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295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295A
KR20230025295A KR1020210107685A KR20210107685A KR20230025295A KR 20230025295 A KR20230025295 A KR 20230025295A KR 1020210107685 A KR1020210107685 A KR 1020210107685A KR 20210107685 A KR20210107685 A KR 20210107685A KR 20230025295 A KR20230025295 A KR 2023002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trap
unit
treatment device
supp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618B1 (ko
Inventor
김해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Priority to KR102021010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6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1차 처리장치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쇄되고, 2차 처리장치를 통해 미생물과 교반되어 분해된 후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에 배치되는 이중 트랩을 통해 소음을 차단하고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가 불가능하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수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소각처리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연료가 소모되어 경제성이 없고, 완전하게 연소하기 어렵다. 또한, 소각할 때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부피가 커서 매립지의 사용 연수를 급격하게 줄어들게 하는 요인이 되고,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함으로써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으나, 수분이 많아 수거와 가공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거나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고 곰팡이나 세균 등의 온상이 되며, 수거시의 취급 부주의로 음식물 쓰레기가 주변으로 흘러내려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하지 않고 하수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하수 처리하는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구/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하수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 처리 가능하도록 분쇄, 분해하는 사전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배경으로 발명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2차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차폐바디부;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수조로 가이드하고, 둔턱부를 포함하여 제1트랩을 구성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을 덮는 캡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공급홀; 및 상기 공급홀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홀에 유입되는 물을 측면으로 배출하는 제2트랩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트랩은 상기 제2트랩의 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홀은 하부로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공급홀의 상기 격벽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은 상기 공급홀의 격벽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트랩의 하면은 상기 제2트랩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의 둔턱부는 상기 제1트랩과 상기 제2트랩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트랩은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차폐바디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트랩은 상기 공급홀의 격벽의 일부과 접촉하는 제1내벽과 상기 공급홀의 격벽과 이격되어 있는 제2내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내벽은 상기 제2내벽보다 상기 가이드부의 둔턱부에 가깝고, 상기 제2내벽은 상기 제1내벽보다 상기 개구부에 가까울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트랩은 상기 차폐바디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트랩의 개구부가 형성된 면은 다른 면보다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트랩의 하면과 상기 제2트랩의 개구부는 완만한 곡면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부는, 상단날개, 중단날개, 하단날개, 및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날개 및 상기 중단날개는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날개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단날개 및 중단날개 중 하나 이상은 하부를 향하는 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단날개는 상부를 향하는 솔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는, 상기 2차 처리장치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설치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분쇄하우징;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칼날부; 상기 칼날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회전력생성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입되는 통로에 이중 트랩을 구비하여 2차 처리장치로부터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 수준의 물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에 따른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 하수 배관의 압력으로 인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므로 공기흐름의 소음과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 내측에 설치되는 이중 트랩은 이러한 소음과 악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의 차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의 차폐부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1트랩 및 제2트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2트랩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의 이중 트랩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실시예가 반드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개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구성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1차 처리장치(200), 2차 처리장치(400), 1차 처리장치(200)와 2차 처리장치(1100)를 연결하는 연결부(110),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처리장치(200)는 예를 들어 싱크대(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처리장치(200)는 싱크대의 일부 구성요소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싱크대의 배수구(미도시)에는 별도의 배수통(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200)가 바로 직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1차 처리장치(200)가 배수통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1차 처리장치(2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칼날부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즉, 싱크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에 바로 투입하고 1차 처리장치(200)를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그 자리에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를 통해 물이 같이 투입되므로 별도의 물 주입구가 없이도 효율적으로 분쇄가 가능하다. 1차 처리장치(2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연결부(110)를 통하여 2차 처리장치(400)로 배출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400)는 1차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 또는 미생물 배양액을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400)에서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배관(130)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처리장치(200)를 통한 물리적 분쇄와 2차 처리장치(400)를 통한 화학적 분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1차 처리장치(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차 처리장치(200)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싱크대의 제작시에 배수구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싱크대의 제작 후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300)의 내부는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다. 고정부(300)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300)의 저면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분쇄하우징(280)으로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고정부의 상면에는 걸림판(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걸림판은 서로 분리되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적당량 고정부(300)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고정부(300) 및 분쇄하우징(280)으로부터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 악취 등을 차단할 수도 있다.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커버(210)는 싱크대의 배수구로 노출된 고정부(300) 부분에 결합하여 고정부(300)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단순히 끼움으로써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210)가 고정부(3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커버(210) 또는 고정부(300) 중 하나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210) 또는 고정부(300) 중 다른 하나는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 결합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 결합부는 나사산을 포함함으로써 결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돌기는 사각 기둥 형태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 결합부는 나사산, 나선형의 홈, 직선 홈, 직선 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210)로 고정부(300)를 차단함으로써 1차 처리장치(200)가 작동 중일 때 음식물 쓰레기가 고정부(300) 상면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210)가 결합된 경우에만 1차 처리장치(20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전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커버(210)의 결합에 의한 1차 처리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300)는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하는 분쇄하우징(28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220)를 사이에 배치하여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누수를 방지하고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고정부(300)가 싱크대의 배수구에 삽입되면, 고정부(300)를 싱크대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싱크대 하부면에서 1차 고정링(400)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 나사산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실시예는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높은 1차 고정링(400)을 적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80)과 고정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차단판(25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판(250)의 일부는 분쇄하우징(280) 내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하우징(250)에서 고정부(3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링(260)은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링(26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링(260)은 제1 고정링과 제2 고정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링(260)은 일부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링은 칼날부(272)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고정링은 칼날부(272)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삽입돌기와 제2 삽입돌기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돌기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링(260)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는 고정링(260)의 내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는 고정링(260)의 내면과 직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칼날부(272)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는 칼날부(272)의 회전시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
칼날부(272)는 회전력생성부(278)와 연결되어 회전력생성부(27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칼날부(272)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칼날부(272)는 하나의 플레이트 상면, 하면, 측면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칼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칼날부(272)는 회전바디부, 회전바디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 회전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에지칼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바디부의 테두리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은 회전바디부의 일부가 절단되고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은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칼날이 향하는 각도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칼날은 회전 중심에 가까운 내측칼날과 이 보다 멀리 떨어져 형성되는 외측칼날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의 상면은 다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칼날부(272)는 제1 회전부, 칼날 고정부,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술한 칼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 고정부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칼날 고정부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칼날 고정부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칼날 고정부의 내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칼날고정부는 분쇄하우징(28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회전부는 칼날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 회전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나사, 볼트, 핀 등을 통하여 결합되어 제1 회전부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칼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부의 칼날들은 회전력생성부(278)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칼날구동부(270)는 회전축결합부(271), 칼날부(272), 캡(273), 오일실(274), 제1유출구(275), 베어링(276), 회전축(277), 회전력생성부(278), 구동부케이스(27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케이스(279)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력생성부(278)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케이스(279)는 분쇄하우징(28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회전력생성부(278)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제어부(2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회전축(277)은 회전력생성부(278)와 연결되어, 회전력생성부(278)에서 생성된 회전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277)은 칼날부(272)와 연결되어 칼날부(2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어링(276)은 분쇄하우징(280)과 회전축(277)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276)은 회전축(277)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오일실(274)은 분쇄하우징(280)에 배치되어 회전축(277)과 분쇄하우징(280) 사이 또는 회전축(277)과 베어링(276)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실(274)은 분쇄하우징(28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273)은 분쇄하우징(280)과 결합하여 오일실(274)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결합부(271)는 회전축(277)과 결합하여 칼날부(272)를 회전축(277)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결합부(271)와 회전축(277)은 나사, 볼트, 핀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면 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별도의 부재없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쇄하우징(280)은 칼날부(272)의 칼날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쇄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제1유출구(2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유출구(275)는 연결부(1600)을 통하여 2차 처리장치(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분쇄하우징(28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칼날 고정부가 걸리거나 고정링(2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스(230)는 고정부(300), 분쇄하우징(280), 칼날구동부(270), 싱크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30)는 제어부(24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케이스(230)는 고정부(300)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고, 고정부(300)를 향하는 내부면에 후술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200) 및 2차 처리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의 회전력생성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와 1차 처리장치(200) 및 2차 처리장치(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동작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오류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240)는 외부의 통신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통신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TV,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와이파이, 캔 통신 등 다양한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외부 통신 단말기에 설치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이를 제어부(240)와 연결하여 외부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어하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외부 통신 단말기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통해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의 동작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의 경우 미생물 주입 후 교반하여 음식물을 분해하므로 즉각적으로 분쇄하는 1차 처리장치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1차 처리장치를 통해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입되는 경우 2차 처리장치의 처리 용량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2차 처리장치의 현재 처리량, 가용처리량, 분해완료시까지의 예상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공급 또는 신호 전달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보수, 수리를 진행하도록 알림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200)의 고정부(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커버(310)는 고정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310)의 측면에는 신호발생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신호발생부(330)는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부(330)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33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호발생부(330)가 배치되는 경우 커버(31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의 측면에는 커버(310)의 신호발생부(33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3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센서(320)는 케이스(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320)는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320)들이 배치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1차 처리장치(2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유입되면 이는 분쇄하우징(280)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를 통하여 회전력생성부(278)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고정부(300)에 커버(310)를 회전시켜 커버(310)를 고정시키면 회전력생성부(278)가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를 이용하여 1차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고정부(300) 및 분쇄하우징(28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진입하면 사용자는 커버(310)를 고정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후, 커버(310)를 회전시키면 커버(310)에 배치된 신호발생부(330)도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발생부(330)가 센서(320)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센서(320)는 신호발생부(330)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부(330)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320)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신호발생부(330)와 센서(32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센서(320)가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2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320)가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240)는 커버(310)가 록킹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력생성부(278)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4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430), 저수조(430)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410), 미생물 투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상부에는 교반부(45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생성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400)는 1차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물과 함께 수용되면 이를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력생성부(420)는 회전력을 샤프트(451)에 전달하고 샤프트(451)를 포함하는 교반부(450)는 샤프트(451)에 결합된 날개들을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다. 교반부(450)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454)를 통과하여 저수조(430) 저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저수조(430) 저면의 일 영역에는 제2유출구(440)가 배치되어 있어 2차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400)는 별도의 물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공급부는 싱크대, 상수도 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물공급부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400)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감지부는 차폐부(410)에 배치되어 회전력생성부(420)에 의한 샤프트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교반부(450)는 회전력생성부(420)와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샤프트(451), 중심부에 샤프트(451)가 관통하는 홀을 가진 필터부(454), 필터부(454)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날개(452), 중단 날개(453), 필터부(454)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날개(456), 저수조(4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 날개(455)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450)는 저수조(430)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교반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날개(452) 및 중단 날개(453)가 샤프트(4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섞어주게 된다. 상단 날개(452) 및 중단 날개(453)의 회전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454)를 통과하여 저수조(43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454)는 일정 크기의 홈을 복수 개 포함하여 물과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만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부(454)는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단 날개(452), 중단 날개(453) 중 하나 이상은 하부면에 솔이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중단 날개(453)의 하부면에 배치된 솔은 필터부(454)의 상부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솔을 통해 필터부(454)의 상부면에 점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날개(456)의 상부면에 솔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단 날개(456)의 솔은 필터부(454)의 하부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되어 필터부(454)의 하부면에 점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5는 2차 처리장치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500)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페부(500)는 연결부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1차 처리장치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2차 처리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차폐부(500)은 차폐바디부(510), 가이드부(520), 가이드부(520) 내부에 형성되는 둔턱부(530), 미생물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바디부(51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구동부, 밸브, 물공급부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바디부(510)에는 연결부에서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저수조(430)로 이동하는 공급홀(5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급홀(540)은 가이드부(5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홀(540)은 연결부의 토출구와 상이한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부로부터 유입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직접 공급홀(54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둔턱부(530)는 가이드부(520) 내부에 배치되며, 공급홀(54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둔턱부(530)는 차폐바디부(510)의 상면으로부터 캡부(5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20)는 차폐바디부(510)로부터 캡부(5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520)는 캡부(55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의 토출부는 가이드부(520)의 일단에 배치되며, 공급홀(540)은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가이드부(52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5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바디부(510)의 상면은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차폐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분말 형태의 미생물을 투입할 수도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공급홀(540)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캡부(550)는 가이드부(52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520)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캡부(550)는 가이드부(520)와 함께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공급홀(540)을 통하여 냄새가 연결부 및 1차 처리장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캡부(550)와 가이드부(520) 사이의 유로를 따라 공급홀(540)로 이동하다가 연결부를 통하여 더 이상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둔턱부(530)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550)와 가이드부(520) 사이에 갇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싱크대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 물을 마지막으로 흘려보냄으로써 둔턱부(530)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550)와 가이드부(520) 사이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저수조와 교반용기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공급홀(540)을 따라 연결부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차폐부(600)의 하면을 나타낸다.
차폐부의 하면에는 가이드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제1트랩(610) 및 공급홀(6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트랩(610)은 가이드부의 하면이 차폐바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의 토출부로부터 둔턱부까지의 가이드부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트랩(6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트랩(610)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물이 채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트랩(610)을 빠져나온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은 공급홀(620)을 통해 2차 처리장치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공급홀(620)은 차폐바디부의 하면에 단순히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도 6과 같이 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격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급홀(620)을 둘러싸는 격벽의 높이는 제1트랩(610)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공급홀(620)을 둘러싸는 격벽은 후술하는 제2트랩과 함께 물을 2차적으로 가두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2트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트랩(720)은 공급홀을 하부에서 감싸는 구조물일 수 있다. 제2트랩(720)은 1차적으로 제1트랩(710)을 거쳐 공급홀에 유입된 물을 2차적으로 가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 공급홀을 통해 수직으로 낙하하던 물은 제2트랩(720)에 의해 수직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트랩(72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2차 처리장치에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트랩(720)은 제1트랩(710)을 거친 물에 대하여 추가적인 트랩을 제공하여 공급홀로부터 물이 직접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2트랩(720)의 높이는 제1트랩(71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트랩(720)의 높이는 제1트랩(710)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트랩(710)에 수용되는 물의 최저점보다 제2트랩(720)에 수용되는 물의 최저점이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제2트랩(720)의 개구부 측면은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이 개구부로 진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제2트랩(720)은 차폐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제2트랩(720)은 별도의 구성으로 준비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차폐바디부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트랩(720)의 측면으로 3개의 체결수단, 예를 들어, 결합홀이 구비되고, 결합홀을 결합수단,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여 차폐바디부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제2트랩(820)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2트랩(82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트랩(820)은 일 측면에 개구부(8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개구부(830)는 제2트랩(820)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일정량을 초과하는 물이 개구부(830)를 통해 2차 처리장치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즉, 개구부(830)의 높이는 실시예에 따라, 즉, 제2트랩(820)을 통해 수용하고자 하는 물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적어도 제2트랩(820)의 하면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제2트랩(820)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개구부(830)를 통해 물이 2차 처리장치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개구부(830)가 형성된 면은 다른 면에 비하여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830)와 제2트랩(820)의 하면은 완만한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제1트랩 및 제2트랩이 적용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트랩(910)은 둔턱부(940)보다 낮은 하면을 형성하여 제1트랩(910)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1차 처리장치로부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유입되는 경우, 둔턱부(940)를 넘은 물은 제2트랩(920)으로 진입하게 된다. 제2트랩(920)은 하면을 막아주어 물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물을 2차적으로 수용한다. 제2트랩(920)의 수용량을 넘어가는 경우 물은 개구부(930)를 통해 측면으로 물을 배출하게 된다. 1차 처리장치에서 물의 공급이 멈춘 경우, 제1트랩(910) 및 제2트랩(920)에는 수용량만큼의 물이 유지되게 된다. 이를 통해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2트랩(920)의 개구부(930)는 공급홀의 하부로 돌출된 벽보다 높은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공급홀에서 유입되는 물이 직접 개구부(930)로 배출되지 못 하고 제2트랩(920)의 내부로 진입한 후 다시 상방으로 흘러나가 개구부(930)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급홀을 형성하는 벽보다 높은 위치에 개구부(9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유입되는 물은 제2트랩(920) 내부를 U자 형태로 거치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공급홀에서 개구부(930)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트랩의 하면은 제2트랩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둔턱부(940)는 제1트랩(910)과 제2트랩(9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트랩은 공급홀의 격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내벽과 상기 공급홀의 격벽과 이격되어 있는 제2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둔턱부(940)에 가까운 제1내벽은 공급홀(940)의 격벽과 접촉하고, 개구부(930) 근처의 제2내벽은 공급홀(940)의 격벽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유입된 물은 제1내벽 부근에서는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제2내벽 부근에서 개구부(9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집합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자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를 통해 또는 저장매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0: 1차 처리장치
110: 연결부 130: 배출배관
230: 케이스 240: 제어부
250: 차단판 260: 고정링
270: 칼날구동부 271: 회전축결합부
272: 칼날부 273: 캡
274: 오일실 275: 제1유출구
276: 베어링 277: 회전축
278: 회전력생성부 279: 구동부케이스
280: 분쇄하우징 300: 고정부
320: 센서 330: 신호발생부
310: 커버 400: 2차 처리장치
410, 500, 600: 차폐부 420: 회전력생성부
440: 제2유출구 450: 교반부
451: 샤프트 452: 상단 날개
453: 중단 날개 454: 필터부
455: 고정 날개 456: 하단 날개
510: 차폐바디부 520: 가이드부
530, 940: 둔턱부 540, 620: 공급홀
550: 캡부 610, 710, 910: 제1트랩
720, 820, 920: 제2트랩 830, 930: 개구부

Claims (15)

  1.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2차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차폐바디부;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저수조로 가이드하고, 둔턱부를 포함하여 제1트랩을 구성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을 덮는 캡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공급홀; 및
    상기 공급홀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홀에 유입되는 물을 측면으로 배출하는 제2트랩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은 상기 제2트랩의 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하부로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공급홀의 상기 격벽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은 상기 공급홀의 격벽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랩의 하면은 상기 제2트랩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둔턱부는 상기 제1트랩과 상기 제2트랩 사이에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은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차폐바디부와 결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은 상기 공급홀의 격벽의 일부과 접촉하는 제1내벽과 상기 공급홀의 격벽과 이격되어 있는 제2내벽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벽은 상기 제2내벽보다 상기 가이드부의 둔턱부에 가깝고, 상기 제2내벽은 상기 제1내벽보다 상기 개구부에 가까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은 상기 차폐바디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의 개구부가 형성된 면은 다른 면보다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트랩의 하면과 상기 제2트랩의 개구부는 완만한 곡면으로 연결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단날개, 중단날개, 하단날개, 및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날개 및 상기 중단날개는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날개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날개 및 중단날개 중 하나 이상은 하부를 향하는 솔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날개는 상부를 향하는 솔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장치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1차 처리장치; 및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설치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분쇄하우징;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칼날부;
    상기 칼날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회전력생성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10107685A 2021-08-13 2021-08-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37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85A KR102537618B1 (ko) 2021-08-13 2021-08-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85A KR102537618B1 (ko) 2021-08-13 2021-08-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95A true KR20230025295A (ko) 2023-02-21
KR102537618B1 KR102537618B1 (ko) 2023-05-26

Family

ID=8532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685A KR102537618B1 (ko) 2021-08-13 2021-08-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61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24446U (zh) * 2011-01-18 2011-08-10 浙江康乐药业股份有限公司 药厂净化区专用地漏
KR101689990B1 (ko) * 2016-01-28 2017-01-02 곽상훈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35559B1 (ko) * 2016-10-19 2018-03-07 주식회사 허머 미생물 처리기
KR101907639B1 (ko) * 2017-09-18 2018-12-05 주식회사 세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20151688A (ja) * 2019-03-22 2020-09-24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厨房排水処理装置
KR102275826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3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5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4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24446U (zh) * 2011-01-18 2011-08-10 浙江康乐药业股份有限公司 药厂净化区专用地漏
KR101689990B1 (ko) * 2016-01-28 2017-01-02 곽상훈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35559B1 (ko) * 2016-10-19 2018-03-07 주식회사 허머 미생물 처리기
KR101907639B1 (ko) * 2017-09-18 2018-12-05 주식회사 세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20151688A (ja) * 2019-03-22 2020-09-24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厨房排水処理装置
KR102275826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3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5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4B1 (ko)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618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6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141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692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253761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1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501242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67687B1 (ko) 내부원통부의 회전을 통한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02960U (ko)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2758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8B1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858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885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2010002446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96381B1 (ko) 분쇄장치와 이송장치의 입자 크기 및 수분 조절을 통한 분해 효율 증가 및 악취 저감형 미생물 분해 방식의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및 일체형 자동 처리 장치
KR1024663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758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74349B1 (ko) 발효 미생물 접종 분해식 싱크대 부착용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