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808A -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808A
KR20230089808A KR1020210178505A KR20210178505A KR20230089808A KR 20230089808 A KR20230089808 A KR 20230089808A KR 1020210178505 A KR1020210178505 A KR 1020210178505A KR 20210178505 A KR20210178505 A KR 20210178505A KR 20230089808 A KR20230089808 A KR 2023008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ircumferential direction
stator
motor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808A/ko
Priority to DE202022106559.4U priority patent/DE202022106559U1/de
Priority to US18/080,330 priority patent/US20230187993A1/en
Priority to CN202223409144.1U priority patent/CN219123993U/zh
Publication of KR2023008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보빈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STATOR FOR MOTOR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 내연 기관 자동차가 갖는 환경 오염의 문제, 국내외 환경에 따른 연료의 불안정한 수급 등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 및 생산이 갈수록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구동에 사용되기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이 권취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코일이 스테이터 코어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에는 보빈이라고 불리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보빈이 조립되되 코일이 보빈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 보빈 및 코일로 구성된 조립체들이 복수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데, 특히, 자동차용 구동 모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립체가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터미널을 통해 복수의 조립체와 전력 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터미널이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자동차용 구동 모터의 중량 및 원가가 상승하고, 터미널 주변의 공간 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동 모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모터 내에서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이 많아 모터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용접이 이루어지는 영역 간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절연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터미널을 제거함으로써 자동차용 구동 모터의 중량 및 원가를 감축하고, 모터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면서, 모터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 모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용접하는 데 필요한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용접 영역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절연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어셈블리가 둘레 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는 모터용 고정자로서,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각각,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둘레를 복수 회에 걸쳐 감싸고, 양 끝부에 인입선 및 인출선이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가 제공된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상기 반경 방향(R)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3-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와 상기 둘레 방향(C), 상기 반경 방향(R)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와 상기 둘레 방향(C), 상기 반경 방향(R)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상기 타 끝부(B3-2)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을 벗어나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을 벗어나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양 끝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 경계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 경계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바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 중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1-1, B1-2, B2-1, B2-2, B3-1, B3-2)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의 양 끝부(B1-1, B1-2, B2-1, B2-2, B3-1, B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는 상기 축 방향(A)의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3-1)는 상기 제1 높이(H1)로부터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는 제2 높이(H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상기 제2 높이(H2)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방향(C)을 따라 상기 모터용 고정자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와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와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자; 및 회전자;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복수의 어셈블리가 둘레 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각각,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둘레를 복수 회에 걸쳐 감싸고, 양 끝부에 인입선 및 인출선이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터미널을 제거함으로써 자동차용 구동 모터의 중량 및 원가를 감축하고, 모터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면서, 모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비해 모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용접하는 데 필요한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용접 영역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절연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를 구성하는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형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연결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를 구성하는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 및 모터를 설명한다.
모터용 고정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를 구성하는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형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연결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10, 이하, '고정자')는 복수의 어셈블리(20)가 고정자(10)의 둘레 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홀에는 회전자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복수의 어셈블리(20)가 대략 원 형상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원 형상의 홀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복수의 어셈블리는 다양한 형태의 폐곡선 형상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홀 역시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자(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어셈블리(20)는 각각 스테이터 코어(100), 코일(200) 및 보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빈(300)은 스테이터 코어(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스테이터 코어(100)가 보빈(300)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코일(200)은 보빈(300)의 외측면의 둘레를 복수 회에 걸쳐 감싸는 구성일 수 있으며, 코일(200)의 길이 방향의 양 끝부에는 인입선 및 인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선 및 인출선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200)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코일(200)의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모터에 구비된 회전자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함으로서 회전자가 회전하게 된다. 모터의 구동 원리에 대한 내용은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0)는 보빈(300)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400)는 고정자(10)를 구성하는 어셈블리(20)가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스바(400) 중 어느 하나는 인입선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스바(400) 중 다른 하나는 인출선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인입선은 복수의 버스바(400) 중 어느 하나에 접합될 수 있고, 인출선은 복수의 버스바(400) 중 다른 하나에 접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어셈블리(2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어셈블리(20)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복수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코어, 코일, 보빈 및 버스바의 상대적인 위치를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견(一見)하였을 때, 복수의 어셈블리가 서로 호환 가능한 부품으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로, 복수의 어셈블리들이 서로 동일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럼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어셈블리(20)는 복수의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어셈블리(20)는 하나 이상의 제1 어셈블리(20a), 하나 이상의 제2 어셈블리(20b) 및 하나 이상의 제3 어셈블리(20c)로 나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 간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20a, 20b, 20c)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20a, 20b, 20c)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어떠한 상(phase)을 갖는 전력을 공급받는지에 따라 나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고정자(10)는 둘레 방향(C)을 따라 제1 어셈블리(20a), 제2 어셈블리(20b) 및 제3 어셈블리(20c)가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 방향(C)으로 제1 어셈블리(20a)의 일 측과 반대편 타 측에는 각각 제2 어셈블리(20b)와 제3 어셈블리(20c)가 배치될 수 있고, 둘레 방향(C)으로 제2 어셈블리(20b)의 일 측과 반대편 타 측에는 각각 제1 어셈블리(20a)와 제3 어셈블리(20c)가 배치될 수 있고, 제3 어셈블리(20c)의 일 측과 반대편 타 측에는 각각 제1 어셈블리(20a)와 제2 어셈블리(20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1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0)의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버스바(400) 중 일부는 복수의 버스바(400) 중 다른 일부와 교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버스바(400)는 제1 버스바(410), 제2 버스바(420), 제3 버스바(430) 및 제4 버스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는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는 제4 버스바(440)와는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를 전력 공급부와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을 삭제하고, 복수의 버스바를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터미널이 차지하는 부피를 감축시킬 수 있고, 터미널이 차지하는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스바(400) 중 일부가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의 터미널의 역할을 수행하던 복수의 버스바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모터의 부피 및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4 버스바(410, 420, 430, 440)의 구조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버스바(41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1-1, B1-2)는 고정자(10)의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 버스바(42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2-1, B2-2)는 고정자(10)의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3 버스바(43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3-1, B3-2)는 고정자(10)의 둘레 방향(C), 반경 방향(R)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가 3차원의 공간 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어셈블리(20) 내에서 제1 버스바(410)의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 및 제2 버스바(42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는 축 방향(A)의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되고, 제3 버스바(43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제1 버스바(410)의 일 끝부(B1-1) 및 제2 버스바(420)의 일 끝부(B2-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3-1)는 제1 높이(H1)로부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는 제2 높이(H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제2 높이(H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모터용 고정자 또는 모터를 반경 방향(R)의 외측에서 모터용 고정자 또는 모터를 바라보았을 때 두 구성이 축 방향(A)으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두 구성이 동일 높이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둘레 방향(C)을 따라 고정자(10)를 바라보았을 때,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는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와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가 고정자(10)의 반경 방향(R)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둘레 방향(C)을 따라 고정자(10)를 바라보았을 때,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는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와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가 고정자(10)의 반경 방향(R)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둘레 방향(C)을 따라 고정자(10)를 바라보았을 때,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는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와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가 고정자(10)의 반경 방향(R)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가 전술한 특징들을 구비하기 위해 소정의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버스바(410)는, 상기 일 끝부(B1-1)로부터 상기 타 끝부(B1-2)를 향해 연장되면서 반경 방향(R) 및 둘레 방향(C)과 경사진 방향으로 1차 절곡된 후, 둘레 방향(C)으로 2차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버스바(420)는, 상기 일 끝부(B2-1)로부터 상기 타 끝부(B2-2)를 향해 연장되면서 축 방향(A) 및 둘레 방향(C)과 경사진 방향으로 1차 절곡된 후, 둘레 방향(C)으로 2차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버스바(430)는, 상기 일 끝부(B3-1)로부터 상기 타 끝부(B3-2)를 향해 연장되면서 반경 방향(R) 및 둘레 방향(C)과 경사진 방향으로 1차 절곡되고, 상기 둘레 방향(C)으로 2차 절곡되고, 축 방향(A) 및 둘레 방향(C)과 경사진 방향으로 3차 절곡된 후, 둘레 방향(C)으로 4차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에 각각 구비되는 일 끝부(B1-1, B2-1, B3-1)는 각각 둘레 방향(C)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에 각각 구비되는 타 끝부(B1-2, B2-2, B3-2)는 각각 둘레 방향(C)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어셈블리에 각각 구비되는 두 버스바는 서로 접합되어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접합부가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쉽다. 이는, 모터용 고정자 및 모터의 절연성에 치명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둘레 방향의 양 끝부가 서로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두 어셈블리에 각각 구비되는 두 버스바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들 역시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므로, 접합부들 간의 거리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용 고정자 및 모터의 절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모터용 고정자 및 모터의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특징에 대해 상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어셈블리 내에서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는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와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는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와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는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와 둘레 방향(C), 반경 방향(R) 및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는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보다 둘레 방향(C)으로 어셈블리(2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는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보다 둘레 방향(C)으로 어셈블리(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어셈블리 내에서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는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와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는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와 둘레 방향(C), 반경 방향(R) 및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와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보다 둘레 방향(C)으로 어셈블리(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는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보다 어셈블리(2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20) 내에서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는 보빈(300)의 둘레 방향(C)의 폭을 벗어나 돌출될 수 있고,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는 보빈(300)의 둘레 방향(C)의 폭을 벗어나 돌출될 수 있다. 반면, 제2 버스바(420)의 양 끝부(B2-1, B2-2)는 보빈(300)의 둘레 방향(C) 폭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는 보빈(300)의 둘레 방향(C)의 폭 경계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가 실질적으로 보빈(300)의 둘레 방향(C)의 폭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도 않고 내측으로 돌출되지도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는 보빈(300)의 둘레 방향(C)의 폭 경계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가 실질적으로 보빈(300)의 둘레 방향(C)의 폭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도 않고 내측으로 돌출되지도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0)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부재(500)는 서로 인접한 버스바가 설계상 의도한 경우 이외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정자(10) 또는 모터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고정자(1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를 모두 수용하는 절연 부재(500)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 부재(500) 중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둘레 방향(C)의 상기 양 끝부(B1-1, B1-2, B2-1, B2-2, B3-1, B3-2)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의 둘레 방향(C)의 상기 양 끝부(B1-1, B1-2, B2-1, B2-2, B3-1, B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복수의 개구(S)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S)는 코일의 인입선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에 접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어셈블리(20) 내에서 절연 부재(500) 중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상기 일 끝부(B1-1, B2-1, B3-1)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S)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어셈블리(20) 내에서 절연 부재(500) 중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상기 타 끝부(B1-1, B2-1, B3-1)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S)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를 구성하는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는 절연 부재(500)에 대해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면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어셈블리(20) 내에서 절연 부재(500) 중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상기 일 끝부(B1-1, B2-1, B3-1)와 마주보는 형성되는 개구(S)들은 둘레 방향(C)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어셈블리(20) 내에서 절연 부재(500) 중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상기 타 끝부(B1-12, B2-12, B3-12)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S)들은 둘레 방향(C)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의 상기 일 끝부(B1-1, B2-1, B3-1)들 사이 및 상기 타 끝부(B1-2, B2-2, B3-2)들 사이에 절연 부재(500)의 일부 영역이 배치되므로 고정자의 절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0)에 구비되는 제1 어셈블리(20a), 제2 어셈블리(20b) 및 제3 어셈블리(20c)의 결합 관계에 대해 상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고정자는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20a, 20b, 20c)가 둘레 방향(C, 도 1 참고)을 따라 교차 배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어셈블리(20a)의 둘레 방향 일 측에는 제2 어셈블리(20b)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어셈블리(20a)의 둘레 방향 타 측에는 제3 어셈블리(20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셈블리(20b)의 둘레 방향 일 측에는 제3 어셈블리(20c)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어셈블리(20b)의 둘레 방향 타 측에는 제1 어셈블리(20a)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어셈블리(20a)의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는 제2 어셈블리(20B)의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와 접합될 수 있고, 제1 어셈블리(20a)의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와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버스바의 일 끝부 및 타 끝부가 서로 접합된다는 것은 상기 일 끝부와 상기 타 끝부가 용접 등에 의해 직접 접합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일 끝부 및 상기 타 끝부 사이에 코일(200)의 인입선 및 인출선을 배치한 후 용접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접합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어셈블리(20a)의 상기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는 제2 어셈블리(20b)의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와 접합될 수 있고, 제1 어셈블리(20a)의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어셈블리(20a)의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는 상기 제2 어셈블리(20b)의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와 접합될 수 있고, 제1 어셈블리(20a)의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과 접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2 어셈블리(20b)의 제1 버스바(410)의 상기 일 끝부(B1-1)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3 버스바(430)의 상기 타 끝부(B3-2)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셈블리(20b)의 제2 버스바(420)의 상기 일 끝부(B2-1)는 상기 제3 어셈블리(20c)의 제1 버스바(410)의 상기 타 끝부(B1-2)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셈블리(20b)의 제3 버스바(430)의 상기 일 끝부(B3-1)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2 버스바(420)의 상기 타 끝부(B2-2)와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고하면, 제1 어셈블리(20a)의 제4 버스바(440)의 둘레 방향(C)의 일 끝부는 제2 어셈블리(20b)의 제4 버스바(440)의 둘레 방향(C)의 일 끝부와 접합될 수 있고, 제1 어셈블리(20a)의 제4 버스바(440)의 둘레 방향(C)의 타 끝부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4 버스바(440)의 둘레 방향(C)의 일 끝부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셈블리(20b)의 제4 버스바(440)의 둘레 방향(C)의 타 끝부는 제3 어셈블리(20c)의 제4 버스바(440)의 둘레 방향(C)의 타 끝부와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0, 430)는 보빈(300)의 반경 방향(R) 외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버스바(440)는 보빈(300)의 반경 방향(R) 내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 430)은 보빈(300)의 반경 방향(R) 내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4 버스바(440)는 보빈(300)의 반경 방향(R) 외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 버스바(410, 42, 430)은 보빈(300)의 축 방향(A) 일 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4 버스바(440)는 보빈(300)의 축 방향(A) 타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모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고정자(10) 및 고정자(10)에 형성된 홀에 배치되는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10)는 복수의 어셈블리(20)가 둘레 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어셈블리(20)는 각각 스테이터 코어(100), 스테이터 코어(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빈(300), 보빈(300)의 둘레를 복수 회에 걸쳐 감싸고 양 끝부에 인입선 및 인출선이 구비되는 코일(200) 및 보빈(300)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410, 420, 43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버스바는 제1 버스바(410), 제2 버스바(420) 및 제3 버스바(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어셈블리(20) 내에서 제1 버스바(41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1-1, B1-2)는 고정자(10)의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 버스바(42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2-1, B2-2)는 고정자(10)의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바(410)의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는 제2 버스바(420)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와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고정자에 대해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모터용 고정자
20 : 어셈블리
20a : 제1 어셈블리
20b : 제2 어셈블리
20c : 제3 어셈블리
100 : 스테이터 코어
200 : 코일
300 : 보빈
400 : 버스바
410 : 제1 버스바
420 : 제2 버스바
430 : 제3 버스바
440 : 제4 버스바
500 : 절연 부재
B1-1 : 제1 버스바의 일 끝부
B1-2 : 제1 버스바의 타 끝부
B2-1 : 제2 버스바의 일 끝부
B2-2 : 제2 버스바의 타 끝부
B3-1 : 제3 버스바의 일 끝부
B3-2 : 제3 버스바의 타 끝부
A : 모터용 고정자의 축 방향
C : 모터용 고정자의 둘레 방향
R : 모터용 고정자의 반경 방향
H1 : 제1 높이
H2 : 제2 높이
S : 개구

Claims (20)

  1. 복수의 어셈블리가 둘레 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는 모터용 고정자로서,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각각,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둘레를 복수 회에 걸쳐 감싸고, 양 끝부에 인입선 및 인출선이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상기 반경 방향(R)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3-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와 상기 둘레 방향(C), 상기 반경 방향(R)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4.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5.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와 상기 둘레 방향(C), 상기 반경 방향(R) 및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6. 청구항 2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7.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외측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9. 청구항 2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상기 타 끝부(B3-2)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보다 상기 둘레 방향(C)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외측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1.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을 벗어나 돌출되는 모터용 고정자.
  12. 청구항 2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을 벗어나 돌출되는 모터용 고정자.
  1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양 끝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 내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4.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 경계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5.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보빈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폭 경계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6.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바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 중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B1-1, B1-2, B2-1, B2-2, B3-1, B3-2)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의 양 끝부(B1-1, B1-2, B2-1, B2-2, B3-1, B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모터용 고정자.
  17.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는 상기 축 방향(A)의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3-1)는 상기 제1 높이(H1)로부터 상기 축 방향(A)으로 이격되는 제2 높이(H2) 상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8. 청구항 17에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상기 제2 높이(H2)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높이(H1) 상에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19. 청구항 2에서,
    상기 둘레 방향(C)을 따라 상기 모터용 고정자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1-2)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2-1)와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2-2)는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3-1)와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타 끝부(B3-2)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용 고정자.
  20. 고정자; 및
    회전자;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복수의 어셈블리가 둘레 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각각,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둘레를 복수 회에 걸쳐 감싸고, 양 끝부에 인입선 및 인출선이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둘레 방향(C) 및 축 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일 끝부(B1-1)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기 둘레 방향(C)의 양 끝부 중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일 끝부(B1-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일 끝부(B2-1)와 상기 둘레 방향(C) 및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모터.
KR1020210178505A 2021-12-14 2021-12-14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KR20230089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05A KR20230089808A (ko) 2021-12-14 2021-12-14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DE202022106559.4U DE202022106559U1 (de) 2021-12-14 2022-11-23 Stator für Motor und Motor mit diesem
US18/080,330 US20230187993A1 (en) 2021-12-14 2022-12-13 Stator for motor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CN202223409144.1U CN219123993U (zh) 2021-12-14 2022-12-14 用于电机的定子以及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05A KR20230089808A (ko) 2021-12-14 2021-12-14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08A true KR20230089808A (ko) 2023-06-21

Family

ID=8698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505A KR20230089808A (ko) 2021-12-14 2021-12-14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8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645B2 (en) Concentrated-winding type stator coil unit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3752431B2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6674B1 (ko) 자동차용 모터의 스테이터
US6030260A (en) Connecting terminal for stator
JP5725003B2 (ja) 回転電機
JP5910738B2 (ja) 回転電機、回転電機用ステータおよび車両
US7923885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using the stator
KR101606262B1 (ko)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
JP6116298B2 (ja) 回転電機ユニットの配置構造
JP6519241B2 (ja) 直流モータ
US11146136B2 (en) Bus bar assembly for electric machine winding
JP7041999B2 (ja) モータ巻線コネクタリング
JP5915736B2 (ja) 回転電機、回転電機用ステータおよび車両
CN219123993U (zh) 用于电机的定子以及电机
CN104205582A (zh) 旋转变压器的定子和用于制造定子总成的方法
US11799344B2 (en) Stator with internal connections for winding leads
KR20230089808A (ko)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JP5965207B2 (ja) モータのステータ
KR102544770B1 (ko)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KR20230089809A (ko) 모터용 고정자 및 그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CN110383646A (zh) 供电单元和旋转电机
KR20230064839A (ko) 모터
CN117013731A (zh) 定子组件、电机以及车辆
KR20220059168A (ko) 모터
JP2013110889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組み付け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