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136A - 커넥터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136A
KR20230094136A KR1020220162238A KR20220162238A KR20230094136A KR 20230094136 A KR20230094136 A KR 20230094136A KR 1020220162238 A KR1020220162238 A KR 1020220162238A KR 20220162238 A KR20220162238 A KR 20220162238A KR 20230094136 A KR20230094136 A KR 2023009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ting
connector
contact por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피치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자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는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1단자(210)는 제1실장부(211)를 구비하고, 제2단자(230)는 제2실장부(243)를 구비한다.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의 지지부(219, 23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제1접점부(215, 235)로부터 연장되어서 제2접점부(217, 237)를 지지한다.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의 제2접점부(217, 237)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접점부(215, 235)와 대향하고, 지지부(219, 239)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폭방향에 있어서 이동될 수 있다. 제2단자(230)에 있어서, 연장부(241)는 상기 제2접점부(237)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2실장부(243)는 연장부(241)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2실장부(243)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실장부(211)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조립체{CONNECTOR AND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connector) 및 조립체(組立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치방향(pitch 方向)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피치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와, 그와 결합하는 상대측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도4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90)는, 복수의 단자(92)와 그들을 홀딩하는 하우징(94)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단자(92)는, 2개의 단자열을 형성하도록 하우징(94)에 홀딩되어 있다. 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단자(92)는 피치방향(X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단자열은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Y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4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90)의 단자(92)의 각각은, 실장부(實裝部)(921), 피홀딩부(被 holding 部)(923), 지지부(925), 제1접점부(927) 및 제2접점부(929)를 구비하고 있다. 실장부(921)는, 커넥터(90)가 기판(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은)에 실장되었을 때, 기판에 고정된다. 피홀딩부(923)는 하우징(94)에 홀딩된다. 지지부(925)는 제1접점부(927)로부터 연장되어서 제2접점부(929)를 지지한다.
도4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단자(92)는 동일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단자(92)는 그 실장부(921)가 폭방향(Y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치방향(X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단자열의 각각의 단자(92)는 서로 겹쳐진다.
도4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커넥터(100)는, 커넥터(90)의 단자(92)에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단자(110)와, 그들을 홀딩하는 상대측하우징(12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상대측단자(110)는, 2개의 상대측단자열을 형성하도록 상대측하우징(120)에 홀딩되어 있다. 상대측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상대측단자(110)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상대측단자열은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4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단자(110)의 각각은, 상대측실장부(111), 상대측피홀딩부(113), U자모양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실장부(111)는, 상대측커넥터(100)가 상대측기판(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은)에 실장되었을 때, 상대측기판에 고정된다. 상대측피홀딩부(113)는 상대측하우징(120)에 홀딩된다. U자모양부(115)는, 커넥터(90)와 상대측커넥터(100)가 결합하였을 때, 단자(92)의 제1접점부(927)와 제2접점부(929) 사이로 진입하여, 제1접점부(927) 및 제2접점부(929)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4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상대측단자(110)는 상대측실장부(111)가 폭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대측단자열의 각각의 상대측단자(110)는 서로 겹쳐진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9-46670호 공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90)에 있어서,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자(92) 사이의 최소거리는, 이들 단자(92)의 실장부(921)에 각각 대응되도록 기판에 설치된 패드의 배치에 의존된다. 여기에서,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패드 사이에는, 이들 패드가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導通)하지 않도록 스페이스(space)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90)에는,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단자(92) 사이의 거리를 축소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자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복수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홀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단자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단자는, 제1실장부와, 피홀딩부와,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단자는, 피홀딩부와,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와, 지지부와, 연장부와, 제2실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에 있어서, 상기 피홀딩부는 상기 제1실장부와 상기 제1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피홀딩부는 상기 하우징에 홀딩되어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彈性變形) 가능하며, 상기 제1접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접점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단자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접점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에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커넥터이며,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홀딩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로서, 제1 또는 제2커넥터이며,
상기 제2단자는 부가적인 피홀딩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가적인 피홀딩부는 상기 하우징에 홀딩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접점부에서 상기 부가적인 피홀딩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로서, 제3커넥터이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사이즈(size)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장부의 판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판두께보다 얇은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4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의 상기 피홀딩부, 상기 제1접점부, 상기 지지부 및 제2접점부의 위치는, 상기 제2단자의 상기 피홀딩부, 상기 제1접점부, 상기 지지부 및 제2접점부의 위치와 각각 동일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로서, 제5커넥터이며,
상기 피치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6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피치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대측록부를 구비한 상대측커넥터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록부와 함께 상기 결합상태를 로크하는 록부로서 기능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커넥터로서, 제1 내지터 제7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폭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단자열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자열의 일방의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의 배치와, 상기 단자열의 나머지 일방의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의 배치는 회전대칭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8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을 상방으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확인창(確認窓)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조립체로서, 제1 내지 제9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그와 결합 가능한 상대측커넥터를 구비하는 조립체이며,
상기 상대측커넥터는, 복수의 상대측단자와, 상기 상대측단자를 홀딩하는 상대측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단자는, 상기 제1단자에 대응하는 상대측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에 대응하는 상대측제2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와 상기 상대측제2단자는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는, 상대측제1실장부와, 상대측제1접점부와, 상대측제2접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는 상기 상대측제1실장부와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2단자는, 상대측제1접점부와, 상대측제2접점부와, 상대측제2실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2단자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는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와 상기 상대측제2실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 및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시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와 각각 접촉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 및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시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와 각각 접촉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실장부와 상기 상대측제2실장부는, 폭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조립체로서, 제1그룹입체이며,
상기 상대측하우징에는, 상기 상대측제2실장부에 각각 대응한 상대측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조립체로서, 제1 또는 제2조립체이며,
상기 상대측제1단자 및 상기 상대측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록부와 함께 상기 결합상태를 로크하는 상대측록부로서 기능하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제1단자와 제2단자는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1단자는 제1실장부를 구비하고, 제2단자는 제2실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폭방향에 있어서, 제2실장부는 상기 제1실장부에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를 기판에 탑재할 때, 제1단자는 제1실장부를 사용하여 기판에 고정되고, 제2단자는 제2실장부를 사용하여 기판에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커넥터가 탑재되는 기판에 의한 제약을 완화할 수 있고,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자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피홀딩부 - 제1접점 - 제2접점의 위치관계가, 피치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자 사이에서 공통(共通)으로 되어 있으므로써, 그 위치관계가 반전(反轉)하고 있을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측커넥터와 결합할 때의 삽입력이 작다. 그 때문에, 커넥터의 단자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삽입력에 의한 제한이 완화된다. 또한, 단자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上面 斜視圖)이다.
[도2]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下面 斜視圖)이다.
[도3]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5]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상면 사시도이다.
[도6]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하면 사시도이다.
[도7] 도1의 커넥터를 구비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커넥터는 기판상에 탑재되어 있다.
[도8] 도7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 도8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10] 도8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B-B선 단면도이다.
[도11] 도7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2]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의 일방의 제1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의 일방의 제2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 도1의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16]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이다.
[도17]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8]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9]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상면 사시도이다.
[도20]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하면 사시도이다.
[도21]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구비한 상대측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대측커넥터는 상대측기판상에 탑재되어 있다.
[도22] 도21의 상대측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3] 도22의 상대측디바이스를 나타내는 C-C선 단면도이다.
[도24] 도22의 상대측디바이스를 나타내는 D-D선 단면도이다.
[도25] 도21의 상대측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상대측기판을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이다.
[도26] 도15의 상대측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의 일방의 상대측제1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7] 도15의 상대측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의 일방의 상대측제2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8] 도15의 상대측커넥터에 포함되는 상대측단자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9] 도1의 커넥터와 도15의 상대측커넥터를 구비하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30] 도29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1] 도30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E-E선 단면도이다.
[도32] 도30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F-F선 단면도이다.
[도33]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34] 도33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이다.
[도35] 도33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의 일방의 제1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6] 도33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열의 일방의 제2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7] 도33의 커넥터를 구비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커넥터는 기판상에 탑재되어 있다.
[도38] 도37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9] 도38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G-G선 단면도이다.
[도40] 도38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H-H선 단면도이다.
[도41] 특허문헌1에 기재된 커넥터 및 상대측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2] 도4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의 1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
도1로부터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복수의 단자(20)와, 단자(20)를 홀딩하는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20)의 각각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30)은 절연수지제이다.
도5 및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20)는 2열로 배열되어 있다. 환언하면, 커넥터(10)는 2개의 단자열(200, 202)을 구비하고 있고, 단자열(200, 202)은 각각 복수의 단자(2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단자열을 1개만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단자열이 하나인 경우, 단자(20)를 홀딩하는 하우징의 형상도 하우징(30)의 것과 다르다.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있어서, 단자(20)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치방향은 X방향이다. 또한, 단자열(200)과 단자열(202)은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방향은 Y방향이다.
도5 및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20)는 하우징(30)에 압입(壓入)되어 홀딩된다. 상세하게는, 단자(20)는 하방(下方)으로부터 하우징(30)에 압입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자(20)는 인서트 성형(insert 成形)에 의해 하우징(30)에 홀딩되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Z방향이 상방이며, -Z방향이 하방이다.
도7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사용시에 기판(80)에 탑재되어 적어도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80)상에는 복수의 패드(801)가 설치되어 있다. 패드(801)는 단자(20)와 1대1로 대응하고 있다.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대응하는 패드(801)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열(200, 202)의 일방에 대응하는 패드(801)의 배치와, 단자열(200, 202)의 나머지 일방에 대응하는 패드(801)의 배치는, 기판(80)과 직교하고 또한 패드(801)가 설치되는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축에 대해서 회전대칭이다.
도5 및 도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피치방향과 폭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피치방향으로 긴 4각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30)은, 프레임 모양의 외벽부(32)와, 외벽부(32)에 둘러싸인 도상부(島狀部)(34)와, 외벽부(32)와 도상부(34)를 연결하는 바닥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도5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도상부(34)에는 복수의 확인창(3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확인창(341)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인창(341)의 각각은 상방으로 열려 있다. 확인창(341)은 후술하는 제2실장부(243)(도9, 도10 참조)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확인창(341)이 개개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0)의 강도저하가 방지된다. 확인창(341)의 각각은, 커넥터(10)가 기판(80)에 실장되었을 때, 대응하는 기판(80)에 대한 제2실장부(243)의 고정을 상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한다.
도8로부터 도10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20)는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단자(20) 중에서 일방은 제1단자(210)이며, 나머지 일방은 제2단자(230)이다.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단자(20)가 모두 제2단자(230)인 경우, 그들의 제2실장부(243)가 서로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자(20)는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이기 때문에 이러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5 및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있어서,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는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열(200, 202)의 일방의 제1단자(210) 및 제2단자(230)의 배치와, 단자열(200, 202)의 나머지 일방의 제1단자(210) 및 제2단자(230)의 배치는, 단자열(200)과 단자열(202) 중간을 통하는 상하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서 회전대칭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제1단자(210)의 각각은, 제1실장부(211)와, 피홀딩부(213)와, 제1접점부(215)와, 제2접점부(217)와, 지지부(219)를 구비하고 있다. 제1단자(210)에 있어서, 피홀딩부(213)는 제1실장부(211)와 제1접점부(21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피홀딩부(213)는 하우징(30)에 홀딩된다. 제1접점부(215)는 폭방향에 있어서 피홀딩부(213)와 제2접점부(21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접점부(215)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221)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221)는 피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2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제1접점부(215)로부터 연장되어서 제2접점부(217)를 지지하고 있다. 제2접점부(217)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접점부(215)로부터 떨어져서 제1접점부(215)와 대향하고 있다. 제2접점부(217)는, 지지부(219)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적어도 폭방향에 있어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20)의 각각은 금속판을 펀칭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제조된다.
도13을 참조하면, 제2단자(230)는, 단부(端部)(231)와, 피홀딩부(233)와, 제1접점부(235)와, 제2접점부(237)와, 지지부(239)와, 연장부(241)와, 제2실장부(243)를 구비하고 있다. 제2단자(230)의 단부(231)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러나, 제2단자(230)를 하우징(30)에 압입할 때에 스토퍼(spopper)로서 이용될 수 있다. 피홀딩부(233), 제1접점부(235), 제2접점부(237) 및 지지부(239)는, 제1단자(210)의 피홀딩부(213), 제1접점부(215), 제2접점부(217) 및 지지부(219)와 기능이 각각 공통적이다. 상세하게는, 제2단자(230)에 있어서 피홀딩부(233)는 하우징(30)에 홀딩된다. 제1접점부(235)는 폭방향에 있어서 피홀딩부(233)와 제2접점부(23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접점부(235)는 폭방향에 있어서 돌출하는 돌기(245)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245)는 피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23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제1접점부(235)로부터 연장되어서 제2접점부(237)를 지지하고 있다. 제2접점부(237)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접점부(235)로부터 떨어져서 제1접점부(235)와 대향하고 있다. 제2접점부(237)는, 지지부(239)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적어도 폭방향에 있어서 이동될 수 있다. 연장부(241)는, 제2접점부(237)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2실장부(243)는 연장부(241)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20)의 각각은 금속판을 펀칭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제조된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단자(230)는 추가적으로 부가적인 피홀딩부(247)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장부(241)는 제2접점부(237)로부터 부가적인 피홀딩부(247)까지 더 연장되어 있다. 도9 및 도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가적인 피홀딩부(247)는 하우징(30)에 홀딩된다. 부가적인 피홀딩부(247)가 하우징(30)에 홀딩됨으로써, 제2실장부(243)가 하우징(3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실장부(243)는, 피홀딩부(233)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있다. 더하여, 피홀딩부(233)로부터 제2실장부(243)까지 사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지지부(239)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제2실장부(243)는, 기판(80)에 고정될 때까지의 사이에 외력을 받으면, 하우징(30)에 대하여 이동될 가능성이 있다. 부가적인 피홀딩부(247)는 이 이동을 방지한다.
도3, 도4 및 도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자(230)의 연장부(241)는, 피치방향에 있어서 지지부(239)보다 작은 사이즈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자(230)의 연장부(241)의 판두께는 지지부(239)의 판두께보다 얇다. 제2단자(230)에 있어서, 제2실장부(243)가 기판(80)에 고정되면 지지부(239)의 탄성변형이 제한된다. 지지부(239)의 탄성변형을 쉽게 하기 위해서, 연장부(241)의 피치방향 사이즈 및 판두께는 저감되어 있다. 연장부(241)의 판두께를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코이닝(coining)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피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있어서, 제1단자(210)의 피홀딩부(213)로부터 제2접점부(217)까지의 부분은, 제2단자(230)의 피홀딩부(233)로부터 제2접점부(237)까지의 부분과 겹쳐져 있다. 환언하면,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제1단자(210)의 피홀딩부(213), 제1접점부(215), 지지부(219) 및 제2접점부(217)의 위치는, 제2단자(230)의 피홀딩부(233), 제1접점부(235), 지지부(239) 및 제2접점부(237)의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
도14에 더하여 도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있어서 돌기(221)와 돌기(245)는 겹쳐져 있다. 또한,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있어서, 제2실장부(243)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실장부(211)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도3, 도4, 도12 및 도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단자(210)의 피홀딩부(213)로부터 제2접점부(217)까지의 부분과 제2단자(230)의 피홀딩부(233)로부터 제2접점부(237)까지의 부분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단자(210)의 피홀딩부(213)로부터 제2접점부(217)까지의 부분과 제2단자(230)의 피홀딩부(233)로부터 제2접점부(237)까지의 부분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사이즈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는 제1단자(210)의 탄성과 제2단자(230)의 탄성을 일치시키기 위해서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단자(210)의 탄성과 제2단자(230)의 탄성의 차이가 허용범위에 있으면, 제1단자(210)의 피홀딩부(213)로부터 제2접점부(217)까지의 부분과 제2단자(230)의 피홀딩부(233)로부터 제2접점부(237)까지의 부분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7로부터 도10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기판(80)에 탑재되었을 때, 제1단자(210)의 제1실장부(211)와 제2단자(230)의 제2실장부(243)는, 각각 기판(80)상의 대응하는 패드(801)(도11 참조)에 땜납(82)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치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단자(20)는 제1단자(210)와 제2단자(230)이다. 제1단자(210)의 제1실장부(211)와 제2단자(230)의 제2실장부(243)는 폭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다. 따라서, 피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패드(801)의 간격은, 피치방향으로 배열된 단자(20)의 간격보다 넓다. 이에 따라, 피치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패드(801) 사이의 땜납(82)에 의한 단락(短絡)을 방지할 수 있다.
도7로부터 도10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기판(80)에 탑재되었을 때, 기판(80)에 대한 제1실장부(211) 및 제2실장부(243)의 고정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上方)으로부터 시인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실장부(211)의 각각은 폭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하우징(3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판(80)에 대한 제1실장부(211)의 고정을 기판(80)의 상방 또는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30)에는 제2실장부(243)에 각각 대응하는 확인창(3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3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확인창(341)의 각각을 통과하여 대응하는 기판(80)에 대한 제2실장부(243)의 고정을 시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치방향으로 배열된 단자(20)의 제1실장부(211)와 제2실장부(243)는 폭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다. 이들 제1실장부(211) 및 제2실장부(243)에 대응하는 기판(80)상의 패드(801)는,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2개의 패드(801)는, 피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2개의 패드(801) 사이에 피치방향의 스페이스(space)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2개의 패드(801)를, 피치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피치방향에 있어서 패드(801)의 피치를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패드(801)에 의한 제한이 완화되어,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자(20)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다. 이는 커넥터(10)의 소형화나 단자(2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공헌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열(200, 202)의 각각에 있어서 단자(20)의 각각의 제1접점부(215 또는 235) 및 제2접점부(217 또는 237)의 위치는, 다른 단자(20)의 것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커넥터(10)의 상대측커넥터(50)에 대한 삽발력(揷拔力)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0)의 단자(2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삽발력에 의한 제한이 완화된다. 또한, 삽발력을 필요한 최저치로 함으로써 단자(2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도15로부터 도18을 참조하면, 상대측커넥터(50)는, 복수의 상대측단자(60)와, 상대측단자(60)를 홀딩하는 상대측하우징(70)을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커넥터(50)는, 커넥터(1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커넥터(10)와 함께 조립체(도29 참조)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대측단자(60)의 각각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측하우징(70)은 절연수지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대측단자(6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대측하우징(70)에 홀딩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대측단자(60)는 상대측하우징(70)에 압입(壓入)에 의해 홀딩되더라도 좋다.
도17 및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하우징(70)은 피치방향으로 긴 4각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대측하우징(70)은, 1쌍의 장벽(長壁)(72)과, 그들을 연결하는 단벽(短壁)(74)과, 상부(上部)(76)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하우징(70)의 상부(76)에는, 상대측제2실장부(639)(후술하는)에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확인창(761)이 설치되어 있다.
도18로부터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단자(60)는, 장벽(72)에 대응하도록 2열로 배열되어서 상대측단자열(600, 602)을 형성하고 있다.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각각에 있어서, 상대측단자(60)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대측단자(60)는 커넥터(10)의 단자(2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상대측커넥터(50)와 커넥터(10)가 결합하였을 때, 상대측단자(60)의 각각은 대응하는 단자(20)에 접촉한다.
도21 및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커넥터(50)는, 사용시에 상대측기판(85)에 탑재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대측디바이스를 구성한다. 도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기판(85)상에는 복수의 상대측패드(851)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측패드(851)는 상대측단자(60)와 1대1로 대응하고 있다.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대측패드(851)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일방에 대응하는 상대측패드(851)의 배치와,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나머지 일방에 대응하는 상대측패드(851)의 배치는, 상대측기판(85)과 직교하고 또한 상대측패드(851)가 형성되는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축에 대해서 회전대칭이다.
도23 및 도24를 참조하면, 상대측단자(60)는, 형상이 서로 다른 2종류의 상대측단자(610, 630), 즉 상대측제1단자(610)(도26 참조) 및 상대측제2단자(630)(도27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대측제1단자(610)는 커넥터(10)의 제1단자(210)에 대응하고 있다. 상대측제2단자(630)는 커넥터(10)의 제2단자(230)에 대응하고 있다.
도19 및 도2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각각은, 상대측제1단자(610)와 상대측제2단자(630)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대측단자(60) 중에서 일방은 상대측제1단자(610)이며, 나머지 일방은 상대측제2단자(630)이다.
도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제1단자(610)는, 상대측제1실장부(611)와, 상대측제1접점부(613)와, 연결부(615)와, 상대측제2접점부(617)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제1접점부(613)는, 폭방향에 있어서 돌출하는 돌기(619)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619)는 피치방향으로 신장(伸長)하고 있다. 상대측제1단자(610)에 있어서, 상대측제1접점부(613)는, 상대측제1실장부(611)와 상대측제2접점부(61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대측제1단자(610)에 있어서, 상대측제1접점부(613) 및 상대측제2접점부(617)는,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의 결합시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단자(210)의 제1접점부(215) 및 제2접점부(217)와 각각 접촉되어 있다.
도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제2단자(630)는, 단부(631)와, 상대측제1접점부(633)와, 연결부(635)와, 상대측제2접점부(637)와, 상대측제2실장부(639)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제1접점부(633)는, 폭방향에 있어서 돌출하는 돌기(641)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641)는 피치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상대측제2단자(630)에 있어서, 상대측제2접점부(637)는 상대측제1접점부(633)와 상대측제2실장부(639)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대측제1접점부(633)와, 연결부(635)와, 상대측제2접점부(637)는, 상대측제1단자(610)의 상대측제1접점부(613)와, 연결부(615)와, 상대측제2접점부(617)와 기능이 각각 공통적이다. 상대측제2단자(630)에 있어서, 상대측제1접점부(633) 및 상대측제2접점부(637)는,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가 결합하였을 때, 대응하는 제2단자(230)의 제1접점부(235) 및 제2접점부(237)와 각각 접촉되어 있다.
도28을 참조하면, 피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각각에 있어서, 상대측제1단자(610)의 상대측제1접점부(613)로부터 상대측제2접점부(617)까지의 부분은, 상대측제2단자(630)의 상대측제1접점부(633)로부터 상대측제2접점부(637)까지의 부분과 겹쳐져 있다. 환언하면,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대측제1단자(610)의 상대측제1접점부(613), 연결부(615) 및 상대측제2접점부(617)의 위치는, 상대측제2단자(630)의 상대측제1접점부(633), 연결부(635) 및 상대측제2접점부(637)의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
도28, 도19 및 도2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각각에 있어서, 상대측제1단자(610)의 돌기(619)와, 상대측제2단자(630)의 돌기(641)는 겹쳐져 있다. 또한, 도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단자열(600, 602)의 각각에 있어서, 상대측제2실장부(639)는 폭방향에 있어서 상대측제1실장부(611)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도23 및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커넥터(50)가 상대측기판(85)에 탑재되었을 때, 상대측제1단자(610)의 상대측제1실장부(611)는, 상대측기판(85)이 대응하는 상대측패드(851)(도25 참조)에 땜납(87)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대측제2단자(630)의 상대측제2실장부(639)는, 상대측기판(85)이 대응하는 상대측패드(851)에 땜납(87)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도2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커넥터(50)가 상대측기판(85)에 탑재되었을 때, 상대측기판(85)에 대한 상대측제1실장부(611) 및 상대측제2실장부(639)의 고정은, 하방(下方)으로부터 시인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대측제1실장부(611)는, 폭방향에 있어서 상대측하우징(7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대측기판(85)에 대한 상대측제1실장부(611)의 고정을, 상대측기판(85)의 하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대측하우징(70)의 상부(76)에는 상대측제2실장부(639)에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확인창(76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하우징(7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상대측확인창(761)을 통하여 상대측기판(85)에 대한 상대측제2실장부(639)의 고정을 시인할 수 있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가 서로 결합하면, 상대측커넥터(50)는 커넥터(10)의 수용부(38)(도1 참조)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31 및 도32을 참조하면,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단자(60)의 각각은 대응하는 단자(20)의 제1접점부(215 또는 235)와 제2접점부(217 또는 237) 사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커넥터(10)의 제2접점부(217, 237)의 각각은, 지지부(219 또는 239)의 탄성변형에 의해 폭방향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여, 대응하는 상대측단자(60)의 진입을 허용한다. 그 결과, 단자(20)의 각각과 그에 대응하는 상대측단자(60)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커넥터(10)의 단자(20)의 각각의 제1접점부(215 또는 235) 및 제2접점부(217 또는 237)는, 대응하는 상대측단자(60)의 상대측제1접점부(613 또는 633) 및 상대측제2접점부(617 또는 637)에 각각 접촉한다.
도31 및 도3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커넥터(10)의 단자(20)의 돌기(221, 245)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대측커넥터(50)가 대응하는 상대측단자(60)의 돌기(619 또는 641)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10)의 제1접점부(215, 235) 및 상대측커넥터(50)의 상대측제1접점부(613, 633)는, 커넥터(10)와 상대측커넥터(50)의 결합상태를 로크(lock)하는 록부(lock 部) 및 상대측록부로서 각각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커넥터(50)에 있어서도,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대측단자(60)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33 및 도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A)는, 제1실시의 커넥터(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넥터(10A)는, 복수의 단자(20A)와, 단자(20A)를 홀딩하는 하우징(30A)을 구비하고 있다.
도35 및 도3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단자(210A)와 제2단자(230A)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종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단자(210A)와 제2단자(230A)는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단자(210A)와 제2단자(230A)는, 피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부분을 1개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피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피치방향과 이웃하는 제1단자(210A)와 제2단자(230A)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여 좋다.
도35 및 도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20A)의 각각은, 제1실장부(211A)와, 피홀딩부(213A)와, 제1접점부(215A)와, 제2접점부(217A)와, 지지부(219A)와, 연장부(241A)와, 제2실장부(243A)와, 부가적인 피홀딩부(247A)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단자(230A)는 제1실장부(211A)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제2단자(230A)는 제1실시형태의 제2단자(230)의 단부(231)와 동일한 단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단부는, 커넥터(10A)가 기판(80A)에 실장되었을 때에 기판(80A)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제2단자(230A)가 제1실장부(211A)를 구비하지 않고 있으로써, 기판(80A)으로부터 제1실장부(211A)로 땜납(82)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33 및 도34를 참조하면, 하우징(30A)은 하우징(30)과 유사하다. 하우징(30A)은, 단자(20A)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하우징(30)과 동일하다. 특히, 도상부(34)에는 복수의 확인창(3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확인창(341)은 제2단자(230A)의 제2실장부(243A)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37로부터 도40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A)가 기판(80A)에 탑재되었을 때, 제1단자(210A)의 제1실장부(211A)는, 기판(80A)상의 대응하는 패드(도11 참조)에 땜납(82)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2단자(230A)의 제2실장부(243A)는 기판(80A)상의 대응하는 패드에 땜납(82)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도3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의 경우와 동일하게 커넥터(10A)가 기판(80A)에 탑재되었을 때, 기판(80A)에 대한 제1단자(210A)의 제1실장부(211A) 및 제2단자(230A)의 제2실장부(243A)의 고정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시인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단자(210A)의 제1실장부(211A)의 각각은, 폭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하우징(30A)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판(80A)에 대한 제1실장부(211A)의 고정을, 기판(80A)의 상방 또는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30A)에는, 제2단자(230A)의 제2실장부(243A)에 각각 대응하는 확인창(34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0A)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확인창(341A)의 각각을 통과하여 대응하는 기판(80A)에 대하는 제2실장부(243A)의 고정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A)에 있어서도, 피치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단자(20A)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어, 커넥터(10A)의 소형화나 단자수의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A)는, 상대측커넥터(50)의 결합에 의한 단자(20A)의 마모를 억제하여 높은 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형태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10, 10A 커넥터
20, 20A 단자
200, 202 단자열
210, 210A 제1단자
211, 211A 제1실장부
213, 213A 피홀딩부
215, 215A 제1접점부
217, 217A 제2접점부
219, 219A 지지부
221, 221A 돌기
230, 230A 제2단자
231 단부
233 피홀딩부
235 제1접점부
237 제2접점부
239 지지부
241, 241A 연장부
243, 243A 제2실장부
245 돌기
247, 247A 부가적인 피홀딩부
30, 30A 하우징
32 외벽부
34 도상부
341 확인창
36 바닥부
38 수용부
50 상대측커넥터
60 상대측단자
600, 602 상대측단자열
610 상대측제1단자
611 상대측제1실장부
613 상대측제1접점부
615 연결부
617 상대측제2접점부
619 돌기
630 상대측제2단자
631 단부
633 상대측제1접점부
635 연결부
637 상대측제2접점부
639 상대측제2실장부
641 돌기
70 상대측하우징
72 장벽
74 단벽
76 상부
761 상대측확인창
80, 80A 기판
801 패드
82 땜납
85 상대측기판
851 상대측패드
87 땜납

Claims (12)

  1. 복수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홀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단자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피치방향(pitch 方向)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단자는, 제1실장부(第1實裝部)와, 피홀딩부(被 holding 部)와,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단자는, 피홀딩부와,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와, 지지부와, 연장부와, 제2실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에 있어서, 상기 피홀딩부는 상기 제1실장부와 상기 제1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피홀딩부는 상기 하우징에 홀딩되어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彈性變形) 가능하며, 상기 제1접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접점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단자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접점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에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홀딩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부가적인 피홀딩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가적인 피홀딩부는 상기 하우징에 홀딩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접점부에서 상기 부가적인 피홀딩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사이즈(size)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장부의 판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판두께보다 얇은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의 상기 피홀딩부, 상기 제1접점부, 상기 지지부 및 제2접점부의 위치는, 상기 제2단자의 상기 피홀딩부, 상기 제1접점부, 상기 지지부 및 제2접점부의 위치와 각각 동일한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피치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대측록부를 구비한 상대측커넥터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제1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록부와 함께 상기 결합상태를 로크하는 록부로서 기능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단자열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자열의 일방의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의 배치와, 상기 단자열의 나머지 일방의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의 배치는 회전대칭인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을 상방으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확인창(確認窓)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1항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와, 그와 결합 가능한 상대측커넥터를 구비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상대측커넥터는, 복수의 상대측단자와, 상기 상대측단자를 홀딩하는 상대측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단자는, 상기 제1단자에 대응하는 상대측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에 대응하는 상대측제2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와 상기 상대측제2단자는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는, 상대측제1실장부와, 상대측제1접점부와, 상대측제2접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는 상기 상대측제1실장부와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2단자는, 상대측제1접점부와, 상대측제2접점부와, 상대측제2실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2단자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는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와 상기 상대측제2실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 및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시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와 각각 접촉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 및 상기 상대측제2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시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의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와 각각 접촉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제1실장부와 상기 상대측제2실장부는, 폭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는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하우징에는, 상기 상대측제2실장부에 각각 대응한 상대측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단자 및 상기 상대측제2단자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제1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록부와 함께 상기 결합상태를 로크하는 상대측록부로서 기능하는
    조립체.
KR1020220162238A 2021-12-20 2022-11-29 커넥터 및 조립체 KR202300941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206302A JP2023091520A (ja) 2021-12-20 2021-12-20 コネクタ及び組立体
JPJP-P-2021-206302 2021-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136A true KR20230094136A (ko) 2023-06-27

Family

ID=8676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238A KR20230094136A (ko) 2021-12-20 2022-11-29 커넥터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98180A1 (ko)
JP (1) JP2023091520A (ko)
KR (1) KR20230094136A (ko)
CN (1) CN116315774A (ko)
TW (1) TW2023321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670A (ko) 2017-10-25 2019-05-07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전사 장치 및 전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670A (ko) 2017-10-25 2019-05-07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전사 장치 및 전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8180A1 (en) 2023-06-22
JP2023091520A (ja) 2023-06-30
TW202332138A (zh) 2023-08-01
CN116315774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EP2922150B1 (en) Connector
US1091687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9565135B (zh) 连接器
KR101495399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JP3875677B2 (ja) 電気コネクタ
US10128614B2 (en) Movable connector
JP740005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4901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20110066847A (ko) 전기 커넥터
CN104253337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KR20070065784A (ko) 전기 커넥터
EP3796480B1 (en) Floating connector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JP5827574B2 (ja) シールド板付電気コネクタ
CN112670730A (zh) 连接器
KR20230094135A (ko) 커넥터, 커넥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커넥터의 실장방법, 상대측커넥터 및 상대측커넥터를 구비하는 상대측디바이스
CN111029823B (zh) 连接器
US7544067B1 (en) Board mount-type connector and board mount-type connector assembly
KR20230094136A (ko) 커넥터 및 조립체
KR20230116718A (ko) 커넥터, 상대측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06012625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KR20220026477A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