 그에 따라, 형성된 수막은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 벽면을 타고 용이하게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다.6 and 7, one end has a fan shape, and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ther end, and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slit 750 formed on the upper end to form a water film. . The slit 750 formed at one end of the water film nozzle 700 may be formed anywhere above or at the bottom of the water film nozzle 700. However, when the slit 7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water film nozzle 700 by being formed at the top, the washing water is washed from the water film nozzle 700. Instead, 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water film nozzle 700 to prevent waste of water. In addition, the water film nozzle 700 is operat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sprayed with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film nozzle 700 to ensure the rapidity of water film formation. One end of the water film nozzle 700 is a fan-like shape,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slit 750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film nozzle to form a water film, thereby uniformly shiel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reservoir 110. . The slit 750 formed in the water film nozzle 700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the water film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slit 750 forms the water film. Accordingly, the formed water film is easily flowed down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100.

한편, 마이콤(400)은 상기 남성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하고자 상기 제어블럭(200)에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밸브(50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막노즐(700)에 공급하고, 상기 남성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한 후 상기 제어블럭(200)으로부터 이격된 경우 상기 제어밸브(50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600)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밸브(500)를 절환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computer 400 suppli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500 to the water film nozzle 700 when the male user is close to the control block 200 to pee urine, the male user to pee When the urine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block 200, the control valve 500 is switch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600 from the control valve 500.

상기 마이콤(400)에 설정된 프로그램은 세척방식에 따라 1타임, 2타임 및 3 타임 세척방식이 있다. 1타임 세척방식은 사용자 감지센서(300)가 소변을 보기 위해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한 후, 상기 사용자가 소변을 보고 난후 멀어지면 마이콤(400)이 상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후술할 제어밸브(500)를 절환하여 세척부(600)에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변 후 한번 세척하는 방식이다. 2타임 세척방식은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1번,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 멀어지면 다시 1번, 총 2번을 세척하는 방식이며, 3타임 세척방식은 2타임 세척방식에 사용자가 소변을 보고 있는 도중에 1번 더 세척하여 총 3번을 세척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2타임 세척방식이 위생 및 절수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The program set in the microcomputer 400 includes one time, two time and three time was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In the one-time washing method, after the user detection sensor 300 detects a user near to urinate, and the user moves away after urinating, the microcomputer 400 receives the detected signal and the control valve 500 to be described later. )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600 by switching, it is a method of washing once after the user's urine. The two-time cleaning method is one time when the user is close, and once again after the user urinates, the second time and a total of two times. The three-time cleaning method is a two-time washing method while the user is urinating. Wash one more time to wash a total of three times. In general, the two-time cleaning method is most used in terms of hygiene and water saving.

이러한 2타임 세척방식을 고려할 때, 먼저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 소변기 본체(100) 또는 제어블럭(200)에 근접하면 사용자 감지센서(300)가 이를 감지하고 마이콤(400)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한다.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은 마이콤(400)은 제어신호를 제어밸브(500)에 인가하여 제어밸브(500)와 수막노즐(700)이 연결되도록 절환하고, 제어밸브(500)로부터 수막노즐(700)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시킨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동안은 수막이 형성된 상태로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오줌을 모두 방뇨한 후 소변기 본체(100) 또는 제어블럭(200)으로부터 멀어지면, 이를 사용자 감지센서(300)가 다시 감지하고, 마이콤(400)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한다.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은 마이콤(400)은 제어신호를 다시 제어밸브(500)에 인가하여 제어밸브(500)와 세척부(600)가 연결되도록 절환하고, 제어밸브(500)로부터 세척부(600)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를 세척한다. 그 후, 종래 기술과 같이 세 척부(600)가 소변기 본체(100)를 세척한 후에는 마이콤(400)이 제어신호를 제어밸브(500)에 인가하여 중립위치, 즉 세척부(600) 및 수막노즐(700) 모두와 제어밸브(500)가 연결되지 않아 세척수를 공급하지 않는 위치에 오도록 제어밸브(500)를 절환시킨다. 즉, 제어밸브(500)를 평상시의 상태로 절환시켜 세척부(600) 및 수막노즐(700) 모두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수막노즐(700) 및 세척부(600)를 한번씩 작동시키는 2타임 세척방식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Considering this two-time cleaning method, first, when the user is close to the urinal main body 100 or the control block 200 to urinate, the user sensor 300 detects this and applies the detected signal to the microcomputer 400. do. The microcomputer 400 receiving the sensed signal switch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500 so that the control valve 500 and the water film nozzle 700 are connected, and the water film nozzle 700 from the control valve 500.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form a water film. Accordingly, while the user is urinating, the pee fry prevention function is performed while the meninges are formed. Next, when the user urinates all the urine away from the urinal body 100 or the control block 200, the user sensor 300 detects it again, and applies the detected signal to the microcomputer 400. . The microcomputer 400 receiving the sensed signal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500 again to switch the control valve 500 and the washing unit 600 to be connected, and to clean the washing unit 600 from the control valve 500. ) To wash the inside of the urinal body 100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hereafter, after the washing unit 600 cleans the urinal body 100 as in the related art, the microcomputer 40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500 so that the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washing unit 600 and the water film All of the nozzles 700 and the control valve 500 are not connected so that the control valve 500 is switched to the position where the washing water is not supplied. That is, the control valve 500 is switched to the normal state to make both the washing unit 600 and the water film nozzle 700 inoperable. By repeating such a series of processes, it is to propose a two-time cleaning method for operating the water film nozzle 700 and the cleaning unit 600 once or not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user.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종래의 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rinal,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며,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rinal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며,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3,

도 5는 도 3의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embodiment of FIG. 3 as viewed from below;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막노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ater film nozzle in the embodiment of FIG. 3.

도 7은 도 6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소변기 본체100: urinal body

110 : 저장조110: reservoir

120 : 배수구120: drain

200 : 제어블럭200: control block

300 : 사용자 감지센서300: user detection sensor

400 : 마이콤400: Micom

500 : 제어밸브500: control valve

600 : 세척부600: cleaning unit

610 : 집수실 620 : 배출공610: collection room 620: discharge hole

700 : 수막노즐 750 : 슬릿700: water film nozzle 750: slit

Claims (6)

남성 사용자가 직립하여 내부를 향해 오줌을 방뇨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오줌을 일시 수용하는 저장조 및 배수구가 구비된 소변기 본체;A urinal body having a front opening to allow a male user to pee urine toward the inside and having a reservoir and a drain hole temporarily receiving the urine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방에 설치된 제어블럭;A control block installed above the urinal body; 상기 제어블럭에 설치되어 근접한 거리에 상기 남성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A user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control block and detecting whether the male user is located at a close distance; 상기 제어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콤;A microcomputer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lock to receive a signal detected by the user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는 제어밸브;A control valve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lock to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to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 벽면을 향해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부; 그리고,A wash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rinal body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and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toward an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And, 상기 제어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저장조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노즐;을 포함하며,And a water film nozzle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and spray the washing water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of the reservoir to form a water film. 상기 수막노즐은,The water film nozzle, 일단이 부채꼴 형상이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상기 일단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수막을 형성하며, 상기 수막노즐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One end is fan-shaped,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ther end through the sli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form a wa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shing water is provided in the water film nozzles Urinal with pee splatter prot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콤은,The microcomputer, 상기 남성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하고자 상기 제어블럭에 근접한 경우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막노즐에 공급하고, 상기 남성 사용자가 오줌을 방뇨한 후 상기 제어블럭으로부터 이격된 경우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밸브를 절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The male user suppli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to the water film nozzle when the male user is close to the control block to pee, and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when the male user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block after urinating. The urinal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control valve to supply the was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척부는,The washing unit,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밸브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는 집수실과,A water collecting chamber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urinal body and receiv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control valve; 상기 집수실에 공급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 벽면을 따라 배출하도록 상기 집수실의 하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측 벽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A urinal with a pee fry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in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chamber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collecting chamb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body.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막노즐은,The water film nozzle, 상기 저장조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 벽면을 향해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The urinal provided with a splatter preventing func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inner front of the reservoir to form a water film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rinal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막노즐에 형성된 슬릿의 상부가 하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Urinal with a urine splash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lits formed in the water film nozzle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KR1020080016120A 2008-02-22 2008-02-22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KR100999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120A KR100999397B1 (en) 2008-02-22 2008-02-22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120A KR100999397B1 (en) 2008-02-22 2008-02-22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711A KR20090090711A (en) 2009-08-26
KR100999397B1 true KR100999397B1 (en) 2010-12-09

Family

ID=4120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120A KR100999397B1 (en) 2008-02-22 2008-02-22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3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469A (en) * 2013-09-26 2014-02-19 王盈一 Splattering-prevention device
KR20230113000A (en)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업드림코리아 Urinal with splash pro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5851A (en) * 2011-01-19 2012-07-25 刘跃东 Cleaning urinal for male
DE102011052369A1 (en) * 2011-08-02 2013-02-07 Urimat Holding Ag Use for drainage of a urinal
TWI588331B (en) * 2014-07-23 2017-06-21 Toto Ltd Urinal device and urinal unit
KR200476429Y1 (en) * 2014-10-22 2015-03-02 강혜진 A urinal for man with guidance and water saving means
CN104499555B (en) * 2014-12-09 2017-01-11 梁举 Concealed urinal
WO2022250179A1 (en) * 2021-05-27 2022-12-01 정진우 Splattered urine clea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76U (en) 1983-07-11 1985-01-30 東陶機器株式会社 flush toilet
KR200435631Y1 (en) 2006-09-29 2007-02-02 로얄토토 주식회사 The electronic sensing flush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76U (en) 1983-07-11 1985-01-30 東陶機器株式会社 flush toilet
KR200435631Y1 (en) 2006-09-29 2007-02-02 로얄토토 주식회사 The electronic sensing flush val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469A (en) * 2013-09-26 2014-02-19 王盈一 Splattering-prevention device
KR20230113000A (en)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업드림코리아 Urinal with splash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711A (en)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397B1 (en) Urinal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KR910008895B1 (en) Sanitary facility room for clean room
KR101410360B1 (en) Apparatus for bisexual urinal of toilet bowl cover type
JP2014070376A (en) Flush toilet for male
CN112302126B (en) Automatic toilet cleaner and automatic cleaning toilet including the same
KR20090113423A (en) Multi-functional urinal
KR100999399B1 (en) Bidet apparatus with function of urine spattering prevention
KR20060088521A (en) Smell exclude equipment attached sanitary ware
JPH11350578A (en) Water closet type bowl
KR20130061275A (en) Urinal
JP5411234B2 (en) Piss device
KR100386377B1 (en) Chamber-pot with buble-manufacturer
KR20130014667A (en) An egg- type urinal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rine flick controlled using a pedal
KR100989201B1 (en) buried toilet bowl
JP2001323541A (en) Western-style flush toilet stool
KR101058361B1 (en) A urinal system
JP2006200149A (en) Toilet stool equipment
KR101460445B1 (en) Urinal basin combined with sensor
JP4600380B2 (en) Toilet bowl
KR102580598B1 (en) 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KR101359284B1 (en) A urinal for women only
KR200254707Y1 (en) toilet stool
KR200351093Y1 (en) Footing with urinal
KR100223419B1 (en) A toilet bowl using recycling water
JP3187919U (en) Pi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