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487A -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487A
KR20230061487A KR1020237011272A KR20237011272A KR20230061487A KR 20230061487 A KR20230061487 A KR 20230061487A KR 1020237011272 A KR1020237011272 A KR 1020237011272A KR 20237011272 A KR20237011272 A KR 20237011272A KR 20230061487 A KR20230061487 A KR 2023006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quid injection
injection hole
battery cells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 왕
펑 친
잔위 순
펑 왕
홍예 지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일측의 전극 단자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전극 단자는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된다. 본 출원의 배터리는 액체 주입홀을 전극 단자에 설치하여 액체 주입홀이 엔드 커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으로써, 전극 단자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극 단자의 전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직접 전극 단자 자체를 통해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밀봉하여, 비용을 낮추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
본 출원은 에너지 저장 소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절약 및 오염물의 배출 감소는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이다. 이 경우, 전기 자동차는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이점으로 인해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 전지 기술은 또한 이의 발전에 관련된 중요한 요소이다.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배터리 셀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해야 한다. 선행 기술에서는 배터리 셀의 엔드 커버에 액체 주입홀을 형성하고, 액체 주입홀을 통해 전해를 주입한 후, 액체 주입홀을 밀봉시켜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액체 주입홀이 엔드 커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엔드 커버 상의 다른 소자를 위해 비교적 충분하고 유연한 설치 방식과 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엔드 커버의 구조적 강도에 영향주지 않으며, 또한, 액체 주입홀에 대해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생산 효율이 높고 비용이 낮은 배터리를 제공한다.
첫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제공하고, 여기서, 일측의 전극 단자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단자는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상기 액체 주입홀을 밀봉한다.
액체 주입홀을 전극 단자에 설치하여 액체 주입홀이 엔드 커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다른 소자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극 단자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극 단자의 전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직접 전극 단자 자체를 통해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밀봉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춘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은 전극 단자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액체 주입홀이 연통되도록 한다.
전극 단자의 중심 위치에 액체 주입홀을 설치하여, 전극 단자의 본딩이 액체 주입홀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전극 단자가 도킹될 때 두 개의 액체 주입홀 사이의 연통을 용이하게 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 사이의 전해액이 서로 보완되고 평형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전극 단자의 측면에는 오목홈이 더 구비되고, 배터리 셀의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오목홈의 크기는 액체 주입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를 본딩할 경우, 전해액에 대한 오목홈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본딩 과정에서 전해액이 액체 주입홀로부터 유출되는 위험을 줄이고, 전해액의 유출로 인한 본딩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은 전극 단자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 설치되어,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액체 주입홀이 틀어지게 설치되도록 한다.
두 개의 액체 주입홀을 틀어지게 설치할 경우, 두 개의 액체 주입홀이 틀어져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두 개의 전극 단자를 본딩 연결한 후, 하나의 액체 주입홀은 액체 주입홀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전극 단자 부분에 의해 막힐 수 있어, 두 개의 배터리 셀 내부의 전해액이 사용 중에 서로 유통되는 것을 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극 단자의 단부 외주연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두 개의 배터리 셀의 단턱부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본딩홈을 형성한다.
본딩홈의 위치에서 두 개의 전극 단자를 본딩 연결하고, 본딩 시 본딩 레이저의 반사가 본딩홈의 내부에 집중되어, 본딩 품질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의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이다.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를 본딩 연결하여, 액체 주입홀에 대해 별도의 밀봉못에 의한 본딩 밀봉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체 주입홀의 형상이 레이저 본딩의 궤적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원형에 제한되지 않아 액체 주입홀의 형상이 더 유연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은 원기둥 배터리이고, 및/또는 전극 단자는 원기둥형 전극 단자이다.
두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배터리는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일측의 전극 단자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을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단계; 액체 주입홀을 통해 배터리 셀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전극 단자를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배터리에 대해 기밀성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배터리가 양호한 밀봉성을 갖도록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전극 단자를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기 전에, 액체 주입홀을 통해 배터리 셀의 내부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액체 주입홀을 통해 배터리 셀의 내부에 헬륨 가스를 주입한 다음,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를 본딩 연결하여, 별도로 기밀성 검출홀을 설치하고 상기 검출홀을 밀봉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의 제조 공정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세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첫 번째 측면에 따른 배터리, 또는 두 번째 측면에 따른 배터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를 제공하고,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위의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되는 세부사항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함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액체 주입홀을 전극 단자에 설치하여 액체 주입홀이 엔드 커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다른 소자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극 단자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극 단자의 전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직접 전극 단자 자체를 통해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밀봉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은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하 첨부 도면에 기반하여 다른 실시예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의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의 E-E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Ⅰ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E-E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Ⅱ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의 E-E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실시예의 Ⅲ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일 실시예의 Ⅳ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다른 실시예의 Ⅲ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두 개의 배터리 셀의 본딩 연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Ⅴ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출원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 하에 획득되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형태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3 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등 세 가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된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등 용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문맥에서, 소자가 다른 소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다고 언급될 때, 그것은 다른 소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중간 소자를 통해 다른 소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배터리는 더 높은 전압과 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단일 물리 모듈을 가리킨다.
배터리 셀은 전극 어셈블리, 하우징, 엔드 커버 어셈블리, 및 배터리 셀의 내부에 주입되는 전해액을 포함한다. 전극 어셈블리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엔드 커버 어셈블리는 하우징에 연결되어, 전극 어셈블리를 하우징의 내부에 밀봉시킨다. 엔드 커버 어셈블리는 엔드 커버 및 엔드 커버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는 전극 단자를 통해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될 수 있고, 혼합 연결은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의 혼합을 가리킨다.
출원인은 배터리 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일반적으로 엔드 커버에 설치된다는 점을 주목하였는데, 액체 주입홀이 엔드 커버의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엔드 커버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크게 만들 수 없고, 전극 단자의 전류 통과 면적도 이에 따라 감소된다. 엔드 커버에 액체 주입홀이 구비되면, 엔드 커버의 구조적 강도도 감소하게 되고, 또한, 액체 주입홀에 대해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은 배터리의 구조를 개선하였고, 액체 주입홀을 전극 단자에 설치하여, 액체 주입홀이 엔드 커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으로써, 전극 단자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키며, 엔드 커버의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음, 두 개의 배터리 셀의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전극 단자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함으로써, 액체 주입홀에 대해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춘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의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B), 및 상기 배터리(B)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장치를 제공한다. 배터리(B)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장치는 차량(A), 선박, 소형 항공기 등의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배터리(B)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전기 에너지 및 다른 유형의 에너지원(예를 들어, 화석 에너지)을 동시에 사용하여 공동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배터리(B)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장치가 차량(A)인 경우를 예로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A)은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일 수 있고, 상기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일 수 있거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또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등일 수도 있다. 차량(A)의 내부는 배터리(B)가 설치되어 있고, 배터리(B)는 차량(A)의 하단부 또는 헤드부 또는 테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B)는 차량(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배터리(B)는 차량(A)의 동작 전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차량(A)은 제어기(C) 및 모터(M)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기(C)는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B)를 제어하며, 예를 들어, 차량(A)의 시동, 내비게이션 및 주행 시의 작업 전기 사용 수요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B)는 차량(A)의 작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 또는 천연 가스를 대체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하여 차량(A)에 구동 동력을 제공하는 차량(A)의 구동 전원으로 더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B)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의 배터리(B)는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을 포함하고, 여기서,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는 본딩 연결된다.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고,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각각 배터리 셀(100)의 길이 방향(X)의 양단에 설치된다.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을 본딩 연결하여 배터리(B)를 형성할 경우,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양극 단자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병렬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음극 단자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병렬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배터리 셀(100)의 양극 단자와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100)의 음극 단자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직렬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전력 사용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배터리(B)는 복수의 배터리 셀(1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먼저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한 다음, 2개씩 본딩 연결된 배터리 셀(100)을 병렬 연결 또는 직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하여 배터리(B)를 형성할 수 있고, 혼합 연결은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의 혼합을 가리킨다. 또한, 먼저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한 다음,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100)의 하나의 전극 단자(11)와 이미 본딩 연결된 두 개의 배터리 셀(100) 중 하나의 배터리 셀(100)의 단부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여, 3개의 배터리 셀(100)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본딩 연결된 배터리(B)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이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100)을 하나의 직선을 따라 본딩 연결하여 배터리(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0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0)은 엔드 커버 어셈블리(1), 하우징(2),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 어셈블리, 및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주입되는 전해액을 포함한다(아래의 각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서, 본 출원의 발명의 요점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전극 어셈블리 및 전해액은 도면에서 표시되지 않았다). 엔드 커버 어셈블리(1)는 하우징(2)에 연결되어, 전극 어셈블리를하우징(2)의 내부에 밀봉시킨다. 엔드 커버 어셈블리(1)는 엔드 커버(12) 및 엔드 커버(12)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11)를 포함하고,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단자(1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엔드 커버(12)는 하우징(2)의 개구를 커버하여, 전극 어셈블리 및 전해액을 위해 하나의 밀폐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2)은 원기둥체,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의 형상은 전극 어셈블리의 구체적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어셈블리가 원기둥체 구조일 경우, 하우징(2)은 원기둥체 구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극 어셈블리가 직육면체 구조일 경우, 하우징(2)은 직육면체 구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2)의 형상과 전극 어셈블리의 형상은 상이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서, 하우징(2)은 양단이 개구된 원기둥체 구조이고, 양단의 개구에 엔드 커버 어셈블리(1)가 각각 커버되며, 양측의 엔드 커버 어셈블리(1)에는 모두 전극 단자(11)가 구비되고, 양측의 전극 단자(11)의 극성은 서로 반대된다. 하우징(2)의 재질도 플라스틱, 구리,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셀(100)을 조립할 때, 먼저 전극 어셈블리를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한 다음,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단자(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한 후, 양측의 엔드 커버(12)를 하우징(2)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셀(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조립을 완료한 후,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은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을 포함하되, 배터리 셀(100)은 배터리 셀(100)의 길이 방향(X)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11)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제공하고, 배터리 셀(100)의 일측의 전극 단자(11)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111)이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구비되고,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상기 액체 주입홀(111)을 밀봉한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셀(10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의 E-E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단자(11)는 엔드 커버(12)에 설치되고, 전극 단자(11)에는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다. 액체 주입홀(111)은 전극 단자(11)를 관통하는 통공으로, 배터리 셀(100)을 조립 완료한 후,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된다.
액체 주입홀(111)을 전극 단자(11)에 설치하여 액체 주입홀(111)이 엔드 커버(12)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으로써, 전극 단자(11)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극 단자(11)의 전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B)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일정량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는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배터리(B)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의 극성은 서로 같고, 이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한 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을 병렬 연결시켜 배터리(B)를 형성한다. 또한, 두 개의 대향되고 본딩된 전극 단자(11)의 극성을 서로 반대되게 설치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직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액체 주입홀(111)은, 배터리 셀(100)에 대한 액체 주입이 완료된 후, 배터리 셀(100)의 전체적인 밀봉성이 보장되도록 액체 주입홀(111)을 밀봉해야 한다. 선행 기술에서는 액체 주입홀(111)을 밀봉하기 위해, 액체 주입 공정이 완료된 후,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에 밀봉못을 장착하고, 레이저 본딩을 이용하여 밀봉못을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에 본딩하여, 액체 주입홀(111)의 밀봉을 구현해야 한다. 밀봉못의 본딩을 수행하기 전에, 밀봉못이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터리 셀(100)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에 단턱 구조를 더 설치하여, 밀봉못에 대한 위치 결정을 구현해야 한다. 밀봉못을 통해 액체 주입홀(111)을 밀봉하는 방식은 액체 주입홀(111)의 가공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밀봉못을 고정하는 공정도 추가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액체 주입홀(111)을 전극 단자(11)에 설치하고,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직접 전극 단자(11) 자체를 통해 배터리(B)를 전체적으로 밀봉하여, 생산 효율을 제공하고 비용을 낮춘다. 또한,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여, 밀봉못으로 본딩 밀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에 단턱 구조를 가공하여 밀봉못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액체 주입홀(111)의 가공량을 줄인다. 또한, 밀봉못의 레이저 본딩 공정을 취소하였기 때문에, 액체 주입홀(111)의 단면 형상도 더 이상 원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는 사각형, 다각형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물론 원형도 배제하지 않는다. 액체 주입홀(111)의 구조 형태를 위해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며; 액체 주입홀의 형상에 대한 가공 요구도 낮추어, 원형 액체 주입홀로 엄격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다.
도 7은 도 6의 Ⅰ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111)은 전극 단자(11)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연통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전극 단자(11)의 중심 위치에 액체 주입홀(111)을 설치하여, 전극 단자(11)의 본딩이 액체 주입홀(111)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전극 단자(11)가 도킹될 때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 사이의 연통을 용이하게 하여, 두 개의 배터리 셀(100) 사이의 전해액이 서로 보완되고 평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E-E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는 엔드 커버(12)에 설치되고, 전극 단자(11)에는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다. 액체 주입홀(111)은 전극 단자(11)를 관통하는 통공이다.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의 측면에는 오목홈(112)이 더 구비되고,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오목홈(112)의 크기는 액체 주입홀(1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B)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Ⅱ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일정량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는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배터리(B)를 형성한다.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를 본딩할 경우, 배터리 셀(100)을 수평으로 배치해야 한다. 액체 주입홀(111)을 밀봉하지 않았기 때문에, 배터리 셀(100)의 내부의 전해액은 배터리 셀(100)을 수평으로 배치할 때 액체 주입홀(111)로부터 유출될 위험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주입홀(111)의 내측면에 오목홈(112)이 설치되는데, 배터리 셀(100)이 수평으로 배치된 후, 전해액이 배터리 셀(100)의 내부로부터 유출될 경우, 먼저 오목홈(112)의 내부에 모이게 된다.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본딩할 경우, 전해액에 대한 오목홈(112)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본딩 과정에서 전해액이 액체 주입홀(111)로부터 유출되는 위험을 줄이고, 전해액의 유출로 인한 본딩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피한다.
도 11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의 E-E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실시예의 Ⅲ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111)은 전극 단자(11)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 설치되어,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틀어지게 설치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주입홀(111)의 중심선(F2)이 전극 단자(11)의 중심선(F1)에서 벗어난 거리는 L이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거리(L)는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 표면에서 액체 주입홀(111)의 중심선(F2)까지의 최대 거리(R)보다 크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B)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 실시예의 Ⅳ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일정량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는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배터리(B)를 형성한다.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할 경우,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을 틀어지게 설치하고, 즉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은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하나의 직선 위에 놓이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틀어지게 설치되는데, 액체 주입홀(111)의 중심선(F2)이 전극 단자(11)의 중심선(F1)에서 벗어난 거리(L)가 액체 주입홀(111)의 최대 거리(R)보다 크기때문에, 이때,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을 틀어지게 설치할 때,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이 완전히 틀어져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한 후, 하나의 액체 주입홀(111)은 액체 주입홀(111)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전극 단자(11) 부분에 의해 막힐 수 있어, 두 개의 배터리 셀(100) 내부의 전해액이 사용 중에 서로 유통되는 것을 피한다.
도 14에 표시된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틀어진 각도는 180도이고, 즉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의 중심선과 전극 단자(11)의 중심선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본 출원은 틀어진 각도가 180도인 것에 제한되지 않고,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할 경우, 두 개의 액체 주입홀(111)이 완전히 틀어지고 연통되지 않도록 보장하기만 하면 되고, 이로써 두 개의 배터리 셀(100) 내부의 전해액이 서로 유통되지 않을 수 있다. 도킹된 두 개의 전극 단자(11)가 전극이 서로 반대되는 두 개의 전극일 때, 유통하지 못하도록 하는 액체 주입홀(111)의 설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5는 도 11의 다른 실시예의 Ⅲ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전극 단자(11)의 단부 외주연에는 단턱부(113)가 구비된다. 단턱부(113)는 전극 단자(11)의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설치되어, 전극 단자(11)의 단부 외주연에 부분적인 갭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15의 단턱부(113)는 환형으로 설치된 경사면 챔퍼이고, 단턱부(11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사다리꼴, 원호형 등과 같은 갭이 형성될 수 있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5의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본딩 연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될 때, 전극 단자(11)의 단부의 단턱부(113)에 부분적인 갭이 형성되기 때문에, 두 개의 단턱부(113)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후, 두 개의 갭이 서로 대응되어 본딩홈(114)을 형성한다.
본딩홈(114)의 위치에서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고, 본딩 시 본딩 레이저의 반사가 본딩홈(114)의 내부에 집중되어, 본딩 품질을 향상시키고, 레이저 본딩이 배터리 엔드 커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며, 배터리(B)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의 완제품 합격률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111)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이다. 전통적인 액체 주입홀(111)은 밀봉못에 의한 밀봉을 수행할 경우 레이저 본딩을 수행해야 하는데, 레이저 본딩의 궤적 제한으로 인해 액체 주입홀(111)은 원형으로만 만들어진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는 액체 주입홀(111)을 전극 단자(11)에 설치하고,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여, 액체 주입홀(111)에 대해 별도의 밀봉못에 의한 본딩 밀봉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체 주입홀(111)의 형상은 레이저 본딩의 궤적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원형에 제한되지 않아 액체 주입홀(111)의 형상이 더 유연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이상, 각 실시예는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고, 복수의 배터리 셀(100)을 하나의 전체로 본딩 연결할 수도 있다. 아래의 실시예는 3개의 배터리 셀(100)을 본딩 연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B)의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배터리 셀(100)은 하나의 전체로 본딩 연결되어, 배터리(B)를 형성한다. 여기서,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이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병렬 연결되도록 하며, 이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의 본딩 연결 방식은 도 7에 표시된 실시예의 연결 방식과 같다. 상기 액체 주입홀(111)의 구조 형태는 도 10 또는 도 14의 구조 형태와 같거나, 상이한 구조 형태의 조합일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7의 Ⅴ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는 두 개의 본딩 연결된 배터리 셀(100) 중 하나의 배터리 셀(100) 단부의 액체 주입홀(111)이 설치되지 않은 전극 단자(11)에 본딩 연결되고, 액체 주입홀(111)이 설치되지 않은 전극 단자(11)는 액체 주입홀(111)이 설치된 전극 단자(11)의 극성과 서로 반대되어, 이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직렬 연결되도록 한다. 도 18에서, 액체 주입홀(111)이 설치되지 않은 전극 단자(11)의 실물 구조는 이에 본딩 연결된 전극 단자(11)의 액체 주입홀(111)을 밀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실시예의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이 본딩 연결되거나, 또는 3개의 배터리 셀(100)이 본딩 연결되어 배터리(B)를 형성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연결 방식을 통해 복수의 배터리 셀(100)을 하나의 전체로 본딩 연결하여, 복수의 배터리 셀(100)을 포함하는 배터리(B)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100)은 원기둥 배터리이고, 및/또는 전극 단자는 원기둥형 전극 단자일 수 있다. 물론,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형상의 배터리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각 실시예의 구조에도 제한되지 않고, 상기 각 실시예의 조합일 수도 있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출원은 또한 배터리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B)는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을 포함하고, 배터리 셀(100)은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11)를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 배터리 셀(100)의 일측의 전극 단자(11)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111)을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설치한다.
단계 S2,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한다.
단계 S3,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를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한다.
본 출원의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액체 주입홀(111)을 전극 단자(11)에 설치하여 액체 주입홀(111)이 엔드 커버(12)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으로써, 전극 단자(11)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극 단자(11)의 전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한다. 별도의 밀봉 공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직접 전극 단자(11) 자체를 통해 배터리(B)를 전체적으로 밀봉하여, 비용을 낮추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여, 밀봉못으로 본딩 밀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체 주입홀(111)의 내부에 단턱 구조를 가공하여 밀봉못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액체 주입홀의 가공량을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배터리에 대해 기밀성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셀(100)을 조립 완료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밀봉한 후, 배터리 셀(100)의 밀봉성을 확보하고, 배터리 셀(100)의 수율을 보장하도록 기밀성 검출을 수행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00)은 조립 완료되고 전해액이 주입된 후, 배터리 셀(100)에 대해 별도의 밀봉을 수행하지 않고,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설치된 전극 단자(11)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여 배터리(B)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B)의 전체적인 밀봉을 구현한다. 따라서, 배터리(B) 전체에 대해 기밀성 검출을 수행해야 한다.
본 출원의 배터리(B)에 대해 기밀성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전극 단자(11)를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기 전에,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셀(100)에 헬륨 가스를 주입한 후, 액체 주입홀(111)이 구비된 두 개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여, 배터리(B)가 전체적으로 밀봉되도록 한다. 본딩이 완료된 후, 배터리(B) 전체에 대해 기밀성 검출을 수행하여, 배터리(B)에 헬륨 가스 누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헬륨 가스 누출이 없으면, 배터리(B)의 전체 밀봉이 양호함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액체 주입홀(111)을 통해 배터리 셀(100)의 내부에 헬륨 가스를 주입한 다음, 두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를 본딩 연결하여, 별도로 기밀성 검출홀을 설치하고 상기 검출홀 그 밀봉이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의 제조 공정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에 따른 전기 장치는 전술한 배터리(B), 또는 상기 배터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배터리(B)를 사용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선 등은 본 출원의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된다.
A-차량;
B-배터리;
C-제어기;
M-모터;
100-배터리 셀;
1-엔드 커버 어셈블리;
11-전극 단자;
111-액체 주입홀;
112-오목홈;
113-단턱부;
114-본딩홈;
12-엔드 커버;
2-하우징.

Claims (12)

  1. 배터리로서,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일측의 상기 전극 단자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단자는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어, 상기 액체 주입홀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상기 전극 단자는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본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홀은 상기 전극 단자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여,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액체 주입홀이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상기 전극 단자의 측면에는 오목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오목홈의 크기는 상기 액체 주입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홀은 상기 전극 단자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 설치되어,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액체 주입홀이 틀어지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단자의 단부 외주연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단턱부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본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홀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원기둥 배터리이고, 및/또는 상기 전극 단자는 원기둥형 전극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배터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일측의 상기 전극 단자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을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액체 주입홀을 통해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상기 전극 단자를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대해 기밀성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액체 주입홀이 구비된 상기 전극 단자를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본딩 연결하기 전에, 상기 액체 주입홀을 통해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
  12. 전기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KR1020237011272A 2021-08-14 2021-08-14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 KR20230061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2642 WO2023019374A1 (zh) 2021-08-14 2021-08-14 电池、电池制作方法及用电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487A true KR20230061487A (ko) 2023-05-08

Family

ID=8523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272A KR20230061487A (ko) 2021-08-14 2021-08-14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8674A1 (ko)
EP (1) EP4199219A1 (ko)
JP (1) JP2023543473A (ko)
KR (1) KR20230061487A (ko)
CN (1) CN116670879A (ko)
WO (1) WO20230193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597A (ja) * 1999-01-05 2000-07-1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DE10064648C2 (de) * 1999-12-28 2003-09-18 Honda Motor Co Ltd Batterieeinheit
CN204834764U (zh) * 2015-06-17 2015-12-02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端面焊的圆柱形高倍率锂离子电池
CN208284552U (zh) * 2018-06-01 2018-12-25 苏州安靠电源有限公司 注液均匀的端面焊电池
CN112993473B (zh) * 2019-11-29 2023-09-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电池模组、电池包和电动车
CN112072017A (zh) * 2020-08-19 2020-12-11 江苏塔菲尔动力***有限公司 一种基于电芯串的电池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3473A (ja) 2023-10-16
CN116670879A (zh) 2023-08-29
WO2023019374A1 (zh) 2023-02-23
US20230238674A1 (en) 2023-07-27
EP4199219A1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008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A2442436A1 (en) Fuel cell
CN102110798B (zh) 电池模块
CN207441768U (zh) 用于动力电池的第二绝缘件、顶盖结构、动力电池及汽车
US20220021067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US20230352786A1 (en) Accommodating apparatus,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battery
US20240128487A1 (en) Battery
CN116529949A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217485584U (zh) 端盖、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113131054A (zh) 一种动力电池极柱封装结构、顶盖、动力电池
KR20230061487A (ko) 배터리,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장치
AU2019202573B2 (en) A hybrid battery
CN204706596U (zh) 一种智能电池盖
CN110970647B (zh) 一种能够实现密封的液流电池和电池堆
CN217788756U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117529849A (zh) 电池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116686161A (zh)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电池以及用电装置
CN211017238U (zh) 一种内氧式金属空气电池组
CN219801085U (zh) 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CN217507419U (zh) 一种二次电池及电池模组
CN217507498U (zh) 一种电池顶盖及电池
CN220138478U (zh) 电池的顶盖以及电池
CN219163501U (zh) 电池包及动力装置
CN218957778U (zh) 燃料电池用的分隔体
CN2615870Y (zh) 直联及端子内封式动力蓄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