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16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162A
KR20230060162A KR1020210144542A KR20210144542A KR20230060162A KR 20230060162 A KR20230060162 A KR 20230060162A KR 1020210144542 A KR1020210144542 A KR 1020210144542A KR 20210144542 A KR20210144542 A KR 20210144542A KR 20230060162 A KR20230060162 A KR 2023006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lder
rack
side rack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권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162A/ko
Priority to US17/959,639 priority patent/US20230130490A1/en
Priority to EP22200248.7A priority patent/EP4173543A1/en
Publication of KR2023006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용 랙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은, 세척대상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사이드랙, 및 프레임에 결합하고, 사이드랙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사이드랙은, 홀더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식기를 수납하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측공간에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개방되어 식기를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도어가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터브의 내측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터브의 내측공간에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랙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랙에는 식기가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자세로 수납될 수 있다.
랙은 비교적 좁은 공간에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무게를 가진 식기, 조리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랙이 필요하다.
랙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사이드랙이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랙은 수납용 랙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랙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미국등록특허 제5205419호 및 미국등록특허 제7644826호에 개시된다.
사이드랙은 수납용 랙에서 세척대상물의 수납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이드랙은 랙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세척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충격되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랙의 움직임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이드랙의 움직임으로 인해, 사용자가 수납용 랙에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거나, 수납용 랙을 세척공간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랙이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기 수납용 랙을 취급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사이드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기의의 일 실시예는 수납용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은 식기세척기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랙은 프레임, 사이드랙 및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세척대상물인 식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와이어, 리브, 손잡이부 및 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한 매쉬(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랙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랙은 랙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비교적 큰 식기를 사이드랙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랙에 큰 식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홀더부는 프레임에 결합하고, 사이드랙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홀더부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홀더부는 와이어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랙은 지지바, 사이드암, 크로스암 및 보조지지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랙은 홀더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홀더부는 제1홀더와 제2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는 크로스암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사이드랙의 자세 예를 들어, 제1자세 또는 제2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홀더는 제1홀더와 제1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크로스암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홀더는 크로스암을 가압하여 사이드랙이 홀더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크로스암은 제2홀더에는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사이드암은 제1파트와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는 일단부에서 지지바와 결합할 수 있다. 제2파트는 제1파트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파트가 복수의 와이어 중 하나로 구비되는 스토퍼에 접촉하는 경우에 사이드랙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크로스암은 제1피스, 제2피스, 제3피스 및 제4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 내지 제4피스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는 양단부가 한 쌍의 사이드암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제2피스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제1피스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피스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한 쌍의 제1피스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제1홀더와 제2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4피스는 제1홀더에 장착되는 제3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더는 제1셀, 제2셀 및 제3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 내지 제3셀은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셀은 와이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셀은 제1셀과 결합하고, 제3피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3피스가 제2셀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이드랙은 랙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3셀은 제1셀과 결합하고, 제4피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3셀은 제1가이드핀, 제2가이드핀, 회전제한부 및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핀은 제4피스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가이드핀은 제4피스가 회전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가이드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4피스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는 제1가이드핀과 제2가이드핀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제4피스와 접촉하여 제4피스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댐퍼는 제2가이드핀으로부터 돌출되고, 회전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는 제1섹션, 제2섹션 및 제3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섹션은 복수의 와이어가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섹션은 제1섹션과 결합하고,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섹션은 제2섹션과 결합하고, 제3피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4피스가 회전제한부와 댐퍼 사이의 제1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 사이드랙은 프레임에 대하여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제1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제4피스가 제1공간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파트가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사이드랙은 프레임에 대하여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제2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사이드랙이 제2자세를 유지하는 경우에, 제4피스는 댐퍼와 접촉하고, 제2파트는 스토퍼와 접촉할 수 있다.
사이드랙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4피스 또는 제3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사이드랙은 현재의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도달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용 랙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은, 세척대상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사이드랙, 및 프레임에 결합하고, 사이드랙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사이드랙은, 홀더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사이드랙이 수납용 랙의 가장자리에 배치됨으로써, 사이드랙은 타인(tine)과의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랙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랙의 다른 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타인과 사이드랙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사이드랙은 세척과정에서 세척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타이트하게 제1자세 또는 제2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사용자가 비교적 큰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 사이드랙은 제1자세 또는 제2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사이드랙의 자세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랙은 세척과정에서 세척수에 의해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사이드랙의 유동,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식기의 손상, 소음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고, 식기세척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랙이 제1자세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랙이 제2자세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에서 제1홀더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10), 상기 터브(1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20) 및 상기 터브(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 랙(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실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를 구비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인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랙(100)을 구비하고,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모듈(30)을 구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터브(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의 상방과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와 터브(10)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2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31)를 포함한다. 섬프(31)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3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섬프(3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세척노즐(34)은 랙(100)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세척노즐(34a)은 터브(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세척노즐(34b)은 상측 랙(100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측 랙(100a)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세척노즐(34c)은 하측 랙(100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하측 랙(100b)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31)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연결관(3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밸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로 공급된 세척수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집수된다. 섬프(31)에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32)로 유동하며 가압된다. 세척펌프(32)에서 가압된 세척수는 전환밸브(35)로 유동하며 복수의 연결관(33)에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세척수는 연결관(33)을 유동하여 세척노즐(34)로 압송된다.
세척노즐(34)로 압송된 세척수는 터브(10)로 분사되며,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다시 집수된다.
세척펌프(32) 내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세척펌프(32)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분지되고 터브(10)의 일 측과 연통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노즐을 통해 터브(10)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측 랙(100a)과 하측 랙(100b)에 공통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측 랙(100a)과 하측 랙(100b)은 랙(100)으로 지칭하고, 이하에서는 랙(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수납용 랙(100)은 식기세척기(1)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랙(100)은 프레임(110), 사이드랙(120) 및 홀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세척대상물인 식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와이어(111), 리브(113), 손잡이부(114) 및 타인(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11)가 서로 결합한 매쉬(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11)는 랙(100)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가로방향 와이어(111)와 세로방향 와이어(111)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111)의 가장자리부위는 일부가 절곡됨으로써, 식기를 수납하는 3차원적 공간을 랙(100)에 형성할 수 있다.
리브(113)는 프레임(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와이어(111)의 단부가 결합할 수 있다. 리브(113)는 상기 와이어(111)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14)는 양단부가 상기 리브(113)에 결합하여, 상기 리브(113)와 함께 와이어(111)를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14)를 잡고 랙(100)을 수납공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14)는 상기 식기세척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1)의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타인(115)은 와이어(111) 상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랙(10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타인(115)은 다양한 크기, 형상을 가진 식기를 편리하게 거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은 랙(10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비교적 큰 식기를 사이드랙(120)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랙(100)에 큰 식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홀더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랙(120)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홀더부(13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홀더부(130)는 와이어(111)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은 지지바(121), 사이드암(122), 크로스암(123), 보조지지부(124) 및 장착암(12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121)는 길이방향이 상기 수납용 랙(100)의 제1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을 사용하여 식기를 지지하는 경우, 지지바(121)는 식기와 접촉하여 상기 식기의 하중 일부를 지탱할 수 있다.
사이드암(122)은 상기 지지바(121)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을 사용하여 식기를 지지하는 경우, 사이드암(122)은 식기와 접촉하여 상기 식기의 하중 일부를 지탱할 수 있다.
지지바(121)는 상기 사이드암(12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기는 지지바(121)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크로스암(123)은 한 쌍의 상기 지지바(121)에 결합하고, 양단부가 상기 홀더부(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크로스암(123)과 한 쌍의 지지바(121)는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크로스암(123)은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1) 사이의 설정된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전체적으로 사이드랙(120)의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보조지지부(124)는 양단부가 상기 크로스암(123)에 결합하고, 절곡부위를 가진 선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124)는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식기를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을 사용하여 식기를 지지하는 경우, 보조지지부(124)는 식기와 접촉하여 상기 식기의 하중 일부를 지탱할 수 있다.
장착암(125)은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사이드암(122)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장착암(125)에는 지지바(121)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바(121)는 장착암(125)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121)에는 장착암(125)에 결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121)가 장착암(125)에 결합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암(125)에는 절곡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암(125)의 절곡부위로 인해 지지바(121)는 장착암(125)에 넓게 접촉하여 상기 장착암(1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3,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사이드랙(120)은 상기 손잡이부(114)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 및 상기 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손잡이부(11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랙(120)은 리브(11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리브(113)의 길이방향과 사이드랙(120)의 길이방향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사이드랙(120)이 수납용 랙(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사이드랙(120)은 타인(115)(tine)과의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랙(12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랙(100)의 다른 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타인(115)과 사이드랙(120)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은 상기 홀더부(1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130)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은 예를 들어, 제1자세(ST1)(도 7 참조) 또는 제2자세(ST2)(도 8 참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홀더부(130)는 제1홀더(131)와 제2홀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131)와 제2홀더(132)는 와이어(111)에 형상끼워맞춤 및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홀더(131)와 제2홀더(132)는 세척수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특히, 사이드랙(120)이 제1자세(ST1)에서 제2자세(ST2)로 또는 그 반대로 자세변경을 하는 경우에, 제1홀더(131)는 탄성변형되므로,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제1홀더(131)와 상기 제2홀더(132)는 플라스틱 재질의 것으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제1홀더(131)는 상기 크로스암(12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랙(120)의 자세 예를 들어,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홀더(132)는 상기 제1홀더(131)와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암(123)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31)는 크로스암(123)을 가압하여 상기 사이드랙(120)이 상기 홀더부(130)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크로스암(123)은 상기 제2홀더(132)에는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사이드암(122)은 제1파트(1221)와 제2파트(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221)는 일단부에서 상기 지지바(121)와 결합할 수 있다. 제2파트(1222)는 상기 제1파트(1221)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파트(1222)가 복수의 상기 와이어(111) 중 하나로 구비되는 스토퍼(111a)에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12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암(122)이 회전하면 절곡된 제2파트(1222)는 와이어(111)와 접촉할 수 있고, 제2파트(1222)와 접촉하는 와이어(111)는 스토퍼(111a)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이드랙(120)의 랙(100)에 대한 회전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크로스암(123)과 제1홀더(131)의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홀더(13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에서 제1홀더(131)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크로스암(123)은 제1피스(1231), 제2피스(1232), 제3피스(1233) 및 제4피스(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1231) 내지 제4피스(12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1231)는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사이드암(122)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제1피스(1231)는 길이방향이 대체로 지지바(1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피스(1232)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제1피스(1231)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스(1232)는 제1피스(1231)의 양단에 형성되므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피스(1233)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한 쌍의 상기 제1피스(123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1홀더(131)와 상기 제2홀더(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피스(1233) 중 하나는 상기 제1홀더(131)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홀더(132)에 장착될 수 있다.
제4피스(1234)는 상기 제1홀더(131)에 장착되는 상기 제3피스(1233)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피스(1234)는 하나의 제3피스(1233)에서 절곡형성되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제4피스(1234)는 제1홀더(131)에 의해 가압되어 사이드랙(120) 전체가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이드랙(1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홀더(131)는 제1셀(1311), 제2셀(1312) 및 제3셀(1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1311) 내지 제3셀(1313)은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홀더(131)에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와이어(111)가 끼워져서 상기 제1홀더(131)는 와이어(1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제1장착홈(131a), 제2장착홈(131b) 및 제3장착홈(131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장착홈(131a)은 상기 제1셀(1311)에 형성되고, 제2장착홈(131b)이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홈(131b)은 상기 제1셀(1311)과 제2셀(13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장착홈(131a)과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홈(131a)과 제2장착홈(131b)에는 와이어(111)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셀(1311)에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1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장착홈(131c)은 상기 제2셀(1312)에 형성되고, 제2장착홈(131b)이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장착홈(131c)에는 크로스암(123)의 제3피스(1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셀(1311)은 상기 와이어(1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셀(1311)은 제1장착홈(131a)과 제2장착홈(13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홈(131a)과 제2장착홈(131b)에 와이어(111)가 끼워져서 제1셀(1311)은 와이어(1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셀(1311)은 제1-1셀(1311a) 및 제1-2셀(1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셀(1311a)에는 제1장착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셀(1311a)은 복수의 상기 와이어(111)가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제1-1셀(1311a)은 길이방향이 각각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놓인 와이어(111)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제1-1셀(1311a)은 와이어(111)가 교차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111)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111)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2셀에는 제2장착홈(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셀(1311b)은 상기 제1-1셀(1311a)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111)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1셀(1311a)과 제1-2셀(1311b)은 와이어(111)에 형상끼워맞춤 및 억지끼워맞춤으로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제2셀(1312)은 상기 제1셀(1311)과 결합하고, 상기 제3피스(1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3피스(1233)가 제2셀(1312)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이드랙(120)은 랙(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3셀(1313)은 상기 제1셀(1311)과 결합하고, 상기 제4피스(1234)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3셀(1313)은 제1가이드핀(1313a), 제2가이드핀(1313b), 회전제한부(1313c) 및 댐퍼(13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핀(1313a)은 상기 제4피스(1234)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가이드핀(1313b)은 상기 제4피스(1234)가 회전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핀(1313a)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4피스(1234)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4피스(1234)는 제1가이드핀(1313a)과 제2가이드핀(1313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핀(1313a)과 상기 제2가이드핀(1313b)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1313c)는 상기 제1가이드핀(1313a)과 상기 제2가이드핀(1313b)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피스(1234)와 접촉하여 상기 제4피스(123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4피스(1234)가 회전제한부(1313c)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4피스(1234)는 최대의 회전범위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제4피스(1234)는 상기 회전제한부(1313c)를 넘어서는 범위로 회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사이드랙(120)의 회전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
댐퍼(1313d)는 상기 제2가이드핀(1313b)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댐퍼(1313d)는 제1가이드핀(1313a)과 제2가이드핀(1313b) 사이에 형성되는 제4피스(1234)가 회전하는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댐퍼(1313d)는 상기 제4피스(1234)를 가압하여 상기 제4피스(1234)를 포함하는 사이드랙(120) 전체가 현재의 자세 즉,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4피스(1234)가 댐퍼(1313d)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공간에서 이동하려면, 사용자가 사이드랙(120)에 외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사이드랙(120)은 제1자세(ST1)에서 제2자세(ST2)로 위치와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세척과정에서 사이드랙(120)에 분사되는 세척수로부터 받는 충격에는 상기 사이드랙(120)이 회전하지 않고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홀더(13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홀더(132)는 제1섹션(1321), 제2섹션(1322) 및 제3섹션(1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섹션(1321) 내지 제3섹션(1323)은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홀더(132)에는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에 와이어(111)가 끼워져서 상기 제2홀더(132)는 와이어(1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홈은 제1함몰홈(132a), 제2함몰홈(132b) 및 제3함몰홈(132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함몰홈(132a)은 제2섹션(1322)과 제3섹션(1323)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함몰홈(132b)은 상기 제3섹션(1323)에 제1함몰홈(132a)이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함몰홈(132a)에는 와이어(111)가 끼워질 수 있다. 제2함몰홈(132b)에는 크로스암(123)의 제3피스(1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3함몰홈(132c)은 상기 제1섹션(1321)에 제1함몰홈(132a)이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섹션(1321)에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1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섹션(1321)은 복수의 상기 와이어(111)가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섹션(1321)은 길이방향이 각각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놓인 와이어(111)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섹션(1321)은 와이어(111)가 교차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111)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111)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섹션(1321)에 제3함몰홈(132c)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섹션(1321)은 후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섹션(1322)은 상기 제1섹션(1321)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111)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섹션(1321)과 제2섹션(1322)은 와이어(111)에 형상끼워맞춤 및 억지끼워맞춤으로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제3섹션(1323)은 상기 제2섹션(1322)과 결합하고, 상기 제3피스(1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3피스(1233)가 제3섹션(132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이드랙(120)은 랙(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사이드랙(120)이 가지는 제1자세(ST1)와 제2자세(ST2), 그리고 사이드랙(120)이 상기 제1자세(ST1)와 상기 제2자세(ST2)를 유지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제1자세(ST1)와 제2자세(ST2)는 사이드랙(120)이 수납용 랙(100)에 대해 회전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랙(120)이 제1자세(ST1)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과 도 10b를 참조하여 제1자세(ST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세(ST1)는 사이드랙(120)이 식기를 수납하는데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120)이 취하는 자세이다. 따라서, 제1자세(ST1)에서 사이드랙(120)의 지지바(121)는 랙(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세(ST1)에서는 지지바(121)는 리브(113)에 가까이 위치하여, 예를 들어, 랙(100)의 상하방향으로 지지바(121)와 리브(113)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자세(ST1)에서는 사이드랙(120)이 랙(100)의 가장자리로 가급적 옮겨져서, 랙(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타인(115)을 간섭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자세(ST1)에서는 사이드랙(120)이 타인(115)을 간섭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복수의 타인(115)에 많은 식기가 거치되도록 하여 상기 타인(115)에서 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4피스(1234)가 상기 회전제한부(1313c)와 상기 댐퍼(1313d) 사이의 제1공간(1313-1)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제1자세(ST1)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자세(ST1)에서 상기 프레임(110)에 대한 사이드랙(120)의 기울어진 각도는 사이드랙(120) 전체의 형상, 랙(100)에 고정된 타인(115)과 사이드랙(120)의 간섭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자세(ST1)에서 제4피스(1234)는 제1공간(1313-1)에 배치되고, 회전제한부(1313c)와 댐퍼(1313d)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제4피스(1234)는 회전제한부(1313c)와 댐퍼(1313d)에 사이에 타이트하게 끼워진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자세(ST1)에서 사이드랙(120)은 비교적 작은 외부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유동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때, 유동한다는 것은 사이드랙(120)이 홀더부(13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흔들린다는 것은 사이드랙(120)이 외부충격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자세(ST1)에서 세척을 진행하더라도 분사되는 세척수가 사이드랙(120)에 가하는 외부충격에 의해 사이드랙(120)이 흔들리거나 유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제2자세(ST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랙(120)이 제2자세(ST2)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2자세(ST2)는 사이드랙(120)이 식기를 수납하는데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120)이 취하는 자세이다. 따라서, 제2자세(ST2)에서 사이드랙(120)의 지지바(121)는, 제1자세(ST1)와 비교하여, 랙(100)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이 수납용 랙(10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사이드랙(120)은 제1자세(ST1)에서 제2자세(ST2)로 또는 제2자세(ST2)에서 제1자세(ST1)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바(121)에 외력을 가하여 사이드랙(120)을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로 변경할 수 있다.
제2자세(ST2)에서는 지지바(121)는 리브(113)로부터 비교적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지지바(121)와 리브(113) 사이의 공간에는 비교적 큰 식기 예를 들어 그릇(1000)이 수납용 랙(100)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수납될 수 있다. 수납된 그릇(1000)은 지지바(121), 사이드암(122)의 제2파트(1222), 보조지지부(124) 등에 의해 지지되어 수납용 랙(10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4피스(1234)가 상기 제1공간(1313-1)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파트(1222)가 상기 스토퍼(111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제2자세(ST2)를 유지할 수 있다.
사이드랙(120)이 제1자세(ST1)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사이드랙(120)을 회전시키면, 제4피스(1234)는 제1공간(1313-1)으로부터 이탈되고 사이드랙(120)은 랙(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랙(120)은 사이드암(122)의 제2파트(1222)가 스토퍼(111a)와 접촉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제2파트(1222)가 스토퍼(111a)와 접촉하면 사이드랙(120)은 제2자세(ST2)를 취하게 된다.
제2자세(ST2)에서 사이드랙(120)이 수납용 랙(100)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수납용 랙(100)에서 사이드랙(120)의 이용에 필요한 공간, 사이드랙(120)에 의해 수납되는 식기의 체적과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랙(1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4피스(1234) 또는 상기 제3셀(1313)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사이드랙(120)은 현재의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도달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기 외력을 가하면, 그 외력에 의해 상기 제4피스(1234) 또는 상기 제3셀(1313)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변형하고, 이에 따라 제4피스(1234)는 댐퍼(1313d)를 통과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사이드랙(120)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사이드랙(120)은 제1자세(ST1)에서 제2자세(ST2)로 또는 그 반대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랙(120)이 상기 제2자세(ST2)를 유지하는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피스(1234)는 상기 댐퍼(1313d)와 접촉하고, 상기 제2파트(1222)는 상기 스토퍼(111a)와 접촉할 수 있다.
댐퍼(1313d)는 제1자세(ST1)와 제2자세(ST2)에서 각각 서로 다른 부위에서 상기 제4피스(1234)와 접촉할 수 있다. 제2자세(ST2)에서는 댐퍼(1313d)가 제4피스(1234)를 가압하고 스토퍼(111a)가 제2파트(1222)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자세(ST2)에서는 댐퍼(1313d)가 제4피스(1234)를 제1자세(ST1) 방향으로 제3셀(1313)의 탄성력을 이길 만큼의 외력 없이는 유동하지 못하도록 막고, 스토퍼(111a)가 제2파트(1222)를 중력이나 외력에 의해 더 기울어지지 않고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막을 수 있다. 제1자세(ST1)에서는 댐퍼(1313d)가 제4피스(1234)를 제2자세(ST2) 방향으로 제3셀(1313)의 탄성력을 이길만큼의 외력 없이는 유동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4피스(1234)와 제2파트(1222)를 포함하는 사이드랙(120)은 댐퍼(1313d)와 스토퍼(111a)에 의해 가압되어 타이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사이드랙(120)은 제2자세(ST2)에서도 타이트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자세(ST2)에서 사이드랙(120)은 비교적 작은 외부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유동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자세(ST2)에서도, 제1자세(ST1)와 마찬가지로, 세척을 진행하더라도 분사되는 세척수가 사이드랙(120)에 가하는 외부충격에 의해 사이드랙(120)이 흔들리거나 유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이드랙(120)은 세척과정에서 세척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타이트하게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비교적 큰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 사이드랙(120)은 제1자세(ST1) 또는 제2자세(ST2)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사이드랙(120)의 자세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랙(120)은 세척과정에서 세척수에 의해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사이드랙(120)의 유동,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식기의 손상, 소음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고, 식기세척기(1)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20: 도어
100: 랙 110: 프레임
111: 와이어 111a: 스토퍼
113: 리브 114: 손잡이부
115: 타인 120: 사이드랙
121: 지지바 122: 사이드암
1221: 제1파트 1222: 제2파트
123: 크로스암 1231: 제1피스
1232: 제2피스 1233: 제3피스
1234: 제4피스 124: 보조지지부
130: 홀더부 131: 제1홀더
1311: 제1셀 1311a: 제1-1셀
1311b: 제1-2셀 1312: 제2셀
1313: 제3셀 1313a: 제1가이드핀
1313b: 제2가이드핀 1313c: 회전제한부
1313d: 댐퍼 1313-1: 제1공간
132: 제2홀더 1321: 제1섹션
1322: 제2섹션 1323: 제3섹션

Claims (17)

  1. 수납용 랙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랙은,
    세척대상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사이드랙;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랙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랙은,
    상기 홀더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랙은,
    길이방향이 상기 수납용 랙의 제1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사이드암; 및
    한 쌍의 상기 지지바에 결합하고, 양단부가 상기 홀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크로스암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사이드암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크로스암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랙의 자세를 유지하는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암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홀더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상기 사이드랙이 상기 홀더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은,
    일단부에서 상기 지지바와 결합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는 제2파트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한 매쉬(mesh)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트가 복수의 상기 와이어 중 하나로 구비되는 스토퍼에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암은,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사이드암에 각각 결합하는 제1피스;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제1피스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한 쌍의 상기 제1피스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피스; 및
    상기 제1홀더에 장착되는 상기 제3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4피스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상기 와이어에 장착되는 제1셀;
    상기 제1셀과 결합하고, 상기 제3피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셀; 및
    상기 제1셀과 결합하고, 상기 제4피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셀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은,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되는 제1-1셀; 및
    상기 제1-1셀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1-2셀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셀은,
    상기 제4피스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핀;
    상기 제4피스가 회전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4피스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핀;
    상기 제1가이드핀과 상기 제2가이드핀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피스와 접촉하여 상기 제4피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 및
    상기 제2가이드핀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공간에 형성되는 댐퍼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피스가 상기 회전제한부와 상기 댐퍼 사이의 제1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제1자세를 유지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피스가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파트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랙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설정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제2자세를 유지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랙이 상기 제2자세를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제4피스는 상기 댐퍼와 접촉하고,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랙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4피스 또는 상기 제3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사이드랙은 현재의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도달하도록 회전하는,
    식기세척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교차하는 부위에 장착되는 제1섹션;
    상기 제1섹션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섹션; 및
    상기 제2섹션과 결합하고, 상기 제3피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섹션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식기세척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랙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 및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44542A 2021-10-27 2021-10-27 식기세척기 KR20230060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42A KR20230060162A (ko) 2021-10-27 2021-10-27 식기세척기
US17/959,639 US20230130490A1 (en) 2021-10-27 2022-10-04 Dishwasher
EP22200248.7A EP4173543A1 (en) 2021-10-27 2022-10-07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42A KR20230060162A (ko) 2021-10-27 2021-10-27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62A true KR20230060162A (ko) 2023-05-04

Family

ID=8368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42A KR20230060162A (ko) 2021-10-27 2021-10-2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0490A1 (ko)
EP (1) EP4173543A1 (ko)
KR (1) KR20230060162A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5419A (en) 1991-09-27 1993-04-27 Maytag Corporation Dishwasher racking system
US5351837A (en) * 1993-09-07 1994-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fold down combs
US6546942B2 (en) * 2001-04-17 2003-04-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uxiliary basket
US7231929B2 (en) * 2003-11-20 2007-06-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adjustable rack
DE102004022024B4 (de) 2004-05-03 2006-01-12 Miele & Cie. Kg 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mit unterschiedlichen Aufnahmen und/oder Halterungen
KR101054206B1 (ko) * 2004-05-03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DE102004035726A1 (de) * 2004-07-23 2006-03-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zur variablen Aufnahme von Geschirrteilen
KR101270618B1 (ko) * 2006-11-15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DE102006055346B4 (de) * 2006-11-23 2008-10-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Aufbewahrungsbehälter für zu reinigendes Gut
US7984812B2 (en) * 2007-05-04 2011-07-2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ack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folding rack in a dishwasher
US7766175B2 (en) * 2007-11-09 2010-08-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accessory for a dishwasher rack
EP2215956B1 (en) * 2009-02-10 2020-05-2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djustable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basket
DE102009002270A1 (de) * 2009-04-07 2010-10-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KR101290375B1 (ko) * 2010-09-02 201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9949613B2 (en) * 2011-05-25 2018-04-2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lidable tine assembly
US20200329947A1 (en) * 2019-04-16 2020-10-22 Sub-Zero, Inc. Adjustable angle tines for rack
KR20210062822A (ko) * 2019-11-22 202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102019220277B3 (de) * 2019-12-19 2021-01-14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aufnahme
US11612300B2 (en) * 2020-06-18 2023-03-2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nfigurable lower rack for dishwasher
US11317740B2 (en) * 2020-07-09 2022-05-03 Logiquip Llc Clip-on adaptor for inventory divider
KR20220032727A (ko) * 2020-09-08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30031047A (ko) * 2021-08-26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642002B1 (en) * 2022-04-13 2023-05-0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adjustable tin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30490A1 (en) 2023-04-27
EP4173543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071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1269740B1 (ko) 세척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1054186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US20220142450A1 (en) Dishwasher
KR102590134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20230060162A (ko) 식기세척기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2007000880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0658849B1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구조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KR20210062822A (ko) 식기세척기
KR20220032727A (ko)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20070272284A1 (en) Dishwasher
KR10127601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050110927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290506B1 (ko) 식기 세척기
KR2008001259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0686117B1 (ko) 식기세척기
JP6569085B2 (ja) 食器洗い機等の食器かご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KR101070104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