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471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471A
KR20190128471A KR1020180052708A KR20180052708A KR20190128471A KR 20190128471 A KR20190128471 A KR 20190128471A KR 1020180052708 A KR1020180052708 A KR 1020180052708A KR 20180052708 A KR20180052708 A KR 20180052708A KR 20190128471 A KR20190128471 A KR 2019012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ase
flow path
circulation fa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수
박수원
이광조
이만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8471A/ko
Priority to US17/053,659 priority patent/US20210230788A1/en
Priority to EP19800190.1A priority patent/EP3792389A4/en
Priority to PCT/KR2019/005476 priority patent/WO2019216631A1/ko
Priority to CN201980030770.1A priority patent/CN112088231A/zh
Priority to AU2019265183A priority patent/AU2019265183B2/en
Publication of KR2019012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471A/ko
Priority to AU2023200427A priority patent/AU202320042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캐비닛은,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이루고, 증발기, 응축기 및 순환팬이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는 베이스 유로부;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측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모터가 장착되는 드럼모터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측 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을 위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 장착부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에서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은 곳에서 의류 내지 침구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시키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는 모든 장치들을 가리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세탁기 겸 건조기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나 침구 등을 세탁하는 장치이고, 건조기는 의류나 침구 등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세탁기 겸 건조기는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장치이다.
이들 중 특히 건조기는 드럼(또는 터브)으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 등과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드럼에서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머금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건조기의 종류가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분류된다.
응축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이와 달리 배기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킨다. 응축식 건조기는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배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서로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하여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유로를 구비한다. 기존에는 순환팬이 증발기의 전방에 증발기에 수직한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있어서, 유로 저항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유동이 증발기에 균일하게 유입되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순환유로를 단순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베이스 캐비닛 상의 각종 부품들의 레이아웃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순환팬이 응축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가 흩날릴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에 의해 응축기가 냉각되어 응축기의 효율이 낮아지거나, 응축수가 순환팬으로 유입되어 구동 신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와 응축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면서,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수가 흩날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워터커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수가 순환팬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를 배수시키지 않으면 순환팬의 구동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순환팬 측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조립 편의성을 위해, 순환팬과 순환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는 하나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캐비닛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유로가 단순하게 변경되면, 그 변경에 대응하여 순환팬-모터의 설치 구조도 적절하게 변경될 필요가 있다.
또한, 순환팬은 그 형상에 따라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 풍량 등이 달라진다. 따라서, 저소음, 고풍량의 성능을 갖출 수 있도록 순환팬의 최적 설계 조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증발기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응축기에서 가열된 공기는 순환팬의 송풍에 의해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는데, 순환팬을 지난 공기를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가이드하기 위해 리어 덕트 커넥터가 구비된다. 리어 덕트 커넥터는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하여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를 심플하게 구현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심플한 순환유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베이스 캐비닛에 형성된 베이스 유로부의 설계 및 각종 부품들의 레이아웃을 최적화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증발기와 응축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면서,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가 후방으로 흩날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워터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순환유로 상 응축기의 후방에 순환팬이 배치되는 구조에서, 순환팬 측으로 응축수가 유입되었을 때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심플화된 순환유로에 대응한, 순환팬 및 순환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순환팬이 저소음, 고풍량의 성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순환팬의 최적 설계 조건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순환팬을 지난 공기를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가이드하는 리어 덕트 커넥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전후방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지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와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프론트 서포터; 상기 드럼의 후방측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와 연통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 리어 서포터;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캐비닛;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전방을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되며, 공기가 유동 중 열교환을 통하여 수분이 제거된 후 가열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상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3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는, 상기 리어 서포터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는, 상기 리어 서포터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기준선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제2유로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로 송풍하는 순환팬이 구비된다.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제2유로와 마주하는 전방으로 개구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는 순환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순환팬은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캐비닛에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유로부가 형성된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베이스 유로부에 장착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함께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리어 커버; 및 상기 리어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유로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함께 상기 제1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서포터의 하부측 둘레부에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서포터에는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와 상기 연통홀을 연결하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가 장착된다.
상기 리어 서포터에는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와 상기 베이스 유로부를 연결하는 리어 덕트 커넥터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베이스 유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부분에는 증발기, 응축기 및 순환팬이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부분은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의류 처리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캐비닛은,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이루고, 증발기, 응축기 및 순환팬이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는 베이스 유로부;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측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모터가 장착되는 드럼모터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측 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을 위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순환팬은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상기 순환팬은 회전축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순환팬은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모터의 샤프트에는 송풍팬이 장착되어,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드럼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모터의 구동시, 상기 드럼과 상기 송풍팬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캐비닛에는 배기팬이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과 상기 드럼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의 내측벽에는 방열팬을 구비하는 회로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방열팬이 상기 드럼을 감싸는 순환유동을 형성하도록, 상기 방열팬은 상기 드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송풍팬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장착부와 상기 베이스 유로부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연통되는 응축수 회수부가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회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상기 응축수 회수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은 상기 응축기의 일측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바닥면은 상기 응축기의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시키는 히트 펌프 시스템; 및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워터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커버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는 증발기 안착부;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응축기 안착부; 및 상기 증발기 안착부와 상기 응축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홀은 상기 증발기 안착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응축기 안착부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배수홀 각각은 상기 응축기 안착부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홀은 상기 응축기 안착부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배수홀은 상기 응축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가 상기 응축기 안착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응축기 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방 연장 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방 연장 리브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 연장 리브는, 상기 안착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안착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부분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가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안착부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증발기 안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을 따라 하방 연장 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순환유로에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순환팬이 배치되는 순환팬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워터커버가 장착되는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과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흡기구를 형성하는 바닥면은 상하로 연장되는 후벽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워터커버의 후단측 모서리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벽과 마주하는 상기 모서리의 측면이 상기 후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은 상기 안착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응축기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는 상기 증발기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의 상기 응축기와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순환팬;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유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유로부는,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응축기와 마주하는 전방으로 개구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를 구비하는 순환팬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팬은 시로코 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 측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수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배수유로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어 상기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회수하도록,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사이드홈; 및 상기 사이드홈과 상기 베이스 유로부 상의 상기 응축기의 장착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홈은 상기 내주면의 경사진 부분에서 하방으로 리세스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홈은 상기 순환팬의 최저점에서의 접선벡터가 향하는 상기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순환팬 수용부와 함께 상기 배기구를 한정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한 샤프트가 상기 순환팬에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베이스;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외측에서 전방으로 벤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에 면접촉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체결부재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순환팬 수용부에 결합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장면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부는 상기 실링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상기 흡기구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순환팬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전단 모서리에는 챔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순환팬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일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응축기의 후방에 흡기구가 형성된 순환팬 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캐비닛;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순환팬 수용부와 함께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를 형성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외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한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팬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순환팬의 샤프트 결합부 내에 장착되는 부싱; 및 상기 순환팬의 샤프트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부싱 내에 삽입된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싱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는 홈이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샤프트의 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팅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논커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싱은 상기 커팅부에 대응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논커팅부에 대응되는 제2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논커팅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단차진 부분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구동모터를 덮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베이스;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외측에서 전방으로 벤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에 면접촉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체결부재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순환팬 수용부에 결합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장면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부는 상기 실링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상기 흡기구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원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순환팬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부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의 전단 모서리에는 챔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순환팬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일측 상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상의 상기 응축기와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순환팬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팬은, 상기 응축기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원형 둘레를 갖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순환팬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은 일정한 두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두께는 1.5mm가 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는 50mm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는 총 4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내측단보다 외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외측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순환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와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내측단과 외측단이 이루는 사이각은 7°가 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를 내경으로 할 때, 상기 내측단에서 상기 내경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접선 벡터와 상기 내측단의 접선 벡터가 이루는 사이각은 46°가 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 각각의 외측단까지의 거리를 외경으로 할 때, 상기 외측단에서 상기 외경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접선 벡터와 상기 외측단의 접선 벡터가 이루는 사이각은 27°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 프론트 서포터; 상기 드럼의 후방측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와 연통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 드럼 리어 서포터;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지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순환팬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순환팬 수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캐비닛; 및 상기 순환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순환팬 수용부의 배기구와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를 연결하는 리어 덕트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에는,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개구; 및 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는,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의 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제1개구를 한정하며, 전면에 상기 제2개구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개구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구에 대응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부분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 내벽 또는 상기 일측 내벽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일측 내벽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내부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 내벽에서 타측 내벽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의 하단과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물고임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홀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내부 격벽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이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분지된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일측 내벽과 상기 내부 격벽의 연결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의 상단은 상기 내부 격벽의 연장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실링홈과, 상기 제1실링홈을 감싸는 제2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실링홈에 삽입되는 제1실링돌기와, 상기 제2실링홈에 삽입되는 제2실링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를 한정하는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의 전면은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를 한정하는 후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덕트 커넥터의 전면에는 상기 제2개구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통기구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순환팬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는,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는, 상기 드럼 리어 서포터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기준선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유로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전방으로 가이드하고, 제2유로는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3유로는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에서 상향 연장됨으로써, 보다 단순화된 순환유로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가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에 대응되는 리어 서포터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제3유로가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제2유로의 후방에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불어내는 순환팬이 배치됨으로써, 제2유로와 제3유로에 균일한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유로에서의 열교환 효율 저하가 방지될 수 있으며, 제3유로에서의 유로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둘째, 베이스 캐비닛에는 순환유로의 일부를 이루고 증발기, 응축기 및 순환팬이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는 베이스 유로부가 구비되며, 베이스 유로부의 일측 전방과 후방에는 드럼모터 장착부와 압축기 장착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베이스 캐비닛에 형성된 베이스 유로부의 설계 및 각종 부품들의 레이아웃이 최적화될 수 있다.
셋째, 워터커버의 증발기 안착부와 연결부 사이에 하방 연장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와 응축기 안착부 사이에 상방 연장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가 후방으로 흩날리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응축기 안착부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은 후방을 향하여 엇갈리게 배치되어, 응축수가 배수홀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후방에 형성된 배수홀에 의해 다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 안착부에서의 응축수의 배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순환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순환팬 수용부의 내주면 일측에, 순환팬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응축수를 응축기 측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수유로가 형성되어, 순환팬 측으로 응축수가 유입되더라도 응축수가 전방의 응축기 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다섯째, 커버부재가 순환팬이 수용된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어 순환팬 수용부와 함께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를 형성하고, 커버부재의 외면에 구동모터가 장착됨으로써, 전방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송풍되는 유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여섯째, 순환팬의 내경이 45mm 이상 55mm 이하, 복수의 블레이드부의 총 개수가 36개 이상 43개 이하, 블레이드부의 점유각이 7° 이상 10° 이하, 블레이드부의 흡입각이 42° 이상 46° 이하, 블레이드부의 토출각이 18° 이상 27°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순환팬의 저소음, 고풍량의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곱째, 리어 덕트 커넥터는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와 연통되는 부분에서 폭이 넓어져 와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내부 격벽이 해당 부분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유동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내부 격벽의 하단과 리어 덕트 커넥터의 일측 내벽 사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수분이 고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럼과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 전방의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닛과 베이스 캐비닛에 장착된 주요 부품들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 부품들을 베이스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닛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9는 도 4의 라인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의 정면도.
도 11은 도 4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12는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1의 라인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베이스 커버가 배치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도면.
도 15는 도 14의 H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16은 도 14의 라인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 5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의 배면도.
도 18은 도 5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도 4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0은 커버부재가 도 18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평면도.
도 22는 구동모터와 커버 브라켓이 도 20에 도시된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3은 도 22의 라인 K-K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L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25는 도 18에 도시된 순환팬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순환팬의 정면도.
도 27은 순환팬의 블레이드 설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8은 도 23의 M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부싱을 보인 사시도.
도 30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닛에 워터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워터커버의 평면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워터커버의 정면도.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워터커버의 우측면도.
도 34는 도 31에 도시된 워터커버의 사시도.
도 35는 도 30의 라인 N-N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a)는 설계 변경 전의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도 34의 설계 변경된 워터커버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워터커버의 변형예를 보인 우측면도.
도 37은 도 33에 도시된 워터커버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인 우측면도.
도 38은 도 1에 도시된 드럼 후방의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드럼 후방의 주요 부품들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40은 도 38에 도시된 리어 덕트 커넥터가 순환팬 장착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41은 도 38에 도시된 리어 덕트 커넥터가 리어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42는 도 41의 라인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3은 도 42의 Q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44는 도 39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5는 도 39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6은 도 39에 도시된 내부 격벽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 처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를 보인 사시도이다.
캐비닛(1010)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010)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면, 후면, 좌우 측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캐비닛을 포함한다. 서브 캐비닛은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베이스를 이루는 서브 캐비닛은 베이스 캐비닛(1310)으로 명명될 수 있다. 베이스 캐비닛(13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베이스 캐비닛(1310)은 그 자체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베이스 캐비닛(1310)의 아래에 금속 재질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바닥면에 놓일 수도 있다.
캐비닛(1010)의 전면부에는 의류투입구(1011)가 형성된다. 의류투입구(1011)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와 연통되어, 의류 내지 침구와 같은 처리 대상물을 드럼(103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어(1020)는 의류투입구(10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도어(1020)는 힌지(1021)에 의해 캐비닛(10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1020)는 투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20)가 닫힌 상태에서도, 투광부를 통해 드럼(1030)의 내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드럼(1030)은 캐비닛(10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1030)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는 의류투입구(1011)와 연통되어, 드럼(1030)의 내부에 처리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와 후방측 개구(1030")에는 순환유로(1200)가 연결되어, 공기가 드럼(1030)의 내부와 순환유로(1200)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를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를 통해 배출된 다습한 공기는 순환유로(1200) 상의 증발기(1110)를 거치며 수분이 제거되고 응축기(1130)를 거치며 가열된다. 이러한 고온건조한 공기는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를 통해 드럼(10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드럼(1030)은 프론트 서포터(1040)와 리어 서포터(10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론트 서포터(1040)와 리어 서포터(1050)는 드럼(10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드럼(10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론트 서포터(1040)와 리어 서포터(1050)에는 롤러(106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롤러(1060)는 드럼(103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드럼(1030)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롤러(106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드럼(10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드럼(1030)의 회전을 보조한다. 드럼(103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롤러(1060)의 외주면은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1030)의 하측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들(1100)이 배치된다. 여기서 드럼(1030)의 하측이란, 드럼(1030)의 하부와 베이스 캐비닛(1310)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들(1100)이란, 냉매를 순차적으로 증발-압축-응축-팽창시키도록 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가리킨다.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들(1100)이 작동되면, 공기는 증발기(1110) 및 응축기(1130)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면서 고온 건조해진다.
순환유로(1200) 상에는 순환유로(120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배치된다. 베이스 캐비닛(1310)에는 순환유로(1200)의 일부를 이루는 베이스 유로부(1310')가 형성된다.
베이스 유로부(1310')에는 열교환을 위한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배치되는 열교환부(1312)가 구비된다. 열교환부(1312)의 전방에는 열교환부(1312)로의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11)가 구비되고, 열교환부(1312)의 후방에는 열교환부(1312)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순환팬(1710)이 수용되는 순환팬 수용부(1313)가 구비된다. 즉, 베이스 유로부(1310')는 가이드부(1311), 열교환부(1312) 및 순환팬 수용부(1313)를 포함하며, 이들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구비된다.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베이스 유로부(1310')에 설치된 이후, 베이스 커버(1320)는 베이스 유로부(1310')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순환팬이 순환팬 수용부에 설치된 이후, 커버부재(1330)는 순환팬 수용부의 후방으로 개구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1311)의 개구(1311')에서 순환팬 수용부(1313)의 배기구(1313")로 이어지는 유로가 완성된다. 상기 유로는 아웃렛 덕트(1210)와 인렛 덕트(1220)를 연결한다는 점에서, 연결 덕트(1230, 도 2 참조)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와 가이드부(1311)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리어 덕트 커넥터(1220)는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와 순환팬 수용부(1313)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는 드럼(103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아웃렛 덕트로 명명될 수 있다. 리어 덕트 커넥터(1220)는 드럼(103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인렛 덕트로 명명될 수 있다.
드럼(1030) 내부의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다습해진 공기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1220)와 베이스 유로부(1310')의 가이드부(1311)를 통해 열교환부(1312)로 유입된다. 열교환부(1312)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가열된 공기는 순환팬(1710)에 의해 리어 덕트 커넥터(1220)를 통하여 드럼(1030)으로 유입된다.
한편, 열교환부(1312)를 중심으로,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와 가이드부(1311)에 의해 한정되는 유로는 제1유로로 명명될 수 있고, 순환팬 수용부(1313)와 리어 덕트 커넥터(1220)에 의해 한정되는 유로는 제3유로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부(1312)에 의해 한정되는 유로는 제2유로로 명명될 수 있다. 즉, 드럼(1030) 내부의 공기는 제1유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유로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재가열되어, 제3유로를 통해 드럼(1030)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제1유로는 드럼의 전방측 개구(10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측 전방을 향하여 하향 연장된다. 상기 제2유로는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측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3유로는 상기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제2유로와 리어 서포터(1050)에 형성된 통기구(1050')를 연결한다.
즉,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는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측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던 기존의 순환유로 대비 보다 단순화된 순환유로(1200)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제2유로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리어 서포터(1050)의 통기구로 송풍하는 순환팬(1710)이 구비된다.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제2유로와 마주하는 전방으로 개구된 흡기구(1313')와, 상기 흡기구(1313')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1313")를 구비하고, 순환팬(1710)을 수용하는 순환팬 수용부(1313)가 형성된다.
이처럼,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상기 제2유로의 후방에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불어내는 순환팬(171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에 균일한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에서의 열교환 효율 저하가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유로에서의 유로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베이스 캐비닛(1310)에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유로부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순환유로(120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증발기(1110)와 열교환을 하게 되면, 응축수가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증발기(111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포화 수증기량은 적어진다.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를 통해 회수된 공기에는 포화 수증기량을 초과하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응축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내부에는 워터 펌프(1440, 도 4 참조)가 구비된다. 워터 펌프(1440)는 베이스 캐비닛(1310)에 설치될 수 있다. 워터 펌프(1440)는 응축수를 물통(1410)으로 이동시키며, 물통(1410)에는 응축수가 집수된다.
물통(1410)은 드럼(103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물통(1410)은 드럼(1030)의 상부와 캐비닛(1010) 사이의 좌측 상부의 빈 공간 또는 우측 상부의 빈 공간에 배치된다. 도 1에서는 물통(1410)이 드럼(103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통 커버(1420)는 물통(14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면부에서 좌측 상단 또는 우측 상단에 배치된다. 물통 커버(142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물통(1410)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서 물통 커버(1420)를 당기면, 물통(1410)이 물통 커버(1420)와 함께 물통 지지 프레임(1430)으로부터 인출된다.
물통 지지 프레임(1430)은 캐비닛(1010)의 내부에서 물통(14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물통 지지 프레임(1430)은 물통(1410)의 삽입/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물통(1410)의 삽입 및 인출을 가이드 한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입출력 패널(1500)이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입출력 패널(1500)이 물통 커버(1420)의 옆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입출력 패널(150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코스의 선택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부(1510)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10)는 조그 다이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52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시각적인 표시 외에 청각적 표시를 위한 별도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입력부(1510)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1600)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510)를 통해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하면, 제어부(1600)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60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소자들은 드럼(103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물통(1410)의 반대편인 드럼(1030)의 우측 상부에 해당하는 캐비닛(1010)의 측벽에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통(1410)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점, 순환유로(1200)에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공기가 흐르는 점, 회로기판과 소자들과 같이 전기 제품들은 물에 취약한 점을 고려하면, 회로기판과 소자들은 물통(1410)이나 순환유로(1200)로부터 가급적 멀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럼(1030)과 순환유로(1200)를 통한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서 좌측이 드럼(1030)의 전방(F)에 해당하고, 우측이 드럼(1030)의 후방(R)에 해당한다.
드럼(1030)의 내부에 투입된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드럼(1030)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고, 의류를 건조시킨 공기를 다시 회수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가열한 후, 드럼(1030)으로 재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응축식 건조기에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위해서는 공기가 드럼(1030)을 지속적으로 순환하여야 한다. 공기의 순환은 드럼(1030)과 순환유로(12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순환유로(1200)는 인렛 덕트(1220), 아웃렛 덕트(1210), 그리고 상기 인렛 덕트(1220)와 아웃렛 덕트(12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덕트(1230)에 의해 형성된다. 인렛 덕트(1220), 아웃렛 덕트(1210) 및 연결 덕트(1230) 각각은 다수의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드럼(1030), 아웃렛 덕트(1210), 연결 덕트(1230) 및 인렛 덕트(122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인렛 덕트(1220)는 다시 드럼(1030)에 연결되어 폐유로(closed flow path)를 형성한다.
프론트 서포터(1040)에는 처리 대상물의 투입을 위한 드럼의 전방측 개구(1030')에 대응되는 개구(1040')가 형성되며, 하부측 둘레부에는 아웃렛 덕트(1210)와 연통되는 연통홀(1040")이 형성된다.
아웃렛 덕트(1210)는 프론트 서포터(1040)로부터 연결 덕트(1230)로 하향 연장된다. 드럼(1030)에서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아웃렛 덕트(1210)를 통해 연결 덕트(1230)로 회수된다.
연결 덕트(1230)의 내부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들(1100) 중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고온 건조한 공기를 인렛 덕트(1220)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팬(1710)도 연결 덕트(12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1130)의 상류측에 증발기(1110)가 배치되고, 응축기(1130)의 하류측에 순환팬(1710)이 배치된다. 순환팬(1710)은 공기를 응축기(1130)로부터 흡입하여 인렛 덕트(1220)로 공급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킨다.
인렛 덕트(1220)는 연결 덕트(1230)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리어 서포터(105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리어 서포터(1050)에 형성된 통기구(1050')와 연통된다. 리어 서포터(1050)의 후면이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후방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통기구(1050')를 통해 드럼(10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드럼(1030)과 연결 덕트(123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인렛 덕트(1220)는 드럼(1030)의 아래에 배치되는 연결 덕트(1230)로부터 드럼(1030)의 후방을 향해 상향 연장된다. 인렛 덕트(1220)도 아웃렛 덕트(1210)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 구조상 인렛 덕트(1220)의 상하 방향 연장 길이는 아웃렛 덕트(1210)에 비해 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1030) 전방의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드럼(1030)과 마주하는 프론트 서포터(1040)의 후면에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에 대응되는 드럼 서포트링(1041)이 돌출 형성된다. 드럼 서포트링(1041)은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에 삽입되어 드럼(10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론트 서포터(1040)에는 롤러(106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1060)는 드럼(1030)의 하부에서 드럼(10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와 드럼 서포트링(1041)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패드(미도시)가 드럼(1030)과 프론트 서포터(1040)의 연결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패드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와 드럼 서포트링(1041)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링패드는 펠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서포터(1040)에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에 대응되는 개구(1040')가 형성되며, 하부측 둘레부에는 연통홀(1040")이 형성된다.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연통홀(1040")로 유입된다.
프론트 서포터(1040)에는 연통홀(1040")로 유입되는 공기를 드럼(1030)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가 장착된다.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는 연통홀(1040")과 베이스 캐비닛(1310)에 형성된 개구[1311', 베이스 유로부(1310')와 프론트 커버(1321)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를 연결한다.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는 연통홀(1040")에서 하향 연장된다. 본 도면에서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가 필터 가이드(1211)와 덕트 커넥터(12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도면과 달리,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는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 가이드(1211)는 프론트 서포터(1040)에 장착되어 연통홀(1040")에 삽입된다. 필터 가이드(1211)는 프론트 서포터(1040)의 둘레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211)의 내부에는 필터유닛(12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필터유닛(1240)은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아우터 필터(1241) 내에 이너 필터(1242)가 삽입되고, 아우터 필터(1241)가 필터 가이드(1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통홀(104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아우터 필터(1241)와 이너 필터(1242)의 단위 면적당 매쉬망의 홀의 개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너 필터(1242)의 매쉬망은 아우터 필터(1241)의 매쉬망보다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커넥터(1212)는 프론트 서포터(1040)에 장착되고, 필터 가이드(1211)와 연결된다. 덕트 커넥터(1212)는 프론트 서포터(104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211)의 하단부는 덕트 커넥터(121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덕트 커넥터(1212)는 하향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닛(1310)에 형성된 개구[1311', 베이스 유로부(1310')와 프론트 커버(1321)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에 연결된다. 덕트 커넥터(1212)의 일측은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1311')를 향하여 경사지게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닛(1310)과 베이스 캐비닛(1310)에 장착된 주요 부품들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 부품들을 베이스 캐비닛(1310)으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닛(1310)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드럼(1030)의 하부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들(1100)을 포함하여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 캐비닛(1310)이 배치된다. 베이스 캐비닛(1310)의 바닥면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캐비닛(1310)에는 드럼모터 장착부(1314), 압축기 장착부(1315), 베이스 유로부(1310') 및 응축수 회수부(1316)가 형성된다. 드럼모터 장착부(1314)와 압축기 장착부(1315)는 베이스 유로부(1310')의 일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모터 장착부(1314)와 압축기 장착부(1315)가 베이스 유로부(1310')의 좌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드럼모터 장착부(1314)에는 드럼(103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모터(1800)가 장착된다. 드럼모터(1800)에는 드럼모터(1800)의 구동력을 드럼(1030)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벨트는 드럼(103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벨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풀리(1810)와 스프링(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풀리(1810)는 벨트에 일정 텐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풀리(1810)는 드럼모터 장착부(1314) 또는 드럼모터 장착부(1314)에 장착되는 브라켓(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벨트의 장력 조절을 위하여, 드럼모터(1800)는 일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었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원복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럼모터(1800)는 드럼모터 장착부(1314)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스프링은 드럼모터 장착부(1314)와 드럼모터(18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드럼모터(1800)의 샤프트에는 송풍팬(182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모터(18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벨트가 연결되고, 드럼모터(18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송풍팬(1820)이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드럼모터(18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샤프트는 동일 방향, 동일 속도로 회전된다.
하나의 구동모터(1730)에 두 개의 샤프트가 구비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소모 전력 개선 관점에서 많은 장점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드럼(1030)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1730)와 송풍팬(1820)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1730)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소모 전력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특히, 송풍팬(1820)의 회전이 필요한 시점은 드럼(1030)이 회전하는 시점과 동일하다. 드럼(1030)이 회전하는 동안 고온 건조한 공기가 드럼(1030)으로 공급되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드럼(1030)으로부터 누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럼(1030)과 송풍팬(18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불필요한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팬(1820)이 축류팬으로 구성되어, 캐비닛(1010)의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송풍팬(1820)은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송풍팬(1820)은 드럼모터(180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캐비닛(1010)과 드럼(103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있는 공기를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드럼(1030)과 프론트 서포터(1040) 사이의 틈, 그리고 드럼(1030)과 리어 서포터(1050) 사이의 틈으로 미세하게 누설되는 공기는 송풍팬(1820)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을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정체로 유발되는 결로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제어부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에는 방열팬이 장착될 수 있다. 방열팬은 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을 방열시키면서, 송풍팬(1820)과 함께 캐비닛(1010)과 드럼(103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동을 형성한다. 방열팬은 베이스 유로부(13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하방 즉 베이스 유로부(1310')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열팬은 드럼(10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송풍팬(182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송풍팬(1820)과 함께 드럼(1030)을 감싸는 순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1030)의 좌측 하부에 송풍팬(1820)이 배치되고, 드럼(1030)의 우측 상부에 방열팬이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10)에는 배기팬(1730)이 설치되어, 캐비닛(1010)과 드럼(103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드럼(1030)으로부터 누설된 공기는 송풍팬(1820)과 방열팬(미도시)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동하면서 외부로 배기된다. 배기팬(1730)은 방열팬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팬(1730)이 방열팬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닛(1010)의 후벽에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압축기 장착부(1315)에는 열교환을 위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1120)가 장착된다. 압축기(1120)는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들(1100)을 구성하는 일 요소이지만, 공기와 직접적인 열교환을 하지는 않으므로, 베이스 유로부(1310')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압축기(1120)가 베이스 유로부(1310') 내에 설치된다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1120)는 베이스 유로부(1310')의 외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는 증발기(1110)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증발(액상->기상)하고,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되어 압축기(1120)로 흡입된다.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압축기(1120)의 상류측에는 기액 분리기(1140)가 설치된다. 기액 분리기(1140)는 압축기(11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여, 기상의 냉매만 압축기(11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1120)로 유입되어 고장 내지는 효율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압축기 장착부(1315)에는 압축기(11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리브(1315')가 적어도 3개소에 구비된다. 진동 저감을 위하여, 고정리브(1315')는 압축기 장착부(1315)를 관통하여 배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배면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리브(1315')는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압축기 장착부(1315)에는 압축기(11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리브(1315")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리브(1315")는 복수의 고정리브(1315')를 연결하여 형성된 가상의 다각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을 이루는 부분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1120)에 인접하게는 압축기 냉각팬(1720)이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 냉각팬(1720)은 압축기(1120)를 향해 바람을 일으키거나 압축기(112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압축기 냉각팬(1720)에 의해 압축기(1120)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압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 냉각팬(1720)이 압축기(1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닛(1010)의 후벽에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베이스 유로부(1310')는 순환유로(1200)의 일부를 이룬다.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베이스 유로부(1310')는 가이드부(1311), 열교환부(1312) 및 순환팬 수용부(1313)로 구획된다. 열교환부(1312)에는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배치되며, 순환팬 수용부(1313)에는 순환팬(1710)이 응축기(1130)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1311)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가이드부(1311)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와 연통된다.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를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부(1311)에서 베이스 캐비닛(131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어 열교환부(1312)로 유입된다.
열교환부(1312)는 가이드부(13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1110)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1130)가 설치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열교환부(1312)는 베이스 캐비닛(13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압축기(1120)에서 압축된 냉매는 고온 고압 상태가 되어 응축기(1130)로 흐른다. 응축기(1130)에서는 냉매가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된다.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팽창기(미도시)에서 감압된다.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증발기(1110)로 들어간다.
순환팬 수용부(1313)는 열교환부(1312)를 지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순환팬(1710)이 수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순환팬(1710)은 회전축이 응축기(1130)와 증발기(111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전방의 공기, 즉 응축기(1130)를 지나 가열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된다.
응축기(1130)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송풍팬(1820) 수용부를 거쳐 리어 덕트 커넥터(1220)를 통해 드럼(1030)으로 공급된다. 드럼(1030)으로 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를 통해 회수되고, 증발기(111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공기가 된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고,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된다. 이어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113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되어 다시 드럼(1030)으로 공급된다.
베이스 유로부(1310')에 장착되는 증발기(1110), 응축기(1130) 및 순환팬(1710)은 베이스 캐비닛(13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즉, 베이스 유로부(1310')에서 가이드부(1311) 이후의 유로는 베이스 캐비닛(13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베이스 유로부(1310')와 압축기 장착부(1315) 사이에는 응축수 회수부(1316)가 구비된다. 응축수 회수부(1316)는 베이스 유로부(1310')와 연통되어, 증발기(1110)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회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회수부(1316)가 열교환부(131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응축수 회수부(1316)에는 워터 펌프(1440)가 설치된다. 워터 펌프(1440)는 응축수 회수부(1316)로 모인 응축수를 물통(1410)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물통(1410)으로 이송된 응축수는 워터 펌프(1440)에 의해 이송되어 증발기(1110)의 세척에 이용될 수 있다.
응축수 회수부(1316)는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면에서 격벽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캐비닛(1310)의 일면에서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열교환부(1312)와 응축수 회수부(1316)를 연통하는 연통홀(1316')은 응축기(1130)의 일측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110)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으로 떨어져, 연통홀(1316')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1316)로 유입된다.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연통홀(1313a")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열교환부(1312)는 연통홀(1316')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도 4의 라인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에는 워터커버(1900)가 장착된다. 워터커버(1900)는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워터커버(190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응축기(1130)가 배치되는 베이스 유로부(1310')의 바닥면은 연통홀(1316')이 형성된 응축기(1130)의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해, 증발기(1110)가 배치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응축기(1130)가 배치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을 향하여 흘러간 뒤, 연통홀(1316')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1316)로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1110)의 아래에는 U 트랩이 구비된다. U 트랩은 증발기(1110)가 배치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랩홈(1312')과, 워터커버(1900)에서 하향 연장되어 트랩홈(1312') 내에 삽입되는 트랩막(1930)으로 구성된다.
트랩홈(1312')은 주변 바닥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진다. 트랩홈(1312')은 증발기(1110)의 열교환부(1312)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트랩막(1930)은 워터커버(19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유로부(131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트랩막(1930)의 단부는 트랩홈(1312') 내에 삽입되어 주변 바닥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다만, 트랩막(1930)의 단부는 트랩홈(1312')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트랩홈(1312')에는 트랩막(1930)의 단부에 의해 'U'자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증발기(1110)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바닥면으로 떨어져 상술한 경사 구조에 의해 후방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이동되는 응축수 중 일부는 트랩홈(1312')으로 유입되어 트랩홈(1312')을 응축수로 채우게 된다.
트랩홈(1312')의 내부로 연장된 트랩막(1930)의 단부는 트랩홈(1312')에 포집된 응축수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110)의 하부와 베이스 유로부(13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은 트랩막(1930)과 트랩홈(1312')에 포집된 응축수에 의해 완전히 막힌 상태가 된다.
이러한 U 트랩에 의해 증발기(1110)의 하부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U 트랩은 증발기(1110)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를 밀폐시켜, 가이드부(1311)를 지나 열교환부(1312)로 유입되는 공기의 대부분이 증발기(1110)와의 열교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증발기(1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1070)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4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 캐비닛(1310)에는 베이스 커버(1320)가 베이스 유로부(1310')를 덮도록 장착된다. 베이스 커버(1320)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와 리어 베이스 커버(1322)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베이스 커버(1322)는 베이스 유로부(1310')에 장착되는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를 덮도록 배치되며,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는 리어 베이스 커버(1322)의 전방에서 베이스 유로부(1310')를 덮도록 배치된다.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는 베이스 유로부(1310')와 함께 상방으로 개방된 개구(131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1311')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1210)와 연통된다.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와 리어 베이스 커버(1322)가 베이스 유로부(1310')에 결합됨으로써, 개구(1311')에서 배기구(1313")로의 공기의 이동 경로가 완성된다. 상기 이동 경로는 연결 덕트(1230, 도 2 참조)로 명명될 수 있다.
리어 베이스 커버(1322)에는 응축수 회수부(1316)의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홀(1322')과, 상기 유입홀(1322')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1322")가 형성된다. 노즐부(1322")는 베이스 유로부(1310')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다.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에는 노즐부(1322")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증발기(1110)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32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321')는 노즐부(1322")에서 분사되는 응축수가 증발기(1110)를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시킨다. 가이드부(1321')는 증발기(1110)의 전방측 상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리어 베이스 커버(1322)에는 배선(1001)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니스(harness) 고정부(1322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베이스 커버(1322)의 일측면에 하니스 고정부(1322a)가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하니스 고정부(1322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일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하니스 고정부(1322a) 중 어느 하나가 배선(1001)을 아래에서 지지하면, 다른 하나가 배선(1001)을 위에서 덮도록, 복수의 하니스 고정부(1322a)는 일측면을 따라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하니스 고정부(1322a)의 일면은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1001)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하니스 고정부(1322a)의 상면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배선(1001)을 덮도록 배치되는 하니스 고정부(1322a)의 하면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니스 고정부(1322a)가 상기 형태를 갖는 경우, 상대적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에 배선(1001)의 일부가 수용되어, 배선(1001)의 측방향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 유로부(1310')와 리어 베이스 커버(1322)의 결합에 의해, 히트 펌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파이프(1002)를 고정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되는 파이프(1002)는 압축기(1120)와 응축기(1130)를 연결하는 파이프일 수도 있고, 증발기(1110)와 압축기(1120)를 연결하는 파이프일 수도 있다.
파이프(1002)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 유로부(1310')의 일측에는 반원형의 파이프 수용부(1310")가 형성되며, 리어 베이스 커버(1322)에는 반원형의 파이프 커버부(1322b)가 형성된다. 리어 베이스 커버(1322)가 베이스 유로부(1310')에 장착시, 파이프 커버부(1322b)는 파이프 수용부(1310")를 덮도록 배치되어, 파이프 수용부(1310")와 함께 원형의 개구를 형성한다.
히트 펌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파이프(1002)의 일부는 파이프 수용부(1310")에 안착되며, 파이프 커버부(1322b)에 의해 덮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즉, 파이프 수용부(1310")와 파이프 커버부(1322b)는 파이프(1002)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도 11의 라인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리어 베이스 커버(1322)는 베이스 유로부(1310')에 스크류 및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를 통한 결합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리어 베이스 커버(1322)에는 탄성을 갖는 후크(1322c)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1322c)는 리어 베이스 커버(1322)의 양측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크(1322c)를 보이고 있다.
베이스 유로부(1310')에는 후크(1322c)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12a)이 형성된다. 삽입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후크(1322c)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삽입홈(1312a)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다. 후크(1322c)가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후크(1322c)에 형성된 돌기(1322c')가 삽입홈(1312a)에 걸림된다. 따라서, 후크(1322c)는 삽입홈(1312a)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가 배치되는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H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의 라인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는 베이스 유로부(1310')에 스크류 및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를 통한 결합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에는 탄성을 갖는 후크(1321c)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1321c)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크(1321c)를 보이고 있다.
베이스 유로부(1310')에는 후크(1321c)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11a)이 형성된다. 삽입홈(1311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후크(1321c)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삽입홈(1311a)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다. 후크(1321c)가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후크(1321c)에 형성된 돌기(1321c')가 삽입홈(1311a)에 걸림된다. 따라서, 후크(1321c)는 삽입홈(1311a)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아울러,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는 리어 베이스 커버(1322)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후크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베이스 커버(1322)에 전방을 향하여 걸림후크(1322d)가 돌출 형성되고, 프론트 베이스 커버(1321)에 걸림후크(1322d)가 삽입 및 걸림되는 걸림홀(1321a)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7은 도 5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1313)의 배면도이고, 도 18은 도 5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1313)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4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1313)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순환유로(1200) 상의 응축기(1130)와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 사이에는 순환팬(1710)이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캐비닛(1310)에 형성된 베이스 유로부(1310')에는 순환팬 수용부(1313)가 구비된다.
순환팬 수용부(1313)는 열교환부(1312)의 후방에 위치하며, 순환팬(1710)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즉, 순환팬(1710)은 응축기(1130)의 후방에 배치되어, 응축기(1130)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순환팬 수용부(1313)는 응축기(1130)와 마주하는 전방으로 개구된 흡기구(1313')와, 상기 흡기구(1313')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1313")를 구비한다. 배기구(1313")는 순환팬(171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일측 상부에 형성된다.
순환팬(1710)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가 흩날릴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가 순환팬(1710)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유입된 응축수를 배수시키지 않으면 순환팬(1710)의 구동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순환팬(1710) 측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순환팬(1710)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응축수가 응축기(1130)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순환팬(1710)의 외주를 둘러싸는 순환팬 수용부(1313)의 내주면(1313b) 일측에는 응축수 배수유로(1313a)가 형성된다. 응축수 배수유로(1313a)는 열교환부(1312)와 연통된다.
응축수 배수유로(1313a)는 사이드홈(1313a') 및 연통홀(1313a")을 포함한다.
사이드홈(1313a')은 순환팬 수용부(1313)의 내주면(1313b)에 형성된다. 사이드홈(1313a')은 순환팬 수용부(1313)의 내주면(1313b)의 경사진 부분에서 하방으로 리세스되며,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사이드홈(1313a')은 일정량의 응축수가 포집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순환팬(1710)은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응축수도 측방으로 배출된다. 뿐만 아니라, 순환팬 수용부(1313)의 내주면(1313b)에 떨어진 응축수는 순환팬(1710)의 구동시 측방으로 비산된다.
이를 고려하여, 사이드홈(1313a')은 순환팬(1710)의 최저점에서 접선벡터가 향하는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다. 순환팬 수용부(1313)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 18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순환팬(17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반시계 방향), 순환팬(1710)의 최저점에서 접선벡터가 향하는 방향은 좌측이 된다. 즉, 순환팬(1710)의 구동시 응축수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사이드홈(1313a')은 좌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순환팬(1710)의 최저점에서 순환팬(1710)의 블레이드는 좌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사이드홈(1313a')은 내주면 하단에서 좌측으로 경사진 부분 상에 형성된다. 즉, 사이드홈(1313a')의 양측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홈(1313a')은 순환팬(1710)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어 내주면 좌측의 경사진 부분을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회수하게 된다.
연통홀(1313a")은 사이드홈(1313a')의 전단 즉, 순환팬 수용부(1313)와 열교환부(1312)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된다. 연통홀(1313a")은 사이드홈(1313a')과 열교환부(1312), 구체적으로 응축기(1130)가 장착되는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드홈(1313a')으로 포집된 응축수는 연통홀(1313a")을 통해 응축기(1130) 측으로 배수된다. 응축기(1130) 측으로 배수된 응축수는 응축수 회수부(1316)로 회수된다.
도 20은 커버부재(1330)가 도 18에 도시된 순환팬 수용부(1313)의 후방측 개구(1030")를 덮도록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커버부재(1330)의 평면도이다.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면, 순환팬 수용부(1313)는 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순환팬(1710)이 후방측 개구(1030")를 통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부재(1330)는 상기 후방측 개구(1030")를 덮도록 순환팬 수용부(1313)에 결합되어, 순환팬(1710)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커버부재(1330)는 순환팬(1710)을 사이에 두고 흡기구(1313')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커버부재(1330)는 순환팬 수용부(1313)에 스크류 결합 내지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330)는 순환팬 수용부(1313)와 함께 배기구(1313")를 한정한다. 배기구(1313")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리어 덕트 커넥터(1220)와 연결된다. 순환팬 수용부(1313)와 함께 배기구(1313")를 한정하는 커버부재(1330)의 일면에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의 경사진 내부면에 대응하여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331)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1331)에 의해 배기구(13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리어 덕트 커넥터(1220)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도 22는 구동모터(1730)와 커버 브라켓(1340)이 도 20에 도시된 커버부재(1330)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라인 K-K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면, 커버부재(1330)의 외면에는 구동모터(1730)가 장착된다. 구동모터(1730)의 샤프트(1730')는 커버부재(1330)를 관통하여 순환팬(1710)에 결합된다.
커버 브라켓(1340)은 구동모터(1730)를 덮도록 커버부재(1330)에 장착되어, 구동모터(1730)를 커버부재(1330)의 외면에 고정시킨다. 커버 브라켓(1340)은 커버부재(1330)에 스크류 결합 내지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1730)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1730)에는 전원공급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1740)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740)는 외부로 노출되어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174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740)가 커버부재(1330)와 커버 브라켓(1340) 사이로 노출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4는 도 23의 L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330)는 순환팬 수용부(1313)의 후방측 개구(1030")를 실링하는 결합 구조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330)는 커버 베이스(1330')와 실링부(1330")를 포함한다.
커버 베이스(1330')는 순환팬 수용부(1313)의 후방측 개구(1030")를 덮도록 배치된다. 커버 베이스(1330')의 일부는 실링부(133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순환팬 수용부(1313)의 후방측 개구(10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베이스(1330')의 둘레를 따라서는 순환팬 수용부(1313)의 일면에 면접촉되는 실링부(1330")가 구비된다. 실링부(1330")는 커버 베이스(1330')의 외측에서 전방으로 벤딩된 형태를 가진다. 실링부(1330")는 순환팬 수용부(1313)의 내주면(1313b)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커버부재(1330)가 순환팬 수용부(1313)에 결합시, 실링부(1330")는 연장면에 가압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가 커버부재(1330)를 관통하여 순환팬 수용부(1313)에 결합되면, 실링부(1330")는 연장면에 가압되어 면접촉된다. 따라서, 순환팬 수용부(1313)로 유입된 응축수가 순환팬 수용부(1313)와 커버부재(1330) 간의 틈을 통하여 누설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5는 도 18에 도시된 순환팬(1710)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순환팬(1710)의 정면도이다.
도 25와 도 26을 참조하면, 순환팬(1710)은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된다. 순환팬(17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순환팬(1710)은 베이스부(1711),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및 연결링부(17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711)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응축기(113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부(1711)의 중심에는 구동모터(1730)의 샤프트(1730')가 삽입되는 샤프트 결합부(1711a)가 구비된다.
베이스부(17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는 순환팬(1710)의 회전시 베이스부(1711)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도록 이루어진다.
블레이드부(1712)는 베이스부(17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즉, 블레이드부(1712)의 일단부는 베이스부(1711)의 내측에 위치하고, 블레이드부(1712)의 타단부는 베이스부(1711)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일단부는 블레이드부(1712)의 내측단, 상기 타단부는 블레이드부(1712)의 외측단으로 명명될 수 있다.
베이스부(1711)의 원형의 테두리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각각의 내측단보다 외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부(1711)의 테두리로부터 블레이드부(1712) 내측단까지의 길이는 베이스부(1711)의 테두리로부터 블레이드부(1712) 외측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팬(1710)의 중심에서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각각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는 순환팬(1710)의 내경으로 정의되고, 순환팬(1710)의 중심에서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각각의 외측단까지의 거리는 순환팬(1710)의 외경으로 정의된다.
블레이드부(1712)는 적어도 일 지점에서 벤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일 지점은 베이스부(17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1712)는 순환팬(171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부(1712)는 순환팬(1710)이 그리는 원의 접선벡터가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각각은 내측단과 외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각각은 일정한 두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부(1712)는 1.5mm의 두께를 유지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앞선 도 23을 참조하면, 흡기구(1313')와 마주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의 전단 모서리에는 챔퍼부(17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흡기구(1313')의 바로 뒤에 후방으로 경사진 챔퍼부(1712')가 위치함으로써, 순환팬(1710)이 구동중 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더라도 흡기구(1313')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링부(1713)는 베이스부(171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를 연결하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링부(1713)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 각각의 외측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링부(1713)는 순환팬(1710)의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부(1711)와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은 순환팬(1710)의 블레이드 설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순환팬(1710)의 내경은 45mm 이상 5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팬(1710)의 내경이 45mm 미만이 되면 풍량이 저하되고, 순환팬(1710)의 내경이 55mm를 초과하면 구동모터(1730)에 지나친 부하가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팬(1710)의 내경은 50mm로 설정된다.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의 총 개수는 36개 이상 43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의 총 개수가 36개 미만이 되거나 43개를 초과하면 풍량이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블레이드부(1712)는 총 43개가 구비된다.
순환팬(1710)의 중심과 블레이드부(1712)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순환팬(1710)의 중심과 블레이드부(1712)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은 점유각(Occupation Angle)으로 정의된다. 점유각은 7°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유각이 7° 미만이 되면 풍량이 저하되고, 점유각이 10°를 초과하면 구동모터(1730)에 지나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순환팬(1710)에 소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점유각은 7°로 설정된다.
블레이드부(1712)의 내측단에서, 내경[순환팬(1710)의 중심에서 블레이드부(1712)의 내측단까지의 거리]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접선 벡터와, 상기 내측단의 접선 벡터가 이루는 사이각은 흡입각으로 정의된다. 흡입각은 42° 이상 4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각이 42° 미만이 되면 흡입 풍량이 저하되고, 흡입각이 46°를 초과하면 구동모터(1730)에 지나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순환팬(1710)에 소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각은 46°로 설정된다.
블레이드부(1712)의 외측단에서, 외경[순환팬(1710)의 중심에서 블레이드부(1712)의 외측단까지의 거리]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접선 벡터와, 상기 외측단의 접선 벡터가 이루는 사이각은 토출각으로 정의된다. 토출각은 18° 이상 2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각이 18° 미만이 되면 블레이드부(1712)가 받는 저항이 증가하여 순환팬(1710)의 효율이 저하되며, 토출각이 27°를 초과하면 토출 풍량이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각은 27°로 설정된다.
도 28은 도 23의 M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부싱(1714)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8과 도 29를 참조하면, 순환팬(1710)에는 구동모터(1730)의 샤프트(1730')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1711a)가 구비된다. 샤프트 결합부(1711a)는 베이스부(1711)의 중심에 형성되고, 순환팬(17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1711a) 내에는 구동모터(1730)의 샤프트(173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부싱(1714)이 장착된다. 부싱(1714)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이중 사출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의 샤프트 결합부(1711a)와 일체로 결합된다.
부싱(1714)의 외주면에는 홈(1714a)이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샤프트 결합부(1711a)가 이중 사출에 의해 용융 후 응고되는 과정에서 샤프트 결합부(1711a)의 일부가 상기 홈(1714a)에 수용된다.
부싱(1714)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제1삽입부(1714')와 제2삽입부(1714")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삽입부(1714')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제2삽입부(1714")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삽입부(1714')는 제2삽입부(1714")의 일부가 채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삽입부(1714')와 제2삽입부(1714") 사이에는 단차진 부분이 형성된다.
구동모터(1730)의 샤프트(1730')의 전단부에는 제1삽입부(1714')에 대응되는 커팅부(1730'a)와 제2삽입부(1714")에 대응되는 논커팅부(1730'b)가 형성된다. 커팅부(1730'a)는 샤프트(1730')의 전단을 구성하고, 논커팅부(1730'b)는 커팅부(1730'a)의 후방에 위치한다.
커팅부(173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팅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팅부(1730'a)에 서로 평행한 두 커팅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커팅부(1730'a)는 제1삽입부(1714') 내로 삽입되고, 논커팅부(1730'b)는 제2삽입부(1714") 내로 삽입된다. 삽입 과정에서, 논커팅부(1730'b)는 제1삽입부(1714')와 제2삽입부(1714")의 단차진 부분에 걸림될 수 있다.
샤프트(1730')의 커팅부(1730'a)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제1삽입부(1714')는 커팅부(1730'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구동모터(1730)의 구동력은 커팅부(1730'a)와 제1삽입부(1714')를 통해 순환팬(1710)으로 전달된다. 즉, 커팅부(1730'a)와 제1삽입부(1714')에서는 슬립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커팅부(1730'a)는 구동모터(1730)의 구동력 전달을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팅부(1730'a)는 15.5mm로 형성되고, 부싱(1714)에 삽입되는 커팅부(1730'a)와 논커팅부(1730'b)의 전체 길이는 22.5mm로 구성된다.
체결부재(1740)는 순환팬(1710)의 샤프트 결합부(1711a)를 관통하여, 부싱(1714) 내에 삽입된 구동모터(1730)의 샤프트(1730')와 결합된다. 체결부재(1740)는 커팅부(1730'a)와 스크류 체결된다. 체결부재(1740)는 커팅부(1730'a)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0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닛(1310)에 워터커버(1900)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순환유로(1200)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베이스 캐비닛(1310)은 드럼(103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순환유로(1200)의 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 유로부(1310')는 가이드부(1311), 열교환부(1312) 및 순환팬 수용부(1313)로 구획된다. 가이드부(1311)는 드럼(1030)의 전방측 개구(10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하고, 열교환부(1312)는 가이드부(13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1110)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1130)가 설치되는 부분에 해당하며, 순환팬 수용부(1313)는 열교환부(1312)를 지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순환팬(1710)이 수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베이스 유로부(1310')의 열교환부(1312) 바닥면에는 워터커버(1900)가 장착된다. 워터커버(1900)는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되,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워터커버(1900)는 증발기(1110)에서 발생하여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응축수가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에 닿도록 한다. 아울러, 워터커버(1900)는 순환팬(1710)의 흡입력에 의해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가 흩날려 응축기(1130)에 닿는 것을 일정 수준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워터커버(190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워터커버(1900)의 평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워터커버(1900)의 정면도이며,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워터커버(1900)의 우측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워터커버(1900)는 안착부(1910) 및 지지부(1920)를 포함한다.
안착부(1910)는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안착부(1910)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 각각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고정리브(1910')가 구비된다. 고정리브(1910')는 'ㄱ'자 내지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증발기(1110)와 응축기(1130) 각각의 모퉁이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안착부(1910)에는 증발기(1110)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복수의 배수홀(1911', 1912', 1913')이 형성된다. 복수의 배수홀(1911', 1912', 1913') 각각의 형태, 복수의 배수홀(1911', 1912', 1913')의 배열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부(1920)는 안착부(191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지지부(1920)는 안착부(1910) 배면의 복수의 개소에서 돌출 형성된다.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응축기(1130)가 배치되는 베이스 유로부(1310')의 바닥면은 연통홀(1313a")이 형성된 응축기(1130)의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해, 증발기(1110)가 배치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응축기(1130)가 배치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을 향하여 흘러간 뒤, 연통홀(1313a")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1316)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이 경사진 구조에서도, 안착부(1910)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안착부(1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응축기 안착부(19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920)는 증발기 안착부(19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920)보다 길게 형성된다. 아울러, 안착부(1910)의 폭방향을 따라, 안착부(19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920)는 안착부(19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920)보다 길게 형성된다.
안착부(1910)는 증발기 안착부(1911), 응축기 안착부(1912) 및 연결부(1913)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안착부(1911), 응축기 안착부(1912) 및 연결부(1913)는 열교환부(1312)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된다.
증발기 안착부(1911)는 증발기(1110)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증발기 안착부(1911)의 상면에는 고정리브(13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안착부(1912)는 응축기(1130)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응축기 안착부(1912)의 상면에는 고정리브(13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안착부(1912)의 상면은 증발기 안착부(191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연결부(1913)는 증발기 안착부(1911)와 응축기 안착부(1912)를 연결한다. 연결부(1913)의 상면은 증발기 안착부(1911)의 상면 및 응축기 안착부(1912)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913)는 증발기 안착부(1911)와 응축기 안착부(1912)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워터커버(1900)의 적어도 일측에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의 수용홈(1910")을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부(1312)의 좌우 측벽에는 수용홈(1910")에 대응되는 돌출부(1312")가 형성된다. 즉, 워터커버(1900)가 열교환부(1312)에 설치시, 돌출부(1312")가 수용홈(1910")에 삽입됨으로써, 정확한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돌출부(1312")의 전방에는 증발기(1110)가 배치되고, 돌출부(1312")의 후방에는 응축기(1130)가 배치된다.
복수의 배수홀(1911', 1912', 1913')은 증발기 안착부(1911), 연결부(1913), 그리고 응축기 안착부(1912)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수홀(1911', 1912', 1913')은 증발기 안착부(1911)의 전단부에서 응축기 안착부(1912)의 전단부까지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911', 1912', 1913')은 안착부(1910)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증발기 안착부(1911)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1')은 증발기 안착부(1911)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즉, 증발기 안착부(1911)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1')은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다.
증발기 안착부(1911)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1')은 일방향(예를 들어, 증발기 안착부(1911)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장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증발기 안착부(19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배수홀(1911')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완전히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만 오버랩되도록 즉, 길이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다.
연결부(1913)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3')은 증발기 안착부(1911) 및 응축기 안착부(1912)에 형성된 배수홀(1911', 19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913)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3') 각각이 연결부(1913)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913)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3')은 증발기 안착부(1911)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1', 1912')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내지 유사한 배열을 가질 수도 있다.
응축기 안착부(1912)의 전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912')은 응축기 안착부(1912)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응축기 안착부(19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하나의 배수홀(1912')은 바로 뒤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배수홀(1912'')과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수홀(1912')은 응축기 안착부(19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엇갈린 배치에 의해, 응축수가 응축기 안착부(1912)의 상부로 올라와 인접한 두 배수홀(1912') 사이 부분을 따라 유동하더라도, 바로 뒤에 형성된 배수홀(1912')을 통해 다시 응축기 안착부(1912)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 안착부(1912)에서의 응축수의 배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응축기 안착부(19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배수홀(1912')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완전히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순환팬(1710)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유로(1200)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가 상부로 역류하고 응축기(1130) 측으로 흩날리는 것을 일정 수준 막기 위하여, 워터커버(1900)에는 다음의 구조가 구비된다.
먼저, 응축수가 배수홀(1911', 1912', 1913')을 통해 안착부(1910)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제한하도록, 증발기 안착부(1911)와 연결부(1913) 사이에는 안착부(1910)의 폭방향을 따라 하방 연장 리브(1940)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913)의 전단부 하면에 하방 연장 리브(1940)가 아래로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응축수가 응축기 안착부(1912)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연결부(1913)와 안착부(1910) 사이에는 안착부(1910)의 폭방향을 따라 상방 연장 리브(1950)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913)의 후단부 상면에 상방 연장 리브(1950)가 위로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4는 도 31에 도시된 워터커버(1900)의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0의 라인 N-N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5의 (a)는 설계 변경 전의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도 34의 설계 변경된 워터커버(1900)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와 도 35를 참조하면, 순환팬 수용부(1313)는 열교환부(1312)의 후단에서 상향 단차진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보다 순환팬 수용부(1313)의 흡기구(1313')를 형성하는 바닥면이 높게 형성되어, 열교환부(1312)의 후단에 일정 높이를 갖는 후벽이 형성된다. 즉, 워터커버(1900)가 장착되는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과 순환팬 수용부(1313)의 흡기구(1313')를 형성하는 바닥면은 상하로 연장되는 후벽에 의해 연결된다.
도 35의 (a)와 같이, 워터커버(1900)의 후단측 모서리가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그 모서리의 측면과 열교환부(1312)의 후단에 형성된 후벽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과 상기 후벽 사이에 작은 틈이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열교환부(1312)의 바닥면에 있는 응축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틈으로 빨려 올라갈 수 있다. 이후, 응축수는 순환팬(1710)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팬 수용부(131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워터커버(1900)의 후단측 모서리에는 리세스부(1960)가 형성된다. 리세스부(1960)가 형성됨으로써, 열교환부(1312)의 후단에 형성된 후벽과 마주하는 면(1960')이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응축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려 올라갈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였던 틈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순환팬 수용부(1313)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워터커버(1900)의 변형예를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증발기 안착부(2911)와 연결부(2913) 사이에는 안착부(2910)의 폭방향을 따라 하방 연장 리브(2940)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2913)와 안착부(2910) 사이에는 안착부(2910)의 폭방향을 따라 상방 연장 리브(2950)가 돌출 형성된다. 하방 연장 리브(2940)는 연결부(2913)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방 연장 리브(2950)는 연결부(2913)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방 연장 리브(2950)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부분을 포함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방 연장 리브(2950)가 적어도 일 지점에서 전방으로 꺽인 형태를 갖는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방 연장 리브(2950)는, 워터커버(29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2951)과, 상기 제1부분(2951)의 상단에서 꺾인 형태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2952)을 포함한다. 제1부분(2951)은 워터커버(2900)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2952)은 제1부분(2951)에 대해 전방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부분(2952)은 둔각의 범위 내에서 제1부분(2951)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37은 도 33에 도시된 워터커버(190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증발기 안착부(3911)와 연결부(3913) 사이에는 안착부(3910)의 폭방향을 따라 하방 연장 리브(3940)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3913)와 안착부(3910) 사이에는 안착부(3910)의 폭방향을 따라 상방 연장 리브(3950)가 돌출 형성된다. 하방 연장 리브(3940)는 연결부(3913)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방 연장 리브(3950)는 연결부(3913)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방 연장 리브(3950)는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방 연장 리브(3950)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6과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연장 리브(2950, 3950)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방 연장 리브(2950, 3950)는 순환팬(1710)의 흡입력에 의해 후방으로 흩날리는 응축수를 보다 앞에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 높이를 갖는 앞선 실시예의 상방 연장 리브(1950)에 비해, 본 변형예의 상방 연장 리브(2950, 3950)는 그 높이가 증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8은 도 1에 도시된 드럼(1030) 후방의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드럼(1030) 후방의 주요 부품들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며, 도 40은 도 38에 도시된 리어 덕트 커넥터(1220)가 순환팬(1710) 장착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41은 도 38에 도시된 리어 덕트 커넥터(1220)가 리어 서포터(1050)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드럼(1030)과 마주하는 리어 서포터(1050)의 전면에는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에 대응되는 드럼(1030) 서포트링(1051)이 돌출 형성된다. 드럼(1030) 서포트링(1051)은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에 삽입되어 드럼(10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리어 서포터(1050)에는 롤러(106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1060)는 드럼(1030)의 하부에서 드럼(10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와 드럼(1030) 서포트링(1051)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패드(미도시)가 연결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패드는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와 드럼(1030) 서포트링(1051)을 덮어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링패드는 펠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서포터(1050)에는 드럼(1030)의 후방측 개구(1030")에 대응되는 통기구(1050')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1050')는 리어 서포터(105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1050')는 리어 서포터(1050)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기준선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서포터(1050)에는 상하로 이격된 상기 통기구(1050')와 순환팬 수용부(1313)의 배기구(1313")를 연결하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가 장착된다. 리어 덕트 커넥터(1220)는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어, 순환팬(171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리어 서포터(1050)의 통기구(1050')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리어 덕트 커넥터(1220)는 리어 서포터(1050)의 후면 및 순환팬 수용부(1313)에 스크류 내지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가 순환팬 수용부(1313)에 후크 결합되고, 리어 서포터(1050)의 후면에 스크류 결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리어 서포터(1050)에서 리어 덕트 커넥터(1220)가 미배치된 부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0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서포터(1050)의 전면은 상대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1030)의 내부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다.
리어 덕트 커넥터(1220)에는 순환팬 수용부(1313)의 배기구(1313")와 연통되는 제1개구(1220') 및 리어 서포터(1050)의 통기구(1050')와 연통되는 제2개구(1220")가 형성된다. 제1개구(1220')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구되어 배기구(1313")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개구(1220")는 제1개구(12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개구되어 리어 서포터(1050)의 통기구(105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리어 덕트 커넥터(1220)의 내부에는 리어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와류와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내부 격벽(1221a)이 구비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리어 덕트 커넥터(1220)는 후면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1221)와 전면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베이스 부재(1221)에 스크류 내지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제1개구(1220')는 베이스 부재(1221)와 커버부재(1330)의 결합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1330)가 베이스 부재(1221)에 결합시, 커버부재(1330)의 내부면이 제1개구(1220')의 일변을 한정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제2개구(1220")는 커버부재(13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21)에는 내부 격벽(122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 격벽(1221a)의 일부는 제2개구(1220")를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다.
리어 커버(1070)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를 덮도록 배치된다. 리어 커버(1070)의 내부면은 외부면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리세스부(1070')를 구비한다. 리세스부(1070') 내에는 리어 서포터(1050)의 돌출부(1050")와 리어 덕트 커넥터(1220)가 수용된다. 리어 서포터(1050)는 리어 커버(1070)에 장착된다.
도 42는 도 41의 라인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3은 도 42의 Q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2와 도 43을 참조하면, 리어 덕트 커넥터(1220)에는 베이스 부재(1221)와 커버부재(1222)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2중 실링 구조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1221)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실링홈(1221')과 제1실링홈(1221')을 감싸는 제2실링홈(1221")이 형성되고, 커버부재(1222)에는 제1실링홈(1221')에 삽입되는 제1실링돌기(1222')와 제2실링홈(1221")에 삽입되는 제2실링돌기(1222")가 구비된다. 제1실링돌기(1222')는 커버부재(12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제2실링돌기(1222")는 제1실링돌기(122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개구(1220")를 한정하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의 전면은 리어 서포터(1050)의 통기구(1050')를 한정하는 후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또는, 리어 덕트 커넥터(1220)의 전면에는 제2개구(1220")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가 구비되고, 실링부는 리어 서포터(1050)의 후면에 밀착되어 통기구(1050')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4는 도 39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221)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5는 도 39에 도시된 커버부재(1222)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46은 도 39에 도시된 내부 격벽(1221a)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221)는 제1개구(1220')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 상부에 위치하고 제2개구(1220")에 대응되는 제2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제2부분은 제1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가 폭이 좁은 제1부분에서 폭이 넓은 제2부분으로 유동시 와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1221)에는 공기가 제1부분에서 제2부분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내부 격벽(1221a)이 형성된다. 내부 격벽(1221a)의 일부는 제2개구(1220")를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다. 커버부재(1222)가 베이스 부재(1221)에 결합시, 내부 격벽(1221a)은 커버 부재의 내부면에 접촉되거나 커버 부재의 내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내부 격벽(1221a)은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에서 상향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부분보다 제2부분의 폭이 넓기 때문에, 제1부분의 상단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은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즉, 내부 격벽(1221a)은 이러한 형상 변화가 일어나는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에서 또는 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향 연장된다.
내부 격벽(1221a)은 일측 내벽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제1부분에서 제2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유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내부 격벽(1221a)은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에서 타측 내벽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순환팬(1710)의 송풍에 의해 응축수가 리어 덕트 커넥터(1220)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공기와 달리, 응축수는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낙하하게 된다.
응축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과 내부 격벽(1221a) 사이에는 물고임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홀(1221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격벽(1221a)의 하단이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수홀(1221a')을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격벽(1221a)은 베이스 부재(1221)의 일측 내벽으로부터 분지된 형태로 연장되되, 내부 격벽(1221a)의 하단에 배수홀(1221a')이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 격벽(1221a)의 상단에는 일측을 향하여 라운드진 라운드부(1221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운드부(1221a")가 내부 격벽(1221a)의 연장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내부 격벽(1221a)의 상단에서 공기가 자연스럽게 반대방향으로 넘어가서 와류 및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제2개구(1220")를 한정하는 커버부재(1222)의 내부면에는 리브(1222a)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개구(1220") 주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1222a)는 제2개구(122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브(1222a)가 제2개구(1220")를 한정하는 일변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베이스 부재(1221)에는 걸림후크(1221b)가 형성되고, 커버부재(1222)에는 걸림후크(1221b)가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는 걸림홀(1222b)이 형성된다. 걸림후크(1221b)는 베이스 부재(122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222)는 걸림후크(1221b)와 걸림홀(1222b)의 후크 결합에 의해 베이스 부재(12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전후방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지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와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프론트 서포터;
    상기 드럼의 후방측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와 연통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 리어 서포터;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캐비닛;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전방을 향하여 하향 연장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되며, 공기가 유동 중 열교환을 통하여 수분이 제거된 후 가열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일측 상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는, 상기 리어 서포터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는, 상기 리어 서포터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기준선보다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제2유로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로 송풍하는 순환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제2유로와 마주하는 전방으로 개구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된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팬을 수용하는 순환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닛에는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유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로부에 장착되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함께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리어 커버; 및
    상기 리어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유로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함께 상기 제1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서포터의 하부측 둘레부에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서포터에는 상기 베이스 유로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와 상기 연통홀을 연결하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포터에는 상기 리어 서포터의 통기구와 상기 베이스 유로부를 연결하는 리어 덕트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베이스 유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부분에는 증발기, 응축기 및 순환팬이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부분은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회전축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순환팬은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불어내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일부분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캐비닛의 중심을 지나 타측으로 편심된 위치까지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로부에 장착되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를 덮도록 배치되는 리어 베이스 커버; 및
    상기 리어 베이스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유로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유로부의 다른 일부분과 함께 상방으로 개방된 개구를 형성하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는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론트 덕트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80052708A 2018-05-08 2018-05-08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08A KR20190128471A (ko) 2018-05-08 2018-05-08 의류 처리 장치
US17/053,659 US20210230788A1 (en) 2018-05-08 2019-05-08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P19800190.1A EP3792389A4 (en) 2018-05-08 2019-05-08 LAUNDRY TREATMENT DEVICE
PCT/KR2019/005476 WO2019216631A1 (ko) 2018-05-08 2019-05-08 의류 처리 장치
CN201980030770.1A CN112088231A (zh) 2018-05-08 2019-05-08 衣物处理装置
AU2019265183A AU2019265183B2 (en) 2018-05-08 2019-05-08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U2023200427A AU2023200427A1 (en) 2018-05-08 2023-01-27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08A KR20190128471A (ko) 2018-05-08 2018-05-08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71A true KR20190128471A (ko) 2019-11-18

Family

ID=6872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708A KR20190128471A (ko) 2018-05-08 2018-05-08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84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19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169326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169322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19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169326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169322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468A (ko) 의류 처리 장치
AU2019265183B2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RU2626952C2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EP301559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045582B1 (en) Drying machine
KR102302326B1 (ko) 의류처리장치
BRPI1103958A2 (pt) mÁquina para tratamento em roupas para lavar
EP242337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N114127359B (zh) 衣物处理设备
KR20190128471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70096795A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256820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65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69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64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87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80039A (ko) 의류 건조기
KR2020007566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020445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67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84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5682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27045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