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313A -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313A
KR20230086313A KR1020210174821A KR20210174821A KR20230086313A KR 20230086313 A KR20230086313 A KR 20230086313A KR 1020210174821 A KR1020210174821 A KR 1020210174821A KR 20210174821 A KR20210174821 A KR 20210174821A KR 20230086313 A KR20230086313 A KR 2023008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wer transmission
shaft
planetary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민
김백유
변성곤
하준영
천동희
김지은
김요한
권순성
맹수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313A/ko
Priority to US17/748,806 priority patent/US11512772B1/en
Publication of KR2023008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57/085Bearings for orbital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는 링기어의 양측에 체결되는 제1, 제2 지지 샤프트를 통해 링기어의 양측 지지를 위한 베어링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줄임과 동시에 양측 유성캐리어를 볼 베어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조립이 쉽고, 공간 효율을 높이며, 유성캐리어의 지지 강건성을 높인다.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Planetary gear sets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s}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기어의 양측 지지 베어링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줄임과 동시에 양측 유성캐리어를 볼 베어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조립이 쉽고, 공간 효율을 높이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핵심기술로서, 선진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전기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전기자동차(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등을 미래형 자동차 기술로서 개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래형 자동차는 중량 및 원가 등 여러 가지 기술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고, 연비 성능의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문제의 대안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동력전달장치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 효율성이 좋은 유성기어세트를 적용한 동력전달장치의 개발에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의 일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를 예로 한 것으로, 엔진과 2개의 모터/제너레이터의 조합에 따라 모터/제너레이터만으로 구동되는 EV 모드, 엔진과 모터/제너레이터의 동시 구동에 의한 HEV 모드와, 엔진만으로 구동되는 엔진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는 엔진(ENG)과 제1, 제2 모터/제너레이터(MG1)(MG2)를 동력원으로 하며, 엔진(ENG)의 회전동력과 제1 모터/제너레이터(MG1)의 회전동력을 분기하는 유성기어세트(PU)가 적용되며, 유성기어세트(PU)와 제2 모터/제너레이터(MG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디프렌셜(DIFF)로 전달하는 출력축(OS)을 포함한다.
엔진(ENG)의 동력이 전달되는 엔진 출력축(EOS)은 제1 모터/제너레이터(MG1)의 제1 모터축(MS1)과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제2 모터/제너레이터(MG2)의 제2 모터축(MS2)은 제1 모터/제너레이터(MG1)의 제1 모터축(MS1)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측에 제2 모터축 기어(MSG2)가 설치된다.
여기서, 유성기어세트(PU)는 제1 모터축(MS1)과 엔진 출력축(EOS)의 선상에 배치된다.
즉, 유성기어세트(PU)는 선기어(S)가 제1 모터축(MS1)에 연결되고, 동시에 제1 브레이크(B1)를 개재하여 변속기 하우징(H)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된다.
또한, 유성캐리어(PC)는 엔진 출력축(EOS)에 연결되어 엔진(ENG)의 회전동력이 입력된다.
또한, 링기어(R)는 구동기어(DG)와 일체로 연결되어 출력축(OS) 상의 피동기어(PG)와 외접 기어 연결된다.
이러한 유성기어세트(PU)는 선기어(S)와 유성캐리어(PC)로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회전속도 차이에 따라 증속 또는 감속하여 링기어(R)로 출력하면, 출력축(OS)은 피동기어(PG)를 통하여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출력기어(OG)를 통하여 디프렌셜(DIFF)에 출력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유성기어세트(PU)는 선기어(S)와, 선기어(S)와 외접으로 치합된 복수의 피니언기어(P)를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게 회전 지지하는 유성캐리어(PC)와, 복수의 피니언기어(P)와 내접으로 치합된 링기어(R)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성기어세트(PU)는 엔진 출력축(EOS) 상에 배치되어 엔진 출력축(EOS)과 변속기 하우징(H)에 대하여 복수의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구조를 갖는다.
즉, 링기어(R)는 양측 내주면과 변속기 하우징(H) 사이에 각각 볼 베어링(BR)이 설치되어 변속기 하우징(H)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선기어(S)는 제1 모터축(MS1)에 연결되는 일단이 변속기 하우징(H)과의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TBR)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유성캐리어(PC)는 일측이 엔진 출력축(EOS)에 형성된 연결단(CE)에 고정되는데, 이때, 연결단(CE)은 양측이 상기 선기어(S)의 타단과 변속기 하우징(H) 사이에서 각각 트러스트 베어링(TBR)을 통하여 축 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유성캐리어(PC)는 엔진 출력축(EOS) 상의 연결단(CE)에 의해 축 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성기어세트는 링기어(R)를 변속기 하우징(H)에 지지하기 위한 양측 볼 베어링(BR)의 반경 방향 사이즈가 너무 크고, 각 볼 베어링(BR)을 설치하기 위한 링기어(R)의 축 방향 폭도 커지는 등, 중량 및 공간 효율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한, 유성캐리어(PC)를 축 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선기어(S)의 일단을 연장하여 변속기 하우징(H)에 트러스트 베어링(TBR)을 통하여 지지하고, 유성캐리어(PC)가 연결되는 연결단(CE)의 양측을 다시 선기어(S)의 타단과 변속기 하우징(H)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TBR)으로 지지하는 등, 지지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조립성이 나쁘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링기어의 양측에 체결되는 제1, 제2 지지 샤프트를 통해 링기어의 양측 지지를 위한 베어링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줄임과 동시에 유성캐리어의 양단을 볼 베어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조립이 쉽고, 공간 효율을 높이며, 유성캐리어의 지지 강건성을 높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동력전달장치의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축의 선상에 배치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외접으로 치합되는 복수의 피니언기어를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양측 유성캐리어와, 상기 복수의 피니언기어와 내접으로 치합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는 내주면이 상기 제1축의 외주면 상에 스플라인 체결되고, 상기 링기어는 양 측면에 각각 체결되는 제1, 제2 지지 샤프트를 통해 상기 변속기 하우징에 체결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변속기 하우징에 각각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 유성캐리어는 상기 제1 지지 샤프트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 유성캐리어는 제2축의 연결단에 고정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지지 샤프트는 각각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복수의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링기어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단차면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조립홀에 대응하여 상기 링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과 제1, 제2 지지 샤프트의 각 조립홀을 통하여 체결 볼트가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제2 지지 샤프트 상의 조립홀을 통하여 상기 링기어 상의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 지지 샤프트 상의 조립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샤프트는 중앙의 내경부에 축 방향 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와 상기 지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각각 베어링을 설치하기 위한 제1 내측 지지단과 제1 외측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지지단은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외측 지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샤프트는 중앙의 내경부에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기 위한 제2 외측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측 지지단은 상기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샤프트는 내경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2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기어는 외주면에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외접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기어와 상기 외접기어는 헬리컬 치형의 나선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는 링기어가 양측에 체결된 제1, 제2 지지 샤프트를 통해 제1축의 축선 부근에서 지지 프레임과 변속기 하우징에 각각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베어링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잡한 변속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제2 지지 샤프트를 통해 양측 유성캐리어를 각각 베어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각 유성캐리어의 지지를 강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유성캐리어를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볼 베어링을 적용하여 구름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성기어세트를 이루는 선기어, 피니언기어, 유성캐리어, 및 링기어를 제1, 제2 지지 샤프트와 함께 하나의 조립품으로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조립이 쉬워 탑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의 일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에 적용되는 링기어와 제1, 제2 지지 샤프트의 반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일부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에 적용되는 링기어와 제1, 제2 지지 샤프트의 반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PU)가 적용된 동력전달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전기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전기자동차(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PU)는 동력전달장치의 변속기 하우징(H)의 내부에서, 제1축(11)의 선상에 배치되는 선기어(S)와, 선기어(S)와 외접으로 치합되는 복수의 피니언기어(P)를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양측 유성캐리어(PC1)(PC2)와, 복수의 피니언기어(P)와 내접으로 치합되는 링기어(R)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기어(S)는 내주면이 제1축(11)의 외주면 상에 스플라인 체결된다.
상기 링기어(R)는 양 측면에 각각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가 체결되며, 제1 지지 샤프트(21)는 변속기 하우징(H)의 내부에 체결된 지지 프레임(31)에 베어링(BR)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지지 샤프트(23)는 변속기 하우징(H)에 베어링(BR)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일측 유성캐리어(PC1)는 제1 지지 샤프트(21)에 베어링(BR)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 유성캐리어(PC2)는 제2축(13)의 연결단(CE)에 고정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PU)를 도 1의 동력전달장치에 적용하면, 상기 제1축(11)은 도 1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모터축(MS1)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축(13)은 도 1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엔진 출력축(EOS)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에 적용되는 링기어(R)와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의 반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는 각각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복수의 조립홀(H1)(H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R)는 양 측면에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가 끼워져 안착되는 단차면(SF)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상기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의 각 조립홀(H1)(H2)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홀(H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는 링기어(R)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 단차면(SF)에 끼워져 안착된 상태로, 상기 각 조립홀(H1)(H2)과 관통홀(H3)을 통하여 체결 볼트(BT)가 체결되어 상호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볼트(BT)는 제2 지지 샤프트(23) 상의 조립홀(H2)을 통하여 링기어(R) 상의 관통홀(H3)에 끼워져 제1 지지 샤프트(21) 상의 조립홀(H1)에 나사 체결된다.
즉, 상기 제1 지지 샤프트(21)의 조립홀(H1)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볼트(BT)와 체결을 위한 나사산(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 샤프트(21)는 중앙의 내경부에 축 방향 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베어링(BR)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내측 지지단(41)과 제1 외측 지지단(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측 지지단(41)은 일측 유성캐리어(PC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BR)이 설치되어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PC1)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 외측 지지단(43)은 지지 프레임(31)과의 사이에 베어링(BR)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3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샤프트(23)는 중앙의 내경부에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베어링(BR)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외측 지지단(4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외측 지지단(45)은 변속기 하우징(H)과의 사이에 베어링(BR)이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 하우징(H)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샤프트(23)는 내경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축(1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BR)이 설치되어 상기 제2축(13)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제1 내측 지지단(41)과 일측 유성캐리어(PC1) 사이, 제1 외측 지지단(43)과 지지 프레임(31) 사이, 제2 외측 지지단(45)과 변속기 하우징(H) 사이, 제2 지지 샤프트(23)의 내주면과 제2축(13)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각 베어링(BR)은 모두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PU)의 링기어(R)는 외주면에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외접기어(EG)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접기어로 이루어지는 링기어(R)와 상기 외접기어(EG)는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되며, 각 헬리컬 치형의 나선 방향이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링기어(R)와 외접기어(EG)에서 각각 발생하는 축 방향 하중이 서로 반대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작용하여 상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세트(PU)를 도 1의 동력전달장치에 적용하면, 상기 외접기어(EG)는 도 1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출력축(OS) 상의 피동기어(PG)와 외접 기어 연결되는 구동기어(DG)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PU)는 링기어(R)가 양측에 체결된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를 통해 상기 제1축(11)의 축선 부근에서 지지 프레임(31)과 변속기 하우징(H)에 각각 베어링(BR)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 링기어(R)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BR)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샤프트(21)에 형성되는 제1 내측 지지단(41)과 일측 유성캐리어(PC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BR)과, 제2 지지 샤프트(23)의 내주면과 타측 유성캐리어(PC2)와 연결되는 제2축(13)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BR)을 통해 각 유성캐리어(PC1)(PC2)의 지지를 강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각 유성캐리어(PC1)(PC2)를 지지하는 베어링(BR)이 종전과 달리 볼 베어링으로 적용되어 구름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성기어세트(PU)를 이루는 선기어(S), 피니언기어(P), 양측 유성캐리어(PC1)(PC2), 및 링기어(R)가 링기어(R)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제2 지지 샤프트(21)(23)에 의해 하나의 조립품으로 제공되어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조립이 쉬워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U: 유성기어세트
H: 변속기 하우징
11: 제1축
13: 제2축
CE: 연결단
S: 선기어
P: 피니언기어
PC1,PC2: 유성캐리어 
R: 링기어
21, 23: 제1, 제2 지지 샤프트
21a: 나사산
31: 지지 프레임
BR: 베어링
H1,H2: 조립홀
H3: 관통홀
SF: 단차면
BT: 체결 볼트
41: 제1 내측 지지단
43: 제1 외측 지지단
45: 제2 외측 지지단
EG: 외접기어

Claims (9)

  1. 동력전달장치의 변속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축의 선상에 배치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외접으로 치합되는 복수의 피니언기어를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양측 유성캐리어와, 상기 복수의 피니언기어와 내접으로 치합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는 내주면이 상기 제1축의 외주면 상에 스플라인 체결되고,
    상기 링기어는 양 측면에 각각 체결되는 제1, 제2 지지 샤프트를 통해 상기 변속기 하우징에 체결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변속기 하우징에 각각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 유성캐리어는 상기 제1 지지 샤프트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 유성캐리어는 제2축의 연결단에 고정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지지 샤프트는
    각각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복수의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링기어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단차면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조립홀에 대응하여 상기 링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과 제1, 제2 지지 샤프트의 각 조립홀을 통하여 체결 볼트가 체결되어 조립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제2 지지 샤프트 상의 조립홀을 통하여 상기 링기어 상의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 지지 샤프트 상의 조립홀에 나사 체결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샤프트는
    중앙의 내경부에 축 방향 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와 상기 지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각각 베어링을 설치하기 위한 제1 내측 지지단과 제1 외측 지지단이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지지단은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일측 유성캐리어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외측 지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샤프트는
    중앙의 내경부에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기 위한 제2 외측 지지단이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지지단은 상기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샤프트는
    내경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2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외주면에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외접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기어와 상기 외접기어는 헬리컬 치형의 나선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KR1020210174821A 2021-12-08 2021-12-08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KR20230086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821A KR20230086313A (ko) 2021-12-08 2021-12-08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US17/748,806 US11512772B1 (en) 2021-12-08 2022-05-19 Planetary gear set for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821A KR20230086313A (ko) 2021-12-08 2021-12-08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313A true KR20230086313A (ko) 2023-06-15

Family

ID=8423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821A KR20230086313A (ko) 2021-12-08 2021-12-08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12772B1 (ko)
KR (1) KR20230086313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49A (ja) * 1995-07-05 1997-01-21 Tatenobu Kumagai 無段変速装置
US6726591B2 (en) * 2001-08-02 2004-04-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our-wheel drive system for vehicles
JP2005067429A (ja) * 2003-08-26 2005-03-17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の操舵制御装置
US7204340B2 (en) * 2004-08-05 2007-04-17 Cnh America Llc Tractor rear suspension
KR100717306B1 (ko) * 2005-12-09 2007-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JP4985741B2 (ja) * 2009-10-16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2011183946A (ja) * 2010-03-09 2011-09-22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2018048679A (ja) * 2016-09-20 2018-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12772B1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2087B2 (en) Drive device that is reduced in size while maintaining high axial center accuracy of a rotor shaft
US8226514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axis transfer
KR10173424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KR100704788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US8210974B2 (en) Hubs incorporating a variable ratio transmission system
KR101807148B1 (ko)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지지구조
US20060247083A1 (en) Hybrid transmission
US20110021300A1 (en)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multi-axis transfer
JP4352269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11376952B1 (en) In-wheel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1015683B2 (en) Vehicle driving device
US20160250916A1 (en) Vehicle drive device
KR20190080485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US11241947B2 (en) Vehicle driving device
US11027616B2 (en) Vehicle driving device
KR20230086313A (ko) 동력전달장치용 유성기어세트
JP5093601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2001097058A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KR102131630B1 (ko) 전기자동차 구동장치
CN210390807U (zh) 增程驱动***及具有其的车辆
CN217944878U (zh) 一种同轴驱动装置及车辆
JP2012145207A (ja) 回転体の支持構造および動力伝達装置
KR10266398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JP688843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KR20230090560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