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005A - 천정용 배선고정구 - Google Patents

천정용 배선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005A
KR20230026005A KR1020210107855A KR20210107855A KR20230026005A KR 20230026005 A KR20230026005 A KR 20230026005A KR 1020210107855 A KR1020210107855 A KR 1020210107855A KR 20210107855 A KR20210107855 A KR 20210107855A KR 20230026005 A KR20230026005 A KR 2023002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ires
accommodating
ceiling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221B1 (ko
Inventor
김학겸
이영환
Original Assignee
김학겸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겸, 이영환 filed Critical 김학겸
Priority to KR102021010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의 수납위치가 수직하방에 위치되지 않아, 진동(지진)등에 의한 충격하중의 인가시에도 무단으로 배선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시설면에 부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배선이 수용되며 배선이 출납되는 수용개구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고정본체와; 상기 수용개구에 탈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개구는, 상기 수용부상에서 일측면부에 배치되어 배선이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되는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정용 배선고정구{A Ceiling Wiring Fixtures}
본 발명은, 실내외의 천정에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 등과 같은 배선을 간편하게 집약시켜서 정리하도록 된 천정용 배선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선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고정함은 물론, 특히, 배선의 수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 천정용 배선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배선의 수납위치가 수직하방에 위치되지 않아, 진동(지진)등에 의한 충격하중의 인가시에도 무단으로 배선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된 천정용 배선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전자기기용 전선이나 기타 전원선 등과 같은 배선을 정리할 때 사용되는 배선정리용 고정구는, 주로, 벽면 등과 같은 시설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에 정리할 배선들을 올려놓은 후,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커버를 결합하여 상기 배선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켜 노출되지 않도록 정리하게 된다.
상기에서 베이스판의 배면에는, 양면테이프가 구비되어 설치면에 고정하도록 될 수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6897호(명칭: 전선보호 커버/2003.05.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받침판 하부에 이형지가 부착된 전선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받침판을 일체로 형성한 커버체를 구성하되, 상기 커버체는 내측에 전선을 수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전선수납부와, 상기 전선수납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절결된 절결부를 갖는 날개부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수납부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전선보호 커버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07737호(명칭: 전선정리용 몰드/2007.05.1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서 선단부가 상호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1및 제2 커버부재의 선단부에서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된 한쌍의 리브를 포함하여,상기 제 1 및 제2 커버부재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수납공간으로 전선을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용 몰드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1161호(명칭: 전선의 정리 및 보호 고정구/2011.02.1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구를 본체부와 뚜껑부로 분할 압출성형 하여서 되는 통상의 고정구에 있어서 본체부 상단변 일측에는 결합 요입조와 걸림편을 성형하고 타측에는 일측에 개구부를 가진 원형요조를 요입성형하고 뚜껑부의 하단변 일측에는 걸림편과 걸림요조를 성형하고 타측에는 회전축 역활을 하는 원형돌조를 일체로 성형하여 회전자재토록 결합시켜 되는 전선의 정리 및 보호 고정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2-0001903호(명칭: 전선 이탈 방지 날개를 구비한 전선의 정리 및 보호 고정구/2012.03.1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의 양측 벽면와 상단변에 결합 고정요조를 형성하고 그와 연설되게 끝단부가 얇게된 이탈 방지 날개가 투입 간극부가 형성되게 일체로 압출 성형되
고, 상기 이탈 방지 날개의 중간 부분에 탄력 증진을 위한 보강리브가 구성되는 전선의 정리 및 보호 고정구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6897호(2003.05.3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07737호(2007.05.1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1161호(2011.02.1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2-0001903호(2012.03.1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래의 배선고정구는,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 등과 같은 배선들이 상부 및 전면의 개구를 통해 삽입고정됨에 따라, 실내외의 천정에 적합하게 적용될 때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배선들의 자체하중 및 인가되는 진동(지진 등)에 따라 낙하하중이 부여될 때, 저면에 위치되는 개구들을 통해 무단으로 분리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의 천정에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 등과 같은 배선을 간편하게 집약시켜서 정리하도록 된 것으로, 배선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고정함은 물론, 특히, 배선의 수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선의 수납위치가 수직하방에 위치되지 않아, 진동(지진)등에 의한 충격하중의 인가시에도 무단으로 배선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는, 시설면에 부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배선이 수용되며 배선이 출납되는 수용개구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고정본체와; 상기 수용개구에 탈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개구는, 상기 수용부상에서 일측면부에 배치되어 배선이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덮개는, 테두리부위를 통해 상기 수용개구의 외측테두리부위를 감싸면서 밀폐지지하도록 된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용개구의 내측테두리부위를 탄성지지하도록 절곡형성된 탄성단턱이 구비된 걸림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는, 실내외의 천정면 등과 같은 시설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본체의 수용공간에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 등과 같은 배선을 간편하게 집약시켜서 수용하면서 정리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배선이 수납되는 수용개구의 위치가 수직하방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고정본체의 수용부상에서 일측면부에 배치되어 배선이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됨에 따라, 진동(지진)등에 의한 충격하중의 인가시에도 무단으로 배선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보인 일부 절개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본체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본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본체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는, 실내외의 천정면 등과 같은 시설면(10)에 전선이나 각종 통신선 등과 같은 배선(100)을 간편하게 집약시켜서 정리하는 것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는, 상기 시설면(10)에 부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의 하부로 배선(100)이 수용되며 배선(100)이 출납되는 수용개구(23)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22)를 구비하는 고정본체(2)와; 상기 수용개구(23)에 탈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부(21)를 통해 상기 시설면(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개구(23)를 관통하면서 설치하고자 하는 다양한 배선(100)들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하여 간편하게 집약시켜서 정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덮개(3)를 상기 수용개구(23)에 결속하여 외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배선(100)을 외부로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덮개(3)를 상기 수용개구(23)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한 후, 상기 배선(100)을 꺼내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본체(2)는, 합성수지재질, 금속재질 및 비금속재질을 주재료로 하여 사출성형되며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에서, 상기 고정본체(2)의 상기 고정부(21)에는, 상기 시설면(10)에 별도의 미도시된 접착제(접착양면테이프)를 통해 접착고정될 수 있으나; 별도의 고정나사(200)를 통해 나사체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체하중을 가지는 상기 고정본체(2)가 천정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시설면(10)에 상기 고정나사(200)를 통해 확고히 고정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에서, 상기 고정본체(2)의 상기 고정부(21)에는, 수직상 상기 수용공간을 경유하면서 상부와 하부를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각각의 상부고정공(24)과 하부작업공(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본체(2)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작업공(25)을 통해 상기 고정나사(200)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내입시킨 후, 별도의 작업기구(드라이버)가 상기 하부작업공(25)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나사(200)를 상기 상부고정공(24)을 거쳐 상기 시설면(10)에 나사고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부작업공(25)은, 상기 고정나사(200)의 나사머리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고정공(24)은 상기 고정나사(200)의 나사머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본체(2)에는, 다수의 상기 상부고정공(24)과 상기 하부작업공(25)들이 각각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상기 시설면(10)에 상기 고정본체(2)를 다수의 지점을 통해 고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에서, 상기 수용개구(23)는, 상기 수용부상에서 일측면부에 배치되어 배선(100)이 상기 수용부(22)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선(100)이 수납되는 상기 수용개구(23)의 위치가 수직하방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고정본체(2)의 수용부(22)상에서 일측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선(100)이 상기 수용부(22)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동(지진)등에 의한 충격하중의 인가시에도 무단으로 상기 배선(100)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고정본체(2)는, 단면상 '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개구(23)가 일측단부에 형성되며 양측종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어 상기 개폐덮개(3)의 테두리부위가 밀착되면서 내외를 밀폐하도록 된 개폐단부(26)들을 구성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에서, 상기 개폐덮개(3)는, 테두리부위를 통해 상기 수용개구(23)의 외측테두리부위를 감싸면서 밀폐지지하도록 된 덮개플레이트(31)와; 상기 덮개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용개구(23)의 내측테두리부위를 탄성지지하도록 절곡형성된 탄성단턱(33)이 구비된 걸림편(3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덮개(3)의 상기 덮개플레이트(31)의 테두리부위가 상기 개폐단부(26)들의 외측면을 밀착되면서 내외를 밀폐하면서 폐쇄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개폐단부(26)들의 내측면을 각각 맞춤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걸림편(32)들의 각각의 상기 탄성단턱(33)들을 통해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플레이트(31)의 테두리부위와 상기 걸림편(32)들의 상기 탄성단턱(33)들의 사이에 상기 개폐단부(26)들이 각각 억지끼임되면서 결속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덮개(3)가 상기 수용개구(23)에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본체(2)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배선(100)들이 각각 안내되면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리브(27)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리브(27)들을 통해 다수의 상기 배선(100)들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서로 와선형으로 꼬이면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각 직선상으로 분리되면서 정리정돈되면서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100)들에서 선택된 배선에 대한 분리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의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리브(27)들은, 상기 고정본체(2)의 제조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 및 위치는, 적용되는 배선(100)들에 따라 적합하게 맞춤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본체(2)에서 상기 수용부(21)에는, 외측면에 하부에서 상기 수용개구(23)측방향으로 파여져 사용자가 손가락을 진입시켜 상기 개폐덮개(3)의 덮개플레이트(31)의 테두리부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되는 다수의 개구요홈(28)이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고정본체(2)에서 상기 개폐덮개(3)를 분리할 때, 상기 개구요홈(28)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진입시켜 상기 덮개플레이트(31)의 테두리부위를 집으면서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천정용 배선고정구(1)는, 상기 배선(100)이 수납되는 상기 수용개구(23)가 상기 수용부(22)상에서 일측면부위에 배치되어 배선(100)이 상기 수용부(22)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천정용 배선고정구 10 : 시설면
100 : 배선 200 : 고정나사
2 : 고정본체 21 : 고정부
22 : 수용부 23 : 수용개구
24 : 상부고정공 25 : 하부작업공
26 : 개폐단부 27 : 지지리브
28 : 개구요홈
3 : 개폐덮개 31 : 덮개플레이트
32 : 걸림편 33 : 탄성단턱

Claims (2)

  1. 시설면에 부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배선이 수용되며 배선이 출납되는 수용개구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고정본체와; 상기 수용개구에 탈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개구는,
    상기 수용부상에서 일측면부에 배치되어 배선이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서 착탈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배선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테두리부위를 통해 상기 수용개구의 외측테두리부위를 감싸면서 밀폐지지하도록 된 덮개플레이트와;
    상기 덮개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용개구의 내측테두리부위를 탄성지지하도록 절곡형성된 탄성단턱이 구비된 걸림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배선고정구.
KR1020210107855A 2021-08-17 2021-08-17 천정용 배선고정구 KR10261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55A KR102616221B1 (ko) 2021-08-17 2021-08-17 천정용 배선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55A KR102616221B1 (ko) 2021-08-17 2021-08-17 천정용 배선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05A true KR20230026005A (ko) 2023-02-24
KR102616221B1 KR102616221B1 (ko) 2023-12-19

Family

ID=8533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855A KR102616221B1 (ko) 2021-08-17 2021-08-17 천정용 배선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290B2 (ja) * 1990-12-10 1997-01-29 コクヨ株式会社 間仕切壁用の配線用ダクト
KR200185872Y1 (ko) * 2000-01-15 2000-06-15 김경미 몰드 및 액자걸이 겸용 배선덕트
KR20110001161U (ko) 2009-07-27 2011-02-08 김영순 생맥주 디스펜서의 드래프트 타워
KR20120001903U (ko) 2010-09-06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290B2 (ja) * 1990-12-10 1997-01-29 コクヨ株式会社 間仕切壁用の配線用ダクト
KR200185872Y1 (ko) * 2000-01-15 2000-06-15 김경미 몰드 및 액자걸이 겸용 배선덕트
KR20110001161U (ko) 2009-07-27 2011-02-08 김영순 생맥주 디스펜서의 드래프트 타워
KR20120001903U (ko) 2010-09-06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221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937B2 (en) Recessed while-in-use electrical box
US7501575B2 (en) Snap fit screw plug
US5939671A (en) Ceiling medallion assembly
CA2772276C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US5526952A (en) Protective covers for electrical outlet boxes
CA2536033C (en) Recessed floor box cover assembly
US8436259B2 (en) Electrical box voltage divider
US5804764A (en) Two-piece siding box
US6774304B1 (en) Siding box assembly
US6723921B2 (en) Exterior mounting block for electrical fixtures
US5857581A (en) Universal ceiling box for either fan or fixture support
US4599484A (en) Box for electrical components
US6949708B1 (en) Frictionally mounted utility switch box masking cover
CA3068469A1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with reinforcement
WO2017155855A1 (en) Junction box
US6998531B2 (en) Electrical mud box with removable cover
KR20230026005A (ko) 천정용 배선고정구
GB2115614A (en) Box for electrical components
KR200398634Y1 (ko) 이중 밀폐형 로칼 스위치 박스
JP2001262725A (ja) 配線の天井貫通部の気密構造
JP2012029409A (ja) グロメット
US20190020184A1 (en) Vapor hood
JPH0333150Y2 (ko)
JP6719813B2 (ja) ルーバ換気装置
JPH05640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