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604A - 건조 겸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 겸용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604A
KR20230101604A KR1020210191850A KR20210191850A KR20230101604A KR 20230101604 A KR20230101604 A KR 20230101604A KR 1020210191850 A KR1020210191850 A KR 1020210191850A KR 20210191850 A KR20210191850 A KR 20210191850A KR 20230101604 A KR20230101604 A KR 2023010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uct
heat exchange
inle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홍
김영현
김우진
이슬기
서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604A/ko
Priority to PCT/KR2022/016726 priority patent/WO2023128203A1/ko
Priority to EP22916357.1A priority patent/EP4375412A1/en
Priority to CN202280074804.9A priority patent/CN118215761A/zh
Priority to US18/108,054 priority patent/US20230203731A1/en
Publication of KR2023010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 투입구와 연결되는 전방 개구와 후방 개구가 마련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터브의 위에 배치되고, 전방 개구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열풍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와, 일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유입 덕트, 및 타측에 배치되고,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급 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급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전방 개구로 공급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겸용 세탁기{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본 개시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는 별개의 장치로 형성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기와 건조기가 별도의 장치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세탁이 완료되기를 기다렸다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기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건조 겸용 세탁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건조 기능만을 갖는 전용 건조기에 비해 건조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전용 건조기에 필적하는 건조 성능을 갖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연결되는 전방 개구와 후방 개구가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개구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일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유입 덕트; 및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급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전방 개구로 공급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상기 타측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팬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 터브와 상기 유입 덕트를 연결하는 후방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 유입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린트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유입 덕트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결되는 송풍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외측 후면에는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1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 후면에는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2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방 개구와 후방 개구가 마련되는 원통형 터브;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터브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후방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유입 덕트; 상기 터브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급 덕트;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풍 팬; 및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고, 상기 공급 덕트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연결하는 송풍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송풍 덕트와 공급 덕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박스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드럼의 후면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토출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드럼을 통과하는 기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라비린스 실에 의한 드럼의 측면 기류 누설의 저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단어는 서지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발명자가 단지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캐비닛(10), 터브(tub)(20), 드럼(drum)(30) 및 건조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10)은 전면 커버(11), 후면 커버(12), 좌측 커버(13)(도 2 참조), 우측 커버(14)(도 2 참조), 상부 커버(15), 및 하부 커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front side)에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고 꺼낼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18)가 마련된다. 즉, 세탁물 투입구(18)는 본체의 전면 커버(11)에 마련된다. 세탁물 투입구(18)에는 도어(1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의 상부에는 세탁기(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패널(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패널(19)은 세탁기(1)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 세탁기(1)와 세탁 과정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세탁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기(1)의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면 커버(11)의 세탁물 투입구(18)를 향하여 전방 개구가 마련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터브(20)의 전방 개구는 세탁물 투입구(18)와 연결된다. 터브(20)는 후면에 마련된 후방 개구를 포함한다.
터브(20)는 세탁에 필요한 소정 량의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면에 인장 스프링, 오일 댐퍼 등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있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5)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5)은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이어프램(25)의 일단은 전방 개구가 마련된 터브(20)의 전면(21)에 고정되며, 다이어프램(25)의 타단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의 세탁물 투입구(18)의 내주에 고정된다. 즉, 다이어프램(25)은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8)와 터브(20)의 전방 개구를 연결한다.
다이어프램(25)은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가 터브(2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탁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25)은 드럼(30)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를 통해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30)의 전면(31)에는 세탁기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8)와 대응하는 드럼 개구(31a)가 마련되고, 드럼(30)의 후단에는 후면판(32)이 마련된다.
드럼(30)의 측면(33)에는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33a)이 마련된다. 드럼(30)의 후면판(32)에도 다수의 통공(32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내부의 공기는 드럼(30)의 측면(33)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a)과 후면판(3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2a)을 통해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내주면에는 세탁물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복수의 리프트(34)가 마련된다. 드럼(30)은 후면판(32)에 설치된 구동 모터(35)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마련되며,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로 부터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배치된다.
급수장치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의 일단은 다이어프램(2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에는 세제 흡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펌프와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가 동작하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배수관을 통해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터브(20)의 상측에는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세탁된 세탁물(35)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40)는 터브(20)에서 배출된 공기를 가열 및 건조시켜 열풍을 만들고, 열풍을 터브(20)의 내부로 순환시켜 드럼(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건조장치(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조장치(40)는 터브(20)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순환 유로(41), 순환 유로(41)를 순환하는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 팬(61), 드럼(30)을 통과한 기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가열하여 고온의 건조한 기류, 즉 열풍을 만드는 열교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유로(41)는 터브(20)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유로(50)와 터브(20)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방 유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후방 유로(55)와 터브(20)의 전방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유입된 기류가 대략 직각 방향으로 꺾인 후, 일직선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고, 다시 직각 방향으로 꺾여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의 상측으로 캐비닛(10)의 후면 커버(12)와 상부 유로(50) 사이에는 열교환부(70)의 압축기(71)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유로(50)는 전면 커버(11)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후면 커버(12)와 상부 유로(50) 사이에는 압축기(71)가 설치되는 공간(44)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캐비닛(10)의 일측 커버(예를 들면, 우측 커버(14))에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캐비닛(10)의 후면 커버(12)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출구(53b)는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후방 유로(55)의 출구(55b)와 연통된다.
한편, 상부 유로(50)의 출구(53b)는 캐비닛(10)의 타측 커버(예를 들면, 좌측 커버(13))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유로(50)의 입구(51a)와 출구(53b)는 캐비닛(10)의 상면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캐비닛(10)의 일측 모서리에 마련되고, 상부 유로(50)의 출구(53b)는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캐비닛(10)의 타측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출구(53b)에는 송풍 팬(61)이 설치된다. 송풍 팬(61)은 터브(20)의 전면에 배치된 송풍 덕트(60)의 내부에 수용된다.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는 상부 유로(50)의 출구(53b)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는 터브(20)의 전방으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터브(20)의 전면(21)에 다이어프램(25)이 마련된 경우에는,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는 터브(20)의 다이어프램(25)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5)의 상부에는 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25a)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는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기류를 일직선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로 유입되는 유입 기류와 토출구(60b)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대략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유입 유로(51), 열교환 유로(52), 및 공급 유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유로(51)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캐비닛(10)의 일측, 즉 터브(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터브(20)의 후면(22)에서 배출되는 기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유입 유로(51)는 유입된 기류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입 유로(51)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캐비닛(10)의 우측 커버(14), 즉 터브(20)의 우측면(24)에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유입 유로(51)의 입구(51a)는 후방 유로(55)의 출구(55b)와 연결된다. 유입 유로(51)의 입구(51a)는 유입 유로(51)의 후단에 마련되며,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유입 유로(51)의 일측면, 즉 열교환 유로(52)와 접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열교환 유로(52)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유입 유로(51)에 대해 직각으로 마련되며, 유입 유로(51)와 연결된다. 열교환 유로(52)는 유입된 기류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열교환 유로(52)의 폭은 유입 유로(51)의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유입 유로(51)는 열교환 유로(52)에서 캐비닛(10)의 후면 커버(12)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는 유입 유로(51)의 출구(51b)와 연결된다.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는 열교환 유로(52)의 일단에 마련되며, 열교환 유로(52)의 출구(52b)는 열교환 유로(52)의 타단에 마련된다.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 유로(51)의 출구(51a)에는 린트 필터(Lint filter)(8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입 유로(51)와 열교환 유로(52) 사이에는 린트 필터(81)가 설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81)는 터브(20)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포함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공급 유로(53)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캐비닛(10)의 타측, 즉 터브(20)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열교환 유로(52)로부터 유입된 기류를 송풍 팬(61)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공급 유로(53)는 열교환 유로(52)와 직각으로 연결된다. 공급 유로(53)는 유입된 기류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공급 유로(53)의 입구(53a)는 열교환 유로(52)의 출구(52b)와 연결된다. 공급 유로(53)의 입구(53a)는 공급 유로(53)의 일측면, 즉 열교환 유로(52)와 접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공급 유로(53)의 입구(53a)는 열교환 유로(52)의 출구(52b)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유로(53)의 출구(53b)는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와 연결된다. 공급 유로(5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볼 때, 공기를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해 토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급 유로(5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송풍 덕트(60)의 후면으로 흡입된다. 즉, 공급 유로(5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캐비닛(1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송풍 팬(61)으로 흡입된다.
예를 들면, 공급 유로(53)의 출구(53b)는 터브(20)의 전면(21)에 설치된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와 일직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급 유로(53)로 유입된 기류는 일직선으로 송풍 덕트(60)에 수용된 송풍 팬(61)으로 흡입된다.
후방 유로(55)는 터브(20)의 후면판(22)에 마련되며, 터브(20)를 통과한 기류를 터브(20)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후방 유로(55)의 출구(55b)는 캐비닛(10)의 후면 커버(12)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마련되며, 유입 유로(51)의 입구(51a)와 연결된다.
터브(20)의 전면(21)에는 송풍 덕트(60)와 다이어프램(25)을 연결하는 토출 유로(54)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 유로(54)는 송풍 덕트(6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이어프램(25)을 향해 아래로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토출 유로(54)는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와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토출 유로(54)를 통해 일직선으로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 팬(61)은 공급 유로(5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터브(20)의 전방 개구로 공급되도록 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송풍 팬(61)은 터브(20)의 전방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송풍 팬(61)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과 터브(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61)은 유입 유로(51)의 입구(51a)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송풍 팬(61)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송풍 팬(61)은 터브(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송풍 팬(61)의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팬(61)은 터브(20)의 전면(21)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송풍 팬(61)의 회전축(61a)은 공급 유로(53)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송풍 팬(61)은 터브(20)의 전면에 설치된 송풍 덕트(60)의 내부에 수용된다. 송풍 팬(61)은 송풍 덕트(60)의 내부에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송풍 덕트(60)는 공급 유로(53)에서 배출된 기류가 후면으로 유입되어 하면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송풍 덕트(60)는 기류의 배출 방향이 기류의 유입 방향과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송풍 팬(61)이 회전하면, 공기가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로 흡입된 후, 송풍 팬(61)을 거쳐 송풍 덕트(60)의 하면에 마련된 토출구(60b)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에서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은 흡입구(60a)로 유입되는 기류의 방향과 대략 90도를 이룬다.
송풍 팬(61)을 터브(20)의 전방에 설치하면, 터브(20)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 사이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송풍 팬(61)의 크기를 최대로 할 수 있다.
열교환부(70)는 순환 유로(41)를 흐르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고 가열하여 고온의 건조한 공기로 만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열교환부(70)에 의해 형성되는 고온의 건조한 공기를 열풍(heated air)이라 한다.
열교환부(70)는 압축기(71), 응축기(72), 증발기(73), 및 팽창밸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70)는 압축기(71), 응축기(72), 증발기(73), 및 팽창밸브(74)를 연결하여 냉매가 순환하도록 하는 냉매배관(75)을 포함한다. 열교환부(70)는 히트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부(70)는 압축기(71)에 의해 냉매가 응축기(72), 팽창밸브(74), 증발기(73)를 순환하면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공기를 가열하도록 형성된다.
증발기(73)와 응축기(72)는 상부 유로(50)에 설치된다. 즉, 증발기(73)와 응축기(72)는 상부 유로(50)의 열교환 유로(52)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73)와 응축기(72)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응축기(72)는 기류의 순환 방향으로 증발기(73)의 하류에 설치된다.
증발기(73)는 후방 유로(55)와 연결되며,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한다.
응축기(72)는 송풍 팬(61)과 연결되며, 터브(20)로 유입되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송풍 팬(61)은 고온의 건조된 공기, 즉 열풍을 다이어프램(25)으로 배출한다.
압축기(71)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상부 유로(50)의 외측에 설치된다. 즉, 압축기(71)는 상부 유로(50)의 공급 유로(53)와 터브(2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된 공간(44)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송풍 팬(61)이 작동하면, 드럼(30) 내부의 공기가 기류를 형성하여 후방 유로(55), 순환 유로(41), 송풍 팬(61), 및 토출 유로(54)를 통과한 후, 다시 드럼(3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열교환부(70)가 작동하여 드럼(30)에서 배출되는 기류의 습기를 제거하고, 기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즉, 열교환부(70)의 증발기(73)에 의해 기류의 습기가 제거되고, 응축기(72)에 의해 기류의 온도가 상승한다. 열풍은 송풍 팬(61)에 의해 드럼(30)으로 공급되어 드럼(30) 내에 있는 세탁물을 건조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주요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송풍 덕트와 공급 덕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에서 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 구성들만 개시하고, 캐비닛(10)와 다른 구성들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유입 유로(51), 열교환 유로(52), 및 공급 유로(53)를 나타내기 위해 유입 덕트(151), 열교환 덕트(152), 및 배출 덕트(153)의 상면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터브(20), 드럼(30) 및 건조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기(1)의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면 커버(11)의 세탁물 투입구(18)를 향하여 전방 개구(21a)가 마련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터브(20)는 세탁에 필요한 소정 량의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다.
터브(20)의 전면(21)에는 다이어프램(25)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5)은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이어프램(25)의 일단은 전방 개구(21a)가 마련된 터브(20)의 전면(21)에 고정된다.
다이어프램(25)은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가 터브(2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탁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25)은 드럼(30)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를 통해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30)의 전면(31)에는 터브(20)의 전방 개구(21a)에 대응하는 드럼 개구(31a)가 마련되고, 드럼(30)의 후단에는 후면판(32)이 마련된다.
드럼(30)의 측면(33)에는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33a)이 마련된다. 드럼(30)의 후면판(32)에도 다수의 통공(32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드럼(30)의 측면(33)에 형성된 통공(33a)과 후면판(32)에 형성된 통공(32a)을 통해 드럼(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내주면에는 세탁물(35)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복수의 리프트(34)가 마련된다. 드럼(30)은 후면판(32)에 설치된 구동 모터(35)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건조장치(40)는 터브(20)의 상측에 설치되며,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건조장치(40)는 터브(20)에서 배출된 공기를 건조 및 가열시켜 열풍을 형성하고, 열풍을 터브(20)의 내부로 순환시켜 드럼(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조장치(40)는 터브(20)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유로(50)와, 터브(20)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방 유로(55)와, 순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 팬(61), 및 기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기류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후방 유로(55)와 터브(20)의 전방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후방에서 유입된 기류가 직각 방향으로 꺾인 후, 일직선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고, 다시 직각 방향으로 꺾여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는 터브(20)의 전면(2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의 상측 공간에서 터브(20)의 후면과 상부 유로(50) 사이에는 열교환부(70)의 압축기(71)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44)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브(20)의 전면(21)은 전방 개구(21a)가 형성된 면을 말한다. 터브(20)의 일측은 터브(20)의 전면(21)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을 말하고, 터브(20)의 타측은 터브(20)의 전면(21)을 기준으로 터브(20)의 일측의 반대쪽을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유로(50)는 터브(20)의 전면(21)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터브(20)의 상측으로 상부 유로(50)와 터브(20)의 후면 사이에는 압축기(71)가 설치되는 공간(44)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터브(20)의 일측과 후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후방 유로(55)의 출구(55b)와 연통된다.
상부 유로(50)의 출구(53b)는 터브(20)의 타측과 전면(21)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유로(50)의 입구(51a)와 출구(53b)는 터브(20)의 상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유로(50)의 입구(51a)는 터브(20)의 일측 모서리에 마련되고, 상부 유로(50)의 출구(53b)는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터브(20)의 타측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유로(50)의 출구(53b)에는 송풍 팬(61)이 설치된다. 송풍 팬(61)은 송풍 덕트(60)의 내부에 수용된다. 송풍 팬(61)의 흡입구는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와 일치한다. 송풍 덕트(60)는 흡입구(60a)와 상부 유로(50)의 출구(53b)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부 유로(50)는 유입 유로(51), 열교환 유로(52), 및 공급 유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유로(51)는 터브(20)의 상측으로 터브(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터브(20)의 후면판(22)에서 배출되는 기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유입 유로(51)는 유입된 기류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유입 유로(51)의 입구(51a)는 후방 유로(55)의 출구(55b)와 연결된다. 유입 유로(51)의 입구(51a)는 유입 유로(51)의 후단에 마련되며,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유입 유로(51)의 일측면, 즉 열교환 유로(52)와 접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따라서,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유입 유로(51)의 입구(51a)와 직각을 이룬다.
유입 유로(51)의 출구(51b)에는 린트 필터(81)가 설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81)는 유입 유로(51)의 출구(51b)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81)는 터브(20)의 전방에서 유입 유로(5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입구(51a)에 비해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유입 유로(51)의 입구(51a)보다 2배 이상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를 입구보다 크게 하면, 유입 유로(51)의 출구(51b)에 설치되는 린트 필터(81)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린트 필터(81)를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린트 필터(81)의 크기를 크게 하면, 린트 필터(81)에 의한 유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유입 유로(51)의 입구(51a)로 유입된 기류는 출구(51b)에 설치된 린트 필터(81)를 통과한 후,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로 배출된다.
열교환 유로(52)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유입 유로(51)에 대해 직각으로 마련되며, 유입 유로(51)와 연결된다. 열교환 유로(52)는 유입된 기류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열교환 유로(52)의 폭은 전열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가능한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 유로(52)의 폭은 유입 유로(51)의 길이보다 작다. 예를 들면, 열교환 유로(52)의 폭은 터브(20)의 길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유로(51)는 열교환 유로(52)에서 캐비닛(10)의 후면 커버(12)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는 열교환 유로(52)의 일단에 마련되며, 열교환 유로(52)의 출구(52b)는 열교환 유로(52)의 타단에 마련된다. 즉,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와 출구(52b)는 일직선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 및 출구(52b)는 열교환 유로(52)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는 유입 유로(51)의 출구(51b)와 연결된다. 유입 유로(51)의 출구(51b)는 열교환 유로(52)의 입구(52a)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유로(53)는 터브(20)의 상측으로 터브(20)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열교환 유로(52)로부터 유입된 기류를 송풍 팬(61)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공급 유로(53)는 열교환 유로(52)와 직각으로 연결된다. 공급 유로(53)는 유입된 기류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공급 유로(53)의 입구(53a)는 열교환 유로(52)의 출구(52b)와 연결된다. 공급 유로(53)의 입구(53a)는 공급 유로(53)의 일측면, 즉 열교환 유로(52)와 접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공급 유로(53)의 입구(53a)는 열교환 유로(52)의 출구(52b)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유로(53)의 출구(53b)는 공급 유로(53)의 전면에 형성되며, 공급 유로(53)의 입구(53a)와 직각으로 마련된다. 공급 유로(53)의 출구(53b)는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와 연결된다.
공급 유로(53)는 공기를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해 토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급 유로(53)의 출구(53b)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송풍 덕트(60)의 후면으로 흡입된다. 즉, 공급 유로(53)의 출구(53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캐비닛(1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송풍 팬(61)으로 흡입된다.
예를 들면, 공급 유로(53)의 출구(53b)는 터브(20)의 전면(21)에 설치된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와 일직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급 유로(53)로 유입된 기류는 일직선으로 송풍 덕트(60)에 수용된 송풍 팬(61)으로 흡입된다.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는 터브(20)의 다이어프램(25)을 향해 아래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는 터브(20)의 다이어프램(25)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는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기류를 일직선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로 유입되는 유입 기류와 토출구(60b)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대략 직각을 이룰 수 있다.
후방 유로(55)는 터브(20)의 후면판(22)에 마련되며, 터브(20)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터브(20)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의 후면판(22)에는 기류가 배출되는 후방 개구(22a)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 유로(55)의 입구는 터브(20)의 후방 개구(22a)와 연결된다. 후방 유로(55)의 출구(55b)는 터브(20)의 후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마련되며, 유입 유로(51)의 입구(51a)와 연결된다.
터브(20)의 전면(21)에는 송풍 팬(60)과 다이어프램(25)을 연결하는 토출 유로(54)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 유로(54)는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와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 유로(54)는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와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토출 유로(54)를 통해 일직선으로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 덕트(60)는 터브(20)의 전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 덕트(60)의 내부에는 송풍 팬(61)이 수용된다. 송풍 덕트(60)는 기류가 후면으로 유입되어 하면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송풍 덕트(60)는 기류의 배출 방향이 기류의 유입 방향과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송풍 덕트(60)의 후면에는 흡입구(60a)가 마련되고, 송풍 덕트(60)의 하면에는 토출구(60b)가 마련된다. 일 예로서, 송풍 덕트(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 팬(61)은 시로코 팬(sirocco fan)이 사용될 수 있다.
송풍 팬(61)이 회전하면, 공기가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로 흡입된 후, 송풍 덕트(60)의 하면에 마련된 토출구(60b)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에서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은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로 흡입되는 기류의 방향과 대략 90도를 이룬다.
열교환부(70)는 열교환 유로(52)를 흐르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고 가열하여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열교환부(70)는 압축기(71), 증발기(73), 응축기(72), 팽창밸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70)는 압축기(71), 증발기(73), 응축기(72), 및 팽창밸브(74)를 연결하여 냉매가 순환하도록 하는 냉매배관(75)을 포함한다.
열교환부(70)는 압축기(71)에 의해 냉매가 응축기(72), 팽창밸브(74), 및 증발기(73)를 순환하면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공기를 가열하도록 형성된다.
증발기(73)와 응축기(72)는 열교환 유로(52)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73)와 응축기(72)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응축기(72)는 기류의 순환 방향으로 증발기(73)의 하류에 설치된다.
증발기(73)는 후방 유로(55)와 연결되며,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한다.
응축기(72)는 송풍 팬(61)과 연결되며, 증발기(73)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송풍 팬(61)에 의해 고온의 건조된 공기가 다이어프램(25)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기(71)는 터브(20)의 상측으로 상부 유로(50), 즉 공급 유로(53)의 외측에 설치된다. 즉, 압축기(71)는 공급 유로(53)와 터브(20)의 후면 사이의 공간(44)에 설치될 수 있다. 냉매 배관(45)은 터브(20)의 상측으로 유입 유로(51), 열교환 유로(52), 공급 유로(53), 및 터브(20)의 후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44)에 설치될 수 있다.
유입 유로(51), 열교환 유로(52), 공급 유로(53), 후방 유로(55), 및 토출 유로(54)는 각각 유입 덕트(151), 열교환 덕트(152), 공급 덕트(153), 후방 덕트(155), 및 토출 덕트(154)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 덕트(151)의 내부 공간이 유입 유로(51)를 형성하고, 열교환 덕트(152)의 내부 공간이 열교환 유로(52)를 형성하며, 공급 덕트(153)의 내부 공간이 공급 유로(53)를 형성한다. 열교환부(70), 유입 덕트(151), 및 공급 덕트(153)는 열풍 공급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덕트(155)의 내부 공간이 후방 유로(55)를 형성하고, 토출 덕트(154)의 내부 공간이 토출 유로(54)를 형성한다.
유입 덕트(151)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후단은 후방 유로(55)를 형성하는 후방 덕트(155)에 연결된다. 즉, 유입 덕트(151)의 후면에는 입구(51a)가 마련된다. 유입 덕트(151)는 터브(20)의 상측으로 터브(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유입 덕트(151)의 전면은 터브(20)의 전면(21)에 인접하고, 후면은 터브(20)의 후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유입 덕트(151)의 일측면에는 출구(51b)가 마련된다.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는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와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는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의 폭은 유입 덕트(151)의 길이보다 짧다.
유입 덕트(151)의 입구(51a)와 출구(51b)는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입 덕트(151)는 열교환 덕트(152)의 일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 덕트(152)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유입 덕트(151)의 내부에는 린트 필터(81)가 배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81)는 유입 덕트(151)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 덕트(151)의 전면은 개방되며, 린트 필터 박스(80)가 전면을 통해 유입 덕트(15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 박스(80)는 유입 덕트(15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린트 필터 박스(80)는 터브(20)의 전방에서 유입 덕트(151)에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에 사용되는 린트 필터 박스(8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에서 린트 필터 박스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9는 린트 필터(81)를 보여주기 위해 린트 필터 박스(80)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유입 덕트(151)에 수용된 린트 필터 박스(80)의 전면을 잡아당기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트 필터 박스(80)는 터브(20)의 전면(21), 즉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트 필터 박스(80)는 길이가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린트 필터 박스(80)의 후단(82)은 개방되어 있으며, 린트 필터 박스(80)의 일측면, 즉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와 접하는 측면에는 필터 구멍(83)이 마련된다. 필터 구멍(83)은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린트 필터 박스(80)의 개방된 후단(82)은 유입 덕트(151)의 후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 덕트(151)의 입구(51a)로 유입된 기류는 린트 필터 박스(80)의 후단(82)의 개구를 통해 린트 필터 박스(8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린트 필터 박스(80)의 필터 구멍(83)에는 린트 필터(81)가 설치될 수 있다. 린트 필터(81)는 필터 구멍(83)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린트 필터 박스(80)로 유입된 기류는 린트 필터(81)를 통해 열교환 덕트(152)로 이동한다. 따라서, 터브(20)에서 배출된 기류에 포함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은 린트 필터(81)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제거된 이물질은 린트 필터 박스(80)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린트 필터 박스(80)를 세탁기(1)의 캐비닛(10)에서 분리하여 린트 필터 박스(80)를 비울 수 있다. 이때, 린트 필터(81)가 오염된 경우, 린트 필터 박스(80)에 설치된 린트 필터(81)도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린트 필터 박스(80)에 수거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열교환 덕트(152)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양측단이 개방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152)는 전열면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도록 가능한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한다.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와 출구(52b)는 열교환 덕트(152)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덕트(152)는 유입 덕트(151)와 직각으로 연결된다. 즉, 열교환 덕트(152)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과 유입 덕트(151)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는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와 연결된다. 유입 덕트(151)의 출구(51b)는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열교환 덕트(152)의 출구(52b)는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와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즉, 열교환 덕트(152)의 출구(52b)와 입구(52a)는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152)는 전면이 터브(20)의 전면(21)에 인접하도록 터브(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열교환 덕트(152)의 후면은 터브(20)의 후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152)의 내부에는 열교환부(70)의 증발기(73)와 응축기(72)가 설치된다. 즉, 열교환 덕트(152)는 증발기(73) 및 응축기(72)와 함께 열교환부(7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덕트(152)를 흐르는 기류는 증발기(73)와 응축기(72)를 순차로 통과하게 된다.
공급 덕트(153)는 열교환 덕트(152)의 타측에 배치되고, 열교환부(70), 즉 열교환 덕트(152)를 통과한 공기가 터브(20)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공급 덕트(153)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전단은 송풍 덕트(60)와 연결된다. 즉, 공급 덕트(153)의 전단에는 출구(53b)가 마련된다. 공급 덕트(153)의 출구(53b)는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와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덕트(153)는 터브(20)의 상측으로 터브(20)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공급 덕트(153)의 전면은 터브(20)의 전면(21)에 인접하고, 후면은 터브(20)의 후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공급 덕트(153)는 열교환 덕트(152)와 직각으로 연결된다. 즉, 열교환 덕트(152)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과 공급 덕트(153)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공급 덕트(153)의 일측면에는 입구(53a)가 마련된다. 공급 덕트(153)의 입구(53a)는 열교환 덕트(152)의 출구(52b)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공급 덕트(153)의 입구(53a)와 열교환 덕트(152)의 출구(52b)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덕트(153)의 길이는 열교환 덕트(152)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덕트(153)의 입구(53a)와 출구(53b)는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덕트(153)의 후면과 타측면은 경사면(153c)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공급 덕트(153)의 입구(53a)로 유입된 기류는 경사면(153c)에 충돌하여 공급 덕트(153)의 출구(53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 덕트(153)에 경사면(153c)을 설치하면, 공급 덕트(153)로 유입된 기류를 효율적으로 출구(53b)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급 덕트(153)의 경사면(153c)은 입구(53a)로 유입된 기류를 출구(53b)로 안내할 수 있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유입 덕트(151)의 전면, 열교환 덕트(152)의 전면, 및 공급 덕트(153)의 전면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유입 덕트(151)의 일측면, 열교환 덕트(152)의 후면, 공급 덕트(153)의 후면과 터브(20)의 후면 사이에는 공간(44)이 형성된다. 이 공간(44)에는 열교환부(70)의 압축기(71), 팽창밸브(74), 냉매배관(75)이 설치된다.
후방 덕트(155)는 터브(20)의 후면판(22)에 설치되며, 터브(20)의 후방 개구(22a)에서 나오는 기류를 터브(20)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후방 덕트(155)의 출구(55b)는 유입 덕트(151)의 입구(51a)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 덕트(155)는 터브(20)의 후면판(22)에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될 수 있다.
토출 덕트(154)는 터브(20)의 전면(21)에 설치되며,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와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토출 덕트(154)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토출 덕트(154)의 입구(54a)는 상단에 마련되며, 출구(54b)는 하단에 마련된다. 따라서, 토출 덕트(154)는 송풍 덕트(60)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다이어프램(25)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 덕트(154)의 입구(54a)와 출구(54b)는 일직선 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토출 덕트(154)의 입구(54a)는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에 연결되며, 토출 덕트(154)의 출구(54b)는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와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 덕트(60)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토출 덕트(154)를 통해 일직선 상으로 다이어프램(25)의 내부, 즉 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 덕트(154)가 송풍 덕트(60)와 별개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 토출 덕트(154)는 송풍 덕트(6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가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드럼(30)의 전면으로 유입된 기류가 드럼(30)의 후면판(3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드럼(30)의 후면판(32)에 다수의 통공(32a)과 압력 실을 마련하였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드럼(30)의 후면판(32)에 마련된 다수의 통공(32a)과 압력 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드럼의 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토출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드럼을 통과하는 기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드럼(30)의 후면판(32)에는 다수의 통공(32a)이 형성된다. 다수의 통공(32a)은 드럼(30)의 후면판(32)을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통공(32a)은 드럼(30)의 후면판(32)에 마련된 플랜지 샤프트의 결합부(34)를 제외한 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통공(32a)은 수백 개 이상의 미세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통공(32a)의 전체 면적은 다이어프램(25)의 유입구(25a)에 설치된 토출 덕트(154)의 단면적에 비해 3배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 덕트(154)의 단면적이 7000㎟ 인 경우, 다수의 통공(32a)의 전체 면적은 24,000㎟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덕트(154)의 단면적은, 도 12에 도시된 토출 덕트(154)의 입구(54a)의 단면적을 말한다.
이와 같이 드럼(30)의 후면판(32)에 다수의 통공(32a)을 형성하면, 드럼(30)의 측면(33)에만 다수의 통공(33a)이 있는 경우에 비해 드럼(30)의 유로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의 드럼 개구(31a)로 유입된 기류는 대부분 후면판(32)의 다수의 통공(32a)을 통해 후방 유로(55)로 배출된다. 그 결과, 드럼(30)의 전방으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기류는 드럼(30)에 있는 세탁물을 모두 통과한 후, 드럼(30)의 후면판(32)의 다수의 통공(32a)을 통해 배출되므로 세탁물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으로 유입된 기류의 일부는 드럼(30)의 측면(33)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a)을 통해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 후, 터브(20)의 후면판(22)에 형성된 배출구멍(22a)를 통해 후방 유로(55)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가 드럼(30)의 측면(33)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a)을 통해 배출되면, 기류가 모든 세탁물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건조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건조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드럼(30) 내의 기류가 가능한 드럼(30) 측면(33)의 다수의 통공(33a)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드럼(30)의 후면판(32)의 후면과 터브(20)의 후면판(22)의 전면 사이에는 압력 실이 마련된다. 압력 실은 라비린스 실(labyrinth seal)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30)의 후면판(32)의 후면 가장자리에 제1라비린스 실(91)이 마련되고, 터브(20)의 후면판(22)의 전면 가장자리에 제2라비린스 실(92)이 마련된다.
제1라비린스 실(91)은 드럼(30)의 후면의 외측에서 터브(20)를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1리브(91b)로 형성되고, 제2라비린스 실(92)은 터브(20)의 후면의 내측에서 드럼(30)을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2리브(92b)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91b)와 제2리브(92b)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리브(91b)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리브를 포함한다. 제2리브(92b)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리브를 포함한다.
제1리브(91b)의 복수의 리브는 제1베이스(91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리브(92b)의 복수의 리브는 제2베이스(92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이스(91a)는 드럼(30)의 후면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베이스(92a)는 터브(20)의 후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라비린스 실(91)의 복수의 리브(91b)와 제2라비린스 실(92)의 복수의 리브(92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라비린스 실(91)의 복수의 리브(91b)와 제2라비린스 실(92)의 복수의 리브(92b)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1라비린스 실(91)은 드럼(30)의 후면판(32)과 별도로 형성하여 후면판(32)의 후면에 설치할 수 있다. 제2라비린스 실(92)은 터브(20)의 후면판(22)과 별도로 형성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판(32)의 후면과 터브(20)의 후면판(22)의 전면 사이에 제1 및 제2라비린스 실(91,92)을 설치하면, 드럼(30)의 후면판(32)의 후면과 터브(20)의 후면판(22)의 전면 사이에는 큰 유로 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드럼(30)의 측면(33)의 다수의 통공(33a)으로 누설되어 드럼(30)의 후면판(32)과 터브(20)의 후면판(22)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판(32)과 터브(20)의 후면판(22) 사이에 라비린스 실(91,92)이 설치된 경우의 효과를 알기 위해 드럼(30)의 측면(33)의 다수의 통공(33a)으로 누설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고, 라비린스 실(91,92)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드럼(30)의 측면(33)의 다수의 통공(33a)을 통해 누설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라비린스 실에 의한 드럼의 측면 기류 누설의 저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세로축은 누설율을 나타낸다. 누설율은 드럼(30)에 유입된 공기 중 드럼(30) 측면(33)의 다수의 통공(33a)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비율을 나타낸다. 누설율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하였다.
A는 라비린스 실(91,92)이 없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누설율을 나타내고, B는 라비린스 실(91,92)이 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누설율을 나타낸다. A의 건조 겸용 세탁기는 라비린스 실(91,92)이 없는 것 외에는 B의 건조 겸용 세탁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라비린스 실이 없는 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에는 누설율(A)이 26.9%이나, 라비린스 실(91,92)을 구비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경우에는 누설율(B)이 12.8%이다. 따라서, 라비린스 실에 의해 드럼(30)의 측면(33)의 복수의 통공(33a)을 통한 공기 누설율이 절반 이상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건조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와 동일하게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세탁기(1)의 프로세서는 송풍 팬(61)과 열교환부(70)의 압축기(71)를 작동시킨다.
압축기(71)가 작동하면, 냉매가 압축기(71), 응축기(72), 팽창밸브(74), 및 증발기(73) 사이를 순환한다. 이때, 증발기(73)와 응축기(72)는 열교환 덕트(152)에 설치되며, 응축기(72)가 공기의 순환방향으로 증발기(73)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61)이 작동하면, 드럼(30) 내의 공기가 후방 덕트(155), 유입 덕트(151), 열교환 덕트(152), 공급 덕트(53), 송풍 팬(61), 및 토출 덕트(154)를 통하여 순환하며,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 드럼(30)의 습한 공기는 드럼(30)의 후면판(32)의 다수의 통공(32a)을 통해 드럼(30)의 후면판(32)과 터브(20)의 후면판(22)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드럼(30)의 후면판(32)과 터브(20)의 후면판(22) 사이로 배출된 습한 공기는 터브(20)의 후방 개구(22a)를 통해 후방 덕트(155)로 유입된다.
후방 덕트(155)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출구(55b)를 통해 유입 덕트(151)로 배출된다.
유입 덕트(151)의 입구(51a)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 즉 터브(20)의 전면(2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흐른다. 유입 유로(51)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린트 필터(81)를 통과한 후, 열교환 덕트(152)로 배출된다. 이때, 습한 공기에 함유된 린트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81)에 의해 걸러져서 린트 필터 박스(80)에 수거된다.
린트 필터 박스(80)에 수거된 이물질은 린트 필터 박스(80)를 세탁기(1)의 캐비닛(10)에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흐른다. 즉, 열교환 덕트(152)를 흐르는 공기는 유입 덕트(151)를 흐르는 공기와 직각을 이룬다.
열교환 덕트(152)의 입구(52a)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증발기(73)를 지나면서 습기가 제거된다.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응축기(72)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열풍이 된다. 따라서, 열교환 덕트(152)의 출구(52b)에서는 열풍이 공급 덕트(153)로 배출된다.
공급 덕트(153)의 입구(53a)로 유입된 열풍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흐른다. 즉, 공급 덕트(153)를 흐르는 공기는 열교환 덕트(152)를 흐르는 공기와 직각을 이루고, 유입 덕트(151)를 흐르는 공기와 평행을 이룬다.
공급 덕트(153)의 출구(53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로 유입된다. 이때, 공급 덕트(153)의 출구(53b)와 송풍 덕트(60)의 흡입구(60a)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풍 팬(6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풍 덕트(60)는 흡입구(60a)로 흡입된 열풍을 토출구(60b)를 통해 아래쪽으로 토출한다. 이때,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흡입구(60a)로 흡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에서 나온 열풍은 토출 덕트(154)를 통해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송풍 덕트(60)의 토출구(60b)와 토출 덕트(154)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풍 팬(6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은 일직선으로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이어프램(25)은 드럼(30)의 전면(31)에 마련된 드럼 개구(31a)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열풍은 다이어프램(25)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된다.
드럼(30)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세탁물과 접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세탁물의 건조에 의해 열풍은 저온의 습한 공기가 된다.
드럼(30) 내의 습한 공기는 드럼(30)의 후면판(33)의 다수의 통공(33a)을 통해 후방 덕트(155)로 배출되어 상술한 순환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고 풍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유로 형태 및 송풍 팬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성능은 세탁 기능이 없고 건조 기능만을 갖는 전용 건조기의 건조 성능과 유사하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1; 건조 겸용 세탁기 10; 캐비닛
11; 전면 커버 12; 후면 커버
20; 터브 22; 후면판
25; 다이어프램 30; 드럼
32; 후면판 40; 건조장치
50; 상부 유로 51; 유입 유로
52; 열교환 유로 53; 배출 유로
54; 토출 유로 55; 후방 유로
60; 송풍 팬 70; 히트 펌프
71; 압축기 72; 응축기
73; 증발기 81; 린트 필터

Claims (15)

  1.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연결되는 전방 개구와 후방 개구가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개구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일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유입 덕트; 및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급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전방 개구로 공급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팬; 을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상기 타측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상기 유입 덕트를 연결하는 후방 덕트;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린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유입 덕트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결되는 송풍 덕트;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측 후면에는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1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 후면에는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2리브가 마련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9.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방 개구와 후방 개구가 마련되는 원통형 터브;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터브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후방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유입 덕트;
    상기 터브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급 덕트;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풍 팬; 및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고, 상기 공급 덕트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연결하는 송풍 덕트;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린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유입 덕트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측 후면에는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1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 후면에는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제2리브가 마련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상기 타측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상기 유입 덕트를 연결하는 후방 덕트;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KR1020210191850A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KR20230101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50A KR20230101604A (ko)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PCT/KR2022/016726 WO2023128203A1 (ko) 2021-12-29 2022-10-28 건조 겸용 세탁기
EP22916357.1A EP4375412A1 (en) 2021-12-29 2022-10-28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CN202280074804.9A CN118215761A (zh) 2021-12-29 2022-10-28 带有烘干功能的洗衣机
US18/108,054 US20230203731A1 (en) 2021-12-29 2023-02-10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50A KR20230101604A (ko)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604A true KR20230101604A (ko) 2023-07-06

Family

ID=8699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850A KR20230101604A (ko)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1604A (ko)
WO (1) WO20231282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07A (ko) * 2004-04-20 2005-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와 터브의 체결구조
JP4444016B2 (ja) * 2004-06-17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装置
KR102129793B1 (ko) * 2013-02-06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6663B1 (ko) * 2013-02-20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1694158B1 (ko) * 2015-05-11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203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613456B1 (ko) 의류 관리기
WO2006054431A1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10028486A (ko) 의류건조기
JP2006212265A (ja) 乾燥機
KR20210080039A (ko) 의류 건조기
KR20190128471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3010160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2011167425A (ja) 乾燥装置
KR20210020445A (ko) 의류 처리 장치
US20230203731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66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69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80127097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23019646A (ja) 衣類乾燥機
KR20230124373A (ko) 건조 겸용 세탁기
US20230212805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20230102913A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4911041B2 (ja) 乾燥装置
KR20230114619A (ko) 건조 겸용 세탁기
US20240209562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er
EP4389953A1 (en) Combined washer and dryer
KR101192000B1 (ko) 드럼 세탁기
EP4389955A1 (en) Combination washer and dr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