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290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290A
KR20230012290A KR1020210092905A KR20210092905A KR20230012290A KR 20230012290 A KR20230012290 A KR 20230012290A KR 1020210092905 A KR1020210092905 A KR 1020210092905A KR 20210092905 A KR20210092905 A KR 20210092905A KR 20230012290 A KR20230012290 A KR 2023001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operation
light
light source
operation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김태승
송동준
김진우
정명욱
안희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290A/ko
Priority to US17/846,083 priority patent/US12040141B2/en
Publication of KR2023001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04Printed circuit t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4Attachment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투광부를 구비하는 누름조작부;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 방향 쪽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조작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어기판; 상기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에 마련되는 지문센서; 상기 지문센서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마련되는 제어부; 상기 지문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성기판; 및 상기 투광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보다 상기 누름조작부에 더 인접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의 양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누름조작시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게 마련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엔진의 시동을 걸기 위한 누름식 시동스위치 중에는 엔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 누름조작부 내부에 위치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누름조작부에 마련되는 투광부를 조명하도록 마련된 것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지문인식 기능을 일체로 구비하여 엔진에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절차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누름식 시동스위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문인식 기능을 일체로 구비하는 시동스위치의 경우, 케이스에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품들의 숫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광원의 광이 누름조작부에 도달되도록 하는 경로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문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의 일체화로 인해 누름조작부의 조명효과가 저하되는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광부를 구비하는 누름조작부;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 방향 쪽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조작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어기판; 상기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에 마련되는 지문센서; 상기 지문센서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마련되는 제어부; 상기 지문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성기판; 및 상기 투광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보다 상기 누름조작부에 더 인접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의 양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스위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확산부재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제어기판 양면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조작 방향이 되는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누름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잇다.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외면이 상기 케이스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의 통 모양을 이루고, 상기 누름조작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내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반사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반사부재의 걸림을 방지하는 슬릿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상기 누름조작부에 의해 상기 누름조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누름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딩 한 상태에서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확산부재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이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광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유도부는 복수개가 상기 제어기판 양면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광유도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광부를 구비하는 누름조작부; 상기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에 마련되는 지문센서; 상기 지문센서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상기 투광부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 방향 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와 광원이 설치되는 제어기판; 상기 지문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성기판; 및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시 상기 연성기판이 상기 광원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위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누름조작 방향이 되는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누름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외면이 상기 케이스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의 통 모양을 이루고, 상기 누름조작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내면으로부터 상기 연성기판과 상기 광원 사이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의 걸림을 방지하는 슬릿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성기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확산부재 쪽으로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에 의하면, 지문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품들의 배치구조가 최적화 되므로, 지문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의 일체화로 인해 누름조작부의 조명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누름조작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지문센서와 기판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정단면도로, 스위치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로, 스위치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엔진의 시동을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시동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장치는 누름조작부(20)를 구비하고, 누름조작부(20)는 스위치장치의 케이스(10) 일단에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누름조작부(20)는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 일단에 마련되는 케이스커버(12)를 구비할 수 있다. 누름조작부(20)는 케이스커버(12)에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누름조작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이 개방되고 내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중공의 통 모양을 이루고,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커버(12)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의 부호 c는 케이스(10)의 중심축선을 가리킨다.
스위치장치는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 방향은 수직방향이 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11)의 양측에는 스위치장치의 조립을 위한 조립돌기(11a)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립돌기(11a)는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걸림홈(미도시)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장치는 걸림홈(미도시)을 구비하는 설치홀(미도시)에 간단한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조작부(20)의 표면은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조작면(21)을 형성하고, 누름조작면(21)의 중앙에는 누름조작부(20)를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기 위한 지문센서(30)가 마련될 수 있다. 지문센서(30)는 정전용량식이나 광학식으로 손가락 지문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누름조작부(20) 반대편의 케이스 타단에는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커넉터(41)와,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42)가 설치될 수 있다.
접속커넥터(41)와 스위치(42)는 각각 케이스(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접속기판(43,44)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접속기판(43,44)은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접속기판(43,44) 사이는 커넥터(45)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단부와 접속기판(43,44) 사이에는 접속기판(43,44)을 케이스(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46)이 개재될 수 있다.
스위치(42)는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더(5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접속기판(44)에는 스위치(42)를 온 시키도록 슬라이딩한 슬라이더(50)와 누름조작부(20)를 본래의 위치로 슬라이딩 시키는 복원부재(47)가 설치될 수 있다. 복원부재(47)는 슬라이더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양 단부 사이의 내측에는 제어기판(60)이 마련되고, 제어기판(60)은 접속기판(44)과 커넥터(48)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제어기판(60)에는 지문센서(30)와 스위치(42)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CPU, ROM,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의 ROM에는 차량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RAM에는 일시적인 연산 결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지문센서(30)가 누름조작부(20)를 누른 사용자의 지문을 검출하면, 제어부(70)는 지문센서(30)를 통해 검출된 지문정보를 차량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대조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70)는 스위치(42)를 통해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 유무를 인식하여 판단할 수 있다.
지문센서(30)와 제어부(70) 사이는 연성기판(8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연성기판(80)은 에프피시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될 수 있다. 연성기판(80)은 지문센서(30)에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고, 지문센서(30)를 통해 검출된 지문 정보 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유연성이 우수한 연성기판(80)은 지문센서(30)에 대해 고정되는 제어부(70)와 지문센서(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 지문센서(30)가 설치된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을 허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50)는 누름조작부(20)에 의해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스위치(4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스위치(42)는 슬라이더(50)에 의해 터치된 상태에서 온 하고, 슬라이더(50)와 이격된 상태에서 오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스위치는 접속기판(44)에 마련되는 고정접점과 슬라이더(50)에 마련되는 이동접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름조작부(20)를 누른 이용자의 지문정보가 차량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문정보와 일치하고,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이 검출될 경우, 제어부(70)는 접속커넥터(41)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미도시)에 차량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엔진이 시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가 지문센서(30)와 스위치(42)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부(70)에는 차량의 전원으로부터 구동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누름조작부(20)는 투광부(22)를 구비하고, 스위치장치는 투광부(22)를 조명하기 위해 제어기판(60)에 설치되는 광원(90)을 구비할 수 있다. 광원(90)은 엘이디(LED)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투광부(22)는 광원(90)을 통해 발광하여 엔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투광부(22)는 문자 형태나 특정 디자인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광부(22)는 'ENGINE', 'START', 'STOP' 등의 문자 형태로 마련되고, 지문센서(30) 둘레로 배치될 수 있다.
투광부(22)를 제외한 누름조작부(20)의 나머지 영역은 광을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투광부(22)의 조명 효과가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누름조작부(20)가 전체적으로 투광 가능한 소재로 마련될 경우, 투광부(22)를 제외한 누름조작부(20)의 나머지 영역은 투광이 차단되도록 처리하여 투광부(22)의 조명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어기판(60)은 케이스(10)의 양 단부 사이의 내측에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누름조작부(20) 위치에서 보았을 때 제어기판(60)은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스위치장치의 장착 상태에서 보면, 제어기판(60)은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어 케이스(10)의 중앙부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양분할 수 있다.
제어기판(60)은 양면 실장용으로 마련되고, 제어기판(60)의 양면과 케이스(10) 내벽 사이에는 충분한 실장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지문인식과 관련된 구성들이 스위치장치에 일체화 되도록 하는데 유리한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50)는 외면이 케이스(10)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의 통 모양을 이루어 스위치(42)를 효과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케이스(10)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10) 내면과 슬라이더(50) 외면 사이에는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11b)와, 안내돌기(11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내홈(51)이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안내돌기(11b)와 안내홈(51)은 케이스(1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제어기판(60)은 그 하부가 접속기판(44)에 마련되는 커넥터(48)와 결합하여 접속되고, 하부 양측이 케이스(10) 내면에 결합하는 형태로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면에는 제어기판(60)의 하부 양측이 결합하는 결합홈(11c)이 마련되고, 결합홈(11c)의 위치에 대응하는 슬라이더(50)에는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제어기판(60)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슬릿(52)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제어기판(60)의 일면에 실장되고, 광원(90)은 제어부(70)보다 누름조작부(20)에 더 인접하는 위치의 제어기판(60) 양면에 설치되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90)은 누름조작부(20)에 인접하도록 누름조작부(20)에 대향되는 제어기판(60)의 단부 쪽 양면에 실장되고, 제어부(70)는 제어기판(60) 일면에 실장되는 광원(90)의 저부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누름조작부(20)에 마련되는 지문센서(30)와 제어부(70) 사이의 거리를 좁혀 연성기판(8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연성기판(80)에 의해 가려지는 광량을 줄이면서 연성기판(80) 주변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90)에 의해 투광부(22)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된다.
광원(90)은 제어기판(60) 양면에 각각 복수로 마련되고, 제어부(70)는 제어기판(60)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90) 사이의 저부로 배치될 수 있다.
투광부(22)의 조명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누름조작부(20)의 이면에는 광원(90)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90)을 통해 조사되는 광은 확산부재(100)에 고르게 분산된 상태에서 투광부(22)로 전달되어 투광부(22)의 조명효과를 높일 수 있다.
확산부재(100)는 누름조작부(20)의 이면에 결합하고, 확산부재(100)의 중앙에는 연성기판(80)의 인출을 위한 인출공(10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확산부재(100)는 중앙에 인출공(101)을 구비하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장치는 광원(90)의 광을 확산부재(1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재(110)는 확산부재(100)와 광원(90)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90)의 광을 확산부재(10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원(90)과 확산부재(100) 사이의 광 손실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판(60) 양면으로 배치되는 광원(90)의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반사부재(110)는 복수개가 제어기판(60) 양면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10)는 케이스(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고정부(111)로부터 연장되는 반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12)는 광원(90)의 측방에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광원(90)의 광을 상부의 확산부재(100)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110)는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구간에 해당하는 케이스(10)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50)와 반사부재(110) 사이에는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을 수 있다.
반사부재(110)에 대응하는 위치의 슬라이더(50)에는 슬라이더(50)가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반사부재(110)의 걸림을 방지하는 슬릿(53)이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110′)는 슬라이더(5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재(110′)는 슬라이더(50)가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딩 한 상태에서 광원(90)의 광을 확산부재(50)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110′)는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거리를 감안하여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부재(100′)는 누름조작부20() 이면에 배치되는 본체부(100a)와, 본체부(100a) 이면으로부터 광원(90)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광유도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부(100b)는 광원(90)에 의한 투광부(22)의 조명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누름조작부(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확산부재(100′)가 광원(90)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판(60) 양면으로 배치되는 광원(90)의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광유도부(100b)는 복수개가 본체부(100a) 이면으로부터 제어기판(60) 양면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유도부(100b)는 제어기판(60) 양측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거나, 광원(90)의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광원(90)과 광유도부(100b) 사이에는 광원(90)의 광을 광유도부(100b)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110)가 마련되어 광유도부(100b)와 광원(90) 사이의 광 손실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부재(110′)는 전술한 구조와 같이 슬라이더(50)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장치는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시 연성기판(80)이 광원(9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20)는 누름조작부(20)의 누름조작 과정에서 연성기판(80)이 광원(90) 쪽으로 침범하는 것을 제한하여 연성기판(80)에 의한 광 간섭 현상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120)는 케이스(10) 내면으로부터 연성기판(80)과 광원(90) 사이로 돌출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120)는 복수로 마련되어 연성기판(80)의 복수의 지점이 광원 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120)는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구간에 해당하는 케이스(10) 내면으로부터 연성기판(80)과 광원(90) 사이로 돌출 연장되고, 이 가이드(120)에 대응하는 위치의 슬라이더(50)에는 가이드(120)의 걸림을 방지하는 슬릿(54)이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가이드(120)가 누름조작부(20) 쪽으로 위치될 경우, 누름조작부(20) 쪽에도 슬릿(54) 대응하는 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20′)는 광반사 기능을 겸할 수 있게 연성기판(80)과 광원(90) 사이에 마련되어 광원(90)의 광을 확산부재(100) 쪽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120′)는 경사진 판 형태로 마련되어 광원(90)을 마주하는 면을 통해 광원(90)의 광을 확산부재(100) 쪽으로 반사시키고, 그 반대편 면을 통해 연성기판(80)이 광원(9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광원(90)의 배치는 전술한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광원(90)의 배치 구조가 달라지더라도 가이드(120′)에 의해 개선되는 투광부(22)의 조명효과는 유효할 수 있다.
10: 케이스 20: 누름조작부
30: 지문센서 42: 스위치
50: 슬라이더 60: 제어기판
70: 제어부 80: 연성기판
90: 광원 100: 확산부재

Claims (15)

  1. 투광부를 구비하는 누름조작부;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 방향 쪽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조작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어기판;
    상기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에 마련되는 지문센서;
    상기 지문센서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마련되는 제어부;
    상기 지문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성기판; 및
    상기 투광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보다 상기 누름조작부에 더 인접하도록 상기 제어기판의 양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광확산부재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제어기판 양면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 방향이 되는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누름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외면이 상기 케이스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의 통 모양을 이루고, 상기 누름조작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내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반사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반사부재의 걸림을 방지하는 슬릿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상기 누름조작부에 의해 상기 누름조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스위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누름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딩 한 상태에서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확산부재 쪽으로 반사시키는 스위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이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광유도부;를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는 복수개가 상기 제어기판 양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스위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광유도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12. 투광부를 구비하는 누름조작부;
    상기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에 마련되는 지문센서;
    상기 지문센서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상기 투광부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 방향 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와 광원이 설치되는 제어기판;
    상기 지문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성기판; 및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시 상기 연성기판이 상기 광원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 방향이 되는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누름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의 누름조작을 검출하는 스위치; 및
    외면이 상기 케이스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의 통 모양을 이루고, 상기 누름조작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내면으로부터 상기 연성기판과 상기 광원 사이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의 걸림을 방지하는 슬릿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누름조작부 이면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성기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확산부재 쪽으로 반사하는 스위치장치.
KR1020210092905A 2021-07-15 2021-07-15 스위치장치 KR20230012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05A KR20230012290A (ko) 2021-07-15 2021-07-15 스위치장치
US17/846,083 US12040141B2 (en) 2021-07-15 2022-06-22 Switc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05A KR20230012290A (ko) 2021-07-15 2021-07-15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90A true KR20230012290A (ko) 2023-01-26

Family

ID=8489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05A KR20230012290A (ko) 2021-07-15 2021-07-15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29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3698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228B2 (en) Illuminated keyboard with optical switch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US9846492B2 (en) Optical switch keyboard
US9214300B2 (en) Keyboard device with luminous key
CN100452262C (zh) 电子按钮开关
US20150021151A1 (en) Luminous keyboard
JP2005011672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WO2014017324A1 (ja) スイッチ装置
US9213417B2 (en) Keyboard device with luminous key
CN110785934A (zh) 机动车操作设备
US10134543B2 (en) Luminous keyboard
KR20230012290A (ko) 스위치장치
US7455415B2 (en) Operation device
KR20150026739A (ko) 스위치 장치
KR20150026740A (ko) 스위치 장치
CN108091510B (zh) 按键结构
JP5271144B2 (ja) スイッチ
US12040141B2 (en) Switch device
JP6061397B2 (ja) 照光装置
JP4676397B2 (ja) スイッチ装置
JP4375404B2 (ja) 照光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映像音響機器
JP6438758B2 (ja) 遊技機用の照光式押圧スイッチ
KR100574264B1 (ko) 엘리베이터용 누름 버튼 스위치
JP2001297669A (ja) タッチパネル
KR20190032066A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