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66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660A
KR20230133660A KR1020220030894A KR20220030894A KR20230133660A KR 20230133660 A KR20230133660 A KR 20230133660A KR 1020220030894 A KR1020220030894 A KR 1020220030894A KR 20220030894 A KR20220030894 A KR 20220030894A KR 20230133660 A KR20230133660 A KR 20230133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knife
storage rack
storage
wash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휘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660A/ko
Publication of KR2023013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수납부는 나이프를 수납하는 수납랙을 구비하고, 수납랙은, 길이방향이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1리브, 및 길이방향이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제1리브와 결합하는 제2리브를 포함하고, 나이프가 수납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리브는 제2리브로부터 나이프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용 나이프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납하고, 나이프가 잘못 수납되어 다른 식기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식기세척기에는 세척공간인 세척조가 구비되고, 세척조에 장착 및 세척조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납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수납부는 세척조의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식재료를 다듬는 조리용 나이프가 수용될 수 있다.
조리용 나이프가 수용되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에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 10-1435817에 개시된다. 도 14는 선행기술에 개시된 도면이다.
선행기술에서, 칼 수납 케이스(200)에 수용된 칼(N)의 칼날에 세척수가 닿기 위해, 칼 수납 케이스(200)에는 복수의 제1 통공(2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218)을 통해 세척수가 칼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침투하여 칼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가 칼을 칼 수납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에 샤프한 칼끝은 제1 통공을 통해 칼 수납 케이스의 외부로 튀어나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칼은 칼 수납 케이스에 충분히 수용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칼을 칼 수납 케이스로부터 빼서 다시 칼 수납 케이스에 넣어야 한다.
즉, 칼을 칼 수납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에 칼끝이 제1 통공으로 들어가서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칼을 칼 수납 케이스에 수용하는 것이 실패하여, 다시 칼을 수납 케이스로부터 빼고 다시 칼 수납 케이스에 넣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수납부에 칼을 던지듯이 수납하여도 칼이 수납부에 잘 수납되는 것을 원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개시된 구조로 인해, 칼을 칼 수납 케이스에 넣었다 뺏다 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칼이 칼 수납 케이스에 안전하게 수납되지 않음으로 인해, 수납부에 수납된 다른 식기들이 칼에 의해 파손되거나, 사용자에게 부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조리용 나이프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납하고, 나이프가 잘못 수납되어 다른 식기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이프와 커트러리를 동시에 수납하도록 하여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수납부는 식재료를 다듬는 나이프를 수납하는 수납랙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랙은 수납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수납부를 구성하는 와이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랙에 수납되는 나이프는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진 납작형 형태를 가지므로, 수납랙도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지고 납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의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납랙은 수납부의 가장자리에 세워진 형태 즉, 넓은 면이 수납부의 측방향을 향하고 좁은 면이 수납부의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수납랙은 제1리브와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수납랙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고, 나이프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하고 이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매쉬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으로 세척수가 통과하여 수납랙에 수납된 나이프에 닿을 수 있다.
제1리브는 길이방향이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리브는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리브는 길이방향이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제1리브와 결합할 수 있다. 제2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2리브는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와 제2리브는 나이프의 칼날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서로 결합하여 매쉬 형태를 형성하고, 칼날부의 양측면을 바라보고 수납랙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연결리브는 칼날부의 윗단과 아랫단을 바라보고 수납랙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납랙은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리브는 나이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2리브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하여 제1리브 및 제2리브와 함께 나이프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랙은 제1리브, 제2리브, 연결리브가 결합하여, 나이프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나이프가 수납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리브는 제2리브로부터 나이프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리브는 수납랙의 수납공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수납부는 나이프를 수납하는 수납랙을 구비하고, 수납랙은, 길이방향이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1리브, 및 길이방향이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제1리브와 결합하는 제2리브를 포함하고, 나이프가 수납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리브는 제2리브로부터 나이프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리브는, 나이프의 칼날부의 양면을 바라보도록 나이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리브는, 끝단이 나이프의 칼날부의 일면과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리브는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와 제2리브는 나이프의 칼날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수납랙은, 나이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2리브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하여 제1리브 및 제2리브와 함께 나이프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2리브는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세척수가 수납랙을 통과하여 수납랙의 내부에 수납된 나이프에 접촉하도록 매쉬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수납랙은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각각의 수납공간은 제1리브, 제2리브 및 연결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수납공간은 연결리브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랙은, 수납랙으로부터 돌출되고, 수납랙을 수납부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장착부는 수납랙이 수납부에 착탈되도록 탄성변형하는 후크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는, 연결리브 또는 연결리브와 제1리브가 만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납랙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랙은, 연결리브로부터 돌출되고, 수납랙에 거치되는 커트러리가 삽입되는 거치홀이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랙은, 나이프가 출입하는 입구에 형성되고, 나이프의 날을 지지하는 칼날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랙은, 나이프가 출입하는 입구에 형성되고, 제2리브의 단부와 연결리브의 단부가 각각 결합하고, 단면적이 제1리브 및 제2리브보다 크게 구비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칼날지지부는, 개구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결리브로부터 돌출되고, 양측이 개구부의 단부 내측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칼날지지부는 개구부의 끝단으로부터 수납랙의 내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제1리브는 수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므로, 칼날부의 칼끝은 제1리브의 돌출된 끝단에 닿아 이동하고 제1리브에 접촉하여 이동하므로, 칼끝은 제1리브의 끝단에서 수납공간 안쪽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제1리브의 끝단에서 수납공간의 바깥쪽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칼날부의 이동방향이 어긋나서 칼끝이 수납공간의 바깥쪽으로 향하더라도, 제1리브의 돌출로 인해 제1리브와 제2리브의 사이의 공간인 통공부로 칼끝이 튀어나오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나이프를 수납랙에 삽입하는 경우에 나이프의 칼끝이 수납랙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이프가 수납랙에 걸리고, 이에 따라 나이프가 수납랙에 완전히 수납되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이프에 의해 다른 식기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수납랙에 커트러리를 수납할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됨으로써, 나이프 커트러리를 함께 수납함으로써, 수납랙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수납랙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거치부는 나이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복수의 거치부를 나이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랙에서는 복수의 나이프와 함께 복수의 커트러리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수납랙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랙이 수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선행기술에 개시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외형을 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며 식기가 수용되고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조(130)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도어(122)와,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부(200, 160, 170)와, 각 수납부(200, 160, 17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납부(200, 160, 170)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어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식기세척기(100)의 구조 중 세척조(130), 구동부(140), 각 분사부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수납부(200, 160, 17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서 세척조(130)의 개방측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각 수납부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식기가 수납되는 제1수납부(200)와, 제1수납부(200) 상측에 위치하고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되는 제2수납부(160)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식기 등이 수납되는 제3수납부(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는 각 수납부(200, 160, 17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 분사부(132, 133, 134)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수납부(20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134)와, 제1수납부(200)와 제2수납부(16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수납부(200, 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133)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3수납부(170) 또는 제2수납부(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분사부(132)를 포함한다.
다만, 탑 분사부(132)는 식기세척기(100)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세척조(130)의 양측벽에는 제1, 2, 3수납부(200, 160, 17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122)는 상술한 세척조(13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122)는 통상적으로 개방면 하부에 도어(12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가 구비되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122)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122)의 외측면에는 도어(122)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124) 및 식기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23)이 구비된다. 도어(122)의 내측면은 도어(122)의 폐쇄시 세척조(13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122)의 개방시 제1수납부(2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122)가 개방될 경우 도어(122)의 안착면은 제1수납부(200)가 안내되는 상기 안내부에 연장되는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의 수납부와 이에 관련된 구조는 이하에서는 제1수납부(20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수납부(200)의 구조와 이에 관련된 구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1수납부(200)를 수납부(200)로 지칭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수납하는 수납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납부(200)는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조(130)에 수용되고 또한 세척조(13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조(130)는 세척조(130)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200)는 핸들(201), 가이드부(202), 와이어(203), 타인(204)(tine), 회전거치대(205) 및 수납랙(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201)은 사용자가 수납부(200)를 잡고 식기세척기(100) 내부에 수납부(200)를 넣거나, 수납부(200)를 식기세척기(100)로부터 빼낼때 사용할 수 있도록 수납부(200)의 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02)는 핸들(201)과 결합하고, 핸들(201)과 함께 수납부(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203)는 일부는 핸들(201)과 결합하고 일부는 가이드부(202)와 결합할 수 있다. 와이어(203)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와이어(203)는 서로 교차하여 전체적으로 매쉬(mesh)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와어어 사이로 큰 공간이 형성되므로, 세척수는 이러한 공간을 통해 수납부(200)에 수용된 식기들과 닿아 이들 식기가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03)는 벤딩된 부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203)는 전체적으로 바구니 형태로 구비되어 식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타인(204)은 와이어(203)에 장착되고,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식기들이 타인(204)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인(204)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타인(204)은 수납부(200)의 각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일련의 타인(204)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타인(204) 어레이(array)를 형성할 수 있다.
타인(204)은 와이어(203)에 고정되는 고정형과 와이어(203)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형은 수납부(200)에 눕히거나 또는 세울 수 있다.
회전형 타인(204)에서, 면적 또는 부피가 작은 식기의 경우에 타인(204)을 세워 식기를 안정적으로 수납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면적 또는 부피가 큰 식기의 경우에 타인(204)을 눕혀서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면적 또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회전거치대(205)는 대형의 그릇, 프라이팬 등의 큰 면적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부피는 크지 않은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 식기를 수납부(200)에 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회전거치대(205)는 수납부(20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수납부(200)에 장착되고, 수납부(2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가 회전거치대(205)에 거치되면 납작한 형상의 식기는 수납부(200)의 가장자리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수납부(200)의 다른 위치에 다른 식기가 거치되는 공간이 남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거치대(205)에 의해 수납부(200)의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수납부(200)는 식재료를 다듬는 나이프(1100)를 수납하는 수납랙(210)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랙(210)은 수납부(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수납부(200)를 구성하는 와이어(20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랙(210)에 수납되는 나이프(1100)는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진 납작형 형태를 가지므로, 수납랙(210)도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지고 납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200)의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납랙(210)은 수납부(200)의 가장자리에 세워진 형태 즉, 넓은 면이 수납부(200)의 측방향을 향하고 좁은 면이 수납부(200)의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회전거치대(205)가 회전하는 동작을 방해하거나 회전거치대(205)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수납랙(210)은 회전거치대(205)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선정으로 인해, 수납랙(210)과 회전거치대(205)는 서로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수납랙(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수납랙(210)은 서로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나로 구비되는 수납랙(210)과 복수로 구비되는 수납랙(210)을 나누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각각 설명되는 구조중 공통되는 것은 중복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하나로 구비되는 수납랙(210)과 복수로 구비되는 수납랙(210) 모두 채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210)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210)의 단면도이다. 수납랙(210)은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는 하나로 구비되는 수납랙(210)을 나타낸 것이다.
수납랙(210)은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는 수납랙(21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고, 나이프(1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는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하고 이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매쉬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으로 세척수가 통과하여 수납랙(210)에 수납된 나이프(1100)에 닿을 수 있다.
제1리브(211)는 길이방향이 나이프(110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211)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리브(211)는 나이프(110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리브(212)는 길이방향이 나이프(110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제1리브(211)와 결합할 수 있다. 제2리브(212)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2리브(212)는 나이프(1100)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는 세척수가 수납랙(210)을 통과하여 수납랙(210)의 내부에 수납된 나이프(1100)에 접촉하도록 매쉬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세척수는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 사이 또는 복수의 제1리브(211) 사이 또는 복수의 제2리브(2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통공부(210a)을 통과하여 수납랙(210)에 수납된 나이프(1100)에 닿아 나이프(1100)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는 나이프(1100)의 칼날부(1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는 서로 결합하여 매쉬 형태를 형성하고, 칼날부(1120)의 양측면을 바라보고 수납랙(210)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연결리브(213)는 칼날부(1120)의 윗단과 아랫단을 바라보고 수납랙(210)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납랙(210)은 연결리브(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리브(213)는 나이프(1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2리브(212)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하여 제1리브(211) 및 제2리브(212)와 함께 나이프(1100)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랙(210)은 제1리브(211), 제2리브(212), 연결리브(213)가 결합하여, 나이프(11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14)을 형성할 수 있다.
나이프(1100)는 칼날부(1120)와 칼날부(1120)에 결합하는 손잡이(1110)로 구비되는데, 칼날부(1120)는 대부분이 수납랙(210)에 수납될 수 있다. 손잡이(1110)부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성을 가진 수납랙(210)에 수납되기 어려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110)는 수납랙(210)에 수납되는 않고 수납랙(2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랙(210)은 전체적으로 나이프(1100)의 칼날부(1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수납랙(210)은 정면으로 볼 경우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측방향으로 볼 경우에 칼날부(1120)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랙(210)에는 나이프(1100)가 출입하는 입구에 개구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8)는 수납랙(210)의 입구를 형성하고, 나이프(1100)는 개구부(218)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를 통해 수납랙(210)에 수납되거나 수납부(20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때, 나이프(1100)가 수납랙(2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리브(211)는 제2리브(212)로부터 나이프(110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리브(211)는 수납랙(210)의 수납공간(214)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납랙(210)에 수납되는 칼날부(1120)는 돌출된 제1리브(211)의 끝단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여 수납랙(210)의 수납공간(214)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나이프(1100)를 수납하는 경우에 나이프(1100)의 진행방향이 어긋나는 경우에 나이프(1100)의 칼끝이 통공부(210a)로 튀어나오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였다.
실시예에서는, 제1리브(211)는 수납공간(214)을 향하여 돌출되므로, 칼날부(1120)의 칼끝은 제1리브(211)의 돌출된 끝단에 닿아 이동하고 제1리브(211)에 접촉하여 이동하므로, 칼끝은 제1리브(211)의 끝단에서 수납공간(214) 안쪽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제1리브(211)의 끝단에서 수납공간(214)의 바깥쪽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칼날부(1120)의 이동방향이 어긋나서 칼끝이 수납공간(214)의 바깥쪽으로 향하더라도, 제1리브(211)의 돌출로 인해 제1리브(211)와 제2리브(212)의 사이의 공간인 통공부(210a)로 칼끝이 튀어나오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나이프(1100)를 수납랙(210)에 삽입하는 경우에 나이프(1100)의 칼끝이 수납랙(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이프(1100)가 수납랙(210)에 걸리고, 이에 따라 나이프(1100)가 수납랙(210)에 완전히 수납되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이프(1100)에 의해 다른 식기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리브(211)는 나이프(1100)의 칼날부(1120)의 양면을 바라보도록 나이프(1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리브(211)는 끝단이 나이프(1100)의 칼날부(1120)의 일면과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나이프(1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리브(211)의 끝단과 끝단 사이의 거리는 칼날부(1120)의 최대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나이프(1100)는 원활하게 수납공간(214)을 이동하여 수납랙(210)에 수납되거나 수납랙(2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제1리브(211)는 나이프(1100)의 양측에 수납공간(214)을 향해 돌출되므로, 나이프(1100)의 칼끝은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통공부(210a) 어디에도 튀어나오지 않고, 따라서 나이프(1100)는 수납과정에서 수납랙(210)에 걸리지 않고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21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210)의 평면도이다. 수납랙(2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수납랙(210)은 복수의 수납공간(214)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수납공간(214)은 제1리브(211), 제2리브(212) 및 연결리브(2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납공간(214)은 연결리브(213)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수납공간(214)은 연결리브(213)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복수의 수납공간(214)은 연결리브(213)에 의해 서로 경계지워질 수 있다. 또한 연결리브(213)는 수납랙(2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고, 칼날부(1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수납공간(214)을 구비하는 수납랙(210)은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수납부(200)는 장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15)는 수납랙(210)으로부터 돌출되고, 수납랙(210)을 수납부(2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장착부(215)는 수납부(200)에 형성된 와이어(203)에 착탈 가능하도록 와이어(20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215)는 수납랙(210)이 수납부(200)에 착탈되도록 탄성변형하는 후크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랙(210)을 가압하면 장착부(215)는 탄성변형하여 수납부(200)의 와이어(203)에 장착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수납랙(210)을 떼어내면 장착부(215)가 탄성변형하고, 이에 따라 수납랙(210)은 수납부(20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장착부(215)는 연결리브(213) 또는 연결리브(213)와 제1리브(211)가 만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납랙(2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리브(213)는 와이어(203)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나이프(1100)를 수납랙(210)에 수납할 수 있도록, 나이프(1100)가 수납부(200)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랙(210)을 수납부(200)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장착부(215)는 각 수납공간(214)이 길이방향으로 수납부(200)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수납랙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203)의 입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수납랙(210)의 수납공간(214)이 경사진 방향으로 수납부(200)에 장착되도록 각각의 장착부(215)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수납랙(210)은 연결리브(213)로부터 돌출되고, 수납랙(210)에 거치되는 커트러리(1200)(cutlery) 예를 들어, 숫가락, 젓가락 포크 등이 삽입되는 거치홀(216a)이 구비되는 거치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16)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거치부(216)는 각각의 연결리브(213)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커트러리(1200)는 서로 소정을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거치부(216)에 장착되는 커트러리(1200)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트러리(1200)는 거치부(216)에 형성되는 거치홀(216a)에 삽입되어 수납랙(210)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홀(216a)은 식기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트러리(1200)는 수납랙(210)에서 나이프(1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납랙(210)에 수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납랙(210)에 커트러리(1200)를 수납할 수 있는 거치부(216)가 구비됨으로써, 나이프(1100) 커트러리(1200)를 함께 수납함으로써, 수납랙(210)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거치부(216)는 수납랙(21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거치부(216)는 나이프(1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복수의 거치부(216)를 나이프(1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수납공간(214)을 가지는 수납랙(210)에서는 복수의 나이프(1100)와 함께 복수의 커트러리(1200)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수납랙(210)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부(215)와 거치부(216)는 수납랙(210)의 측방향으로 같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215)는 거치부(216)보다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215)의 단부와 수납랙(210)의 제2리브(21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거치홀(216a)은 이러한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홀(216a)에 커트러리(1200)가 삽입되면, 커트러리(1200)는 장착부(215)의 단부와 제2리브(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납랙(210)에는 커트러리(12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납랙(210)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랙(210)이 수납부(20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장착부(215)는 제1파트(215a)와 제2파트(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215a)는 수납랙(210)으로부터 수납랙(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파트(215b)는 수납랙(210)의 단부에 구비되고, 와이어(203)에 결합되도록 후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납랙(210)이 와이어(203)에 착탈가능하도록 제2파트(215b)는 탄성변형하는 부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파트(215a)와 제2파트(215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15)는 제1셀(2151)과 제2셀(2152)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셀(2151)은 수납부(2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와이어(203)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셀(2152)은 수납부(20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와이어(203)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랙(210)이 수납부(200)에 장착되면, 제2셀(2152)은 수납부(200)의 바닥을 형성하는 와이어(203)와 결합하고, 수납랙(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랙(210)이 수납부(200)에 장착되면, 제1셀(2151)은 제2셀(2152)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납부(200)의 측부를 형성하는 와이어(203)와 결합할 수 있다.
제2셀(2152)은 제1파트(215a)가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셀(2151)과 거치부(216)는 수납랙(210)의 측방향으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셀(2151)은 거치부(216)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제1셀(2151)의 단부와 수납랙(210)의 제2리브(212) 사이에 커트러리(1200)를 수납할 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셀(2152)은 제1파트(215a)가 제1셀(215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파트(215a)의 단부에 제2파트(215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셀(2152)에서 제2파트(215b)가 충분히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2파트(215b)에 의해 커트러리(1200)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210)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랙(21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수납랙(210)은 나이프(1100)가 출입하는 입구에 형성되고, 나이프(1100)의 날을 지지하는 칼날지지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랙(210)은 개구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18)는 나이프(1100)가 출입하는 입구에 형성되고, 제2리브(212)의 단부와 연결리브(213)의 단부가 각각 결합하고, 단면적이 제1리브(211) 및 제2리브(21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218)는 수납랙(210)의 입구를 형성하고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 외력, 스팀에 의한 가열 등에 의해 수납랙(210)의 입구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수납랙(2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나이프(1100)가 수납랙(210)의 수납공간(214)에 수납과 인출이 반복되는 경우에 칼날부(1120)에 의해 수납랙(210)이 긁혀서 마모될 수 있다. 수납랙(210)이 마모되는 경우 수납랙(210)의 내구성이 낮아질 수 있고, 마모된 부위가 외부에서 보이므로 디자인적 심미감이 낮아질 수 있다.
나이프(1100)의 칼날부(1120)가 수납랙(210)에 출입하는 경우에 개구부(218)의 끝단 바닥부위에 칼날부(1120)가 닿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개구부(218)의 끝단이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나이프(1100)에 의해 긁히는 부분인 개구부(218)의 끝단에 인접한 부위에 칼날지지부(217)를 형성하여 칼날지지부(217)가 마모되고 개구부(218)의 끝단이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칼날지지부(217)는 개구부(218)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결리브(213)로부터 돌출되고, 양측이 개구부(218)의 단부 내측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칼날지지부(217)는 개구부(218)에서 칼날부(1120)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칼날지지부(217)는 개구부(218)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칼날부(1120)는 개구부(218)에 접촉하지 않고, 칼날지지부(217)에 접촉할 수 있다. 칼날부(1120)에 의해 칼날지지부(217)가 대신 마모되고, 개구부(218)의 마모를 피할 수 있다.
개구부(218)와 칼날지지부(217)는 일체로 형성되고, 칼날지지부(217)가 모두 마모된 후에 개구부(218)가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218)가 구비되지 않는 구조와 비교하여,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18)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수납랙(2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칼날지지부(217)는 개구부(218)의 끝단으로부터 수납랙(210)의 내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수납랙(210)의 외형을 보아서는 칼날지지부(217)의 마모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칼날지지부(217)에 의해 개구부(218)의 끝단의 마모가 억제되고 칼날지지부(217)의 마모를 보기 어려우므로, 외부에서 나이프(1100)의 칼날부(1120)에 의한 수납랙(210)의 마모를 관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납랙(210)의 마모를 외부로부터 숨길수 있어, 수납랙(210)의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칼날지지부(217)는 복수의 수납공간(214)을 가진 수납랙(210)에서 각각의 수납공간(214)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식기세척기
130: 세척조
200: 수납부
210: 수납랙
211: 제1리브
212: 제2리브
213: 연결리브
214: 수납공간
215: 장착부
216: 거치부
217: 칼날지지부
218: 개구부

Claims (13)

  1.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나이프를 수납하는 수납랙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랙은,
    길이방향이 상기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1리브; 및
    길이방향이 상기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리브와 결합하는 제2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나이프가 상기 수납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리브는 상기 제2리브로부터 상기 나이프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상기 나이프의 칼날부의 양면을 바라보도록 상기 나이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끝단이 상기 나이프의 칼날부의 일면과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리브는 상기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2리브는 상기 나이프의 칼날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납랙은,
    상기 나이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2리브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리브 및 상기 제2리브와 함께 상기 나이프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리브는 상기 나이프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2리브는 세척수가 상기 수납랙을 통과하여 상기 수납랙의 내부에 수납된 나이프에 접촉하도록 매쉬형태를 형성하는,
    식기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랙은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각각의 수납공간은 상기 제1리브, 상기 제2리브 및 상기 연결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수납공간은 상기 연결리브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랙은,
    상기 수납랙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수납랙을 상기 수납부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납랙이 상기 수납부에 착탈되도록 탄성변형하는 후크구조로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리브 또는 상기 연결리브와 상기 제1리브가 만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수납랙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랙은,
    상기 연결리브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수납랙에 거치되는 커트러리가 삽입되는 거치홀이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5항 있어서,
    상기 수납랙은,
    상기 나이프가 출입하는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나이프의 날을 지지하는 칼날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랙은,
    상기 나이프가 출입하는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제2리브의 단부와 상기 연결리브의 단부가 각각 결합하고, 단면적이 상기 제1리브 및 상기 제2리브보다 크게 구비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지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리브로부터 돌출되고, 양측이 상기 개구부의 단부 내측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지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납랙의 내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030894A 2022-03-11 2022-03-11 식기세척기 KR20230133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94A KR20230133660A (ko) 2022-03-11 2022-03-11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94A KR20230133660A (ko) 2022-03-11 2022-03-1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660A true KR20230133660A (ko) 2023-09-19

Family

ID=8819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94A KR20230133660A (ko) 2022-03-11 2022-03-1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6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8814B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KR101054186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JP2008073400A (ja) 食器洗い機
JP6948517B2 (ja) 食器洗い機
JP6883732B2 (ja) 食器洗い機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KR2007000880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20070062294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KR20070062295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KR102091187B1 (ko) 식기세척기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127601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170021600A (ko) 식기 세척기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JP2020075005A (ja) 食器洗浄機
JP2015160028A (ja) 食器洗い機
KR20090024004A (ko) 식기 세척기
KR101435817B1 (ko) 식기세척기용 칼 수납 케이스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CN220876701U (zh) 碗篮组件和洗涤设备
KR100234112B1 (ko) 식기세척기
KR20240097289A (ko) 세제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EP4173544A1 (en) Dishwa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