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757A -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승용차 - Google Patents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승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757A
KR20230086757A KR1020237016109A KR20237016109A KR20230086757A KR 20230086757 A KR20230086757 A KR 20230086757A KR 1020237016109 A KR1020237016109 A KR 1020237016109A KR 20237016109 A KR20237016109 A KR 20237016109A KR 20230086757 A KR20230086757 A KR 2023008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uggage compartment
hinge
sec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토 구스미니
Original Assignee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08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E05D2001/045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for telescopic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ing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승용차(1) 내에 제공되는 러기지 컴파트먼트(5)의 외관을 개선할 목적으로,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가 장착될 수 있는 힌지 브래킷(35)을 갖는 브래킷 힌지 장치(25)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때 힌지 브래킷은, 승용차(1)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 내에 위치하고 벽(15)에 의해 제한된 개구(20)를 통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 경우 힌지 브래킷은 이 힌지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외부 면(47)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자신의 영역에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길이 방향(L)으로 확장되는 섹션(49)을 구비하고, 이 섹션은 개구(20)를 열린 위치에서 닫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내부 면(42)은 힌지 브래킷(35)의 외부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45)을 구비하며, 그리고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45)은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길이 방향(L)으로 볼 때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확장 섹션(4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승용차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청구항 5에 따른 승용차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내에 위치하는 브래킷 힌지 장치는, 예를 들어 US 2,947,025 A호 또는 2016/0251036 A1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 다시 말하자면 테일 게이트(tailgate) 또는 트렁크 리드(trunk lid)를 러기지 컴파트먼트에 대하여 열릴 수 있게 또는 닫힐 수 있게 형성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브래킷 힌지 장치는 힌지 브래킷을 구비하며, 이 힌지 브래킷의 일 단부에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 단부에 마주 놓여 있는 단부에서는, 힌지 브래킷이 모터 방식으로 구동되는 구동 기구와 선택적으로 상호 작용 연결될 수 있다. 힌지 브래킷은, 러기지 컴파트먼트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내에 위치하는 개구를 통해서 자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DE 10 2006 028 008 A1호, DE 197 34 320 C2호 및 CN 1 11 661 168 A호로부터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장착될 수 있는 힌지 브래킷을 갖는 브래킷 힌지 장치가 각각 공지되어 있으며, 이때 힌지 브래킷은, 승용차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내에 위치하고 벽에 의해 제한된 개구를 통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힌지 브래킷이 자신에 대하여 고정된 힌지 브래킷 커버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힌지 브래킷은 힌지 브래킷 커버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이거나, 힌지 브래킷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리고 특히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시야에서 사라진다.
마지막으로, DE 102018 125552 A1호로부터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장착될 수 있는 힌지 브래킷을 갖는 브래킷 힌지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때 힌지 브래킷은, 승용차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내에 위치하고 벽에 의해 제한된 개구를 통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간행물로부터 공지된 힌지 브래킷은 차입 방식으로(telescopic)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힌지 브래킷 커버에 의해 고정적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다.
이제 작동과 관련된 실무에서 드러나는 사실은, 힌지 브래킷이 러기지 컴파트먼트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의 개구에 인접해 있는 영역에 접합부(seam)가 존재하는데, 이 접합부가 단점적으로 관찰자에 의해 항상 미적으로 인식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들은 단점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장착될 수 있는 힌지 브래킷을 갖는 브래킷 힌지 장치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때 힌지 브래킷은, 승용차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내에 위치하고 벽에 의해 제한된 개구를 통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 경우 힌지 브래킷은 이 힌지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된 힌지 브래킷 커버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외부 면이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자신의 영역에 힌지 브래킷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는 섹션을 구비하고, 이 섹션은 개구를 열린 위치에서 닫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내부 면이 힌지 브래킷의 외부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은 힌지 브래킷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힌지 브래킷 커버의 확장 섹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접합부의 완전한 닫힘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었지만, 특히 온도에 의해 유도되는 부품 공차가 보상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접합부의 완전한 닫힘이 실제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폐쇄된 개구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 이와 같은 언급은 확장된 섹션에 의해 개구가 완전히 닫힌 경우뿐만 아니라 부품 공차로 인한 계단과 벽 사이의 갭까지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갭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접합부에 비해 상당히 작게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2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의 폭을 갖는다. 더 나아가, 상기 갭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개구 내에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사방 둘레에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만 일 측면에만 또는 양 측면에만 인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놀랍도록 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한 구조에 의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접합부의 시각적으로 만족스럽고 고객 가치가 있으며 기능적으로 유용한 커버링이 가능해졌다.
또한, 언급된 벽은, 개구를 제한하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자체의 부분일 수 있거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의 가장자리에서 이 가장자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 추가 부품, 특히 패널일 수 있다는 사실에도 주목해야 한다.
앞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힌지 브래킷과 힌지 브래킷 커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힌지 브래킷 커버는 힌지 브래킷에 클립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러기지 컴파트먼트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는 이 리드가 러기지 컴파트먼트를 해제하는 자체 열림 위치를 취할 때까지 힌지 브래킷의 적합한 피봇팅 동작에 의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힌지 브래킷 및 이 힌지 브래킷을 덮고 있는 힌지 브래킷 커버가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내에 있고 벽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의 외부 면과 벽 사이에 존재하는 접합부의 크기는, 벽에 대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언급된 피봇팅 동작 또는 개방 동작이 실질적으로 접촉 없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치수 설계되었다. 이로 인해서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존재하는 언급된 요소의 마찰 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 잡음 및 표면 손상이 생략된다.
힌지 브래킷을 덮고 있는 힌지 브래킷 커버가 닫힘 위치를 취하기 위해 움직일 때, 제조 관련 치수 편차 그리고 관련 부품의 크기 및 개수와 연관된 매우 큰 공차 체인을 보상할 수 있기 위하여, 힌지 브래킷 커버가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른 한 편으로, 또한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까지 갖기 위해서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유연성이 지나치게 커서도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러기지 리드에 이웃하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영역은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에 의해 힌지 브래킷에 인접하는 한편, 상기 자체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는 지지 섹션이 힌지 브래킷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는 섹션이 지지 섹션을 구비하지 않는 상황도 제안되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서는, 한 편으로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 근처에서 브래킷 힌지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조치가 취해지고,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조치에 대하여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힌지 브래킷 커버의 영역에서 강성을 감소시키는 조치가 취해진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볼 때, 본 발명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탄력적으로 자체 중심을 잡는 힌지 브래킷 커버를 갖는 브래킷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브래킷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는 섹션이 연속 구간으로서 또는 힌지 브래킷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계단으로서 설계되어 있고,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자체 측면에 벽과 협력하는 가이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힌지 브래킷 커버는 열린 위치에서는 가이드 섹션에 이웃하는 영역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또는 계단의 경우에는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따라서, 가이드 섹션은 실질적으로,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의 닫힘 동작에서는 이 가이드 섹션이 벽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고 이 벽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응하게 장착된 승용차의 차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벽으로부터 이격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외부 면의 섹션은 가이드 섹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이로써 트렁크 리드가 움직일 때 상기 가이드 섹션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볼 때,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서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열림 위치를 취하는 상황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용이해진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승용차의 장착 위치에서 볼 때, 돌출하는 계단을 갖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경우에 가이드 섹션은 사용자의 시야 밖에 있거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아래에 있다. 이로써, 가이드 섹션은 완전히 덮이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미적 인상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림 위치에서 벽에 이웃하는 영역에서의 힌지 브래킷 커버의 횡단면은 벽으로부터 이격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영역에서의 횡단면보다 크다. 따라서, 완전히 열린 위치에서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볼 때, 힌지 브래킷 커버가 실질적으로 가이드 섹션의 영역에서는 이 가이드 섹션 아래에 그리고/또는 위에 있는 자체 영역보다 가로 방향으로 더 크게 팽창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서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특히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유용한 힌지 브래킷 커버가 제조되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에서 강성이 증가된 영역의 비율은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3/4인 한편, 그에 비해 강성이 감소된 섹션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1/4에 해당한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에서 강성이 증가된 영역의 비율은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1/3인 한편, 그에 비해 강성이 감소된 섹션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2/3에 해당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에서 강성이 증가된 영역의 비율은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1/4인 한편, 그에 비해 강성이 감소된 섹션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3/4에 해당한다. 대안적으로는,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에서 강성이 증가된 영역의 비율과 그에 비해 강성이 감소된 섹션의 비율은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힌지 브래킷 커버의 전체 길이에서 전술된 구간 또는 그 비율을 측정하기 위한 개별적인 시작점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에 이웃하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영역에 있다.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의 영역에서 언급된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수단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힌지 브래킷에 인접하는 지지 섹션이 힌지 브래킷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웹으로서 설계된 경우에 생성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언급된 지지 섹션이 복수로 제공된 경우에는 그 개수만큼 더 많이 적용된다. 이들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힌지 브래킷 커버의 내부 면으로부터 힌지 브래킷 방향으로 돌출하는 웹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웹은 힌지 브래킷에 대해 지지되며 그리고/또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또한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을 구비하는 러기지 컴파트먼트를 갖춘 승용차에 의해서도 해결되며, 이때 러기지 컴파트먼트는 브래킷 힌지 장치에서 일 단부에 고정된 러기지 컴파트먼트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이 경우 브래킷 힌지 장치는 앞에서 개시된 방식에 따라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계와 관련하여 제시된 장점들은 적절하게 적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브래킷 커버의 벽 및 계단이 열린 위치에서는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형성에 의해서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가 열린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히 매력적인 디자인이 생성되었다. 하지만, 다른 시각적인 디자인도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로써, 힌지 브래킷 커버의 계단과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사이에 있는 천이부는 평평하지 않은 표면으로서, 특히 경사면 또는 견부(shoulder)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전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힌지 브래킷 커버는 어느 정도의 가이드를 받는 경우가 유리하다. 그렇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벽이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에 마주 놓여 있는 측면에서 시작하여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의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것이 제안되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섹션 및 벽이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에 의해 설정된 가상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서는, 개구를 통해서 이동하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가이드가 우수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의 열린 위치에서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계단 및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의 미적 디자인도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척도에 맞게 도시되지 않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상세하면서도 편견이 없는, 특히 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의 일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래킷 힌지 장치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브래킷 힌지 장치를 갖춘 승용차의 일 부분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대안적인 일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4는 힌지 브래킷 커버의 일 부분을 내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하며, 그리고
도 5는 가이드 섹션의 영역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힌지 브래킷 커버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의 확대된 횡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1)의 일 부분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승용차의 러기지 컴파트먼트(5)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을 구비한다.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 내에는, 벽(15)에 의해 제한되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개구(20)가 위치된다. 이 개구(20)를 통해 브래킷 힌지 장치(25)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브래킷 힌지 장치(25)의 단부에 고정된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를 이용해서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러기지 컴파트먼트(5)를 선택적으로 열거나 닫기 위하여, 자체 세로 방향(L)에 상응하게 수동으로, 또는 차량 수직 방향(z)으로 또는 그 반대로 모터 구동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따라서 자신의 열린 위치에 있다.
브래킷 힌지 장치(25)는, 자체 외부 면이 힌지 브래킷 커버(40)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그리고 도 1에 단지 상징적으로만 도시된 힌지 브래킷(3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브래킷 힌지 장치(25)는 도 2에 재차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상부 영역에서는, 이로써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 근방에서는, 힌지 브래킷 커버(40)가 자체 내부 면(42)에 힌지 브래킷(35)에 인접하는 일련의 지지 섹션(45)을 구비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웹으로서 설계된 지지 섹션(45)은 x-y 평면에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U자 형태의 형상을 가지며, 언급된 상부 영역에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전체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3개의 면에 힌지 브래킷(35)을 포함한다.
그와 달리, 브래킷 힌지 장치(25)의 하부 영역에는, 이로써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 근방에는 지지 섹션(45)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단부는 자신의 외부 면(47)에 확장 섹션(49)을 구비하며, 이 확장 섹션은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힌지 브래킷(35)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이 힌지 브래킷으로부터 돌출하는 환상 계단(50)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계단으로부터 가이드 섹션(55)이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길이 방향으로 도 2의 아래로 연장된다.
닫힌 위치에 있는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가 열려야만 하는 경우, 브래킷 힌지 장치(25)는 도 2에 상응하게 개구(20)를 통해 위로 이동한다.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가이드 섹션(55)을 원하는 위치로 더욱 수월하게 보낼 수 있기 위하여, 벽(15)은, 이후에 가이드 섹션(55)이 측면에서 벽(15)에 인접하고 있는 일정한 거리를 갖는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기 위하여, 처음에는 점차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의 도시된 열린 위치에서는, 가이드 섹션(55)이 개구(20) 내에서 벽(15)에 대해 일 측면에 인접하며, 이 경우 힌지 브래킷(35)에 대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하부 영역의 소정의 상대적 이동은, 상부 영역에 비해 브래킷 힌지 장치(25)의 강성이 더 작기 때문에, 차량 수직 방향(z)에서는 예외적으로 바람직하다. 도 2에 따라 최종적으로 취해진 닫힘 위치에서는, 견부(50) 및 벽(10)이 또한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x-y 평면에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계단이 없는 평평한 표면(60)을 형성한다. 벽(15)과 가이드 섹션(55)의 접촉 영역에 마주 놓여 있는 벽(15)과 가이드 섹션(55) 사이의 갭(65)은 궁극적인 경우에는 공차로 인해 형성되며, 벽과 힌지 브래킷(각각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있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접합부보다 현저히 작다. 이로써, 시야 한계(S-S) 아래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관찰자가 개구(20) 자체 그리고 개구 내에 있는 임의의 물체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언급된 상부 영역은 힌지 브래킷 커버(40)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1/3의 길이인 한편, 언급된 하부 영역은 힌지 브래킷 커버(40)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2/3의 길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도 2에 선 B-B로 표시된 이와 같은 길이 비율은 강제 사항이 아니다; 오히려 브래킷 힌지 장치(25)의 원하는 강성에 따라 다른 길이 비율도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적절한 조치에 의해서, 특별히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에 더 가깝게 배열하는 것 및/또는 섹션(45)의 개수 증가 및/또는 상기 섹션의 기하학적 매칭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더 강성인 영역을 더 짧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3에는, 열림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25)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1)의 일 부분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대안적인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 섹션(49)은 계단(50)으로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연속 구간(70)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간의 크기는 가상의 x-y 평면 또는 폭에서 길이 방향(L)으로 볼 때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에 더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개구(20) 방향으로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에 언급된 영역에는 지지 섹션(45)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도 4에는, 이제 내부로부터 바라본 힌지 브래킷 커버(25)의 일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헤드 형태로 형성된 상기 힌지 브래킷 커버의 상부에 의해서는, 힌지 브래킷 커버(40)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의 영역에서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에 고정된다. 세로 방향(L)에서 볼 때, 각각 4개의 지지 섹션(45)이 대칭 배열로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며, 이들 지지 섹션은 가상의 x-y 평면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L자 형상의 지지 섹션(45)은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힌지 브래킷(35) 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들 지지 섹션의 개별적인 인접 섹션(75) 또는 인접 섹션(80)과 인접한다. 도 4에서는 단지 하나의 지지 섹션(45)에만 인접 섹션(75) 또는 인접 섹션(80)에 대한 참조 부호가 제공되어 있지만, 전체 지지 섹션(45)이 각각 인접 섹션(75) 또는 인접 섹션(80)를 갖는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길이 방향(L)에서 볼 때, 지지 섹션(45)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5)에 이웃하는 영역으로부터 하부 영역(B)까지 분포 배열되어 있다. 해당 구간은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전체 길이의 실질적으로 2/3이다. 이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에 이웃하는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바로 그 섹션의 방향으로 볼 때, 하부 영역을 분리하는 가상의 경계 건너편에는 지지 섹션(45)이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영역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5)에 이웃하는 영역에 비해 덜 강성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 영역에 대해 훨씬 더 멀리 떨어진 섹션 내에는, 연속 구간(70)으로서 설계된 확장 섹션(49)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섹션은 조립된 상태에서는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가 열린 위치에서는 벽(15)에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49)은 이 지점에서 가상의 x-y 평면에서 자체 최대 폭 또는 팽창을 갖는다. 그와 달리, 섹션(49)의 위와 아래에서는 개별적인 폭 또는 팽창이 참조 부호(85 및 90)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더 작다.
도 5에는, 이제 가이드 섹션(55)의 영역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의 확대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면에 대한 도시를 명확하게 할 의도에서 힌지 브래킷(35) 자체는 생략되었고, 제공된 지지 섹션(45)은 선택된 이미지 섹션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다. 확장 섹션(49)은 연속 구간(70)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가 열린 상태에서 벽(15)에 인접하는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바로 그 영역에서 가상의 x-y 평면에서는 상기 구간이 최대의 팽창 또는 폭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와 달리, 그에 비해 상부에 있는 섹션(85) 또는 하부에 있는 섹션(90)의 팽창은 더 작으며, 대체로 자유로우며 이로써 잡음이 없지만 가이드 섹션(55)에 의해 공간적으로 제어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승용차(1)의 부분이 외견상으로는 승용차의 우현(starboard side)을 나타낸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위의 진술 내용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25)를 구비하고 이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좌현에 대해서도 적절한 방식으로 적용되며, 이 브래킷 힌지 장치의 구조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길이 방향 중앙 평면(x-z 평면)에서 반사 대칭으로 도시된 브래킷 힌지 장치(25)의 구조에 상응한다.
1: 승용차
5: 러기지 컴파트먼트
10: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
15: 벽
20: 개구
25: 브래킷 힌지 장치
30: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
35: 힌지 브래킷
40: 힌지 브래킷 커버
42: 내부 면
45: 지지 섹션
47: 외부 면
49: 확장 섹션
50: 계단
55: 가이드 섹션
60: 평평한 표면
65: 갭
70: 연속 구간
75: 인접 섹션
80: 인접 섹션
85: 섹션
90: 섹션
B-B: 상부/하부 영역의 경계
L: 세로 방향
S-S: 시야 한계
x, y, z: ISO 4130-1978에 따른 데카르트 좌표계의 좌표

Claims (8)

  1.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승용차(1)의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 내에 위치하고 벽(15)에 의해 제한된 개구(20)를 통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계된 힌지 브래킷(35)을 갖되, 상기 힌지 브래킷(35)은 자신에 대하여 고정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브래킷 힌지 장치(25)로서,
    - 상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외부 면(47)은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자신의 영역에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길이 방향(L)으로 확장되는 섹션(49)을 구비하고, 상기 섹션은 개구(20)를 열린 위치에서 닫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 상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내부 면(42)은 상기 힌지 브래킷(35)의 외부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45)을 구비하며,
    -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45)은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길이 방향(L)으로 볼 때 상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확장 섹션(4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힌지 장치(2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길이 방향(L)으로 확장되는 섹션(49)이 연속 구간(70)으로서 또는 힌지 브래킷 커버(40)로부터 돌출하는 계단(50)으로서 설계되어 있고,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자체 측면에 벽(50)과 협력하는 가이드 섹션(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힌지 장치(25).
  3. 제2항에 있어서, 열림 위치에서 벽(15)에 이웃하는 영역에서의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횡단면은 벽으로부터 이격된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영역에서의 횡단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힌지 장치(2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래킷(35)에 인접하는 지지 섹션(45)이 힌지 브래킷 커버(40)로부터 돌출하는 웹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힌지 장치(25).
  5.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을 구비하고 러기지 컴파트먼트 커버(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러기지 컴파트먼트(5)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러기지 컴파트먼트 트림(10)이 벽(15)에 의해 제한된 개구(20)를 구비하고, 일 단부에 상기 러기지 컴파트먼트 커버(30)를 구비하는 브래킷 힌지 장치(25)의 일 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는, 승용차(1)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1).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를 갖는 제5항에 따른 승용차(1)로서,
    상기 힌지 브래킷 커버(40)의 벽(15) 및 계단(50)이 열린 위치에서는 평평한 표면(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15)이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에 마주 놓여 있는 측면에서 시작하여 러기지 컴파트먼트 리드(30)의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1).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래킷 힌지 장치(25)를 갖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용차로서,
    상기 가이드 섹션(55)이 열린 위치에서는 상기 벽(15)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1).
KR1020237016109A 2021-02-18 2021-12-10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승용차 KR20230086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3876.6 2021-02-18
DE102021103876.6A DE102021103876A1 (de) 2021-02-18 2021-02-18 Bügelscharniervorrichtung sowie hiermit ausgestatteter Personenkraftwagen
PCT/EP2021/085240 WO2022174954A1 (de) 2021-02-18 2021-12-10 Bügelscharniervorrichtung sowie hiermit ausgestatteter personenkraftwa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757A true KR20230086757A (ko) 2023-06-15

Family

ID=7917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109A KR20230086757A (ko) 2021-02-18 2021-12-10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승용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24069A1 (ko)
EP (1) EP4295003A1 (ko)
JP (1) JP2024506443A (ko)
KR (1) KR20230086757A (ko)
CN (1) CN116507780A (ko)
DE (1) DE102021103876A1 (ko)
WO (1) WO2022174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4119B (zh) * 2020-11-10 2022-08-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連動式鉸鏈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7025A (en) 1958-05-26 1960-08-02 Gen Motors Corp Hinge
DE19734320C2 (de) 1997-08-08 1999-1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wenkbare Lagerung eines klappbaren Karosserieteils, insbesondere eines Gepäckraumdeckels an einem Kraftfahrzeug
DE102006028008A1 (de) 2006-06-14 2008-01-03 Daimlerchrysler Ag Kabelkanal für ein Kraftfahrzeug
CN105986712A (zh) 2015-02-28 2016-10-05 福特环球技术公司 车辆铰链总成及其操作方法
US10221596B1 (en) 2017-10-17 2019-03-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elescopic trunk lid support device
CN111661168B (zh) 2020-06-29 2021-06-04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罩盖组件、尾门铰链饰板结构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5003A1 (de) 2023-12-27
CN116507780A (zh) 2023-07-28
JP2024506443A (ja) 2024-02-14
DE102021103876A1 (de) 2022-08-18
WO2022174954A1 (de) 2022-08-25
US20240124069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6510A1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enter console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oof
JPH07172185A (ja) 乗用車の上部構造
US6840567B2 (en) Sliding door structure for vehicle
KR20230086757A (ko) 브래킷 힌지 장치 및 이러한 브래킷 힌지 장치가 장착된 승용차
US5322339A (en) Guiding mechanism for a slidable access element, such as a sliding door,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vehicle
JPH08207593A (ja) 車両の折畳み式幌
JP3867703B2 (ja) 側面美観向上タイプ車両用サンルーフ
KR910000406A (ko) 자동차의 캔버스 톱
US7434864B2 (en) Cabriolet vehicle
JPH0724272Y2 (ja) サンルーフのシェード装置
US6231110B1 (en) Hood structure
JP2002145116A (ja) 自動車のボデー構造
EP4101669B1 (en) Roof system having a wind deflector assembly
KR100405810B1 (ko) 승합차의 슬라이드형 사이드윈도우
JP3658995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フロントトリム構造
JPH084333Y2 (ja) バン型車両のスライドドア取付構造
KR100368381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갭커버
JPH04154451A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S611534A (ja) 自動車用内装材
JPH10129411A (ja) 車体ピラーのトリム材
KR950007773B1 (ko) 자동차 도어 프레임의 강성구조
KR970006847B1 (ko) 자동차용 슈라우드업판넬
JPH0755139Y2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JPH035182Y2 (ko)
JPH05139160A (ja) 自動車用サンルー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