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669A -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669A
KR20230011669A KR1020210092223A KR20210092223A KR20230011669A KR 20230011669 A KR20230011669 A KR 20230011669A KR 1020210092223 A KR1020210092223 A KR 1020210092223A KR 20210092223 A KR20210092223 A KR 20210092223A KR 20230011669 A KR20230011669 A KR 2023001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bamipide
aqueous solution
iii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5076B1 (en
Inventor
임창백
황성우
도형주
김보람
전명제
김효철
지용훈
Original Assignee
대우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76B1/en
Priority to PCT/KR2022/010217 priority patent/WO2023287199A1/en
Publication of KR2023001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42-Quinolinones, e.g. carbosty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rge-capacity stable rebamipide eye drop.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rge-capacity stable rebamipide eye drop composition while reducing the production process time by solubiliz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or adjusting the pH to 7 to 8 thereof by using an aqueous solution with a pH exceeding 11 and the amount of water adjusted to a certain volume or more.

Description

안정한 레바미피드 점안제의 대용량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Large-capacity manufacturing method of stable rebamipide eye drops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본 발명은 안정한 레바미피드 점안제을 대용량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pH 11을 초과하고, 물의 양이 특정 부피 이상으로 조절된 수용액을 사용하여 가용화 및/또는 pH 7 내지 8로 조정함으로써 안정한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을 생산공정 시간을 단축하면서 대용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large-capacity stable rebamipide eye drop,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in which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exceeds pH 11 and the amount of water is adjusted to a specific volume or 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stable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in large quantities while reducing the production process time by solubilizing and/or adjusting the pH to 7 to 8 using an aqueous solution.

국내 안구건조증 환자는 매년 증가하여 2004년도 110만 명에서 2014년 214만 명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많은 환자가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삶의 질이 저하되고, 심하면 시력이 손상되는 고통을 받고 있다. 안구 건조증의 원인은 다양하나 치료제는 한정적이다. 안구건조증 치료제는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점액질 분비를 촉진하는 디쿠아솔(Diquasol™)과 레바미피드(rebamipide), 눈의 건조 방지 및 상피세포 치유를 촉진하는 히알루론산 점안액 등이 판매되고 있다.The number of dry eye patients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from 1.1 million in 2004 to 2.14 million in 2014. As a result, many patients are experiencing inconvenience in daily life,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and suffering from impaired vision in severe cases. is receiving The causes of dry eye syndrome are diverse, but the treatment is limited. Treatments for dry eye syndrome include cyclosporine, an immunosuppressant, Diquasol™ and rebamipide, which promote secretion of mucus, and hyaluronic acid eye drops, which prevent dry eyes and promote epithelial cell healing.

이중 레바미피드는 뮤신을 촉진하고 점액을 분비하여 안구 건조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 일본에서 Mucostar™ UD 2% 현탁 점안액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 제품은 백색의 현탁제로 되어 있는 제품으로 현탁제에서 발생하는 작열감, 따가움, 시야 흐림 현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조에서도 용액상태의 제제와 비교하여 여과멸균이나 증기멸균이 불가하여 멸균에 필요한 공정설계가 복합하여지고, 무균성의 품질관리와 보증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점안에 안전하고 유효한 새로운 용액상태의 점안액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mong them, rebamipide is known to be effective in dry eye syndrome by promoting mucin and secreting mucus, and is currently sold in Japan as Mucostar™ UD 2% suspension eye drop. This product is a product made of a white suspens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ide effects such as burning sensation, stinging, and blurred vision occur in the suspension. In addition, compared to preparations in a solution state, filtration sterilization or steam sterilization is not possible in manufacturing, so the process design required for sterilization is complex, and many difficulties are encountered in sterility quality control and assurance.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olution-type eye drop that is safe and effective for eye drops.

이러한 용액상태의 점안액에 대한 선행문헌으로 최초 레바미피드 점안제를 개발한 오츠카 제약에서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64187호(공개일자: 1999년 7월 26일)에서는 용액상태의 제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별도의 용해첨가제를 사용하고 해당 점안액이 pH 8.3 내지 9.3으로써 점안 투여 시 자극감과 점막손상이 우려되는 조건으로 기재되어 있다.As a prior literature on such solution-state eye drop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4187 (published on July 26, 1999) filed by Otsuka Pharmaceutical, which developed the first rebamipide eye drop, describes the preparation of the solution state. However, it is described as a condition in which a separate dissolving additive is used and the eye drop has a pH of 8.3 to 9.3, causing irritation and mucosal damage during eye drop administration.

보통의 점안제의 pH는 8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액과 동일한 pH 7 내지 pH 8의 범위가 생체 적합하다. 레바미피드는 물에서는 거의 녹지 않으며 pH가 염기성으로 높아질수록 용해도가 증가하여 녹기 쉽다. 하지만, 염기성에서 가용화된 레바미피드는 생체 범위의 pH로 낮추게 되면 급격한 용해도 감소에 의하여 침전이 발생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H of ordinary eye drops does not exceed 8, and the range of pH 7 to pH 8, which is the same as body fluids, is biocompatible. Rebamipide is almost insoluble in water, and its solubility increases as the pH increases to basicity, making it easy to dissolve. However, when rebamipide solubilized in basicity is lowered to a pH within the biological range, precipitation occurs due to a rapid decrease in solubility.

국제공개번호 WO 2008/074853호(공개일자: 2008년 6월 26일)에는 레바미피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점도 증강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등장화제로 글리콜류를, 완충제로 무기염을 사용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조성물 역시 약 알카리성에서 용해되어 장시간 방치 시 침전물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8/074853 (published on June 26, 2008) discloses that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is used as a viscosity enhancing agent and glycols are used as an isotonic agent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rebamipide. , compositions using inorganic salts as buffers are disclosed.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above document also has a problem of dissolving in weak alkalinity and forming a precipitate when left for a long tim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786호(공개일자: 2011년 3월 16일)에서는 아미노산과 용해보조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과 마크로골(macrogol)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수용액 상태의 점안액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첨가제인 마크로골은 점안제로써 사용되기 어렵다. 마크로골은 통상 난용성 물질의 가용화에 사용되고 있으나, 점안용도로 사용 시 안 점막에 자극감을 줄 수 있고, 다만 소량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성 측면에서 사용이 배제되는 것이 좋다. 특히, 안구 건조와 같이 재발이 쉽고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제제에서는 마크로골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27786 (published on March 16, 2011) discloses an eye drop composition in aqueous solution prepared using amino acids and solubilizing agents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and macrogol. is starting However, macrogol, a major additive, is difficult to use as an eye drop. Macrogol is usually used for solubilization of poorly soluble substances, but when used for eye drops, it can cause irritation to the ocular mucosa.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 use of Macrogol in preparations that are prone to recurrence, such as dry eye, and must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2598호(공개일자: 2017년 3월 2일)에서는 레바미피드를 염기와 함께 물에서 pH 8.5 이상에서 용해시킨 다음, 재결정 방지제로 사이클로덱스트린류 이용하여 레바미피드를 포접하여 투명한 용액상태를 유지하며 가용화하는 제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USP에 sequestering agent로 소개되어 있다. 유럽 FDA에서 허가된 Voltaren이란 제품은 hydroxypropylgamma-cyclodextrin을 사용하였으며 함량은 2%를 사용하였고, Indocid 제품은 2-hydroxypropyl-β-cyclodextrin을 주성분과 몰 비율로 25배, 즉 주성분 0.1%일 경우 4.3%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다(US 08/706,268 참조). 그러나 Jansen T 등의 문헌에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류가 5% 이상에서 각막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어서 안과용 제제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Lens Eye Toxic Res. 1990;7(3-4):459-68.).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2598호에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1.5 ~ 6배의 중량비로 사용되어 3%에서 12%가 사용된다고 기재하고 있다. 이는 3% 이상에서의 사이클로덱스트린류의 의약품 부형제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독성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도 pH는 8 이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생체 적합성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수용액 상태의 점안액을 개시하고 있으나, 그 수용액 상태의 안정성 시험을 일부 조건에 대하여 한정된 기간만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완전한 용액상태의 안정화를 달성하였다고 평가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해당 발명으로부터 충분히 안전하고 안정한 점안용 수용액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minimize these side effect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22598 (published on March 2, 2017) discloses that rebamipide is dissolved in water with a base at pH 8.5 or higher, and then cyclochlorinated as a recrystallization inhibitor. A preparation method for solubilizing while maintaining a transparent solution state by incorporating rebamipide using dextrins is disclosed. Cyclodextrin is introduced as a sequestering agent in the USP. Voltaren, a product approved by the European FDA, used 2% of hydroxypropylgamma-cyclodextrin, and the Indocid product used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in a molar ratio of 25 times the main ingredient, that is, 4.3% when the main ingredient was 0.1%. of cyclodextrin (see US 08/706,268). However, in literature such as Jansen T, it is revealed that cyclodextrins can cause toxicity to the cornea at 5% or more,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ophthalmic preparations (Lens Eye Toxic Res. 1990;7(3-4):459-68.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2598 discloses that cyclodextrin is used in a weight ratio of 1.5 to 6 times that of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o that 3% to 12% is used. Since this is a pharmaceutical excipient of cyclodextrins at 3% or more and there is no data,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toxicity data must be submitt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even in the examples, the pH is still having a problem of biocompatibility by being prepared at 8 or more. Although the above invention discloses an eye drop in an aqueous solution stat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at the stability of the aqueous solution state has been achieved because the stability test of the aqueous solution state was conducted only for a limited period under some condi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ufficiently safe and stable aqueous solution for eye drops from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9347호(공개일자: 2017년 4월 11일)에도 사이클로덱스트린류와 아미노산을 이용한 수용액 점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발명과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9347 (published on April 11, 2017) also describes an aqueous eye drop composition using cyclodextrins and amino acids, but has the same problems as the abov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난용성 레바미피드를 가용화시킨 후 생체 적합한 pH 범위로 조정하여도, 장기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점을 발견하고 셀룰로오스 유도체류를 안정화제로 선택하여 레바미피드를 pH 10~11에서 가용화하는 발명을 완성하여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1840256호(등록일자: 2018년 3월 14일)로 등록이 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는 100 L 이상의 대용량으로 생산시 레바미피드 가용화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단가 상승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에 레바미비드 가용화 시간을 줄여 효율적으로 안정한 수용성 점안액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cellulose derivatives can maintain a stable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after solubilizing poorly soluble rebamipide and adjusting the pH to a biocompatible pH range. The solubilizing invention was completed in 10-11 and registered as Korean Patent No. 10-1840256 (registration date: March 14, 2018). However, in the above invention, it was found that rebamipide takes a long time to solubilize when produced in a large capacity of 100 L or more, which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preparing a stable water-soluble eye drop by reducing the solubilization time of rebamibea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641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4187 국제공개번호 WO 2008/07485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8/07485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78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778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259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259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934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934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2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40256

Jansen T 등, Lens Eye Toxic Res. 1990;7(3-4):459-68Jansen T et al., Lens Eye Toxic Res. 1990;7(3-4):459-68

이에 본 발명은 안정한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을 생산공정 시간을 단축하면서 대용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producing a stable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in a large amount while reducing the production process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85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 붕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및 iv) 상기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i) adding a base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hydroxyethylcellulose as a stabilizer, and dissolving in 85% by volume or more of water to obta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greater than 11; ii) add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followed by solubilization; iii) adding a buffer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mannitol,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Dissolving and then adjusting the pH to 7 to 8 with an acid; and iv)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또한, 본 발명은 i)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60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 붕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5 부피% 이상이 되도록 한 후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및 iv) 상기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 adding a base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hydroxyethylcellulose as a stabilizer, and dissolving in water of 60% by volume or more to obtain pH greater than 11 obtaining an aqueous solution; ii) add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followed by solubilization; iii) adding a buffer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mannitol,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After dissolving, adding water to make it 85% by volume or more of the aqueous solution, and then adjusting the pH to 7 to 8 with an acid; and iv)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가용화제나 용해보조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레바미피드를 가용화하기 위한 염기성 물질을 사용하여, 수용액을 pH 11이 초과하도록 조정한 다음 레바미피드를 수용액 상태로 녹이고, 인체에 무해한 안정화제, 완충제 및 비이온성 삼투압 조절제를 사용하며, 물이 수용액의 85 부피% 이상을 차지하는 수용액을 pH 7 내지 8로 조정함으로써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을 제조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substance for solubilizing rebamipide is used without using a separate solubilizing agent or solubilizing agent, the aqueous solution is adjusted to a pH exceeding 11, and then the rebamipide is dissolv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rebamipide is dissolved in an aqueous solution. A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is prepared by adjusting the pH of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water occupies 85% by volume or more of the aqueous solution to a pH of 7 to 8 using a topical agent, a buffer and a nonionic osmotic pressure regula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85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 붕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및 iv) 상기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 as a stabilizer, a base is added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hydroxyethylcellulose, and dissolved in water having a pH of 85% by volume or more. obtaining an aqueous solution greater than 11; ii) add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followed by solubilization; iii) adding a buffer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mannitol,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Dissolving and then adjusting the pH to 7 to 8 with an acid; and iv)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ypromellose),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base)를 가하고 수용액 전체 부피에 대하여 85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를 고온, 예를 들면 70 내지 100℃의 물에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를 고온의 물에 용해한 다음 25 내지 30℃로 냉각하고 나서 염기를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88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90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88 내지 92 부피%의 물에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90 부피%의 물에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염기(base)는 적은 양으로 효과적으로 가용화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과 같이 점안제에 적합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pH 12 이상의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는 0.1 내지 1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ypromel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and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ethyl A base is added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and dissolved in 85% by volume or more of water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aqueous solution to obta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higher than 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the stabilizer may be dissolved in water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70 to 100 °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the stabilizer may be dissolved in high-temperature water, cooled to 25 to 30 ° C, and then a base may be ad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a base is added to the cellulose derivative as a stabilizer and can be dissolved in 88% by volume or more of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a base is added to the cellulose derivative as a stabilizer and can be dissolved in 90% by volume or more of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a base may be added to the cellulose derivative as a stabilizer and dissolved in 88 to 92% by volume of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a base may be added to the cellulose derivative as a stabilizer and dissolved in 90% by volume of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i), a base that can effectively solubilize can be used in a small amount, for example, sodium hydroxide (NaOH) or potassium hydroxide (KOH) and As such, those suitable for eye drops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12 or higher may be obtained in step (i).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the stabilizer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1 w/v%.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에서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레바미피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며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에서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1 내지 2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dded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and then solubiliz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rebamipide includes those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n step (ii)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1 to 2 w/v%.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aminocaproic acid), 붕산(bor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완충제는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가용화 상태로서 생체 적합한 pH 범위에서 보관 시에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는 0.1 내지 2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삼투압 조절제는 점안제의 삼투압 조절을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NaCl, KCl 등의 전해질성 삼투압 조절제가 다량 사용될 경우 보관 중에 레바미피드와 염을 형성하여 침전물을 형성하기 용이하기에 이의 사용은 배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삼투압 조절제는 1 내지 5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pH를 7 내지 8로 조정하기 위한 산(acid)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또는 숙신산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추가로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edet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메타인산(metaphosphoric acid), 피로인산(pyrophosphoric acid),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피트산(phytic acid), 또는 이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는 0.01 내지 0.1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방부제(preservative)를 추가로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부제는 첨가 시 유효성분인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결정화가 일어나 현탁화가 일어나지 않고 방부 효과가 우수한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방부제는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방부제는 0.002 내지 0.1 w/v% 또는 0.002 내지 0.05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in step (iii), a buff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sorbitol and mannitol ,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is added and dissolved, and then the pH is adjusted to 7 to 8 with an aci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functions to maintain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a solubilized state in a biocompatible pH range during stora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buffer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2 w/v%.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smotic pressure regulator is used to control the osmotic pressure of eye drop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lectrolyte osmotic pressure regulator such as NaCl or KCl is used in a large amount, it is easy to form a precipitate by forming a salt with rebamipide during storage, and thus its use is exclu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osmotic pressure regulator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1 to 5 w/v%.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id for adjusting the pH to 7 to 8 in step (iii),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or succinic acid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a chelat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dissol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lating agent in step (iii) is, for example, edetic acid, citric acid, metaphosphoric acid, pyrophosphoric acid, poly Polyphospho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phytic acid, or alkali metal salts or hydrates thereof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chelating agent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01 to 0.1 w/v%.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rvative may be further dissolved in step (iii).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preservative having an excellent preservative effect without causing crystall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suspending when added, may be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there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preserva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but are limited thereto It is no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preservative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002 to 0.1 w/v% or 0.002 to 0.05 w/v%.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v)에서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여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온멸균, 적외선멸균 또는 무균여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v)에서 멸균은 필터로 여과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is prepared by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v) to step (iii). In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infrared sterilization, or aseptic filt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in step (iv) may be performed by filtering with a filt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i)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60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 붕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5 부피% 이상이 되도록 한 후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및 iv) 상기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 adding a base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hydroxyethylcellulose as a stabilizer and dissolving it in water of 60% by volume or more to obtain a pH obtaining an aqueous solution greater than 11; ii) add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followed by solubilization; iii) adding a buffer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mannitol,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After dissolving, adding water to make it 85% by volume or more of the aqueous solution, and then adjusting the pH to 7 to 8 with an acid; and iv)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ypromellose),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base)를 가하고 수용액 전체 부피에 대하여 60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를 고온, 예를 들면 70 내지 100℃의 물에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를 고온의 물에 용해한 다음 25 내지 30℃로 냉각하고 나서 염기를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염기(base)는 적은 양으로 효과적으로 가용화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과 같이 점안제에 적합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pH 12 이상의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는 0.1 내지 1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ypromel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and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ethyl A base is added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and dissolved in 60% by volume or more of water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aqueous solution to obta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higher than 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the stabilizer may be dissolved in water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70 to 100 °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the stabilizer may be dissolved in high-temperature water, cooled to 25 to 30 ° C, and then a base may be ad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i), a base that can effectively solubilize can be used in a small amount, for example, sodium hydroxide (NaOH) or potassium hydroxide (KOH) and As such, those suitable for eye drops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12 or higher may be obtained in step (i).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 the stabilizer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1 w/v%.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에서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레바미피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며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에서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1 내지 2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dded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and then solubiliz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rebamipide includes those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n step (ii)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1 to 2 w/v%.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aminocaproic acid), 붕산(bor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5 부피% 이상이 되도록 한 후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완충제는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가용화 상태로서 생체 적합한 pH 범위에서 보관 시에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는 0.1 내지 2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삼투압 조절제는 점안제의 삼투압 조절을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NaCl, KCl 등의 전해질성 삼투압 조절제가 다량 사용될 경우 보관 중에 레바미피드와 염을 형성하여 침전물을 형성하기 용이하기에 이의 사용은 배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삼투압 조절제는 1 내지 5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 및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8 부피%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 및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90 부피%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 및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8 내지 92 부피%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 및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90 부피%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pH를 7 내지 8로 조정하기 위한 산(acid)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또는 숙신산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를 추가로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edet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메타인산(metaphosphoric acid), 피로인산(pyrophosphoric acid),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피트산(phytic acid), 또는 이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는 0.01 내지 0.1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방부제(preservative)를 추가로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부제는 첨가 시 유효성분인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결정화가 일어나 현탁화가 일어나지 않고 방부 효과가 우수한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방부제는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i)에서 방부제는 0.002 내지 0.1 w/v% 또는 0.002 내지 0.05 w/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in step (iii), a buff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sorbitol and mannitol ,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are added and dissolved, then water is added to make the aqueous solution more than 85% by volume, and the pH is adjusted to 7 to 8 with an aci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functions to maintain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a solubilized state in a biocompatible pH range during stora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buffer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2 w/v%.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smotic pressure regulator is used to control the osmotic pressure of eye drop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lectrolyte osmotic pressure regulator such as NaCl or KCl is used in a large amount, it is easy to form a precipitate by forming a salt with rebamipide during storage, and thus its use is exclu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osmotic pressure regulator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1 to 5 w/v%.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a buffer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may be added and dissolved, and then water may be added to make the aqueous solution 88% by volume or m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a buffer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may be added and dissolved, and then water may be added to make the aqueous solution more than 90% by volu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a buffer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may be added and dissolved, and then water may be added to make 88 to 92% by volume of the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a buffer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may be added and dissolved, and then water may be added to make the aqueous solution 90% by volu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id for adjusting the pH to 7 to 8 in step (iii),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or succinic acid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a chelat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dissol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lating agent in step (iii) is, for example, edetic acid, citric acid, metaphosphoric acid, pyrophosphoric acid, poly Polyphospho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phytic acid, or alkali metal salts or hydrates thereof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chelating agent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01 to 0.1 w/v%.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rvative may be further dissolved in step (iii).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preservative having an excellent preservative effect without causing crystall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suspending when added, may be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there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preserva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but are limited thereto It is no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ii), the preservative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0.002 to 0.1 w/v% or 0.002 to 0.05 w/v%.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v)에서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여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온멸균, 적외선멸균 또는 무균여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v)에서 멸균은 필터로 여과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is prepared by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v) to step (iii). In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infrared sterilization, or aseptic filt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in step (iv) may be performed by filtering with a filter.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을 대용량으로 제조시 품질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생산 시간 및 생산 단가를 감소시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can be economically produced by reducing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cost while maintaining quality and stability when producing a large-capacity rebamipide eye drop composition.

도 1은 레바미피드 점안제의 일회용 및 다회용의 충전 후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after filling of rebamipide eye drops for single use and multiple use.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examples. However, the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다음의 표 1 및 2의 조건으로 다음의 방법을 통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레바미비드 점안액을 제조하였다.Rebamibide ophthalmic solution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1) 80℃의 물 80 L 또는 90L에 HPMC 2910을 넣은 다음 용해하고 냉각하였다. 1) HPMC 2910 was put into 80 L or 90 L of water at 80°C, then dissolved and cooled.

2) 상기 (1)에서 얻은 용액에 NaOH 용액 또는 powder를 넣고 교반하면서 각각 pH 10~11, pH 11~12, pH 12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였다.2) NaOH solution or powder was added to the solution obtained in (1) and adjusted to pH 10-11, pH 11-12, and pH 12 or higher, respectively, while stirring.

3) 상기 (2)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를 넣어 용해 후 첨가제(완충제,를 삼투압 조절제 및 킬레이트제)를 넣고 pH를 7 내지 8이 되도록 조정하였다.3) After dissolving rebamipide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solution (2), additives (buffer, osmotic pressure regulator and chelating agent) were added and the pH was adjusted to 7-8.

4) 상기 (3)에서 얻어진 투명한 용액에 물을 첨가하여서 전체 부피를 100 L로 맞추어 제조하였다.4) Water was added to the transparent solution obtained in (3) to adjust the total volume to 100 L.

[표 1] [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2][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실험예 1: 성상 변화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property change

대한민국약전에 따라 장기보존시험 및 가속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장기보존시험은 24~36개월까지 안정해야 하고, 가속시험 조건에 따라 6개월까지 안정해야 된다. 가용화한 레바미피드 수용액 점안제는 pH 6.8 이하에서 과포화상태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레바미피드 수용액 점안제의 경우 pH 6.8~8.0을 장기간 유지해야 된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제조 후 장기보존시험 및 가속시험에 따른 pH 변화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When a long-term storage test and an accelerated test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Korean Pharmacopoeia, the long-term test should be stable for 24 to 36 months, and should be stable for up to 6 months according to the accelerated test conditions. Since the supersaturation state of the solubilized aqueous rebamipide eye drop may be broken at pH 6.8 or less, in the case of the rebamipide aqueous eye drop, pH 6.8 to 8.0 should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prepar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Examples 1 to 4, the pH change according to the long-term storage test and the accelerated test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Tabl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표 3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는 생체에 적합한 pH 7~8로 보정한 후 안정성시험 중에 pH가 안정화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고, 반면에 비교예 2 및 비교예 4의 경우는 안정성시험에서 pH가 안정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was not stabilized during the stability test after correcting to pH 7-8 suitable for the body,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was stabilized in the stability test.

실험예 2: 초기 물 사용량 및 pH에 따른 레바미피드 가용화 시간Experimental Example 2: Rebamipide solubilization time according to initial water usage and pH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제조 동안 유효성분인 레바미피드가 완전히 가용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During the prepar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Examples 1 to 4, the time required for complete solubilization of rebamipide, an active ingredient,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표 4][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표 4로부터 볼 수 있듯이, 초기 물의 양과는 상관없이 레바미피드의 가용화 시간은 pH 에 따라 가용화 되는 시간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4, it was found that the solubilization time of rebamipide changed depending on the pH regardless of the initial amount of water.

실험예 3: pH 보정시 안정화 시간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stabilization time during pH correction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pH 보정시 유효성분(레바미피드)의 안정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10분마다 검체를 채취하여 pH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검체는 5분간 측정하고 pH가 변화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measure the stabilization time of the active ingredient (rebamipide) in the pH calibr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Examples 1 to 4, samples were taken every 10 minutes and measured using a pH meter. Each sample was measured for 5 minutes,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pH did not change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표 5][Table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표 5로부터 볼 수 있듯이, pH 보정시 초기 물양이 80%일 때 과포화 상태인 레바미피드의 가용화 상태가 불안정해져서 안정화 되는 시간이 오래 걸림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5, when the initial amount of water is 80% during pH correction, the solubilization state of rebamipide, which is in a supersaturated state, becomes unstable, and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stabilize.

실험예 4: 초기 물의 양 변화 및 pH 보정 전 물의 양 변경 시 안정화 시간 측정Experimental Example 4: Measurement of stabilization time when changing the amount of initial water and changing the amount of water before pH correction

안정화제를 용해하는 초기 물의 양을 변화하는 대신 pH를 7 내지 8로 보정하기 전에 다양한 물의 양으로 첨가한 경우의 유효성분(레바미피드) 안정화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Instead of changing the initial amount of water for dissolving the stabilizer, the stabilization time of the active ingredient (rebamipide) was measured when various amounts of water were added before correcting the pH to 7 to 8,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표 6][Table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pH 보정시 초기 물양이 적어도 pH 7 내지 8로 보정 전에 물을 첨가하여 부피가 90 부피% 이상일 경우 안정화 시간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6, it was found that the stabilization time was reduced when the initial amount of water during pH correction was 90% by volume or more by adding water before correction to at least pH 7 to 8.

Claims (16)

i)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85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 붕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및
iv) 상기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
i) adding a base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hydroxyethylcellulose as a stabilizer and dissolving in 85% by volume or more water to obta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greater than 11; ;
ii) add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followed by solubilization;
iii) adding a buffer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mannitol,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dissolving and then adjusting the pH to 7 to 8 with an acid; and
iv)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i) 안정화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염기를 가하고 60 부피% 이상의 물에 용해하여 pH 11을 초과하는 수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수용액에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한 다음 가용화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수용액에 아미노카프로산, 붕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 및 소르비톨, 만니톨,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5 부피% 이상이 되도록 한 후 산(acid)으로 pH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및
iv) 상기 단계 (iii)에서 얻은 수용액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
i) adding a base to a cellulose deriva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hydroxyethylcellulose as a stabilizer and dissolving in 60% by volume or more water to obta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greater than 11; ;
ii) adding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 followed by solubilization;
iii) adding a buffer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caproic acid, boric acid and mixtures thereof, and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ol, mannitol, dextrose, sucrose, glycerin and mixtures thereof to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 After dissolving, adding water to make it 85% by volume or more of the aqueous solution, and then adjusting the pH to 7 to 8 with an acid; and
iv) sterilizing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를 70 내지 100℃의 고온의 물에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eparing a rebamipide eye drop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in step (i), the stabilizer is dissolved in hot water at 70 to 100°C.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pH 12 이상의 수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eparing a rebamipide eye drop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12 or higher is obtained in step (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88 내지 92 부피%의 물을 사용하여 수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aqueous solution is obtained using 88 to 92% by volume of water in step (i).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물을 추가하여 수용액의 88 내지 92 부피%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Claim 3]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n step (iii), water is added to make the aqueous solution 88 to 92% by volu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base in step (i) is sodium hydroxide (NaOH) or potassium hydroxide (KO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안정화제가 0.1 내지 1 w/v%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eparing a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abilizer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1 w/v% in step (i).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유효성분으로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1 내지 2 w/v%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rebamipid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rebamip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step (ii) at a concentration of 1 to 2 w/v%. A method for preparing an eye drop com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완충제가 0.1 내지 2 w/v%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buffering agent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2 w/v% in step (iii).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삼투압 조절제가 1 내지 5 w/v%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Claim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in step (iii), the osmotic pressure regulator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1 to 5 w/v%.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산이 염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및 숙신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acid in step (iii)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chlo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and succinic ac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킬레이트제가 추가로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eparing a rebamipide ophthalm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helating agent is additionally dissolved in step (iii).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데트산, 시트르산, 메타인산, 피로인산, 폴리인산, 말산, 타르타르산, 피트산, 이의 알칼리금속염 및 수화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rebamipide eye drop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helat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detic acid, citric acid, metaphosphoric acid, pyrophosphoric acid, polyphospho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phytic acid, and alkali metal salts and hydrate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0.01 내지 0.1 w/v%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elating agent is used at a concentration of 0.01 to 0.1 w/v%.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에서 멸균이 필터로 여과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바미피드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eparing a rebamipide eye drop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erilization in step (iv) is performed by filtration through a filter.
KR1020210092223A 2021-07-14 2021-07-14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KR102615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23A KR102615076B1 (en) 2021-07-14 2021-07-14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PCT/KR2022/010217 WO2023287199A1 (en) 2021-07-14 2022-07-13 Method for preparing large volume of stable rebamipide eye dro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23A KR102615076B1 (en) 2021-07-14 2021-07-14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69A true KR20230011669A (en) 2023-01-25
KR102615076B1 KR102615076B1 (en) 2023-12-19

Family

ID=8492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23A KR102615076B1 (en) 2021-07-14 2021-07-14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5076B1 (en)
WO (1) WO2023287199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187A (en) 1995-10-12 1999-07-26 오오쓰까 아끼히꼬 Carbostyryl derivative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WO2008074853A1 (en) 2006-12-21 2008-06-26 Novartis Ag Ophthalmic rebamipide solution
KR20110027786A (en) 2008-06-19 2011-03-16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ebamipide
KR20170022598A (en) 2015-08-21 2017-03-02 국제약품 주식회사 Method for solubilizing Rebamipide and a solution for treating dry eye syndrome prepared thereby
KR20170039347A (en) 2015-10-01 2017-04-11 삼진제약주식회사 Novel op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rebamip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40256B1 (en) 2017-09-21 2018-03-21 대우제약 주식회사 A water-soluble eye drop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ontaining rebamipide and its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3626B (en) * 2004-11-15 2012-05-11 Otsuka Pharma Co Ltd Aqueous ophthalmic suspension of crystalline rebamipide
KR101923519B1 (en) * 2018-06-26 2019-02-27 대우제약 주식회사 A water-soluble, multi-use eyedrops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ontaining rebamipide and a method for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187A (en) 1995-10-12 1999-07-26 오오쓰까 아끼히꼬 Carbostyryl derivative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WO2008074853A1 (en) 2006-12-21 2008-06-26 Novartis Ag Ophthalmic rebamipide solution
KR20110027786A (en) 2008-06-19 2011-03-16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ebamipide
KR20170022598A (en) 2015-08-21 2017-03-02 국제약품 주식회사 Method for solubilizing Rebamipide and a solution for treating dry eye syndrome prepared thereby
KR20170039347A (en) 2015-10-01 2017-04-11 삼진제약주식회사 Novel op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rebamip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40256B1 (en) 2017-09-21 2018-03-21 대우제약 주식회사 A water-soluble eye drop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ontaining rebamipide and its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nsen T 등, Lens Eye Toxic Res. 1990;7(3-4):459-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076B1 (en) 2023-12-19
WO2023287199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933B1 (en) Atropine-containing aqueous composition
TW200402B (en)
CN111107838B (en) Eye drop composition containing rebamipide for treating dry eye and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method thereof
WO2016072440A1 (en) Ophthalmic aqueous composition
KR20130066319A (en) Composition for inhibit after-catarac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718733B1 (en) Method for solubilizing Rebamipide and a solution for treating dry eye syndrome prepared thereby
KR101923519B1 (en) A water-soluble, multi-use eyedrops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ontaining rebamipide and a method for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thereof
EP2779993B1 (en) Autoclavable suspensions of cyclosporin a form 2
KR102615076B1 (en) Method for preparing stable rebamipide eye drop on large scale
KR20210007951A (en) Meloxicam composition, formula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H11302197A (en) Hyaluronic acid-stabilizing composition
JP2004238346A (en) Stable aqueous solution preparation of tranilast
AU2018257301B2 (en) Thermogelling artificial tears
JP2011225605A (en) Eye drop
KR20200019451A (en) A water-soluble, multi-use eyedrops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ontaining rebamipide and a method for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thereof
KR102656260B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moxifloxacin
AU2019259343B2 (en) Ophthalmic compositions of brinzolamide
WO2011146863A1 (en) Sur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igma-receptor agonists
KR20240045074A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brimonidine
KR20230015781A (en) Preparation method of low-viscosity eyedrops composition
CN114949229A (en) Ophthalmic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TW201932110A (en) Once-daily ophthalmic compositions of benzimidazole compounds
US20210137900A1 (en) Tropicamide-based ophthalmic formulations
ITRM20120361A1 (en) OPHTHALMIC SOLUTIONS FOR TOPICAL USE CONTAINING HYALURONIC ACID CROSSLINKATO
JP2005247817A (en) Remedy for ophthalmic inflammation and aqueous solution containing 5-amino-2-phenoxysulfonanilide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