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776A - 아이스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아이스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776A
KR20230078776A KR1020237014676A KR20237014676A KR20230078776A KR 20230078776 A KR20230078776 A KR 20230078776A KR 1020237014676 A KR1020237014676 A KR 1020237014676A KR 20237014676 A KR20237014676 A KR 20237014676A KR 20230078776 A KR20230078776 A KR 2023007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section
contact
lower chassis
contact surface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릭 안데르손
퍼 마스
Original Assignee
플로우 모션 테크놀러지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우 모션 테크놀러지 에이비 filed Critical 플로우 모션 테크놀러지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3007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63C1/303Skates with special blades removably fastened to the blad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22Skates with special foot-plates of the boot
    • A63C1/28Pivotally-mounted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빙상 스케이팅을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로서, 상기 아이스 스케이트는: 전방 단부(15a) 및 후방 단부(15b)를 갖는 제1 접촉 표면(15)을 포함하는 상부 섀시 섹션(10); 전방 단부(35a) 및 후방 단부(35b)를 갖는 제2 접촉 표면(35)을 포함하는 하부 섀시 섹션(30); 및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상부(10) 및 하부(30) 섀시 섹션을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순간 접촉 영역(CR)이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15a, 35a) 및 후방(15b, 35b) 단부 사이를 앞뒤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 사이의 롤링 접촉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이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에 대해 피벗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순간 접촉 영역(CR)을 상기 제1(15) 및 제2(1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15a, 35a)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15a, 35a)의 전방에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아이스 스케이트
본 발명은 빙판 위에서 스케이팅(skating)을 하기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 섀시 섹션이 하부 섀시 섹션에 대한 롤링 접촉 운동에 의해 피벗하도록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아이스 스케이트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부츠(boot)와 부츠에 고정된 스케이트 블레이드(blade)로 구성된다. 블레이드는 하부 얼음 접촉 에지(edge)가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종방향)을 따라 특정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특정 프로파일(profile) 또는 로커(rocker)를 나타낸다. 이 곡률은 사용자가 블레이드의 어느 부분이 순간적으로 얼음과 접촉되도록 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의 다리에서 블레이드로 힘이 전달되는 각도를 시프팅(shifting)함으로써 사용자는 순간적인 얼음 접촉 부분을 뒤로 움직여 만곡된 얼음 접촉 표면을 따라 힘을 가할 수 있다.
더 긴 순간적인 얼음 접촉 부분이 얼음 위에서 더 빠른 속도를 촉진하기 때문에, 스피드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더 큰 곡률 반경을 가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실제로, 스피드 스케이트에서 전체 얼음 접촉 표면 또는 적어도 그것의 주요 부분은 곡률이 전혀 없이 직선일 수 있다. 반면, 더 짧은 순간적인 얼음 접촉 부분은 기동성(manoeuvarability)을 향상시키고 급회전, 빠른 출발 및 정지, 백워드 스케이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스 하키, 밴디, 피겨 스케이팅 등과 같은 다른 스포츠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 블레이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블레이드의 곡률은 그 프로파일이 블레이드를 따라 서로 다른 반경들을 갖는 다수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얼음 접촉 표면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아이스하키 스케이트용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가속에 사용되는 더 작은 반경의 전방부, 글라이딩 및 고속 스케이팅을 위한 더 큰 반경의 중간부, 빠른 정지 및 크로스오버 스케이팅을 위한 더 작은 반경의 후방부를 나타낸다.
스피드 스케이트의 경우, 부츠를 블레이드에 부착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소위 클랩 바인딩(clap-binding)이 있다. 이러한 클랩 바인딩은 부츠가 블레이드에 대해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수단에 의해 스케이터는 블레이드의 비교적 긴 부분을 얼음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각 다리 스트로크(leg stroke)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더욱 발전된 유형의 아이스 스케이트가 도입되었다. 이 유형에서 부츠는 블레이드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롤링 접촉 운동에 의해 피벗하는 것이 허용된다. EP 2 696 949 B1은 그러한 아이스 스케이트를 공개한다. 이 아이스 스케이트는 제1 접촉 표면을 갖는 상부 섀시 섹션 및 제2 접촉 표면을 갖는 하부 섀시 섹션을 갖는 바인딩(binding)을 포함한다. 접촉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되어 있다. 커플링 수단이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들이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그들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피벗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이 상기 피벗팅 동안 고정된 회전 점(point of rotation) 없이 롤링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 백 수단(spring back means)이 제1 접촉 표면과 제2 접촉 표면 사이의 상대적 피벗 위치를 중립 위치로 가압(urging, 어징)하도록 구성된다. 이 아이스 스케이트는 아이스하키, 밴디, 피겨 스케이팅 등에서 사용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사용자가 블레이드에 균일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발 길이를 따라 중력 중심을 시프팅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기동성, 성능 및 편안함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섀시 섹션이 하부 섀시 섹션에 대해 고정된 회전 점(a fixed point of rotation) 없이 롤링 접촉 운동(rolling contact motion)에 의해 피벗(pivot)할 수 있는 유형의 개선된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인 피벗 롤링 운동을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로 가압(urging)하거나 바이어싱(biasing)하는 스프링 백 힘(spring back force)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단순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감소된 중량 및 치수를 나타내는 그러한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뛰어난 안정성과 견고성을 나타내는 그러한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용이한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롤링 접촉 운동의 기하학적 구조가 쉽게 변경될 수 있는 아이스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보정된 청구항 1에 규정된 바와 같은 아이스 스케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빙상 스케이팅을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는: 전방 단부(front end) 및 후방 단부(rear end)를 갖는 제1 접촉 표면(first contact surface)을 포함하는 상부 섀시 섹션(upper chassis section), 전방 단부(front end) 및 후방 단부(rear end)를 갖는 제2 접촉 표면(second contact surface)을 포함하는 하부 섀시 섹션(lower chassis section), 및 스프링 백 수단(spring back means)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을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 장치(coupling arrangement)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 표면 및 제2 접촉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되어(curved)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순간 접촉 영역(momentary contact region)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를 앞뒤로 움직이도록, 제1 및 제2 접촉 표면 사이의 롤링 접촉 운동(rolling contact motion)에 의해 상기 상부 섀시 섹션이 상기 하부 섀시 섹션에 대해 피벗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백 수단은 상기 순간 접촉 영역을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백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의 전방에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EP 2 696 949 B1에 개시된 아이스 스케이트를 이용하고 추가로 개발할 때, 스프링 백 수단이 두 접촉 표면들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중립 위치로 순간 접촉 영역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특별히 유리한 특성이 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프링 백 수단이 순간 접촉 영역을 가압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 롤링(backward rolling)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아이스 스케이트가 구성된다면 특정한 이점이 달성된다. 이 수단에 의해 사용자는 중간 탄력성(intermediate resilience)이나 움직임(play) 없이 다리에서 블레이드의 전방부(front portion)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스케이트를 밀어내는(push off) 단계 동안 블레이드의 전방부에 가해지는 파워(power)가 실질적인 손실 없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예를 들어 가속 중에 파워 효율이 증가된다. 당연히 이것은 증가된 파워 효율이 더 빠른 스케이팅 속도 및/또는 스케이터의 피로 감소를 허용하기 때문에 큰 이점을 제공한다. 블레이드의 전방부로의 직접적이고 비탄성적인 힘 전달은 또한 특히 가속 중에 스케이터의 스케이트 제어 및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추가로, 상기 접촉 표면들의 전방에 완전히 있는 스프링 백 수단의 구성은 스프링 백 수단이 순간 접촉 영역을 중립 위치로 가압하는 레버(lever)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스프링 백 수단이 비교적 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 가압력(active urging force)이 증가된다. 이것은 결국 아이스 하키 스케이트와 같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매우 유리한 아이스 스케이트의 총 중량을 감소시킨다. 증가된 레버의 길이는 또한 다양한 스케이터의 특정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작용 가압력을 정밀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접촉 표면들의 전방에 스프링 백 수단을 위치시키는 것은 또한, 스프링 백 수단이, 현대 종래의 아이스 스케이트의 토우(toe) 부분에 구성된 블레이드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전방 블레이드 지지 부재(front blade support member) 또는 전방 포스트(front post)의 기존 공동(cavity) 내부에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현대 아이스 스케이트의 종래의 치수 및 형태로부터의 실질적인 벗어남 없이 유리한 후방 롤링 기능이 스케이트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백 수단은 외부 치수의 증가 또는 외부 형상의 변경 없이 종래의 스케이트에 통합될 수 있다. 스프링 백 수단의 전방 위치 설정은 또한 스프링 백 수단이 많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제조하기 쉬운 단순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 백 수단은 하부 섀시 섹션의 상향 돌출 제1 맞물림 부재(first upwardly projecting engagement member)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섀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정지 표면(first stop surfac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섀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정지 표면(second stop surface)을 포함하, 상기 정지 표면들은 상호 접촉 시 순간 접촉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전방 단부들의 전방에서 앞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협동하는 제1 및 제2 정지 표면들은, 순간 접촉 영역이 그의 최전방 위치에 도달할 때, 스케이터로부터 블레이드로의 힘 전달을 방해하기 위해 스프링 백 수단으로부터 임의의 탄력을 제거한다. 따라서 스케이터는 예를 들어 푸시-오프(push-off)에서 블레이드의 토우 부분에 힘을 견고하게 가할 수 있고, 이것은 가속을 증가시키고 스케이팅의 정확성과 감각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정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의 전방에 구성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최전방 롤링 위치에 적용될 강성(rigidity)이 간단하고 공간을 절약하며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섀시 섹션은 복수의 제1 정지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섀시 섹션은 동일한 수의 제2 정지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협동 정지 표면들은 최전방 롤링 위치에서 적용될 강성을 더욱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섀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제3 정지 표면(third stop surface)을 포함하고 및 상기 하부 섀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제4 정지 표면(fourth stop surface)을 포함하고, 이 정지 표면들은 상호 접촉 시 상기 하부 섀시 섹션의 후방부(rear portion)가 상기 상부 섀시 상부 섹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제4 정지 표면은 상부 섀시 섹션의 공동(cavity)에 수용될 수 있는 하부 섀시 섹션의 상향 돌출 제2 맞물림 부재 상에 구성될 수 있고, 그 다음 제3 정지 표면은 상기 공동에 구성된다.
스프링 백 수단은 폴리머 재료의 사출 성형 스프링(injection moulded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스프링 백 수단은 원하는 스프링 특성 및 치수가 쉽게 주어질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스프링 백 수단은 상부 섀시 섹션에 피벗 고정될(pivotally fixed) 수 있다.
스프링 백 수단은 순간 접촉 영역이 중립 위치로부터 움직일 때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부 섀시 섹션은 스프링 백 수단의 최대 변형(maximum deformation)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백 제한 수단(spring back limiting means)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백 수단은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이 의도하지 않게 서로 분리되는 경우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 백 수단은 상부 섀시 섹션에 고정되고, 및 선택적으로, 순간 접촉 영역을 중립 위치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부 섀시 섹션과 맞물리고 및 하부 섀시 섹션이 상부 섀시 섹션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부 섀시 섹션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백 수단은 아이스 스케이트에 추가적인 신속 해제(quick-release)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예를 들어 아이스하키 게임 도중과 같이 블레이드를 빠르고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하부 섀시 섹션을 해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스프링 백 수단은 하부 섀시 섹션과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engagement position)와 하부 섀시 섹션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해제 위치(release position) 사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스프링백 수단은, 상부 섀시 섹션에 피벗 접속되는 제1 링크 암(first link arm), 제1 피벗 아암에 피벗 접속되는 제2 링크 암(second link arm) 및 제1 및 제2 피벗 아암의 각각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링크 메커니즘(link mechanism)을 포함한다. 이는 순간 접촉 영역을 중립 위치로 가압하는 힘을 달성하기 위한 신뢰성 있고 내구성이 있으며 공간을 절약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1 접촉 표면은 상부 섀시 섹션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교환 가능한 인서트(insert) 상에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개별 사용자의 개인 선호를 만족시키도록 제1 접촉 표면의 곡률을 쉽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아이스 스케이트는 하부 섀시 섹션이 제거되었을 때 상부 섀시 섹션에 인서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인서트 유지 수단(insert retention mean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하부 섀시 섹션이 해제되었을 때, 예를 들어 블레이드를 바꿀 때 인서트가 의도치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유지 수단은 상부 섀시 섹션에 대한 인서트의 제거 가능한 유지를 위한 압입 피팅(press fitting) 수단, 스냅 피팅(snap fitting) 수단 또는 나사산 스크류(threaded screw)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접촉 표면의 곡률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응용에서 제1 및/또는 제2 접촉 표면의 곡률이 그 길이에 따라 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1m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m, 더 바람직하게는 2-8m, 가장 바람직하게는 3-7m의 반경을 가지는 일정한 곡률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촉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에서 움직일 때, 최대 피벗 각도(maximum pivot angle)가 0.5-5˚바람직하게는 1-3˚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곡률 및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곡률과 피벗 각도는 아이스하키와 밴디에 사용되는 아이스 스케이트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피겨 스케이팅을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상부 섀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부츠에 고정되고 하부 섀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부 섀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의/한/상기/그/이 요소, 장치, 부품, 구성 요소,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부품, 구성 요소,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사례를 참조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바로 그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양태 및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스케이트의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c는 도 1에 도시된 아이스 스케이트를 통한 종단면도로서, 스프링 백 수단의 각각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 2a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 2a 및 도 3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 2a, 3 및 4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a-c는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 2a-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c에 도시된 구성 요소를 확대된 스케일로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이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양태는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모든 양태들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된다. 설명 전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스케이트의 상부 섀시 섹션(10) 및 하부 섀시 섹션(30)을 예시한다. 아이스 스케이트는 아이스하키 경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섀시 섹션(10)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부츠(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섀시 섹션(10)은 블레이드 홀더(blade holder)를 구성하고 폴리아미드와 같은 폴리머 재료의 사출 성형(injection moulding)에 의해 일체로서 형성된다. 상부 섀시 섹션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 있고 후방 포스트(rear post)(11), 전방 포스트(front poswt)(12) 및 후방(11) 및 전방(12) 포스트를 접속하는 하부 채널부(lower channel portion)(13)를 포함한다. 채널부(13)는 상부 섀시 섹션(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길이 방향(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수직 채널 벽(vertical channel walls)(13a, 13b)을 포함한다. 채널 벽(13a, 13b)은 하부 섀시 섹션(30)의 상부(upper portion)을 수용하기 위한 길이 방향 연장 채널을 규정한다. 상부 섀시 섹션(10)은 후방 포스트(11), 전방 포스트(12) 및 채널부(13)를 상호 접속하는 다수의 빔(beam)을 포함하는 보강부(reinforcing portion)(14)를 더 포함한다. 후방(11) 및 전방(12) 포스트는 각각, 부츠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한 관통 구멍(through hole)(11b, 12b)과 함께 측면으로 돌출하는 상부 플랜지부(upper flange portion)(11a, 12a)를 가진다.
하부 섀시 섹션(30)은 강철로 만들어지고 하부 얼음 접촉 에지(lower ice contacting edge)(32)를 갖는 블레이드부(blade portion)(31)을 포함한다. 블레이드부(31)를 그라인딩(grinding)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개별적인 요구 및 선호에 맞추기 위해 임의의 원하는 프로파일(profile) 또는 로커(rocker)가 제공될 수 있다. 상응하게, 에지(32)는 사용자의 개인 선호뿐만 아니라 얼음 및 당면한 다른 조건들에 적합한 임의의 단면 기하학적 구조로 날카롭게 될 수 있다.
도 1 및 2a-c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하부 섀시 섹션(30)은 일체형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하부 섀시 섹션은 예를 들어 금속 블랭크(metal blank)를 스탬핑(stamping), 절단(cutting) 또는 밀링(mill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섀시 섹션(30)은 전형적으로 2-5mm일 수 있고 보통 약 3mm인 일정한 단면 폭을 갖는다.
하부 섀시 섹션(30)의 블레이드부(31)의 상부는 채널 벽(13a, 13b) 사이에 형성된 채널에 수용된다. 하부 섀시 섹션(30)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가이드 및 측면 고정을 위해, 채널 벽(13a, 13b) 사이의 측면 거리는 기본적으로 하부 섀시 섹션(30)의 단면 폭과 동일한다. 하부 섀시 섹션(30)은 블레이드부(31)로부터 상부 섀시 섹션(10)을 향해 위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protrusion)을 더 포함한다. 이들 돌출부는 블레이드부(3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전방 포스트(12)의 공동(cavity)(12c) 내에 수용되는 제1 후크 부재(first hook member)(33) 형태의 제1 맞물림 부재(first engagement member)를 포함한다. 제2 후크 부재(second hook member)(34) 형태의 제2 맞물림 부재(second engagement member)는 블레이드부(31)의 후방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후방 포스트(11)의 공동(cavity)(11c)에 수용된다.
상부 섀시 섹션(10)은 전방 단부(15a) 및 후방 단부(15b)를 나타내는 제1 만곡 접촉 표면(first curved contact surface)(15)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접촉 표면(15)은 상부 섀시 섹션(10)의 아래쪽으로 개방된 인서트 공동(insert cavity)(17)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는 교환 가능한 인서트(exchangeable insert)(16)의 하부 에지(lower edge)로서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제2 접촉 표면은 상부 섀시 섹션과 일체로 형성된 아래쪽을 향하는 에지 표면(edge surface)으로서 구성된다. 하부 섀시 섹션(30)은, 하부 섀시 섹션(30)의 길이 방향 중간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서 블레이드부(31)의 상부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대응하는 제2 접촉 표면(second contact surface)(35)을 나타낸다. 제2 접촉 표면은 제1 접촉 표면(15)의 전방 단부(15a) 및 후방 단부(35b)와 수직으로 정렬되고 제1 접촉 표면(15)의 후방 단부(15a)와 수직으로 정렬된 전방 단부(35a)를 나타낸다. 전방 단부들(15a, 35a)은 대략 하부 섀시 섹션(30)의 길이 방향 중심에 구성되고, 후방 단부들(15b, 35b)은 하부 섀시 섹션(30)의 후방 단부에 근처에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길이, 즉 전방 단부(15a, 35a)와 후방 단부(15b, 35b) 사이의 거리는 하부 섀시 섹션(30)의 전체 길이의 약 절반이다. 예를 들어, 하부 섀시 섹션의 전체 길이가 300mm인 스케이트에서, 블레이드부의 얼음 접촉 에지는 200mm일 수 있고 제1 및 제2 접촉 표면들의 대략 120mm일 수 있다.
제1 접촉 표면(15)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예시된 예에서 곡률은 약 4m 반경으로 일정하다. 그러나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아이스 스케이트의 유형과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이 일정할 필요는 없지만 접촉 표면의 길이에 걸쳐 달라질 수 있다.
상부 섀시 섹션(10)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교환 가능한 인서트(16) 상에 제1 접촉 표면(15)을 구성함으로써, 아이스 스케이트는 인서트의 용이한 교환에 의해 우세한 환경 및 사용자의 요구에 쉽게 적응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접촉 표면(35)은 전체 길이에 걸쳐 평면이다. 그러나, 제2 접촉 표면은 또한 만곡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하부 제2 접촉 표면은 만곡될 수 있고 상부 제1 접촉 표면은 평면일 수 있다.
어쨌든, 적어도 하나가 만곡된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은 상부 섀시 섹션(10)이 하부 섀시 섹션(30)에 대해 고정된 회전 점(fixed point of rotation) 없이 롤링 접촉 운동에 의해 피벗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대적 피벗 운동 동안,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 사이의 순간 접촉 영역(momentary contact region)(CR)은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전방 단부(15a, 16a)와 후방 단부(15b, 16b) 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일 것이다. 도 2a에서, 상부 섀시 섹션(10)은 최전방 위치로 전방으로 피벗되어 순간 접촉 영역(CR)이 제1(15) 및 제2(15) 접촉 표면의 전방 단부(15a, 35a)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도 2b에서 상부 섀시 섹션(10)은 최후방 위치로 후방으로 피벗되어, 이에 의해 순간 접촉 영역(CR)이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후방 단부(15b, 35b)에 위치된다.
아이스 스케이트는, 상기 상대적 피벗 운동을 허용하면서 상부(10) 및 하부(30) 섀시 섹션을 접속하는 커플링 장치(coupling arrangement)를 더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는 순간 접촉 영역(CR)이 제1 및 제2 접촉 표면(15, 35)의 전방 단부(15a, 35a)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로 상대적 피벗 운동을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백 수단(spring back means)(50)을 포함한다. 이 중립 위치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접촉 표면(15, 35)의 전방 단부(15a, 35) 뒤에서 상부 섀시 섹션(10)에 힘을 가함으로써, 순간 접촉 영역(CR)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단부(15b, 35b)를 향하여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상부 섀시 섹션(30)를 후방으로 일시적으로 피벗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이 해제되자마자, 스프링 백 수단(5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 위치로 다시 상대적 운동을 가압한다.
도 2a-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서, 스프링 백 수단(50)은 상부 섀시 섹션(10)의 전방 포스트(12)의 공동(12c)에 수용되는 스프링 부재(spring member)(51)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51)는 전방 포스트(12)에 피벗 고정되고 일반적으로 U자형 탄성 아암(resilient arm)을 포함한다. D이 아암의 제1 단부(51a)는 전방 포스트의 공동(12c)를 통해 전방 포스트(12)의 대향하는 측벽들(sidewalls)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템(circular stem)(12d)을 수용하는 원형 관통 구멍을 나타낸다. 아암의 제2 단부(51b)는 하부 섀시 섹션(30)의 제1 후크 부재(33)의 제2 맞물림 표면(second engagement surface)(33a)을 형성하는 맞물림 시트(engagement seat)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는 외부 제1 맞물림 표면(first engagement surface)(51c)을 갖는 원통형부(cylindrical portion)을 포함한다. 제2 단부(51b)의 원통형부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구(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측면 리세스(lateral recess) 또는 관통 개구(through opening)(52)를 더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51)는 처음에 스템(12d)에 피벗 고정됨으로써 프리텐션(pre-tension)되고 맞물림 시트의 제2 맞물림부(33a)와 맞물려, 상부(10) 및 하부(30) 섀시 섹션 사이의 상대적 피벗 운동을 촉진하여 최전방으로 피벗된 중립 위치로 가압한다. 접촉 표면(15, 35)의 전방 단부(15a, 25a) 뒤에서 상부(10) 및 하부(30) 섀시 섹션 사이에 상대적인 힘을 인가함으로써, 스프링 부재가 변형되고 그에 의해 추가적으로 텐션되어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 후방 피벗 운동을 허용한다. 상기 힘의 해제 시, 추가적인 텐션 동안 스프링 부재(51)에 저장된 에너지는 도 2a에 도시된 중립 위치로 역 피벗 운동을 유발한다.
상부 섀시 섹션(10)은 전방 포스트(12)의 측벽들을 접속하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하부 벽(19) 상에 형성된 제1 정지 표면(first stop surface)(17)을 더 포함한다. 하부 섀시 섹션(30)은 블레이드부(31)의 전방 영역에서 블레이드부(31)의 상부 에지 상에 구성된 대응하는 제2 정지 표면(second stop surface)(37)을 나타낸다. 제1(17) 및 제2(37) 정지 표면(37)은 순간 접촉 영역(CR)이 접촉 표면(15, 35)의 전방 단부(15a, 35a)에 도달했을 때 상호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중립 위치를 지나 전방으로 더 이상의 피벗 운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협동하는 제1(17) 및 제2(37) 정지 표면(37)의 구성은 접촉 표면(15, 35) 전방 및 중립 위치에서 상부 섀시 섹션(10)에 인가된 임의의 힘이 블레이드부(31)에 임의의 굴복 없이 직접 및 비탄성적으로 전달되도록 허용한다.
전방 포스트(12)의 하부 측벽(19)은 또한 스프링 부재(51)에 대한 저지(arrest)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하부 섀시 섹션(30)의 전방부가 주변 물체에 잡히거나 걸려서 상기 전방부가 상부 섀시 섹션(10)으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있는 경우, 스프링 부재(51)는 하부 측벽(19)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스프링 부재(51)의 추가적인 피벗팅 및 연장(extension)을 방지한다. 이 수단에 의해, 스프링 부재(51)의 제2 단부(51b) 상의 제1 맞물림 표면(51c)은 하부 섀시 섹션(30)의 제1 후크 부재(33)의 맞물림 시트의 제2 맞물림 표면(33a)과의 맞물림을 유지하여, 하부 섀시 섹션(30)의 전방부가 상부 섀시 섹션(10)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부 측벽부(19)는 또한 스프링 부재(51)가 하부 섀시 섹션의 전방부의 그러한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서 과도하게 변형되고 텐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의해 스프링 부재(51)의 피로 파손 위험을 감소시킨다.
후방 포스트(11)에서, 상부 섀시 섹션(10)은, 후방 포스트(11)의 대향 측벽들과 후방 벽 사이의 후방 포스트 공동(11c)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벽부(lower wall portion)(20)에 구성되는 상향으로 대향하는 제3 접촉 표면(third contact surface)(18)을 나타낸다. 하향으로 향하는 제4 정지 표면(fourth stop surface)(38)이 하부 섀시 섹션의 제2 후크 부재(34)에 구성된다. 제3(18) 및 제4(38) 정지 표면은, 제1(17) 및 제2(30) 정지 표면이 상호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 피벗 운동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그 사이에 작은 거리가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18) 및 제4(38) 정지 표면은 상대적 피벗 운동의 최전방 중립 위치를 규정하는 데 기여하지 않는다. 대신, 제3(18) 및 제4(38) 정지 표면은, 이 후방 블레이드부가 임의의 주변 물체에 잡히거나 걸리는 경우에 하부 섀시 섹션(30)의 후방부가 상부 섀시 섹션(10)으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목적을 위해 구성된다.
후방 포스트(11)의 하부 벽부(20)의 하측에는 하향으로 향하는 제5 접촉 표면(fifth contact surface)(21)이 구성되고, 제2 후크 부재(34) 뒤의 블레이드부(31)의 상부 에지에는 제6 정지 표면(sixth stop surface)(41)이 구성된다. 제5(21) 및 제6(41) 정지 표면은, 후방 피벗 중에 순간 접촉 영역(CR)이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후방 단부(15b, 35b)에 도달할 때 상호 접촉하게 되어, 피벗 운동이, 순간 접촉 영역이 접촉 표면(15, 35)의 후방 단부(15b, 35b)에 위치하는 도 2b에 도시된 최후방 피벗 위치를 통과하여 제한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여, 아이스 스케이트는 하부 섀시 섹션(30)의 용이한 제거 및 교환을 허용하도록 더 구성된다. 하부 섀시 섹션의 그러한 교환은, 마모된 칼날을 날카로운 칼날로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아이스하키 경기에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플링 장치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해제 수단(release means)을 포함한다.
전방 포스트(11)의 대향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일반적으로 V자형 관통 슬롯(through penetrating slot)(22)이 제공된다. 슬롯(22)은 뾰족한 도구(미도시)를 스프링 부재(50)의 제2 단부(51b)에 구성된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52)에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도 2a에 도시된 중립 위치에서, 도구는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52)에 삽입될 수 있고 그 후에 V자형 슬롯(22)을 따라 전방으로 당겨져서 그에 의해 스프링 부재(51)의 제1 맞물림 표면(51c)을 제1 후크 부재(33)의 제2 맞물림 표면(33a)으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2c는, 스템(12d)에 대한 스프링 부재(51)의 반시계 방향 피벗팅 하에서, 이런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51)의 제2 단부(51b)가 어떻게 중간 위치(intermediate position)로 전방으로 당겨졌는지를 예시한다. 이 중간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51)는 제1 후크 부재(33)로부터 해제되어, 하부 섀시 섹션의 전방부가 상부 섀시 섹션(10)의 채널부(13)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그 후, 하부 섀시 섹션(30)의 전방부의 연속된 제거는 제2 후크 부재(34)가 후방 포스트(12)의 하부 벽부(2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여, 하부 섀시 섹션(30)이 상부 섀시 섹션(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또는 다른 하부 섀시 섹션을 부착하기 위해, 제2 후크 부재(34)가 먼저 채널부(13)에 삽입되고 후방 포스트(11)의 하부 벽부(20)와 맞물린다. 그 후, 제1 후크 부재(33)가 전방 포스트(12)에 삽입되도록 하부 섀시 섹션(30)의 전방부가 채널부(13)의 전방부로 피벗된다. 이러한 삽입 동안 스프링 부재(51)는 그의 제2 단부(51b)가 제1 후크 부재(33)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할 수 있다. 하부 섀시 섹션(30)이 상부 섀시 섹션(10)의 채널부(13)에 삽입되었을 때, 도구가 V자형 슬롯(22)의 전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스프링 부재(51)의 제2 단부(51b)의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52)와 맞물릴 수 있다. 그 다음, 하부 섀시 섹션의 고정을 완성하기 위해, 도구가 제2 단부(51b)의 제1 맞물림 표면(51c)을 제1 후크 부재(33)의 제2 맞물림 표면(33a)과 맞물리게 하는 데 이용된다. 이 맞물림 동작 동안, 순간 접촉 영역(CR)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립 위치를 향해 확실하게 가압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51)가 시계 방향으로 피벗되어 프리텐션된다.
하부 섀시 섹션(30)이 상부 섀시 섹션(10)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교환 가능한 인서트(16)는 인서트 공동(17)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인서트(16)가 공동(17)로부터 의도치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부 섀시 섹션(30)만을 교환하고자 할 때, 인서트(16) 및/또는 인서트 공동(17)에는 인서트(16)가 공동(17)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부터 유지하기 유지 수단(retention means)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러한 해제 가능한 유지는 인서트(16)가 인서트 공동(17)에 가볍게 압입됨으로써 달성된다. 인서트(16)를 제거하기 위해,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뾰족한 도구(미도시)를 인서트(16)와 공동 벽 사이에 삽입하고, 공동(17)과의 압입 맞물림으로부터 인서트를 구부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들에서, 유지 수단은 스냅 압입 수단 나사산 스크류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아이스 스케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 상부 섀시 섹션(10) 및 하부 섀시 섹션(30)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 1-2c에 예시된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구성 요소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다. 그러나, 이 실시 예에서 스프링백 수단은 전술한 스프링 부재(51)와 다르다. 여기서 스프링백 수단은 스프링 강선(spring steel wire)으로 이루어지고 중심 코일(central coil)(61)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6o)을 포함한다. 제1 단부(62a)를 갖는 제1 레그(first leg)(62) 및 제2 단부(63a)를 갖는 제2 레그(second leg)(63)는 중심 코일(61)로부터 연장된다. 제1 단부(61a)는 토션 스프링(60)이 전방 포스트(12)에 피벗 고정되고 전방 포스트 캐비티(12c)에 수용되도록 상부 섀시 섹션(10)의 전방 포스트(12)의 측면 스템(12d)을 수용하는 원형 관통 구멍(circular through hole)을 나타낸다. 이 수단에 의해 토션 스프링(60)이 상부 섀시 섹션(10)의 전방 포스트(12)에 피벗 고정된다. 제2 단부(63a)는 하부 섀시 섹션(30)의 제1 후크 부재(33)의 맞물림 시트의 제2 맞물림 표면(33a)에 수용될 수 있는 제1 맞물림 표면(63c)을 갖는 환형 루프(annular loop)를 포함한다. 이 환형 루프는 또한, 제1 맞물림 표면(63c)이 하부 섀시 섹션(30)을 상부 섀시 섹션(10)에 해제 및 부착을 위해 제1 후크 부재의 제2 맞물림 표면(33a)과 맞물림 해제 및 맞물림 시, 전방 포스트(12)의 V자형 슬롯(22)을 따라 제2 단부를 운동시키기 위한 도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관통 구멍(inner through hole)을 규정한다.
토션 스프링(60)은,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순간 접촉 영역을 전방 단부(15a, 35a)로 가압하고 하부 섀시 섹션(30)이 상부 섀시 섹션(10)에 부착 및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스프링 부재(51)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한다.
도 4는 아이스 스케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 상부 섀시 섹션(10) 및 하부 섀시 섹션(30)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 1-2c에 예시된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구성 요소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 예에서 스프링백 수단은 전술한 스프링 부재(51)와 다르다. 여기서 스프링 백 수단은 스프링 스틸 와이어로 만들어지고 중심 코일(71)을 포함하는 코일 팽창 스프링(coiled expansion spring)(70)을 포함한다. 제1 후크(72) 및 제2 후크(73)는 중심 코일(71)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제1 후크(72)는 상부 섀시 섹션(10)의 전방 포스트(12)의 측면 스템(12d)에 걸린다. 제2 후크(73)는 하부 섀시 섹션(30)의 제1 후크 부재(33a)의 제2 맞물림 표면(33a)과 맞물리는 제1 맞물림 표면(73c)을 갖는다.
코일 팽창 스프링(70)은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순간 접촉 영역을 전방 단부(15a, 35a)로 가압하고 하부 섀시 섹션(30)이 상부 섀시 섹션(10)에 부착 및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스프링 부재(51)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도 5a-b 및 도 6은 아이스 스케이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 상부 섀시 섹션(10) 및 하부 섀시 섹션(30)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 1-4에 예시된 상부 및 하부 섀시 섹션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구성 요소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 예에서, 스프링 백 수단(80)은 전술한 스프링 부재(51, 60, 70)와 다르다. 여기서 스프링 백 수단(80)은 전방 포스트 공동(12c)에 수용되고 제1 링크 아암(81), 제2 링크 아암(82) 및 코일 확장 스프링 (coiled expansion spring)(83)을 포함하는 링크 메커니즘(link mechanism)을 포함한다. 제1 링크 아암(81)은, 제1 링크 아암(81)이 상부 섀시 섹션(10)의 전방 포스트(12)에 피벗 고정되도록, 상부 섀시 섹션의 전방 포스트(12)의 스템(12d)을 수용하는 원형 관통 개구(circular through opening)(84)를 나타낸다.
제1 아암(81)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레버부(first lever portion)(85)와 관통 구멍(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레버부(second lever portion)(86)를 포함한다. 제2 링크 아암(82)의 제1 단부(82a)는 제2 레버부(86)의 자유 단부에 피벗 접속된다. 제2 링크 아암(82)의 제2 단부(82b)는 하부 섀시 섹션(30)의 제1 후크 부재(33)의 제2 맞물림 표면(33a)에 해제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 맞물림 표면(82c)을 갖는 라운드부(rounded portion)을 포함한다. 제2 단부(82b)는 추가로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측면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82d)를 나타낸다. 스프링(83)은 제1 링크 아암(81)의 제1 레버부(85)에 접속되는 제1 후크 단(first hooked end)(83a)과 제2 피벗 아암(82)의 제2 단부(82b)에 접속되는 제2 후크 단(second hooked end)(83b)을 포함한다. 이 수단에 의해, 스프링(83)이, 제1 피벗 아암(81)의 제2 레버부(86)와 제2 피벗 아암(82)의 제1 단부(82a) 사이의 피벗 접속 주위로 상대적 피벗 운동 동안, 제1 피벗 아암의 제1 레버부(85)와 제2 피벗 아암(82)의 제2 단부(82b)가 서로를 향하게 가압 하도록 구성된다.
도 5a는 링크 메커니즘이, 순간 접촉 영역(CR)을 제1 접촉 표면(15)의 전방 단부(15a)와 제2 접촉 표면(35)의 전방 단부(35a)가 상호 접촉하는 최전방 중립 위치로 가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b에서, 순간 접촉 영역(CR)이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후방 단부(15b, 35b)가 상호 접촉하는 최후방 위치로 움직이도록, 제1 접촉 표면(15)의 전방 단부(15a) 뒤에서 상부 섀시 섹션(10)에 외력이 인가된다. 순간 접촉 영역(CR)의 이 위치 및 임의의 중간 위치에서, 링크 메커니즘은, 순간 접촉 영역(CR)을 도 5a에 도시된 최전방 중립 위치로 되돌리도록 가압, 즉 재촉한다. 링크 메커니즘이 도 5b에 도시된 위치로 연장된 경우, 제2 피벗 아암(82)의 제2 단부(82b)는 전방 포스트(12)의 하부 횡벽부(19)와 접촉하여 이에 의해 제2 제한 아암(second limit arm)(82)의 운동을 제한하고 스프링(81)의 과도한 연장을 피한다.
도 5c는 뾰족한 도구(미도시)가 링크 메커니즘의 제2 아암(82)의 관통 개구(82d) 내로 삽입되는 방법 및 도구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제2 단부(82b)의 제1 맞물림 표면(82c)이 하부 섀시 섹션(30)의 제1 후크 부재(33)의 제2 맞물림 표면(33a)과 맞물림 해제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 동작 동안 뾰족한 도구는 전방 포스트(12)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벽에 구성된 도시되지 않은 슬롯을 통해 전방 포스트 공동(12)에 삽입된다. 이 수단에 의해 링크 메커니즘이 하부 섀시 섹션(30)으로부터 맞물림이 풀리면 하부 섀시 섹션(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쉽게 제거되고 교환될 수 있다. 새로운 하부 섀시 섹션을 채널부(18)에 삽입한 후, 하부 섀시 섹션(30)은, 제2 링크 아암(82)의 제1 맞물림 표면(82c)을 하부 섀시 섹션의 제1 후크 부재(33)의 제2 맞물림 표면(33a)과 맞물리도록 뾰족한 도구(미도시)를 사용하여 상부 섀시 섹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몇몇 실시 형태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개시된 형태 및 예들 이외의 다른 실시 형태 및 예들도 동일하게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5)

  1. 빙상 스케이팅을 위한 아이스 스케이트로서, 상기 아이스 스케이트는:
    전방 단부(15a) 및 후방 단부(15b)를 갖는 제1 접촉 표면(15)을 포함하는 상부 섀시 섹션(10);
    전방 단부(35a) 및 후방 단부(35b)를 갖는 제2 접촉 표면(35)을 포함하는 하부 섀시 섹션(30); 및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상부(10) 및 하부(30) 섀시 섹션을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되고,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순간 접촉 영역(CR)이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15a, 35a) 및 후방(15b, 35b) 단부 사이를 앞뒤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 사이의 롤링 접촉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이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에 대해 피벗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순간 접촉 영역(CR)을 상기 제1(15) 및 제2(1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15a, 35a)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스프링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15a, 35a)의 전방에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의 상향 돌출 제1 맞물림 부재(33)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정지 표면(17)을 포함하고 및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정지 표면(37)을 포함하며, 상기 정지 표면들은 상호 접촉 시 상기 순간 접촉 영역(CR)이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전방 단부들(15a, 35a)의 전방에서 앞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7) 및 제2(37) 정지 표면은 상기 제1(15) 및 제2(35) 접촉 표면의 상기 전방 단부(15a, 35a)의 전방에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은 적어도 하나의 제3 정지 표면(18)을 포함하고 및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은 적어도 하나의 제4 정지 표면(38)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정지 표면은 상호 접촉 시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의 후방부가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에 피벗 고정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순간 접촉 영역(CR)이 중립 위치로부터 움직일 때 변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은 상기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의 최대 변형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백 제한 수단(19)을 포함하는, 아이스 스케이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에 고정되고, 및 선택적으로, 상기 순간 접촉 영역(CR)을 상기 중립 위치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섀시 섹션(10)과 맞물리고 및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이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백 수단(50, 60, 70, 80)은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과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하는, 아이스 스케이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백 수단(80)은,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에 피벗 접속되는 제1 링크 아암(81), 상기 제1 피벗 아암(81)에 피벗 접속되는 제2 링크 아암 및 상기 제1(81) 및 제2(82) 피벗 아암(81)의 각각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된 스프링(83)을 포함하는 링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아이스 스케이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표면(15)은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는 교환 가능한 인서트(16) 상에 구성되는, 아이스 스케이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5) 및/또는 제2(35) 접촉 표면의 곡률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반경을 나타내는, 아이스 스케이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5) 및/또는 제2(35)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1m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m, 더 바람직하게는 2-8m, 가장 바람직하게는 3-7m인 반경을 가지는 일정한 곡률을 나타내는, 아이스 스케이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5) 및/또는 제2(35)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촉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표면의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에서 움직일 때, 최대 피벗 각도가 1-10˚ 사이, 바람직하게는 2-5˚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가 되도록 구성된 곡률 및 길이를 나타내는, 아이스 스케이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섀시 섹션(10)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부츠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섀시 섹션(30)은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아이스 스케이트.
KR1020237014676A 2020-10-02 2021-10-04 아이스 스케이트 KR20230078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9753.3 2020-10-02
EP20199753.3A EP3978088B1 (en) 2020-10-02 2020-10-02 An ice skate
PCT/EP2021/077269 WO2022069762A1 (en) 2020-10-02 2021-10-04 An ice sk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776A true KR20230078776A (ko) 2023-06-02

Family

ID=7274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676A KR20230078776A (ko) 2020-10-02 2021-10-04 아이스 스케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64491A1 (ko)
EP (1) EP3978088B1 (ko)
JP (1) JP2023544344A (ko)
KR (1) KR20230078776A (ko)
CN (1) CN116490248A (ko)
CA (1) CA3192092A1 (ko)
WO (1) WO20220697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8007B1 (en) * 1995-05-24 2004-05-06 Salomon S.A. Sport device
AT410902B (de) * 1998-11-12 2003-08-25 Atomic Austria Gmbh Schwenkbare verbindungseinrichtung zur anordnung zwischen einem sportgerät und einem fuss eines benutzers sowie schuh und sportgerät hierfür
SE1150246A1 (sv) * 2011-03-18 2012-08-21 Marsblade Ab Bindning samt en skida, skridsko eller sko med en sådan bindning
EP2703053A1 (en) * 2012-08-31 2014-03-05 Marsblade AB Coupl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9762A1 (en) 2022-04-07
EP3978088A1 (en) 2022-04-06
EP3978088C0 (en) 2023-10-04
CN116490248A (zh) 2023-07-25
US20230364491A1 (en) 2023-11-16
CA3192092A1 (en) 2022-04-07
EP3978088B1 (en) 2023-10-04
JP2023544344A (ja)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8268B1 (en) Tool-less size adjustable in-line skate
EP1708793B1 (en) Expandable in-line skate
CA2730746C (en) Rotary retention latch for replaceable skate blade systems
USRE44805E1 (en) Ice skate and ice skate blade thereof
US20050134010A1 (en) Goalie skate protective shell with removable blade
US6217039B1 (en) Adjustable skate
CZ20031625A3 (cs) Sanice brusle
US20030006585A1 (en) Telemark ski boot and releasable binding assembly
US6497421B1 (en) Skating and other apparatus
US20030009918A1 (en) Device for clamping together two parts of a sports article
CA2638352A1 (en) Rotary retention latch for replaceable skate blade systems
CA2727804C (en) Locking mechanism for an ice skate blade
KR20230078776A (ko) 아이스 스케이트
WO2000061245A1 (en) Lateral toe pick for ice skate blade
EP3978087A1 (en) An ice skate with exchangeable blade
EP2240249A1 (en) Step-in telemark ski binding
EP1013314A1 (en) Ice skate runner holder
EP2036595B1 (en) Ice skate
EP2116286B1 (en) Flexor unit and binding containing it
EP0765181B1 (en) Ice skate
CA2397000C (en) Goalie skate protective shell with removable blade
CA3036159A1 (en) Pitch blades
EP1447116A2 (en) Roller sk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