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091A -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091A
KR20230047091A KR1020237003223A KR20237003223A KR20230047091A KR 20230047091 A KR20230047091 A KR 20230047091A KR 1020237003223 A KR1020237003223 A KR 1020237003223A KR 20237003223 A KR20237003223 A KR 20237003223A KR 20230047091 A KR20230047091 A KR 2023004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er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가나야
요시오 우라베
도모후미 다카타
다이치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3004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협조하는 무선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제1 무선통신 장치는,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제어부와,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
본 개시는,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의 규격인 802.11ax (이하, 「11ax」라고 부름)의 후계 규격으로서 802.11be (이하, 「11be」라고 부름)의 기술 사양 책정이 진행되고 있다.
11be에서는, 데이터 송신측의 복수의 무선통신 장치가 협조(協調)하여, 수신측의 무선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협조통신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IEEE 802.11-19/0103 r1, AP Coordination in EHT [비특허 문헌 2] IEEE 802.11-19/1102 r0, A unified transmission procedure for multi-AP coordination [비특허 문헌 3] IEEE 802.11-20/1040 r0, Coordinated Spatial Reuse: Extension to Uplink [비특허 문헌 4] IEEE P802.11ax/D6.0, November 2019 [비특허 문헌 5] IEEE Std 802.11-2016, December 2016
그렇지만, 협조통신에 있어서, 협조하는 무선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정보량에 대해서 충분히 검토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협조하는 무선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상은,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좋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적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협조하는 무선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더한층의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진다. 그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가지 실시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각각 제공되지만, 1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해 반드시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1a는 AP(Access Point) 및 STA(Station)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b는 2가지 협조방식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DL-DL통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UL-UL통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UL-DL통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Common info field의 포맷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User info field의 포맷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AID12의 값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8은 비콘(Beacon)의 정보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어소시에이션 요구의 정보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어소시에이션 응답의 정보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Capability Information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RTS/CTS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RTS/CTS를 포함한 컨트롤 프레임의 프레임 컨트롤 필드의 포맷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RTS/CTS를 포함한 MAC 프레임의 종별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11ax에 있어서의 MU-PPDU의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6a는 무선통신 장치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16b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7은 C-SR방식으로 협조하는 UL-DL통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도17에 나타낸 협조세트에 있어서의 UL-DL통신 시퀀스 (sequence)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도18에 나타낸 시퀀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0은 AID1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1은 도20에 기초한, User Info field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2는 신규 AP용 User Info field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3은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의 정보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4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의 정보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5는 예3에 있어서의 UL-DL통신을 행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6은 UL-DL통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7은 협조방식 C-OFDMA로 UL-DL통신을 행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
[협조방식]
11be에서는, 예를 들면, 신호의 송신측의 복수의 무선통신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기지국」이라고도 불림, 이하 「AP(Access Point)」라고 부름)가, 수신측의 무선통신 장치인 단말(이하 「STA(Station)」이라고 부름)과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Multi-AP coordination(이하 「협조통신」이라고 부름)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협조하는 방식에는, 복수의 AP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해 신호를 송신하는 Coordinat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하 C-OFDMA라고 부름), 및, 복수의 AP가, 서로 동일 주파수대역을 이용해 신호를 송신하는 Coordinated spatial reuse (이하 C-SR라고 함)를 들 수 있다(비특허 문헌 1).
도1a, 도1b를 이용해, C-OFDMA와 C-SR의 2가지 협조를 설명한다. 도1a는, AP 및 STA의 배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b는, 2개 협조방식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b에 나타내는 것처럼, AP1로부터 STA1로의 하향 링크(이하, DL)의 데이터 통신과, AP2로부터 STA4로의 DL의 데이터 통신은, 동일한 리소스 유니트(resource unit)(이하, RU) 1을 사용해, 협조방식 C-SR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AP1로부터 STA2로의 DL의 데이터 통신에서는 RU2가 사용되고, AP2로부터 STA3으로의 DL의 데이터 통신에서는 RU3이 사용되는 협조통신은, 협조방식 C-OFDMA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통신 형태에는, AP로부터 STA로의 통신(이하, 「DL통신」이라고 함)과, STA로부터 AP로의 통신(이하, 「UL통신」이라고 함)이 있다. 협조통신의 형태에는, 예를 들면, 2개의 AP가 협조하여 함께 DL통신을 행하는 형태(이하, 「DL-DL통신」이라고 함)와, 2개의 AP가 협조하여 함께 UL통신을 행하는 형태(이하, 「UL-UL통신」이라고 함)와, 2개의 AP가 협조하여 UL통신과 DL통신을 행하는 형태(이하, 「UL-DL통신」이라고 함)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2 참조).
도2는, DL-DL통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나타내는 것처럼, master AP인 AP1은, slave AP인 AP2 및 AP3에, 트리거 프레임(Slave TF)을 송신한다. 그리고, AP1과, AP2와, AP3이 협조하여, AP1과, AP2와, AP3은, 각각, 하향 링크 데이터인 Data 1과, Data 2와, Data 3을 송신한다.
도3은, UL-UL통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나타내는 것처럼, master AP인 AP1은, 도2와 마찬가지로, 트리거 프레임(Slave TF)을 송신한다. 그리고, AP1, AP2, 및, AP3은, 각각, 트리거 프레임(Basic TF)을 송신한다. 그리고, AP1과, AP2와, AP3이 협조하여, 각각, AP1과, AP2와, AP3은, 상향 링크 데이터인 Data 1과, Data 2와, Data 3을 수신한다.
도4는, UL-DL통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는, 예시적으로, C-SR을 적용한 동작예가 표시된다(비특허 문헌 3 참조).
도4에는, AP1, AP2, STA1-1, STA1-2, STA2-1, 및, STA2-2의 동작이 표시된다. 또한, STA1-1 및 STA1-2는, AP1의 basic service set(BSS)의 구성요소이고, STA2-1및 STA2-2는, AP2의 BSS의 구성요소이다.
도4의 「Preparation Phase」에서는, 각 장치의 capability를 나타내는 정보, 각 장치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을 나타내는 정보, measurement report 정보가 집약된다.
도4의 「Announcement Phase」에서는, AP1이, C-SR-A를 송신한다.
그리고, 도4의 「Transmission Phase」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4에서는, STA1-1과 STA1-2와 AP2가 협조한다. 그리고, STA1-1과 STA1-2가 AP1에 대해서 UL송신을 행하고, AP2가, STA2-2에 대해서 DL송신을 행한다.
상술한 예와 같이, 각 협조통신의 형태에서는, 송신 제어정보 및 송신 타이밍을 통지하는 프레임(트리거)이 송수신된다. 예를 들면, 도2, 도3에 나타낸, Slave TF와, Basic TF와, 도4에 나타낸 C-SR-A는, 트리거 프레임이다.
11ax에 있어서의 UL통신의 트리거(이하 UL trigger frame이라고 함)는, 트리거 대상이 되는 STA앞으로의 공통된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하 Common info field라고 함)와, 개별 STA앞으로의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하 User info field라고 함)로 구성된다.
도5는, Common info field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나타내는 포맷은,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4의 Figure 9-64b에 표시되는 포맷과 동일하다. 도5에는, Common info field 포맷에 포함되는 복수의 subfield가 표시된다.
도6은, User info field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에 나타내는 포맷은, 비특허 문헌 4의 Figure 9-64d에 표시되는 포맷과 동일하다. 도6에는, User info field 포맷에 포함되는 복수의 subfield가 표시된다.
도6의 「AID12」라고 표시되는 서브필드(이하, 간단히 AID12라고 기재함)에 포함되는 값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AID12의 값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테이블은,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4의 Table 9-31g와 동일하다.
AID(association Identifier) 12는, STA의 식별자(STA을 개별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번호)를 포함한다. 도7의 예에 있어서, STA에 할당할 수 있는 식별자의 범위는, 1~2007이다.
도8은, 비콘의 정보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에 나타내는 정보요소는,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5의 Table 9-27로부터 발췌한 것이다.
도9는, 어소시에이션 요구의 정보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에 나타내는 정보요소는,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5의 Table 9-29로부터 발췌한 것이다.
도10은, 어소시에이션 응답의 정보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에 나타내는 정보요소는,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5의 Table 9-30으로부터 발췌한 것이다.
도8의 비콘, 도9의 어소시에이션 요구, 및, 도10의 어소시에이션 응답에는, 각각, Capability Information이라는 정보요소가 포함된다.
도11은, Capability Information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에 나타내는 포맷은,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5의 Figure 9-68과 동일하다.
STA의 식별자에 지정할 수 있는 AID, 및, AID12의 범위는, 도7에 나타내는 것처럼, 1~2007이다. multi-BSSID가 서포트된 경우, 2n~2007로 제한된다. 또한, n=log2K이고, K는, BSSID의 최대 가능수(maximum possible number of BSSIDs)이다(비특허 문헌 5: 9.4.2.6절 참조).
또한, BSS(Basic Service Set)는, 어떤AP와 복수의 STA으로 구성되는 기본 서비스 세트이다. BSS내에서 STA이 AP와 접속하는 동작을 어소시에이트(associate) 라고 부른다.
근방의 AP를 구별하기 위해 BSS color(6bit의 값)이 이용된다. (비특허 문헌 4:26.17.3절 참조)
도12는,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에는, 비특허 문헌 5의 Figuer10-7과 동일한 동작예가 표시된다. RTS를 수신하고, 그리고 또, 수신처로 지정된 STA는, CTS를 송신한다. 또한, 복수의 수신처를 지정할 때는 RTS 대신에 MU-RTS를 이용한다.
도13은, RTS/CTS를 포함하는 컨트롤 프레임의 프레임 컨트롤 필드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RTS/CTS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의 종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에는, 11ax에서 변경된 값의 변경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도14에 나타내는 내용은, 비특허 문헌 4의 Table9-1에 표시되는 내용이다.
도15는, 11ax에 있어서의 MU-PPDU의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에는, 비특허 문헌 4에 표시되는 포맷이 표시된다.
도15에 있어서, 송신처는, User field내의 STA ID로 지시된다. STA ID에는,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낸 AID12가 이용된다.
무선통신 장치(예를 들면, AP)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프레임에 있어서, 무선통신 장치(예를 들면, AP 또는 STA)의 식별자를 지정함으로써, 상호(相互)의 정보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BSS의 구성요소인 STA이, AP에 어소시에이트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1) STA은, 비콘을 수신하는 것으로써, AP를 검출한다. (2) STA은, AP에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송신한다. (3) AP는,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수신하고, STA에 어소시에이션 응답을 송신한다. 예를 들면, AP1의 BSS를 BSS_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 AP1과 어소시에이트한 STA은, BSS_1의 구성요소이고, AP1과 어소시에이트하지 않는 STA은, BSS_1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어소시에이트한 STA의 식별자에는, 어소시에이션 응답에 포함되는 AID(도10의 Order3의 정보요소), 또는, AID12(도7 참조, AID를 1~2007에 할당)가 이용된다. 한편, 예를 들면, AP1의 BSS_1의 구성요소가 아닌 STA, 즉 AP1에 어소시에이트되지 않은 STA의 식별자에는, MAC 어드레스(48bit)가 이용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BSS_1의 구성요소가 아닌 AP(예를 들면, AP2)의 식별자에, MAC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어떤AP가, 해당 AP의 BSS의 구성요소가 아닌 무선통신 장치를 지시할 경우, 식별자의 사이즈가 커져 버려,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그래서,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어떤AP가, 해당 AP의 BSS의 구성요소가 아닌 무선통신 장치(예를 들면, STA 및 AP를 포함)를 적은 정보량으로 지시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AP의 BSS의 구성요소가 아닌 STA(AP를 포함)의 지시에 필요한 정보량을 줄임으로써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통신 시스템은, 적어도2개의 송신원(送信元) AP와 1개의 STA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무선통신 장치」는, AP에 대응한다.
도16a는, 무선통신 장치(1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6a에 나타내는 무선통신 제어장치(10)는, 제어부(11)와, 송신부(12)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무선통신 장치(10)가 속한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한다. 송신부(12)는, 식별자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 일례로서 적어도2개의 AP가 협조하여 복수의 STA에 UL-DL통신을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16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6b에 나타내는 무선통신 장치(100)는, 예를 들면, AP 및 STA에 대응한다. 무선통신 장치(100)는, 송신 패킷 생성부(101)와, 무선 송수신부(102)와, 수신 패킷 복호부(103)와, 제어 신호 생성부(104)를 가진다.
송신 패킷 생성부(101)는, 상위 레이어의 처리부로부터 송신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제어 정보)로부터 송신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패킷을 무선 송수신부(102)에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2)는, 송신 패킷을 무선 송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경유하여, 무선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수신부(102)는, 무선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수신 신호를 수신 패킷으로 변환하고, 수신 패킷을 수신 패킷 복호부(103)에 출력한다.
수신 패킷 복호부(103)는, 수신 패킷을 복호하고, 수신 데이터를 도면표시하지 않은 상위 레이어의 처리부에 출력한다. 또는, 수신 패킷 복호부(103)는, 수신 패킷을 복호하고, 제어 정보를 제어 신호 생성부(104)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104)는, 송신 데이터, 수신 패킷 복호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정보, 및, 내부 상태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를 송신 패킷 생성부(101)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 생성부(104)는, 트리거, 어소시에이션,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 1>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비특허 문헌 3에 기초한, UL-DL통신에서의 협조의 예를 설명한다. 도17은, C-SR방식으로 협조하는 UL-DL통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에는, AP1과, AP2와, STA1과, STA2를 포함하는 세트(협조세트라고 부름)가 표시된다. STA1은, AP1의 커버 에리어내(內)에 존재하며, AP1과 어소시에이트하고 있다. STA2는, AP2의 커버 에리어내에 존재하며, AP2와 어소시에이트하고 있다. 도17에 있어서, STA1로부터 AP1로의 UL통신과 AP2로부터 STA2로의 DL통신이, C-SR방식으로 협조된다.
AP1은, 협조세트내에 배치되어, 협조세트를 제어하는 AP(이하, Master AP라고 함)이다. AP2는, 협조세트내에 배치되어, Master AP에 의해서 제어되는 AP(이하 Slave AP라고 함)이다. 또, AP1은, AP2로부터의 간섭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존재한다.
STA1은, AP1의 커버 에리어내에 존재하며, AP1과 어소시에이트할 수 있다. STA2는, AP2의 커버 에리어내에 존재하며, AP2와 어소시에이트할 수 있다. 또, STA2는, STA1로부터의 간섭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존재한다.
협조세트의 초기설정에 있어서, AP1은, AP2에 할당한 식별자와 AP1의 식별자를 AP2에 통지한다. 이하에서는, AP의 식별자는, AP_ID로 기재된다. AP_ID의 최대값는, 협조세트내에 설치되는 AP의 최대 수(최대 AP수)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AP_ID는, 수bit(예를 들면 4 bit)로 표시되는 값이다.
또한, AP2 이외의 Slave AP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AP1은, AP2 이외의 AP의 AP_ID를 AP2에 통지해도 좋다. 또, AP1로부터 AP2로의 통지는, AP1과 AP2 사이의 백홀(backhaul)을 이용해도 좋고, 기타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초기설정에 있어서, AP1이 AP_ID를 통지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초기설정 후에, AP1이 AP_ID를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초기설정 후에, Slave AP(예를 들면, AP3)가 추가로 배치될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AP1이 AP_ID를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 협조세트내에서, AP1이, AP3의 AP_ID를 AP2에 통지해도 좋고, AP1이, AP2의 AP_ID를 AP3에 통지해도 좋다.
협조세트의 초기설정, 및, STA1이 AP1과 어소시에이트하고, STA2가 AP2와 어소시에이트한 후, 협조세트에 있어서, UL-DL통신이 실행된다.
도18은, 도17에 나타낸 협조세트에 있어서의 UL-DL통신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에 있어서, C-SR-A(C-SR Announcement)는, AP1로부터 STA1에 송신되는 「Trigger」와, AP1로부터 AP2에 송신되는 「Announcement」를 통합한 패킷이다. 「Trigger」는, STA1로부터 AP1로의 UL통신개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Announcement」는, AP2로부터 STA2로의 DL통신개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Trigger」에는, 예를 들면, 도5 및 도6에 나타낸 UL trigger frame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Trigger」의 트리거 송신처의 식별자는, STA1을 나타내는 AID12이어도 좋다.
「Announcement」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에는, AP2를 송신처(트리거 송신처)로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AP2를 지정하는 정보에는, AP_ID가 이용되어도 좋다.
「Trigger」를 수신한 STA1은, AP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UL통신을 행하고, 「Announcement」를 수신한 AP2는, STA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DL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Announcement」에 포함되는 트리거 송신처의 지정에 AP_ID를 이용함으로써, AP 지정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의 양(예를 들면, bit수)을 삭감할 수 있어,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AP_ID를 이용하는 경우, bit수가, 48bit에서 4bit로 삭감할 수 있다.
<보충>
또한, 상기에서는, AP_ID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AP_ID 대신에, 다른 식별자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AP1이, AP1의 BSS 구성요소가 아닌 STA(및/또는 AP)의 식별자에, Short ID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AP1은, AP1의 BSS의 구성요소가 아닌 STA도 트리거 송신처로 지정할 수 있다.
또, Short ID의 대상이, 협조세트내의 STA 및/또는 AP로 한정되어도 좋고, 협조하는 STA 및/또는 AP로 한정되어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협조방식 C-SR에 있어서의 트리거의 송신처 지정에 AP_ID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협조방식 C-SR 이외의 협조방식에 있어서, AP_ID 및/또는 Short ID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는, 트리거의 송신처 지정 이외에 AP_ID 및/또는 Short ID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Master AP(AP1)가, C-SR-A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Slave AP(AP2)가 C-SR-A를 송신해도 좋다. 또, 협조세트의 제어가, Master AP의 다른 장치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이 경우, AP1과 AP2를 포함하는 협조세트 내의 각각의 AP가, Slave AP이어도 좋다.
또, Short ID 또는 AP_ID가, AID 및/또는 AID12에 포함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AP1이, 도7에 나타낸 AID 및/또는 AID12를 이용하여, AP1의 BSS의 구성요소가 아닌 STA(AP를 포함함)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Short ID 또는 AP_ID가, AID 및/또는 AID12의 1~m에 할당되어도 좋고, 2n~2n+m에 할당되어도 좋다. 여기서, m은, Short ID 또는 AID의 최대값이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AID12의 미사용 영역(예를 들면 2008~2044 및 2047~4094(도7 참조))의 일부가, Short ID 또는 AP_ID에 할당되어도 좋다. 또는, Short ID 또는 AP_ID의 값을 다른 AID12의 값에 대응시켜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_ID의 값으로서 0~n이 Slave AP에 할당되는 경우, 그 Slave AP에 대해서 AID12의 값 2008~2008+n을 할당해도 좋다.
또, Master AP가, 협조세트내의 STA(Slave AP를 포함함)를 일원적(一元的)으로 취급하여, AID 및/또는 AID12를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면, 종래 AP에 어소시에이트된 비(非)AP STA(non-AP STA)에 할당하는 값인 1~2007 중 일부를 Slave AP에 부여하고, 그러한 값은 비(非)AP STA에 부여하지 않는다. 1~2007중 미리 정해진 범위(예를 들면 2000~2006 등)를 Slave AP용의 값으로서 확보하고, 그러한 값은 비(非)AP STA에 할당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AID 및/또는 AID12에 포함시키는 AP의 지정에는, BSS color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AID12의 미사용 영역인 「2008~2044」 및 「2047~2094」중, 일부 영역이, BSS color에 할당되어도 좋다. 또는, AID12로 할당을 끝낸 「2045」 및 「2046」을 「2073」 및 「2074」로 변경하고, 「2008」~「2072」의 영역이 BSS color에 할당되어도 좋다.
또, AP_ID를 AID12에 포함시킨 경우, UL-DL통신 개시를 지시하는 트리거가 변경되어도 좋다. 도19는, 도18에 나타낸 시퀀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에서는, 도18의 C-SR-A가, UL trigger frame으로 대체되어 있다.
예를 들면, UL trigger frame이, UL-DL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트리거로 사용되어, DL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Announcement가 사용되지 않아도 좋다(송신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UL trigger frame에 DL통신 지정용의 User Info field가 추가되어, 추가된 User Info field의 AID12로 DL통신의 송신원이 되는 AP가 지정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DL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Announcement가 불필요하게 되어,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또, UL-DL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트리거가, UL trigger frame으로 변경된 경우, AP를 지정하기 위한 User Info field의 일부 용도가 변경되어도 좋다.
도20은, AID1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은, 도20에 기초하는, User Info field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20에 나타내는 것처럼, AID12의 미사용 영역의 하나(예를 들면, 「2008」)를 AP지정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AID12가 AP지정(예를 들면 「2008」)일 경우, 도21에 나타내는 User Info field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21에 나타낸 User Info field는, 도6에 나타낸 User Info field의 특정 영역의 용도를, AP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AP_ID)를 설정하는 용도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용도를 변경하는 특정 영역은, 「UL FEC Coding Type」, 「UL HE-MCS」, 및, 「UL DCM」필드의 합계 6bit의 영역이어도 좋고, 이들의 일부 영역이어도 좋고, 이들 이외의 영역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AP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는, AP_ID 대신에 BSS color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UL trigger frame 대신에 AP 지정을 추가한 트리거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5의 Common info field에, AP의 수를 추가한 포맷이 규정되어도 좋다. 그리고, 신규 AP용 User Info field에 의해 AP를 지시해도 좋다. 도22는, 신규 AP용 User Info field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22에서는, AP의 지시가, AP_ID에 의해 행해지는 예를 나타내지만, AP의 지시에는, AP_ID 대신에, BSS color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Common info field에 AP의 수를 추가하는 대신에, AP용 User Info field에 후속하는 User Info field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가해도 좋다.
또, 「Trigger」와 「Announcement」가, OFDMA 또는 MU-MIMO 등의 다중 방법, 또는, A-MPDU를 이용해 통합되어도 좋다. 또는, 「Trigger」와 「Announcement」가, 개별 PPDU 또는 패킷이어도 좋다. 「Announcement」로 통지하는 정보에 포함되는 AP_ID 대신에, AP_ID를 포함하는 AID, 또는, AID12, 또는, BSS color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Trigger」와 「Announcement」가 OFDMA 또는 MU-MIMO로 통합되어, MU-PPDU로 송신되는 경우, 「Trigger」를 포함한 리소스를 지시하는 User field내의 STA ID(도15 참조)를 「0」(도7에서 나타낸 어소시에이션된 STA을 나타내는 번호) 등의 특정한 값으로 하고, 「Announcement」를 포함한 리소스를 지시하는 User field내의 STA ID를 「2045」(도7에서 나타낸 어소시에이션되어 있지 않은 STA(AP를 포함함)을 나타내는 번호) 등의 다른 특정한 값으로 해도 좋다. 「Trigger」를 포함한 리소스란, 예를 들면, 주파수 축상의 리소스(리소스 유니트로 호칭되어도 좋음), 또는, MU-MIMO의 공간적 리소스의 적어도 한쪽이어도 좋다.
또, AID12의 미사용 영역의 하나(예를 들면, 「2047」)가, AP 또는 협조세트 내의 AP를 지시하는 번호로 규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MU-PPDU에서 Announcement의 송신처를 지시하는 STA ID를 「2047」로 함으로써, 주변의 어소시에이션되어 있지 않은 STA의 수신 동작을 회피할 수 있어, STA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AID12의 미사용 영역의 하나(예를 들면, 「2048」)가, AP_ID미할당 또는 협조세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AP를 지시하는 번호로 규정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AP_ID미할당 또는 협조세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AP에 대한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또, AP2의 송신 전력은, 트리거(예를 들면, 도5 및 도6에서 나타낸 UL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AP TX Power」, 「UL Target RSSI」로부터 산출되어도 좋다. 이 경우, 「UL Target RSSI」는, AP2로부터 AP1로의 간섭이 허용값 이하로 되는 값이 지정되어도 좋다.
또, AP2의 송신에서는, AP1에 널(Null)을 향한 빔포밍이 행해져도 좋다.
<예 2>
상술한 예1에서는, Master AP가 AP_ID를 지정하는 동작예를 나타냈다. 이하, 예2에서는, 자율적으로 협조세트를 구축하여, AP_ID를 지정하는 동작예를 나타낸다.
협조통신에 대응하는 AP(이하, 「설치AP」라고 함)는, 비콘 또는 프로브 응답에 포함시키는 협조통신의 대응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플래그(이하, 「AP_ID flag」라고 함)를 유효하게 한다. 또한, AP_ID flag는,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낸 Capability Information의 Reserve(예를 들면 B6)를 이용해도 좋다.
신규로 설치하는 AP(이하, 「추가AP」라고 함)는, 기동시 또는 기동한 후에, 설치AP로부터 비콘 또는 프로브 응답을 수신하고, 그리고 또 AP_ID flag가 유효한 경우,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설치AP에 송신한다. 도23은,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의 정보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수신한 설치AP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을 추가AP에 송신한다. 도24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의 정보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설치AP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에서 지정된 설치AP를 지시하는 AP_ID가, 다른 AP에 이미 할당된 경우(할당필), 추가AP에게 재할당 요구를 행해도 좋다.
또는, 설치AP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에서 지정된 설치AP를 지시하는 AP_ID가, 다른 AP에 이미 할당된 경우(할당필),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에 AP_ID할당 가부 정보를 추가해도 좋다.
또, 이 경우에, 설치AP는, 재할당 요구, 또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에, 할당가능한 AP_ID후보 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 또, 이 경우에, 설치AP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에, 과거의 어소시에이션 등에서 지정한 다른AP의 AP_ID(이하, 「등록 필한 AP_ID」라고 함)를 포함시켜도 좋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 및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에는, 도9 및 도10에 나타낸 어소시에이션 요구 및 어소시에이션 응답과 구별하기 위해, AP_ID flag를 추가했지만,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P_ID flag와는 다른 판정 수단을 이용해, 구별이 이루어져도 좋다. 이 경우, Capability Information을 종래 정보인 채로 두어도 좋고, Capability Information를 구성요소로부터 제외해도 좋다. 또,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는, 도9에 나타낸 어소시에이션 요구에, AP_ID를 포함시킨 정보요소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추가AP와 설치AP 사이에서 어소시에이션을 행함으로써, 서로의 AP_ID를 지정할 수 있다.
<보충>
또한, 비콘을 이용해 AP_ID가 지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설치AP인 AP1은, 비콘에 AP1의 AP_ID 및/또는 등록 필 AP_ID를 포함시켜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의 정보요소인 설치AP용의 AP_ID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추가AP인 AP2가, 비콘에 포함되는 등록 필 AP_ID와 중복되지 않는 AP_ID를, AP2의 AP_ID로 설정하고,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의 정보요소에, AP2의 AP_ID를 추가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AP용 어소시에이션 응답의 정보요소인 추가AP의 AP_ID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비콘 또는 프로브 응답에 AP_ID flag가 포함되는 동작예를 나타냈지만, 비콘 또는 프로브 응답에 AP_ID flag가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추가AP는, 비콘을 수신했을 경우에, AP용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송신해도 좋다. 또, 설치AP는,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송신한 추가AP가 협조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경우, 추가AP와의 어소시에이션을 거부해도 좋다. 또는, 설치AP는, 설치AP가 협조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경우,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송신한 추가AP와의 어소시에이션을 거부해도 좋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AP_ID를 설치AP 또는 추가AP가 지정하는 동작예를 나타냈지만, Master AP가 지정해도 좋다. 이 경우, 설치AP가 Master AP라고 해도 좋고, Master AP의 지시를 설치AP가 통지해도 좋다.
또, 설치AP와 추가AP 사이(AP-AP간)의 어소시에이션의 동작은, STA과 AP 사이(AP-STA간)의 어소시에이션과 동일한 동작으로, AP_ID의 지정을 추가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STA 간이 어소시에이션에서 행하는 인증 및/또는 열쇠 교환의 절차가, AP-AP간에서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AP-AP간에서도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게 되어, 안전한 통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어소시에이션 요구, 어소시에이션 응답 및 비콘으로 통지하는 AP_ID는, 예1에서 나타낸 AP_ID를 포함시킨 AID 또는 AID12이어도 좋다.
또, AP-AP간에서 어소시에이션을 행하는 경우, Multiple BSSID 기능을 사용해, AP-AP간 어소시에이션 전용의 BSS를 정의해도 좋다. 이 경우, 특정 AID 영역의 값이, AP용 AID 영역으로 규정되어, BSS에 참가하는 AP의 각각은, STA의 AID에 AP용 AID 영역 이외의 값을 할당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협조 AP와 산하(傘下) STA의 ID를 동일한 AID 공간에서 일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협조AP를 행선지로 하는 통신을 위한 ID가 정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Multiple BSSID에서 nontransmitted BSSID의 1개를 협조AP전용(專用) BSSID로 하면, 협조AP전용의 BSSID 전체에 대응하는 AID의 값이, 복수의 협조 AP에 보내는 통신을 위한 ID로 할 수 있다.
또, AP-AP간의 통신에 있어서, 11ax의 UL OFDMA-based random access(UORA)와 동일한 랜덤 액세스를 지시하는 ID가 정의되어도 좋다. 즉, AP_ID 및/또는 AP용 AID 중, 특수한 값이 랜덤 액세스용으로 정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협조AP의 AP-AP간 어소시에이션 전용의 BSS를 정의하는 경우, 협조통신을 위한 버퍼된 데이터 정보를 임의의 AP에 대해서 요구하기 위해 AID=0을 설정하여 버퍼상태 요구 트리거 프레임(BSRP Trigger frame)을 송신하거나, 어소시에이션 전(前)의 AP가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송신할 수 있도록, 기존의 AP가 AID=2045를 설정한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해도 좋다.
또, AP-AP간의 어소시에이션은, 복수 AP의 협조통신의 용도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 AP가 협조통신 이외의 통신을 행할 때에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AP가 협조하여, 거리측정, 위치검출, 또는, 센싱 등 통신 이외의 기능을 실행할 때에, AP-AP간의 어소시에이션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 3>
예3에서는, 예1과 마찬가지로, C-SR방식으로 협조하는 UL-DL통신에 있어서, 트리거 송신 후에, DL통신의 가부를 판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UL-DL통신의 구성은, 예1과 동일하다.
도25는, 예3에 있어서의 UL-DL통신을 행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에 있어서, UL trigger frame의 송신, 및, AP1과 STA1 사이의 UL통신(UL데이터의 송수신)은, 예1과 동일해도 좋다. 도25에 있어서, UL trigger frame를 수신한 AP2는, STA2를 수신처로 한 RTS를 송신한다. STA2가 RTS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즉, AP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간섭 영향이 적은 경우), STA2는 CTS를 AP2에 송신한다. 여기서, STA2가 RTS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란, 다른 주변의 무선기로부터 STA2로의 간섭(예를 들면, AP1에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STA2로의 간섭)이, RTS의 수신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경우이어도 좋다. 그리고, AP2는, CTS를 수신한 경우, DL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STA2로의 데이터 송신(DL통신)을 행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RTS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AP2의 DL송신처에, 복수의 후보가 있을 때는 MU-RTS를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CTS를 이용하여 DL통신의 가부 판단을 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 송신(예를 들면, 간섭이 커서, 수신처인 STA이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의 DL송신)을 정지할 수 있다.
<예 4>
예3에서는, RTS/CTS에 의해 DL통신의 가부를 판정하는 방법을 나타냈다. 예4에서는, 예3에서 이용한 RTS/CTS를 대신하는 프레임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RTS+mes라고 불리는 프레임 및/또는 CTS+mes라고 불리는 프레임(이하, 정리하여, RTS+mes/CTS+mes 프레임이라고 기재되는 경우가 있음)을 이용해, 간섭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예4에 있어서, UL trigger frame의 송신, 및, UL통신은, 예1과 동일한 동작이어도 좋다. UL trigger frame를 수신한 AP2는, STA2를 수신처로 한 RTS+mes를 송신한다. STA2가, RTS+mes의 수신에 성공했을 때, STA2는, RTS+mes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RTS+mes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수신 전력은, AP1의 데이터 송신에 의한 간섭 전력에 상당해도 좋다. 그리고, STA2는, CTS에 수신 전력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한 CTS+mes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RTS+mes/CTS+mes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CTS+mes를 수신한 STA이, STA이 측정한 간섭량을 송신원에 통지하여, 송신원은, 간섭을 고려하여 적절한 MCS를 선택한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여, 스루풋이 향상한다.
<보충>
또한, RTS+mes의 포맷은, RTS와 동일한 포맷으로 해도 좋고, RTS의 포맷에 CTS+mes으로 측정한 주파수대역(tone라고도 함)의 정보를 추가한 포맷으로 해도 좋다. 주파수대역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CTS+mes으로 측정하는 주파수대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 RTS+mes 및/또는 CTS+mes의 종별의 지정에는, 도14에 나타낸 MAC 프레임의 종별의 비어 있는 영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RTS+mes를 「010000」, CTS+mes를 「010001」로 한다. 또, RTS 및/또는 CTS의 프레임 포맷에 있어서, 도13에 나타낸 프레임 컨트롤 필드내의 특정 비트의 어느것인가를, RTS+mes/CTS+mes를 지시하는 용도로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용도가 변경되는 특정 비트는, 도13에 나타낸, 「To DS」, 「From DS」, 「More Frag」, 「Retry」, 「Protected Frame」, 및, 「+HTC/Order」의 어느것인가 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레임 포맷을 RTS+mes 및/또는 CTS+mes으로 하는 경우는 해당 비트(예를 들면 「To DS」)를 1로 함으로써, 용도 변경을 지시해도 좋다.
<예 5>
예1에서는, C-SR방식으로 협조하는 UL-DL통신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26은, UL-DL통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26에 나타내는 것처럼, 협조세트의 각 장치의 배치가, STA2가 STA1로부터의 간섭 영향을 받는 배치인 경우, STA1로부터 AP1로의 UL통신(UL데이터의 송신)과 AP2로부터 STA2로의 DL통신(DL데이터의 송신)을 협조방식 C-OFDMA으로 협조하는 UL-DL통신으로 해도 좋다.
도27은, 협조방식 C-OFDMA으로 UL-DL통신을 행하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7에 나타내는 동작은, 예1(예를 들면, 도19)에서 나타낸 협조방식 C-SR방식에 의한 동작과 동일하다. 단, UL trigger frame으로 지정하는 STA1로부터 AP1로의 UL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과, AP2로부터 STA2로의 DL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27에서는, 「UL trigger frame」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도18과 같이, 「Trigger」와 「Announcement」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Trigger」와 「Announcement」가 지정하는 STA1로부터 AP1로의 UL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과, AP2로부터 STA2로의 DL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C-SR방식으로 협조하는 UL-DL통신과 동일한 동작을 이용하여, UL통신과 DL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을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협조방식 C-OFDMA의 경우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도27에 있어서, AP2는, DL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이 UL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대역과 중복되지 않는 경우, C-OFDMA를 사용한다, 고 판정해도 좋다. 또, AP2는, DL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이 UL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대역과 중복되는 경우, C-SR을 사용한다, 고 판정해도 좋다. C-SR로 판정한 경우, AP2는, 예3 또는 예4에서 나타낸 동작을 행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AP가 STA에 대해서 협조통신을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AP 중, 일부가 STA에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는, 1 이상의 AP와 1이상의 STA이, 다른 STA에 대해서 협조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는, 본 개시는, 2이상의 STA이, 다른 STA에 대해서 협조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신호(각 패킷)를 나타내는 용어는, 일례이며,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部)」는, 「···회로(circuitry)」, 「···디바이스(device)」, 「···유니트(unit)」, 또는, 「···모듈(module)」이어도 좋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제휴한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LSI는 개개의 칩(chip)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좋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장치로 총칭함)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통신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랩톱, 데스크톱,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 스틸/비디오 카메라 등), 디지털 플레이어(디지털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등),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웨어러블 카메라, 스마트 워치, 트랙킹 디바이스 등), 게임 콘솔, 디지털 북 리더, 텔레헬스·텔레메디신(원격 헬스케어·약품 처방) 디바이스, 통신기능 붙은 탈 것 또는 이동 수송기관(자동차, 비행기, 배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운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운반할 수 없는 또는 고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홈 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 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 패널 등), 자동 판매기, 기타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물건(Things)」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해, 이들의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되는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장치의 통신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거나, 또는 이들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기타 모든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신호의 유저 정보 필드에 있어서의 어소시에이션 식별 필드에 포함시킨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어소시에이션 식별 필드의 예약값에 할당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와 협조하여 상향통신 및 하향통신의 적어도 1개를 행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상기 식별자를 할당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소시에이션 요구인 상기 신호에, 상기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리거 프레임인 상기 신호의 유저정보 필드에 있어서 지정하는 행선지를 상기 식별자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리거 프레임인 상기 신호의 유저정보 필드에 행선지가 액세스 포인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유저정보 필드에 있어서 비(非)액세스 포인트용 정보 필드에 상기 식별자를 설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제1의 제어 신호를 송신한 후, 제2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공간 재이용 협조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로의 하향 송신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제2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간섭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방법은,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제2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방법은,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제2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2020년 8월 5일 출원한 특허출원 특원2020-133229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전부 본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 100 무선통신 장치
11 제어부
12 송신부
101 송신 패킷 생성부
102 무선 송수신부
103 수신 패킷 복호부
104 제어신호 생성부

Claims (13)

  1.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한 무선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신호의 유저 정보 필드에 있어서의 어소시에이션 식별 필드에 포함시키는,
    무선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어소시에이션 식별 필드의 예약값에 할당하는,
    무선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와 협조하여 상향 통신 및 하향통신의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상기 식별자를 할당하는,
    무선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인,
    무선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소시에이션 요구인 상기 신호에, 상기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무선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리거 프레임인 상기 신호의 유저정보 필드에 있어서 지정하는 행선지를 상기 식별자로 설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리거 프레임인 상기 신호의 유저정보 필드에 행선지가 액세스 포인트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유저정보 필드에 있어서 비(非)액세스 포인트용 정보 필드에 상기 식별자를 설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9.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제1의 제어 신호를 송신한 후, 제2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공간 재이용 협조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로의 하향 송신의 가부(可否)를 판정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무선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제2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간섭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장치.
  11.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2 무선통신 장치에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 방법.
  12. 제1 무선통신 장치이며,
    제2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 장치.
  13. 제1 무선통신 장치가,
    제2 무선통신 장치가 속하는 기본 서비스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1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 방법.
KR1020237003223A 2020-08-05 2021-07-15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 KR20230047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3229 2020-08-05
JPJP-P-2020-133229 2020-08-05
PCT/JP2021/026663 WO2022030213A1 (ja) 2020-08-05 2021-07-15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091A true KR20230047091A (ko) 2023-04-06

Family

ID=8011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223A KR20230047091A (ko) 2020-08-05 2021-07-15 무선통신 장치 및 무선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76302A1 (ko)
EP (1) EP4195798A4 (ko)
JP (1) JPWO2022030213A1 (ko)
KR (1) KR20230047091A (ko)
CN (1) CN116058020A (ko)
BR (1) BR112023002024A2 (ko)
WO (1) WO2022030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3021B2 (en) * 2016-04-14 2021-08-03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resource unit allocation for a multiple BSSID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639A (ja) * 1998-11-13 2000-05-30 Seiko Epson Corp 無線通信における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におけるパケット通信装置
US10356819B2 (en) * 2015-08-05 2019-07-16 Apple Inc. Spatial-reuse enhancement in RTS and CTS
US11051174B2 (en) * 2018-08-17 2021-06-29 Intel Corporation Grouping of access points (AP) into multi-AP groups to enable coordination of downlink transmissions
US11696354B2 (en) * 2018-08-26 2023-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joint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system
KR20210102201A (ko) * 2018-11-08 2021-08-1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s)에서 다중 액세스 포인트 (multi-ap)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WO2020111822A1 (ko) * 2018-11-28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map 전송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7159903B2 (ja) 2019-02-19 2022-10-2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目標位置推測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IEEE 802.11-19/0103 r1, AP Coordination in EHT
[비특허 문헌 2] IEEE 802.11-19/1102 r0, A unified transmission procedure for multi-AP coordination
[비특허 문헌 3] IEEE 802.11-20/1040 r0, Coordinated Spatial Reuse: Extension to Uplink
[비특허 문헌 4] IEEE P802.11ax/D6.0, November 2019
[비특허 문헌 5] IEEE Std 802.11-2016, December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5798A1 (en) 2023-06-14
US20230276302A1 (en) 2023-08-31
EP4195798A4 (en) 2024-04-24
WO2022030213A1 (ja) 2022-02-10
CN116058020A (zh) 2023-05-02
BR112023002024A2 (pt) 2023-03-07
JPWO2022030213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4808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2234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147098B2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7028664A1 (zh) 用于无线通信的基站侧和用户设备侧的装置及方法
US1185642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102698A1 (en) Network device, user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7295695A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119911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2030213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2190677A1 (ja) 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通信方法
EP418801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14697A (ko) 액세스 포인트, 단말, 및, 통신 방법
CN111512686B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08625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control terminal and network node
WO2023181965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2079992A1 (ja) 端末、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4009838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1182109A1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WO2022059359A1 (ja) 基地局、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4127786A1 (ja) 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協調通信の制御方法
EP42773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40113903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40036014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30098166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40104094A (ko) 액세스 포인트 및 통신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