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351A -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351A
KR20230106351A KR1020220002147A KR20220002147A KR20230106351A KR 20230106351 A KR20230106351 A KR 20230106351A KR 1020220002147 A KR1020220002147 A KR 1020220002147A KR 20220002147 A KR20220002147 A KR 20220002147A KR 20230106351 A KR20230106351 A KR 2023010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body part
implant
body portion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운
전해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메디온
전해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메디온, 전해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메디온
Priority to KR102022000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351A/ko
Publication of KR2023010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3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us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7Mechanical guides for implantat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디부와, 제1 바디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 바디부와의 사이에 보형물이 삽입, 통과가능한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와,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통로와 함께 너비가 신축가변되는 너비조절슬릿과,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보형물이 삽입되는 체내의 삽입공간에 도킹되는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ARTIFICIAL DISC INSERT GUIDE DEVICE FOR SPINAL END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내시경 수술 시에 보형물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척추수술은 신경감압술 위주로 시행되었으나, 최근 척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점점 발전을 거듭하면서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척추골유합술에 의해 수술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초기 단계인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척추골유합술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수술방법은, 먼저 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충분히 감압하고, 문제부위의 디스크를 완전하게 제거하고 척추체융합의 최적조건인 퓨전베드(Fusion bed)를 만든다. 이후 내시경을 제거하고, X-ray하에서 인공디스크(척추체보형물)를 목표부위에 삽입한다. 척추체보형물을 삽입할 때 내시경을 삽입한 구멍을 통해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내시경을 제거한 후 X-ray하에서 척추체보형물을 삽입 위치(Incision site)에 삽입하게 된다.
그런데 척추체보형물을 삽입 위치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신경가닥(Nerve) 줄기 옆을 통과하게 되는데, X-ray하에 인공디스크를 삽입하면 삽입과정에서 신경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높아져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척추골유합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X-ray하에 척추체보형물(인공디스크)을 넣을 때,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905318호(2018.09.28 등록, 발명의 명칭: 최소 침습으로 척추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워킹캐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척추내시경치료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로드 부재에 의해 신경 또는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 부재를 원활하게 체내에 삽입 가능한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부재의 선단부가 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삽입공간에 정확하게 도킹됨으로써, 가이드 부재를 통해 보형물을 삽입 시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X-ray하에 척추체에 보형물(인공디스크)을 넣을 때,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에 삽입 가능한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의 사이에 보형물이 삽입, 통과가능한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통로와 함께 너비가 신축가변되는 너비조절슬릿;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형물이 삽입되는 체내의 삽입공간에 도킹(docking)되는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일측의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도킹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단부에 상기 제1 도킹부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돌출길이로 형성되는 제2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도킹부는, 상기 제1 도킹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제1 도킹부보다 먼저, 더 깊이 도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너비조절슬릿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조절슬릿;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슬릿과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 조절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너비조절슬릿의 너비가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제1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한 쌍의 상기 결합부 각각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슬릿과 상기 제2 조절슬릿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한 쌍의 상기 연장부간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조절을 위해 상기 연장부와 상기 탄성고리부 중 적어도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절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이동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끼워져 결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너비조절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도킹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나 상기 제2 바디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도킹부와 다른 형상이나 다른 돌출길이를 가지게 되는 제2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면, 로드 부재에 의해 신경 또는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 부재를 원활하게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의 선단부가 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삽입공간에 정확하게 도킹됨으로써, 가이드 부재를 통해 보형물을 삽입 시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X-ray하에 척추체에 보형물(인공디스크)을 넣을 때,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너비를 조절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너비를 조절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킹부에 대한 제1 도킹부의 상대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제1 바디부를 제2 바디부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100)는, 척추골유합술 등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에서 인공디스크인 보형물(미도시)을 척추의 손상부위에 삽입할 때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100)는 로드 부재(200)와 가이드 부재(300)를 포함한다.
로드 부재(200)는 가이드 부재(300)의 체내에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재이다. 로드 부재(200)는 삽입공간(미도시)을 향하도록 체내에 삽입되고, 가이드통로(311)에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3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로드 부재(200)는 보형물의 삽입을 위해 체내에 뚫는 탄성조절부위(Incision site)에 먼저 넣어서 연부조직(Soft Tissues)의 방해 없이 가이드 부재(300)를 잘 삽입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 부재(300)의 삽입 시에, 먼저 삽입된 로드 부재(200)를 가이드통로(311)에 삽입하고, X-ray 모니터를 보면서 로드 부재(200)를 따라 가이드 부재(3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목표 지점까지 삽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로드 부재(200)는 가이드 부재(300)의 체내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로드 부재(200)와 가이드 부재(300)의 길이방향의 일방향으로서, 체내에 삽입 시에 삽입공간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로드 부재(200)는 몸체부(210)와 곡면부(220)와 그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로드 부재(2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체외에서 체내의 척추체(미도시)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연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삽입될 수 있다.
곡면부(220)는 몸체부(210)의 제1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 부재(200)는 제1 방향의 끝단 즉, 체내로 진입하는 부분이 뭉툭하게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드 부재(200)를 체내에 삽입 시에 신경 또는 신경 주변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립부(230)는 몸체부(210)의 제2 방향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30)는 수술자가 로드 부재(200)를 삽입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그립부(230)는 그립이 용이하도록 요입 형성된 그립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홈(231)은 그립부(230)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로드 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홈(231)에 의해 수술자가 그립부(230)를 파지하는 파지력이 향상되어, 시술 중에 로드 부재(200)가 수술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그립부(2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립이 용이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는 척추체(미도시)에 보형물이 삽입될 공간인 삽입공간(미도시)을 향하도록 체내에 삽입되고, 내부에 보형물이 진입하는 가이드통로(311)가 형성된다. 또한 삽입공간에 인접한 신경을 보호하면서 보형물을 삽입공간에 삽입시키도록 선단부가 삽입공간에 도킹(dock)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300)는 체내에 삽입되어 보형물을 삽입공간에 삽입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삽입공간은 척추체에서 기존의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한 자리로서 보형물이 삽입될 공간이다. 가이드 부재(300)는 관(pipe)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형물의 삽입 전에 체외에서 체내의 삽입공간을 향하도록 삽입되어, 보형물이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00)는 선단부가 삽입공간에 도킹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이드통로(311)는 피부의 절개 부위에서 삽입공간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보형물은 가이드통로(311)로 진입하여 가이드통로(3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형물을 삽입공간에 삽입 시에 보형물이 삽입공간에 인접한 척추 신경을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X-ray하에 보형물을 삽입공간에 삽입하게 되므로, 척추체의 삽입공간에 인접한 신경가닥(Nerve)을 통과하면서 신경가닥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신경(Nerve)을 피하여 가이드 부재(300)를 미리 삽입공간까지 삽입하고, 가이드 부재(300)의 선단부를 삽입공간에 도킹함으로써, 보형물의 삽입 시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의해 신경 또는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300)의 선단부를 삽입공간에 도킹할 때, 가이드통로(311)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한 후, 내시경 모니터를 보면서 선단부가 신경을 보호하면서 삽입공간에 도킹되도록 정밀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내시경을 제거하고 X-ray 하에서 보형물을 삽입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도킹된 가이드 부재(300)의 가이드통로(311)를 따라 보형물을 삽입하므로, 삽입 과정에서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100)를 이용하면, 로드 부재(200)에 의해 신경 또는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 부재(300)를 원활하게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의 선단부가 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삽입공간에 정확하게 도킹됨으로써, 가이드 부재(300)를 통해 보형물을 삽입 시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X-ray하에 척추체에 보형물(인공디스크)을 넣을 때,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너비를 조절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는 바디부(310), 도킹부(330), 탄성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통로(31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310)는 로드 부재(200)의 몸체부(2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310)는 제1 바디부(313), 제2 바디부(314), 너비조절슬릿(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313)는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부(314)는 제1 바디부(313)와 마찬가지로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제1 바디부(313)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사이에는 보형물이 삽입, 통과가능한 중공부인 가이드통로(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부(314)는 제1 바디부(313)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탄성연결부(3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너비조절슬릿(315)은 제1 바디부(313)와 상기 제2 바디부(314)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31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에 의해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는 탄성연결부(350)에 의해 제2 방향의 단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는 서로를 향하는 원주방향 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틈은 상기한 너비조절슬릿(315)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너비조절슬릿(315)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슬릿(315)은 제1 조절슬릿(316)과 제2 조절슬릿(317)을 포함한다.
제1 조절슬릿(316)은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조절슬릿(317)은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조절슬릿(316)과 병렬되게 배치된다.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가 서로 대칭인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1 조절슬릿(316)과 제2 조절슬릿(317)은 원주형의 가이드통로(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수술자가 바디부(310)의 둘레를 파지한 상태로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너비조절슬릿(315)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슬릿(316)과 제2 조절슬릿(317)은,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통로(311)와 함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너비가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연결부(350)(이하 설명)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 될 수 있다.
보형물이 도 4에 도시된 가이드통로(311)보다 더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경우에는, 보형물의 크기, 너비에 맞추어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이드통로(311)의 너비를 도 4에 도시된 상태보다 더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연결부(350)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의 가이드통로(311)를 통해 삽입되는 보형물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는데, 가이드통로(311)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보형물이 삽입되는 경우, 너비조절슬릿(315)을 통해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310)보다 큰 크기의 보형물을 원활하게 삽입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도킹부(330)는 가이드 부재(300)의 선단부를 삽입공간에 도킹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바디부(310)의 제1 방향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삽입공간에 끼워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도킹부(33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보형물이 삽입되는 체내의 삽입공간에 끼워져 도킹(docking), 고정된다.
이때 도킹부(330)는 보형물을 삽입공간에 삽입하기 위해 타격부재(Mallet)로 타격 시에 삽입공간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삽입공간에 고정될 수 있고, 이후 보형물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삽입공간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킹부(330)가 삽입공간에 안정적으로 도킹된 후에, 보형물은 도킹부(330)를 통해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술 시에 보형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부(33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를 포함하되,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돌출길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킹부(331)는 제1 바디부(313)의 단부에 제1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도킹부(332)는 제2 바디부(313)의 단부에 제1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도킹부(331)보다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2 도킹부(332)의 끝단부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킹부(332)는 바디부(310)의 끝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끝단은 곡선으로 라운딩 처리된 형태일 수 있다.
보형물은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 사이로 진입하여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킹부(330)는 삽입공간의 크기와 형상으로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킹부(331) 및 제2 도킹부(332)의 크기와,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 사이의 간격은, 삽입공간의 크기와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도킹부(331) 및 제2 도킹부(332)의 크기는 척추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킹부(331) 및 제2 도킹부(332) 사이의 간격은 삽입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킹부(332)는 제1 도킹부(331)보다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삽입공간 내에 제1 도킹부(331)보다 먼저 진입하게 되고, 삽입공간 상의 일측부에 더 깊이 도킹된다. 제1 도킹부(331)는 삽입공간 상의 타측부에 제2 도킹부(332)보다 얕은 깊이로 도킹된다.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가 대칭되는 형상, 돌출길이 가지는 실시예에 의하면, 삽입공간의 2개소에 동일한 정도로 도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비교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도킹부(332)가 체내에 도킹된 것만으로 가이드 부재(3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면서도, 제2 도킹부(332)보다 축소된 제1 도킹부(332)의 돌출길이만큼 도킹에 의한 조직 손상의 우려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300)의 기울기, 위치, 방향 조절 등이 제2 도킹부(332)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 범위이내에서 가능해지게 되어, 가동범위 확장에 따른 수술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부(33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 중 일측의 단부에만 형성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도킹부(330)를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 중 일측에만 형성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제1 방향 단부가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고 전제하는 경우, 제2 바디부(314)의 단부에만 제1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의 도킹부(330)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돌출길이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와 같이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 중 일측에만 형성되는 실시예를, 즉 제1 도킹부(331)의 돌출길이가 0이고, 제2 도킹부(332)의 돌출길이가 0보다 큰 실시예를 포괄하여 의미한다.
또한, 제1 도킹부(331)가 0보다 작은, 즉 제2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제2 도킹부(332)는 제1 방향으로0 이상의 돌출길이를 가지는 실시예도 포괄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 예를 들어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의 너비, 단면 형상, 단부 형상 등이 서로 다른 실시예도 포괄하여 의미한다.
탄성연결부(35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장치부이다. 탄성연결부(35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너비조절슬릿(315)의 너비가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탄성연결부(350)는 바디부(310)의 길이방향이 아니라, 반경방향 등으로 연장,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술자가 바디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손등에 걸칠 수 있는 걸림구나, 수술자가 바디부(310) 외에 가이드 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을 제공한다.
탄성연결부(350)는 바디부(310)의 제2 방향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파지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를 삽입공간에 도킹시킬 때, 수술자는 내시경을 보면서 탄성연결부(350)를 잡고 가이드 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연결부(350)는 결합부(351), 연장부(354), 탄성고리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51)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51)는 바디부(310)의 외면에서 단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부(351)의 두께는 바디부(3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는 결합부(351)에 의해 탄성연결부(3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51)는 연장슬릿(35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슬릿(352)은 너비조절슬릿(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슬릿(352)은 너비조절슬릿(315)에 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큰 보형물이 가이드통로(311)로 삽입되면, 연장슬릿(352)은 너비조절슬릿(315)과 함께 벌어지면서 바디부(310)의 크기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슬릿(352)에 의해 분리된 결합부(351)는 연장부(354)와 탄성고리부(35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354)는 결합부(351)에서 연장되고 한 쌍의 연장슬릿(352)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연장부(354)가 평행하게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3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11자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고리부(355)는 한 쌍의 연장부(354)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고리부(355)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354)에서 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탄성고리부(355)가 이루는 호의 직경은, 한 쌍의 연장부(354)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고리부(355)는 한 쌍의 결합부(351)를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탄성고리부(355)는 제1 조절슬릿(316)과 제2 조절슬릿(317)의 간격의 조절이 필요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고리부(355)는, 제1 조절슬릿(316)과 제2 조절슬릿(317)의 간격의 조절이 필요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적절한 텐션이 유지되어야 한다. 탄성고리부(355)의 탄성 변형력이 클수록 큰 크기의 보형물의 삽입 시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반면 탄성고리부(355)의 탄성 변형력이 작을수록,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바디부(310)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고리부(355)는 적절한 두께로 이루어지고, 탄성조절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조절부(356)는 가이드통로(311)로 이동하는 보형물의 크기에 따라 너비조절슬릿(315)과 연장슬릿(352)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가변되게 하기 위해, 연장부(354)와 탄성고리부(355) 중 적어도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절단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조절부(356)에 의해 탄성고리부(355)는 제1 바디부(313) 및 제2 바디부(314)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필요 시에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가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탄성조절부(356)의 크기는 탄성고리부(355)가 상기한 적절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너비를 조절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가 슬라이딩결합부(360)에 의해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이하 '제3실시예'라 한다)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비교해 구성 상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원주방향 일단부가 슬라이딩결합부(360)에 의해 상호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2 바디부(314)에 대한 제1 바디부(313)의 길이방향 상대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부(313)를 제2 바디부(3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의 상대 위치 또한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는 서로 다른 형상이나 다른 돌출길이를 가지게 된다.
제1 바디부(313)와 상기 제2 바디부(314)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사이에는 너비조절슬릿(31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바디부(313)를 금속재, 플라스틱재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조절슬릿(315)의 너비를 탄성적으로 신축가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킹부에 대한 제1 도킹부의 상대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제1 바디부를 제2 바디부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결합부(360)는 가이드레일부(361), 슬라이딩이동부(362), 기준스토퍼부(363), 개방부(364)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부(361)는 제2 바디부(314)의 원주방향 일단부 상에 형성된다. 슬라이딩이동부(362)는 가이드레일부(361)와 마주하는 제1 바디부(313)의 원주방향 일단부 상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36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가이드레일부(361)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부(36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2 도킹부(332)에 대한 제1 도킹부(331)의 상대 위치를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기준스토퍼부(363)는 가이드레일부(361)의 제1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딩이동부(362)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기준스토퍼부(363)의 위치에 따라 제2 바디부(314)에 대한 제1 바디부(313)의 제1 방향 이동한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이동부(362)가 기준스토퍼부(363)에 걸린 상태에서, 제1 도킹부(331)와 제2 도킹부(33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동일한 돌출길이를 가지거나,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기준스토퍼부(363)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스토퍼부(363)를 배치하면, 기준스토퍼부(363)에 의해 제1 바디부(313)가 제1 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거나 탈락,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자가 기준스토퍼부(363)를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딩이동부(362)의 제2 방향 상대 위치를, 즉 제2 도킹부(332)에 대한 제1 도킹부(331)의 상대 위치를 보다 신뢰성있게 확인, 조절할 수 있다.
개방부(364)는 가이드레일부(361)의 제2 방향 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이동부(362)는 개방부(364)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36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부(313)나 제2 바디부(314)의 세척이나 교체 후, 도 7,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361)에 끼워져 다시 결속될 수도 있다.
상기의 슬라이딩결합부(36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결합부(360)의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이지, 슬라이딩결합부(360)의 구조를 특정하게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결합부(360)는 제1 바디부(313)와 제2 바디부(314)간의 상대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가변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100)를 이용하여 보형물을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보형물을 삽입하기 위해 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위(Incision site)를 형성하고, 로드 부재(200)를 절개 부위에 삽입한다. 이때 로드 부재(200)는 제2 방향의 단부에 곡면부(220)가 형성됨으로써 신경 및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로드 부재(200)를 따라 가이드 부재(300)를 삽입한다. 이때 먼저 삽입된 로드 부재(200)를 가이드통로(311)에 삽입하고, X-ray 모니터를 보면서 로드 부재(200)를 따라 가이드 부재(3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목표 지점까지 삽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이드 부재(300)는 연부조직의 방해 없이 체내 삽입이 안전하고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로드 부재(200)를 가이드 부재(300)와 분리함으로써, 로드 부재(200)를 제거할 수 있다.
로드 부재(200)를 제거한 후, 가이드통로(311)에 내시경 장치를 삽입하고, 내시경 모니터를 보면서 가이드 부재(300)의 도킹부(330)를 삽입공간에 도킹시킬 수 있다. 이때 수술자는 내시경 모니터를 보면서 정밀하게 가이드 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300)의 도킹 과정에서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의 도킹 과정이 완료되면, 내시경을 가이드통로(311)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가이드 부재(300)에 보형물을 삽입하고 가이드통로(311)를 따라 이동시켜서 보형물을 삽입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수술자는 케이지홀더로 보형물을 잡고 타격부재(Mallet)로 케이지홀더를 타격하여 보형물을 삽입공간에 삽입(도킹)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300)의 도킹부(330)가 삽입공간에 도킹되어 있으므로, 보형물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부재(300)가 삽입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보형물을 안전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삽입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면, 로드 부재에 의해 신경 또는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 부재를 원활하게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의 선단부가 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삽입공간에 정확하게 도킹됨으로써, 가이드 부재를 통해 보형물을 삽입 시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X-ray하에 척추체에 보형물(인공디스크)을 넣을 때,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200: 로드 부재 210: 몸체부
220: 곡면부 230: 그립부
231: 그립홈 300: 가이드 부재
310: 바디부 311: 가이드통로
313: 제1 바디부 314: 제2 바디부
315: 너비조절슬릿 316 : 제1 조절슬릿
317 : 제2 조절슬릿 330: 도킹부
331: 제1 도킹부 332: 제2 도킹부
350: 탄성연결부 351: 결합부
352: 연장슬릿 354: 연장부
355: 탄성고리부 356: 탄성조절부
360 : 슬라이딩결합부 361 : 가이드레일부
362 : 슬라이딩이동부 363 : 기준스토퍼부
364 : 개방부

Claims (14)

  1.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의 사이에 보형물이 삽입, 통과가능한 가이드통로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통로와 함께 너비가 신축가변되는 너비조절슬릿;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형물이 삽입되는 체내의 삽입공간에 도킹(docking)되는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일측의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도킹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단부에 상기 제1 도킹부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돌출길이로 형성되는 제2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킹부는,
    상기 제1 도킹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제1 도킹부보다 먼저, 더 깊이 도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너비조절슬릿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조절슬릿;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슬릿과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 조절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너비조절슬릿의 너비가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제1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한 쌍의 상기 결합부 각각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슬릿과 상기 제2 조절슬릿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한 쌍의 상기 연장부간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조절을 위해 상기 연장부와 상기 탄성고리부 중 적어도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절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이동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끼워져 결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너비조절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도킹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나 상기 제2 바디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도킹부와 다른 형상이나 다른 돌출길이를 가지게 되는 제2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KR1020220002147A 2022-01-06 2022-01-06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KR20230106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47A KR20230106351A (ko) 2022-01-06 2022-01-06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47A KR20230106351A (ko) 2022-01-06 2022-01-06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51A true KR20230106351A (ko) 2023-07-13

Family

ID=8716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147A KR20230106351A (ko) 2022-01-06 2022-01-06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3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51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inal conditions
JP4850907B2 (ja) 脊柱管狭窄症を治療する装置
EP1340467B1 (en) A cavity retaining tool for general surgery
US8870890B2 (en) Pronged holder for treating spinal stenosis
US20120035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on of flexible spinal stabilization element
WO2009083276A1 (en) Percutaneous interspinous process spacer
JP2019505354A (ja) 動的安定化椎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手術用キット
US20180289363A1 (en) Surgical access system, device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7531507A (ja) アンカー/インプラント配備装置およびそれに関係する組織修復方法
KR100811563B1 (ko) 척추고정장치의 최소 침습 적 시술기구
JP6475449B2 (ja) 脊椎手術用器具
KR101111666B1 (ko) 최소 침습적 척추수술장치
JP6360632B2 (ja) 棘突起間バンド結合用機構
KR20230106351A (ko)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WO2015134926A1 (en) Method, implant & instruments for percutaneous expansion of the spinal canal
KR100908892B1 (ko) 뼈골절치료용시술기구
KR102365883B1 (ko) 척추내시경 수술용 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US11096725B2 (en) Reduction screw tab break off and storage instrument
KR102392064B1 (ko) 척추내시경 수술용 인공보형물 삽입 가이드 장치
JP6896767B2 (ja) 動的安定化椎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れを位置決めする器具
KR102189694B1 (ko) 내시경장치
JP7261902B2 (ja) 多軸外科用ねじおよび当該外科用ねじを埋め込むための装置
KR101273262B1 (ko) 경골 절단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경골 절단 가이드 세트
KR102276071B1 (ko) 척추 시술용 리트렉터
KR102314563B1 (ko) 의료용 플레이트 고정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