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481A -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481A
KR20230087481A KR1020237012405A KR20237012405A KR20230087481A KR 20230087481 A KR20230087481 A KR 20230087481A KR 1020237012405 A KR1020237012405 A KR 1020237012405A KR 20237012405 A KR20237012405 A KR 20237012405A KR 20230087481 A KR20230087481 A KR 2023008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alent metal
laminated film
particles
lay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시미즈
마사후미 호리우치
사토루 오쿠야마
마치코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34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023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34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661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34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02308A/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8Odou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0Zin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7/00Standing pac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 C09J2477/006Presence of polyamid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적층 필름은, 소정의 층과, 접착제 성분과,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과, 실란트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고,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은 14.0배 이하이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0월 1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74465호와, 2020년 12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213930호와, 2021년 06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103474호와, 2021년 06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103478호와, 2021년 06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103481호에 대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피포장물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 재료는, 피포장물의 품질 열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포장 재료로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포장 주머니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포장 주머니는, 피포장물의 품질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우수한 밀봉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피포장물의 예로서는, 식료품을 들 수 있다. 식료품 중, 육제품 및 알제품 등의 함황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식품을 보일 살균 또는 레토르트 살균하면, 특유한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악취는, 함황 아미노산의 가수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황화수소 등의 황 화합물에서 기인한다. 특허문헌 1, 2에서는, 이러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포장 주머니에 다가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616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94533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포장체의 피포장물은 다종 다양하고, 피포장물은 여러가지 성분을 함유한다. 이 중 특정한 성분이, 포장 주머니를 형성하는 적층 필름의 각 층을 구성하는 성분과 반응하여, 라미네이트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다가 금속 화합물로 형성되는 층은, 피포장물의 함유 성분에 따라서는 적층 필름의 층간의 라미네이트 강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은, 소정의 층과, 접착제 성분과, 상기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과, 실란트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상기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은 14.0배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응집체의 평균 응집체 직경은 15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응집체 중 평균 입자경의 10 내지 200%의 크기의 상기 응집체는 60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직경이 3.0㎛ 이상인 상기 응집체는 없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평균 응집체 직경과 동일 정도의 직경의 상기 응집체에 대해서, 인접하는 상기 응집체끼리의 거리의 평균값인 응집체 간의 거리는 3.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소정의 층은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4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주머니는,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주머니이며, 필름은 상기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장체는, 상기에 기재된 포장 주머니와, 상기 포장 주머니 중에 수용되는 피포장물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장체에서는, 상기 피포장물은 황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500㎛×500㎛의 범위에,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 중, 9㎛ 이상의 상기 응집체의 수는 30개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응집체 간의 거리는 10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소정의 층은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4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상기 소정의 층이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이어도 되고,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및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을 때의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헤이즈에 대한 비율이 1.1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과, 접착제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비율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10㎚ 이상 5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분포는, 폭 방향으로 50㎛의 직사각형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평균 입자경의 10% 이상, 200% 이하의 상기 응집체의 개수가 50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평균 직경은, 20㎚ 이상 1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최대 직경은 1.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에서는,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장체에서는, 상기 필름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장체에서는, 상기 포장 주머니와, 상기 포장 주머니 중에 수용되는 피포장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장체에서는, 상기 피포장물은 황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과, 접착제 성분과, 상기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과, 실란트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고, 두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및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을 때의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헤이즈에 대한 비율이 1.10 이하이며,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경화 후에 상기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조제하는 도공액 조제 공정을 갖고, 상기 도공액 조제 공정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SEM상 관찰의 화상의 예이다.
도 8은 비교예 5의 SEM상 관찰의 화상의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비교예 3의 OM상 관찰의 화상의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2의 적층 필름의 사진 화상의 예이다.
도 22는 비교예 5의 적층 필름의 사진 화상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공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다.
이하, 특정한 수치 범위 하에 있어서 적합한 수치 범위가 복수 예시되는 경우, 바람직한 최대의 수치 범위에 포함되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한값과 하한값의 조합은 예시된 조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x1<x2<x3<x4로서, 양 X의 바람직한 범위로서, 「x1 이상 x4 이하」와, 「x2 이상 x3 이하」가 예시된 경우, 예를 들어, 「x1을 초과하고 x4 미만」, 「x2 이상 x4 이하」, 「x3 이상 x4 이하」 등의 각 수치 범위도 바람직한 범위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은 기재 필름(소정의 층)(10), 접착층(20) 및 실란트층(30)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10), 접착층(20) 및 실란트층(30)은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기재 필름(10), 접착층(20) 및 실란트층(30)은 각각 가시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50)은 두께 방향(도시 상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광투과부는 적층 필름(50)의 전체이다. 또한, 적층 필름(50)에는 광투과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적층 필름(50)의 광투과부는,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30% 이하이다. 이하에서는,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를, 간단히 「헤이즈」라고 기재한다.
기재 필름(10)은 수지층(12)과, 배리어층(14)을 갖는다. 또한, 기재 필름(10)은 배리어층(14)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수지층(12)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으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12)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상술한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12)은 동종의 수지 필름을 복수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 및 미연신 필름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연신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미연신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수지층(12)은 2축 방향으로 임의로 연신된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계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층(12)은 특히 강도와 유연성을 양립하는 관점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12)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12)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나일론 필름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일론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에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5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수지층(12)의 두께는, 용도 또는 필요한 특성에 따른 두께로 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층(12)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이상 100㎛ 이하여도 되고, 6㎛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12)은 적당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필러, 대전 방지제, 가소제, 활제 및 산화 방지제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를 들 수 있다.
수지층(12)의 표면(12a)는 포장 주머니를 형성할 때에 적층 필름(50)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면이다.
수지층(12)의 표면(12b)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12a)과 반대측 표면이며, 후술하는 배리어층(14)과의 접합면이다.
적층 필름(50)에는 적당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면(12b)에는, 배리어층(1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표면 처리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약품처리, 용제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및 오존 처리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들 수 있다.
배리어층(14)은 적어도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층이다. 배리어층(14)은 수지층(12)의 표면(12b)에 적층된다.
배리어층(14)의 층수는, 적어도 1층의 배리어성을 갖는 층을 포함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4)이 단층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증착층,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4)이 다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로서는, 수지 필름 등의 표면에 배리어성을 갖는 무기물이 코팅된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14)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늄,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기물은, 단층으로 배리어층(14)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층(12)의 표면에 증착되어도 된다.
배리어층(14)에 사용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으로서는, 나일론계 배리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계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 필름은, 단층에서 배리어층(14)을 형성하는 경우, 압출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코팅 등에 의해, 수지층(12)에 적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4)으로서, 무기물이 코팅된 배리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늄, 규소 등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리어 필름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에 의해, 수지층(12)에 적층되어도 된다.
배리어층(14)은 이상에 예시한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배리어층(14)의 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4)이 증착층을 포함하는 경우, 층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여도 된다.
배리어층(14)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플라스마 기상 성장법(CVD),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익스트루전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20)은 배리어층(14)과, 후술하는 실란트층(30)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20)은 접착제 성분과,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한다.
접착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등의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은, 후술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변질을 억제하기 쉬운 점에서, 2액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질의 억제 효과는,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1층 현저하게 드러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2액 경화형 접착제 중에서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입자는, 다가 이온을 생성하는 금속(이하, 다가 금속)으로 형성된 입자이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다가 금속의 화합물로 형성된 입자이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하, 냄새 원인 물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황 화합물 등을, 접착층(20) 내에서 포착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냄새 원인 물질이 되는 황 화합물로서는, 황화수소, 머캅탄, 이산화황, 삼산화황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의해 냄새 원인 물질을 포착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해명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은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착층(20)에 혼합하는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이 되는 화합물의 포착 작용이 있고, 접착층(20)의 접착제 성분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가 금속 입자로서, 예를 들어,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의 입자; 티타늄, 지르코늄,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의 전이 금속의 입자; 및 알루미늄의 입자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다가 금속 입자는, 접착층(2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쉽도록,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있거나, 표면이 코팅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유기산염(예를 들어, 아세트산염), 무기산염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산화물의 암모늄 착체, 다가 금속 산화물의 2 내지 4급 아민 착체, 또는 그들 탄산염 혹은 유기산염의 입자가 사용되어도 된다.
접착층(20)의 내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쉬운 점에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접착제 성분 중의 안정성과,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아연 화합물,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등의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취급 용이성과, 비용의 관점에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등의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첨가물 입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접착층(20)에 있어서,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하는 첨가물 입자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량이 증가하므로, 레토르트 냄새를 억제하기 쉽다. 한편,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지거나, 적층 필름(50)의 투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 및 적층 필름의 투명성과, 레토르트 냄새의 저감 작용을 양립하기 쉬운 점에서는,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이면, 레토르트 냄새의 억제 효과가 너무 낮을 가능성이 있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10질량%를 초과하면,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너무 낮아지거나, 적층 필름의 투명성이 너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분포는, 치우침이 적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응집 등에 의해 첨가물 입자의 분포가 특정한 부위에 집중하면,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투명성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분포의 치우침은, 헤이즈를 저하시키거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도 된다.
특히, 접착층(20)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가 큰 응집체가 형성되면 입상의 불균일이 되어 두드러지기 쉽다. 특히, 입상의 불균일이 근접하여 배열된 경우, 줄무늬 불균일이 형성되어 한층 더 두드러지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50)이 포장 주머니에 사용되고, 광투과부에 의해 포장 주머니의 피포장물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입상의 불균일이나 줄무늬 불균일이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은 14.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집체의 평균 응집체 직경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체의 직경의 측정은 적층 필름(50)을 마이크로톰으로 재단하여 단면을 SEM으로 관찰한다. 측정 방법은 배율 10000배로 접착층(20)을 따라 연속하여 10㎛를 5매 촬영한다. 촬영한 5매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의 직경(긴 직경) 중 최대 길이를 「응집체의 최대 직경」이라 한다. 촬영한 5매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의 직경 중 최소 길이를 「응집체의 최소 직경」이라 한다. 「응집체의 최대 직경」을 「응집체의 최소 직경」으로 나눈 것이,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이 된다. 「응집체의 평균 응집체 직경」은 촬영한 5매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의 직경(긴 직경)을 모두 합계하여, 응집체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여기서, 「응집체」는 광의의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현미경 등으로 관찰했을 때의 외관 상 덩어리를 의미한다. 외관 상의 덩어리가, 첨가물 입자의 응집 현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지, 일정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분포 밀도가 높기 때문에 괴상으로 보이는 것인지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는 접착층(20)에 침투하는 냄새 원인 물질을 흡착함으로써, 포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첨가물 입자가 냄새 원인 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클수록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표면적은, 첨가물 입자의 단위 질량당의 표면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은 1㎡/g 이상이어도 되고, 5㎡/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커지면 첨가물 입자의 입경이 너무 작아지고, 예를 들어, 환경 중에 비산하기 쉬워지므로,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은 100㎡/g 이하여도 되고, 5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너무 크면, 3.0㎛를 초과하는 응집체가 형성되기 쉬워지므로,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작은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첨가물 입자에 평균 입자경이 어느 정도 작으면,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 방법에 따라 변화하고, 평균 입자경의 크기와 응집체의 최대 직경과의 상관은 약해진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을, 간단히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과 표기한다. 평균 입자경은 분체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5만 내지 20만배로 확대한 상으로부터, 면적 원 상당 직경을 구하고, 이하의 일반식으로부터 산출된다. 평균 입자경=측정 입자의 면적 원 상당 직경의 총합/측정 입자수(측정 입자수는 적어도 100개 이상)의 식으로 표시된다.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이상 100㎚ 이하여도 되고,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 미만이면, 제조 비용이 높아지거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취급이 어려워질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0㎚를 초과하면, 비표면적이 작아지므로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접착제 성분 중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를 저감하기 위해서, 접착층(20)에는 첨가물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분산제를 1질량부 이상 50질량부 이하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분산제의 종류는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접착제 성분 중에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산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산염, 폴리에테르인산에스테르,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알킬인산염,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알킬알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에스테르, 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JIS Z 0238: 1998에 준거하여, 텐실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T형 박리법(크로스헤드 속도: 300㎜/분)로 측정한다.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예를 들어 6N/15㎜폭 이상이면 되고, 7N/15㎜폭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20)의 두께는 적층 필름(50)을 포장 주머니에 형성하는 경우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고, 또한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가 양호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층(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1㎛ 이상 5㎛ 이하여도 되고, 0.03㎛ 이상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20)의 두께가 0.01㎛ 미만이면,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됨과 함께,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량이 너무 적을 가능성이 있다.
접착층(20)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적층 필름(50)이 너무 두꺼워질 가능성이 있다.
실란트층(30)은 적층 필름(50)을 다른 적층 필름과 열 융착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층이다. 실란트층(30)은 열에 의해 용융하고, 다른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실란트층과 서로 융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란트층(3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실란트층(30)에 사용하는 수지는, 예시된 수지 중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50)에 의해 보일 살균 또는 레토르트 살균을 하는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밀착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실란트층(30)으로서, 비연신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트층(30)은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라미네이션에 의해 성막하면서 접착층(20)의 상에 적층해도 되고, 필름화한 시트를 접착층(20)에 접합해도 된다.
실란트층(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150㎛ 이하여도 되고, 3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층 필름(50)의 제조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수지층(12)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에, 배리어층(14)이 적층된 기재 필름(10)을 준비한다.
이 후, 기재 필름(10)의 배리어층(14) 상에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을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드라이 라미네이션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화 후에 접착층(20)의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첨가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조제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기에 의해, 도공액을 기재 필름(10)의 배리어층(14)의 표면에 도공, 건조시키고, 실란트층(30)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과 기재 필름(10)을 열 롤을 사용하여 열압착한다.
도공액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공액은,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터, 나이프 코터, 바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딥 코터, 스핀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적층 방법으로서는 논솔 라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접착층(20)의 접착 성분으로서 논솔 접착제 첨가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공액을 제조할 때에는,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첨가물 입자를 혼합하고,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가 3.0㎛ 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교반을 행함으로써, 첨가물 입자가 도공액에 분산한다.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도공액에는,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첨가물 입자와 함께 접착제에 직접 첨가되어도 되지만,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를 용제에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을 형성한 후에 입자 분산액과 접착제를 혼합하고, 교반하고, 도공액을 조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공액 중의 첨가물 입자의 분산이 촉진된다.
첨가물 입자는,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와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첨가물 입자를 미세화하는 물리적 해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공액 중의 첨가물 입자의 미세화와 분산이 촉진된다.
물리적 해섬 처리로서는 고압 균질기, 초고압 균질기, 볼 밀, 롤밀, 커터 밀, 유성 밀, 제트 밀, 어트리터, 그라인더, 쥬서 믹서, 호모믹서, 초음파 균질기, 나노게나이저, 수중 대향 충돌 등의 기계적 처리를 들 수 있다.
상술한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하여, 도공액 중에 미세화된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공액 중의 응집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공액에 있어서의 침전물의 발생도 억제되므로, 첨가물 입자를 효율적으로 도공액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도공액이 준비되면, 도공 전에 여과 처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50)은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배리어층(14)을 구비하기 위해서, 수지층(12)을 투과한 산소 및 수증기가,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을 투과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 등이 포장 주머니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층 필름(50)에 의해 형성된 포장 주머니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체에서는, 산소 및 수증기의 적어도 한쪽에 기인하는 피포장물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산소 및 수증기의 적어도 한쪽에 기인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열화도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적층 필름(50)은 기재 필름(10)과 실란트층(30) 사이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20)을 가지므로, 실란트층(30)을 통하여 접착층(20)에 침투한 황 화합물 등의 냄새 원인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50)에 의해 형성된 포장 주머니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체에서는, 피포장물에서 유래되는 황 화합물 등의 냄새 원인 물질이 접착층(20)에 침투함에 따라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포착된다. 이 결과, 피포장물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접착층(20)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접착층(20)의 접착제 성분에 혼합되어 있으므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피포장물에 포함되는 아세트산이나 아미노산 등의 성분과 반응하여 변질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와, 라미네이트 강도와, 지만 경시적으로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0)은 제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10) 대신에 기재 필름(소정의 층)(10A)을 구비한다.
기재 필름(10A)은 배리어층(14)과 접착층(20) 사이에, 접착층(16)과, 중간층(18)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접착층(16)은 배리어층(14)과 중간층(18)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16)은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으로서 예시된 재료 중, 1종 이상의 재료가 사용된다. 접착층(16)은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접착층(2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층(16)에는,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60)은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접착층을 복수 갖는 경우의 예이다.
접착층(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접착층(16)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층(16)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에 있어서 예시된 것이라고 마찬가지의 종류 및 적합한 수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도 마찬가지이다.
접착층(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 및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접착층(20, 16) 각각이,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분포는, 적층 필름(60)에 있어서 접착층(20, 16) 각각이,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18)은 배리어층(14)과 실란트층(30)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이다. 중간층(18)은 접착층(16)을 통해 배리어층(14)에, 접착층(20)을 통해 실란트층(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중간층(18)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간층(18)의 종류는, 적층 필름(60)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 기계적 강도, 내굴곡성, 내찌르기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차광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선택하면, 당해 특성이 적층 필름(60)에 있어서 향상된다.
예를 들어, 중간층(18)의 적합한 재료로서,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의 필름, 또는 증착층을 갖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18)으로서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되어,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핀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6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0)은 기재 필름(10) 대신에, 배리어층(14)에 접착층(16)과 중간층(18)을 적층시킨 기재 필름(10A)을 형성하는 것 이외는, 적층 필름(50)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접착층(16)이 첨가물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층(1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착층(20)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0)에 의하면, 배리어층(14)과 접착층(20) 사이에, 접착층(16)과 중간층(18)이 적층된 것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적층 필름(60)에 의하면, 중간층(18)을 포함하므로, 중간층(18)의 특성에 따라 적층 필름(60)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16)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냄새 원인 물질을 포착하는 층이 2층 있으므로,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70)은 제2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10A) 대신에 기재 필름(소정의 층)(10B)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70)은 수지층(12)과, 접착층(16)과, 중간층(18)과, 접착층(16B)과, 중간층(18B)을 구비하고,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접착층(16)은 수지층(12)과 중간층(18)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16B)은 중간층(18)과, 중간층(18B)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16, 16B)은,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으로서 예시된 재료 중, 1종 이상의 재료가 사용된다. 접착층(16, 16B)은, 적층 필름(70)에 있어서의 접착층(2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층(16, 16B)에는,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16, 16B)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70)은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접착층을 복수 갖는 경우의 예이다.
접착층(16, 16B)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접착층(16, 16B)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층(16, 16B)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에 있어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종류 및 적합한 수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7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도 마찬가지이다.
접착층(16, 16B)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7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 및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층 필름(7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적층 필름(70)에 있어서의 접착층(16, 16B)의 각각이,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7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분포는, 적층 필름(70)에 있어서 접착층(16, 16B)의 각각이,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접착층(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18)은 수지층(12)과 중간층(18B)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이다. 중간층(18)은 접착층(16)을 통해 수지층(12)에, 접착층(16B)을 통해 중간층(18B)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중간층(18)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간층(18)의 종류는, 적층 필름(70)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 기계적 강도, 내굴곡성, 내찌르기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차광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선택하면, 당해 특성이 적층 필름(70)에 있어서 향상된다.
예를 들어, 중간층(18)의 적합한 재료로서,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의 필름, 또는 증착층을 갖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18)으로서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되어,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핀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7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7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중간층(18B)은 중간층(18)과 실란트층(30) 사이에 배치된 층이다. 중간층(18B)은 접착층(16B)을 통해 중간층(18)에, 접착층(20)을 통해 실란트층(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18, 18B)으로서 알루미늄 필름박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필름박은, 기체나 액체를 통과시키기 어려워, 광을 차광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7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피포장물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냄새를 놓치지 않기 때문에, 향기가 빠져 풍미가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70)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체(200)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00)와, 포장 주머니(100)의 내부에 수용된 피포장물(110)을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10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한 쌍의 적층 필름(50)의 주연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시일부(101)와, 시일부(101)에 의해 둘러싸인 한 쌍의 적층 필름(5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102)를 구비한다. 즉, 포장 주머니(100)는 측단부, 하단부 및 상단부가 시일부(101)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수용부(102)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 사이에 끼워져 시일부(101)에 포위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예를 들어, 식료품 등의 피포장물(110)이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장체(200)는 식료품을 포함하는 피포장물(110)을 가열 살균하고, 포장 주머니(100)로 밀봉한 레토르트 식품이어도 된다.
한 쌍의 적층 필름(50)은 제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적층 필름(50)은 각각의 실란트층(30)끼리가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있다. 각 실란트층(30)은 한 쌍의 적층 필름(50)의 외주부에 있어서 열 융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일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포장 주머니(100)는 개봉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봉부(120)는 측단부의 시일부(101)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124)와, 한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124) 사이에 절개의 궤도가 되는 하프컷 선(121)을 갖는다.
개봉 용이 가공부(124)는 포장 주머니(10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 가공부(124)는 시일부(101)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오목부의 집합을 포함하는 상흔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 가공부(124)는 시일부(101)의 단부 테두리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치여도 된다. 노치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V자 형상, U자, I자 형상 등의 노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하프컷 선(121)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100) 및 포장체(2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포장 주머니(100)의 외형에 맞추어 절단된 한 쌍의 적층 필름(50)을 준비한다.
이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적층 필름(50)의 실란트층(30)끼리를 대향시켜, 각 적층 필름(50)의 하단부 및 측단부의 실란트층(30)끼리를 열 융착한다.
이에 의해, 하단부 및 측단부에 시일부(101)가 형성된다. 시일부(101)에서 U자 형상으로 포위된 각 적층 필름(50)의 내측에는, 수용부(102)가 형성된다.
포장 주머니(100)의 상단에는, 수용부(102)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 후, 미시일 상태에 있는 포장 주머니(100)의 상단부로부터 피포장물(110)을 충전한다. 이 후, 상단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적층 필름(50)의 실란트층(30)끼리를 열 융착하여, 상단부에도 시일부(1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장체(20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00)에 있어서는, 수용부(102)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적층 필름(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적층 필름(50)은 배리어층(14)을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내부로 침투하는 산소 및 수증기를 억제하여, 산소 및 수증기에 기인하는 배리어층(14)보다도 내측의 부재 및 피포장물(11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각 적층 필름(50)은 배리어층(14)보다도 내측(피포장물측)의 접착층(20) 내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110)로부터 발생하는 황 화합물 등의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 물질을 장기간에 걸쳐서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 주머니(100)는 수용부(102) 내의 피포장물(110)의 내부에 축적하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 물질이 수용부(102) 내에 피포장물(110)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포장체(200)를 개봉한 경우에 발생하는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다.
피포장물(110)은 그 종류에 따라,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변질시켜, 레토르트 냄새의 포착 작용을 열화시키는 성분(열화 원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식품에 포함되는 아세트산 등의 산은,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변질시키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되어, 접착제 성분으로 덮여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와, 열화 원인 성분의 화학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열화되기 어렵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00) 및 포장체(200)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을 구비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층 필름(50) 대신에, 제2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0) 또는 제3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70)을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체(210)는 포장 주머니(150)와,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피포장물(110)을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150)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과, 각 적층 필름(50)의 하단부에 접착된 바닥 테이프를 구비하는 스탠딩 파우치이다. 바닥 테이프(152)는 적층 필름(50)과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50) 및 포장체(210)는 바닥 테이프(152)를 포함함으로써, 스탠딩 파우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는, 제4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00) 및 포장체(2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포장체(210)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 및 바닥 테이프(152)를 사용한 주지의 스탠딩 파우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포장 주머니(150)를 제조한 후, 상단부로부터 피포장물(110)을 충전하고, 상단부를 시일하여 시일부(101)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50) 및 포장체(210)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50)을 구비하므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적층 필름(50) 대신에, 제2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0) 또는 제3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70)을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필름(50, 60)의 전체가 광투과부인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적층 필름(50, 60)의 적당한 부위에, 인쇄층을 마련함으로써, 적층 필름(50, 60)의 일부에 차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50, 60)의 일부에 광투과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형태과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50)에 의해 포장 주머니(100)를 형성하는 경우, 한 쌍의 적층 필름(50)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인쇄층에 의한 차광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50, 60)에 있어서, 인쇄층은, 수지층(12)과 배리어층(14) 사이에 마련되어도 된다.
인쇄층은, 예를 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니트로셀룰로오스계, 또는 고무계 등의 결합제 수지에, 각종 안료, 가소제, 건조제 및 안정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에 의해 구성되는 층이다. 이 인쇄층에 의해, 문자, 무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인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프셋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공지된 인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수지층(12)의 표면(12b)에는, 미리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 또는 오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인쇄층과 수지층(12)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은 일례이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은,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 사이, 또는 수지층(12)과 배리어층(14) 사이에, 적층 필름의 기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층 또는 박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적층 필름(60)의 접착층(20)에 함유되어 있는 예와, 적층 필름(60)의 접착층(20, 16)의 양쪽에 함유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접착층(16)에만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중간층이 1층인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적층 필름에는, 중간층이 2층 이상 포함되어도 된다.
수지층(12)과, 접착층(16)과, 중간층(18)과, 접착층(16)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4)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12)과, 접착층(16)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4)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배리어층(14)과, 접착층(16)과, 중간층(18)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12)과, 접착층(16)과, 중간층(18)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층(18)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12)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층(18)과, 배리어층(14)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실란트층(30)은 수지층(12)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차광 인쇄에 의해 차광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솔리드 인쇄층은, 수지층(12) 또는 배리어층(14)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12)과, 접착층(16)과, 중간층(18)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지층(12)에 마련된 솔리드 인쇄층은, 수지층(12)과 접착층(16)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지층(12)과, 배리어층(14)과, 접착층(16)과, 중간층(18)과, 접착층(20)과, 실란트층(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리어층(14)에 마련된 솔리드 인쇄층은, 배리어층(14)과 접착층(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100) 및 포장체(200)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0, 70)에 의해,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형성해도 된다.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0)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포장 주머니(100) 및 포장체(20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60)을 구비하므로, 적층 필름(6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150) 및 포장체(210)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0, 70)에 의해, 포장 주머니(150A) 및 포장체(210A)를 형성해도 된다.
포장 주머니(150A) 및 포장체(21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0)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포장 주머니(150) 및 포장체(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150A) 및 포장체(21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60)을 구비하므로, 적층 필름(6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부의 외주부에 적층 필름(50)이 사용되어 있으면, 다른 외주부의 적층 필름은, 적층 필름(50)과 다른 층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1매의 적층 필름(50)에 함유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의해, 레토르트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적층 필름에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 주머니가, 사방 주머니 및 스탠딩 파우치인 예로 설명했지만, 포장 주머니의 형상은, 이것들에는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다른 주머니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 주머니의 형상은, 이방 주머니, 삼방 주머니, 또는 합장 주머니여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 주머니는, 입구 마개 또는 띠 형상의 돌기부와, 띠 형상의 홈부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반복해서 밀봉하는 것이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패스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포장 주머니는, 레토르트 포장재, 보일 포장재, 전자 레인지 포장재 등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피포장물(110)이 식료품인 예로 설명했지만, 피포장물(110)은 식료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피포장물(110)은 카레, 오뎅, 국수 국물, 조미액, 파스타 소스, 반찬, 스프, 솥밥 재료 및 펫 푸드여도 된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실시예 1 내지 31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20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22 및 비교예 1 내지 14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이다.
실시예 23 내지 31 및 비교예 15 내지 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이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31 및 비교예 1 내지 20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입자 분산액에 대하여 통합하여 설명한다. 각 입자 분산액은,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제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하기의 [표 1]에 실시예 1 내지 31 및 비교예 1 내지 20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입자 분산액의 조성과 분산 처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입자 분산액(11Aa)]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자 분산액(11Aa)은, 아세트산에틸 중에, 다가 금속 산화물인 산화아연(ZnO)의 미립자(이하, 산화아연 입자)를 분산시켜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은 이하와 같이 조제되었다.
먼저, 용매인 아세트산에틸에, 산화아연 입자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였다. 산화아연 입자로서는, 평균 입자경이 35㎚인 FINEX-30(상품명;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제)이 사용되었다. FINEX(등록 상표)-30의 첨가량은, 혼합액의 고형분 농도가 30질량%가 되는 양으로 되었다.
이 후, 혼합액에, 폴리에스테르산아미드아민염과, 알킬시클로헥산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분산제 A를 첨가하였다. 분산제 A는,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산의 아마인드아민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산제이다.
분산제 A의 첨가량은,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을 100질량부로 하고, 5질량부로 하였다.
이 혼합액에,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표 1]에는 「비즈 밀」이라고 기재)를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용매 중에 산화아연 입자가 분산된 입자 분산액(11Aa)이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Ba)]
입자 분산액(11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Ca)]
입자 분산액(11C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2Aa, 12Ba)]
입자 분산액(12Aa)은, 분산제로서, 분산제 A 대신에, 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분산제 B를 사용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분산제 B는, 폴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화합물계의 분산제이다.
입자 분산액(12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2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3Aa, 13Ba)]
입자 분산액(13Aa)은, 분산제로서, 분산제 A 대신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물과, 아세톤과, 메탄올을 함유하는 분산제 C를 사용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분산제 C는,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산제이다.
입자 분산액(13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3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Aa, 14Ba, 14Ca)]
입자 분산액(14Aa)은,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35㎚인 FINEX-30(등록 상표) 대신에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20㎚인 산화아연 입자인 FINEX(등록 상표)-50(상품명;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제)이 사용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C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5Aa, 15Ba)]
입자 분산액(15Aa)은, FINEX(등록 상표)-30 대신에,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60㎚인 산화아연 입자인 FINEX(등록 상표)-20을 사용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5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5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00a, 200a, 300a, 400a)]
입자 분산액(100a)은, 분산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200a)은, 산화아연 입자 대신에, 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주)제의 산화알루미늄(Al2O3)의 입자(이하, 산화알루미늄 입자)가 사용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45㎚였다.
입자 분산액(300a)은, 산화아연 입자 대신에, Stream Chemicals사제의 산화마그네슘(MgO)의 입자(이하, 산화마그네슘 입자)가 사용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20㎚였다.
입자 분산액(400a)은, FINEX(등록 상표)-30 대신에, FINEX(등록 상표)-50을 사용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Ab, 11Bb, 11Cb)]
입자 분산액(11A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표 1]에는 「교반만」이라고 기재)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B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C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1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Ab, 14Bb)]
입자 분산액(14A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B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4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00b, 200b, 300b, 400b)]
입자 분산액(1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2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2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3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3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4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는, 입자 분산액(4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1 내지 31 및 비교예 1 내지 20의 제조 조건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수지층(12)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도요보 에스테르(등록상표) 필름 E5100(상품명; 도요보(주)제)이 사용되었다. E5100은, 두께가 12㎛, 길이가 500m, 폭이 600㎜였다.
수지층(12)의 한쪽 표면(12b)을 코로나 처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표면(12b) 상에 진공 증착기를 사용하여, SiOx를 포함하는 배리어층(14)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규소 분말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혼합한 증착 재료를 준비하고, 진공 증착기에 의해, 표면(12b) 상에 원소비 O/Si가 1.5(x=1.5)인 증착층이 형성되도록 증착이 행해졌다. 배리어층(14)의 두께 50㎚였다.
이 후, 배리어층(14)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2액 경화형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A626/A50(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주)제)을 도공하고, 두께 15㎛의 나일론 필름인 엠블럼(등록상표 ON)(상품명; 유니티카(주)제)을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16)과 중간층(18)이 형성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를 사용하여, 접착층(20)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상술한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인 A626과 A50을, 질량비가 8:1이 되도록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인 접착제를 형성하였다. 이 후, 접착제에 입자 분산액(11Aa)를 첨가하고, 접착제의 고형분과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산화아연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이, 1.5질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하, 간단화를 위해, 「접착제의 고형분과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을,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이라고 칭한다. [표 2]에는 「입자량」이라고 기재하였다.
이 후,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a)의 혼합액을, 교반 날개에 의해,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후에, 혼합액을 구멍 직경 3㎛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실시예 1에 사용하는 도공액(11Aa)을 얻었다. 분산 처리가 행해진 입자 분산액(11Aa)에서는, 산화아연 입자가 응집하기 어려웠으므로,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대부분은 멤브레인 필터를 투과하였다.
이 후, 중간층(18)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도공액(11Aa)을 도공하고, 실란트층(30)으로서, 두께 80㎛의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공압출 필름과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60)을 얻었다. 즉, 이 적층 필름(60)은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란트층(30),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20),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중간층(18),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16), 배리어층(14) 및 수지층(12)을 이 순으로 갖고 있었다.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은,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과 마찬가지로, 1.5질량%였다.
이 후, 실시예 1의 적층 필름(60)을 실란트층(30)끼리 대향하도록 접합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방 주머니인 실시예 1의 포장 주머니(100A)를 제작하였다.
이 후, 피포장물(110)을 포장 주머니(100A) 내에 수용하고 밀봉하여, 실시예 1의 포장체(200A)를 제조하였다.
피포장물(110)로서는, 시스테인을 0.03질량% 포함하는 시스테인 수용액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2 내지 2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22는, 도공액(11Aa) 대신에,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며,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0.8질량%이며,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1질량%이다.
도공액(11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1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5.0질량%이다.
도공액(14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4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5.0질량%이다.
도공액(100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00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실시예 23]
실시예 23에서는, 수지층(12)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도요보 에스테르(등록상표) 필름 E5100(상품명; 도요보(주)제)이 사용되었다. E5100은, 두께가 12㎛, 길이가 500m, 폭이 600㎜였다.
수지층(12)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2액 경화형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A525/A52(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주)제)를 도공하고, 두께 15㎛의 나일론 필름인 엠블럼(등록상표 ON)(상품명; 유니티카(주)제)을 중간층(18)으로서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16)과 중간층(18)이 형성되었다.
계속해서, 중간층(18) 상에 다시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도공하고, 두께 7㎛의 알루미늄 필름 박을 중간층(18B)으로서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16B)과 중간층(18B)이 형성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를 사용하여, 접착층(20)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상술한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인 A525와 A52를, 질량비가 8:1이 되도록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인 접착제를 형성하였다. 이 후, 접착제에 입자 분산액(11Aa)를 첨가하고, 접착제의 고형분과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산화아연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이, 1.5질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하, 간단화를 위해, 「접착제의 고형분과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을,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이라고 칭한다. [표 2]에는 「입자량」이라고 기재하였다.
이 후,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a)의 혼합액을, 교반 날개에 의해,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후에, 혼합액을 구멍 직경 3㎛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실시예 19에 사용하는 도공액(11Aa)을 얻었다. 분산 처리가 행해진 입자 분산액(11Aa)에서는, 산화아연 입자가 응집하기 어려웠으므로,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대부분은 멤브레인 필터를 투과하였다.
이 후, 중간층(18B)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도공액(11Aa)을 도공하고, 실란트층(30)으로서, 두께 80㎛의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공압출 필름과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70)을 얻었다. 즉, 이 적층 필름(70)은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란트층(30),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20),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중간층(18B),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16B),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중간층(18),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16) 및 수지층(12)을 이 순으로 갖고 있었다.
접착층(20)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은,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과 마찬가지로, 1.5질량%였다.
이 후, 실시예 1의 적층 필름(70)을 실란트층(30)끼리 대향하도록 접합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방 주머니인 실시예 1의 포장 주머니(100A)를 제작하였다.
이 후, 피포장물(110)을 포장 주머니(100A) 내에 수용하고 밀봉하여, 실시예 1의 포장체(200A)를 제조하였다.
피포장물(110)로서는, 시스테인을 0.03질량% 포함하는 시스테인 수용액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24 내지 31]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4 내지 31은, 도공액(11Aa) 대신에,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7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4]
비교예 1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만을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적층 필름(6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도공액(100a) 대신에, 도공액(100bN)(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적층 필름(6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00bN)은,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00b)을 30분간 교반한 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공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되었다.
비교예 3 내지 14는,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교반 처리가 되어, 적층 필름(6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00bN)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00bP)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이며, 도공액(100b+)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도공액(200b)에 있어서의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200b+)에 있어서의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도공액(300b)에 있어서의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300b+)에 있어서의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비교예 15 내지 20]
비교예 15에서는, 도공액(11Aa) 대신에, 도공액(11Ab)(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5의 적층 필름(7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1Ab)은,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b)을 30분간 교반한 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공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되었다.
비교예 16 내지 20은,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교반 처리가 되어, 적층 필름(70), 포장 주머니(100A) 및 포장체(200A)를 제작하였다.
[평가 방법]
각 실시예, 각 비교예를 평가하기 위해, SEM상 관찰, 황화수소(H2S) 농도 및 라미네이트 강도가 측정되었다.
SEM상 관찰 결과는, 적층 필름을 마이크로톰으로 재단하여 단면을 SEM으로 관찰한다. 배율 10000배로 접착층(20)을 따라 연속하여 10㎛를 5장 촬영한다. 촬영한 5장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의 직경(긴 직경) 중 최대 길이(응집체의 최대 직경)를 [표 2]의 「최대 응집체 직경」란에 기재하였다. 촬영한 5장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의 직경 중 최소 길이(응집체의 최소 직경)를 [표 2]의 「최소 응집체 직경」란에 기재하였다. 「응집체의 최대 직경」을 「응집체의 최소 직경」으로 나눈 것(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을 [표 2]의 「배율」란에 기재하였다. 촬영한 5장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의 직경(긴 직경)을 모두 합계하여, 응집체의 개수로 나눈 것(응집체의 평균 응집체 직경)을 [표 2]의 「평균 응집체 직경」란에 기재하였다. 촬영한 5장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 중 평균 입자경의 10 내지 200%의 크기의 응집체의 개수를 [표 2]의 「응집체수 1」란에 기재하였다. 촬영한 5장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 중, 직경(긴 직경) 3㎛ 이상의 응집체의 개수를, [표 2]의 「응집체수 2」란에 기재하였다. 촬영한 5장 중에 포함되는 응집체 중, 평균 응집체 직경과 동일 정도의 직경(평균 응집체 직경의 10% 내지 200%)의 응집체에 대하여, 인접하는 응집체끼리의 거리의 평균값을, [표 2]의 「응집체 간 거리」란에 기재하였다.
황화수소 농도 측정에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스테인 수용액을 수용한 포장체를 피검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각 피검 시료의 포장체에 대하여, 120℃에서 60분간 가열하는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였다. 레토르트 처리 후, 포장체를 냉장고에서 1주일 보존하였다. 이 후의 각 포장체 내의 수용액을 채취하고, 메틸렌 블루법(파장: 668㎚)에 의해 황화수소 농도를 구하였다. 황화수소 농도의 산출에 있어서는, 미리 제작해 둔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황화수소 농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라미네이트 강도의 측정의 피검 시료로서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와,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주머니를 사용하였다.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는, 45℃, 4일간의 조건으로 에이징하였다. 이 후, 나일론층과 실란트층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JIS Z0238: 1998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상품명; (주) 에이앤디제)를 사용하여 T형 박리법(크로스헤드 속도: 300㎜/분)으로 각 피검 시료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의 라미네이트 강도 처리 전」란에 나타내었다.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주머니의 피검 시료를 사용하여,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와 마찬가지로 하여 라미네이트 강도(N/15㎜ 폭)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의 라미네이트 강도 처리 후」란에 나타내었다. 단, [표 2]에서는, (N/15㎜ 폭)을 간단히 (N)으로 표기하였다.
[평가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1의 적층 필름에서, 접착층(20)에 있어서, 「배율」은, 2.86 내지 13.33이었다. 또한, 「평균 응집체 직경」은, 25㎚ 내지 110㎚였다. 또한, 「응집체수 1」은, 60 내지 5000개이고, 「응집체수 2」는, 0개였다. 또한, 「응집체 간 거리」는, 0.3 내지 2.7㎛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9, 21 내지 30의 적층 필름에서는,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8N/15㎜ 폭 이상이었다. 또한, 실시예 20, 31의 적층 필름에서는,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6N/15㎜ 폭 이상이었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배율」은, 2.86 내지 13.33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배율」은, 77.78 내지 180.00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양쪽에 있어서 결과가 떨어졌기 때문에, 「배율」은 14.0배 이하인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를 높이면서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응집체가 조대한 것이 없기 때문에 큰 계면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강도가 열화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평균 응집체 직경」은 25㎚ 내지 110㎚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평균 응집체 직경」은 2000㎚(2.0㎛) 내지 3500㎚(3.5㎛)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양쪽에 있어서 결과가 떨어졌다. 응집체 직경이 작으면 표면적이 넓어져서, 흡착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평균 응집체 직경」은 150㎚ 이하인 것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를 높이면서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응집체 간 거리」는 0.3㎛ 내지 2.7㎛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응집체 간 거리」는 15㎛ 내지 40㎛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양쪽에 있어서 결과가 떨어졌다.
응집체 간 거리가 작으면, 응집체의 개수가 많다. 결국은 응집체 하나하나의 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져, 흡착 효과가 높아지고, 큰 계면이 생기기 어렵고 라미네이트 강도가 열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응집체 간 거리」는 3.0㎛ 이하인 것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를 높이면서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19와 실시예 20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11질량%인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500개이며, 입자량이 1.5질량%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80개이며, 입자량이 0.8질량%인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65개이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5.0질량%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250개이며, 입자량이 3.0질량%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150개이다. 실시예 9와 실시예 11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9.5질량%인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200개이며, 입자량이 1.5질량%인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60개이다. 실시예 13과 실시예 14를 비교하면, 입자량이 5.0질량%인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300개이며, 입자량이 3.0질량%인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응집체수 1」은 200개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이 많은 쪽이 「응집체수 1」의 개수가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평균 입자경의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응집체의 개수인 「응집체수 1」이 60개 이상인 것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20에서는, 최고 0 내지 10개였다. 여기서 「응집체수 1」이 60개 이상이면 분산성이 높아지고, 레토르트 냄새를 흡착하기 쉬워진다.
즉, 평균 입자경의 10 내지 200%의 크기의 응집체는 6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 생각된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응집체 중, 직경(긴 직경) 3㎛ 이상의 응집체의 개수인 「응집체수 2」가 0개인 것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20에서는, 「응집체수 2」의 개수는 최소 0 내지 2개였다. 여기서 직경(긴 직경) 3㎛ 이상의 응집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접착층의 막 응집력이 저하되기 어렵다.
즉, 직경(긴 직경) 3㎛ 이상의 응집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19와 실시예 20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11질량%인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mg/L이며, 입자량이 1.5질량%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이며, 입자량이 0.8질량%인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2mg/L이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5.0질량%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3.0질량%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2mg/L이다. 실시예 9와 실시예 11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9.5질량%인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1.5질량%인 실시예 9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이다. 실시예 13과 실시예 14를 비교하면, 입자량이 5.0질량%인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3.0질량%인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2mg/L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이 많은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입자량이 0.5질량% 이상으로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는 충분히 있지만, 입자량이 1.0질량% 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0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1.5질량%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15㎜ 폭이며, 입자량이 11질량%인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6N/15㎜ 폭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이 많은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가 높지만,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가 생기기 쉽고, 분산성이 높아도 접착제와 입자의 계면이 많아지면 막으로서의 응집력이 떨어지기(막으로서 약해지기) 때문에,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은 10질량% 이하가 좋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2와 실시예 21을 비교하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인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인 것에 반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인 실시예 21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6mg/L이다. 실시예 15와 실시예 22를 비교하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인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인 것에 반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인 실시예 22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6mg/L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여도 되지만, 평균 입자경이 커지면 표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평균 입자경은 45㎚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3, 실시예 4와 실시예 24, 실시예 9와 실시예 25, 실시예 10과 실시예 26, 실시예 12와 실시예 27, 실시예 15와 실시예 28, 실시예 16과 실시예 29, 실시예 19와 실시예 30, 실시예 20과 실시예 31은, 각각 전자의 중간층에 알루미늄 필름 박이 들어 있지 않고, 후자의 중간층에 알루미늄 필름 박이 들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모두, 알루미늄의 반응성은 낮기 때문에, 알루미늄 필름 박의 유무에 관계없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결과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SEM상 관찰의 화상의 예이다. 도 8은 비교예 5의 SEM상 관찰의 화상의 예이다. 도 7에, P1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응집체이다. 도 8에, P2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응집체이며, 접착제2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이 접착층(20)이며, NY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이 중간층(18)이며, PP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이 실란트층(30)이다.
[종합 평가]
레토르트 냄새([표 2]에는 「냄새」라고 기재)에 대해서는, 황화수소 농도가 0.04mg/L 이하인 경우, 양호([표 2]에는 「A」라고 기재), 황화수소 농도가 0.04mg/L을 초과하고 0.25mg/L 이하인 경우, 약간 양호([표 2]에는 「B」라고 기재), 0.25mg/L을 초과하는 경우, 불량([표 2]에는 「C」라고 기재)으로 판정하였다.
라미네이트 강도([표 2]에는 「강도」라고 기재)에 대해서는,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7N/15㎜ 폭 이상인 경우, 양호([표 2]에는 「A」라고 기재),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6N/15㎜ 폭 이상이고 또한 7N/15㎜ 폭 미만인 경우, 약간 양호([표 2]에는 「B」라고 기재),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6N/15㎜ 폭 미만인 경우, 불량([표 2]에는 「C」라고 기재)으로 판정하였다.
종합 평가로서는,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의 양쪽이 양호([표 2]에는 「A」라고 기재)인 경우에는, 양호([표 2]에는 「A」라고 기재)로 판정하였다.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의 어느 한쪽이 양호([표 2]에는 「A」라고 기재)에서, 다른 쪽이 약간 양호([표 2]에는 「B」라고 기재)인 경우에는, 약간 양호([표 2]에는 「B」라고 기재)로 판정하였다.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 양쪽이 약간 양호([표 2]에는 「B」라고 기재), 또는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의 어느 한쪽이 불량([표 2]에는 「C」라고 기재)인 경우에는, 불량([표 2]에는 「C」라고 기재)으로 판정하였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8, 23 내지 29의 종합 평가 A였다. 실시예 19 내지 22, 30, 31의 종합 평가 B였다.
비교예 1은, 냄새의 평가 C였으므로, 종합 평가 C였다.
비교예 2 내지 8, 12 내지 20은, 레토르트 냄새 및 강도의 평가 B였으므로, 종합 평가 C였다.
비교예 9 내지 11은, 강도의 평가 C였으므로, 종합 평가 C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여도 다른 부호가 달려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다.
이하, 특정 수치 범위 하에 있어서 적합한 수치 범위가 복수 예시되는 경우, 바람직한 최대의 수치 범위에 포함되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한값과 하한값과의 조합은 예시된 조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x1<x2<x3<x4로 하고, 양 X의 바람직한 범위로서, 「x1 이상 x4 이하」와, 「x2 이상 x3 이하」가 예시된 경우, 예를 들어, 「x1을 초과하고 x4 미만」, 「x2 이상 x4 이하」, 「x3 이상 x4 이하」 등의 각 수치 범위도 바람직한 범위이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50)은 기재 필름(소정의 층)(310), 접착층(320) 및 실란트층(330)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310), 접착층(320) 및 실란트층(330)은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기재 필름(310), 접착층(320) 및 실란트층(330)은 각각 가시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350)은 두께 방향(도시 상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광투과부는 적층 필름(350)의 전체이다. 또한, 적층 필름(350)에는, 광투과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적층 필름(350)의 광투과부는,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30% 이하이다. 이하에서는,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를, 간단히 「헤이즈」라고 기재한다.
기재 필름(310)은 수지층(312)과, 배리어층(314)을 갖는다. 또한, 기재 필름(310)은 배리어층(314)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수지층(312)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으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312)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상술한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312)은 동종의 수지 필름이 복수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 및 미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연신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미연신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수지층(312)은 2축 방향으로 임의로 연신된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계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층(312)은 특히 강도와 유연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312)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고 비용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312)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나일론 필름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일론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3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35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일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수지층(312)의 두께는, 용도 또는 필요한 특성에 따른 두께로 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층(312)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이상 100㎛ 이하여도 되고, 6㎛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312)은 적당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필러, 대전 방지제, 가소제, 활제 및 산화 방지제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수지층(312)의 표면(312a)은 포장 주머니를 형성할 때 적층 필름(350)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면이다.
수지층(312)의 표면(312b)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312a)과 반대 측의 표면이며, 후술하는 배리어층(314)과의 접합면이다.
적층 필름(350)에는 적당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면(312b)에는, 배리어층(31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표면 처리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약품 처리, 용제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및 오존 처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들 수 있다.
배리어층(314)은 적어도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층이다. 배리어층(314)은 수지층(312)의 표면(312b)에 적층된다.
배리어층(314)의 층수는, 적어도 1층의 배리어성을 갖는 층을 포함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314)이 단층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증착층,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314)이 다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로서는, 수지 필름 등의 표면에 배리어성을 갖는 무기물이 코팅된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314)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늄,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기물은, 단층으로 배리어층(314)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층(312)의 표면에 증착되어도 된다.
배리어층(314)에 사용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으로서는, 나일론계 배리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계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리어 필름은, 단층으로 배리어층(314)을 형성하는 경우, 압출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코팅 등에 의해, 수지층(312)에 적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314)으로서, 무기물이 코팅된 배리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늄, 규소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리어 필름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에 의해, 수지층(312)에 적층되어도 된다.
배리어층(314)은 이상으로 예시한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배리어층(314)의 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314)이 증착층을 포함하는 경우, 층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여도 된다.
배리어층(314)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플라스마 기상 성장법(CVD),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익스트루전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320)은 배리어층(314)과, 후술하는 실란트층(330)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320)은 접착제 성분과,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한다.
접착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등의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은, 후술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변질을 억제하기 쉽다는 점에서, 2액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변질의 억제 효과는,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한층 더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2액 경화형 접착제 중에서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입자는, 다가 이온을 생성하는 금속(이하, 다가 금속)으로 형성된 입자이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다가 금속의 화합물로 형성된 입자이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하, '냄새 원인 물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어 황 화합물 등이, 접착층(320) 내에서 포착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냄새 원인 물질이 되는 황 화합물로서는, 황화수소, 머캅탄, 이산화황, 삼산화황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의해 냄새 원인 물질을 포착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해명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착층(320)에 혼합되는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이 되는 화합물의 포착 작용이 있고, 접착층(320)의 접착제 성분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가 금속 입자로서, 예를 들어,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의 입자; 티타늄, 지르코늄,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의 전이 금속의 입자; 및 알루미늄의 입자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다가 금속 입자는, 접착층(32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쉬운 바와 같이,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있거나, 표면이 코팅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유기산염(예를 들어, 아세트산염), 무기산염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산화물의 암모늄 착체, 다가 금속 산화물의 2 내지 4급 아민 착체, 또는 그들의 탄산염 혹은 유기산염의 입자가 사용되어도 된다.
접착층(320)의 내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쉽다는 점에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접착제 성분 중의 안정성과,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아연 화합물,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등의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취급 용이성과, 비용의 관점에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등의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간단화를 위해서,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첨가물 입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접착층(320)에 있어서,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하는 첨가물 입자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량이 늘어나므로, 레토르트 냄새를 억제하기 쉽다. 한편,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지거나, 적층 필름(350)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 및 적층 필름의 투명성과, 레토르트 냄새의 저감 작용을 양립하기 쉽다는 점에서는,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이면, 레토르트 냄새의 억제 효과가 너무 낮을 가능성이 있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10질량%를 초과하면,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너무 낮아지거나, 적층 필름의 투명성이 너무 낮아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분포는, 치우침이 적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응집 등에 의해 첨가물 입자의 분포가 특정한 부위에 집중하면,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투명성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분포의 치우침은, 헤이즈를 저하시키거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하는 원인으로도 된다.
특히, 접착층(320)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가 큰 응집체가 형성되면 입상의 불균일이 되어 눈에 띄기 쉽다. 특히, 입상의 불균일이 근접해서 배열된 경우, 줄무늬 불균일이 형성되어 한층 더 눈에 띄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350)이 포장 주머니에 사용되고, 광투과부에 의해 포장 주머니의 피포장물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입상의 불균일이나 줄무늬 불균일이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500㎛×500㎛의 범위에 있어서, 9.0㎛ 이상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수는 3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집체 간의 거리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집체」는, 광의의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두께 방향에 있어서 현미경 등으로 관찰했을 때의 외관상 덩어리를 의미한다. 외관상 덩어리가, 첨가물 입자의 응집 현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지, 일정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분포 밀도가 높기 때문에 괴상으로 보이는 것인지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는, 접착층(320)에 침투하는 냄새 원인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포착된다고 생각된다.
첨가물 입자가 냄새 원인 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표면적은, 첨가물 입자의 단위 질량당 표면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은 1㎡/g 이상이어도 되고, 5㎡/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커지면 첨가물 입자의 입경이 너무 작아지고, 예를 들어, 환경 중에 비산되기 쉬워지므로,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은 100㎡/g 이하여도 되고, 5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너무 크면, 9.0㎛를 초과하는 응집체가 형성되기 쉬워지므로,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작은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첨가물 입자에 평균 입자경이 어느 정도 작으면,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 방법에 따라 변화하고, 평균 입자경의 크기와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상관은 약해진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을, 단순히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라고 표기한다. 평균 입자경은, 분체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5만 내지 20만배로 확대한 상으로부터, 면적 원 상당 직경을 구하고, 이하의 일반식으로부터 산출된다. 평균 입자경=측정 입자의 면적 원 상당 직경의 총합/측정 입자수(측정 입자수는 적어도 100개 이상)가 식으로 표시된다.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5㎚ 이상 100㎚ 이하여도 되며,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 미만이면, 제조 비용이 높아지거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취급이 어려워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0㎚를 초과하면, 비표면적이 작아지므로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접착제 성분 중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접착층(320)에는, 첨가물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분산제를 1질량부 이상 50질량부 이하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분산제의 종류는,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의 접착제 성분 중에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분산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산염, 폴리에테르인산에스테르,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알킬인산염,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알킬알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에스테르, 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JIS Z 0238: 1998에 준거하여, 텐실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T형 박리법(크로스헤드 속도: 300㎜/분)으로 측정한다.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예를 들어, 6N/15㎜ 폭 이상이면 되고, 7N/15㎜ 폭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320)의 두께는, 적층 필름(350)을 포장 주머니에 형성하는 경우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며, 또한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가 양호하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접착층(3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1㎛ 이상 5㎛ 이하여도 되고, 0.03㎛ 이상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320)의 두께가 0.01㎛ 미만이면,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됨과 함께,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량이 너무 적을 가능성이 있다.
접착층(320)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적층 필름(350)이 너무 두꺼워질 가능성이 있다.
실란트층(330)은 적층 필름(350)을 다른 적층 필름과 열 융착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층이다. 실란트층(330)은 열에 의해 용융되고, 다른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실란트층과 서로 융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란트층(33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실란트층(330)에 사용하는 수지는, 예시된 수지 중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350)에 의해 보일 살균 또는 레토르트 살균을 하는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밀착성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실란트층(330)으로서, 비연신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트층(330)은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라미네이션에 의해 성막하면서 접착층(320)의 위에 적층해도 되고, 필름화한 시트를 접착층(320)에 접합해도 된다.
실란트층(3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150㎛ 이하여도 되고, 3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층 필름(350)의 제조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수지층(312)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에, 배리어층(314)이 적층된 기재 필름(310)을 준비한다.
이 후, 기재 필름(310)의 배리어층(314) 위에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드라이 라미네이션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화 후에 접착층(320)의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첨가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조제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기에 의해, 도공액을 기재 필름(310)의 배리어층(314)의 표면에 도공, 건조시켜서, 실란트층(330)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과 기재 필름(310)을 열 롤을 사용하여 열압착한다.
도공액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공액은,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터, 나이프 코터, 바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딥 코터, 스핀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적층 방법으로서는 논솔 라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접착층(320)의 접착 성분으로서 논솔 접착제 첨가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공액을 제조할 때에는,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첨가물 입자를 혼합하고,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가 9.0㎛ 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교반을 행함으로써, 첨가물 입자가 도공액에 분산된다.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도공액에는,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첨가물 입자와 함께 접착제에 직접 첨가되어도 되지만,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를 용제에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을 형성한 후에 입자 분산액과 접착제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도공액을 조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공액 중의 첨가물 입자의 분산이 촉진된다.
첨가물 입자는,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와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첨가물 입자를 미세화하는 물리적 해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공액 중의 첨가물 입자의 미세화와 분산이 촉진된다.
물리적 해섬 처리로서는, 고압 균질기, 초고압 균질기, 볼 밀, 롤밀, 커터 밀, 유성 밀, 제트 밀, 어트리터, 그라인더, 쥬서믹서, 호모믹서, 초음파 균질기, 나노게나이저, 수중 대향 충돌 등의 기계적 처리를 들 수 있다.
상술한 1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도공액 중에 미세화된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공액 중의 응집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공액에 있어서의 침전물의 발생도 억제되므로, 첨가물 입자를 효율적으로 도공액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도공액이 준비되면, 도공 전에 여과 처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350)은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배리어층(314)을 구비하기 위해서, 수지층(312)을 투과한 산소 및 수증기가,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을 투과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 등이 포장 주머니 내에 침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층 필름(350)에 의해 형성된 포장 주머니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체에서는, 산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에 기인하는 피포장물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산소 및 수증기 중 적어도 한쪽에 기인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열화도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적층 필름(350)은 기재 필름(310)과 실란트층(330)의 사이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320)을 가지므로, 실란트층(330)을 통해 접착층(320)에 침투한 황 화합물 등의 냄새 원인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350)에 의해 형성된 포장 주머니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체에서는, 피포장물에서 유래되는 황 화합물 등의 냄새 원인 물질이 접착층(320)에 침투함에 따라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포착된다. 이 결과, 피포장물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접착층(320)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접착층(320)의 접착제 성분에 혼합되어 있으므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피포장물에 포함되는 아세트산이나 아미노산 등의 성분과 반응하여 변질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와, 라미네이트 강도가 경시적으로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50)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60)은 제6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310) 대신에 기재 필름(소정의 층)(310A)을 구비한다.
기재 필름(310A)은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20)의 사이에, 접착층(316)과, 중간층(318)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이하, 제6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접착층(316)은 배리어층(314)과 중간층(318)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316)은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으로서 예시된 재료 중, 1종 이상의 재료가 사용된다. 접착층(316)은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층(316)에는,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3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360)은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접착층을 복수 갖는 경우의 예이다.
접착층(3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접착층(316)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층(316)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에 있어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종류 및 적합한 수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도 마찬가지이다.
접착층(3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 및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 316)의 각각이,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분포는,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 접착층(320, 316)의 각각이,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318)은 배리어층(314)과 실란트층(330)의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이다. 중간층(318)은 접착층(316)을 통해 배리어층(314)에, 접착층(320)을 통해 실란트층(3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중간층(318)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간층(318)의 종류는, 적층 필름(360)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 기계적 강도, 내굴곡성, 내찌르기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차광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선택하면, 당해 특성이 적층 필름(360)에 있어서 향상된다.
예를 들어, 중간층(318)의 적합한 재료로서,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의 필름, 또는 증착층을 갖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318)으로서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되고,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핀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3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에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36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60)은 기재 필름(310) 대신에, 배리어층(314)에 접착층(316)과 중간층(318)을 적층시킨 기재 필름(310A)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는, 적층 필름(350)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접착층(316)이 첨가물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층(31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착층(320)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60)에 의하면,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20)의 사이에, 접착층(316)과 중간층(318)이 적층된 것 이외에는, 제6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5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적층 필름(360)에 의하면, 중간층(318)을 포함하므로, 중간층(318)의 특성에 따라서 적층 필름(360)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316)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냄새 원인 물질을 포착하는 층이 2층 있으므로,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70)은 제7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310A) 대신에 기재 필름(소정의 층)(310B)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370)은 수지층(312)과, 접착층(316)과, 중간층(318)과, 접착층(316B)과, 중간층(318B)을 구비하고,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하, 제7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접착층(316)은 수지층(312)과 중간층(318)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316B)은 중간층(318)과, 중간층(318B)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316, 316B)은,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으로서 예시된 재료 중, 1종 이상의 재료가 사용된다. 접착층(316, 316B)은,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층(316, 316B)에는,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316, 316B)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370)은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접착층을 복수 갖는 경우의 예이다.
접착층(316, 316B)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접착층(316, 316B)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층(316, 316B)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에 있어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종류 및 적합한 수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도 마찬가지이다.
접착층(316, 316B)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 및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접착층(316, 316B)의 각각이,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분포는,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 접착층(316, 316B)의 각각이, 적층 필름(350)에 있어서의 접착층(3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318)은 수지층(312)과 중간층(318B)의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이다. 중간층(318)은 접착층(316)을 통해 수지층(312)에, 접착층(316B)을 통해 중간층(318B)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중간층(318)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간층(318)의 종류는, 적층 필름(370)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 기계적 강도, 내굴곡성, 내찌르기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차광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선택하면, 당해 특성이 적층 필름(370)에 있어서 향상된다.
예를 들어, 중간층(318)의 적합한 재료로서,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의 필름, 또는 증착층을 갖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318)으로서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되고,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핀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37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37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중간층(318B)은 중간층(318)과 실란트층(330)의 사이에 배치된 층이다. 중간층(318B)은 접착층(316B)을 통해 중간층(318)에, 접착층(320)을 통해 실란트층(3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318, 318B)으로서 알루미늄 필름 박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필름 박은, 기체나 액체를 통과시키기 어려워, 광을 차광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37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에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피포장물이 열화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냄새가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향기가 빠져서 풍미가 열화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70)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체(500)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400)와, 포장 주머니(400)의 내부에 수용된 피포장물(410)을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40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의 주연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시일부(401)와, 시일부(401)에 의해 둘러싸인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402)를 구비한다. 즉, 포장 주머니(400)는 측단부, 하단부 및 상단부가 시일부(401)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수용부(402)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의 사이에 끼워져 시일부(401)에 포위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식료품 등의 피포장물(410)이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장체(500)는 식료품을 포함하는 피포장물(410)을 가열 살균하고, 포장 주머니(400)로 밀봉한 레토르트 식품이어도 된다.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은, 제6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50)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은, 각각의 실란트층(330)끼리가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있다. 각 실란트층(330)은,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의 외주부에 있어서 열융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일부(401)가 형성되어 있다.
포장 주머니(400)는, 개봉부(42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봉부(420)는, 측단부의 시일부(401)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424)와, 한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424) 사이에 절개의 궤도가 되는 하프컷 선(421)을 갖는다.
개봉 용이 가공부(424)는, 포장 주머니(40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 가공부(424)는, 시일부(401)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오목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상흔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 가공부(424)는, 시일부(401)의 단부 테두리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치여도 된다. 노치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V자상, U자, I자상 등의 노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하프컷 선(421)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400) 및 포장체(5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포장 주머니(400)의 외형에 맞추어 절단된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을 준비한다.
이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적층 필름(350)의 실란트층(330)끼리를 대향시키고, 각 적층 필름(350)의 하단부 및 측단부의 실란트층(330)끼리를 열융착한다.
이에 의해, 하단부 및 측단부에 시일부(401)가 형성된다. 시일부(401)로 U자상으로 포위된 각 적층 필름(350)의 내측에는, 수용부(402)가 형성된다.
포장 주머니(400)의 상단에는, 수용부(402)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후, 미시일 상태에 있는 포장 주머니(400)의 상단부로부터 피포장물(410)을 충전한다. 이후, 상단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적층 필름(350)의 실란트층(330)끼리를 열융착하여, 상단부에도 시일부(4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2에 도시한 포장체(50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400)에 있어서는, 수용부(402)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적층 필름(3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적층 필름(350)은, 배리어층(314)을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내부에 침투하는 산소 및 수증기를 억제하여, 산소 및 수증기에 기인하는 배리어층(314)보다도 내측의 부재 및 피포장물(41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각 적층 필름(350)은, 배리어층(314)보다도 내측(피포장물측)의 접착층(320) 내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410)로부터 발생하는 황 화합물 등의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 물질을 장기간에 걸쳐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 주머니(400)는, 수용부(402) 내의 피포장물(410)의 내부에 축적되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 물질이 수용부(402) 내에 피포장물(410)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포장체(500)를 개봉한 경우에 발생하는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다.
피포장물(410)은, 그 종류에 따라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변질시켜, 레토르트 냄새의 포착 작용을 열화시키는 성분(열화 원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식품에 포함되는 아세트산 등의 산은,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변질시키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되어, 접착제 성분으로 덮여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와, 열화 원인 성분의 화학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열화되기 어렵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400) 및 포장체(500)에 의하면, 제6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50)을 구비하므로,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층 필름(350) 대신에, 제7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60) 또는 제8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70)을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제10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체(510)는, 포장 주머니(450)와,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피포장물(410)을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450)는, 1쌍의 적층 필름(350)과, 각 적층 필름(350)의 하단부에 접착된 바닥 테이프를 구비하는 스탠딩 파우치이다. 바닥 테이프(452)는, 적층 필름(350)과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450) 및 포장체(510)는, 바닥 테이프(452)를 포함함으로써, 스탠딩 파우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9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400) 및 포장체(5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포장체(510)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 및 바닥 테이프(452)를 사용한 주지의 스탠딩 파우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포장 주머니(450)를 제조한 후, 상단부로부터 피포장물(410)을 충전하고, 상단부를 시일하여 시일부(401)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450) 및 포장체(510)는,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350)을 구비하므로,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적층 필름(350) 대신에, 제7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60) 또는 제8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370)을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필름(350, 360)의 전체가 광투과부인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적층 필름(350, 360)의 적당한 부위에, 인쇄층을 마련함으로써, 적층 필름(350, 360)의 일부에 차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350, 360)의 일부에 광투과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9 실시 형태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350)에 의해 포장 주머니(400)를 형성하는 경우,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인쇄층에 의한 차광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350, 360)에 있어서, 인쇄층은, 수지층(312)과 배리어층(314) 사이에 마련되어도 된다.
인쇄층은, 예를 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니트로셀룰로오스계, 또는 고무계 등의 결합제 수지에, 각종 안료, 가소제, 건조제, 및 안정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에 의해 구성되는 층이다. 이 인쇄층에 의해, 문자, 무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인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프셋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공지된 인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수지층(312)의 표면(312b)에는, 미리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 또는 오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인쇄층과 수지층(312)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6 및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은, 일례이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은,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 사이, 또는 수지층(312)과 배리어층(314) 사이에, 적층 필름의 기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층 또는 박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적층 필름(360)의 접착층(320)에 함유되어 있는 예와, 적층 필름(360)의 접착층(320, 316)의 양쪽에 함유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접착층(316)에만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중간층이 1층인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적층 필름에는, 중간층이 2층 이상 포함되어도 된다.
수지층(312)과, 접착층(316)과, 중간층(318)과, 접착층(316)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312)과, 접착층(316)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16)과, 중간층(318)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312)과, 접착층(316)과, 중간층(318)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층(318)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312)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층(318)과,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실란트층(330)은, 수지층(312)과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된다.
차광 인쇄에 의해 차광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솔리드 인쇄층은, 수지층(312) 또는 배리어층(314)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312)과, 접착층(316)과, 중간층(318)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지층(312)에 마련된 솔리드 인쇄층은, 수지층(312)과 접착층(316)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지층(312)과,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16)과, 중간층(318)과, 접착층(320)과, 실란트층(33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리어층(314)에 마련된 솔리드 인쇄층은, 배리어층(314)과 접착층(3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9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400) 및 포장체(500)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3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360, 370)에 의해,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형성해도 된다.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360)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포장 주머니(400) 및 포장체(50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360)을 구비하므로, 적층 필름(36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제9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450) 및 포장체(510)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3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360, 370)에 의해, 포장 주머니(450A) 및 포장체(510A)를 형성해도 된다.
포장 주머니(450A) 및 포장체(51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360)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포장 주머니(450) 및 포장체(51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450A) 및 포장체(51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360)을 구비하므로, 적층 필름(36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제9 및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3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부의 외주부에 적층 필름(350)이 사용되고 있으면, 다른 외주부의 적층 필름은, 적층 필름(350)과 다른 층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1매의 적층 필름(350)에 함유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의해, 레토르트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적층 필름에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9 및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 주머니가, 사방 주머니 및 스탠딩 파우치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포장 주머니의 형상은, 이들에는 한정되지는 않고, 주지의 다른 주머니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 주머니의 형상은, 이방 주머니, 삼방 주머니, 또는 합장 주머니여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 주머니는, 입구 마개 또는 띠상의 돌기부와, 띠상의 홈부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반복하여 밀봉하는 것이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패스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포장 주머니는, 레토르트 포장재, 보일 포장재, 전자레인지 포장재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9 및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피포장물(410)이 식료품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피포장물(410)은, 식료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피포장물(410)은, 카레, 오뎅, 국수 국물, 조미액, 파스타 소스, 반찬, 스프, 솥밥 재료 및 펫 푸드여도 된다.
또한, 접착층(320)에 있어서, 500㎛×500㎛의 범위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 중, 9㎛ 이상의 응집체의 수는 30개 이하이며, 또한, 접착층(320)에 있어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은 14.0배 이하여도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실시예 1 내지 31에 대해서, 비교예 1 내지 20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22 및 비교예 1 내지 14 구성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구성이다.
실시예 23 내지 31 및 비교예 15 내지 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구성이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31 및 비교예 1 내지 20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입자 분산액에 대하여 통합하여 설명한다. 각 입자 분산액은,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제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하기의 [표 3]에 실시예 1 내지 31 및 비교예 1 내지 20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입자 분산액의 조성과 분산 처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입자 분산액(11Aa)]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자 분산액(11Aa)은, 아세트산에틸 중에, 다가 금속 산화물인 산화아연(ZnO)의 미립자(이하, 산화아연 입자)를 분산시켜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은 이하와 같이 조제되었다.
먼저, 용매인 아세트산에틸에, 산화아연 입자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였다. 산화아연 입자로서는, 평균 입자경이 35㎚인 FINEX-30(상품명;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제)이 사용되었다. FINEX(등록 상표)-30의 첨가량은, 혼합액의 고형분 농도가 30질량%가 되는 양으로 되었다.
이후, 혼합액에, 폴리에스테르산아미드아민염과, 알킬시클로헥산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분산제 A를 첨가하였다. 분산제 A는,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산의 아마인드아민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산제이다.
분산제 A의 첨가량은,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을 100질량부로 하여, 5질량부로 하였다.
이 혼합액에,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표 3]에는 「비즈 밀」로 기재)를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용매 중에 산화아연 입자가 분산된 입자 분산액(11Aa)이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Ba)]
입자 분산액(11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Ca)]
입자 분산액(11C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2Aa, 12Ba)]
입자 분산액(12Aa)은, 분산제로서, 분산제 A 대신에, 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분산제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분산제 B는, 폴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화합물계의 분산제이다.
입자 분산액(12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2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3Aa, 13Ba)]
입자 분산액(13Aa)은, 분산제로서, 분산제 A 대신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물과, 아세톤과, 메탄올을 함유하는 분산제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분산제 C는,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산제이다.
입자 분산액(13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3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Aa, 14Ba, 14Ca)]
입자 분산액(14Aa)은,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35㎚인 FINEX-30(등록 상표) 대신에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20㎚인 산화아연 입자인 FINEX(등록 상표)-50(상품명;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제)이 사용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C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5Aa, 15Ba)]
입자 분산액(15Aa)은, FINEX(등록 상표)-30 대신에,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60㎚인 산화아연 입자인 FINEX(등록 상표)-2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5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5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00a, 200a, 300a, 400a)]
입자 분산액(100a)은, 분산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200a)은, 산화아연 입자 대신에, 후지 필름 와코준야쿠(주)제의 산화알루미늄(Al2O3)의 입자(이하, 산화알루미늄 입자)가 사용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45㎚였다.
입자 분산액(300a)은, 산화아연 입자 대신에, Stream Chemicals사제의 산화마그네슘(MgO)의 입자(이하, 산화마그네슘 입자)가 사용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20㎚였다.
입자 분산액(400a)은, FINEX(등록 상표)-30 대신에, FINEX(등록 상표)-5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Ab, 11Bb, 11Cb)]
입자 분산액(11A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표 3]에는 「교반만」으로 기재)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B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C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Ab, 14Bb)]
입자 분산액(14A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B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00b, 200b, 300b, 400b)]
입자 분산액(1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2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2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3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3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400b)은, 유성형 볼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4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1 내지 31 및 비교예 1 내지 20의 제조 조건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수지층(312)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도요보 에스테르(등록 상표) 필름 E5100(상품명; 도요보(주)제)이 사용되었다. E5100은, 두께가 12㎛, 길이가 500m, 폭이 600㎜였다.
수지층(312)의 한쪽의 표면(312b)을 코로나 처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표면(312b) 상에, 진공 증착기를 사용하여, SiOx를 포함하는 배리어층(314)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규소 분말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혼합한 증착 재료를 준비하고, 진공 증착기에 의해, 표면(312b) 상에, 원소비 O/Si가 1.5(x=1.5)인 증착층이 형성되도록 증착이 행해졌다. 배리어층(314)의 두께 50㎚였다.
이후, 배리어층(314)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2액 경화형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A626/A50(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주)제)을 도공하고, 두께 15㎛의 나일론 필름인 엠블럼(등록 상표) ON(상품명; 유니티카(주)제)을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316)과 중간층(318)이 형성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을 사용하여, 접착층(320)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상술한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인 A626과 A50을, 질량비가 8:1이 되도록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인 접착제를 형성하였다. 이후, 접착제에 입자 분산액(11Aa)을 첨가하여, 접착제의 고형분과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산화아연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이, 1.5질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하, 간단화를 위해, 「접착제의 고형분과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을,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이라 칭한다. [표 4]에는 「입자량」으로 기재하였다.
이후,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a)의 혼합액을, 교반 날개에 의해,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후에, 혼합액을 구멍 직경 3㎛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실시예 1에 사용하는 도공액(11Aa)을 얻었다. 분산 처리가 행해진 입자 분산액(11Aa)에서는, 산화아연 입자가 응집되기 어려웠으므로,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대부분은 멤브레인 필터를 투과하였다.
이후, 중간층(318)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도공액(11Aa)을 도공하고, 실란트층(330)으로서, 두께 80㎛의 폴리올레핀계 무연신 공압출 필름과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에 도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360)을 얻었다. 즉, 이 적층 필름(360)은, 폴리올레핀계 무연신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란트층(330),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320),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중간층(318),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316), 배리어층(314), 및 수지층(312)을 이 순으로 갖고 있었다.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은,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과 마찬가지로, 1.5질량%였다.
이후, 실시예 1의 적층 필름(360)을, 실란트층(330)끼리가 대향하도록 접합하여, 도 13에 도시한 삼방 주머니인 실시예 1의 포장 주머니(400A)를 제작하였다.
이후, 피포장물(410)을 포장 주머니(400A) 내에 수용하여 밀봉하여, 실시예 1의 포장체(500A)를 제조하였다.
피포장물(410)로서는, 시스테인을 0.03질량% 포함하는 시스테인 수용액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2 내지 22]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22는, 도공액(11Aa) 대신에,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36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고,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0.8질량%이며,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1질량%이다.
도공액(11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1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5.0질량%이다.
도공액(14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4C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5.0질량%이다.
도공액(100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00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실시예 23]
실시예 23에서는, 수지층(312)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도요보 에스테르(등록 상표) 필름 E5100(상품명; 도요보(주)제)이 사용되었다. E5100은, 두께가 12㎛, 길이가 500m, 폭이 600㎜였다.
수지층(312)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2액 경화형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A525/A52(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주)제)를 도공하고, 두께 15㎛의 나일론 필름인 엠블럼(등록 상표) ON(상품명; 유니티카(주)제)을 중간층(318)으로서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316)과 중간층(318)이 형성되었다.
계속해서, 중간층(318) 상에 다시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도공하고, 두께 7㎛의 알루미늄 필름박을 중간층(318B)으로서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316B)과 중간층(318B)이 형성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을 사용하여, 접착층(320)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상술한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인 A525와 A52를, 질량비가 8:1이 되도록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인 접착제를 형성하였다. 이후, 접착제에 입자 분산액(11Aa)을 첨가하여, 접착제의 고형분과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산화아연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이, 1.5질량%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하, 간단화를 위해, 「접착제의 고형분과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을,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이라 칭한다. [표 4]에는 「입자량」으로 기재하였다.
이후,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a)의 혼합액을, 교반 날개에 의해,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후에, 혼합액을 구멍 직경 3㎛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실시예 19에 사용하는 도공액(11Aa)을 얻었다. 분산 처리가 행해진 입자 분산액(11Aa)에서는, 산화아연 입자가 응집되기 어려웠으므로,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대부분은 멤브레인 필터를 투과하였다.
이후, 중간층(318B)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도공액(11Aa)을 도공하고, 실란트층(330)으로서, 두께 80㎛의 폴리올레핀계 무연신 공압출 필름과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1에 도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370)을 얻었다. 즉, 이 적층 필름(370)은, 폴리올레핀계 무연신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란트층(330),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320),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중간층(318B),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316B),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중간층(318),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316), 및 수지층(312)을 이 순으로 갖고 있었다.
접착층(320)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은,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과 마찬가지로, 1.5질량%였다.
이 후, 실시예 1의 적층 필름(370)을 실란트층(330)끼리가 대향하도록 접합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삼방 주머니인 실시예 1의 포장 주머니(400A)를 제작하였다.
이 후, 피포장물(410)을 포장 주머니(400A) 내에 수용하여 밀봉하고, 실시예 1의 포장체(500A)를 제조하였다.
피포장물(410)로서는, 시스테인을 0.03질량% 포함하는 시스테인 수용액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24 내지 31]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4 내지 31은, 도공액(11Aa) 대신에,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37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4]
비교예 1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만을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적층 필름(36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도공액(100a) 대신에, 도공액(100bN)(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적층 필름(36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00bN)은,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00b)을 30분간 교반한 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공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되었다.
비교예 3 내지 14는,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교반 처리가 되고, 적층 필름(36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00bN)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100bP)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이며, 도공액(100b+)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도공액(200b)에 있어서의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200b+)에 있어서의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도공액(300b)에 있어서의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인 것에 반해, 도공액(300b+)에 있어서의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이다.
[비교예 15 내지 20]
비교예 15에서는, 도공액(11Aa) 대신에, 도공액(11Ab)(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5질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6의 적층 필름(37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도공액(11Ab)은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b)을 30분간 교반한 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공액(11Aa)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되었다.
비교예 16 내지 20은, 각각의 란에 기재된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교반 처리가 되고, 적층 필름(370), 포장 주머니(400A) 및 포장체(500A)를 제작하였다.
[평가 방법]
각 실시예, 각 비교예를 평가하기 위해, OM상 관찰 결과, 황화수소(H2S) 농도 및 라미네이트 강도가 측정되었다.
OM상 관찰 결과는,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지층측으로부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포함되는 접착층을 관찰하였다.
광학 현미경의 배율은 500배로 하여, 500㎛×500㎛의 범위에 있는 응집체를 관찰하였다. 500㎛×500㎛의 범위에 있는 9㎛ 이상의 응집체의 수를 [표 4]의 「응집체수」란에 기재하였다. 응집체 간의 거리를 [표 4]의 「응집체 간 거리」란에 기재하였다. 응집체 간의 거리는, 임의의 응집체의 거리를 10개 측정한 평균값이다.
또한, 접착층이나 배리어층 등에 알루미늄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층 필름의 단면을 알칼리 용액으로 용해 제거하여 광학 관찰해도 된다.
황화수소 농도 측정에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스테인 수용액을 수용한 포장체를 피검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각 피검 시료의 포장체에 대하여, 120℃에서 60분간 가열하는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였다. 레토르트 처리의 후, 포장체를 냉장고에서 1주일 보존하였다. 이 후의 각 포장체 내의 수용액을 채취하고, 메틸렌 블루법(파장: 668㎚)에 의해 황화수소 농도를 구하였다. 황화수소 농도의 산출에 있어서는, 미리 제작해 둔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황화수소 농도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라미네이트 강도의 측정 피검 시료로서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와,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주머니를 사용하였다.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는, 45℃, 4일간의 조건에서 에이징하였다. 이 후, 나일론층과 실란트층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JIS Z 0238:1998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상품명; (주)에이앤디제)를 사용하여 T형 박리법(크로스 헤드 스피드: 300㎜/분)에 의해 각 피검 시료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4]의 라미네이트 강도 처리 전」란에 나타냈다.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주머니의 피검 시료를 사용하여,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와 마찬가지로 하여 라미네이트 강도(N/15㎜ 폭)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4]의 라미네이트 강도 처리 후」란에 나타냈다. 단, [표 4]에서는, (N/15㎜ 폭)을 단순히 (N)이라고 표기하였다.
[평가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1의 적층 필름에서, 접착층(320)에 있어서, 500㎛×500㎛의 범위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 중, 9㎛ 이상의 응집체의 수는 6개 이상 23개 이하이며, 황화수소 농도는, 0.2mg/L 이하였다. 또한, 응집체 간 거리는, 103㎛ 이상 200㎛ 이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1의 적층 필름에서는,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6N/15㎜ 폭 이상이었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응집체수는 6 내지 23개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응집체수는 80 내지 156개이다. 비교예 1 내지 20에서는,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양쪽에 있어서 결과가 떨어져 있으므로, 응집체수는 30개 이하의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를 높이면서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4를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8개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14개이다. 실시예 5와 실시예 6을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9개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16개이다. 실시예 7과 실시예 8을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9개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16개이다. 실시예 12와 실시예 15를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6개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응집체수는 13개이다.
즉, 분산제의 양이 많은 쪽이, 응집체수가 적게 되어 있어, 첨가물 입자(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1에서는, 응집체 간의 거리는 103 내지 200㎛이다. 비교예 2 내지 20에서는, 응집체 간의 거리는, 40 내지 56㎛이다. 비교예 1 내지 20에서는,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양쪽에 있어서 결과가 떨어져 있으므로, 응집체 간의 거리는 100㎛ 이상의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를 높이면서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4를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79㎛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33㎛이다. 실시예 5와 실시예 6을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63㎛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26㎛이다. 실시예 7과 실시예 8을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63㎛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26㎛이다. 실시예 12와 실시예 15를 비교하면, 분산제가 40질량부의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200㎛인 것에 반해, 분산제가 5질량부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응집체 간의 거리는 141㎛이다.
즉, 분산제의 양이 많은 쪽이, 응집체 간의 거리가 짧게 되어 있어, 첨가물 입자를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19와 실시예 20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11질량%의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1.5질량%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이며, 입자량이 0.8질량%의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2mg/L이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5.0질량%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3.0질량%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2mg/L이다. 실시예 9와 실시예 11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9.5질량%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1.5질량%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이다. 실시예 13과 실시예 14를 비교하면, 입자량이 5.0질량%의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1mg/L이며, 입자량이 3.0질량%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2mg/L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이 많은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입자량이 0.5질량% 이상으로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는 충분히 있지만, 입자량이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0을 비교하면, 입자량이 1.5질량%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15㎜ 폭이며, 입자량이 11질량%의 실시예 20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6N/15㎜ 폭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이 많은 쪽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가 높지만,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이 10질량%를 초과하면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어 버리므로, 첨가물 입자의 입자량은 10질량% 이하가 좋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2와 실시예 21을 비교하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인 것에 반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의 실시예 21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6mg/L이다. 실시예 15와 실시예 22를 비교하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의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3mg/L인 것에 반해,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의 실시예 22에 있어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6mg/L이다.
즉,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여도 되지만, 평균 입자경이 너무 크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가 약간 떨어지므로, 평균 입자경은 45㎚ 이하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3, 실시예 4와 실시예 24, 실시예 11과 실시예 25, 실시예 10과 실시예 26, 실시예 12와 실시예 27, 실시예 15와 실시예 28, 실시예 16과 실시예 29, 실시예 16과 실시예 30, 실시예 20과 실시예 31은, 각각 전자의 중간층에 알루미늄 필름박이 들어가 있지 않고, 후자의 중간층에 알루미늄 필름박이 들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모두, 알루미늄 필름박의 유무에 관계없이, 레토르트 냄새의 흡착 효과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결과이다.
도 15는, 비교예 3의 OM상 관찰의 화상의 예이다. 비교예 3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6㎛, 10.3㎛ 및 11.3㎛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응집체 P이다.
[종합 평가]
레토르트 냄새([표 4]에는 「냄새」라고 기재)에 관해서는, 황화수소 농도가 0.04mg/L 이하인 경우, 양호([표 4]에는 「A」라고 기재), 황화수소 농도가 0.04mg/L를 초과하여 0.25mg/L 이하인 경우, 다소 양호([표 4]에는 「B」라고 기재), 0.25mg/L를 초과하는 경우, 불량([표 4]에는 「C」라고 기재)이라고 판정하였다.
라미네이트 강도([표 4]에는 「강도」라고 기재)에 관해서는,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7N/15㎜ 폭 이상인 경우, 양호([표 4]에는 「A」라고 기재),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6N/15㎜ 폭 이상 또한 7N/15㎜ 폭 미만인 경우, 다소 양호([표 4]에는 「B」라고 기재),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6N/15㎜ 폭 미만인 경우, 불량([표 4]에는 「C」라고 기재)이라고 판정하였다.
종합 평가로서는,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의 양쪽이 양호([표 4]에는 「A」라고 기재)인 경우에는, 양호([표 4]에는 「A」라고 기재)라고 판정하였다.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 중 어느 한쪽이 양호([표 4]에는 「A」라고 기재)이고, 다른 쪽이 다소 양호([표 4]에는 「B」라고 기재)인 경우에는, 다소 양호([표 4]에는 「B」라고 기재)라고 판정하였다.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의 양쪽이 다소 양호([표 4]에는 「B」라고 기재), 또는 레토르트 냄새 및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 중 어느 한쪽이 불량([표 4]에는 「C」라고 기재)인 경우에는, 불량([표 4]에는 「C」라고 기재)이라고 판정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8, 23 내지 29의 종합 평가 A였다. 실시예 19 내지 22, 30, 31의 종합 평가 B였다.
비교예 1은, 냄새의 평가 C였으므로, 종합 평가 C였다.
비교예 2 내지 8, 12 내지 20은, 레토르트 냄새 및 강도의 평가 B였으므로, 종합 평가 C였다.
비교예 9 내지 11은, 강도의 평가 C였으므로, 종합 평가 C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가 다른 경우라도,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여도 다른 부호가 달려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다.
이하, 특정한 수치 범위 하에 있어서 적합한 수치 범위가 복수 예시되는 경우, 바람직한 최대의 수치 범위에 포함되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한값과 하한값의 조합은 예시된 조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x1<x2<x3<x4로 하고, 양X가 바람직한 범위로서, 「x1 이상 x4 이하」와, 「x2 이상 x3 이하」가 예시된 경우, 예를 들어, 「x1을 초과 x4 미만」, 「x2 이상 x4 이하」, 「x3 이상 x4 이하」 등의 각 수치 범위도 바람직한 범위이다.
[제1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0)은, 기재 필름(610), 접착층(620) 및 실란트층(630)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610), 접착층(620) 및 실란트층(630)은, 이 순으로 적층하고 있다. 기재 필름(610), 접착층(620) 및 실란트층(630)은 각각 가시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50)은, 두께 방향(도시 상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다. 적층 필름(50)에 있어서의 광투과부는,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광투과부는 적층 필름(50)의 전체이다.
적층 필름(50)의 광투과부는,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3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이하에서는,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를, 단순히 「헤이즈」라고 기재한다.
기재 필름(610)은 수지층(612)과, 배리어층(614)을 갖는다.
수지층(612)은, 예를 들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으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612)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상술한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612)은, 동종의 수지 필름을 복수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 및 미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연신 필름과 적어도 하나의 미연신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수지층(612)은, 2축 방향으로 임의로 연신된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계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층(612)은, 특히 강도와 유연성을 양립하는 관점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612)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612)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나일론 필름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일론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6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65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수지층(612)의 두께는, 용도 또는 필요한 특성에 따른 두께로 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층(612)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이상 100㎛ 이하여도 되고, 6㎛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650)의 광투과부의 헤이즈를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수지층(612)은 적당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필러, 대전 방지제, 가소제, 활제 및 산화 방지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수지층(612)의 표면(612a)은, 포장 주머니를 형성할 때에 적층 필름(650)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면이다.
수지층(612)의 표면(612b)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612a)과 반대측의 표면이며, 후술하는 배리어층(614)과의 접합면이다.
적층 필름(650)의 광투과부의 헤이즈를 30%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적층 필름(650)에는 적당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면(612b)에는, 배리어층(61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표면 처리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약품 처리, 용제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및 오존 처리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들 수 있다.
배리어층(614)은, 적어도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층이다. 배리어층(614)은 수지층(612)의 표면(612b)에 적층된다.
배리어층(614)의 층수는, 적어도 1층의 배리어성을 갖는 층을 포함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614)이 단층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로서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증착층,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614)이 다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로서는, 수지 필름 등의 표면에 배리어성을 갖는 무기물이 코팅된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614)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늄,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기물은, 단층으로 배리어층(614)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층(612)의 표면에 증착되어도 된다.
배리어층(614)에 사용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으로서는, 나일론계 배리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계 배리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 필름은, 단층으로 배리어층(614)을 형성하는 경우, 압출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코팅 등에 의해, 수지층(612)에 적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614)으로서, 무기물이 코팅된 배리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늄, 규소 등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리어 필름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에 의해, 수지층(612)에 적층되어도 된다.
배리어층(614)은, 이상에 예시한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배리어층(614)의 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614)이 증착층을 포함하는 경우, 층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여도 된다.
배리어층(614)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플라스마 기상 성장법(CVD),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익스트루전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620)은, 배리어층(614)과, 후술하는 실란트층(630)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620)은, 접착제 성분과,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한다.
접착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등의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은, 후술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변질을 억제하기 쉬운 점에서, 2액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질의 억제 효과는,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한층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2액 경화형 접착제 중에서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입자는, 다가 이온을 생성하는 금속(이하, 다가 금속)으로 형성된 입자이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다가 금속의 화합물로 형성된 입자이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하, 냄새 원인 물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어 황 화합물 등을, 접착층(620) 내에서 포착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냄새 원인 물질이 되는 황 화합물로서는, 황화수소, 머캅탄, 이산화황, 삼산화황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의해 냄새 원인 물질을 포착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해명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은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착층(620)에 혼합하는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이 되는 화합물의 포착 작용이 있고, 접착층(620)의 접착제 성분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가 금속 입자로서, 예를 들어,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의 입자; 티타늄, 지르코늄,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의 전이 금속의 입자; 및 알루미늄의 입자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다가 금속 입자는, 접착층(62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쉽도록,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있거나, 표면이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유기산염(예를 들어, 아세트산염), 무기산염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산화물의 암모늄 착체, 다가 금속 산화물의 2 내지 4급 아민 착체, 또는 그들의 탄산염 혹은 유기산염의 입자가 사용되어도 된다.
접착층(620)의 내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쉬운 점에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는, 접착제 성분 중의 안정성과,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아연 화합물,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등의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취급하기 용이함과, 비용의 관점에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로서,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등의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첨가물 입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접착층(620)에 있어서,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하는 첨가물 입자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적층 필름(650)에 있어서의 광투과부의 헤이즈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량이 증가하므로, 레토르트 냄새를 억제하기 쉽다. 한편,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지거나, 적층 필름(650)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의 투명성의 점에서는,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 및 적층 필름의 투명성과, 레토르트 냄새의 저감 작용을 양립하기 쉬운 점에서는,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이면, 레토르트 냄새의 억제 효과가 너무 낮을 가능성이 있다.
첨가물 입자의 함유량이 10질량%를 초과하면,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너무 낮아지거나, 적층 필름의 투명성이 너무 낮아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분포는, 치우침이 적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응집 등에 의해 첨가물 입자의 분포가 특정한 부위에 집중하면, 적층 필름(650)에 있어서의 투명성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분포의 치우침은, 헤이즈를 상승시키거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하는 원인도 된다.
특히, 접착층(620)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가 큰 응집체가 형성되면 입상의 불균일로 되어 두드러지기 쉽다. 특히, 입상의 불균일이 근접하여 배열된 경우, 줄무늬 불균일이 형성되어 한층 두드러지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650)이 포장 주머니에 사용되고, 광투과부에 의해 포장 주머니의 피포장물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입상의 불균일이나 줄무늬 불균일이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650)의 광투과부의 투명성과,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접착층(620)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첨가물 입자가 형성되는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집체」는, 광의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고,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현미경 등으로 관찰했을 때의 외관 상의 덩어리를 의미한다. 외관 상의 덩어리가, 첨가물 입자의 응집 현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일정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분포 밀도가 높기 때문에 괴상으로 보이는 것인지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주사 전자 현미경(단면 SEM)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면 SEM의 배율을 10000배로 하여, 폭 방향으로 50㎛의 직사각형 영역을 촬영했을 때, 관찰되는 응집체의 최대 직경으로 판정한다.
응집체의 크기의 측정 개소는, 적층 필름(650)의 롤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500m 간격, 폭 방향에 있어서는, 200㎜ 간격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길이가 3000m, 폭이 600㎜의 적층 필름이면, 길이 방향으로 500m 간격으로 6개소, 폭 방향의 중앙과 중앙으로부터 200㎜ 부분의 3개소의 합계 21개소가 측정되어도 된다.
단, 응집체의 최대 직경을, 적층 필름(6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에 있어서 측정하는 경우, 포장 주머니에 있어서의 광투과부의 범위 내의 적절 위치로 측정하면 된다.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분포는, 폭 방향으로 50㎛의 직사각형 영역에 존재하는 평균 입자경의 10% 이상, 200% 이하의 응집체의 개수가, 5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줄무늬 불균일이 보이지 않게 되고, 적층 필름(650)을 포장 주머니로서 사용했을 때에 피포장물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는, 접착층(620)에 침투하는 냄새 원인 물질을 흡착함으로써, 포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첨가물 입자가 냄새 원인 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표면적은, 첨가물 입자의 단위 질량당의 표면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은, 1㎡/g 이상이어도 되고, 5㎡/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커지면 첨가물 입자의 입경이 너무 작아지고, 예를 들어, 환경 중에 비산되기 쉬워지므로,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첨가물 입자의 비표면적은, 100㎡/g 이하여도 되고, 5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이 너무 크면, 1.0㎛를 초과하는 응집체가 형성되기 쉬워지므로,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작은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첨가물 입자에 평균 입자경이 어느 정도 작으면,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 방법에 따라 변화하고, 평균 입자경의 크기와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상관은 약해진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첨가물 입자의 1차 입자로서의 평균 입자경을, 간단히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라고 표기한다. 평균 입자경의 정의는, 분체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5만 내지 20만배로 확대한 상으로부터, 면적 원 상당 직경을 구하고, 이하의 일반식으로부터 산출된다. 식: 평균 입자경=측정 입자의 면적 원 상당 직경의 총합/측정 입자수(적어도 100개 이상).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헤이즈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미만이면, 제조 비용이 높아지거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취급이 어려워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0㎚를 초과하면, 비표면적이 작아지므로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접착제 성분 중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를 저감하기 위해서, 접착층(620)에는, 첨가물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분산제를 1질량부 이상 50질량부 이하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분산제의 종류는,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접착제 성분 중에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산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산염, 폴리에테르인산에스테르,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알킬인산염,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알킬알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에스테르, 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JIS Z 0238: 1998에 준거하여, 텐실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T형 박리법(크로스헤드 속도: 300㎜/분)으로 측정한다.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예를 들어, 레토르트 후에 7N/15㎜ 폭 이상이 바람직하다.
접착층(620)의 두께는, 적층 필름(650)을 포장 주머니에 형성하는 경우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고, 또한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가 양호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층(6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1㎛ 이상 5㎛ 이하여도 되고, 0.03㎛ 이상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620)의 두께가 0.01㎛ 미만이면,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됨과 함께, 냄새 원인 물질의 포착량이 너무 적을 가능성이 있다.
접착층(620)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적층 필름(650)이 너무 두꺼워질 가능성이 있다.
실란트층(630)은, 적층 필름(650)을 다른 적층 필름과 열 융착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층이다. 실란트층(630)은 열에 의해 용융하고, 다른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실란트층과 서로 융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란트층(63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실란트층(630)에 사용하는 수지는, 예시된 수지 중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650)에 의해 보일 살균 또는 레토르트 살균을 하는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밀착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실란트층(630)으로서, 비연신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트층(630)은, 수지 조성물을 압출 라미네이션에 의해 성막하면서 접착층(620) 상에 적층해도 되고, 필름화한 시트를 접착층(620)에 접합해도 된다.
실란트층(6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150㎛ 이하여도 되고, 3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층 필름(650)의 제조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수지층(612)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에, 배리어층(614)이 적층된 기재 필름(610)을 준비한다.
이 후, 기재 필름(610)의 배리어층(614) 상에 접착층(620)과, 실란트층(630)을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드라이 라미네이션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화 후에 접착층(620)의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첨가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조제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기에 의해, 도공액을 기재 필름(610)의 배리어층(614)의 표면에 도공, 건조시켜, 실란트층(630)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과 기재 필름(610)을 열 롤을 사용하여 열압착한다.
도공액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공액은,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 나이프 코터, 바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딥 코터, 스핀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적층 방법으로서는 논솔라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접착층(620)의 접착 성분으로서 논솔 접착제 첨가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공액을 제조할 때에는,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첨가물 입자를 혼합하고,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가 1.0㎛ 이하로 되도록 첨가물 입자를 도공액에 분산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도공액에는,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첨가물 입자와 함께 접착제에 직접 첨가되어도 되지만,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를 용제에 분산시켜, 예를 들어, NV30%의 입자 분산액을 형성한 후에 입자 분산액과 접착제를 혼합하고, 도공액을 조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공액 중의 첨가물 입자의 분산이 촉진된다.
첨가물 입자는,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와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첨가물 입자를 미세화하는 물리적 해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공액 중의 첨가물 입자의 미세화와 분산이 촉진된다.
물리적 해섬 처리로서는, 고압 균질기, 초고압 균질기, 비즈 밀, 롤밀, 커터 밀, 유성 밀, 제트 밀, 어트리터, 그라인더, 쥬서 믹서, 호모 믹서, 초음파 균질기, 나노게나이저, 수중 대향 충돌 등의 기계적 처리를 들 수 있지만, 첨가물 입자와 분산제를 용제에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에 비즈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원심력의 에너지를 갖는 비즈에 의해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비즈 밀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1 이상의 수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즈 밀)을 사용하여, 도공액 중에 미세화된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공액 중의 응집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공액에 있어서의 침전물의 발생도 억제되므로, 첨가물 입자를 효율적으로 도공액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첨가물 입자를 효율적으로 도공액 중에 분산시켜 도공액 중의 응집체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헤이즈의 증가가 억제된다. 첨가물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의 헤이즈로서는, 첨가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의 헤이즈에 대한 비율이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의 헤이즈에 대한 첨가물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의 헤이즈의 비율을 1.10 이하로 함으로써, 적층 필름(650)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첨가물 입자를 분산시켜 응집체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줄무늬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도공액이 준비되면, 도공 전에 여과 처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여과 필터의 구멍 직경을 1.0㎛ 이하로 함으로써, 여과 후의 응집체를 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 필름(650)은,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배리어층(614)을 구비하기 때문에, 수지층(612)을 투과한 산소 및 수증기가, 접착층(620)과 실란트층(630)을 투과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 등이 포장 주머니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층 필름(650)에 의해 형성된 포장 주머니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체에서는, 산소 및 수증기의 적어도 한쪽에 기인하는 피포장물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산소 및 수증기의 적어도 한쪽에 기인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열화도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적층 필름(650)은, 기재 필름(610)과 실란트층(630) 사이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620)을 가지므로, 실란트층(630)을 통하여 접착층(620)에 침투한 황 화합물 등의 냄새 원인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650)에 의해 형성된 포장 주머니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체에서는, 피포장물에서 유래되는 황 화합물 등의 냄새 원인 물질이 접착층(620)에 침투함에 따라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포착된다. 이 결과, 피포장물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적층 필름(650)의 광 투과부에 있어서 헤이즈가 30% 이하로 되도록 함유되어 있으므로, 투명성이 높고, 적층 필름(650)을 통한 피포장물의 시인성의 향상 및 줄무늬 불균일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헤이즈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되는 정도로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접착층(620)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접착층(620)의 접착제 성분에 혼합되어 있으므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피포장물에 포함되는 아세트산이나 아미노산 등의 성분과 반응하여 변질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와, 라미네이트 강도가 경시적으로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에 의하면, 피포장물을 시인하기 쉬운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에 의하면, 비즈 밀에 의한 물리적 해섬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첨가물 입자를 효율적으로 도공액 중에 분산시켜 도공액 중의 응집체의 성장을 억제하여 헤이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적층 필름(650)의 투명성의 저하 및 줄무늬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60)은, 제1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610) 대신에 기재 필름(610A)을 구비한다. 적층 필름(660)은, 적어도 일부에 광 투과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되지만,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적층 필름(660)의 전체가 광 투과부이다.
기재 필름(610A)은, 배리어층(614)과 접착층(620) 사이에, 접착층(616)과, 중간층(618)을 이 순서대로 구비한다. 이하, 제1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접착층(616)은, 배리어층(614)과 중간층(618)을 접착하는 층이다.
접착층(616)은,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접착제 성분으로서 예시된 재료 중, 1종 이상의 재료가 사용된다. 접착층(616)은,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의 접착층(620)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층(616)에는,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6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660)은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접착층을 복수 갖는 경우의 예이다.
접착층(6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접착층(616)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660)의 광 투과부에 있어서의 헤이즈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층(616)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은, 적층 필름(650)에 있어서의 접착층(620)에 있어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종류 및 적합한 수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의 접착층(620)의 종류, 함유량, 비표면적, 층 두께 및 평균 입자경도 마찬가지이다.
접착층(616)에 첨가물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 및 분포는, 적층 필름(660)의 광 투과부에 있어서의 헤이즈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최대 직경은,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의 접착층(620, 616) 각각이, 적층 필름(650)에 있어서의 접착층(6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의 첨가물 입자의 응집체의 분포는,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 접착층(620, 616) 각각이, 적층 필름(650)에 있어서의 접착층(620)의 바람직한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618)은, 배리어층(614)과 실란트층(630) 사이에 배치된 수지층이다. 중간층(618)은, 접착층(616)을 통하여 배리어층(614)에, 접착층(620)을 통하여 실란트층(6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중간층(618)의 재료는, 적층 필름(660)의 헤이즈를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할 수 있는 광 투과성의 수지층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층(618)의 종류는, 적층 필름(660)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 기계적 강도, 내굴곡성, 내찌르기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차광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선택하면, 당해 특성이 적층 필름(660)에 있어서 향상된다.
예를 들어, 중간층(618)의 적합한 재료로서,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618)으로서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되고,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핀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650)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로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층 필름(660)에 핀홀이 발생하여 피포장물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60)은, 기재 필름(610) 대신에, 배리어층(614)에 접착층(616)과 중간층(618)을 적층시킨 기재 필름(610A)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는, 적층 필름(650)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접착층(616)이 첨가물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층(616)은,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착층(620)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60)에 의하면, 배리어층(614)과 접착층(620) 사이에, 접착층(616)과 중간층(618)이 적층된 것 이외에는, 제1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고, 또한, 헤이즈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고, 피포장물을 시인하기 쉬운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적층 필름(660)에 의하면, 중간층(618)을 포함하므로, 중간층(618)의 특성에 따라서 적층 필름(660)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616)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냄새 원인 물질을 포착하는 층이 2층 있으므로, 냄새 원인 물질의 저감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체(800)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700)와, 포장 주머니(700)의 내부에 수용된 피포장물(710)을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70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의 주연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시일부(701)와, 시일부(701)에 의해 둘러싸인 한 쌍의 적층 필름(65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702)를 구비한다. 즉, 포장 주머니(700)는 측단부, 하단부 및 상단부가 시일부(701)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수용부(702)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 사이에 끼워져 시일부(701)에 포위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예를 들어, 식료품 등의 피포장물(710)이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장체(800)는, 식료품을 포함하는 피포장물(710)을 가열 살균하고, 포장 주머니(700)로 밀봉한 레토르트 식품이어도 된다.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은, 제1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은, 각각의 실란트층(630)끼리가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있다. 각 실란트층(630)은,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의 외주부에 있어서 열 융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일부(701)가 형성되어 있다.
포장 주머니(700)는, 개봉부(72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봉부(720)는, 측단부의 시일부(701)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724)와, 한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724) 사이에 절개의 궤도가 되는 하프컷 선(721)을 갖는다.
개봉 용이 가공부(724)는, 포장 주머니(70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 가공부(724)는, 시일부(701)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오목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상흔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 가공부(724)는, 시일부(701)의 단부 테두리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치여도 된다. 노치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V자상, U자, I자상 등의 노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하프컷 선(721)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700) 및 포장체(8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포장 주머니(700)의 외형에 맞춰서 절단된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을 준비한다.
이 후,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적층 필름(650)의 실란트층(630)끼리를 대향시켜, 각 적층 필름(650)의 하단부 및 측단부의 실란트층(630)끼리를 열 융착한다.
이에 의해, 하단부 및 측단부에 시일부(701)가 형성된다. 시일부(701)에서 U자상으로 포위된 각 적층 필름(650)의 내측에는, 수용부(702)가 형성된다.
포장 주머니(700)의 상단에는, 수용부(702)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 후, 미시일 상태에 있는 포장 주머니(700)의 상단부로부터 피포장물(710)을 충전한다. 이 후, 상단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적층 필름(650)의 실란트층(630)끼리를 열 융착하여, 상단부에도 시일부(7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8에 도시하는 포장체(80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700)에 있어서는, 수용부(702)가 제1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적층 필름(6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적층 필름(650)은, 배리어층(614)을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내부에 침투하는 산소 및 수증기를 억제하고, 산소 및 수증기에 기인하는 배리어층(614)보다도 내측의 부재 및 피포장물(71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각 적층 필름(650)은, 배리어층(614)보다도 내측(피포장물측)의 접착층(620) 내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710)로부터 발생하는 황 화합물 등의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 물질을 장기간에 걸쳐서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 주머니(700)는, 수용부(702) 내의 피포장물(710)의 내부에 축적하는 레토르트 냄새의 원인 물질이 수용부(702) 내에 피포장물(710)에 축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포장체(800)를 개봉한 경우에 발생하는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다.
피포장물(710)은 그 종류에 따라,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변질시켜, 레토르트 냄새의 포착 작용을 열화시키는 성분(열화 원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식품에 포함되는 아세트산 등의 산은,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변질시키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접착제 성분 중에 혼합되어, 접착제 성분으로 덮여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와, 열화 원인 성분과의 화학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열화되기 어렵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700) 및 포장체(800)에 의하면, 제1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650)을 구비하므로, 제1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고 피포장물을 시인하기 쉬운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체(810)는, 포장 주머니(750)와, 제1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피포장물(710)을 구비한다.
포장 주머니(750)는, 1대의 적층 필름(650)과, 각 적층 필름(650)의 하단부에 접착된 바닥 테이프를 구비하는 스탠딩 파우치이다. 바닥 테이프(752)는, 적층 필름(650)과 마찬가지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750) 및 포장체(810)는, 바닥 테이프(752)를 포함함으로써, 스탠딩 파우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13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700) 및 포장체(8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포장체(810)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 및 바닥 테이프(752)를 사용한 주지의 스탠딩 파우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포장 주머니(750)를 제조한 후, 상단부로부터 피포장물(710)을 충전하고, 상단부를 시일하여 시일부(701)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750) 및 포장체(810)는, 제1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650)을 구비하므로, 제1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필름(650, 660)의 전체가 광 투과부인 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적층 필름(650, 660)의 적당한 부위에, 인쇄층을 마련함으로써, 적층 필름(650, 660)의 일부에 차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650, 660)의 일부에 광 투과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3 실시 형태과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650)에 의해 포장 주머니(700)를 형성하는 경우,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인쇄층에 의한 차광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650, 660)에 있어서, 인쇄층은, 수지층(612)과 배리어층(614) 사이에 마련되어도 된다.
인쇄층은, 예를 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니트로셀룰로오스계, 또는 고무계 등의 결합제 수지에, 각종 안료, 가소제, 건조제 및 안정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에 의해 구성되는 층이다. 이 인쇄층에 의해, 문자, 무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인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프셋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공지된 인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수지층(612)의 표면(612b)에는, 미리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 또는 오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인쇄층과 수지층(612)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은, 일례이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은, 접착층(620)과 실란트층(630) 사이, 또는 수지층(612)과 배리어층(614) 사이에, 적층 필름의 기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층 또는 박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적층 필름(660)의 접착층(620)에 함유되어 있는 예와, 적층 필름(660)의 접착층(620, 616)의 양쪽에 함유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는, 접착층(616)에만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중간층이 1층인 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적층 필름에는, 중간층이 2층 이상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제13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700) 및 포장체(800)를 형성하는 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6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60)에 의해,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형성해도 된다.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60)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포장 주머니(700) 및 포장체(80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660)을 구비하므로, 적층 필름(66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750) 및 포장체(810)를 형성하는 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층 필름(6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60)에 의해, 포장 주머니(750A) 및 포장체(810A)를 형성해도 된다.
포장 주머니(750A) 및 포장체(81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 대신에 한 쌍의 적층 필름(660)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포장 주머니(750) 및 포장체(81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주머니(750A) 및 포장체(810A)는, 한 쌍의 적층 필름(660)을 구비하므로, 적층 필름(66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제13 및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적층 필름(650)을 사용하여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형성하는 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의 일부 외주부에 적층 필름(650)이 사용되고 있으면, 다른 외주부의 적층 필름은, 적층 필름(650)과 다른 층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1매의 적층 필름(650)에 함유되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의해, 레토르트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적층 필름에는,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1매의 적층 필름(650)에 광 투과부가 형성됨으로써, 피포장물의 내용을 시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적층 필름(650)에는 광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3 및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 주머니가, 사방 주머니 및 스탠딩 파우치의 예에서 설명했지만, 포장 주머니의 형상은, 이들에는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다른 주머니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 주머니의 형상은, 이방 주머니, 삼방 주머니, 또는 합장 주머니여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 주머니는, 구 마개 또는 띠상의 돌기부와, 띠상의 홈부와, 지만 끼워 맞춤함으로써 반복 밀봉하는 것이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패스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3 및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피포장물(710)이 식료품의 예에서 설명했지만, 피포장물(710)은 식료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광 투과부에 있어서,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접착층(620)이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을 때의 광 투과부에 있어서,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헤이즈에 대한 비율이 1.10 이하이고, 또한, 접착층(620)에 있어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은 14.0배 이하여도 된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실시예 1 내지 19에 대해서, 비교예 1 내지 17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19 및 비교예 2 내지 17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입자 분산액에 대하여 통합하여 설명한다. 각 입자 분산액은,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제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하기 [표 5]에 실시예 1 내지 19 및 비교예 2 내지 17의 적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입자 분산액의 조성과 분산 처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입자 분산액(11Aa)]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자 분산액(11Aa)은, 아세트산에틸 중에, 다가 금속 산화물인 산화아연(ZnO)의 미립자(이하, 산화아연 입자)를 분산시켜서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은 이하와 같이 조제되었다.
먼저, 용매인 아세트산에틸에 산화아연 입자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형성하였다. 산화아연 입자로서는, 평균 입자경이 35㎚이고 비표면적이 30㎡/g인 FINEX-30(상품명; 사까이 가가꾸 고교(주)제)이 사용되었다. FINEX(등록 상표)-30의 첨가량은, 혼합액의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양으로 되었다.
이 후, 혼합액에, 폴리에스테르산아미드아민염과, 알킬시클로헥산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분산제 A를 첨가하였다. 분산제 A는,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산의 아마인드아민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산제이다.
분산제 A의 첨가량은,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을 100질량부로 하여, 5질량부로 하였다.
이 혼합액에,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표 5]에는 「비즈 밀」이라고 기재)를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용매 중에 산화아연 입자가 분산된 입자 분산액(11Aa)이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Ba)]
입자 분산액(11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Ca)]
입자 분산액(11C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2Aa, 12Ba)]
입자 분산액(12Aa)는, 분산제로서, 분산제 A 대신에, 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분산제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분산제 B는, 폴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화합물계의 분산제이다.
입자 분산액(12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2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3Aa, 13Ba)]
입자 분산액(13Aa)은, 분산제로서, 분산제 A 대신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물과, 아세톤과, 메탄올을 함유하는 분산제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분산제 C는,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산제이다.
입자 분산액(13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3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Aa, 14Ba, 14Ca)]
입자 분산액(14Aa)은, 산화아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이며, 비표면적이 50㎡/g인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C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5Aa, 15Ba)]
입자 분산액(15Aa)은, 산화아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이며, 비표면적이 25㎡/g인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5Ba)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5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00a, 200a, 300a, 400a)]
입자 분산액(100a)은, 분산제가 첨가되지 않은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400a)은, 산화아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이며, 비표면적이 50㎡/g인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200a)은, 산화아연 입자 대신에, 후지 필름 와코준야쿠(주)제의 산화알루미늄(Al2O3)의 입자(이하, 산화알루미늄 입자)가 사용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45㎚이며, 비표면적은 27㎡/g이었다.
입자 분산액(300a)은, 산화아연 입자 대신에, Stream Chemicals사제의 산화마그네슘(MgO)의 입자(이하, 산화마그네슘 입자)가 사용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20㎚이며, 비표면적은 50㎡/g이었다.
[입자 분산액(11Ab, 11Bb, 11Cb)]
입자 분산액(11Ab)은,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표 5]에는 「교반만」이라고 기재)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a)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B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1C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1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Ab, 14Bb)]
입자 분산액(14Ab)은,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4Bb)은,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4Ab)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100b, 200b, 300b, 400b)]
입자 분산액(100b)은,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1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200b)은, 유성형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2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300b)은, 유성형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3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입자 분산액(400b)은, 유성형 비즈 밀을 사용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혼합액을,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입자 분산액(400a)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되었다.
하기 [표 6], [표 7]에 실시예 1 내지 19, 비교예 1 내지 17의 제조 조건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수지층(612)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도요보 에스테르(등록 상표) 필름 E5100(상품명; 도요보(주)제)이 사용되었다. E5100은, 두께가 12㎛, 길이가 500m, 폭이 600㎜였다.
수지층(612)의 한쪽의 표면(12b)을 코로나 처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표면(12b) 상에 진공 증착기를 사용하여, SiOx를 포함하는 배리어층(614)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규소 분말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혼합한 증착 재료를 준비하고, 진공 증착기에 의해, 표면(12b) 상에 원소비 O/Si가 1.5(x=1.5)인 증착층이 형성되도록 증착이 행해졌다. 배리어층(614)의 두께 50㎚였다.
이 후, 배리어층(614)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2액 경화형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A626/A50(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주)제)을 도공하여, 두께 15㎛의 나일론 필름인 엠블럼(등록 상표) ON(상품명; 유니티카(주)제)을 적층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616)과 중간층(618)이 형성되었다.
입자 분산액(11Aa)를 사용하여, 접착층(620)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상술한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인 A626과 A50을, 질량비가 8:1이 되도록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인 접착제를 형성하였다. 이 후, 접착제에 입자 분산액(11Aa)를 첨가하고, 접착제의 고형분과 산화아연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산화아연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이, 1.5질량%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하, 간단화를 위하여, 「접착제의 고형분과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에 고형분의 비율」을,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이라고 칭한다. [표 6]에는 「입자량」이라고 기재하였다.
이 후, 접착제와 입자 분산액(11Aa)의 혼합액을, 교반 날개에 의해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다음으로, 혼합액을 구멍 직경 1㎛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실시예 1에 사용하는 도공액(11Aa)을 얻었다. 분산 처리가 행해진 입자 분산액(11Aa)에서는, 산화아연 입자가 응집되기 어려웠으므로, 혼합액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대부분은 멤브레인 필터를 투과하였다.
이 후, 중간층(618)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기를 사용하여 도공액(11Aa)을 도공하고, 실란트층(630)으로서, 두께 80㎛의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공압출 필름과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7에 도시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660)을 얻었다. 즉, 이 적층 필름(660)은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란트층(630),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620), 나일론 필름을 포함하는 중간층(618), 산화아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616), 배리어층(614) 및 수지층(612)을 이 순으로 갖고 있었다.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은,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과 마찬가지로, 1.5질량%였다.
이 후, 실시예 1의 적층 필름(660)을, 실란트층(630)끼리가 대향하도록 접합하고, 도 19에 도시하는 삼방 주머니인 실시예 1의 포장 주머니(700A)를 제작하였다.
이 후, 피포장물(710)을 포장 주머니(700A) 내에 수용하여 밀봉하고, 실시예 1의 포장체(800A)를 제조하였다.
피포장물(710)로서는, 시스테인을 0.03질량% 포함하는 시스테인 수용액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2 내지 19]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도공액(11A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이며,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C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5.0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C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B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에서는, 분산제로서 분산제 B를 5질량부의 첨가량으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2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2B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에서는, 분산제로서 분산제 C를 5질량부의 첨가량으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3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3B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에서는, 분산제를 첨가하지 않는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00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00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에서는, 평균 입자경이 20㎚이고 비표면적이 50㎡/g인 산화아연 입자를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4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이며,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4C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4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5.0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4C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5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4B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6에서는, 분산제를 첨가하지 않는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400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7에서는, 평균 입자경이 45㎚이고 비표면적이 27㎡/g인 산화알루미늄 입자를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200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8에서는, 평균 입자경이 20㎚이고 비표면적이 50㎡/g인 산화마그네슘의 입자를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300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9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0.8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필름(660), 포장 주머니(700A) 및 포장체(800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9에 사용한 각 입자 분산액은 모두 분산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응집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각 도공액을 제작할 때의 여과 공정에 있어서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대부분은 멤브레인 필터를 투과하였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660)의 접착층(620)에 있어서의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함유량은, 도공액에 있어서의 입자량과 마찬가지였다.
[비교예 1 내지 17]
비교예 1에서는, 다가 금속 입자 및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따라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만을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도공액(100a) 대신에, 도공액(1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3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에서는, 도공액(11Aa) 대신에, 도공액(11A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4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3.0질량%이며, 분산제의 첨가량을 2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C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5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6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B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6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에서는, 도공액(200a) 대신에, 도공액(2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7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8에서는, 도공액(300a) 대신에, 도공액(3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8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9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9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0에서는,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2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0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1에서는, 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입자량이 9.5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3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1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2에서는, 도공액(14Aa) 대신에, 도공액(14A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2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3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4B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3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4에서는, 도공액(400a) 대신에, 도공액(400b)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4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5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입자량이 11질량%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1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5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6에서는, 산화아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60㎚이며, 비표면적이 25㎡/g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5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6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7에서는, 분산제의 첨가량을 40질량부로 한 입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공액(15B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7의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및 포장체를 제작하였다.
[측정 항목]
각 실시예, 각 비교예를 평가하기 위해서, 헤이즈, 비교예 1의 헤이즈에 대한 헤이즈의 비율(헤이즈 비율), 응집체의 최대 직경, 최소 직경 및 평균 직경, 황화수소(H2S) 농도 및 라미네이트 강도가 측정되었다.
헤이즈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적층 필름을 피검 시료로 하여, JIS-K-7136에 준거하여 측정되었다. 헤이즈의 측정에는, 헤이즈 미터 NDH 2000(상품명; 닛폰 덴쇼쿠 고교(주)제)이 사용되었다. 광원으로서는, 5V 9W의 할로겐 램프, 수광 소자로서는, 실리콘 포토 셀이 사용되었다. 측정 영역은, 4㎝×4㎝의 직사각형 영역을 포함하었다. 적층 필름의 롤 방향(길이 방향)의 측정 개소는, 도공액의 도공 개시 위치 부근과, 도공 종료 위치 부근의 2군데로 하였다. 도공 개시 위치와 도공 종료 위치의 거리는 500m였다. 롤 방향의 각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측정 개소는,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200㎜ 이격된 2군데의 3군데로 하였다. [표 7]의 「헤이즈」란에 6군데의 측정 개소의 측정값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응집체의 크기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적층 필름을 피검 시료로 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단면상을 배율 10000배로 접착층을 따라서 50㎛ 연속하여 촬영하여 측정하였다.
황화수소 농도 측정에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스테인 수용액을 수용한 포장체를 피검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각 피검 시료의 포장체에 대하여 120℃에서 60분간 가열하는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였다. 레토르트 처리 후, 포장체를 냉장고에서 1주일 보존하였다. 이 후의 각 포장체 내의 수용액을 채취하고, 메틸렌 블루법(파장: 668㎚)에 의해 황화수소 농도를 구하였다. 황화수소 농도의 산출에 있어서는, 미리 작성해 둔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황화수소 농도의 측정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라미네이트 강도의 측정 피검 시료로서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와,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주머니를 사용하였다.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는, 45℃, 4일 사이의 조건에서 에이징하였다. 이 후, 나일론층과 실란트층의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JIS Z 0238:1998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상품명; (주) 에이앤디제)를 사용하여 T형 박리법(크로스헤드 속도: 300㎜/분)으로 각 피검 시료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7]의 라미네이트 강도 레토르트 전의 란에 나타냈다.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주머니의 피검 시료를 사용하여,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와 마찬가지로 하여 라미네이트 강도(N/15㎜ 폭)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7]의 라미네이트 강도 레토르트 후의 란에 나타냈다. 단, [표 7]에서는, (N/15㎜ 폭)을 간단히 (N)으로 표기하였다.
[측정 결과]
[표 6],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50㎚ 이하이며, 입자량이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실시예 1 내지 19의 적층 필름(660)은 헤이즈 비율이 1.10 이하, 보다 상세하게는 헤이즈 비율이 1.00이었다.
일반적으로 헤이즈는, 입자량이 많은 쪽이 높아지지만, 실시예 1 내지 19의 적층 필름(660)의 헤이즈 비율은, 첨가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적층 필름과 동등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9의 적층 필름(660)에서 관찰된 응집체의 평균 직경은, 20㎚ 이상, 120㎚ 이하이며, 최대 직경(긴 직경)은 250㎚ 이하였다. 「응집체의 평균 직경」은, 응집체의 직경(긴 직경)을 모두 합계하고, 응집체의 개수로 나눈 값이다.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감안하면, 실시예 1 내지 19의 적층 필름(660)에서 관찰된 응집체는, 폭 방향으로 50㎛의 직사각형 영역에 존재하는 평균 입자경의 10% 이상, 200% 이하의 응집체의 개수가 50개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최대 직경이 작고 미세한 많은 응집체가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 내지 17 중, 분산 처리가 교반만인 비교예 2 내지 14의 적층 필름(660)은 헤이즈 비율이 1.12 내지 1.32이며, 실시예 1 내지 19의 적층 필름(660)과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2 내지 14의 적층 필름(660)에서 관찰된 응집체의 평균 직경은, 2.0㎛ 이상이며, 최대 직경(긴 직경)은 3.0㎛ 이상이었다.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감안하면, 비교예 2 내지 15의 적층 필름(660)에서 관찰된 응집체는, 첨가물 입자가 100개 내지 수백개 정도 응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1은, 실시예 2의 적층 필름의 사진 화상의 예이다. 도 22는, 비교예 5의 적층 필름의 사진 화상의 예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적층 필름에서는, 1㎛를 초과하는 응집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5의 적층 필름에서 관찰된 응집체의 크기는 3.0㎛를 초과해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19에 있어서의 접착층은, 도공액 조제 공정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하여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교반만으로 분산 처리를 행한 비교예 2 내지 14와 비교하여 헤이즈에 악영향을 주는 응집이 미소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하여 제조된 접착층을 갖는 적층 필름(660)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헤이즈에 악영향을 미칠 일 없이, 고기능을 발현 가능한 여러가지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8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에서는, 헤이즈 비율이 1.10 이하인 것에 추가로 시인성, 냄새, 강도의 모두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하고, 헤이즈 비율이 1.10 이하인데, 입자량이 0.8질량%인 실시예 19는, 냄새, 강도에 대하여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입자량이 적은 것에 의해 냄새의 저감 및 강도 확보가 불충분했다고 생각된다.
한편, 도공액 조제 공정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했지만, 입자량이 10질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15에서는, 시인성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도공액 조제 공정에 있어서 첨가물 입자,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했지만, 첨가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0㎚를 초과한 비교예 16, 17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19와 비교하여 양호한 시인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헤이즈 비율이 1.10 이하를 충족하는 값으로는 되지 않았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포장 주머니의 레토르트 처리 전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트 강도는, 11N/15㎜ 폭 내지 12N/15㎜ 폭으로, 대략 동등하였다.
이에 반해,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모두, 저하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내지 18은 8N/15㎜ 폭이며 3N/15㎜ 폭의 저하였다.
또한, 실시예 19는 5N/15㎜ 폭의 저하였다.
첨가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은, 2N/15㎜ 폭의 저하에 머물렀지만, 비교예 2 내지 17에 대해서는, 3N/15㎜ 폭 내지 8N/15㎜ 폭의 저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층에 있어서의 입자량이 증대할수록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
시인성, 레토르트 냄새, 라미네이트 강도(레토르트 전), 라미네이트 강도(레토르트 후), 라미네이트 강도(종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시인성에 대해서는, 헤이즈 비율이 25% 이하를 「A」라고 판정하고, 25%를 초과하고 28% 이하를 「B」라고 판정하고, 28%를 초과한 경우를 「C」라고 판정하였다.
레토르트 냄새([표 7]에는 「냄새」라고 기재)에 대해서는, 황화수소 농도가 0.04mg/L 이하를 「A」라고 판정하고, 0.04mg/L을 초과하고 0.25mg/L 이하를 「B」라고 판정하고, 0.25mg/L을 초과한 경우를 「C」라고 판정하였다.
라미네이트 강도에 대해서는, 레토르트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7N/15㎜ 폭 이상을 「A」라고 판정하고, 7N/15㎜ 폭 미만을 「B」라고 판정하였다.
[종합 평가]
종합 평가로서는, 시인성, 레토르트 냄새, 라미네이트 강도(종합) 중 모두 「A」 판정의 경우에 종합 평가 「A」로 하고, 「A」 판정이 2개 「B」 판정이 1개인 경우에 종합 평가 「B」로 하고, 「B」 판정이 2개 이상 또는 「C」 판정을 포함하는 경우에 종합 평가 「C」로 하였다.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8의 종합 평가는, 모두 「A」의 판정이며, 실시예 19의 종합 평가는 「B」의 판정이었다. 실시예 1 내지 19는, 모두 헤이즈 비율이 1.10 이하이며 시인성으로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 내지 19는, 레토르트 냄새가 모두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향상되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 내지 19는, 라미네이트 강도가 모두 「B」 이상의 판정이며,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즉, 실시예 1 내지 19는, 시인성, 레토르트 냄새, 라미네이트 강도에 대해서, 모두 양호한 결과이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대해서도 개시한다.
[1]
두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 적층 필름이며,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과,
접착제 성분과, 상기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과,
실란트층
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25% 이하인,
적층 필름.
[2]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과, 접착제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비율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10㎚ 이상 5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 필름.
[4]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분포는, 폭 방향으로 50㎛의 직사각형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평균 입자경의 10% 이상, 200% 이하의 응집체의 개수가 50개 이상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5]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평균 직경은, 20㎚ 이상 120㎚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6]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7]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8]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9]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최대 직경은 1.0㎛ 이하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0]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갖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1]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주머니이며,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주머니.
[12]
[11]에 기재된 포장 주머니와,
상기 포장 주머니 중에 수용되는 피포장물
을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주머니.
[13]
상기 피포장물은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주머니.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형태를 각 실시예와 함께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각 실시 형태 및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를 2개 이상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레토르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강도가 양호하다.
10, 10A, 310, 310A, 610, 610A: 기재 필름
12, 312, 612: 수지층
14, 314, 614: 배리어층
16, 316, 616: 접착층
18, 318, 618: 중간층
20, 320, 620: 접착층
30, 330, 630: 실란트층
50, 60, 70, 350, 360, 370, 650, 660: 적층 필름
100, 100A, 150, 150A, 400, 450, 700, 750: 포장 주머니
110, 710: 피포장물
200, 200A, 210, 500, 510A, 800, 810A: 포장체

Claims (35)

  1. 소정의 층과,
    접착제 성분과, 상기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과,
    실란트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응집체의 최소 직경에 대한, 상기 응집체의 최대 직경의 배율은 14.0배 이하인,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체의 평균 응집체 직경은 150㎚ 이하인, 적층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체 중 평균 입자경의 10 내지 200%의 크기의 상기 응집체는 60개 이상인,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이 3.0㎛ 이상인 상기 응집체는 없는, 적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응집체 직경과 동일 정도의 직경의 상기 응집체에 대해서, 인접하는 상기 응집체끼리의 거리의 평균값인 응집체 간의 거리는 3.0㎛ 이하인, 적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층은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인, 적층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갖는, 적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는, 적층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45㎚ 이하인, 적층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인, 적층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적층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인, 적층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500㎛×500㎛의 범위에,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 중, 9㎛ 이상의 상기 응집체의 수는 30개 이하인, 적층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체 간의 거리는 100㎛ 이상인, 적층 필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층은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인, 적층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갖는, 적층 필름.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는, 적층 필름.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45㎚ 이하인, 적층 필름.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인, 적층 필름.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적층 필름.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인, 적층 필름.
  22. 제1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고,
    상기 소정의 층이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이며,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및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을 때의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헤이즈에 대한 비율이 1.10 이하인, 적층 필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과, 접착제의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고형분의 비율은,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적층 필름.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10㎚ 이상 50㎚ 이하인, 적층 필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분포는, 폭 방향으로 50㎛의 직사각형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평균 입자경의 10% 이상, 200% 이하의 상기 응집체의 개수가 50개 이상인, 적층 필름.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평균 직경은, 20㎚ 이상 120㎚ 이하인, 적층 필름.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의 비표면적이 1㎡/g 이상인, 적층 필름.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적층 필름.
  29.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성분은 2액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인, 적층 필름.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가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최대 직경은 1.0㎛ 이하인, 적층 필름.
  31. 제22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나일론층을 갖는, 적층 필름.
  32.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주머니이며,
    상기 필름은,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주머니.
  33. 제32항에 기재된 포장 주머니와,
    상기 포장 주머니 중에 수용되는 피포장물
    을 구비하는, 포장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물은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포장체.
  35. 배리어층을 갖는 기재 필름과,
    접착제 성분과, 상기 접착제 성분에 혼합된 다가 금속 입자 또는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는 접착층과,
    실란트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고,
    두께 방향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JIS-K-7136에 규정되는 헤이즈의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및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함유하지 않을 때의 상기 광투과부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헤이즈에 대한 비율이 1.10 이하이며,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경화 후에 상기 접착제 성분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조제하는 도공액 조제 공정을 갖고,
    상기 도공액 조제 공정에서는, 상기 다가 금속 입자 또는 상기 다가 금속 화합물 입자,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한 상태에서 비즈 밀에 의한 분산 처리를 행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37012405A 2020-10-16 2021-09-07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30087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4465 2020-10-16
JPJP-P-2020-174465 2020-10-16
JP2020213930 2020-12-23
JPJP-P-2020-213930 2020-12-23
JP2021103481A JP2023002311A (ja) 2021-06-22 2021-06-22 積層フィルム、包装袋、および包装体
JP2021103474A JP2022066135A (ja) 2020-10-16 2021-06-22 積層フィルム、包装袋、包装体、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21-103478 2021-06-22
JPJP-P-2021-103481 2021-06-22
JPJP-P-2021-103474 2021-06-22
JP2021103478A JP2023002308A (ja) 2021-06-22 2021-06-22 積層フィルム、包装袋、および包装体
PCT/JP2021/032821 WO2022080039A1 (ja) 2020-10-16 2021-09-07 積層フィルム、包装袋、包装体、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481A true KR20230087481A (ko) 2023-06-16

Family

ID=812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405A KR20230087481A (ko) 2020-10-16 2021-09-07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50318A1 (ko)
EP (1) EP4230405A4 (ko)
KR (1) KR20230087481A (ko)
CN (1) CN116348283A (ko)
WO (1) WO20220800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930B1 (ko) * 2023-10-23 2024-06-04 (주)엠큐패키지 친환경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1682A (ja) 2012-09-24 2014-04-10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スバリア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7094533A (ja) 2015-11-19 2017-06-01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包装袋、及び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7533A (en) * 1987-08-19 1989-02-22 Fujimori Kogyo Co Composite packing material
JP5646271B2 (ja) * 2009-10-15 2014-12-24 堺化学工業株式会社 被覆酸化亜鉛粒子、水系組成物及び化粧料
JP5947680B2 (ja) * 2012-09-03 2016-07-06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体の製造方法
JP6131570B2 (ja) * 2012-11-07 2017-05-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用コーティング液、その製造方法、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包装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殺菌用包装材料の製造方法
JP6904256B2 (ja) * 2015-10-20 2021-07-14 凸版印刷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6862815B2 (ja) * 2016-08-03 2021-04-21 凸版印刷株式会社 熱成形用ガスバリア性積層体、コーティング液、熱成形用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JP7003468B2 (ja) * 2017-07-14 2022-01-20 凸版印刷株式会社 熱成形用ガスバリア性積層体および成形体
JP2020174465A (ja) 2019-04-10 2020-10-22 Ntn株式会社 三相交流用の絶縁型力率改善装置
JP2021103478A (ja) 2019-12-25 2021-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03474A (ja) 2019-12-25 2021-07-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遺言メッセージ入力装置、管理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JP2021103481A (ja) 2019-12-25 2021-07-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1682A (ja) 2012-09-24 2014-04-10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スバリア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7094533A (ja) 2015-11-19 2017-06-01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包装袋、及び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930B1 (ko) * 2023-10-23 2024-06-04 (주)엠큐패키지 친환경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50318A1 (en) 2023-08-10
WO2022080039A1 (ja) 2022-04-21
CN116348283A (zh) 2023-06-27
EP4230405A4 (en) 2024-04-10
EP4230405A1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7740B2 (ja) 酸素吸収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2661368B1 (en) Peelable sealant 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e blends for packaging applications
CN110461600B (zh) 吸氧性薄膜、使用其的包装用层叠体和包装体、以及使用包装体的内容物处理方法
US11077998B2 (en) Packaging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GB2468309A (en) Chemically resistant laminate film, for packaging
JP2019119174A (ja) 紫外線遮蔽性包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KR20230087481A (ko) 적층 필름, 포장 주머니,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TWI556968B (zh) 易開封性包裝體用之積層薄膜及易開封性包裝體
JP4849685B2 (ja) 複合多層フィルム
JP2008080506A (ja) 積層フィルム
JP2005305745A (ja) 紫外線吸収フィルムおよびその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体
TW201707977A (zh) 積層薄膜及包裝材料
JP2016181503A (ja) 電池用包装材料
WO2013121622A1 (ja) 易裂性多層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WO2014045964A1 (ja) 薬剤包装用シート、および薬剤包装体
JP7218505B2 (ja) 紫外線遮蔽包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JP2023002311A (ja) 積層フィルム、包装袋、および包装体
JP2022066135A (ja) 積層フィルム、包装袋、包装体、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3002308A (ja) 積層フィルム、包装袋、および包装体
JP2020121453A (ja) 積層フィルム、包装体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048094A (ja) 遮光包装袋
JP3019153B2 (ja) 酸素吸収多層フィルム
JP2017094533A (ja) 積層フィルム、包装袋、及び包装体
JP2017213786A (ja) 酸素吸収性フィルム
US11318720B2 (en) Readily peelable absorption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