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467A -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467A
KR20230049467A KR1020210132678A KR20210132678A KR20230049467A KR 20230049467 A KR20230049467 A KR 20230049467A KR 1020210132678 A KR1020210132678 A KR 1020210132678A KR 20210132678 A KR20210132678 A KR 20210132678A KR 20230049467 A KR20230049467 A KR 20230049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dian gooseberry
composition
skin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연
김종래
임성빈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13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467A/ko
Priority to PCT/KR2022/014704 priority patent/WO2023058993A1/ko
Priority to CN202280067193.5A priority patent/CN118076243A/zh
Priority to TW111137217A priority patent/TW202327633A/zh
Publication of KR2023004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및 새싹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복합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 항노화를 위한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aging and skin improvement comprising a complex of Indian gooseberry extract and Barley sprout extract (IB complex)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며, 항산화 물질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에 적용할 경우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반면,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저가의 합성 항산화제는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피부는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신체를 보호하는 물리적 장벽으로써의 기능을 갖는 가장 첫 번째 기관이며, 다양한 환경적인 자극은 면역계의 활성화를 일으킨다.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 감소와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와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한 화학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외인성 노화로 구분할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 내에서 세포의 대사과정 중에 생성되는 reaction oxygen species(ROS) 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외인성 노화는 UV, 공해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광노화의 경우가 외인성 노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에 의한 피부변화와 관련되어 발견되는 공통적인 현상은 진피 내의 주 구성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 진피의 기질인 히알루론산의 감소에 의한 피부 탄력 감소이다. 진피는 섬유성분과 기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유성분으로서 콜라겐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주고,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엘라스틴은 진피층의 3~4% 정도를 차지하며 피부의 탄력에 영향을 준다. 특히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이 주름의 생성 및 피부의 탄력저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체 내의 콜라겐의 합성 및 분해 과정은 적절하게 조절되며,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내의 기질 단백질 분해 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의 활성이 증가하는데, 이는 피부의 콜라겐 함량 감소를 통한 탄력 감소와 주름 생성을 유발한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피부의 보습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성분이며, 주로 표피 각질형성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수분과 결합하여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렇듯 다양한 분야에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체에 독성이나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천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0-01380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피부 노화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및 새싹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L.)는 엠블리카 오피시날(Emblica officinalis Gaertn)또는 암라(Amla)라고도 하며, 야생에서 네팔을 비롯한 남부 아시아와 말레이시아 지역을 포함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및 중부 남부 등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여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다. 경작지로는 대만의 해발 1500m 이상의 산의 경사면 및 히말라야 산맥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인디안구스베리는 높이 3~8m의 낙엽교목으로 잎의 길이는 약 10mm, 폭은 약 2~3mm의 장방형이고, 레몬향이 나는 황록색의 작은 꽃이 4~5월에 핀다. 열매는 납작한 공모양으로 크기는 평균 18~25mm이며, 익으면 연노랑 빛을 띠고 반들거리며 여섯 조각 줄로 된 황녹색이다. 신선한 과일의 맛은 새콤달콤 떫으며 뒷맛은 달다. 열매는 건조하면 흑색이 되며 건조해도 영양 성분이 약해지지 않아 건조한 것이 유통되고 있다. 암라는 아말라키(amalaki) 라고도 불리는데, 아말라키는 네팔에서 성스러운 나무로 간주된다. 인디안구스베리(암라)에는 비타민 C, 미네랄, 아미노산, 타닌(tannins), 루틴(rutin)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디안구스베리의 비타민 C는 오렌지보다 20배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열에도 대단히 안정적이어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더라도 비타민이 거의 파괴되지 않는다. 비타민 C의 내열성은 함께 들어있는 타닌 성분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 성분들에 의해 항산화, 항종양, 항염증 활성 등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인디안구스베리에는 엘라그산(ellagic acid), 갈산(gallic acid), 퀘르세틴(quercetin)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새싹보리(Hordeum vulgare L.)는 보리의 어린 순으로 보리 종자를 파종하여 자란 어린 잎 상태를 말한다. 일 구현예에서 새싹보리는 파종 후 약 8~15일 후의 10~20 cm 가량의 어린잎일 수 있다. 보리는 약 10,000년 전 유라시아 대륙에서 처음으로 재배 된 곡물 중 하나로, 인류가 재배한 가장 오래된 작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새싹보리는 비타민 A, B 및 비타민 C를 포함한 각종 비타민과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등의 미네랄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식이섬유를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원으로 알려져 있어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일본 등에서는 어린 보리 잎을 동결 건조하여 가루로 만들어 건강식품으로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일반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써 분말, 환, 녹즙, 차, 화장품 등 다양하게 제품화하여 판매하고 있다. 약리활성의 측면에서 상기 새싹보리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배변활동 원활,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혈당수치 개선, 고지혈증 개선 및 비만 억제의 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생리활성 효과는 사포나린(saponarin), 루토나린(lutonarin) 등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이 우수한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어,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피부 노화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착즙한 것 또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원물을 착즙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건조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대비 새싹보리 추출물을 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복합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5의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5의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5의 MMP-1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및 새싹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원물을 착즙, 또는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원물을 착즙하거나, 물 또는 주정으로 추출되는 것이 유효 성분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알칼리 물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메탄올, n-부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 유기용매;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유기용매; 콩기름, 참기름 등의 식물성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시 사용되는 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n-부탄올 중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 및 이들의 용매에 물을 포함하여 혼합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서, 상기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임의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파괴가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추출물의 종류와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착즙, 중탕추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냉침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 횟수는 구체적으로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 물질에 추출 용매 투입 없이, 실온에서 압력을 가하여 착즙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 물질에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50 내지 100℃에서 0.5 내지 72시간 동안 중탕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 추출 물질 및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50 내지 100℃에서 4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 환류 냉각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 환류 냉각 추출 방법은 가열하면서 환류한 후, 냉각하여 추출하는 방법인데, 구체적으로 가열로 인해 기화현상이 발생하여 용매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과정을 함께 실시함으로써, 용매 손실을 최소화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 물질에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5 내지 37℃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냉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식물 복합물의 건조 고형물 기준으로 상기 추출 물질 중량의 10 내지 50배의 에탄올을 가하고, 20 내지 80℃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고, 필터여과 및 농축하여 농축물 상태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물질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해 추출된 추출 물질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추출된 추출 물질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수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종이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액을 농축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시킨 분말, 상기 추출액을 농축여과한 농축물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함수 알코올을 침출 용매로 포함하는 틴크, 농축물, 엑기스, 유동엑기스 등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한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은 1 내지 25 mg/g의 엘라그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분석 방법에 따라 산 가수분해 하는 조건에서 1 내지 5 mg/g의 엘라그산(Ellagic aci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산 가수분해 하지 않는 조건에서 5 내지 25 mg/g의 유리 엘라그산(Free ellagic aci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한 새싹보리추출물은 6 내지 11 mg/g의 사포나린(Saponarin)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을 1:1 내지 4:1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2:1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새싹보리 추출물)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피부 미용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피부 건강 개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음료첨가제, 발효유,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음료첨가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종 식품류, 발효유, 육류, 음료수, 초콜릿,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주류 및 그 밖의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및 새싹보리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 성분은 예컨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네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다당류(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사이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디안구스베리 및 새싹보리 이외에 펙틴,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 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인디언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품으로는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를 들어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요거트, 발효유,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 본 발명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디언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건강 상태 정도 등의 개인차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조성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water), 글리세린(glycerin),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스테아레이트(stearate),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라우릭애씨드(lauric acid),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lauramide DEA), 글리세릴스테아레이드(glyceryl stearate), 배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hydroxyethylene 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콜라겐(collagen),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시트르산(citrate), 아스코르빈산마그네슘(magnesium ascorbate) 및 향료(fragranc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일예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추출물,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또는 정제수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팩, 마스크 시트,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스프레이, 페이스트, 젤, 젤 연고, 패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크림,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분말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오일,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바디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기름, 식물성 기름,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트라칸트, 탈크 또는 산화아연, 산화 티타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바디젤인 경우에 전술한 유효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바디젤 제조 시에 사용되는 성분인,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멘톨, 에탄올, 글리세린, 디소디움이디티에이, 메틸파라벤, 향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보머, 트리에탈올아민은 점증제로 작용하고, 멘톨은 향 성분으로 작용하며, 에탄올은 청량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글리세린은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디소디움이디티에이는 금속성분 킬레이트로 기능하고, 메틸파라벤은 방부제로의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향은 멘톨향 이외에도 허브향 등과 같은 다양한 향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체적인 성분 이외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점증제, 청량감 부여, 향 성분, 보습제 등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물질들을 적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분무제)인 경우에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첨가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첨가되는데,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부가하여 지방 분해 촉진을 위한 바디젤,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에어졸 타입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경피 투여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피부 지방의 상태 정도 등의 개인차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조성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I. 시험물질 제조 및 지표성분 확인
<실시예 1 내지 7>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 제조
인디안구스베리의 열매를 세척하여 착즙한 후,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여과하여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새싹보리를 수확하여 착즙한 후, 셀룰로오스와 같은 불용성 섬유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한 다음, 건조하였다. 그 후, 건조된 분말을 균질화하여 새싹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분말 형태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을 아래 표 1과 같은 중량비로 배합하여 최종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인디안구스베리:새싹보리
복합비율
인디안구스베리추출물
(중량%)
새싹보리추출물
(중량%)
실시예 1 1:6 14.29 85.71
실시예 2 1:4 20 80
실시예 3 1:2 33.33 66.67
실시예 4 1:1 50 50
실시예 5 2:1 66.67 33.33
실시예 6 4:1 80 20
실시예 7 6:1 85.71 14.29
<비교예 1>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제조
인디안구스베리의 열매를 세척하여 착즙한 후,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여과하여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새싹보리 추출물 제조
새싹보리를 수확하여 착즙한 후, 셀룰로오스와 같은 불용성 섬유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한 다음, 건조하였다. 그 후, 건조된 분말을 균질화하여 새싹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지표성분 확인>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지표성분 함량 분석 및 원료 표준화를 위하여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및 새싹보리 추출물(비교예2-1, 비교예2-2, 비교예2-3) 각각의 원료에 대해 3가지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은 ‘엘라그산(Ellagic acid)'으로 설정하였으며, 새싹보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은 사포나린(Saponarin)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에 따라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에 대한 지표성분의 함량은 표 2와 표 3에 정리하였으며, 새싹보리 추출물에 대한 지표성분의 함량은 표 4에 정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추출물의 지표성분 함량 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의 엘라그산(Ellagic acid) 정량을 위해 사용한 분석법은 다음과 같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내 엘라그산의 함량은 산 가수분해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칼럼으로는 Capcellpak C18 UG120 (4.6 ㎜ X 50 ㎜, 5 ㎛)를 이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85% 인산 정제수 및 메탄올의 6 : 4 혼합액(A) 및 메탄올(B)을 이용하여 그레이디언트(gradient) 방법으로 분리하였으며, UV 검출기로 370 ㎚의 파장에서 엘라그산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내 엘라그산 함량은 1 ~ 5 mg/g 범위로 확인되었다.
구분 엘라그산의 함량(mg/g)
비교예 1-1 3.17
비교예 1-2 1.91
비교예 1-3 4.65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의 유리 엘라그산(Free ellagic acid) 정량을 위해 사용한 분석 방법에서 산 가수분해 하지 않는 조건의 분석법은 다음과 같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내 유리 엘라그산의 함량은 메탄올 초음파 추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칼럼으로는 Capcellpak C18 UG120 (4.6 ㎜ X 50 ㎜, 5 ㎛)를 이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85% 인산 정제수 및 메탄올의 6 : 4 혼합액(A) 및 메탄올(B)을 이용하여 그레이디언트(gradient) 방법으로 분리하였으며, UV 검출기로 370 ㎚의 파장에서 엘라그산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상기 비교예 1 따라 제조된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내 유리 엘라그산 함량은 5 ~ 25 mg/g 범위로 확인되었다.
구분 유리 엘라그산의 함량(mg/g)
비교예 1-1 11.73
비교예 1-2 5.36
비교예 1-3 24.15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의 사포나린 정량을 위해 사용한 분석법은 다음과 같다.
새싹보리 추출물 내 사포나린의 함량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칼럼으로는 Capcellpak C18 UG120 (4.6 ㎜ X 50 ㎜, 5 ㎛)를 이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1% 포름산(A) 및 메탄올(B)을 이용하여 그레이디언트(gradient) 방법으로 분리하였으며, UV 검출기로 340 ㎚의 파장에서 사포나린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상기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새싹보리 추출물 내 사포나린 함량은 6 ~ 11 mg/g 범위로 확인되었다.
구분 사포나린의 함량(mg/g)
비교예 2-1 6.56
비교예 2-2 7.38
비교예 2-3 10.54
II. 효능 평가
<실험예 1> 항산화 시험 : DPPH 소거 활성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2,2-diphenyl-1-picryl hydrezyl)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농도별로 55μM DPPH 용액 450㎕와 혼합시킨 후 30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각 sample을 96-well plate에 담아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넣지 않은 sample을 대조군으로 하여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능(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을 계산하였다.
이때, 라디칼을 소거하는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였고, 자유라디칼소거능이 50%일 때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의 농도는 1.63㎍/mL로 나타났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 소거율(%)=[(1 - 무처리군의 흡광도/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X 100]
시료(복합비) 처리농도 DPPH radical 소거율(%)
실시예 1(1:6) 5 ㎍/mL 15.85±2.18
실시예 2(1:4) 5 ㎍/mL 20.17±0.50
실시예 3(1:2) 5 ㎍/mL 31.99±1.50
실시예 4(1:1) 5 ㎍/mL 53.89±1.72
실시예 5(2:1) 5 ㎍/mL 57.48±1.80
실시예 6(4:1) 5 ㎍/mL 56.62±1.80
실시예 7(6:1) 5 ㎍/mL 57.35±1.96
비교예 1(1:0) 5 ㎍/mL 41.83±3.60
비교예 2(0:1) 5 ㎍/mL 4.08±2.26
Ascorbic acid (IC50) 1.63㎍/mL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자유라디컬 소거능이 50% 일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상기 표 5는 각 시료 5㎍/mL에서의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정리하여 나타냈다.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7의 5㎍/mL 처리 농도에서 53.89% 내지 57.48%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비교예 1 내지 2의 5㎍/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나는 4.08% 내지 41.83%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가 관찰되어, 항산화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주름 및 탄력 개선 효능 시험 : Elastase 저해 활성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이용하여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엘라스테이즈(Elast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최종농도가 100㎍/mL이 되도록 하여 10mM Tris-HCL buffer(pH 8.0)에 녹인 N-succinyl-(Ala)3-p-nitroanilide 1.6mM 농도의 기질과 Elastase from procine pancreas Type IV 0.4U/mL를 혼합하여 25℃에서 5분 동안 반응한 후 96-well plate에 담아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넣지 않은 sample을 대조군으로 하여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시료의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Elastase inhibition activity, %)을 계산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을 사용하여 진행하였고,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이 50%일 때 올레아놀릭산의 농도는 19.63㎍/mL로 나타났다.
[수학식 2]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1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무처리군의 흡광도) X 100]
시료(복합비) 처리농도 Elastase 저해 활성(%)
실시예 1(1:6) 100 ㎍/mL 75.28±3.52
실시예 2(1:4) 100 ㎍/mL 73.63±2.14
실시예 3(1:2) 100 ㎍/mL 71.76±0.22
실시예 4(1:1) 100 ㎍/mL 72.45±1.14
실시예 5(2:1) 100 ㎍/mL 70.89±1.46
실시예 6(4:1) 100 ㎍/mL 49.26±0.87
실시예 7(6:1) 100 ㎍/mL 39.78±1.17
비교예 1(1:0) 100 ㎍/mL 28.53±0.50
비교예 2(0:1) 100 ㎍/mL 45.52±0.87
Oleanolic acid (IC50) 19.63㎍/mL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2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난 28.53% 내지 45.52%의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결과 대비 실시예 1 내지 5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나는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과가 70.89% 내지 75.28%로써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가 관찰되어, 주름 개선 및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세포독성 시험 : WST(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이용하여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에 독성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농도로 세포를 분주한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cell에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최종농도가 100㎍/mL이 되도록 배지와 혼합하여 각 well에 처리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에 WST-1 assay solution을 처리하여 배양기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3]
세포 생존율(%)=[(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무처리군의 흡광도) X 100]
시료(복합비) 처리농도 세포 생존율(%)
실시예 1(1:6) 100 ㎍/mL 96.11±2.56
실시예 2(1:4) 100 ㎍/mL 96.39±1.54
실시예 3(1:2) 100 ㎍/mL 97.04±1.01
실시예 4(1:1) 100 ㎍/mL 97.19±0.70
실시예 5(2:1) 100 ㎍/mL 99.94±1.83
실시예 6(4:1) 100 ㎍/mL 96.16±0.76
실시예 7(6:1) 100 ㎍/mL 95.86±0.66
비교예 1(1:0) 100 ㎍/mL 95.53±0.77
비교예 2(0:1) 100 ㎍/mL 95.58±1.06
그 결과,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식품 및 화장품에 안전한 소재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5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 2:1 복합비율에서 세포 생존율이 99.94%로써 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주름 및 탄력 개선 시험 :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저해 활성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이용하여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세포 수준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MMP-1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 생성을 유발하는 MMP-1의 저해 활성 확인하기 위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농도로 세포를 분주한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cell에 UV-B를 처리하여 MMP-1의 생성을 촉진시킨 후,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최종농도가 100㎍/mL이 되도록 배지와 혼합하여 각 well에 처리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MMP-1 ELISA kit(RAB0361)를 사용하여, kit 내 manual에 따라 MMP-1 생성량을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MMP-1 저해 활성을 계산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UV-B 처리는 하였으나 시료 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군을 의미한다.
[수학식 4]
MMP-1 저해 활성(%)=[1-(UV-B 처리 및 시료 처리군의 MMP-1 함량/UV-B 처리 및 시료 무처리군의 MMP-1 함량) X 100]
시료(복합비) 처리농도 MMP-1 저해 활성(%)
대조군 0 ㎍/mL 0±2.44
실시예 1(1:6) 100 ㎍/mL 7.41±0.69
실시예 2(1:4) 100 ㎍/mL 9.79±1.31
실시예 3(1:2) 100 ㎍/mL 14.41±0.16
실시예 4(1:1) 100 ㎍/mL 23.33±0.16
실시예 5(2:1) 100 ㎍/mL 26.78±0.06
실시예 6(4:1) 100 ㎍/mL 17.92±1.25
실시예 7(6:1) 100 ㎍/mL 18.81±2.12
비교예 1(1:0) 100 ㎍/mL 13.55±0.62
비교예 2(0:1) 100 ㎍/mL 6.53±0.16
그 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2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난 13.55% 내지 6.53%의 MMP-1 저해 활성 결과 대비 실시예 4 내지 5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나는 23.33% 내지 26.78%의 MMP-1 저해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5의 MMP-1 저해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MMP-1 저해 효과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가 관찰되어, 주름 개선 및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피부 보습 시험 :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함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세포 수준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농도로 세포를 분주한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cell에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최종농도가 100㎍/mL이 되도록 배지와 혼합하여 각 well에 처리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Hyaluronan ELISA kit(DHYAL0)를 사용하여, kit 내 manual에 따라 히알루론산 함량을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히알루론산 함량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5]
히알루론산 함량(%)=(시료 처리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시료 무처리군의 히알루론산 함량) X 100]
시료(복합비) 처리농도 히알루론산 함량(%)
실시예 1(1:6) 100 ㎍/mL 89.94±0.88
실시예 2(1:4) 100 ㎍/mL 104.52±0.53
실시예 3(1:2) 100 ㎍/mL 106.07±2.67
실시예 4(1:1) 100 ㎍/mL 113.03±1.26
실시예 5(2:1) 100 ㎍/mL 119.11±0.88
실시예 6(4:1) 100 ㎍/mL 107.28±1.85
실시예 7(6:1) 100 ㎍/mL 94.44±0.53
비교예 1(1:0) 100 ㎍/mL 103.94±2.89
비교예 2(0:1) 100 ㎍/mL 105.03±1.26
그 결과,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2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난 103.94% 내지 105.03%의 히알루론산 함량 결과 대비 실시예 4 내지 5의 100㎍/mL 처리 농도에서 나타나는 113.03% 내지 119.11%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5의 히알루론산 함량 증가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및 새싹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새싹보리 추출물은 착즙한 것 또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원물을 착즙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새싹보리 추출물은 건조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대비 새싹보리 추출물을 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9.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추출물 및 새싹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새싹보리 추출물은 착즙한 것 또는 물, 탄소수가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원물을 착즙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새싹보리 추출물은 건조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대비 새싹보리 추출물을 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은 DPPH 소거 활성,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 MMP-1 저해 활성 및 히알루론산 증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210132678A 2021-10-06 2021-10-06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9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78A KR20230049467A (ko) 2021-10-06 2021-10-06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CT/KR2022/014704 WO2023058993A1 (ko) 2021-10-06 2022-09-29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202280067193.5A CN118076243A (zh) 2021-10-06 2022-09-29 包含印度醋栗提取物和大麦芽提取物的复合物(ib复合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抗老化和皮肤改善的组合物
TW111137217A TW202327633A (zh) 2021-10-06 2022-09-30 用於預防抗老化及改善肌膚之包含印度醋栗萃取物及大麥芽萃取作為活性成分之複合物(ib複合物)之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78A KR20230049467A (ko) 2021-10-06 2021-10-06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467A true KR20230049467A (ko) 2023-04-13

Family

ID=8580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678A KR20230049467A (ko) 2021-10-06 2021-10-06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49467A (ko)
CN (1) CN118076243A (ko)
TW (1) TW202327633A (ko)
WO (1) WO20230589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003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824A (ja) * 2002-04-09 2003-10-21 Inabata Koryo Kk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1174497B1 (ko) * 2010-01-21 2012-08-22 대한민국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672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749965B1 (ko) * 2015-03-30 2017-06-23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003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76243A (zh) 2024-05-24
WO2023058993A1 (ko) 2023-04-13
TW202327633A (zh) 202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EP3854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KR20090083083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68679A (ko) 피부 주름 생성 억제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백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28168B1 (ko) 표고버섯 추출물 및 고로쇠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761142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66051B1 (ko) 오르쏘시폰 아리스타투스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651353B1 (ko)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13125B1 (ko) 개벚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79953B1 (ko) 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20144652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