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626A - 루이스 y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 Google Patents

루이스 y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626A
KR20230030626A KR1020237001617A KR20237001617A KR20230030626A KR 20230030626 A KR20230030626 A KR 20230030626A KR 1020237001617 A KR1020237001617 A KR 1020237001617A KR 20237001617 A KR20237001617 A KR 20237001617A KR 20230030626 A KR20230030626 A KR 2023003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amino acid
acid sequence
seq
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트제 다니엘치크
요한나 겔러트
안케 플레흐너
패트릭 켈러
Original Assignee
글리코토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리코토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글리코토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3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1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 A61K47/6817Tox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receptor, a cell surface antigen or a cell surface determin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7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against structure-related tumour-associated moieties
    • C07K16/308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against structure-related tumour-associated moieties against tumour-associate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3Crossreactivity, e.g. for species or epitope, or lack of said crossre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Abstract

본 발명은 루이스 Y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어떠한 교차-반응성도 나타내지 않는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루이스 b 또는 임의의 다른 혈액 군 탄수화물 항원에 결합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암 치료에 유용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이스 Y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항체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글리칸 항원에 대한 탁월한 표적 특이성 및 친화성을 나타내는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가 제공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 및 진단 용도를 위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오늘날 항체는 의학 및 연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제제이다. 의학에서는 많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항체는 암, 심혈관 질환, 염증성 질환, 황반 변성, 이식 거부, 다발성 경화증 및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치료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요법에서 항체는 예를 들어, 수용체 또는 메신저 분자를 차단하여 질병 관련 기능을 억제하거나 환자의 면역계 구성요소를 모집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치료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특정 항체는 마우스, 래트, 토끼, 염소, 양 또는 말과 같은 포유류에 항원을 주입하여 생성된다. 이들 동물들로부터 분리된 혈액은 혈청에서 상기 항원에 대한 폴리클로날 항체를 함유한다. 항원의 단일 에피토프에 특이적인 항체를 수득하기 위해 항체-분비 림프구를 동물로부터 분리하고, 이를 암 세포주와 융합시킴으로써 불멸화시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발생시킨다. 그 후, 단일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희석 클로닝에 의해 분리하여 모두 동일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 클론을 생성한다.
그러나, 치료적 적용에 있어서 이들 모노클로날 항체는 동물 유기체로부터 유래하고 인간 항체와 아미노산 서열이 상이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인간 면역계는 이러한 동물 항체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를 순환으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한다. 또한 전신 염증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모노클로날 항체의 특정 불변 부분을 인간 항체의 상응하는 부분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중쇄 및 경쇄 불변 영역만 교체하는 경우, 키메라 항체가 수득되는 반면,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의 프레임워크 영역의 추가 교체는 소위 인간화된 항체를 발생시킨다.
연구에서 정제된 항체는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특히 단백질과 같은 생물학적 분자를 식별하고 위치시키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생물학적 분자는 예를 들어 이의 존재, 농도, 완전성 또는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분리된 후에 검출될 수 있다. 한편, 이들은 예를 들어 이들의 존재 또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세포 또는 조직 샘플에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항체는 특정 생물학적 물질, 특히 단백질의 분리 절차에 사용되며, 여기서 항체는 이를 함유하는 샘플로부터 관심 있는 생물학적 물질을 특이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모든 적용에서 항원의 긴밀한 결합 및 특이적 인식은 사용되는 항체에 매우 중요하다. 이로써, 더 높은 활성 및 더 적은 교차 반응성, 특히 치료 적용에서 더 적은 부작용이 수득된다. 그러나, 모노클로날 항체의 인간화 동안 종종 조작된 항체의 친화성과 특이성이 감소된다.
흥미롭고 중요한 항체 군은 탄수화물 모이어티에 대한 항체이다. 특히 조직-혈액 군 탄수화물 사슬은 이들이 종종 종양-특이적 또는 종양-관련 항원이기 때문에 항체에 대한 흥미로운 표적이다. 예를 들어, 유방암, 방광암, 결장암, 위암, 췌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및 소세포 폐암을 포함한 여러 다양한 상피암의 세포는 탄수화물 구조 루이스 Y [Fucα1-2Galβ1-4(Fucα1-3)GlcNAcβ-], 소위 LeY를 임의의 세포 표면 단백질 항원보다 더 풍부하게 발현한다. 각각의 종양에서, 심지어 암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높은 백분율의 종양 세포는 LeY 양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탄수화물 항원은 종양 이미징 및 능동 또는 수동 면역요법의 잠재적 표적이다.
이러한 탄수화물 구조에 대한 항체는 종종 몇 가지 문제와 관련이 있다. 특히, 적혈구에서의 H 타입 2 발현 또는 인간 골수 세포, 예를 들어 성숙한 과립구에서의 루이스 X와 같이 정상 조직에서 발견되는 동일하거나 밀접하게 관련된 탄수화물 구조의 존재로 인해 원하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Y에 대한 여러 항체가 임상 실험에서 실패하였는데, 이들은 LeX에 대해 교차 반응성이었으며, 바람직하지 않은 효능 및/또는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글리칸 에피토프에 대한 교차-반응성은 공통된 문제이다. 예를 들어, 루이스 Y를 인식하는 기존 항체의 대부분은 이들의 치료학적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루이스 b[Fucα1-4(Fucα1-2Galβ1-3)GlcNAcβ-]와 같은 다른 탄수화물 구조에 대한 교차 반응성을 보여준다. 또한, 탄수화물 항원은 종종 치료에 적합한 항체 형식으로 간주되지 않는 IgM 유형의 면역 반응을 생성한다. 재조합 항체 기술을 이용하여 IgM에서 IgG로의 클래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탄수화물-결합 항체의 고유 친화도가 낮기 때문에 기능적 친화력이 상당히 상실된다.
루이스 Y에 대한 알려진 특정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 A70-A/A9 및 A70-C/C8이며, 뿐만 아니라 사슬 셔플링으로부터 수득된 조합 A/A9-C/C8 항체(이 항체는 A70-A/A9의 중쇄 및 A70-C/C8의 경쇄를 함유함)이다. 그러나, 이들은 상기 논의한 비-인간 항체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뮤린 가변 영역을 갖는 키메라 항체이다. 따라서, 이들 항체의 인간화는 유익할 것이다. 불행하게도, 인간화된 항체는 종종 상응하는 비-인간 또는 키메라 항체보다 이의 표적 항원에 대한 더 낮은 친화도 및 특이성을 갖는다. 이는 가변 영역의 전체 3차원 구조 및 특히, 상보성 결정 영역(CDR)의 형태 및 배향이 프레임워크 영역의 대체에 의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낮은 항원 친화도 및 특이성을 갖는 탄수화물 항원에 대한 항체에 있어서 특히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항체 A70-A/A9는 루이스 b와 교차 반응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특이적으로 높은 항원 결합 친화도 및 항원 특이성을 갖는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를 제공하는 것이 당업계에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로서, 이들이 유래된 모 키메라 항체와 유사한 항원 결합 친화도를 갖는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를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간화된 항체는 모 키메라 항체의 루이스 b와의 교차 반응성이 인간화된 형태에서 방지된다는 점에서 향상된 항원 특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루이스 Y에 결합할 수 있고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로서,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인코딩하는 핵산을 제공한다. 또한,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및 상기 핵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가 제공되며,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가 제공된다.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추가 제제에 컨주게이션된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포함하는 컨주게이트를 제공한다.
제6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본 발명에 따른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본 발명에 따른 숙주 세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주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의학, 특히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핵산,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숙주 세포, 조성물 또는 컨주게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장점 및 양태는 하기 기재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하기 기재, 첨부된 청구항, 및 특정 예는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은 하기를 읽음으로써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하기 표현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사용되는 문맥이 달리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기재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표현 "포함하다"는 이의 문자상의 의미 외에도 또한 표현 "~을 필수적 요소로하여 구성되는" 및 "~로 구성되는"을 포함하며, 특별히 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표현 "포함하다"는 특별히 나열된 요소를 "포함하는" 주제가 추가의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구현예뿐만 아니라 특별히 나열된 요소를 "포함하는" 주제가 추가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확실히 포함하는 구현예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표현 "갖는다"는 표현 "포함하다"로 이해되어야 하며, 또한 표현 "~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되는" 및 "~로 구성되는"을 포함하고, 이들을 특별히 언급한다. 가능한 경우, 용어 "~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되는"은 특히 주제가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특별히 나열된 요소에 더하여 주제가 20% 이하, 특히 15% 이하, 10% 이하 또는 특히 5% 이하의 추가 요소를 포함하는 구현예를 나타낸다.
용어 "항체"는 특히,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중쇄 및 2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단백질을 나타낸다. 각각의 중쇄는 중쇄 가변 영역(VH) 및 중쇄 불변 영역(CH)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VL) 및 경쇄 불변 영역(CL)으로 구성된다. 중쇄 불변 영역은 3개 또는 - IgM- 또는 IgE-타입의 항체의 경우- 4개의 중쇄 불변 도메인(CH1, CH2, CH3 및 CH4)을 포함하며, 제1 불변 도메인 CH1은 가변 영역에 인접하여 힌지 영역에 의해 제2 불변 도메인 CH2에 연결될 수 있다. 경쇄 불변 영역은 단지 하나의 불변 도메인으로만 구성된다. 가변 영역은 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이라 불리는 과변이 영역과, 이들 사이사이에 위치한 프레임워크 영역(framework region; FR)이라 불리는 더욱 보존된 영역으로 더욱 세분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변 영역은 3개의 CDR과 4개의 FR을 포함한다.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은 항원과 상호작용하는 결합 도메인을 함유한다. 중쇄 불변 영역은 γ-, δ-, α-, μ- 또는 ε-타입 중쇄와 같은 임의의 타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중쇄는 γ-사슬이다. 또한, 경쇄 불변 영역은 또한, κ- 또는 λ-타입 경쇄와 같은 임의의 타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경쇄는 κ-사슬이다. 용어 "γ-(δ-, α-, μ- 또는 ε-) 타입 중쇄" 및 "κ-(λ-) 타입 경쇄"는 각각 항체 중쇄 또는 항체 경쇄를 나타내며, 이는 천연 발생 중쇄 또는 경쇄 불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 특히 인간 중쇄 또는 경쇄 불변 영역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불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특히, γ-타입(특히 γ1-타입)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γ (특히 인간 γ1의 알로타입 중 하나) 항체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동일하다. 또한, κ-타입 경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κ 항체 경쇄의 알로타입 중 하나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과 특히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동일하다. 항체의 불변 영역은 면역계의 다양한 세포(예를 들어, 효과기 세포)와 고전적인 보체 시스템의 제1 성분(C1q)을 포함하는 숙주 조직 또는 인자들에 대한 면역글로불린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항체는, 예를 들어, 인간화, 인간 또는 키메라 항체일 수 있다.
항체의 항원 결합 부분은 일반적으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항체의 전장 또는 하나 이상의 단편을 나타낸다. 항체의 항원-결합 기능은 전장 항체의 단편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항체의 결합 단편의 예는 VL, VH, CL 및 CH1 도메인으로 구성된 1가 단편인 Fab 단편; 2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힌지 영역에서 디설파이드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동일한 항원에 결합하는, 2가 단편인 F(ab)2 단편; VH 및 CH1 도메인으로 구성된 Fd 단편; 항체의 단일 아암의 VL 및 VH 도메인으로 구성된 Fv 단편; 및 VH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dAb 단편을 포함한다.
특히, 항체의 "Fab 부분"은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VH 및 VL) 및 중쇄 및 경쇄 불변 영역의 제1 도메인(CH1 및 CL)을 포함하는 항체의 부분을 나타낸다. 항체가 이들 영역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용어 "Fab 부분"은 단지 항체에 존재하는 영역 VH, VL, CH1 및 CL의 부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Fab 부분"은 항체의 항원 결합 활성을 함유하는 파파인으로 천연 항체를 분해함으로써 획득되는 단편에 상응하는 항체의 일부를 나타낸다. 특히, 항체의 Fab 부분은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능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Fab 부분은 적어도 항체의 VH 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항체의 "Fc 부분"은 중쇄 불변 영역 2, 3 및 -해당되는 경우- 4(CH2, CH3 및 CH4)를 포함하는 항체의 부분을 나타낸다. 특히, Fc 부분은 이들 영역 중 각각 2개를 포함한다. 항체가 이들 영역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용어 "Fc 부분"은 단지 항체에 존재하는 영역 CH2, CH3 및 CH4의 부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Fc 부분은 적어도 항체의 CH2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Fc 부분"은 항체의 항원 결합 활성을 함유하지 않는 파파인으로 천연 항체를 분해함으로써 획득되는 단편에 상응하는 항체의 부분을 나타낸다. 특히, 항체의 Fc 부분은 Fc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Fc 수용체 결합 부위 또는 Fc 수용체 결합 능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키메라 항체"는, 특히 불변 영역이 인간 항체 또는 인간 항체 컨센서스 서열로부터 유래되고, 적어도 하나 및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의 가변 영역이 비-인간 항체, 예를 들어 설치류 항체 예컨대, 마우스 항체로부터 유래되는, 항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인간화된 항체"는 특히, 인체에 투여시 항체의 면역원성을 감소시키도록 아미노산 서열이 변형된 인간 불변 영역과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비-인간 항체를 나타낸다. 인간화된 항체를 작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CDR 그래프팅이며, 여기서 비-인간 항체의 CDR 또는 특이성 결정 잔기(SDR)는 인간 유래된 프레임워크 영역과 조합된다. 임의적으로,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의 일부 잔기는 예를 들어, 항원 결합 친화도를 증가시키거나 회복시키기 위해 모 비-인간 항체의 잔기로 역돌연변이될 수 있다. 다른 인간화 방법에는 예를 들어, 재표면화(resurfacing), 초인간화 및 인간 문자열 콘텐츠 최적화가 포함된다. 재표면화 방법에서, 항체의 표면에 위치하는 비-인간 프레임워크 영역의 잔기만이 상기 위치에서 상응하는 인간 항체 서열에 존재하는 잔기로 대체된다. 초인간화는 본질적으로 CDR 그래프팅에 대응한다. 그러나, CDR 그래프팅 동안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은 일반적으로 비-인간 프레임워크 영역과의 상동성을 기반으로 선택되는 반면, 초인간화에서는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은 CDR의 유사성을 기초하여 선택된다. 인간 문자열 콘텐츠 최적화에서, 비-인간 항체 서열과 인간 생식계열 서열의 차이를 스코어링한 다음 항체를 돌연변이시켜 상기 스코어를 최소화한다. 게다가,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또는 인간 항체의 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다중 항체 인간화 후보를 생성한 다음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가장 유망한 후보를 결정하는 경험적 방법에 의해 인간화된 항체를 또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합리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여러 인간화된 항체 후보를 생성한 다음 예를 들어, 항원 결합에 대해 스크리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간 항체"는 프레임워크 및 CDR 영역 둘 모두가 인간 기원의 서열로부터 유래된 가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특정 구현예에서, 동일한 종류의 항체 집단을 나타낸다. 특히, 항체 집단의 모든 항체는 항체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 특징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집단의 모든 항체는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항-루이스 Y 항체와 같은 특정 종류의 항체에 대한 언급은 특히 이러한 종류의 항체 집단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또한 상기 항체의 단편 및 유도체를 포함한다. 항체의 "단편 또는 유도체"는, 특히, 상기 항체로부터 유래하고 상기 항체와 동일한 항원, 특히,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또는 글리코단백질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항체의 단편 또는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기능성 단편 또는 유도체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의 단편 또는 유도체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항체의 항원-결합 기능은 전장 항체 또는 이의 유도체의 단편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항체의 단편의 예는 (i) 각각 중쇄 및 경쇄의 제1 불변 도메인 및 가변 영역으로 구성된 1가 단편인 Fab 단편; (ii) 힌지 영역에서 디설파이드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 2가 단편인 F(ab)2 단편; (iii)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 CH1 및 가변 영역으로 구성된 Fd 단편; (iv) 항체의 단일 아암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으로 구성된 Fv 단편; (v) 단일 폴리펩티드 사슬로 구성된 Fv 단편인 scFv 단편; (vi) 함께 공유적으로 연결된 2개의 Fv 단편으로 구성된 (Fv)2 단편; (vii) 중쇄 가변 도메인; 및 (viii)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의 회합이 분자내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단지 분자간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함께 공유적으로 연결된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으로 구성된 다중체(multibody)를 포함한다. 특히, 항체의 유도체는 모 항체와 동일한 항원에 결합하나, 유래되는 모 항체와는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 단편 및 유도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획득된다.
표적 아미노산 서열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참조 아미노산 서열의 상응하는 부분과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3%, 적어도 95%,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공유하는 경우, 표적 아미노산 서열은 참조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하거나 이로부터 "유래"된다. "상응하는 부분"은, 예를 들어, 표적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프레임워크 영역 1(FRH1)이 참조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의 프레임워크 영역 1에 상응함을 의미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참조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에 "상응"하는 표적 아미노산 서열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참조 아미노산 서열의 상응하는 부분과 100% 상동성이거나, 특히 100% 동일하다. 아미노산 서열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참조 서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규정되는 서열에 상응하는 참조 서열의 상응하는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결정된다. 특히, 특이적 CDR 서열 또는 특이적 가변 영역 서열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규정되는 모 항체로부터 유래된 항체는 CDR 서열 또는 가변 영역 서열과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이며, 이는 모 항체의 각각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3%, 적어도 95%,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 상동이거나 동일하며, 특히 동일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모 항체로부터 유래된 항체(즉, 이의 유도체)는 모항체와 동일한 CDR 서열을 포함하나, 가변 영역의 나머지 서열은 상이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는 또한 다가 및 다중특이적 항체, 즉, 동일한 에피토프에 각각 결합하는 2개 초과의 결합 부위를 갖는 항체 작제물 및 제1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부위 및 제2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부위, 및 선택적으로, 심지어 추가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추가의 결합 부위를 갖는 항체 작제물을 나타낸다.
"특이적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항체와 같은 제제가 그것에 특이적인 에피토프와 같은 표적에 또 다른 표적에 대한 결합 대비 더욱 강하게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어떤 제제가 제2 표적에 대한 해리 상수(Kd)보다 낮은 해리 상수를 갖는 제1 표적에 결합한다면, 그 제제는 제2 표적 대비 제1 표적에 더욱 강하게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제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적에 대한 해리 상수는 제제가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는 표적에 대한 해리 상수보다 100배, 200배, 500배 초과 또는 1000배 초과로 더 낮다. 또한, 용어 "특이적 결합"은 특히 적어도 105 M-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6 M-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7 M-1, 예를 들어 적어도 108 M-1의 친화 상수 Ka를 갖는 결합 파트너 간의 결합 친화성을 나타낸다. 특히, 특정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는 적어도 105 M-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6 M-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7 M-1의 Ka를 갖는 친화성으로 상기 항원에 대해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특히 용어 "항-루이스 Y 항체"는 루이스 Y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5 M-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6 M-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7 M-1의 Ka를 갖는 친화도로 루이스 Y에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A70-A/A9"는 각각 SEQ ID NO: 30 및 31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루이스 Y" 또는 "LeY"는 특히 지지 구조 또는 담체 분자, 예컨대 펩티드, 단백질, 지질 또는 탄수화물 구조에 부착될 수 있는 탄수화물 구조(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Fucα1-2Galβ1-4(Fucα1-3)GlcNAcβ-를 나타낸다. 상기 표시된 구조에서, Fuc는 푸코스 잔기를 나타내고, Gal은 갈락토스 잔기를 나타내며, GlcNAc는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를 나타낸다. "α1-2", "β1-4" 및 "α1-3"은 특히 왼쪽 모노사카라이드의 탄소 원자 C1과 오른쪽 모노사카라이드의 각각 탄소 원자 C2, C4 또는 C3 사이의 인접한 두 모노사카라이드 잔기의 연결을 나타내며, 여기서 탄소 원자 C1에서의 결합은 α- 또는 β-위치에 있을 수 있다(글루코스에 대한 다음 반응식에 표시됨):
Figure pct00001
용어 "GlcNAcβ-"는 루이스 Y 올리고사라카이드의 환원 말단에 있는 GlcNAc 잔기가 지지 구조에 β-배위로 연결됨을 나타낸다. 루이스 Y 및 관련 혈액 군 항원의 구조에 대한 도식적 표현이 도 1에 또한 도시된다.
루이스 Y는 인간 혈액 군 시스템의 탄수화물 항원이다. 이는 많은 종양에서 발현되며 지시된 암 치료를 위한 종양-관련 또는 종양-특이적 항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알산"은 특히 뉴라민산의 임의의 N- 또는 O-치환된 유도체를 나타낸다. 이는 5-N-아세틸뉴라민산 및 5-N-글리콜릴뉴라민산 둘 모두를 나타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5-N-아세틸뉴라민산만을 나타낸다.
용어 "글리칸", "글리칸 구조물", "탄수화물", "탄수화물 사슬" 및 "탄수화물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
"컨주게이트"에서 둘 이상의 화합물이 함께 연결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각각의 화합물로부터의 특성 중 적어도 일부는 컨주게이트에서 유지된다. 연결은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주게이트의 화합물은 공유 결합을 통해 연결된다. 컨주게이트의 상이한 화합물은 화합물의 원자 사이에 하나 이상의 공유 결합을 통해 서로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은 링커가 화합물의 원자에 공유 부착된 링커 분자와 같은 화학적 모이어티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컨주게이트가 2개 초과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경우,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사슬 형태로 연결될 수 있는데, 하나의 화합물이 다음 화합물에 부착되거나 여러 화합물 각각이 하나의 중앙 화합물에 부착될 수 있다.
용어 "핵산"은 단일-가닥 및 이중-가닥의 핵산과 리보핵산 뿐만 아니라 데옥시리보핵산을 포함한다. 이는 천연 발생 뿐만 아니라 합성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화, 5'-캡핑(capping) 및/또는 3'-캡핑에 의해 천연적으로 또는 합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용어 "발현 카세트"는 특히 그 내부로 도입된 코딩 핵산 서열의 발현을 가능하게 하고 조절할 수 있는 핵산 작제물을 나타낸다. 발현 카세트는 프로모터, 리보좀 결합 부위, 인핸서 및 유전자의 전사 또는 mRNA의 번역을 조절하는 다른 조절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현 카세트의 정확한 구조는 종(species) 또는 세포 유형의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TATA 박스, 캡핑 서열, CAAT 서열 등과 같이, 각각 전사 및 번역의 개시와 관련된 5'-비전사 서열과 5'- 및 3'-비번역 서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5'-비전사 발현 조절 서열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핵산의 전사 조절을 위한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한다. 발현 카세트는 또한 인핸서 서열이나 업스트림 활성인자 서열(upstream activator sequenc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프로모터"는 발현될 핵산 서열의 업스트림(5')에 위치하며 RNA-중합효소에 대한 인식 및 결합 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서열의 발현을 조절하는 핵산 서열을 나타낸다. "프로모터"는 유전자의 전사 조절과 관련된 추가 인자에 대한 인식 및 결합 부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모터는 원핵생물 또는 진핵생물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터는 "유도성(inducible)", 즉 유도제에 반응하여 전사를 개시할 수 있거나, 만약 전사가 유도제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면 "항시성(constitutive)"일 수 있다. 유도성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있는 유전자는, 유도제가 없으면 발현되지 않거나 단지 적은 정도로 발현된다. 유도제의 존재 하에서 상기 유전자는 켜지거나(switched on) 전사 수준이 증가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전사 인자의 결합에 의해 매개된다.
용어 "벡터"는 본원에서 가장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핵산으로 하여금, 예를 들어, 원핵생물 및/또는 진핵생물 세포 내로 도입되어, 적절한 경우, 유전체 내로 통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산의 임의의 중간 비히클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세포 내에서 복제되고/되거나 발현된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파지미드, 박테리오파지 또는 바이러스 유전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플라스미드"는 일반적으로 염색체 DNA와 독립적으로 복제할 수 있는 염색체외(extrachromosomal) 유전 물질의 작제물, 보통 환형 DNA 듀플렉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숙주 세포"는 외인성 핵산으로 형질전환되거나 형질감염될 수 있는 임의의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숙주 세포"는 원핵생물(예를 들어, E. 콜라이(E. coli)) 또는 진핵생물 세포(예를 들어, 포유류 세포, 특히 인간 또는 햄스터 세포, 효모 세포 및 곤충 세포)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인간, 마우스, 햄스터, 돼지, 염소 또는 영장류로부터의 세포와 같은 포유류 세포이다. 세포는 다수의 조직 유형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1차 세포 및 세포주를 포함한다. 핵산은 단일 복사체 또는 2 이상의 복사체의 형태로 숙주 세포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일 구현예에서, 숙주 세포 내에서 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환자"는 인간, 비-인간 영장류 또는 다른 동물, 특히 소, 말, 돼지, 양, 염소, 개,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또는 마우스 및 래트와 같은 설치류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환자는 인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암"은 특히 백혈병, 정상피종, 흑색종, 기형종, 림프종, 신경아세포종, 신경교종, 직장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부신암, 갑상샘암, 혈액암, 피부암, 뇌암, 자궁경부암, 장암(intestinal cancer), 간암, 결장암, 위암, 장암(intestine cancer), 두경부암, 위장암, 림프절암, 식도암, 결장직장암, 췌장암, 이비인후과(ear, nose and throat, ENT)암, 방광암, 유방암, 전립선암, 자궁암, 난소암 및 폐암, 및 이들의 전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암은 또한 암 전이를 포함한다. 용어 암은 또한 암 줄기 세포, 특히 상기 열거된 특정 유형의 암의 암 줄기 세포를 지칭 및/또는 포함한다.
"종양"은 잘못 조절된 세포성 증식에 의해 형성된 세포군 또는 조직군을 의미한다. 종양은 구조적 구성 및 정상 조직과의 기능적 협력의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결핍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보통 양성 또는 악성일 수 있는 뚜렷한 조직 덩어리를 형성한다.
"전이(metastasis)"는 암 세포 본래의 부위로부터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의 암 세포의 확산을 의미한다. 전이의 형성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보통은 1차 종양으로부터 암 세포의 분리, 신체 순환(body circulation)으로의 진입 및 신체의 다른 곳의 정상 조직 내에서 성장하도록 자리를 잡는 것을 포함한다. 종양 세포가 전이되었을 때, 새로운 종양은 2차 종양 또는 전이성 종양이라 불리며, 이들의 세포는 보통 본래의 종양 세포와 유사하다. 이는, 예를 들어, 유방암이 폐로 전이되면 2차 종양은 비정상 폐 세포가 아니라 비정상 유방 세포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그러면, 상기 폐의 종양은 전이성 유방암으로 불리며, 폐암으로 불리지 않는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특히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즉,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프로드러그와 함께 담체, 희석제 또는 약학적 부형제, 예를 들어, 완충제, 보존제 및 긴장성 조절제를 포함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상응하는 키메라 항체와 유사한 항원 결합 친화도를 갖는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의 개발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화된 항체가 예상외로 개선된 항원 특이성을 가짐을 추가로 입증할 수 있었다. 모 키메라 항체는 루이스 Y에 대한 주요 특이성 외에도 루이스 b에 대한 상당한 결합을 보여준다. 이러한 교차-반응성은 탄수화물 항원이 다소 작고 매우 유사할 수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에 있어서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루이스 Y와 루이스 b는 중앙 GlcNAc 잔기에서 푸코스 아암(fucose arm)과 푸코스-갈락토스 아암(fucose-galactose arm)의 부착 지점이 전환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도 1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놀랍게도 다른 탄수화물 항원, 특히 루이스 b와는 어떠한 교차 반응성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은 루이스 Y에 결합할 수 있고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로서,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준 항체와 유사한 항원 결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항체는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70-A/A9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간화된 항체는 기준 항체와 동일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사한 친화도로 상기 항원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인간화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기준 항체보다 최대 100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200배, 최대 100배, 최대 20배 또는 최대 10배 더 높은 해리 상수를 갖는 친화도로 항원에 결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해리 상수는 기준 항체의 해리 상수와 거의 동일하며, 특히 2배 이하로 더 높다. 게다가, 인간화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SEQ ID NO: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준 항체와 교차-특이성을 보인다. 특히, 인간화된 항체는 충분히 높은 농도로 존재할 경우 루이스 Y에 대한 기준 항체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화된 항체가 루이스 Y에 이미 결합되어 있을 때 루이스 Y에 대한 기준 항체의 결합이 방해된다면 가능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루이스 Y와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특히, 인간화된 항체는 루이스 b에 대해 유의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내지 않고/거나 루이스 b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루이스 Y에 대한 결합에 있어서 인간화된 항체의 해리 상수는 루이스 b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의 해리 상수와 비교하여 적어도 10배 낮다. 특히, 해리 상수는 루이스 b에 대한 결합과 비교하여 루이스 Y에 대한 결합에 있어서 적어도 20배, 적어도 50배 또는 적어도 100배 낮다.
특정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3%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히,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2 또는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H1, SEQ ID NO: 14 또는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H2 또는 SEQ ID NO: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H3을 포함한다. 특히,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추가로 SEQ ID NO: 12, 14 및 16 또는 SEQ ID NO: 13, 15 및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다. 따라서, SEQ ID NO: 10에 대한 임의의 서열 편차는 프레임워크 영역에 위치하지만 CDR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히,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3%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히,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추가로 SEQ ID NO: 12, 14 및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 내지 6 중 어느 하나, 특히 SEQ ID NO: 1 또는 4, 바람직하게는 SEQ ID NO: 1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특히, 적어도 93%, 적어도 95% 동일한 또는 특히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SEQ ID NO: 12, 14 및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3%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히,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4 또는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L1, SEQ ID NO: 26 또는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L2 및 SEQ ID NO: 28 또는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L3을 포함한다. 특히,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8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추가로 SEQ ID NO: 24, 26 및 28 또는 SEQ ID NO: 25, 27 및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다. 따라서, SEQ ID NO: 22에 대한 임의의 서열 편차는 프레임워크 영역에 위치하지만 CDR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히,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3%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히,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추가로 SEQ ID NO: 24, 26 및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7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7 또는 18, 특히 SEQ ID NO: 17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7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특히, 적어도 93%, 적어도 95% 동일한 또는 특히 SEQ ID NO: 17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추가로 SEQ ID NO: 12, 14 및 16 또는 SEQ ID NO: 13, 15 및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추가로 SEQ ID NO: 24, 26 및 28 또는 SEQ ID NO: 25, 27 및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다.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추가로 SEQ ID NO: 12, 14 및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추가로 SEQ ID NO: 24, 26 및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3개의 특정 CDR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다.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 내지 7 및 9, 특히 1 내지 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17 또는 18, 특히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 또는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기타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SEQ ID NO: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SEQ ID NO: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한다. 인간화된 항체는 특히 전체 항체일 수 있다. 인간화된 항체는 임의의 아이소형일 수 있으며, 특히 IgG-타입 항체, 특히 IgG1, IgG2 또는 IgG4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IgG1-타입 항체이다. 특히 인간화된 항체는 하나 이상의 인간 Fc 수용체, 특히 Fcγ 수용체 IIIa와 같은 인간 Fcγ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항체의 단편이다. 특히, 단편은 (i) Fab 단편; (ii) F(ab)2 단편; (iii) Fd 단편; (iv) Fv 단편; (v) scFv 단편; 및 (vi) (Fv)2 단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글리코실화, 특히 N-글리코실화된다. 특히, 인간화된 항체는 중쇄(CH2)의 제2 불변 도메인에 글리코실화 부위를 갖는다. 항체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2개의 중쇄를 갖는다. 따라서, 인간화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CH2 도메인 각각에 하나씩 적어도 2개의 글리코실화 부위를 갖는다. 이러한 글리코실화 부위는 특히 Kabat 넘버링에 따라 중쇄의 아미노산 위치 297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위치에 있으며, 아미노산 서열 모티브 Asn Xaa Ser/Thr을 가지며, 여기에서, Xaa는 프롤린을 제외한 임의의 아미노산일 수 있다. Asn297에서 N-연결된 글리코실화는 포유동물 IgG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항체 아이소형의 상동 영역에서 보존된다. 가변 영역에 존재할 수 있는 선택적인 추가적 아미노산 또는 다른 서열 변형으로 인해, 이러한 보존된 글리코실화 부위의 실제 위치는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N-글리콜릴 뉴라민산(NeuGc) 또는 검출가능한 양의 NeuGc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인간화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Galili 에피토프(Galα1,3-Gal 구조) 또는 검출 가능한 양의 Galili 에피토프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NeuGc 및/또는 Galα1,3-Gal 구조를 갖는 글리칸의 상대적인 양은 항체 집단에서 인간화된 항체의 Fc 부분에 부착된 글리칸의 총량의 0.1% 미만 또는 심지어 0.02% 미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이의 CH2 도메인에서 글리코실화되지 않는다. 이들 구현예에서, 항체의 CH2 도메인은 예를 들어, 중쇄의 위치 297(또는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라긴 잔기를 임의의 다른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알라닌 또는 글루타민으로 치환함으로써 돌연변이될 수 있다. CH2 도메인에서 글리코실화가 결여된 항체는 Fcγ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감소되어 이펙터 기능이 감소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예를 들어, Leu235Glu("LE 돌연변이"), Leu234Ala/Leu235Ala("LALA" 돌연변이), Ser228Pro/Leu235Glu("SPLE" 돌연변이), Leu234Ala/Leu235Ala/Pro329Gly("LALA-PG" 돌연변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Fc 수용체 결합을 감소시키는 다른 또는 추가적인 아미노산 치환을 가질 수 있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숙주 세포에서 재조합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인간화된 항체는 특히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인간화된 항체의 생성에 사용된 숙주 세포는 항체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숙주 세포일 수 있다. 적합한 숙주 세포는 특히 진핵생물 숙주 세포, 특히 포유동물 숙주 세포이다. 예시적인 숙주 세포는 효모 세포, 예를 들어,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세포주, 곤충 세포, 예를 들어, SF9 및 SF21 세포주, 식물 세포, 조류 세포, 예를 들어, EB66 오리 세포주, 설치류 세포, 예를 들어, CHO, NS0, SP2/0 및 YB2/0 세포주, 및 인간 세포, 예를 들어, HEK293, PER.C6, CAP, CAP-T, AGE1.HN, Mutz-3 및 KG1 세포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인간 세포주, 특히,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에서 재조합적으로 생성된다. 항-루이스 Y 항체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인간 세포주는 물론 적합한 생성 절차는 WO 2008/028686 A2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NM-H9D8, NM-H9D8-E6 및 NM-H9D8-E6Q1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에서의 발현에 의해 수득된다. 이들 세포주는 도이체 잠룽 폰 미크로오르가니즈멘 운트 젤쿨투렌(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DSMZ)(Inhoffenstraße 7B, 38124 Braunschweig (DE) by Glycotope GmbH, Robert-R
Figure pct00002
ssle-Str. 10, 13125 Berlin (DE))에 부다페스트 조약의 요건에 따라 수탁 번호 DSM ACC2806(NM-H9D8; 2006년 9월 15일 기탁됨), DSM ACC2807(NM-H9D8-E6; 2006년 10월 5일 기탁됨) 및 DSM ACC2856(NM-H9D8-E6Q12; 2007년 8월 8일 기탁됨)로 기탁되었다. NM-H9D8 세포는 높은 정도의 시알릴화, 높은 정도의 양분형 GlycNAc, 높은 정도의 갈락토실화 및 높은 정도의 푸코실화를 갖는 글리코실화 패턴을 제공한다. NM-H9D8-E6 및 NM-H9D8-E6Q12 세포는 푸코실화 정도가 매우 낮다는 것을 제외하고, NM-H9D8 세포의 패턴과 유사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제공한다. 기타 적합한 세포주는 K562로서,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에 존재하는 인간 골수종 백혈병 세포주(ATCC CCL-243), CHO 세포는 물론 상기 언급된 것으로 부터 유래된 세포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CHO 세포, 특히 CHO dhfr- 세포에서 재조합적으로 생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검출가능한 마커 또는 치료학적 활성 물질과 같은 추가 제제에 컨주게이션된 항체를 포함하는 컨주게이트로서 제공된다. 인간화된 항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에 컨주게이션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추가 제제가 컨주게이트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 추가 제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모두 동일하다. 추가 제제의 인간화된 항체로의 컨주게이션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추가 제제는 특히, 융합 또는 화학적 커플링에 의해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항체에 부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추가 제제는 특히 링커 모이어티를 통해 인간화된 항체에 공유적으로 부착된다. 링커 모이어티는 추가 제제를 인간화된 항체에 부착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화학적 실체일 수 있다.
추가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질병, 특히 암의 치료, 진단, 예후 및/또는 모니터링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추가 제제는 방사성핵종, 화학요법제, 항체, 이중특이적 항체 또는 항체 단편, 특히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와 상이한 종 및/또는 상이한 특이성의 것들, 효소, 상호작용 도메인, 검출가능한 라벨, 독소, 세포용해 구성요소, 면역조절제, 면역이펙터,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MHC 클래스 I 또는 클래스 II 항원 및 리포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추가 제제는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이다. 이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은 특히 인간화된 항체의 폴리펩티드 사슬에 융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는 인간화된 항체의 항체 경쇄의 C 말단에 융합된다. 인간화된 항체가 2개의 항체 경쇄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가 2개의 항체 경쇄 각각의 C 말단에 융합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는 인간화된 항체의 항체 중쇄의 C 말단에 융합된다. 인간화된 항체가 2개의 항체 중쇄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가 2개의 항체 중쇄 각각의 C 말단에 융합될 수 있다. 추가 제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인간화된 항체가 하나 이상의 경쇄 및 하나 이상의 중쇄를 포함하지 않는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인간화된 항체가 항체 단편인 경우,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가 인간화된 항체의 폴리펩티드 사슬의 C 말단 또는 N 말단에 융합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이러한 추가 제제의 적합한 예는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항체, 항원 결합 단편, 효소 및 상호작용 도메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는 활성화 신호를 차단 및/또는 유발하는 체크포인트 항체이다. 각각의 표적의 예로는 활성화 표적으로서의 CD40, CD3, CD137(4-1BB), OX40, GITR, CD27, CD278(ICOS), CD154(CD40 리간드), CD270(HVEM) 및 CD258(LIGHT), 억제제 표적으로서의 CTLA4, PD1, CD80, CD244, A2AR, B7-H3 (CD276), B7-H4 (VTCN1), BTLA, IDO, KIR, LAG3, TIM-3, VISTA 및 포스파티딜세린, 및 이들의 각 리간드 예컨대, PDL1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는 종양-관련 항원에 대한 항암 항체이다. 융합 파트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적합한 종양 표적 및 항암 항체는 병용 요법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는 케모카인, 사이토카인 또는 성장 인자와 같은 면역조절 화합물이다. 이와 관련하여 적합한 사이토카인은 인터페론-α, 인터페론-β 및 인터페론-γ와 같은 인터페론 및 IL-15와 같은 인터류킨을 포함한다. 적합한 성장 인자에는 G-CSF 및 GM-CSF가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인 추가 제제는 항원 수용체, 특히 T 세포 수용체 또는 T 세포 보조-수용체, 또는 이의 일부 및/또는 키메라이다. 특히,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막관통 도메인 및 세포내 T-세포 신호전달 도메인에 융합되어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를 형성한다. 세포내 도메인은 특히 하나 이상의 T 세포 수용체 또는 보조-수용체로부터 유래된다. 임의로, CAR은 인간화된 항체와 막관통 도메인 사이의 힌지 영역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특히, 하나의 폴리펩티드 사슬에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사슬 항체 단편, 특히 scFv 단편이다. 힌지 영역은 예를 들어,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구성원의 힌지 영역 또는 막-근위 영역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시적인 힌지 영역은 IgG, CD8 및 CD28로부터 유래된 것들을 포함한다. 막관통 도메인은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소수성 알파 나선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CD28로부터 유래된다. 세포내 T-세포 신호전달 도메인은 특히 T 세포 수용체의 ζ 사슬의 세포질 도메인을 포함한다. 또한, 세포내 T-세포 신호전달 도메인은 T 세포의 공동-자극 단백질의 추가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추가 도메인은 CD28, CD27, CD134(OX40) 및 CD137(4-1BB)로부터의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CAR은 N 말단에서 C 말단으로 (i) scFv 단편 형태의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ii) CD8로부터 유래된 세포외 힌지 영역, (iii) CD28로부터 유래된 막관통 도메인, (iv) CD28로부터 유래된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 및 (v) T 세포 수용체 ζ-사슬로부터 유래된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히 scFv와 같은 단일 사슬 포맷의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형성하기 위해 T 세포 수용체 복합체의 CD3 사슬, 특히 CD3ε 사슬에 N 말단으로 융합될 수 있다. 또는 특히 scFv와 같은 단일 사슬 포맷의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T 세포 또는 NK 세포 상의 천연 발생 또는 조작된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도메인에 융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추가 제제는 세포독성제 또는 화학요법제, 특히 세포독소이다. 추가 제제로서 컨주게이션될 수 있는 화학요법제의 특정 예는 알킬화제, 예컨대 시스플라틴, 항-대사물질, 식물 알칼로이드 및 테르페노이드, 빈카 알칼로이드, 포도필로톡신, 탁산 예컨대, 탁솔,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예컨대, 이리노테칸 및 토포테칸, 항종양제 예컨대, 독소루비신 또는 미세소관 억제제 예컨대, 아우리스타틴 및 메이탄신/메이탄시노이드를 포함한다.
화학요법제는 특히 V-ATPase 억제제, 프로-아폽토시스제, Bcl2 억제제, MCL1 억제제, HSP90 억제제, IAP 억제제, mTor 억제제, 미세소관 안정화제, 미세소관 탈안정화제, 아우리스타틴, 돌라스타틴, 메이탄신, 메이탄시노이드, 아마톡신, 메티오닌 아미노펩티다제, 단백질 CRM1의 핵 이출 억제제, DPPIV 억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미토콘드리아에서 포스포릴 전달 반응의 억제제, 단백질 합성 억제제, 키나제 억제제, CDK2 억제제, CDK9 억제제, 키네신 억제제, HDAC 억제제, 토포아이소머라제 I 억제제, DNA 손상제, DNA 알킬화제, DNA 인터칼레이터, DNA 마이너 그루브 결합제, DHFR 억제제, 미세소관 형성 억제제, 미세소관의 안정화제, 액틴의 안정화제, 토포아이소머라제 II 억제제, 백금 화합물, 리보솜 억제제, RNA 중합효소 II 억제제 및 박테리아 독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아우리스타틴, 메이탄시노이드, 토포아이소머라제 I 억제제, DNA 손상제, DNA 알킬화제 및 DNA 마이너 그루브 결합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요법제는 메이탄신 또는 메이탄시노이드이다. 컨주게이션에 유용한 메이탄시노이드의 특정 예는 메이탄시놀, N2'-데아세틸-N2'-(3-머캅토-1-옥소프로필)-메이탄신(DM1), N2'-데아세틸-N2'-(4-머캅토-1-옥소펜틸)-메이탄신(DM3), 및 N2'-데아세틸-N2'-(4-메틸-4-머캅토-1-옥소펜틸)-메이탄신(DM4)을 포함한다. 특히, DM1 또는 DM4는 항-LeY 항체에 부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아우리스타틴, 특히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F(MMAF),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MMAE) 또는 아우리스타틴 T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DNA 마이너 그루브 결합제, 특히 피롤로벤조디아제핀(PBD),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이량체(PBD 이량체), 듀오카르마이신, 듀오카르마이신-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아자인돌(DUBA), 세코-듀오카르마이신-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아자인돌(seco-DUBA) 또는 독소루비신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DNA 알킬화제, 특히 인돌리노벤조디아제핀 또는 옥사졸리디노벤조디아제핀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DNA 손상제, 특히 칼리케아미신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토포아이소머라제 I 억제제, 특히 캄프토테신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7-에틸-10-하이드록시-캄토테신(SN-38), (S)-9-디메틸아미노메틸-10-하이드록시캄토테신(토포테칸), (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1,2,3,9,12,15-헥사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0H,13H-벤조[데]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디온(엑사테칸((Exatecan)D DX-8951f)) 및 DXd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미세소관 형성 억제제, 특히 튜불리신, 안사미토신, 포도필로톡신 또는 빈블라스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미세소관의 안정화제, 특히 파클리탁셀 또는 에포틸론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액틴의 안정화제, 특히 팔로톡신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토포아이소머라제 II 억제제, 특히 테니포시드, XK469, 라족산, 암사크린, 이다루비신 또는 메바론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플라티늄 화합물, 특히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네다플라틴, 트리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 페난트리플라틴, 피코플라틴 또는 사트라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리보솜 억제제, 특히 리신, 사포린, 아브린, 디프테리아 독소 또는 외독소 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RNA 중합효소 II 억제제, 특히 아마톡신, 예를 들어 아마니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LeY 항체에 부착된 화학요법제는 박테리아 독소, 특히 안트락스 독소이다. 적합한 항체 약물 컨주게이트는 또한 EP 16 151 774.3 및 LU 92659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서 명시적으로 언급된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에 컨주게이션될 수 있는 추가의 적합한 독소는 병용 요법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를 인코딩하는 핵산을 제공한다. 상기 핵산의 핵산 서열은 항체를 인코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핵산 서열은 핵산이 발현될 숙주 세포 또는 유기체의 특정 코돈 사용빈도, 특히 인간 코돈 사용빈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응된다. 핵산은 이중-가닥 또는 단일-가닥 DNA 또는 RNA, 바람직하게는 이중-가닥 DNA 예컨대, cDNA 또는 단일-가닥 RNA 예컨대, mRNA일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연속적인 핵산 분자일 수 있거나 여러 핵산 분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인간화된 항체의 다른 부분을 코딩한다.
인간화된 항체가 하나 초과의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 예컨대 경쇄 및 중쇄로 구성되는 경우, 핵산은 예를 들어, 별도의 아미노산 서열을 생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IRES 요소와 같은 조절 요소에 의해 분리된 항체의 아미노산 사슬 중 하나를 각각 코딩하는 여러 코딩 영역을 함유하는 단일 핵산 분자일 수 있거나, 핵산은 여러 핵산 분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각 핵산 분자는 항체의 아미노산 사슬 중 하나를 각각 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코딩 영역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핵산은 2A 펩티드와 같은 자가-절단 펩티드 및/또는 푸린 인식 부위와 같은 프로테아제 인식 부위를 함유하는 링커 펩티드에 의해 분리되는 중쇄 및 경쇄를 인코딩하는 하나의 코딩 영역을 함유하는 단일 핵산 분자일 수 있다. 인간화된 항체를 인코딩하는 코딩 영역에 더하여, 핵산은 또한 예를 들어, 다른 단백질을 코딩할 수 있거나, 코딩 영역(들)의 전사 및/또는 번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핵산의 안정성 또는 다른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전혀 기능을 갖지 않을 수 있는 추가의 핵산 서열 또는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핵산은 인간 세포의 감염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이러스 벡터이다. 이러한 바이러스 벡터는 예를 들어, 종양 세포와 같은 질병 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감염 및/또는 복제를 지시함으로써 인간 치료에 적합할 수 있거나, 인간화된 항체가 CAR T 세포를 수득하기 위해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구현예에서 T 세포를 변형시킬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및 상기 핵산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는 추가의 요소, 특히 핵산의 전사 및/또는 번역,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의 증폭 및/또는 재생,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의 숙주 세포 유전체 내로의 통합, 및/또는 숙주 세포에서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의 카피 수에 영향을 미치고/거나 조절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항체를 발현시키기 위한 각각의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적합한 발현 카세트 및 벡터는 종래 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 추가의 기재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숙주 세포는 임의의 숙주 세포일 수 있다. 이는 분리된 세포 또는 조직에 포함된 세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숙주 세포는 배양 세포, 특히, 1차 세포 또는 확립된 세포주의 세포, 바람직하게는 종양-유래 세포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박테리아 세포, 예를 들어, E. 콜리, 효모 세포,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세포, 특히, S. 세레비시애(S. cerevisiae), 곤충 세포, 예를 들어, Sf9 세포, 또는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세포, 예를 들어, 종양-유래된 인간 세포, 햄스터 세포, 예를 들어, CHO, 또는 영장류 세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숙주 세포는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하기 세포 또는 세포주로부터 선택된다: K562, KG1, MUTZ-3, CHO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 또는 세포주, 또는 상기 언급된 세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포 또는 세포주의 혼합물. 숙주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NM-H9D8, NM-H9D8-E6, NM H9D8-E6Q12, 및 상기 숙주 세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된 세포 또는 세포주, 또는 상기 언급된 세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포 또는 세포주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세포주 및 이들의 특성은 PCT 출원 WO 2008/028686 A2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숙주 세포는 특이적 글리코실화 패턴을 갖는 글리코단백질, 특히, 항체의 발현에 최적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핵산의 코딩 영역에서의 코돈 사용 및/또는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의 프로모터 및 추가의 요소는 사용된 숙주 세포 유형과 양립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에 최적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화된 항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숙주 세포 또는 세포주에 의해 생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화된 항체, 핵산,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숙주 세포, 또는 컨주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조성물은 또한 이들 성분 중 하나 초과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용매, 희석제 및 부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조성물의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약학적으로 허용된다. 조성물은 고체 또는 유체 조성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성-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 또는 동결건조된 분말일 수 있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또는 이의 컨주게이트는 특히 의약, 특히 질병, 특히 본원에 기술된 질병, 예를 들어 암 및 감염, 바람직하게는 암의 치료, 진단, 예후 및/또는 모니터링에 유용하다. 따라서,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의약에 사용하기 위한 인간화된 항체, 핵산,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숙주 세포, 컨주게이트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의약에서의 용도는 질병, 예를 들어, 비정상 세포 성장과 관련된 질병, 예컨대, 암 또는 감염성 질환의 치료, 예후, 진단 및/또는 모니터링에서의 용도이다. 특히 감염성 질환은 바이러스 감염 및 박테리아 감염, 특히 표면에 루이스 Y를 운반하는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감염은 헬리코박터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질환은 암, 특히 상피암, 특히 진행성 상피암이다. 바람직하게는, 암은 폐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유방암, 난소암, 위암, 백혈병, 예컨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림프종 예컨대, 다발성 골수종, 두경부암, 췌장암, 간암, 전립선암 및 방광암, 특히 비소세포폐암, 결장암, 유방암 및 난소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치료될 질병은 암과 같은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과 관련된 질병이다. 암은 루이스 Y 양성이며, 특히 세포 표면에 루이스 Y를 운반하는 암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는 또 다른 항암 치료제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추가 치료제는 임의의 공지된 항암 약물일 수 있고, 특히 암 항원에 대한 항체일 수 있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와의 조합에 적합한 항체는 항-EGFR 항체, 예컨대 세툭시맙(cetuximab)(Erbitux), 토무조툭시맙(tomuzotuximab), 파니투모맙(panitumomab)(Vectibix) 및 니모투주맙(nimotuzumab)(Theraloc), 항-HER2 항체, 예컨대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Herceptin), 티미구투주맙(timigutuzumab) 및 퍼투주맙(pertuzumab); 항-VEGF 항체, 예컨대 베바시주맙(Avastin) 및 바누지주맙; 항-CD52 항체, 예컨대 알렘투주맙(alemtuzumab)(Campath); 항-CD30 항체, 예컨대 브렌툭시맙(brentuximab)(Adcetris); 항-CD33 항체, 예컨대 겜투주맙(gemtuzumab)(Mylotarg); 항-CD20 항체, 예컨대 리툭시맙(rituximab)(Rituxan, Mabthera), 토시투모맙(tositumomab)(Bexxar) 및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Zevalin); 항-CTLA4 항체, 예컨대 이필리무맙(ipilimumab) 및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항-PD1/PD-L1 항체 예컨대,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니볼루맙(nivolumab),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및 아벨루맙(avelumab), TNF 및 TNFR 수퍼패밀리 구성원에 대한 항체, 예컨대 우렐루맙(urelumab), MEDI6469, TRX518 및 바리루맙(varilumab); CSF1R 항체, 예컨대 에막투주맙(emactuzumab); 항-B7-H3 항체, 예컨대 에노블리투주맙(enoblituzumab); 항-LAG3 항체; 항-4-1BB 항체; 항-ICOS 항체; 및 항-OX-40 항체를 포함한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및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항체와 조합될 수 있는 추가 항암 치료제는 탁산, 예컨대 파클리탁셀(Taxol), 도세탁셀(Taxotere) 및 SB-T-1214;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라파티닙; 엘로티닙; 이마티닙; 파조파닙; 카페시타빈; 시타라빈; 비노렐빈; 젬시타빈; 안트라사이클린, 예컨대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발루비신 및 미톡산트론; 아로마타제 억제제, 예컨대 아미노글루테티미드, 테스토락톤(Teslac),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Arimidex), 레트로졸(letrozole) (Femara), 엑세메스탄(exemestane) (Aromasin), 보로졸(vorozole) (Rivizor), 포르메스탄(formestane) (Lentaron), 파드로졸(fadrozole) (Afema), 4-하이드록시안드로스텐디온, 1,4,6-안드로스타트리엔-3,17-디온(ATD) 및 4-안드로스텐-3,6,17-트리온(6-OXO);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예컨대 이리노테칸, 토포테칸, 캄프토테신, 라멜라린 D, 에토포시드(VP-16), 테니포시드,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미톡산트론, 암사크린, 엘립티신, 아우린트리카르복실산 및 HU-331; 플라티늄 기반 화학요법제, 예컨대 시스-디암민디클로로플라티늄(II)(시스플라틴), 시스-디암민(1,1-사이클로부탄디카르복실라토)플라티늄(II)(카르보플라틴) 및 [(1R,2R)-사이클로헥산-1,2-디아민](에탄디오아토-O,O')플라티늄(II)(옥살리플라틴); 항대사물질, 특히 항엽산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페메트렉시드, 랄티트렉시드 및 프랄라트렉세이트, 피리미딘 유사체 예컨대, 플루오로우라실, 젬시타빈, 플록수리딘, 5-플루오로우라실 및 테가푸르-우라실, 및 퓨린 유사체; 및 효소 폴리 ADP 리보스 폴리머라제의 억제제(PARP 억제제), 예컨대 올라파립, 루카파립, 니라파립 및 탈라조파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적합한 독소는 인간화된 항체에 컨주게이션될 수 있는 제제에 대해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로의 처리는 면역자극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방사선 요법, 백신 예컨대, 단백질, 펩티드 또는 RNA 백신, B-Raf 억제제, 예컨대 베무라페닙, 덱사메타손,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컨대 보르테조밉, 및 레날리도미드와 추가로 조합될 수 있다.
세포가 루이스 Y를 발현하는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인간화된 항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추가 제제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성핵종 또는 세포독소와 같은 세포독성 제제이다. 예시적인 세포독성 제제는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세포독성 제제는 또한 활성화 시, 예를 들어 광의 조사 또는 신체 내부의 효소 반응에 의해서만 세포독성 활성을 발생시키는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항암 치료제 중 하나 이상이 또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에 커플링하기 위한 추가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간화된 항체는 환자의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는 능력, 특히 ADCC(항체 의존 세포 매개 세포 독성) 및/또는 CDC(보체 의존 세포독성)를 활성화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항체, 특히 이의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및/또는 글리코실화 패턴을 최적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질병의 진단, 예후 및/또는 모니터링에서 검출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인간화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검출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라벨링 제제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라벨링 제제는 방사성핵종, 형광단 또는 효소일 수 있다.
도면
도 1은 루이스 탄수화물 항원 계열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루이스 항원은 GlcNAc 모노사카라이드에 대한 알파 1-3(루이스 X, Y) 또는 알파 1-4(루이스 A, B) 결합으로 푸코스를 운반하는 관련 글리칸 세트이다.
도 2는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다양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를 루이스 Y, 루이스 b 및 글로보 H에 대한 이들의 결합에 대해 시험하였다. 높은 O.D. 신호는 항원에 대한 항체의 강한 결합을 나타낸다. A: 25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루이스 Y(LeY), 루이스 b(Leb) 및 글로보 H에 대한 결합. B: 25 ng/mL 및 12.5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루이스 Y에 대한 결합. C: 100 ng/mL, 50 ng/mL 및 25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루이스 b에 대한 결합. D: 100 ng/mL, 50 ng/mL 및 25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글로보 H에 대한 결합. 대조군(ctrl. +): 모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A9.
도 3는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루이스 Y(A) 및 루이스 b(B)에 대한 다양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에 대한 결합 곡선이 결정되었다. 대조군 1(ctrl. + AA9): 모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A9. 대조군 2(ctrl. + 사슬 셔플링):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A9의 중쇄 및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CC8의 경쇄를 포함하는 사슬 셔플링 항체.
도 4는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루이스 Y 및 루이스 b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AA9-3-10.1에 대한 결합 곡선을 결정하였다. 대조군(ctrl. +): 모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A9.
도 5는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다양한 탄수화물 항원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AA9-3-10.1(인간화된 AA9) 및 모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A9(키메라 AA9)의 결합을 50 ng/mL의 항체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도 6은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AA9-3-10의 다양한 서열-최적화된 버전을 루이스 Y 및 루이스 b에 대한 이들의 결합에 대해 시험하였다. 높은 O.D. 신호는 항원에 대한 항체의 강한 결합을 나타냅니다. A: 50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루이스 Y(LeY) 및 루이스 b(Leb)에 대한 결합. B: 50 ng/mL 및 25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루이스 Y에 대한 결합. C: 100 ng/mL 및 50 ng/mL에서 항체 변이체의 루이스 b에 대한 결합. 대조군(pos.-ctrl.-Set2 128+129): 모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AA9.
도 7는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다양한 항-루이스 Y 항체는 루이스 Y 및 기타 관련 탄수화물 항원에 대한 이들의 결합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특이성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A: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AA9-3-10.1; B: 항-루이스 Y 항체 h3S193; C: 항-루이스 Y 항체 BR96.
도 8은 항원 ELISA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루이스 Y에 대한 항-루이스 Y 항체 AA9-3-10.1, h3S193 및 BR96의 결합 곡선을 결정하였다.
도 9는 종양 세포주 Ls-174T, T-47D, H9D8 및 Colo-205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 BR96 및 h3S193(hIgG1로서)의 결합을 보여준다. 무관한 hIgG1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결합은 총 생세포의 항체-양성 세포의 백분율로 보고된다.
도 10은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 BR96 및 h3S193(mIgG1로서)의 5명의 건강한 기증자로부터 분리된 백혈구에 대한 결합을 보여준다. 무관한 hIgG1을 기준으로서 사용하였다. 과립구, 림프구 및 단핵구에 대한 결합은 중간 형광 강도(MFI)로 보고된다.
도 11은 다양한 종양 세포주를 사용한 독소-커플링된, AA9-3-10.1(hIgG1로서) 및 아이소형 대조군의 증식 억제 실험을 보여준다. 증식은 배지 대조군에 대한 증식 백분율로 보고된다.
실시예
실시예 1: 항-LeY 항체의 뮤린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의 인간화
2개의 모노클로날 항-LeY 항체의 뮤린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AA9: SEQ ID NO: 30 및 31; CC8: SEQ ID NO: 32)을 인간 상수 γ1 영역(CH) 및 인간 불변 κ 영역(CL)의 게놈 서열에 각각 결찰시켰다.
이러한 키메라 클론을 기반으로 하여 인간화된 항체를 작제하였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VH 및 VL의 뮤린 프레임워크 영역의 핵산 서열에 점 돌연변이를 도입하였다. 표적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은 인간 생식계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하였다. 특히, 가장 관련된 프레임워크 영역을 이들의 전체 서열 유사성 및 이들의 CDR 루프 분류에 따라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하였다. 수득된 모든 데이터는 두 모 뮤린 항체의 인간화된 가변 경쇄 및 가변 중쇄의 다양한 가변 서열 세트를 디자인하기 위해 고려되었다. 변이체 중 일부는 중요한 위치에서 뮤린 서열에 대한 역돌연변이를 함유한다. 경쇄 가변 영역의 인간화된 변이체를 κ-사슬 벡터에 클로닝하고 중쇄 가변 영역의 인간화된 변이체를 γ1-사슬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수득된 중쇄 및 경쇄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는 항체를 생성하고, 이들의 발현 및 LeY 결합 프로파일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추가 분석을 위해 하기 인간화된 항체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선택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3
실시예 2 : 다양한 탄수화물 항원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의 결합
NM-H9D8 세포에서 다양한 작제물의 발현 후,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의 역가를 결정하고 이들의 농도를 조정하였다. 그런 다음, 인간화된 항체는 루이스 Y, 루이스 b 및 글로보 H에 대한 결합에 대해 항원 ELISA에서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항원(폴리아크릴아미드에 커플링됨)을 96-웰 MaxiSorp 플레이트(Nunc ThermoScientific)에 밤새 코팅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고, 테스트 샘플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후 항-인간 IgG-Fc POD 2차 항체를 첨가한 후 TMB 기질 반응을 진행하였다. 결합된 항체는 EnSpire 2300 다중라벨 판독기(PerkinElmer)를 사용하여 450/630 nm에서 또는 Tecan SPARK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50/620 nm에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모든 변이체는 모 키메라 항체의 것과 유사한 루이스 Y에 상당한 결합을 보였다. 또한, 글로보 H에 대한 결합은 모든 항체에 있어서 음성이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선별된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는 루이스 b에 대해 현저하게 감소된 교차-반응성을 보였다(도 2, 3 및 4 참조).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 AA9-3-6(VL3 및 VH6 포함), AA9-3-9(VL3 및 VH9 포함), AA9-3-10(VL3 및 VH10 포함) 및 CC8-1-11(VL1 및 VH11 포함)를 이들의 미세 특이성에 대해 루이스 Y, Galα1,2-Gal 및 β-N-아세틸-D-글루코사민-6-설페이트를 사용한 항원 ELISA를 사용하여 추가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인간화된 항체는 루이스 Y에 대해 강력하고 고도로 특이적인 결합을 나타내었지만, 다른 탄수화물 항원에 대해서는 현저한 결합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음 탄수화물 항원에 대한 결합은 50 ng/mL의 항체 농도에서 테스트하였다(또한 도 5 참조):
표 2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실시예 3: 항체 AA9-3-10을 기반으로 하는 추가의 인간화 변이체의 생성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 AA9-3-10(VL3 및 VH10 포함)은 인간화된 VH 서열의 추가 최적화를 위한 최상의 후보로서 선택하였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기 인간화된 항체를 생성하였다:
표 3
Figure pct00006
루이스 Y 및 루이스 b에 대한 이들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의 결합을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석하였다. 모든 항체 변이체는 루이스 Y에 강하고 고도로 특이적인 결합을 보인다. 루이스 b에 대한 유의한 결합은 검출되지 않았다(도 6 참조).
실시예 4: 인간화된 변이체 AA9-3-10.1과 알려진 항-LeY 항체의 항원 결합 및 특이성의 비교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 AA9-3-10.1의 다양한 밀접하게 관련된 탄수화물 항원(βD-갈락토스, 루이스 b, 루이스 X, 3'-O-su-루이스 X, 락토-N-테트라오스 (LNT), Neu5Acα2-5Galβ 및 루이스 Y)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공지된 항체 h3S193 및 BR96의 것과 비교하였다.
간략하게는, 항원(폴리아크릴아미드에 커플링됨)을 96-웰 MaxiSorp 플레이트(Nunc ThermoScientific)에 밤새 코팅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고, 테스트 샘플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후 항-인간 IgG (H+L) POD 2차 항체를 첨가한 후 TMB 기질 반응을 진행하였다. 결합된 항체는 EnSpire 2300 다중라벨 판독기(PerkinElmer)를 사용하여 450/630 nm에서 또는 Tecan SPARK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50/620 nm에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 AA9-3-10.1은 루이스 Y에 대한 더 강한 결합과 현저하게 개선된 특이성을 보여준다. 루이스 Y에 대한 h3S193의 결합은 낮은 항체 농도에서 훨씬 더 낮고 BR96은 βD-갈락토스 및 루이스 X에 대한 현저한 결합을 보여준다. 또한, h3S193과 BR96 둘 모두는 더 높은 농도에서 Neu5Acα2-5Galβ에 결합한다(도 7 및 8 참조).
결합 상수 및 친화도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은 DRX2 기기(Dynamic Biosensors)의 칩에 스포팅된 단일 가닥 DNA(96mer)와 리간드에 결합된 상보적 DNA를 사용한 형광 근접 감지이다. 본 연구에서, 스트렙타비딘은 비오티닐화된 폴리아크릴아미드-결합된 루이스 Y 또는 루이스 b를 포획하기 위한 리간드로서 사용되었다. 항원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변이체 AA9-3-10.1 또는 경쟁자의 항-루이스 Y 항체의 결합은 형광 변화를 발생시켰다. 회합 및 해리 중에 온 및 오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AA9-3-10.1 및 경쟁자의 항-LeY 항체를 PE140 완충액에서 300, 60 및 12 nM로 희석하고, 칩-결합 항원에 적용하였다. 루이스 b에서 AA9-3-10.1을 사용한 실험에 있어서, 매우 낮은 신호가 예상되었기 때문에 3000, 600 및 120 nM을 사용하였다. 결합 곡선은 단일 지수 전역 맞춤(mono-exponential global fit)(기기 소프트웨어)으로 평가되었다. 더 높은 감도로 인해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에 비해 더 빠른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SPR과는 상이하지만, 액체 시스템에서 측정시 "골드 표준" 방법 KinExA와 더욱 유사한 결합 동역학을 발생시켰다.
결합 검정은 루이스 Y에 대한 AA9-3-10.1의 강하고 고도로 특이적인 결합을 보여주었다. 데이터는 ELISA 검정의 결과를 확인시켜주었다.
표 4
Figure pct00007
n.d: 결정 불가능
실시예 5 : 인간화된 변이체 AA9-3-10.1과 공지된 항-LeY 항체의 종양 세포 결합의 비교
인간 암세포주 Ls-174T, T-47D, H9D8 및 Colo-205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 BR96 및 3S193(모두 hIgG1으로서)의 결합 특성은 유세포분석기에 의해 분석하였다. 무관한 hIgG1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종양 세포를 수확하고 암실에서 4℃에서 연속 희석으로 표시된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세포를 세척하고 암실에서 4℃에서 2차 염소 항-hIgG PE-컨주게이션된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추가 세척 단계 후, 생세포와 사세포를 구별하기 위해 세포를 DAPI로 염색하고 유세포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은 루이스 Y-양성 세포주 Ls-174T 및 T-47D에 농도 의존적 결합을 보였고 루이스 Y-음성 세포주 H9D8 및 Colo-205에 대한 결합을 보이지 않은 반면, 경쟁자 항-루이스 Y 항체 BR96 및 3S193은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보다 모든 4개의 종양 세포주에 더 강한 결합을 보였다(도 9 참조). BR96과 3S193의 더 강한 결합은 교차 반응성 때문일 가능성이 가장 컸다. 예를 들어, Colo-205는 루이스 Y에 대해서는 음성이지만(Westwood et al., 2005), 루이스 b에 대해서는 양성인 것으로 기술된다(Noble et al., 2013).
실시예 6: 인간화된 변이체 AA9-3-10.1과 공지된 항-LeY 항체의 혈액 세포 결합의 비교
백혈구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 BR96 및 h3S193(mIgG1으로서)의 결합은 유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원자 5명의 전혈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 적혈구를 용해시키고 남은 백혈구를 표시된 항체[10 μg/ml]와 함께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무관한 mIgG1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후, 세포를 세척하고, 실온에서 2차 항-mIgG AF647-컨주게이션된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단계 후, 실온에서 세포를 항-인간 CD45 PacificBlue-컨주게이션된 항체로 염색하였다. 추가 세척 단계 후, 유세포 분석을 통해 세포를 분석하였다. 면역 세포 하위집단, 과립구, 단핵구 및 림프구는 이들의 CD45 발현 및 입도로 구별되었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은 백혈구 하위 집합에 대해서는 결합이 없거나 단지 약한 반면, BR96은 과립구에 강하게 결합하고, 3S193은 과립구, 림프구 및 단핵구에 결합한다(도 10 참조). 이는 종양 세포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의 우수한 특이성과 정상 조직 세포와의 이들의 매우 낮은 교차-반응성을 보인다.
실시예 7 : 독소에 결합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을 사용한 다양한 종양 세포주의 증식 억제
종양 세포 사멸을 위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해, 상이한 종양 세포주를 사용한 증식 억제 검정을 수행하였다. 세포독소로서 MMAE는 항체에 결합하여 항체 독소 컨주게이트를 형성하는 단백질 G에 결합되었다.
세포주 Ls-174T, T-47D, MCF-7(CSC-풍부화됨), Ovcar-3 및 HSC-4를 96-웰 편평 바닥 플레이트에서 웰당 5,000개 세포로 배양 배지에 시딩하고, 4일 동안 지시된 농도의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hIgG1로서) 또는 무관한 이이소타입 대조군 및 ProtG-MMAE의 존재하에 인큐베이션하였다. 살아 있는 세포의 수는 시중의 CellTiter 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증식 백분율은 배지 단독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독소-결합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은 항체의 효과적인 내재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루이스 Y-발현 종양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도 11 참조).
실시예 8: 다양한 암 유형으로부터의 다양한 종양 조직의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로의 면역조직화학 염색
다양한 암 징후에 대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의 결합을 면역조직화학으로 분석하였다. 간략하게는, 유방암(BRC), 비소세포폐암종(NSCLC), 결장암종(CRC), 두경부암(HNC), 소세포폐암(SCLC) 및 난소암종(OvCa)으로부터의 조직 마이크로어레이 슬라이드를 파라핀 제거하고, 내림차순 알콜 계열에서 재수화하였다. 항원 검색 후, 내인성 퍼옥시다제 및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였다. 2차 항체 Envision Flex 항-마우스 Ig-HRP 및 DAB+ 염색 용액을 사용하여 mIgG1[6.5 μg/ml]로서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의 결합을 검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를 메이의 헤마톡실린(Mayer's Haematoxylin)으로 대조염색하고, 탑재하고, 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의 결합은 염색 강도(범위 0-3)에 염색된 세포의 백분율(범위 0-4)을 곱하여 계산되는 면역반응성 스코어(IRS; 범위 0-12)를 사용하여 보고된다.
인간화된 항-루이스 Y 항체 변이체 AA9-3-10.1은 높은 비율의 경우로 유방암(BRC), 비소세포 폐암종(NSCLC), 결장암종(CRC), 두경부암(HNC), 소세포 폐암종(SCLC) 및 난소 암종(OVCa)의 종양 조직을 염색한다.
표 5
Figure pct00008
서열 목록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기탁된 생물학적 물질의 확인
세포주 DSM ACC 2806, DSM ACC 2807 및 DSM ACC 2856은 하기 표에 표시된 날짜에 Glycotope GmbH(Robert-R
Figure pct00011
ssle-Str. 10, 13125 Berlin (DE))에 의해 DSMZ -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Inhoffenstraße 7B, 38124 Braunschweig (DE))에 기탁되었다.
Figure pct00012
SEQUENCE LISTING <110> Glycotope GmbH <120>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Lewis Y <130> 63 136 K <150> EP 20 183 237.5 <151> 2020-06-30 <160> 32 <170> BiSSAP 1.3.6 <210> 1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1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Met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2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2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Met Thr Val Asp Thr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3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3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Met Thr Val Asp Thr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4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4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Arg Val Thr Met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5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5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Met Thr Thr Asp Thr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6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6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Met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7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7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Met Asp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As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Met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8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8 Lys Val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Met Asp Trp Val Lys Gln Thr Pro Gly Lys Ser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As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9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9 Lys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Met Asp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As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Leu Thr Thr Asp Thr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10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Gln or Lys <220> <221> VARIANT <222> 9 <223> Xaa is Ala or Pro <220> <221> VARIANT <222> 12 <223> Xaa is Lys or Val <220> <221> VARIANT <222> 34 <223> Xaa is Ile or Met <220> <221> VARIANT <222> 38 <223> Xaa is Arg or Lys <220> <221> VARIANT <222> 40 <223> Xaa is Thr or Ala <220> <221> VARIANT <222> 43 <223> Xaa is Lys or Gln <220> <221> VARIANT <222> 44 <223> Xaa is Gly or Ser <220> <221> VARIANT <222> 55 <223> Xaa is Gln or Asn <220> <221> VARIANT <222> 67 <223> Xaa is Lys or Arg <220> <221> VARIANT <222> 68 <223> Xaa is Ala or Val <220> <221> VARIANT <222> 70 <223> Xaa is Met or Leu <220> <221> VARIANT <222> 72 <223> Xaa is Val or Thr <220> <221> VARIANT <222> 74 <223> Xaa is Lys or Thr <400> 10 Xaa Val Gln Leu Val Gln Ser Gly Xaa Glu Val Xaa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Xaa Asp Trp Val Xaa Gln Xaa Pro Gly Xaa Xaa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Xaa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Xaa Xaa Thr Xaa Thr Xaa Asp Xaa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11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220> <221> VARIANT <222> 9 <223> Xaa is Ala or Pro <220> <221> VARIANT <222> 12 <223> Xaa is Lys or Val <220> <221> VARIANT <222> 40 <223> Xaa is Thr or Ala <220> <221> VARIANT <222> 43 <223> Xaa is Lys or Gln <220> <221> VARIANT <222> 67 <223> Xaa is Lys or Arg <220> <221> VARIANT <222> 68 <223> Xaa is Ala or Val <220> <221> VARIANT <222> 72 <223> Xaa is Val or Thr <220> <221> VARIANT <222> 74 <223> Xaa is Lys or Thr <400> 11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Xaa Glu Val Xaa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Ile Asp Trp Val Arg Gln Xaa Pro Gly Xaa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Xaa Xaa Thr Met Thr Xaa Asp Xaa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Arg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1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H1 <400> 12 Asp Tyr Asn Ile Asp 1 5 <210> 1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H1 <400> 13 Asp Tyr Asn Met Asp 1 5 <210> 1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H2 <400> 14 Tyr Ile Tyr Pro Tyr Gl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Ser <210> 15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H2 <400> 15 Tyr Ile Tyr Pro Tyr As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Ser <210> 1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H3 <400> 16 Gln Leu Gly Pro Gly Thr Phe 1 5 <210> 17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17 Asp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His Gly 20 25 30 Asn Gly Lys Thr Tyr Leu Asn Trp Leu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eu Val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Leu Gln Ala 85 90 95 Thr His Phe Pro Leu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8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18 Asp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Thr Se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His Gly 20 25 30 Asn Gly Lys Thr Tyr Leu Asn Trp Leu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eu Val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Leu Gln Ala 85 90 95 Thr His Phe Pro Leu Thr Phe Gly Ala Gly Ala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9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19 Asp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Thr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n Ser Tyr Leu Asp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Gln Leu Leu Ile Tyr Glu Val Ser Lys Arg Asn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Arg 85 90 95 Thr His Leu Pro Leu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0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20 Asp Ile Val Leu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Thr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n Ser Tyr Leu Asp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Gln Leu Leu Ile Tyr Glu Val Ser Lys Arg Asn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Lys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Arg 85 90 95 Thr His Leu Pro Leu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1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21 Asp Ile Val Leu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Thr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n Ser Tyr Leu Asp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Leu Gln Leu Leu Ile Tyr Glu Val Ser Lys Arg Asn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Arg 85 90 95 Thr His Leu Pro Leu Thr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2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is Met or Leu <220> <221> VARIANT <222> 19 <223> Xaa is Ala or Thr <220> <221> VARIANT <222> 24 <223> Xaa is Lys or Thr <220> <221> VARIANT <222> 30 <223> Xaa is Leu or Val <220> <221> VARIANT <222> 32 <223> Xaa is Gly or Ser <220> <221> VARIANT <222> 35 <223> Xaa is Lys or Asn <220> <221> VARIANT <222> 36 <223> Xaa is Thr or Ser <220> <221> VARIANT <222> 39 <223> Xaa is Asn or Asp <220> <221> VARIANT <222> 41 <223> Xaa is Leu or Tyr <220> <221> VARIANT <222> 49 <223> Xaa is Pro or Leu <220> <221> VARIANT <222> 50 <223> Xaa is Lys or Gln <220> <221> VARIANT <222> 55 <223> Xaa is Leu or Glu <220> <221> VARIANT <222> 58 <223> Xaa is Asn or Lys <220> <221> VARIANT <222> 59 <223> Xaa is Leu or Arg <220> <221> VARIANT <222> 60 <223> Xaa is Glu or Asn <220> <221> VARIANT <222> 74 <223> Xaa is Thr or Lys <220> <221> VARIANT <222> 88 <223> Xaa is Val or Leu <220> <221> VARIANT <222> 94 <223> Xaa is Leu or Phe <220> <221> VARIANT <222> 96 <223> Xaa is Ala or Arg <220> <221> VARIANT <222> 99 <223> Xaa is Phe or Leu <220> <221> VARIANT <222> 105 <223> Xaa is Gln or Ala <220> <221> VARIANT <222> 107 <223> Xaa is Thr or Ala <400> 22 Asp Ile Val Xaa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Xaa Ser Ile Ser Cys Xaa Ser Ser Gln Ser Leu Xaa His Xaa 20 25 30 Asn Gly Xaa Xaa Tyr Leu Xaa Trp Xaa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Xaa Xaa Leu Leu Ile Tyr Xaa Val Ser Xaa Xaa Xaa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Xaa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Xaa Gly Val Tyr Tyr Cys Xaa Gln Xaa 85 90 95 Thr His Xaa Pro Leu Thr Phe Gly Xaa Gly Xaa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3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220> <221> VARIANT <222> 19 <223> Xaa is Ala or Thr <220> <221> VARIANT <222> 88 <223> Xaa is Val or Leu <220> <221> VARIANT <222> 105 <223> Xaa is Gln or Ala <220> <221> VARIANT <222> 107 <223> Xaa is Thr or Ala <400> 23 Asp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Ser Val Thr Pro Gly 1 5 10 15 Gln Pro Xaa Se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His Gly 20 25 30 Asn Gly Lys Thr Tyr Leu Asn Trp Leu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eu Val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Xaa Gly Val Tyr Tyr Cys Leu Gln Ala 85 90 95 Thr His Phe Pro Leu Thr Phe Gly Xaa Gly Xaa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4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L1 <400> 24 Lys Ser Ser Gln Ser Leu Leu His Gly Asn Gly Lys Thr Tyr Leu Asn 1 5 10 15 <210> 25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L1 <400> 25 Thr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Asn Gly Asn Ser Tyr Leu Asp 1 5 10 15 <210> 2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L2 <400> 26 Leu Val Ser Asn Leu Glu Ser 1 5 <210> 2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L2 <400> 27 Glu Val Ser Lys Arg Asn Ser 1 5 <210> 2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L3 <400> 28 Leu Gln Ala Thr His Phe Pro Leu Thr 1 5 <210> 2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R-L3 <400> 29 Phe Gln Arg Thr His Leu Pro Leu Thr 1 5 <210> 30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30 Lys Val Lys Leu Gln Gln Ser Gly Pro Asp Leu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Asn Met Asp Trp Val Lys Gln Thr His Ala Lys Ser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Tyr Pro Tyr Asn Gly Tyr Ser Asp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Ser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His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Ile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Leu Gly Pro Gly Thr Phe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115 <210> 31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31 Asp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eu Thr Leu Ser Val Thr Ile Gly 1 5 10 15 Gln Pro Thr Se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His Gly 20 25 30 Asn Gly Lys Thr Tyr Leu Asn Trp Leu Leu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eu Val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Leu Gln Ala 85 90 95 Thr His Phe Pro Leu Thr Phe Gly Ala Gly Ala Lys Leu Glu Leu Lys 100 105 110 <210> 32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32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Leu Phe Leu His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Thr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n Ser Tyr Leu Asp Trp His Leu Gln Lys Ser Asp Gln Ser 35 40 45 Leu Gln Leu Leu Ile Tyr Glu Val Ser Lys Arg Asn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Lys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Pro Glu Asp Leu Gly Ile Tyr Tyr Cys Phe Gln Arg 85 90 95 Thr His Leu Pro Leu Thr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Claims (23)

  1. 루이스 Y에 결합할 수 있고,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로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12 또는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H1, SEQ ID NO: 14 또는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H2 및 SEQ ID NO: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H3, 특히 SEQ ID NO: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H1, SEQ ID NO: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H2 및 SEQ ID NO: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H3을 포함하는, 항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1 내지 9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 특히 SEQ ID NO: 1 내지 6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24 또는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L1, SEQ ID NO: 26 또는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L2 및 SEQ ID NO: 28 또는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L3, 특히 SEQ ID NO: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L1, SEQ ID NO: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L2 및 SEQ ID NO: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CDR-L3을 포함하는, 항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17 내지 21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 특히 SEQ ID NO: 17 및 18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SEQ ID NO: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c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체.
  11. 제10항에 있어서, IgG1-타입, IgG2-타입, IgG3-타입 또는 IgG4-타입 항체인, 항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이스 Y에는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지만 루이스 b에는 결합할 수 없는, 항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를 인코딩하는 핵산.
  14. 제13항에 따른 핵산 및 상기 핵산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15. 제13항에 따른 핵산 또는 제14항에 따른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16. 추가의 제제에 컨주게이션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를 포함하는 컨주게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추가 제제가 세포독성제, 종양-특이적 항체 또는 면역 체크포인트 차단 또는 활성화 항체인, 컨주게이트.
  18. 제16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인, 컨주게이트.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13항에 따른 핵산, 제14항에 따른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제15항에 따른 숙주 세포 또는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주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매, 희석제 및 부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21. 의약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주게이트 또는 제20항에 따른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암, 감염 또는 면역결핍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항체, 컨주게이트 또는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암이 폐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유방암, 난소암, 위암,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두경부암, 췌장암, 간암, 전립선암 및 방광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체, 컨주게이트 또는 조성물.
KR1020237001617A 2020-06-30 2021-06-29 루이스 y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KR20230030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3237 2020-06-30
EP20183237.5 2020-06-30
PCT/EP2021/067767 WO2022002887A1 (en) 2020-06-30 2021-06-29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lewis 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626A true KR20230030626A (ko) 2023-03-06

Family

ID=7140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17A KR20230030626A (ko) 2020-06-30 2021-06-29 루이스 y에 대한 인간화된 항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35076A1 (ko)
EP (1) EP4171749A1 (ko)
JP (1) JP2023530720A (ko)
KR (1) KR20230030626A (ko)
CN (1) CN115916349A (ko)
AU (1) AU2021298824A1 (ko)
WO (1) WO20220028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1628D0 (en) * 2001-05-11 2001-07-04 Scancell Ltd Binding member
BRPI0716997B8 (pt) 2006-09-10 2021-05-25 Glycotope Gmbh proteína ou composição de moléculas de proteína, métodos para produção e uso da mesma
LU92659B1 (en) 2015-02-23 2016-08-24 Glycotope Gmbh Glycooptimized antibody drug conjug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5076A1 (en) 2023-07-27
WO2022002887A1 (en) 2022-01-06
CN115916349A (zh) 2023-04-04
EP4171749A1 (en) 2023-05-03
AU2021298824A1 (en) 2023-01-19
JP2023530720A (ja)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7674B2 (ja) 抗ntb−a抗体ならびに関連する組成物および方法
EP3794041B1 (en) Anti-muc1 antibody
CN107735105B (zh) 抗ntb-a抗体和相关组合物以及方法
JP7397882B2 (ja) 二重特異性抗体及びその調製方法、使用
CN109069620B (zh) 拮抗剂ccr7受体的人源化抗体
EP2603527A1 (en) Humanized egfr antibodies
WO2020244526A1 (zh) 一种抗ceacam5的单克隆抗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2224997A1 (ja) 抗cldn4-抗cd137二重特異性抗体
US20200087410A1 (en) Humanized anti-cd40 antibodies
EP4286410A1 (en) Single-domain antibody against cd16a and use thereof
EP4155318A1 (en) Bispecific antibody and use thereof
WO2021259304A1 (en) Antibodies and methods for treating claudin-associated diseases
WO2022116079A1 (zh) 一种抗ceacam5的人源化抗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30235076A1 (en)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lewis y
CN114008077A (zh) 抗体和使用方法
CN116120461B (zh) 新型抗药抗体以及其用途
RU2792347C2 (ru) Антитело против muc1
WO2023175117A1 (en) Antibodies against lypd3
WO2022247905A1 (zh) 抗cd40抗体及其用途
RU2804703C2 (ru) Конъюгат антитело против muc1-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CN116323658A (zh) 靶向PD-1或PD-L1和TGF-β的双功能蛋白及其医药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