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96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962A
KR20230080962A KR1020210168579A KR20210168579A KR20230080962A KR 20230080962 A KR20230080962 A KR 20230080962A KR 1020210168579 A KR1020210168579 A KR 1020210168579A KR 20210168579 A KR20210168579 A KR 20210168579A KR 20230080962 A KR20230080962 A KR 20230080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chassis
recess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호
김범식
김선진
인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962A/ko
Priority to PCT/KR2022/012451 priority patent/WO2023101144A1/ko
Priority to EP22901504.5A priority patent/EP4340002A1/en
Priority to CN202280047794.XA priority patent/CN117616907A/zh
Priority to US17/896,702 priority patent/US20240061465A1/en
Publication of KR2023008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리어 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이 스스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자발광형과, 액정 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을 공급받아야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수발광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스스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케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내장시키거나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및 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또는 케이블의 고장시에 교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커버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리어 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함몰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면 및 상기 연장면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와 전후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는 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함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함몰면에 부착되는 연장부 및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통과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섀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리세스와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전후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는 함몰면을 포함하는 섀시 리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섀시 리세스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리세스의 제1관통홀과 대응되며 상기 섀시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섀시 리세스를 커버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섀시 리세스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리어 섀시와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부와 상기 리세스의 함몰면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리세스의 함몰면과 상기 섀시 리세스의 함몰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리어 섀시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자발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발광 패널은, 전방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되는 측에 마련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자발광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자발광 패널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되는 방열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와, 상기 외부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리어 섀시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케이블 및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홀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마련되는 자발광 패널과, 상기 자발광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하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서 상기 리어 섀시와 결합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리어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케이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면 및 상기 연장면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와 전후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는 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리세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리어 섀시와 리어 커버의 결합부 배치가 자유로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텔레비전(Television, TV)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arge Format Display, LFD)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 외관은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방으로서, 중앙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후방 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70)을 보호할 수 있다. 리어 커버(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리어 섀시(4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일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그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은 리어 커버(50)가 마련되는 부분일 수 있다. 리어 커버(50)의 면적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리어 커버(50)의 면적을 줄일수록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반적인 두께가 얇다고 느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리어 커버(50)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의 초슬림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50)의 일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일 측 단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어 커버(50)의 타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타 측 단은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리어 커버(50)의 좌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좌 측 단이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리어 커버(50)의 우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우 측 단이 상기 제1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양 측면에서의 주변부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면에서의 주변부가 매우 얇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섀시(3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섀시(40)와, 리어 섀시(40)의 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섀시(40)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리어 섀시(40)의 강도를 보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너 플레이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10)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론트 섀시(30)는 외부 프레임(3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는 외부 프레임(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100)의 둘레는 외부 프레임(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는 지지 플레이트(100) 또는 방열 플레이트(100)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스스로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자발광 패널(11)과, 자발광 패널(11)의 후면에 부착되고,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방열 시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자발광 패널(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발광 패널(11)의 후면(11b)과 방열 시트(20)의 전면(20a)은 접착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20)의 전면(20a)은 제1면(20a)이고, 후면(20b)은 제2면(20b)이 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은 그 후방에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아 수광 패널 대비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발광 패널(11)의 하단에는 필름 케이블(12)이 마련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은 칩온필름(COF, Chip On Film) 형태로 자발광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마련되어 벤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의 일 단은 자발광 패널(11)의 하단과 연결되고, 필름 케이블(12)의 타 단은 벤딩되어 방열 시트(20)의 후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의 타 단에는 기판(13)이 마련될 수 있다. 기판(13)은 자발광 패널(11)을 구동하도록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판(13)은 방열 시트(20)의 후면(20b)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3)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방열 시트(20)의 후면(20b)에 부착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의 크기에 따라 기판(13)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기판(13)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기판(13)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케이블(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4개의 기판(13)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중 2개의 기판(13)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4)과, 나머지 2개의 기판(13)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의 후면에 부착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자발광 패널(11)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열 시트(20)와 자발광 패널(11)은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그라파이트, 알루미늄, 구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열 시트(20)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시트(20)는 리어 섀시(4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방열 시트(20)는 리어 섀시(40)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열 시트(20)를 리어 섀시(40)로부터 아무런 제한 없이 분리할 수 있다.
프론트 섀시(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섀시(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섀시(30)는 대략 사각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어 섀시(40)는 리어 커버(5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는 리어 섀시(40)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리어 섀시(4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는 리어 섀시(40)에 결합되어 리어 섀시(4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플레이트(100)는 지지 플레이트(100) 또는 보강 플레이트(100)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플레이트(100)는 방열 플레이트(100)로 지칭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면(40b)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면(40b)에 결합됨으로써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50)와 리어 섀시(4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T-con 보드(timing controller, 미도시)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71)와, 전원 보드(7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ON 보드, 메인 보드(71), 전원 보드(72)는 리어 섀시(40)의 후방 및/또는 후면(40b)에서 리어 섀시(4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예를 들어, 자발광 패널(11), 방열 시트(20), 이너 플레이트(100), 리어 섀시(40) 및 리어 커버(5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쇄회로기판(7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회로기판(70)은 T-con 보드(timing controller, 미도시)와, 메인 보드(71)와, 전원 보드(7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드(71)는 제1보드(71)이고, 전원 보드(72)는 제2보드(72)이고, T-con 보드는 제3보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드(71), 제2보드(72) 및 제3보드(7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회로기판(70)은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70)은 리어 섀시(40)의 후방 하부에서 리어 섀시(5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회로기판(70)은 후술하는 리세스(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0)이 리어 섀시(4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외부 전원 등과 연결된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70)을 연결하는 케이블(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예를 들어, 케이블(80)은 메인 보드(71)와 전원 보드(72)를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80)은 외부 전원 및/또는 연결 케이블(14)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 부분의 확대도이며, 이너 플레이트(100)의 전방 및/또는 전면(100a)이 도시되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열 시트(20)의 후방에는 이너 플레이트(1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시트(20)의 후면(20b)과 이너 플레이트(100)의 전면(100a)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플레이트(100)는 방열 시트(20)와 접촉되어, 방열 시트(2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방열 시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는 지지부(110)와, 리세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0)는 방열 시트(20)의 후면(20b)과 접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방열 시트(20)와 접촉되어 방열 시트(2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외부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방열부(110)가 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지지부(110)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20)는 지지부(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리어 섀시(40)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리세스(120)가 형성되는 영역은 돌출될 수 있다(도 7 참조). 리세스(120)는 엠보싱부(embossing portion)로 지칭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2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케이블(8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20)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70)을 연결시키도록 연장되는 케이블(80)의 연장부(81) 및/또는 복수의 연결부(82)를 수용할 수 있다. 리세스(120)는 수용부(120)로 지칭될 수 있다.
리세스(120)에는 관통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4)에는 케이블(80)이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82)는 관통홀(124)을 통과하여 리어 섀시(40)의 후면(40b)에 결합되는 회로기판(70)과 연결될 수 있다. 리세스(120)에 형성되는 관통홀(124)은 제1관통홀(124)이 될 수 있다. 제1관통홀(124)은 후술하는 연장면(122)과 함몰면(12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120)의 둘레에는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홀(150)의 형상은 상기한 예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80) 중 연장부(81)는 리세스(120) 내에 수용되고, 연결부(82)만 관통홀(124)을 통해 인쇄회로기판(7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케이블(80)의 수용공간(12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리어 섀시(40)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리어 커버(50)의 결합이 자유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 사이에 케이블(80)이 최소로 배치되므로, 결합돌기(52)들이 마련되는 공간의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위한 구성요소들은 공간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리어 커버(50)와 리어 섀시(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120)로 인해 케이블(80)의 수용공간(121)과,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의 결합공간(42d)이 분리되므로 케이블(8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이너 플레이트(100)의 후면과 리어 섀시(40)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너 플레이트(100)와 리어 섀시(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와 리어 섀시(40)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섀시(4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너 플레이트(100)를 지지할 수 있다.
리세스(120)는 지지부(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세스(120)는 리어 섀시(40)를 향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리세스(120)가 형성되는 영역은 돌출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리세스(120)와 대응되는 섀시 리세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베이스(41)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섀시 리세스(42)는 베이스(4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리어 커버(50)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섀시 리세스(42)가 형성되는 영역은 돌출될 수 있다(도 8 참조). 섀시 리세스(42)는 섀시 엠보싱부(42)로 지칭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에는 연결부(82)가 통과될 수 있는 제2관통홀(4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홀(42c)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관통홀(42c)에는 케이블(80)이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82)는 제2관통홀(42c)을 통과하여 리어 섀시(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로기판(7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관통홀(42c)은 섀시 리세스(42)의 연장면(42a)과 함몰면(42b)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3)는 리어 섀시(4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3)는 결합홀(43a, 43b)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43a, 43b)은 결합부(43)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43a, 43b)은 제1결합홀(43a)과 제2결합홀(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홀(43a)은 후술하는 후크(52b)에 대응되고, 제2결합홀(43b)은 후술하는 보스(52a)에 대응될 수 있다. 제1결합홀(43a)과 제2결합홀(43b)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홀(43a)과 제2결합홀(43b)의 형성 위치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리어 섀시(40)의 후면과 리어 커버(50)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는 결합부(4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방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커버(50)는 인쇄회로기판(70)과 결합부(43)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새시(40)의 후방에는 인쇄회로기판(7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0)은 리어 섀시(40)의 후면(40b)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70)은 후면(40b)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부(43)에서 리어 섀시(40)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커버부(51)와 결합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1)는 리어 섀시(4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51)는 인쇄회로기판(70)과 결합부(43)를 커버할 수 있다.
결합돌기(52)는 커버부(51)로부터 리어 섀시(4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52)는 커버부(5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52)는 보스(52a)와 후크(52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52a)와 후크(52b)는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보스(52a)와 후크(52b)의 형성 위치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후크(52b)는 제1결합홀(43a)과 결합되고, 보스(52a)는 제2결합홀(43b)과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80)은 인쇄회로기판(7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82)만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의 사이에 마련될 뿐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 사이에 대부분의 케이블(80)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결합홀(43a, 43b) 및 결합돌기(52)가 마련되는 공간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패널(10)과 방열 시트(2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이너 플레이트(100)와,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는 방열 시트(20)의 후방에서 방열 시트(20)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는 방열 시트(2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는 지지부(110)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리세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0)는 수용공간(121)과, 연장면(122)과, 함몰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121)은 리세스(120)가 후방으로 함몰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21)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이너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공간이 될 수 있다. 수용공간(121)에는 케이블(80)이 수용될 수 있다.
연장면(122)은 수용공간(121)을 형성하도록 지지부(110)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면(122)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122)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면(122)의 사이에는 함몰면(123)이 마련될 수 있다. 함몰면(123)은 지지부(110)와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질 수 있다. 함몰면(123)과 지지부(110) 사이에는 수용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80)은 수용공간(12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80)은 함몰면(123)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블(80)은 함몰면(123)에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부재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케이블(80)의 위치 및/또는 부착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연장면(122)에 부착되거나, 연장면(122) 또는 함몰면(123)에 부착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블(80)이 이너 플레이트(100)의 리세스(120) 내에 배치되므로, 케이블(80)은 보호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베이스(41)와 섀시 리세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이너 플레이트(100)의 리세스(1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베이스(41)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결합공간(42d)과, 연장면(42a)과, 함몰면(42b)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공간(42d)은 섀시 리세스(42)가 후방으로 함몰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간(42d)은 리어 섀시(40)와 이너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공간이 될 수 있다. 결합공간(42d)에는 결합돌기(52)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공간(42d)에는 보스(52a) 및/또는 후크(52b)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연장면(42a)은 결합공간(42d)을 형성하도록 베이스(41)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면(42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42a)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면(42a)의 사이에는 함몰면(42b)이 마련될 수 있다. 함몰면(42b)은 베이스(41)와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질 수 있다. 함몰면(42b)과 베이스(41) 사이에는 결합공간(42d)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52)는 함몰면(42b)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블(80)의 수용공간(121)과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의 결합공간(42d)이 각각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80)과 결합돌기(52) 간의 간섭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52) 및 결합홀(43a, 43b)의 형성 위치가 자유로워 질 수 있다. 또한,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 사이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너 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00)는 지지부(110)를 관통하는 수용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홀(130)에는 케이블(8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8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홀(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80)은 수용홀(130) 내에 배치되고, 접착부재 등을 통해 이너 플레이트(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블(8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20b)에 부착될 수 있다.
수용홀(13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홀(13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섀시 리세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베이스(41)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섀시 리세스(42)는 결합공간(42d)과, 연장면(42a)과, 함몰면(42b)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공간(42d)은 섀시 리세스(42)가 후방으로 함몰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간(42d)에는 보스(52a) 및/또는 후크(52b)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섀시 리세스(42)를 통해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가 결합되는 위치와 케이블(80)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격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80)과 결합돌기(52) 간의 간섭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52) 및 결합홀(43a, 43b)의 형성 위치가 자유로워 질 수 있다. 또한,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 사이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자발광 패널
20: 방열 시트
30: 프론트 섀시
40: 리어 섀시
50: 리어 커버
70: 인쇄회로기판
80: 케이블
100: 이너 플레이트
110: 지지부
120: 리세스
130: 수용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리어 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함몰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면; 및
    상기 연장면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와 전후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는 함몰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함몰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함몰면에 부착되는 연장부; 및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통과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섀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리세스와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전후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는 함몰면을 포함하는 섀시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리세스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리세스의 제1관통홀과 대응되며 상기 섀시 리세스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섀시 리세스를 커버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섀시 리세스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리어 섀시와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부와 상기 리세스의 함몰면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리세스의 함몰면과 상기 섀시 리세스의 함몰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리어 섀시의 하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자발광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패널은
    전방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되는 측에 마련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자발광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자발광 패널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되는 방열 시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리어 섀시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케이블; 및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유기 발광 소자가 마련되는 자발광 패널과, 상기 자발광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
    상기 리어 섀시의 하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서 상기 리어 섀시와 결합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케이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면; 및
    상기 연장면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와 전후 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는 함몰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리세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68579A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0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79A KR20230080962A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12451 WO2023101144A1 (ko) 2021-11-30 2022-08-19 디스플레이 장치
EP22901504.5A EP4340002A1 (en) 2021-11-30 2022-08-19 Display device
CN202280047794.XA CN117616907A (zh) 2021-11-30 2022-08-19 显示装置
US17/896,702 US20240061465A1 (en) 2021-11-30 2022-08-26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79A KR20230080962A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62A true KR20230080962A (ko) 2023-06-07

Family

ID=8661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579A KR20230080962A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1465A1 (ko)
EP (1) EP4340002A1 (ko)
KR (1) KR20230080962A (ko)
CN (1) CN117616907A (ko)
WO (1) WO20231011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73B1 (ko) * 2014-10-27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9389B1 (ko) * 2015-05-28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134152A (ko) * 2016-05-27 201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00108A (ko) * 2019-06-24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1465A1 (en) 2024-02-22
WO2023101144A1 (ko) 2023-06-08
EP4340002A1 (en) 2024-03-20
CN117616907A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985B2 (en) Backlight module and thermal design thereof
TWI704540B (zh) 顯示裝置及可攜式終端機
US10304359B2 (en) Display device
US8860902B2 (en) Display unit with an integrated backlight
US9143719B2 (en) Stand for facilitating air flow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2622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140063351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36715A (ko)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
US10656672B2 (en) Display device
KR20150131453A (ko) 표시장치
US20220320458A1 (en) Display device
CN106997891B (zh) 显示装置
KR10175963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모듈
JP6333907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2300809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51600A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23174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24961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8040852A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2300806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3028808U (zh) 支撑组件和显示设备
KR202300807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68712A1 (en) Display apparatus
US9294707B2 (en) Television
KR2024010847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