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950A - 일체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50A
KR20230099950A KR1020210189414A KR20210189414A KR20230099950A KR 20230099950 A KR20230099950 A KR 20230099950A KR 1020210189414 A KR1020210189414 A KR 1020210189414A KR 20210189414 A KR20210189414 A KR 20210189414A KR 20230099950 A KR20230099950 A KR 2023009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eader tank
passage
stopp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옥
육완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950A/ko
Publication of KR2023009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28D1/0443Combination of units extending one beside or one above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09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0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by using means for draining heat exchange media from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2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를 배출하는 유로를 일체로 형성한 헤더탱크와 이를 설치한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써, 헤더탱크가 상부 열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와 하부 열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냉각수가 주변부품에 튀어 주변부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열교환기 {Assembl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냉각수를 배출하는 유로를 일체로 형성한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특정 유로 상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순환하는 열교환매체가 외기열을 흡열하도록 하거나 또는 자신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식으로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친환경적인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모터나 엔진과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복수의 열교환기를 필요로 한다. 복수의 열교환기를 별개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경우 제작 공수가 많아져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낭비가 심해 원가 상승과 더불어 각각의 열교환기들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교환기를 상하로 배치하는 일체형 열교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체형 열교환기는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제10-217332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는 주기적으로 내부에서 순환하는 냉각수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열교환기에서 냉각수를 교체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열교환기 하부에 구성된 드레인 플러그를 통해 냉각수가 배출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제10-2012-00208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체형 열교환기는 방열핀과 튜브로 구성된 상부 열교환기(10)와 하부 열교환기(20)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부 열교환기(10)와 하부 열교환기(20)의 양단에 제1헤더탱크(30) 및 제2헤더탱크(4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부 열교환기(10) 내부를 유동하는 상부 냉각수와 하부 열교환기(20)를 유동하는 하부 냉각수의 온도가 다르다. 상부 냉각수는 높은 온도에서 유동하고, 하부 냉각수는 상부 냉각수보다 낮은 온도에서 구동한다.
상부 냉각수와 하부 냉각수는 서로 섞이면 안되기 때문에, 제1헤더탱크(30)와 제2헤더탱크(40)는 내부에 설치한 배플로 상부 냉각수와 하부 냉각수의 유로를 구분한다.
냉각수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며, 하부 냉각수는 제1헤더탱크(30)의 하단에 형성한 하부 드레인플러그(31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냉각수는 제1헤더탱크(30)의 하단을 통해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제2헤더탱크(40)에서 배플이 설치된 위치에 구성된 상부 드레인플러그(41)에 호스(42)를 연결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열교환기의 냉각수를 외부로 냉각수를 직접 배출함에 따라 주변부품으로 냉각수가 비산되어 주변부품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체형 열교환기에서 상부 열교환기와 하부 열교환기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냉각수는 각각 별도의 유로를 통해 순환한다. 하지만 냉각수의 온도만 상하부에서 다를 뿐 사용하는 냉각수는 동일하다. 동일한 냉각수를 사용함에도 상부 및 하부 열교환기에서 각각 냉각수를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수가 많이 들며, 상부 열교환기에 별도의 냉각수 배출 구조를 형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3324호 (2020.10.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0817호 (2012.03.08.)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가 상하부로 배치된 일체형 열교환기에서 냉각수를 하나의 유로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헤더탱크 및 그 헤더탱크를 구비한 일체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더탱크를 상부 냉각수가 이동하는 상부 유로부 및 하부 냉각수가 이동하는 하부 유로부로 분리하도록 형성한 구획부; 상기 헤더탱크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하부 유로부에서 냉각수가 배출되는 드레인부;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이어주는 우회로를 형성하는 연결유로부; 및 상기 연결유로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마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부를 통해 상기 상부 냉각수가 상기 드레인부로 배출되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유로부에는 상기 연결유로부와 연통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로부에는 상기 연결유로부와 연통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관통공은 상기 상부 유로부 하측에서 상기 구획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은 상기 하부 유로부 상측에서 상기 구획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부는, 상기 상부 관통공과 이어지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상부니플; 상기 하부 관통공과 이어지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하부니플; 및 일단은 상기 상부니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니플에 연결되어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내부유로를 막아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를 집거나, 상기 내부유로를 열어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연결하기 위해 탈거할 수 있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집게 형태의 클립으로 형성한,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내부유로를 관통하되 상기 마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 외주면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유로를 막도록 회전되거나,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의 관통홀이 상기 내부유로와 일치하도록 회전되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삽입되어 개폐가능한 형태의 밸브로 형성한,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는, 상부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결유로부를 통해 상기 하부 유로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로 배출되는,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유로부의 상부 냉각수와 상기 하부 유로부의 하부 냉각수의 평균 온도는 상이한, 헤더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를 포함하는 일체형 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열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와 하부 열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주변부품에 튀어 주변부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의 냉각수를 배출하는 작업 시 작업자의 화상 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 열교환기 헤더탱크의 냉각수 배출 구조를 일원화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 열교환기의 공기를 상부 열교환기 측에서 같이 한번에 배출하여 열교환기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에서 연결유로부와 마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마개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따른 헤더탱크 마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공기의 배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에서 냉각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에서 냉각수의 배출될 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100)는, 구획부(130)로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로 분리되어, 상부 유로부(110)에는 상부 냉각수(c1)가 이동하고 하부 유로부(120)에는 하부 냉각수(c2)가 이동한다.
헤더탱크(100)는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부(160)를 하단에 형성한다. 하부 유로부(120)의 하부 냉각수(c2)는 드레인부(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드레인부(160)는 헤더탱크(100)의 하단에서 외부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구동 중에는 마개 등으로 밀봉해 놓았다가 냉각수를 배출할 때에만 열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100)는 구동 중에는 하부 유로부(120)와 분리되어 있는 상부 유로부(110)를 냉각수 배출 시 하부 유로부(120) 연결한다. 상부 유로부(110)의 상부 냉각수(c1)는 하부 유로부(120)의 드레인부(1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더탱크는(100)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분리하는 구획부(130)에서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이어주는 우회로인 연결유로부(140)를 형성한다.
연결유로부(140)에는 마개부(150)가 탈부착하여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연결유로부(140)에 결합하는 마개부(150)를 통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며, 마개부(150)에 의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가 연결되면, 상부 냉각수(c1)는 드레인부(160)로 배출된다.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구획부(130)에 의해 분리된다. 구획부(130)는 헤더탱크(100)의 중단부에 형성하여 구획부(130)의 상부에는 상부 유로부(110)가 형성되고 베플부(130)의 하부에는 하부 유로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유로부(110)에는 연결유로부(140)와 연통되는 상부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하부 유로부(120)에는 연결유로부(140)와 연통되는 하부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연결유로부(140)는 상부 관통공(111)과 하부 관통공(121)에 의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연결해준다.
상부 관통공(111)은 상부 유로부(110)의 하측에서 구획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 관통공(121)은 하부 유로부(120)의 상측에서 구획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부 관통공(111)은 상부 유로부(110)에서 최하단에 형성되며, 하부 관통공(121)은 하부 유로부(120)에서 최상단에 형성된다.
상부 관통공(111)은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분리하는 구획부(13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중력방향으로 흐르는 상부 유로부(110)의 상부 냉각수(c1)가 연결유로부(140)로 효과적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관통공(121)도 구획부(13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연결유로부(140)의 경로를 최단경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하부 유로부(110)의 공기를 빼기 위해서도 하부 관통공(121)은 하부 유로부(120)의 최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를 보면, 연결유로부(140)는 상부 유로부(110)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부니플(141)을 형성하고, 하부 유로부(120)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하부니플(142)을 형성한다.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구획부(130)를 기준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상부니플(141)은 구획부(13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하부니플(142)은 구획부(130)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부니플(141)은 상부 유로부(110)와 이어지면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하고, 하부니플(142)은 하부 유로부(120)와 이어지면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은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이어주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은 헤더탱크(100)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한다.
상부니플(141)은 상부 관통공(111)과 이어져 형성되며, 하부니플(142)은 하부 관통공(121)과 이어져 형성된다.
도 4의 (b)를 보면,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은 연결부재(143)로 연결된다. 연결부재(143)는 일단은 상부니플(141)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니플(142)에 연결된다.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에 연결된 연결부재(143)에 의해 형성한 내부유로(143a)에 의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이어진다.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헤더탱크(110)의 내측에서 구획부(130)에 분리되어 서로 통하지 않도록 막혀 있다.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헤더탱크(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한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 및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를 이어주는 연결부재(143)에 의해 이어진다.
연결부재(143)는 U자 형태를 가지며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를 연결한다. 연결부재(143)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는 일단이 상부니플(141)에 연결되고 U자 형태로 휘어 하부니플(1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호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유로(143a)를 흐르는 상부 냉각수(c1)의 상태 및 이물질의 포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143)는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에 연결되는 일단과 타단을 고정부재(144)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144)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강하게 집음으로써, 연결부재(143)가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연결유로부(140)는 연결유로부(140)에 탈부착하는 마개부(150)에 의해 연결유로부(14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된다.
마개부(150)는 연결부재(143)의 내부유로(143a)를 막거나 연다. 마개부(150)는 연결부재(143)를 집음으로써 내부유로(143a)를 막아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가 이어지는 것을 차단한다. 마개부(150)는 연결부재(143)에서 탈거됨으로써 내부유로(143a)를 열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가 연결되도록 한다.
마개부(150)는 도 5의 (a)와 같이 연결부재(143)의 중간부를 집거나, 도 5의 (b)와 같이 중간부에서 탈거됨으로써, 연결부재(143)의 내부유로(143a)가 막히거나 열리는 것이다.
마개부(150)는 내부유로(143a)가 서로 접하도록 연결부재(143)를 집어야 하며, 또한 연결부재(143)에서 탈거할 수도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집게 형태의 클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43)와 마개부(150)는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143)는 내부유로(143a)를 관통하도록 삽입홀(143b)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홀(143b)은 내부유로(143a)의 경로에 수직하게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한다. 삽입홀(143b)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마개부(15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150)는 삽입홀(143b)에 삽입되어 결합하는데, 마개부(150)는 관통홀(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마개부(15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관통홀(151)은 길이방향에서 수직하게 뚫리는 것이다.
마개부(150)는 연결부재(143)에 결합되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차단하기 위해 마개부(150) 외주면이 연결부재(143)의 내부유로(143a)를 막도록 회전되거나(도 6의 (a)),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를 연결하기 위해 마개부(150)의 관통홀(151)이 내부유로(143a)와 일치하도록 회전(도 6의 (b))할 수 있다.
마개부(150)가 연결부재(143)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에 의해 마개부(150)는 회전하여 관통홀(150)을 내부유로(143a)의 경로와 일치시키거나, 회전하여 외주면이 내부유로(143a)의 경로를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43)는 나사산에 의한 용이한 결합을 위해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U자 형태와 U자 중간 부위에 삽입홀(143b)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부(150)는 연결부재(143)에 삽입되어 개폐가능한 형태의 밸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헤더탱크(100)는 상부에 내부의 공기(A)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부(17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170)은 헤더탱크(100)의 최상부인 상부 유로부(110)의 상단부에 니플 형태로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냉각수의 배출 경로와는 반대로 연결유로부(140)에 의해 하부 유로부(120)의 공기(A)를 상부 유로부(110)로 배출할 수 있다.
연결유로부(140) 및 마개부(150)의 구성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며, 마개부(150)의 조작에 의해 하부 유로부(120)의 공기(A)를 상부 유로부(110)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마개부(150)에 의해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볼 수 있다.
도 8을 보면, 마개부(150)는 연결부재(143)를 집어 내부유로(143a)가 막혔다.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은 마개부(150)에 의해 막혀 서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는 일체형 열교환기가 구동 중인 상태로 마개부(150)로 연결유로부(140)를 막음으로써, 상부 냉각수(c1)와 하부 냉각수(c2)는 각각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의 내부에서만 유동한다.
도 9를 보면, (b)는 마개부(150)가 연결부재(143)에서 탈거하여 내부유로(143a)가 열렸다. 냉각수를 교체할 때에는 집혀있는 마개부(150)를 탈거하여 내부유로(143a)가 열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부니플(141)과 하부니플(142)은 연결유로(143)에 의해 이어지고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는 서로 연통하여 이어지는 것이다.
상부 유로부(110), 상부 관통공(111), 상부니플(141), 연결부재(143), 하부니플(142), 하부 관통공(121), 하부 유로부(120)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상부 유로부(110)의 상부 냉각수(c1)는 하부 유로부(120)로 들어온다. 그리고 헤더탱크(100)의 하단부에 형성한 드레인부(160)를 열면 상부 냉각수(c2)는 하부 유로부(11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가 일체형 열교환기에 적용되면, 상부 열교환기(10)와 하부 열교환기(20)가 상하로 배치된 일체형 열교환기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더탱크(10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일반 헤더탱크가 설치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더탱크(100)를 통해 헤더탱크(100)의 상부 유로부(110)의 상부 냉각수(c1)를 하부 유로부(120)로 유동시켜 헤더탱크(100)의 하단부에 형성한 드레인부(16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일반 헤더탱크는 종래와 같이 상부 냉각수(c1)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다.
상부 냉각수(c1)와 하부 냉각수(c2)의 평균 온도가 상이함에 따라 헤더탱크는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더탱크(100)는 상부 유로부(110)와 하부 유로부(120)로 분리되는 구조를 유지하면서 상부 냉각수(c1)와 하부 냉각수(c2)를 한번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더탱크를 사용하면, 상부 열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와 하부 열교환기에서 사용하는 냉각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주변부품에 튀어 주변부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냉각수를 배출하는 작업 시 작업자의 화상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열교환기 헤더탱크의 냉각수 배출 구조를 일원화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하부 열교환기의 공기를 상부 열교환기 측에서 같이 한번에 배출하여 열교환기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 상부 열교환기
20: 하부 열교환기
30: 제1헤더탱크
31: 하부 드레인플러그
40: 제2헤더탱크
41: 상부 드레인플러그
42: 호스
c1: 상부 냉각수
c2: 하부 냉각수
100: 헤더탱크
110: 상부 유로부
111: 상부 관통공
120: 하부 유로부
121: 하부관통공
130: 구획부
140: 공기배출부
140: 연결유로부
141: 상부니플
142: 하부니플
143: 연결부재
143a: 내부유로
143b: 삽입홀
144: 고정부재
150: 마개부
151: 관통홀
160: 드레인부

Claims (11)

  1. 헤더탱크를 상부 냉각수가 이동하는 상부 유로부 및 하부 냉각수가 이동하는 하부 유로부로 분리하도록 형성한 구획부;
    상기 헤더탱크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하부 유로부에서 냉각수가 배출되는 드레인부;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이어주는 우회로를 형성하는 연결유로부; 및
    상기 연결유로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마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부를 통해 상기 상부 냉각수가 상기 드레인부로 배출되는,
    헤더탱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로부에는 상기 연결유로부와 연통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로부에는 상기 연결유로부와 연통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헤더탱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통공은 상기 상부 유로부 하측에서 상기 구획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은 상기 하부 유로부 상측에서 상기 구획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헤더탱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부는,
    상기 상부 관통공과 이어지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상부니플;
    상기 하부 관통공과 이어지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하부니플; 및
    일단은 상기 상부니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니플에 연결되어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헤더탱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내부유로를 막아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를 집거나, 상기 내부유로를 열어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연결하기 위해 탈거할 수 있는,
    헤더탱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집게 형태의 클립으로 형성한,
    헤더탱크.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내부유로를 관통하되 상기 마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헤더탱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 외주면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유로를 막도록 회전되거나, 상기 상부 유로부와 상기 하부 유로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의 관통홀이 상기 내부유로와 일치하도록 회전되는,
    헤더탱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삽입되어 개폐가능한 형태의 밸브로 형성한,
    헤더탱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는, 상부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결유로부를 통해 상기 하부 유로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로 배출되는,
    헤더탱크.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헤더탱크를 포함하는 일체형 열교환기.
KR1020210189414A 2021-12-28 2021-12-28 일체형 열교환기 KR20230099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14A KR20230099950A (ko) 2021-12-28 2021-12-28 일체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14A KR20230099950A (ko) 2021-12-28 2021-12-28 일체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50A true KR20230099950A (ko) 2023-07-05

Family

ID=8715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14A KR20230099950A (ko) 2021-12-28 2021-12-28 일체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2755A1 (ko) * 2021-12-29 2024-06-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817A (ko) 2010-08-31 2012-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
KR102173324B1 (ko) 2017-09-15 2020-11-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817A (ko) 2010-08-31 2012-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
KR102173324B1 (ko) 2017-09-15 2020-11-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2755A1 (ko) * 2021-12-29 2024-06-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629B2 (en) Heat exchanger with a flow connector
KR101202258B1 (ko) 일체형 열교환기
CN110017704B (zh) 集成热交换器
US20160010534A1 (en) Complex heat exchanger
KR20230099950A (ko) 일체형 열교환기
CN101377391B (zh) 车辆用油冷器
CN108933309A (zh) 用于电动车辆和混合动力车辆的单池模块
KR20230101707A (ko) 열교환기
JP2012117689A (ja) 第2熱交換器の収納構造
KR101543608B1 (ko) 수냉식 콘덴서
KR101251260B1 (ko) 오일쿨러
KR101217017B1 (ko) 라디에이터 탱크 및 오일쿨러 조립체
KR101855850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2003240480A (ja) オイルクーラ付きラジエータ
KR101936723B1 (ko) 쿨링모듈
KR20100067153A (ko) 오일쿨러 및 라디에이터 탱크 조립체
KR100680676B1 (ko)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드레인 겸용 배출장치
JP3937361B2 (ja) 複合型熱交換器
WO2023204487A1 (ko) 열교환기
JP2022129087A (ja)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CN210892786U (zh) 车辆复合散热装置
KR20090076445A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탱크
KR200147750Y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KR200356889Y1 (ko) 라디에이터의 배수장치를 겸한 온도센서 고정장치
KR20090026839A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