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72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727A
KR20230080727A KR1020210168145A KR20210168145A KR20230080727A KR 20230080727 A KR20230080727 A KR 20230080727A KR 1020210168145 A KR1020210168145 A KR 1020210168145A KR 20210168145 A KR20210168145 A KR 20210168145A KR 20230080727 A KR20230080727 A KR 2023008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hassis
inner plate
adhesive member
thicknes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한
김선진
김연호
인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727A/ko
Publication of KR2023008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두께와 무게를 줄인 리어 섀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접착부재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접착부재로서, 제1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상기 제1두께만큼 간격(gap)을 형성하는 제2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REROF}
개시된 발명은, 무게 및 두께를 줄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이 스스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발광형과, 액정 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을 공급받아야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수광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리어 섀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리어 섀시의 강성 확보가 요구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한 외관을 위해 리어 섀시의 두께 감소가 요구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두께와 무게를 줄인 리어 섀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다른 복수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를 결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접착부재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접착부재로서, 제1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상기 제1두께만큼 간격(gap)을 형성하는 제2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재는,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를 갖는 액체 상태로 상기 리어 섀시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는,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된 상기 제1접착부재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1두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의 제1면은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의 상기 제1면과 반대인 제2면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 상의 복수의 지점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 상의 복수의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재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스로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자발광 패널과, 상기 자발광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시트는, 그라파이트, 알루미늄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어 커버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섀시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섀시의 일 면에 제1두께를 갖는 제1접착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액체 상태의 제2접착부재를 디스펜싱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가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는,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를 갖는 액체 상태로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프레스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상기 제1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두께로 유지되고, 상기 제2접착부재의 두께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섀시의 일 면에 액체 상태의 제1접착부재를 디스펜싱하고,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제1두께를 갖는 제2접착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가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재는,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를 갖는 액체 상태로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프레스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상기 제2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두께로 유지되고, 상기 제1접착부재의 두께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두께와 무게를 줄인 리어 섀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를 결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텔레비전(Television, TV)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arge Format Display, LFD)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 외관은 리어 섀시(40)와, 리어 커버(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방으로서, 중앙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리어 섀시(4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일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그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은 리어 커버(50)가 마련되는 부분일 수 있다. 리어 커버(50)의 면적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리어 커버(50)의 면적을 줄일수록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반적인 두께가 얇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리어 커버(50)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의 초슬림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50)의 일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일 측 단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어 커버(50)의 타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타 측 단은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리어 커버(50)의 좌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좌 측 단이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리어 커버(50)의 우 측 단과 리어 섀시(40)의 우 측 단이 상기 제1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양 측면에서의 주변부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면에서의 주변부가 매우 얇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섀시(3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섀시(40)와, 리어 섀시(40)의 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섀시(40)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리어 섀시(40)의 강도를 보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너 플레이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스스로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자발광 패널(11)과, 자발광 패널(11)의 후면에 부착되고,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방열 시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자발광 패널(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은 그 후방에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아 수광 패널 대비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발광 패널(11)의 하단에는 필름 케이블(12)이 마련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은 칩온필름(COF, Chip On Film) 형태로 자발광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마련되어 벤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의 일 단은 자발광 패널(11)의 하단과 연결되고, 필름 케이블(12)의 타 단은 벤딩되어 방열 시트(20)의 후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름 케이블(12)의 타 단에는 기판(13)이 마련될 수 있다. 기판(13)은 자발광 패널(11)을 구동하도록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판(13)은 방열 시트(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3)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방열 시트(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의 크기에 따라 기판(13)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자발광 패널(1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기판(13)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기판(13)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케이블(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4개의 기판(13)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중 2개의 기판(13)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4)과, 나머지 2개의 기판(13)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의 후면에 부착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자발광 패널(11)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자발광 패널(11)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열 시트(20)와 자발광 패널(11)은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방열 시트(20)는 그라파이트, 알루미늄, 구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열 시트(20)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시트(20)는 이너 플레이트(6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방열 시트(20)는 이너 플레이트(60)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열 시트(20)를 이너 플레이트(60)로부터 아무런 제한 없이 분리할 수 있다.
프론트 섀시(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섀시(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섀시(30)는 대략 사각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섀시(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어 섀시(40)는 리어 커버(5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는 리어 섀시(40)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리어 섀시(4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는 리어 섀시(40)에 결합되어 리어 섀시(40)의 강성을 보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커버(50)는 리어 섀시(40)의 후면에 결합됨으로써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50)와 리어 섀시(4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T-con 보드(timing controller, 미도시)와, 메인 보드(미도시)와, 전원 공급부(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섀시(40)의 강성을 보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는 리어 섀시(40)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리어 섀시(40)의 전면(前面)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섀시(40)의 전면에는 이너 플레이트(60)를 리어 섀시(40)에 결합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110)와, 접착제(1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면 테이프는 제1접착부재 또는 제2접착부재를 가리킬 수 있고, 접착제는 제2접착부재 또는 제1접착부재를 가리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섀시(40)에는 양면 테이프(110)와 접착제(12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너 플레이트(60)와 상기 리어 섀시(4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리어 섀시(40)의 전면의 복수의 지점에 양면 테이프(11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60)와 상기 리어 섀시(4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리어 섀시(40)의 전면의 복수의 지점에 접착제(120)가 디스펜싱될 수 있다. 양면 테이프(110)의 부착 위치와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접착제(120)의 부착 위치와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테이프(110)는 소정의 제1두께(t1, 도 7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120)는 제1두께(t1)보다 큰 제2두께(t2, 도 7 참조)를 갖도록 액체 상태로 리어 섀시(40)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섀시(40)와 이너 플레이트(60)를 결합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110)와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된 후 경화되는 접착제(120)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어 섀시(40) 및 이너 플레이트(60)의 두께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어 섀시(40) 상의 복수의 지점에 양면 테이프(110) 및 접착제(120)를 배치한 후, 이너 플레이트(60)를 리어 섀시(40) 상에 배치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60)를 리어 섀시(4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너 플레이트가 리어 섀시에 결합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에 결합되기 전에는, 제1두께(t1)를 갖는 양면 테이프(110)가 리어 섀시(4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두께(t1)보다 큰 제2두께(t2)를 갖는 액체 상태의 접착제(120)가 리어 섀시(40)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10)는 리어 섀시(40) 상의 복수의 지점에 부착될 수 있고, 접착제(120)는 리어 섀시(40) 상의 복수의 지점에 디스펜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양면 테이프와 접착제는 이너 플레이트에 배치된 후, 리어 섀시가 이너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에 결합된 후에는, 접착제(120)의 두께가 제1두께(t1)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된 접착제(120)는 제1두께(t1)로 유지되는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의 간격(gap)으로 인해 제1두께(t1)를 갖는 고체로 경화될 수 있다. 양면 테이프(110)는 그 두께의 변화가 거의 없는 고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에서 이너 플레이트(60)의 자중 및 외력(프레스)이 가해지더라도 양면 테이프(110)의 두께는 제1두께(t1)를 유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리어 섀시(40) 상에 양면 테이프(110)가 부착되고, 양면 테이프(110) 위에 이너 플레이트(60)가 배치될 경우, 양면 테이프(110)는 그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리어 섀시(40)와 이너 플레이트(60) 사이의 간격을 제1두께(t1)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110)는 그 상면과 하면이 각각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에 부착되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110)의 접착력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의 간격이 커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양면 테이프(110)는 리어 섀시(40)와 이너 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리어 섀시(40)와 이너 플레이트(6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 리어 섀시(40)와 이너 플레이트(60) 사이의 간격은 양면 테이프(110)의 두께인 제1두께(t1)로 유지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접착제를 리어 섀시의 전면(全面)에 걸쳐 도포한 후, 이너 플레이트를 결합하거나, 접착제를 이너 플레이트의 전면(全面)에 걸쳐 도포한 후, 리어 섀시를 결합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접착제를 넓은 면적에 도포하였기 때문에 접착 면적은 많았으나, 접착제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웠다.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소정 두께 이상으로 유지하기 어려웠고, 접착제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 대신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를 늘려야 했다. 이로 인해,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였다. 또한, 접착제를 넓은 면적에 부착하였기 때문에 접착제 부착 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양면 테이프와 접착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리어 섀시의 두께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접착제 및 양면 테이프의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체 상태의 양면 테이프를 리어 섀시 또는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함으로써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양면 테이프의 두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양면 테이프는 그 두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이너 플레이트와 리어 섀시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두께가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는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므로 이너 플레이트와 리어 섀시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힘이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 보다 약하다면 이너 플레이트와 리어 섀시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가 이너 플레이트와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되는 접착제가 이너 플레이트와 리어 섀시 사이에서 상기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접착제는 양면 테이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의 두께를 양면 테이프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점에서 접착제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접착제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면, 접착제가 리어 섀시와 이너 플레이트 사이에서 관성 모멘트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기술 대비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이너 플레이트의 무게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와 양면 테이프를 리어 섀시 또는 이너 플레이트의 전면(全面)에 걸쳐 디스펜싱하거나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펜싱 및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리어 섀시(40)의 일 면에 제1두께(t1)를 갖는 양면 테이프(110)를 부착한다. (101)
이 때, 리어 섀시(40)는 그 전면(前面)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리어 섀시(40)의 상기 일 면에 제1두께(t1)보다 큰 제2두께(t2)를 갖는 액체 상태의 접착제(120)를 디스펜싱한다. (102)
양면 테이프(110)와 접착제(120)는 리어 섀시(40) 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부착 및 디스펜싱될 수 있다.
이후,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의 상기 일 면을 커버하도록 이너 플레이트(60)를 리어 섀시(40) 상에 위치시킨다. (103)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의 위에 위치하도록 이너 플레이트(60)를 배치한다. 이 때, 이너 플레이트(60)의 자중에 의해 리어 섀시(40)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110)가 이너 플레이트(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의 경량화로 인해 이너 플레이트(60)의 자중만으로는 이너 플레이트(60)에 양면 테이프(110)가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110)가 이너 플레이트(60)에 부착되도록 이너 플레이트(60)를 프레스한다. 양면 테이프(110)가 이너 플레이트(60)에 부착되면, 양면 테이프(110)의 접착력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프레스를 중단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의 간격이 제1두께(t1)로 유지되고, 접착제(120)의 두께가 제1두께(t1)를 갖는 고체로 경화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리어 섀시(40)의 일 면에 제2두께(t2)를 갖는 액체 상태의 접착제(120)를 디스펜싱한다. (201)
이 때, 리어 섀시(40)는 그 전면(前面)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리어 섀시(40)의 상기 일 면에 제2두께(t2)보다 작은 제1두께(t1)를 갖는 양면 테이프(110)를 부착한다. (102)
양면 테이프(110)와 접착제(120)는 리어 섀시(40) 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부착 및 디스펜싱될 수 있다.
이후,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의 상기 일 면을 커버하도록 이너 플레이트(60)를 리어 섀시(40) 상에 위치시킨다. (203)
이너 플레이트(60)가 리어 섀시(40)의 위에 위치하도록 이너 플레이트(60)를 배치한다. 이 때, 이너 플레이트(60)의 자중에 의해 리어 섀시(40)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110)가 이너 플레이트(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60)의 경량화로 인해 이너 플레이트(60)의 자중만으로는 이너 플레이트(60)에 양면 테이프(110)가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110)가 이너 플레이트(60)에 부착되도록 이너 플레이트(60)를 프레스한다. 양면 테이프(110)가 이너 플레이트(60)에 부착되면, 양면 테이프(110)의 접착력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프레스를 중단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이너 플레이트(60)와 리어 섀시(40) 사이의 간격이 제1두께(t1)로 유지되고, 접착제(120)의 두께가 제1두께(t1)를 갖는 고체로 경화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패널
11 : 자발광 패널
12 : 필름 케이블
13 : 기판
14 : 연결 케이블
20 : 방열 시트
30 : 프론트 섀시
40 : 리어 섀시
41 : 섀시 홀
50 : 리어 커버
60 : 이너 플레이트
70 : 바텀 프레임
110 : 양면 테이프
120 : 접착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섀시;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접착부재;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접착부재로서, 제1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에 상기 제1두께만큼 간격(gap)을 형성하는 제2접착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재는,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를 갖는 액체 상태로 상기 리어 섀시에 디스펜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재는,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된 상기 제1접착부재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1두께로 유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재의 제1면은 상기 리어 섀시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부재의 상기 제1면과 반대인 제2면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 상의 복수의 지점에 디스펜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 상의 복수의 지점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재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스로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자발광 패널과,
    상기 자발광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열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시트는,
    그라파이트, 알루미늄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섀시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섀시의 일 면에 제1두께를 갖는 제1접착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액체 상태의 제2접착부재를 디스펜싱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가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재는,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를 갖는 액체 상태로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디스펜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상기 제1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두께로 유지되고,
    상기 제2접착부재의 두께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리어 섀시와, 상기 리어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어 섀시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섀시의 일 면에 액체 상태의 제1접착부재를 디스펜싱하고,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제1두께를 갖는 제2접착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가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재는,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를 갖는 액체 상태로 상기 리어 섀시의 상기 일 면에 디스펜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리어 섀시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상기 이너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상기 제2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섀시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두께로 유지되고,
    상기 제1접착부재의 두께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고체로 경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68145A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0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145A KR20230080727A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145A KR20230080727A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727A true KR20230080727A (ko) 2023-06-07

Family

ID=8676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145A KR20230080727A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7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376B2 (en) Display apparatus
US10390451B2 (en) Display device
KR102260801B1 (ko) 표시장치
US8164709B2 (en) Side type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assembly methods thereof
KR20170051625A (ko) 곡면부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858007B2 (en) Display devices, and display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s
EP4002334B1 (en) Display device
CN101083144A (zh) 显示装置
WO2015087518A1 (ja) 表示装置
US11770951B2 (en) Display device
US10687445B2 (en) Organic EL display apparatus
EP3236457B1 (en) Display device
KR202300807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4996A (ko) 전자 기기
US2024006146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140865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230168712A1 (en) Display apparatus
US9894784B2 (en) Display apparatus
KR202300806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3028808U (zh) 支撑组件和显示设备
US20240192536A1 (en) Display device
JP2008152086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194539B2 (en) Display device
KR202301119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0480A (ko) 디스플레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