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26A -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 Google Patents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26A
KR20230056426A KR1020210140432A KR20210140432A KR20230056426A KR 20230056426 A KR20230056426 A KR 20230056426A KR 1020210140432 A KR1020210140432 A KR 1020210140432A KR 20210140432 A KR20210140432 A KR 20210140432A KR 20230056426 A KR20230056426 A KR 2023005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wer opening
fixing part
fix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236B1 (ko
Inventor
김순곤
전혁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1014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2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 창호는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정의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를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로 구획하는 상하구획부재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개구를 제1 하부 개구 및 제2 하부 개구로 구획하는 하부구획부재를 갖는 창틀,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개폐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개방할 때, 실외 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폐쇄할 때, 실내 측을 향해 이동하게 마련되는 창짝 및 상기 제2 하부 개구를 커버하게 마련되는 고정창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WINDOW WITH VENTILATION}
본 발명은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어지는 건축물에는, 개방감 있는 시야 확보를 위해 입면 분할 창호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면 분할 창호는 거주자의 가시성이 향상되고 건물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창호의 외부에는 안전을 위해 철제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의 입면 분할 창호의 경우, 철제 난간대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창틀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수평 바와 이를 지탱하는 수직 바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고정창이 배치되고, 상부에는 환기창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하부의 고정창이 철제 난간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철제 난간대를 대체하기 위한 입면 분할 창호는 환기창이 상부에만 배치된다. 즉, 상부만이 개폐되어 환기가 가능하고, 고정창이 배치되는 하부 영역은 환기가 불가능한 영역이다.
그러므로, 철제 난간대를 대체하기 위한 입면 분할 창호를 적용하는 경우 환기 면적이 축소되어 실내 환기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실내 환기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부 영역이 철제 난간대의 대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하부 영역을 통해 환기가 가능하게 하는 입면분할 창호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내 환기량이 증가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창호는,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정의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를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로 구획하는 상하구획부재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개구를 제1 하부 개구 및 제2 하부 개구로 구획하는 하부구획부재를 갖는 창틀,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개폐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개방할 때, 실외 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폐쇄할 때, 실내 측을 향해 이동하게 마련되는 창짝 및 상기 제2 하부 개구를 커버하게 마련되는 고정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창호는, 상기 창짝과 상기 창틀을 연결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짝을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인 기준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제1 작동이라 하고, 상기 창짝을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일단이 실외측을 향하게 회전시키거나 일단이 실내 측을 향하게 회전시키는 작동을 제2 작동이라 할 때, 상기 힌지는, 제1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창틀, 상기 상하구획부재 및 상기 하부구획부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힌지가 결합되는 대상을 결합 대상이라 하고, 상기 결합 대상이 연장되는 방향을 연장 방향이라 할 때, 상기 힌지는, 상기 결합 대상에 결합되고,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창짝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창짝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1 이동부재와 이격되는 제1-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1 이동부재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부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2 이동부재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이동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고정부재 및 상기 제3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창호는, 상기 창짝의 실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상기 창짝의 실내 측에서 선택적으로 커버하게 마련되는 방충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방충부는, 상기 상하구획부재 중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정의하는 부분에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권취 및 풀림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권취될 때,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상기 창짝의 실내 측에서 커버하는 방충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방충부는, 상기 방충망을 권취하게 마련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부 개구가 개방된 후, 상기 방충망을 풀도록 상기 모터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하부 고정창이 배치되었던 위치에 개폐식 창짝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창호의 하부 영역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실내 환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식 창짝이 개방될 때, 실외를 향해 이동되는 방식으로 개방되므로, 실내 공간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실내 환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식 창짝이 개방될 때, 창짝이 상하 또는 좌우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 및 창짝이 실외를 향해 전진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및 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단면도 및 그 변형예들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힌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제1 작동이 완료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제2 작동이 완료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방충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하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는 입면 분할 창호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및 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단면도 및 그 변형예들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창틀(10)은 창틀 프레임(11), 상하구획부재(12) 및 하부구획부재(13)를 가질 수 있다. 창틀 프레임(11)은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라 함은, 창틀(10)이 설치되는 대상이 정의하는 공간의 바깥쪽을 말하고, 실내라 함은, 창틀(10)이 설치되는 대상이 정의하는 공간의 안쪽을 말한다. 예를 들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10)의 경우, 건물의 바깥쪽이 실외가 되고, 건물의 안쪽이 실내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건물 내부의 방의 벽에 설치되는 창틀(10)의 경우, 건물의 외부가 아니더라도, 방의 바깥쪽이라면 실외가 되고, 방의 안쪽이 실내가 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1)은 일반적으로 창문에 주로 사용되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다른 다각형 등도 가능하다.
상하구획부재(12)는 창틀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개구를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로 구획할 수 있다. 상부 개구에는 미서기 창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구획부재(13)는 상하로 연장되어 하부 개구를 제1 하부 개구(14) 및 제2 하부 개구(15)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하부 개구(15)에는 고정창(17)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구획부재(13)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1개인 경우, 하부 개구를 제1 하부 개구(14) 및 제2 하부 개구(15)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부구획부재(13)가 2개인 경우, 하부 개구를 제1 내지 제3 하부 개구(14, 15, 16)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부 개구(15)에는 고정창(17)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부 개구(16)에는 별도의 고정창이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별도의 창짝(20')이 하나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창짝(20)은 제1 하부 개구(14)를 개폐하게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창짝(20)은 제1 하부 개구(14)를 개방할 때, 실외 측을 향해 이동되고, 제1 하부 개구(14)를 폐쇄할 때, 실내 측을 향해 이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의 이동은 창짝(20) 전체가 전진 및 후진하는 이동뿐 아니라 일부의 이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창짝(20)이 회전 하는 경우, 외측 말단이 실외 측 또는 실내 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 또한 전술한 이동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하부 개구(14)에 개폐식 창짝(20)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창호의 하부 영역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하부 개구(14)에 개방이 불가능한 고정창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환기를 위한 영역이 넓어지므로 실내 환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힌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30)는 창짝(20)과 창틀(10)을 연결할 수 있다. 힌지(30)는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동은 창짝(20)을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인 기준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1 작동이 수행된 창짝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작동은 창짝(20)을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창짝(20)을 회전시켜 일단이 실외측을 향하게 회전시키거나 일단이 실내 측을 향하게 회전시키는 작동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제2 작동이 수행된 창짝이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작동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창짝(20)을 회전시키는 작동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작동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창짝(20)을 회전시키는 작동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에 적용될 수 있는 힌지(30)의 일 예시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힌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제1 작동이 완료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제2 작동이 완료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에 적용되는 힌지(30)는 제1 작동 및 제2 작동이 모두 가능한 힌지(30)이다. 다만 후술하는 힌지(30)만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에 적용될 수 있는 힌지(30)인 것은 아니고, X자 힌지, I자 힌지 등 다양한 형상의 힌지(30)를 적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 대상과 연장 방향을 정의한다. 결합 대상은 창틀(10), 상하구획부재(12) 및 하부구획부재(1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장 방향은 결합 대상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대상이 상하구획부재(12)인 경우, 연장 방향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결합 대상이 하부구획부재(13)인 경우 연장 방향은 상하 방향일 수 있다.
힌지(30)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짝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힌지(30)는 상하구획부재(12) 및 창틀(10) 중 상하구획부재(12) 및 상하구획부재(12)와 마주보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힌지(30)는 하부구획부재(13) 및 창틀(10) 중 하부구획부재(13) 및 하부구획부재(13)와 마주보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힌지(30)는 상하구획부재(12), 창틀(10) 중 상하구획부재(12) 및 상하구획부재(12)와 마주보는 부분, 하부구획부재(13) 및 창틀(10) 중 하부구획부재(13) 및 하부구획부재(13)와 마주보는 부분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힌지(30)가 상하구획부재 및 상하구획부재와 마주보는 부분 또는 하부구획부재 및 하부구획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개폐식 창짝(20)이 개폐될 때, 창짝이 상하 또는 좌우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 및 창짝이 실외를 향해 전진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힌지(30)가 상하구획부재(12) 및 상하구획부재(12)와 마주보는 부분, 하부구획부재(13) 및 하부구획부재(13)와 마주보는 부분에 두 쌍으로 모두 구비되는 경우, 창짝이 실외를 향해 전진하는 방식만 적용 가능하지만, 창짝이 실외를 향해 전진하는 경우 힌지(30)들이 개구부를 통한 낙하 방지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듯이, 힌지(30)는 제1 고정부(31), 제2 고정부(32), 제3 고정부(33) 및 연결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1)는 결합 대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1)는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1)는 제1 고정부재(31a), 제1-1 이동부재(31b) 및 제1-2 이동부재(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1a)는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1 이동부재(31b)는 제1 고정부재(31a)에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2 이동부재(31c)는 제1 고정부재(31a)에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1 이동부재(31b)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2)는 창짝(20)에 결합되고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2)는, 제2 고정부재(32a) 및 제2 이동부재(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32a)는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32a)는 제2 고정부재(32a)에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고정부(33)는 창짝(20)에 결합되고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고정부(33)는 제2 고정부(32)와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33)는 제3 고정부재(33a) 및 제3 이동부재(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33a)는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이동부재(33b)는 제3 고정부재(33a)에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4)는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4)는 제1 고정부(31)와 제3 고정부(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4)는, 제1 연결부재(34a), 제2 연결부재(34b) 및 제3 연결부재(3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4a)는 제1-1 이동부재(31b)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34a)는 제2 이동부재(32b)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4b)는 제1-2 이동부재(31c)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34b)는 제2 이동부재(32b)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연결부재(34b)는 제1 연결부재(34a)에 비해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제3 연결부재(34c)는 일단이 제1 연결부재(34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재(34c)는 타단이 제3 이동부재(3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힌지는 도 16과 같이 제1 작동이 가능하고, 도 17과 같이 제2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방충부(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방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방충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방충부(40)는 창짝(20)의 실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충부(40)는 제1 하부 개구(14)를 창짝(20)의 실내 측에서 선택적으로 커버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방충부(40)가 창짝(20)의 실내 측에 배치됨에 따라, 방충부(40)가 창짝(20)의 실외 측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며, 외부의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충부(40)는 바디부(41) 및 방충망(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41)는 상하구획부재(12) 중 제1 하부 개구(14)를 정의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방충망(42)은 바디부(41) 내부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방충망(42)은 권취 및 풀림이 가능할 수 있다. 방충망(42)은 권취될 때, 제1 하부 개구(14)를 창짝(20)의 실내 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충부(40)는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충부(40)는 모터부(43) 및 제어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43)는 방충망(42)을 권취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44)는 모터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43)의 작동을 제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44)는, 제1 하부 개구(14)가 개방된 후, 방충망(42)을 풀도록 모터부(4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44)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모터부(43)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다만 방충부(40)는 전동식이 아니라 도 20 및 21과 같이 수동으로 권취 또는 풀림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2와 같이 방충부(40)는 제1 하부 개구(14)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고 제1 하부 개구(14)의 실내 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창틀
11: 창틀 프레임
12: 상하구획부재
13: 하부구획부재
14: 제1 하부 개구
15: 제2 하부 개구
16: 제3 하부 개구
17: 고정창
20, 20': 창짝
30: 힌지
31: 제1 고정부
31a: 제1 고정부재
31b: 제1-1 이동부재
31c: 제1-2 이동부재
32: 제2 고정부
32a: 제2 고정부재
32b: 제2 이동부재
33: 제3 고정부
33a: 제3 고정부재
33b: 제3 이동부재
34: 연결부
34a: 제1 연결부재
34b: 제2 연결부재
34c: 제3 연결부재
40: 방충부
41: 바디부
42: 방충망
43: 모터부
44: 제어부
D: 연장 방향

Claims (9)

  1.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개구를 정의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를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로 구획하는 상하구획부재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개구를 제1 하부 개구 및 제2 하부 개구로 구획하는 하부구획부재를 갖는 창틀;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개폐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개방할 때, 실외 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폐쇄할 때, 실내 측을 향해 이동하게 마련되는 창짝; 및
    상기 제2 하부 개구를 커버하게 마련되는 고정창을 포함하는, 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짝과 상기 창틀을 연결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짝을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인 기준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제1 작동이라 하고, 상기 창짝을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일단이 실외측을 향하게 회전시키거나 일단이 실내 측을 향하게 회전시키는 작동을 제2 작동이라 할 때,
    상기 힌지는, 제1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되는, 창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틀, 상기 상하구획부재 및 상기 상하구획부재와 마주보는 부분 또는 상기 하부구획부재 및 상기 하부구획부재와 마주보는 부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힌지가 결합되는 대상을 결합 대상이라 하고,
    상기 결합 대상이 연장되는 방향을 연장 방향이라 할 때,
    상기 힌지는,
    상기 결합 대상에 결합되고,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창짝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창짝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창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1 이동부재와 이격되는 제1-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1 이동부재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부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2 이동부재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창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고정부재; 및
    상기 제3 고정부재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창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실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상기 창짝의 실내 측에서 선택적으로 커버하게 마련되는 방충부를 더 포함하는, 창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충부는,
    상기 상하구획부재 중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정의하는 부분에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권취 및 풀림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권취될 때, 상기 제1 하부 개구를 상기 창짝의 실내 측에서 커버하는 방충망을 더 포함하는, 창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충부는,
    상기 방충망을 권취하게 마련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부 개구가 개방된 후, 상기 방충망을 풀도록 상기 모터부를 작동시키는, 창호.
KR1020210140432A 2021-10-20 2021-10-20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KR10260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32A KR102602236B1 (ko) 2021-10-20 2021-10-20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32A KR102602236B1 (ko) 2021-10-20 2021-10-20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26A true KR20230056426A (ko) 2023-04-27
KR102602236B1 KR102602236B1 (ko) 2023-11-16

Family

ID=861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432A KR102602236B1 (ko) 2021-10-20 2021-10-20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2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651A (ko) 2008-08-13 2010-02-23 (주)엘지하우시스 입면 분할 시스템 창호
KR20140136655A (ko) * 2013-05-21 2014-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KR102111265B1 (ko) * 2019-11-14 2020-05-15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차단 방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651A (ko) 2008-08-13 2010-02-23 (주)엘지하우시스 입면 분할 시스템 창호
KR20140136655A (ko) * 2013-05-21 2014-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KR102111265B1 (ko) * 2019-11-14 2020-05-15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차단 방진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 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236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261A (ko) 차음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KR20230056426A (ko)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KR102000705B1 (ko) 상방으로 접히는 폴딩형 수평도어
JP6463148B2 (ja) ドアセット
WO2019130830A1 (ja) 建具
JP5355535B2 (ja) 建具および建具の施工方法
WO2020045170A1 (ja) 複層ガラス及びこれを備える建具
JP7126409B2 (ja) サッシ枠
JP2005256277A (ja) 空気流通窓を有する外壁構造
JP5941291B2 (ja) サッシ
JPS585016Y2 (ja) ニジユウマド
JP6677572B2 (ja) ブラインド装置及び建具
JP7386310B2 (ja) 建具
JP2021085291A (ja) 開閉体
JP2016186198A (ja) 網戸付きサッシ
JP5557979B2 (ja) ルーバー付き建物
JPH0355740Y2 (ko)
JP3947696B2 (ja) 開閉装置
EP3461965B1 (en) A roof window with a sash, a stationary frame and an intermediate frame
JP2013044147A (ja) 建物の通風設備
JPH0330547Y2 (ko)
JP2006241744A (ja) 建具
KR20050109209A (ko) 커튼월 방식의 발코니 전용창호
KR20240050170A (ko) 창호
JP2004293094A (ja) 開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