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122A -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122A
KR20230015122A KR1020210096503A KR20210096503A KR20230015122A KR 20230015122 A KR20230015122 A KR 20230015122A KR 1020210096503 A KR1020210096503 A KR 1020210096503A KR 20210096503 A KR20210096503 A KR 20210096503A KR 20230015122 A KR20230015122 A KR 20230015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roduct
unit
path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743B1 (ko
Inventor
김방경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테크코리아
김방경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테크코리아, 김방경, 김성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9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7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는 제품을 흡착하는 흡착부(120) 및 상기 흡착부(120)를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1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A lifting apparatus used in a stacking process for back-packed products}
본 발명은 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두, 라면, 과자, 소시지 등의 다양한 제품들에 대해 2개, 3개, 4개 등으로 묶어 판매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번들 판매는 일반적으로 포장재로 비닐봉지가 사용된 봉지포장제품들에 대해 적용된다.
번들 포장 방식으로는 띠지테이프로 봉지포장제품을 2개씩, 3개씩, 4개씩 등의 번들 단위로 감싸서 묶는 띠지테이프 번들 방식, 또는 번들용 비닐봉지로 번들 단위의 봉지포장제품을 포장하는 2중 포장 번들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2중 포장 판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2중 포장 번들 방식보다는 띠지테이프 번들 방식이 보다 보편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띠지테이프 번들 작업을 기존의 수작업 방식에서 자동화 방식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901647호(2018.09.28)에는 띠지테이프 번들 방식에 이용되는 봉지포장제품을 위한 자동적층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
도 1은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소개된 자동적층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2c는 그 자동적층시스템을 이용한 2단 적층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특허문헌의 자동적층시스템은 봉지포장제품들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파트(10), 봉지포장제품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파트(20) 및 봉지포장제품들을 2개 또는 3개씩 적층하는 적층파트(30)를 포함한다.
간격조절파트(20)는 1차 간격조절부(20A), 2차 간격조절부(20B) 및 연결부(20C)로 구성되며, 1차 및 2차 간격조절부(20A, 20B)를 통해 적당한 간격으로 조절된 봉지포장제품들은 연결부(20C)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벨트(23)를 거쳐 적층파트(30)로 이송된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여 2단 적층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컨베이어벨트(23)를 통해 공급되는 제1제품(P1)이 제품감지센서(41)에 의해 감지되고(도 2a), 흡착장치(40A)가 하강 구동되어 제1제품(P1)을 흡착하며(도 2b), 제1제품(P1)을 흡착한 채로 흡착장치(40A)가 위로 상승한 후 그 아래에 이송되어진 제2제품(P2) 위로 제1제품(P2)을 떨어뜨려 적층시킨다(도 2c).
이러한 적층 방식에 의하면, 흡착장치(40A)가 하강하여 제품(P1)을 흡착하는 과정에서 고무재인 흡착컵의 찌그러져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흡착컵의 손상은 진공도 약화를 초래하여 흡착 불량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적층 방식에 의하면, 흡착장치(40A)가 수평 이동 중인 제2제품(P2) 위로 제1제품(P1)을 떨어뜨려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제품 간에 작용하는 충격으로 인해 정렬 상태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발명으로서, 흡착컵의 손상 문제를 해소시키며 제품 적층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흡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로서, 제품을 흡착하는 흡착부(120) 및 상기 흡착부(120)를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110)를 포함하는 흡착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 시에 흡착경로(D1)를 따라 하방 구동됨과 동시에 제품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 후 추가전진경로(D2)를 따라 구동된 후 대기위치로 복귀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해제 시에 흡착해제경로(D4)를 따라 하방 구동됨과 동시에 제품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해제 후 추가전진경로(D5)를 따라 구동된 후 대기위치로 복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가 제품 이동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의 수평 이동을 진행하면서 제품 흡착을 수행하므로 흡착 순간에 흡착컵에 가해지는 외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흡착 순간에 흡착컵이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가 수평 이동을 진행하면서 제품 낙하(흡착해제)를 수행하므로 흡착해제 순간에 제품들 간에 작용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충격에 의해 정렬 상태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소개된 자동적층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2c는 그 자동적층시스템을 이용한 2단 적층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흡착장치(100)에 의한 제품 리프팅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품 리프팅 과정에서 흡착부의 이동 경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e는 흡착장치(100)에 의한 제품 낙하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품 낙하 과정에서 흡착부의 이동 경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e는 2개의 흡착장치를 이용한 3단 적층 방법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의 흡착장치(100)는 띠지테이프 번들 포장을 위한 적층 라인에 설치되어 번들 대상 제품을 흡착 및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이다.
흡착장치(100)는 구동부(110) 및 흡착부(120)를 포함하며, 구동부(110)는 수평구동부(111) 및 상하구동부(112)로 구성된다.
수평구동부(112)는 흡착부(120)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성이다. 수평구동부(111)는 리니어 서보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111)에 상하구동부(112)가 연결되며, 수평구동부(111) 구동에 의해 상하구동부(112) 및 흡착부(120)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하구동부(112)는 흡착부(12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성이다. 상하구동부(112)도 마찬가지로 리니어 서보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하구동부(112)의 하측에 흡착부(120)가 연결되며, 상하구동부(112) 구동에 의해 그에 연결된 흡착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흡착부(120)는 번들 대상 제품을 흡착하여 파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흡착부(120)는 상하구동부(112)에 연결된 지지판(121) 및 지지판(121) 하측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흡착컵(122)을 포함한다. 도 3의 예에서는 2개의 흡착컵(122)이 보이지만, 흡착부(120)에 구비되는 흡착컵(122)의 개수는 1개, 3개, 4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흡착컵(122)은 흡착을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셔(미도시)에 연결되며, 흡착컵(122)을 통해 제품을 흡착 파지할 때 흡착컵(122)에 진공압이 공급된다.
도 4a 내지 4e는 흡착장치(100)에 의한 제품 리프팅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흡착장치(100)는 번들 대상 제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31) 위에 배치되며, 흡착장치(100)의 상류 측에는 번들 대상 제품을 감지하는 2개의 센서(201, 202)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센서(201)는 제품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제2 센서(202)는 제품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흡착장치(100)의 동작은 이러한 센서(201, 20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동하는 제품(P1)이 흡착부(120) 아래에 도달할 때까지 흡착부(120)는 대기위치에 유지되며, 제품(P1)이 흡착부(120) 아래에 도달하면 흡착부(120)가 제품 흡착을 위한 이동을 개시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 시에 흡착경로(D1)를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흡착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구동부(111) 및 상하구동부(112)가 동시 작동함으로써 흡착부(120)가 수평 및 하방 구동되며, 그 두 가지 이동 성분의 조합에 의해 흡착경로(D1)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흡착부(120)의 수평방향 이동 속도는 컨베이어벨트(31)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착부(120)의 하방 이동은 흡착컵(122)이 제품(P1)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정도만큼 진행되며, 이에 필요한 하방 이동 거리 계산은 전술한 제2 센서(20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흡착부(120)가 흡착위치에 도달하면 흡착컵(122)에 진공압이 가해져 흡착부(120)에 제품(P1)이 흡착되어 파지된다.
이와 같이 흡착부(120)가 제품 이동 속도와 동일 속도의 수평 이동을 진행하면서 제품 흡착을 수행하므로 흡착 순간에 흡착컵(122)에 가해지는 외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흡착 순간에 흡착컵(122)이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품 흡착 후 흡착부(120)는 추가전진경로(D2)를 따라 흡착위치로부터 추가전진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구동부(111) 및 상하구동부(112)가 동시 작동함으로써 흡착부(120)가 수평 및 상방 구동된다.
도 4e를 참조하면, 이후 흡착부(120)는 복귀경로(D3)를 따라 추가전진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구동부(111) 및 상하구동부(112)가 동시 작동함으로써 흡착부(120)가 수평 및 상방 구동된다.
도 5는 제품 리프팅 과정에서 흡착부의 이동 경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품 리프팅 과정에서 흡착부(120)는 전술한 도 5-(a)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도 5-(b)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경로의 경우, 흡착경로(D1) 및 추가전진경로(D2)가 곡선형으로 매끄럽게 이어지기 때문에 흡착부(120)에 의한 제품 흡착이 보다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e는 흡착장치(100)에 의한 제품 낙하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흡착부(120)가 제1제품(P1)을 흡착한 채로 대기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센서(201, 202)에 의해 제2제품(P2)이 감지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흡착부(120)는 제2제품(P2)이 그 아래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위치에 유지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흡착부(120)는 제2제품(P2)이 그 아래에 도달하는 시점에 이동을 개시하여 흡착해제경로(D4)를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흡착해제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흡착부(120)는 수평구동부(111)에 의해 수평 구동됨과 동시에 상하구동부(112)에 의해 하방 구동되며, 이에 따른 수평 이동 성분 및 하방 이동 성분이 조합되어 흡착해제경로(D4)가 사선 방향을 따르게 된다. 이때 흡착부(120)은 수평방향 이동 속도는 컨베이어벨트(31)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착부(120)의 하방 이동은 그에 파지된 제1제품(P1)이 그 아래의 제2제품(P2)에 접촉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되는 정도만큼 진행되며 이에 필요한 하방 이동 거리 계산은 전술한 제2 센서(20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흡착부(120)가 흡착해제위치에 도달하는 즉시 흡착컵(122)에 제공되었던 진공압이 제거됨으로써 흡착부(120)로부터 제1제품(P1)이 떨어져 제2제품(P2) 위에 얹혀진다.
이와 같이 흡착부(120)가 수평 이동을 진행하면서 제품 낙하(흡착해제)를 수행하므로 흡착해제 순간에 제품들(P1, P2) 간에 작용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충격에 의한 정렬 상태 악화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품 낙하 후 흡착부(120)는 추가전진경로(D5)를 따라 흡착해제위치로부터 추가전진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구동부(111) 및 상하구동부(112)가 동시 작동함으로써 흡착부(120)가 수평 및 상방 구동된다.
도 6e를 참조하면, 이후 흡착부(120)는 복귀경로(D6)를 따라 추가전진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구동부(111) 및 상하구동부(112)가 동시 작동함으로써 흡착부(120)가 수평 및 상방 구동된다.
도 7은 제품 낙하 과정에서 흡착부의 이동 경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품 낙하 과정에서 흡착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 7-(a)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도 7-(b)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도 7-(b)에 예시된 경로의 경우, 흡착해제경로(D4) 및 추가전진경로(D5)가 곡선형으로 매끄럽게 이어지므로 흡착부(120)에 의한 제품 낙하가 보다 매끄럽게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도 8a 내지 8e는 2개의 흡착장치를 이용한 3단 적층 방법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2개의 흡착장치(100A, 100B)가 이용되며 각 흡착장치(100A, 100B)의 구성은 앞서 살펴본 흡착장치(100)와 동일하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 흡착장치(100B) 아래의 컨베이어벨트(32)에 진입하는 제품(P1)이 센서들(201b, 202b)에 의해 감지되고 제1 흡착장치(100A) 아래의 컨베이어벨트(31)에 진입하는 제품(P2)이 센서들(201a, 201b)에 의해 감지된다.
도 8b 및 8c를 참조하면, 제2 흡착장치(100B)의 흡착부(120)가 전술한 방식으로 제1제품(P1)을 흡착하여 리프팅하며, 제1 흡착장치(100A)의 흡착부(120)가 전술한 방식으로 제2제품(P2)을 흡착하여 리프팅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벨트(31)에 제3제품(P3)이 진입하면 제1 흡착장치(100A)의 흡착부(120)가 전술한 방식으로 제3제품(P3) 위에 제2제품(P2)을 떨어뜨려 올려놓는다.
도 8e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벨트(32)에 적층 상태의 제2 및 제3 제품(P2, P3)이 진입하면 제2 흡착장치(100B)의 흡착부(120)가 전술한 방식으로 제2제품(P2) 위에 제1제품(P1)을 떨어뜨려 올려놓음으로써, 3개의 제품(P1, P2, P3)으로 이루어진 3단 적층이 완성된다.
100, 100A, 100B : 흡착장치
110 : 구동부
111 : 수평구동부
112 : 상하구동부
120 : 흡착부
121 : 지지판
122 : 흡착컵
201, 202 : 감지센서

Claims (5)

  1.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로서, 제품을 흡착하는 흡착부(120) 및 상기 흡착부(120)를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110)를 포함하는 흡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 시에 흡착경로(D1)를 따라 하방 구동됨과 동시에 제품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는 흡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 후 추가전진경로(D2)를 따라 구동된 후 대기위치로 복귀되는 흡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해제 시에 흡착해제경로(D4)를 따라 하방 구동됨과 동시에 제품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는 흡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20)는 제품 흡착해제 후 추가전진경로(D5)를 따라 구동된 후 대기위치로 복귀되는 흡착장치.
KR1020210096503A 2021-07-22 2021-07-22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KR102651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03A KR102651743B1 (ko) 2021-07-22 2021-07-22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03A KR102651743B1 (ko) 2021-07-22 2021-07-22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22A true KR20230015122A (ko) 2023-01-31
KR102651743B1 KR102651743B1 (ko) 2024-03-28

Family

ID=8510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03A KR102651743B1 (ko) 2021-07-22 2021-07-22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7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0747A1 (en) * 2000-06-16 2004-02-05 Giuseppe Monti Method and a device for transferring blister packs and the like to the feeding line of a packag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0747A1 (en) * 2000-06-16 2004-02-05 Giuseppe Monti Method and a device for transferring blister packs and the like to the feeding line of a packag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743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5455C (en) Palletizing system and method
KR101939565B1 (ko) 오토 트레이 패킹 시스템
KR101939566B1 (ko) 배큠 패킹 장치
KR101929419B1 (ko) 랩 어라운드 포장시스템
CA26734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 loads
JP4747406B2 (ja) 容器供給装置
KR101987819B1 (ko) 용기공급장치
KR101769012B1 (ko) 포장용기 분류투입장치가 포함된 자동 미드팩 포장시스템
KR101100746B1 (ko)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KR102349792B1 (ko)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JPH1170917A (ja) ロボットによる段ボール箱への被充填物の充填機構
KR20100115677A (ko) 대형필름 검사 및 적재장치
JP5046590B2 (ja) 箱詰め方法
KR20230015122A (ko)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KR101901647B1 (ko) 봉지포장제품을 위한 자동적층시스템
CN213566640U (zh) 检测包装机
CN109159988B (zh) 一种微动开关包装设备
KR101939567B1 (ko) 오토 트레이 패킹 시스템
KR100714979B1 (ko) 플라스틱 몰드트레이 자동투입장치
JPH10236654A (ja) トレイパックの取出し装置
JPH09136723A (ja) ウェーハ取出し装置
JP3708166B2 (ja) 果菜物箱詰め装置
JP2901782B2 (ja) 梱包材料の把持ハンド
KR102330514B1 (ko) 종이 커버 자동 공급형 계란 포장 장치
EP0119834A1 (en) Tile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