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903A - 물품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903A
KR20230061903A KR1020210146636A KR20210146636A KR20230061903A KR 20230061903 A KR20230061903 A KR 20230061903A KR 1020210146636 A KR1020210146636 A KR 1020210146636A KR 20210146636 A KR20210146636 A KR 20210146636A KR 20230061903 A KR20230061903 A KR 2023006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long
conveying
suppor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게 이와타
가즈나리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to KR102021014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903A/ko
Publication of KR2023006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물품 반송 장치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반송 방향(T)에 물품을 반송하는 컨베이어(1)와, 반송 방향(T)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마스트(2)와,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1)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복수의 지지부(3)는, 반송 방향(T)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부(3) 중 적어도 1개를 대상 지지부(3B)로 하여, 대상 지지부(3B)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을 따르는,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기구(MM)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장치{ARTICLE 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搬送)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된 마스트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장치의 일례가, 일본특허 제624140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배경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에 나타내어진 부호는, 특허문헌 1의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1개의 마스트(8)에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승강대(6)가, 해당 마스트(8)를 따라 승강하여 물품(18)을 상하 방향으로 반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승강대(6)가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반송 방향(X)으로도 물품(18)을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에 의한 물품의 반송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컨베이어를 반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복수의 마스트를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각 마스트에 설치된 지지부에 의하여, 컨베이어를 반송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컨베이어에 대한 복수의 마스트의 설치 오차나, 복수의 마스트끼리의 상대적인 경사가 있는 경우에는,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가 길어질수록, 컨베이어의 자중(自重)이나 승강 시의 관성에 의해 컨베이어에 휨이 생기고, 각 부(部)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해당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마스트 등에 상정외의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복수의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지지부에 의해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장치의 실현이 요망된다.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반송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마스트와,
복수의 상기 마스트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1개를 대상 지지부로 하여,
상기 대상 지지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을 따르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기구(機構)를 구비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마스트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를 반송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중, 적어도 1개가 대상 지지부로 된다. 그리고, 이 대상 지지부에 의해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개소에서는, 컨베이어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하여,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의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해 허용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부위에 과대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가일층의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 분류 시스템의 사시도
[도 2]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 분류 시스템의 평면도
[도 3] 복수 단(段) 분류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 분류 시스템의 측면도
[도 5] 물품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물품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폭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도 7] 대상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대상 지지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斷面圖)
[도 9] 기준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기타의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폭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도 11] 기타의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폭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이하, 물품 반송 장치가 분류(어소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물품 반송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류 시스템]
먼저, 도 1∼도 4를 참조하여, 분류 시스템 P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 시스템 PS는, 예를 들면 통신 판매를 행하는 사업자가 보유하는 물류 설비에 구비되고, 보관되고 있는 복수의 물품(G) 중에서 필요한 물품(G)를 분류하여 출고한다. 분류 시스템 PS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자동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물품(G)로부터 필요한 물품(G)를 분류하여 출고한다. 이 경우, 자동창고에는, 복수의 물품(G)가 종별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되고 있다. 그리고, 종별마다 용기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G)는, 자동창고로부터 자동으로 반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물품 해체부에 있어서 개별의 물품(G)로 분리된다. 그 후, 복수의 물품(G)의 각각이 개별로 반송된다. 그리고, 「물품(G」의 개념에는, 예를 들면, 식료품이나 생활용품 등의 각종 상품, 또는, 공장의 생산 라인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재공품 등이 포함된다. 즉, 분류 대상이 되는 물품(G)에는 다양한 것이 포함된다.
분류 시스템 PS는, 복수 단 분류 장치(5)와, 복수 단 분류 장치(5)로부터 물품(G)를 수취하고, 수취한 물품(G)를 상기 복수 단 분류 장치(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X)을 따라 반송하는 반출(搬出) 컨베이어(6)과,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물품(G)를 수취하여 해당 물품(G)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방향(X)에 교차하는(도시한 예에서는 직교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분류 시스템 PS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분류 장치(5)에 물품(G)를 반입하는 반입(搬入) 장치(4)와, 물품 반송 장치(100) 사이에서 물품(G)의 수도(受渡;받아건넴)를 행하는 수도 장치(7)와, 자동 투입기(8)과, 반출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수도 장치(7)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를 수취하고, 수취한 물품(G)를 자동 투입기(8)에 반송한다. 자동 투입기(8)는, 후술하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모아진 복수 또는 단수의 물품(G)를 물품군(Gg)로 하여, 반출 장치(9)에 투입한다. 그리고, 반출 장치(9)은, 물품군(Gg)를 도면 외의 반출 장소에 반출한다.
[반입 장치]
반입 장치(4)는, 종별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자동창고로부터 반출되고 또한, 상기 물품 해체부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분리된 물품(G)를, 순차적으로, 복수 단 분류 장치(5)에 반입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반입 장치(4)는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복수 단 분류 장치]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반입 장치(4)로부터 반입된 물품(G)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다른 복수 단의 개구(開口)(51)를 가지고, 물품(G)를 복수 단의 개구(51) 중 어느 하나에 분류하여 배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복수 단 및 복수 열로 이루어지는 직교 격자형 배열의 복수의 개구(51)를 가지고 있다.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를 복수의 개구(51) 중 어느 하나에 분류한다. 본 예에서는,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개구(51)로부터 물품(G)를 배출하여 반출 컨베이어(6)에 넘겨줌으로써, 물품(G)의 분류를 행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오더 정보란, 예를 들면, 출하해야 할 물품(G)(단일종이라도 되고, 복수 종류의 조합이어도 됨)의 종별 및 수량을 지정한 오더(피킹 오더)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각 오더에 의해 지정된 1개 이상의 물품(G)를, 오더마다 상이한 개구(51)에 배출함으로써, 물품(G)의 분류를 행한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물품(G)를 판별하기 위한 물품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물품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물품(G)를 분류한다. 예를 들면, 물품 판별부는, 물품(G)를 촬상(撮像)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이 카메라로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함으로써 물품(G)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 정보를 기억하는 IC 태그나 바코드 등(기억부)가 물품(G)에 부여되어 있고 또한, 물품 판별부가, 상기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판독부)를 구비하고, 이 리더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분류 장치(5)는, 레일(52)과, 해당 레일(5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반송 대차(53)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52)은, 개구(51)가 형성되는 복수 단마다, 수평 방향(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대차(53)는, 레일(52)의 수평 부분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물품(G)를 제2 방향(Y)으로 반송한다. 또한, 레일(5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을 접속하는 상하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대차(53)는, 레일(52)의 상하 부분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의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반송 대차(53)의 수는, 개구(51)가 형성되는 단수(段數)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개구(51)가 형성되는 단수보다 적은 대수나 많은 대수의 반송 대차(53)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8단의 개구(51)에 대하여 8대의 반송 대차(5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대차(53)의 각각은, 물품(G)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해당 물품(G)를 개구(51)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54)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컨베이어(54)는, 반송 대차(53)의 주행 경로로부터 제1 방향(X)로 물품(G)를 이동시킨다.
[반출 컨베이어]
반출 컨베이어(6)는, 복수 단 분류 장치(5)에 의해 분류된 물품(G)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 컨베이어(6)는, 복수 단의 개구(51)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복수 단 분류 장치(5)에 의해 개구(51)로부터 배출된 물품(G)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고 또한, 해당 저장한 물품(G)를 제1 방향(X)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출 컨베이어(6)가, 복수 단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 열의 개구(51)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2 방향(Y)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6)는, 오더마다 복수의 물품(G)의 집합인 물품군(Gg) 단위로 물품(G)를 반송하고, 물품 반송 장치(100)에 배출한다. 1개의 물품군(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수는 오더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면, 오더에 따라서는, 1개의 물품(G)에 의해 1개의 물품군(Gg)가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수도 장치]
수도 장치(7)는, 물품 반송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도를 행하는 장치이다. 수도 장치(7)는, 물품 반송 장치(100)에 대하여 제2 방향(Y)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도 장치(7)는,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해 반송된 물품(G)를 상기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수도 장치(7)는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 장치]
다음으로,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장치(100)는, 물품(G)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는, 물품 반송 장치(100)가 분류 시스템 PS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고, 물품 반송 장치(100)는,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배출된 물품(G)를 제2 방향(Y)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해 물품(G)가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T)」로 하고, 반송 방향(T)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W)」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방향(T)」는, 전술한 분류 시스템 PS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한 「제2 방향(Y)」와 동등하고, 「폭 방향(W)」는 「제1 방향(X)」와 동등하다. 또한, 여기서는, 반송 방향(T)의 한쪽 측을 반송 방향 제1 측(T1), 반송 방향(T)의 다른쪽 측을 반송 방향 제2 측(T2)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00)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반송 방향(T)로 물품을 반송하는 승강 컨베이어(1)와, 반송 방향(T)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마스트(2)와,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컨베이어(1)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반송 방향(T)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즉, 반송 방향(T) 및 이것에 직교하는 폭 방향(W)는, 수평을 따른 방향이다.
승강 컨베이어(1)는, 복수의 지지부(3)가 마스트(2)의 각각을 따라 승강하는 것에 수반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컨베이어(1)는, 복수 단에 배치된 복수의 반출 컨베이어(6)의 각각에 대응한 높이에 이동하여, 복수 단의 각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물품(G)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 컨베이어(1)는, 복수의 지지부(3)에 지지된 반송 방향(T)의 전역에 있어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 방향(T)(제2 방향(Y))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모든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물품(G)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컨베이어(1)가 「컨베이어」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컨베이어(1)는, 서로 반송 방향(T)를 따라 배치된 제1 컨베이어부(11) 및 제2 컨베이어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부(11)와 제2 컨베이어부(12)는, 서로 접속되어 반송 방향(T)의 동일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부(11)와 제2 컨베이어부(12)의 양쪽은,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부(11)는, 반송 대상의 물품(G)가 접촉하는 제1 반송면(11F)과, 제1 반송면(11F)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1 반송면(11F)은, 반송 대상의 물품(G)를 탑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부(11)는, 제1 반송면(11F)에 의해 물품(G)를 탑재한 상태에서, 해당 물품(G)를 반송 방향 제1 측(T1)을 향하여 반송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면(11F)은, 반송 방향(T)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반송면(11F)은, 폭 방향(W)에서의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향함에 따라서 아래쪽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써,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배출되는 물품(G)를, 제1 반송면(11F)에 의해 적절하게 수취할 수 있고 또한, 폭 방향(W)에서의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가까이 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부(12)는, 반송 대상의 물품(G)가 접촉하는 제2 반송면(12F)과, 제2 반송면(12F)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제2 컨베이어부(12)는, 제1 컨베이어부(11)에 대하여 폭 방향(W)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반송면(12F)은, 제1 반송면(11F)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G)에 대하여 폭 방향(W)로부터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컨베이어부(12)는, 폭 방향(W)에서의 제1 컨베이어부(11)를 사이에 두고 반출 컨베이어(6)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반송면(12F)은, 제1 반송면(11F)에 탑재된 물품(G)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W)의 반대 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로써, 반출 컨베이어(6)로부터 제1 컨베이어부(11)의 제1 반송면(11F)에 배출된 물품(G)를, 제2 반송면(12F)에 접촉시켜, 제1 반송면(11F)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에 탈락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컨베이어부(12)는, 제2 반송면(12F)에 의해 폭 방향(W)로부터 물품(G)에 접촉한 상태에서, 해당 물품(G)를 반송 방향 제1 측(T1)을 향하여 반송한다.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면(11F)과 제2 반송면(12F)이 이루는 각이 대략 직각으로 되도록, 제1 컨베이어부(11)와 제2 컨베이어부(12)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마스트(2)의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설비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마스트(2)는, 폭 방향(W)가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반송 방향(T)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마스트(2)끼리의 반송 방향(T)의 간격은, 도시한 바와 같이 등간격이라도 되고, 상이한 간격이라도 된다.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에는, 승강 컨베이어(1)를 지지하는 지지부(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물품 반송 장치(100)는 복수의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지지부(3)는 반송 방향(T)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승강 컨베이어(1)는, 복수의 지지부(3)에 의하여, 반송 방향(T)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지지되고 있다.
마스트(2)에는, 지지부(3)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구동부(20)는, 승강 모터(20M)과, 승강 모터(20M)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도시하지 않음)과, 회전체에 권취된 무단체(無端體)(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무단체는 지지부(3)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모터(20M)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무단체가 구동되고, 지지부(3)가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전체는 풀리로 되고, 무단체는 벨트로 된다. 다만, 지지부(3)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20)의 구조로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에, 상기의 회전체 및 무단체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마스트(2) 중 어느 하나에, 승강 모터(20M)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모터(20M)는 구동 연결축(21)에 의하여,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에 설치된 회전체와 구동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에 설치된 지지부(3)가, 서로 동기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마스트(2)를 따라 승강하는 지지부(3)에 의해 승강 컨베이어(1)를 지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승강 컨베이어(1)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컨베이어(1), 지지부(3), 또는 마스트(2)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물품 반송 장치(100)는, 반송 방향(T)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응력을 저감 가능하게 승강 컨베이어(1)를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물품 반송 장치(1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평면도를, 도 6은 폭 방향(W)에서 볼 때의 도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반송 방향(T)로 배열하는 복수의 마스트(2) 중 적어도 1개를 기준 마스트(2A)로 하고, 복수의 지지부(3) 중 적어도 1개를 기준 지지부(3A)로 한다. 본 예에서는, 반송 방향(T)로 배열하는 복수의 마스트(2) 중 가장 반송 방향 제1 측(T1)에 배치된 마스트(2)을 기준 마스트(2A)로 하고, 해당 기준 마스트(2A)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3)를 기준 지지부(3A)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 제1 측(T1)의 단부(端部)에 있어서, 승강 컨베이어(1)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도를 행하는 전술한 수도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마스트(2) 중 반송 방향(T)에 있어서 수도 장치(7)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마스트(2)가, 기준 마스트(2A)이며, 해당 기준 마스트(2A)에 설치된 지지부(3)가 기준 지지부(3A)다. 기준 지지부(3A)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기구(PM)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반송 방향(T)로 배열하는 복수의 마스트(2) 중 적어도 1개를 대상 마스트(2B)로 하고, 복수의 지지부(3) 중 적어도 1개를 대상 지지부(3B)로 한다. 즉, 대상 마스트(2B)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3)를 대상 지지부(3B)로 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기준 마스트(2A) 이외의 모든 마스트(2)가 대상 마스트(2B)이며, 기준 지지부(3A) 이외의 모든 지지부(3)가 대상 지지부(3B)다. 대상 지지부(3B)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을 따르는,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기구(MM)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대상 지지부(3B)의 구조, 및 이동 허용 기구(MM)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지지부(3B)는, 대상 마스트(2B)(마스트(2))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이, 대상 마스트(2B)(마스트(2))로부터 폭 방향(W)로 돌출하고 또한 서로 반송 방향(T)로 이격되도록, 대상 마스트(2B)(마스트(2))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은, 대상 마스트(2B)(마스트(2))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 허용 기구(MM)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된 평면부(F)와, 평면부(F)에 접촉하면서 해당 평면부(F)와 상대 이동하는 이동체(M)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평면부(F)와 이동체(M)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승강 컨베이어(1)가 대상 지지부(3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M)는 승강 컨베이어(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부(F)는 이동체(M)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이동체(M)가 평면부(F) 상을 이동함으로써, 승강 컨베이어(1)를, 대상 지지부(3B)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는, 반송 방향(T)를 따라 배치된 안내 레일(31)과, 안내 레일(31)의 전동면(轉動面)(31F)을 반송 방향(T)를 따라 전동하는 안내 롤러(32)와, 안내 롤러(32)와 승강 컨베이어(1)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전동면(31F)이 전술한 평면부(F)에 상당하고, 안내 롤러(32)가 전술한 이동체(M)에 상당하고 있다. 연결 부재(33)는, 안내 롤러(32)의 전동에 따라 반송 방향(T)로 이동한다. 본 예에서는, 연결 부재(33)는, 안내 롤러(32)에 연결된 안내 연결 부재(330)와, 안내 연결 부재(330)에 연결되면 함께 승강 컨베이어(1)를 지지 및 연결하는 지지 연결 부재(331)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승강 컨베이어(1)는 제1 컨베이어부(11)와 제2 컨베이어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지지 연결 부재(331)는, 제1 컨베이어부(11)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 지지부(331a)와, 제2 컨베이어부(12)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 지지부(331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31)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의 반송 방향(T)의 사이에 배치되고, 해당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는, 폭 방향(W)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안내 레일(31)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안내 레일(31)의 배후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한 쌍의 안내 레일(31)의 각각에, 안내 롤러(32)와 안내 연결 부재(33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연결 부재(331)는, 한 쌍의 안내 연결 부재(330)의 각각에 대하여, 폭 방향(W)의 양쪽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는, 한 쌍의 안내 레일(31)과, 한 쌍의 안내 롤러(32)와, 한 쌍의 안내 연결 부재(330)와, 1개의 지지 연결 부재(3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한 쌍의 안내 레일(31) 중 한쪽 측의 안내 레일(31)의 주변 구조만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다른쪽 측의 구조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나타내진 한쪽 측의 안내 레일(31)의 주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31)의 전동면(31F)은 위쪽을 향하는 면이다. 여기서는, 전동면(31F)은 수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면(31F)은 반송 방향(T)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31)은, 전동면(31F)으로부터 위쪽으로 기립하고 또한 반송 방향(T)를 따라 형성된 안내벽(310)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벽(310)은, 안내 롤러(32)가 폭 방향(W)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롤러(32)는, 전동면(31F)에 탑재된 상태로, 해당 전동면(31F)을 반송 방향(T)를 따라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안내 롤러(32)는, 폭 방향(W)(본 예에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롤러 축(321)과, 롤러 축(321)에 지지되고 또한 롤러 축(321)의 축심(軸心) 주위에 회전하는 롤러체(322)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체(322)는, 반송 방향(T)를 따라 전동면(31F)을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롤러체(322)(안내 롤러(32))가 반송 방향(T)를 따라 전동면(31F)을 전동하는 것에 의해, 안내 연결 부재(330)를 통하여 롤러체(322)에 연결된 지지 연결 부재(331)가 반송 방향(T)로 이동하고 또한, 지지 연결 부재(331)에 지지된 승강 컨베이어(1)도 반송 방향(T)로 이동한다. 따라서, 승강 컨베이어(1)는, 대상 마스트(2B)(마스트(2))에 대하여 반송 방향(T)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방향이, 적어도 반송 방향(T)를 따른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동 허용 기구(MM)는,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T)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체(322)는, 전동면(31F)에 대하여 폭 방향(W)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면(31F)의 폭 방향(W)의 치수는, 롤러체(322)의 폭 방향(W)의 치수보다 크다. 이로써, 롤러체(322)의 폭 방향(W)의 이동값이 확보되고 있다. 그리고, 롤러체(322)(안내 롤러(32))가 폭 방향(W)를 따라 전동면(31F)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안내 연결 부재(330)를 통하여 롤러체(322)에 연결된 지지 연결 부재(331)가 폭 방향(W)로 이동하고 또한, 지지 연결 부재(331)에 지지된 승강 컨베이어(1)가 폭 방향(W)로 이동한다. 따라서, 승강 컨베이어(1)는, 대상 마스트(2B)(마스트(2))에 대하여 폭 방향(W)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방향이, 반송 방향(T)에 더하여, 폭 방향(W)를 따른 방향으로도 설정되어 있고, 이동 허용 기구(MM)는, 승강 컨베이어(1)의 폭 방향(W)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는,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T) 및 폭 방향(W)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동 허용 기구(MM)는, 반송 방향(T) 및 폭 방향(W)의 양쪽에 중복되는 면 내에서의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있고, 본 예에서는, 수평면을 따른 모든 방향으로,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연결 부재(330)는, 안내 롤러(32)에 대하여 롤러 축(321)의 축 방향(본 예에서는 폭 방향(W))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안내 연결 부재(330)는, 폭 방향(W)를 향하는 면을 가지고 또한 반송 방향(T)를 따라 연장되는 세로 벽부(330a)와, 세로 벽부(330a)의 상부로부터 폭 방향(W)를 따라 돌출하는 상벽부(330b)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연결 부재(330)는, 세로 벽부(330a)에 있어서 안내 롤러(32)에 연결되어 있고, 상벽부(330b)에 있어서 지지 연결 부재(331)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위벽부(330b)는, 세로 벽부(330a)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승강 컨베이어(1)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안내 롤러(32)는, 세로 벽부(330a)에 대하여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연결 부재(330)는 안내 부재(330c)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부재(330c)는 세로 벽부(330a)에 연결되어 있고, 해당 세로 벽부(330a)와 안내 레일(31)에서의 안내벽(310)과의 폭 방향(W)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안내 부재(330c)는 저마찰성의 수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330c)의 폭 방향(W)의 치수는, 전동면(31F)의 폭 방향(W)의 치수보다 작고, 롤러체(322)의 폭 방향(W)의 치수보다 크다. 롤러체(322)가, 안내벽(310)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딩한 경우에, 안내 부재(330c)가 롤러체(322)보다 먼저 안내벽(310)에 접촉한다. 이로써, 안내벽(310)과 롤러체(322)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부재(330c)는 저마찰성의 수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내벽(310)과 접촉한 상태라도, 반송 방향(T)의 이동을 방해할 수 없다. 따라서, 안내 부재(330c)와 안내벽(310)이 접촉한 상태라도, 승강 컨베이어(1)를 반송 방향(T)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와 같은 안내 부재(330c)가, 반송 방향(T)에 있어서 안내 롤러(32)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 허용 기구(MM)는,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여,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 컨베이어(1)가 휨 등에 의해 변형된 경우라도, 해당 변형된 부분에 있어서 승강 컨베이어(1)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컨베이어(1)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동 허용 기구(MM)에 의해 허용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부위에 과대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승강 컨베이어(1), 대상 지지부(3B), 또는 대상 마스트(2B)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 제1 측(T1)의 단부에 있어서, 승강 컨베이어(1)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도를 행하는 수도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그리고, 복수의 마스트(2) 중 반송 방향(T)에 있어서 수도 장치(7)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기준 마스트(2A)가 배치되어 있고, 해당 기준 마스트(2A)에 기준 지지부(3A)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지지부(3A)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기구(PM)를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기준 지지부(3A)의 구조, 및 위치 결정 기구(PM)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지지부(3A)는, 대상 지지부(3B)와 동등한 구성에 더하여 위치 결정 기구(PM)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준 지지부(3A)는, 기준 마스트(2A)(마스트(2))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이, 기준 마스트(2A)(마스트(2))로부터 폭 방향(W)로 돌출하고 또한 서로 반송 방향(T)로 이격되도록, 기준 마스트(2A)(마스트(2))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은, 기준 마스트(2A)(마스트(2))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PM)는, 한 쌍의 안내 레일(31)과, 한 쌍의 안내 롤러(32)와, 한 쌍의 안내 연결 부재(330)와, 1개의 지지 연결 부재(33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 허용 기구(MM)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PM)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서는, 반송 방향(T) 및 폭 방향(W))를 따르는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의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PM)는, 이동 허용 기구(MM)와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지지 연결 부재(331)(연결 부재(33))에 연결된 회전축(35)과, 회전축(35)이 걸어맞추어지는 축 걸어맞춤부(360)를 가지는 고정 부재(3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35)은, 지지 연결 부재(331)의 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축(35)은, 지지 연결 부재(33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축(35)이 고정 부재(3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으로써, 지지 연결 부재(331)에 지지된 승강 컨베이어(1)가 회전축(35)의 축심 주위에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부재(36)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 프레임(3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36)는, 지지 연결 부재(33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35)이 걸어맞추어지는 축 걸어맞춤부(360)는, 고정 부재(36)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축 걸어맞춤부(360)는, 고정 부재(36)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목한 구멍부로되어 있고, 회전축(35)은, 축 걸어맞춤부(360)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지지부(3A)(기준 마스트(2A))는, 복수의 지지부(3)(마스트(2)) 중 반송 방향(T)에 있어서 수도 장치(7)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준 지지부(3A)가 구비하는 위치 결정 기구(PM)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그러므로, 승강 컨베이어(1)와 수도 장치(7)가 물품(G)를 건네주는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승강 컨베이어(1)와 수도 장치(7)의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 관계의 변동을 적게 억제할 수 있고, 승강 컨베이어(1)와 수도 장치(7) 사이에서의 물품(G)의 수도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대상 지지부(3B)의 지지 개소에 있어서는, 이동 허용 기구(MM)에 의해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그리고, 기준 지지부(3A)의 지지 개소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기구(PM)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의 승강 컨베이어(1)의 상대 회전이 허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승강 컨베이어(1)가 휨 등에 의해 변형되어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긴 경우나 승강 컨베이어(1)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긴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기준 지지부(3A)를 기준으로 한 각대상 지지부(3B)의 상대 이동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물품 반송 장치의 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마스트(2) 중 어느 하나에, 승강 모터(20M)가 설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마스트(2)의 각각에 승강 모터(20M)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승강 모터(20M)의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지지부(3)를 서로 동기시켜 승강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컨베이어(1)가, 복수의 지지부(3)에 지지된 반송 방향(T)의 전역에 있어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컨베이어(1)는, 반송 방향(T)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분할된 구성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승강 컨베이어(1)는, 반송 방향(T)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1 컨베이어부(11), 및 반송 방향(T)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2 컨베이어부(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라도 승강 컨베이어(1)는, 반송 방향(T)의 전역에 걸쳐 물품(G)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된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는, 폭 방향(W)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안내 레일(31)을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허용 기구(MM)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안내 레일(3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31)의 전동면(31F)이, 위쪽을 향하는 면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면(31F)은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면이라도 된다. 어느 쪽이든, 전동면(31F)은, 안내 롤러(32)가 전동하기 위한 면으로서 기능한다.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는,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T) 및 폭 방향(W)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허용 기구(MM)는,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T) 및 폭 방향(W)의 어느 한쪽만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방향이, 반송 방향(T)를 따른 방향 및 폭 방향(W)를 따른 방향의 양쪽에 설정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동 허용 방향은, 반송 방향(T)를 따른 방향 및 폭 방향(W)를 따른 방향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6)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허용 기구(MM)가, 반송 방향(T)를 따라 배치된 안내 레일(31)과, 안내 레일(31)의 전동면(31F)을 반송 방향(T)를 따라 전동하는 안내 롤러(32)를 구비함으로써,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T)의 상대 이동을 허용 가능한 구성을 실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안내 레일(31)이 폭 방향(W)를 따라 배치되고, 안내 롤러(32)가 이 안내 레일(31)의 전동면(31F)을 폭 방향(W)를 따라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내 롤러(32)의 전동에 의해 승강 컨베이어(1)의 폭 방향(W)의 상대 이동을 허용 가능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7)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W)를 따라 배치된 롤러 축(321)의 축심 주위에 회전하는 롤러체(322)가, 전동면(31F)에 대하여 폭 방향(W)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승강 컨베이어(1)의 폭 방향(W)의 상대 이동을 허용 가능한 구성을 실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롤러 축(321)이 반송 방향(T)를 따라 배치되고, 롤러체(322)가 상기 롤러 축(321)의 축심 주위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롤러체(322)가, 전동면(31F)에 대하여 반송 방향(T)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승강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T)의 상대 이동을 허용 가능한 구성을 실현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롤러체(322)가 폭 방향(W)를 따라 전동면(31F)을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승강 컨베이어(1)의 폭 방향(W)의 상대 이동을 허용 가능한 구성을 실현되고 있다. 또한, 롤러체(322)가, 예를 들면 볼 캐스터와 같이,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러체(322)의 전동에 의하여, 반송 방향(T)로도 폭 방향(W)로도 상대 이동을 허용 가능한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8)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평면부(F)가, 안내 레일(31)에 형성된 전동면(31F)이며, 이동체(M)가, 승강 컨베이어(1)에 연결된 안내 롤러(32)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부(F)와 이동체(M)의 관계는 상기와는 반대라도 된다. 즉, 평면부(F)는 승강 컨베이어(1)를 지지 및 연결하는 지지 연결 부재(331)에 설치되고, 이동체(M)는 안내 레일(3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평면부(F)는 지지 연결 부재(331)에서의 아래쪽(안내 레일(31) 측)을 향하는 면부이며, 이동체(M)는 안내 레일(31)에 대하여 고정 배치된 롤러이면 된다.
(9)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평면부(F) 상을 이동하는 이동체(M)가, 안내 롤러(32)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동 허용 기구(MM)는 안내 롤러(32)를 구비하지 않고, 연결 부재(33)의 일부,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안내 부재(330c)가 이동체(M)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안내 부재(330c)는 평면부(F) 상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의 안내 부재(330c)는, 저마찰성이며 내구성이 높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며, 평면부(F) 사이에서의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은 상태에서 평면부(F) 상을 슬라이딩한다.
(10)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준 마스트(2A) 이외의 모든 마스트(2)가 대상 마스트(2B)이며, 기준 지지부(3A) 이외의 모든 지지부(3)가 대상 지지부(3B)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 마스트(2A) 이외의 마스트(2) 중 일부가 대상 마스트(2B)이며, 기준 지지부(3A) 이외의 지지부(3) 중 일부가 대상 지지부(3B)라도 된다. 또한, 복수의 마스트(2)의 전부가 대상 마스트(2B)이며, 복수의 지지부(3)의 전부가 대상 지지부(3B)라도 된다. 즉, 기준 마스트(2A) 및 기준 지지부(3A)는 없어도 된다.
(1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수도 장치(7)가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도 장치(7)는, 물품 반송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도를 행하는 장치이면 된다. 예를 들면, 수도 장치(7)는, 물품(G)를 유지 가능한 유지부(예를 들면, 암)을 가지는 로봇이나, 스태커 크레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2)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장치는,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반송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마스트와,
복수의 상기 마스트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1개를 대상 지지부로 하여,
상기 대상 지지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을 따르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기구를 구비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마스트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를 반송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중, 적어도 1개가 대상 지지부로 된다. 그리고, 이 대상 지지부에 의해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개소에서는, 컨베이어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하여,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의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해 허용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부위에 과대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허용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하여, 반송 방향을 따르는, 대상 지지부와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반송 방향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서,
상기 이동 허용 방향이, 상기 폭 방향을 따른 방향에 설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하여, 폭 방향을 따르는, 대상 지지부와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폭 방향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동 허용 기구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허용 기구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평면부와 상대 이동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이동체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대상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평면부와 이동체가 상대 이동함으로써, 컨베이어를, 대상 지지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허용 기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의 전동면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전동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 롤러와 상기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안내 롤러의 전동에 따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안내 롤러가 안내 레일의 전동면을 반송 방향으로 전동함으로써, 연결 부재를 통하여 해당 안내 롤러에 연결된 컨베이어를, 대상 지지부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이동 허용 방향으로 하는 이동 허용 기구를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허용 기구가 상기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롤러와, 상기 연결 부재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전동면은, 위쪽을 향하는 면이며,
상기 안내 롤러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롤러 축과, 상기 롤러 축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의 축심 주위에 회전하는 롤러체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체가, 상기 전동면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안내 롤러에서의 롤러체가 안내 레일의 전동면을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연결 부재를 통하여 안내 롤러에 연결된 컨베이어를, 대상 지지부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더하여 폭 방향을 따른 방향을 이동 허용 방향으로 하는 이동 허용 기구를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방향의 한쪽 측을 반송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상기 반송 방향의 다른 쪽 측을 반송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반송 방향 제1 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도를 행하는 수도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마스트 중 가장 상기 반송 방향 제1 측에 배치된 상기 마스트를 기준 마스트로 하고, 상기 기준 마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지지부를 기준 지지부로 하여,
상기 기준 지지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지지부 이외의 모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대상 지지부이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마스트 중 가장 수도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기준 마스트에,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한 기준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컨베이어와 수도 장치가 물품을 건네주는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컨베이어와 수도 장치의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 관계의 변동을 적게 억제할 수 있고, 컨베이어와 수도 장치 사이에서의 물품의 수도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1개의 기준 지지부 이외의 모든 지지부가 대상 지지부이며, 대상 지지부의 지지 개소에 있어서는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그러므로, 컨베이어의 승강 동작에 따라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라도, 해당 위치 관계의 변화를, 기준 지지부를 기준으로 한 각 대상 지지부의 상대 이동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지지부, 또는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지지부가, 상기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기준 지지부의 지지 개소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의 컨베이어의 상대 회전이 허용되고,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그러므로, 기준 지지부 이외의 대상 지지부와 컨베이어가 이동 허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에는, 기준 지지부를 지점으로 한 컨베이어의 상대 회전이 허용된다. 그러므로, 컨베이어와 수도 장치의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 관계의 변동을 적게 억제하면서, 컨베이어의 기준 지지부에 지지된 부분, 기준 지지부, 또는 기준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반송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된 마스트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 물품 반송 장치
1: 승강 컨베이어(컨베이어)
2: 마스트
2A : 기준 마스트
3: 지지부
3A : 기준 지지부
3B : 대상 지지부
31: 안내 레일
31F : 전동면
32: 안내 롤러
33: 연결 부재
7: 수도 장치
321: 롤러 축
322: 롤러체
F : 평면부
M : 이동체
G : 물품
MM : 이동 허용 기구
PM : 위치 결정 기구
T : 반송 방향
T1: 반송 방향 제1 측
T2: 반송 방향 제2 측
W : 폭 방향

Claims (8)

  1.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반송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컨베이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마스트; 및
    복수의 상기 마스트의 각각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1개를 대상 지지부로 하여,
    상기 대상 지지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설정된 이동 허용 방향을 따르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기구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허용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물품 반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이동 허용 방향이, 상기 폭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물품 반송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허용 기구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평면부와 상대 이동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이동체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대상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물품 반송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허용 기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의 전동면(轉動面)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전동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 롤러와 상기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안내 롤러의 전동에 따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품 반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전동면은, 위쪽을 향하는 면이며,
    상기 안내 롤러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롤러 축과, 상기 롤러 축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의 축심(軸心) 주위에 회전하는 롤러체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체가, 상기 전동면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의 한쪽 측을 반송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상기 반송 방향의 다른쪽 측을 반송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반송 방향 제1 측의 단부(端部)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도(受渡;받아건넴)를 행하는 수도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마스트 중 가장 상기 반송 방향 제1 측에 배치된 상기 마스트를 기준 마스트로 하고, 상기 기준 마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지지부를 기준 지지부로 하여,
    상기 기준 지지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지지부 이외의 모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대상 지지부인, 물품 반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컨베이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물품 반송 장치.
KR1020210146636A 2021-10-29 2021-10-29 물품 반송 장치 KR20230061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636A KR20230061903A (ko) 2021-10-29 2021-10-29 물품 반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636A KR20230061903A (ko) 2021-10-29 2021-10-29 물품 반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03A true KR20230061903A (ko) 2023-05-09

Family

ID=8640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636A KR20230061903A (ko) 2021-10-29 2021-10-29 물품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9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4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items
US6201203B1 (en) Robotic containerization system
US7475520B2 (en) Tray positioning device for stacking of product
CN114701792B (zh) 拣选***
WO2021254018A1 (zh) 自动播种墙
JP4610286B2 (ja) 仕分け設備及び仕分け方法
JP7225488B2 (ja) 目的地指定物品トレイ載置搬送システム
KR20230061903A (ko) 물품 반송 장치
JP7435392B2 (ja) 物品搬送装置
KR20230161461A (ko) 반송차
JP7327337B2 (ja) 物品搬送装置
JP7294296B2 (ja) 物品搬送装置
JP7216992B2 (ja) 昇降装置及び倉庫装置
JP7439709B2 (ja) 物品移載装置
JP7171992B2 (ja) ケース移載システム及びケース移載方法
TW202317450A (zh) 物品搬送裝置
JP7183732B2 (ja) 移載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自動倉庫システム
JP7322917B2 (ja) 搬送車
JP7380511B2 (ja) 物品搬送設備
JP7363723B2 (ja) 物品受取り設備
JP7294293B2 (ja) 物品搬送設備
CN116374470A (zh) 基于潜伏式agv货架的智能驳接拣选装置
JP2022098837A (ja) 物品収容設備
CN117622749A (zh) 仓储***、仓库、仓储***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6495463A (zh) 取货机器人与运货机器人配套运输的***及其物流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