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211A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211A
KR20230007211A KR1020210132451A KR20210132451A KR20230007211A KR 20230007211 A KR20230007211 A KR 20230007211A KR 1020210132451 A KR1020210132451 A KR 1020210132451A KR 20210132451 A KR20210132451 A KR 20210132451A KR 20230007211 A KR20230007211 A KR 2023000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panel
cooking appliance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원
마재경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87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82499A1/ko
Publication of KR2023000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211A/ko
Priority to US18/528,263 priority patent/US202400995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 기기는, 전장실 및 전장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 프런트 플레이트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컨트롤 박스 및 전장실과 연통되도록 프런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홀, 및 인렛 패널으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플레이트 홀을 통해 전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COOKING APPARATUS}
본 개시는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실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이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는 주방에서 환기를 담당하는 후드 기능이 병합된 전자레인지로서,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가스레인지나 쿡탑(Cooktop) 등과 같은 조리 기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조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전장품 및 회로 기판을 수용할 수 있다. 전장품 또는 회로 기판에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 조리 기기의 오동작, 부품 파손, 곰팡이 발생 등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는 전장품 또는 회로 기판으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장실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전장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홀 및 상기 인렛 패널으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상기 플레이트 홀을 통해 상기 전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장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 홀의 하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고이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장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탑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탑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어퍼 플랜지에 안착되는 플랜지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브래킷 바디 및 상기 브래킷 바디를 관통하는 브래킷 홀을 갖는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래킷 홀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바디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홀은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실과 연통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의 하측에 형성되는 프런트 개구와, 상기 프런트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리어 플랜지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전장실로부터 구획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래치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 및 상기 전장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 돌기를 록킹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트레이의 일부는 상기 래치 바디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렛 패널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홀은, 상기 전장실의 냉각을 위해, 상기 인렛 패널의 인렛 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장실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인렛 패널의 하측에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인렛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홀은,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브래킷 패널로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브래킷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는 수분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브래킷 패널 사이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로부터 구획되는 전장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전장실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인렛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장실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전장실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고이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브래킷 패널 및 상기 브래킷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인렛 패널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상기 케이스와 상기 브래킷 패널 사이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 상기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의 인렛 패널로부터 상기 전장실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장실과 상기 컨트롤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로서, 상기 인렛 패널과 연통되는 플레이트 홀을 형성하는 프런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홀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전장실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기기 내부로 유입된 수분으로부터 전장품 또는 회로 기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일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타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 컨트롤 박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컨트롤 박스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컨트롤 박스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후 방향", "전방", "후방", "상측", "하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에서 도어(20)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X 방향)으로 정의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X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일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타 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1)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본체(10)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1)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조리실(30)과 전장실(60)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과 전장실(60)은 서로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조리실(30)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박스(100)와 도어(20)의 사이에 형성된 핸들부를 통해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는 후방 일부가 함몰되어 컨트롤 박스(10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본체(10)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도어(20)에 의해 전방이 커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박스(100)는 도어(20)와 본체(1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하면에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 및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의 바텀 플레이트(97)에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 기기(1)의 하측에서 형성되는 오염된 공기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조리 기기(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오염된 공기는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배기 가스, 연기, 이물질, 음식물 냄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는 제1 순환공기 흡입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는 제2 순환공기 흡입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 내부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본체(10) 내부에 필터(미도시)에서 여과되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의 순환 유로(V1, V2)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본체(10)는 조명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13)은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13)은 조리 기기(1)의 하부에 쿡탑 등이 설치되는 경우 조리 기기(1)의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서비스 패널(91) 및 토출 패널(92)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서비스 패널(91)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토출 패널(92)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토출 패널(92)이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토출 패널(9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비스 패널(91)은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토출 패널(92)은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환기 덕트 패널(94)이 배치될 수 있다. 환기 덕트 패널(94)은 외부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여과되어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설명에서는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92)에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가 형성되어 여과된 공기가 조리 기기(1)의 상면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 기기(1)가 장착되는 공간에 실외와 연결되는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마련되는 경우, 서비스 패널(91)은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를 포함하지 않고 토출 패널(92) 역시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환기 덕트 패널(94)에 연통덕트와 연통되는 순환공기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와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유입된 유증기는 여과되어 조리 기기(1) 후방 상면의 환기 덕트 패널(94)을 통해 연통덕트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서비스 패널(91), 토출 패널(92) 및 환기 덕트 패널(94)은 외부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사용자 등은 필요에 따라 서비스 패널(91), 토출 패널(92) 및 환기 덕트 패널(94)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마련되지 않아 여과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해야 하는 경우, 순환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92)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하고, 순환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환기 덕트 패널(94)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
반대로,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마련되어 여과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 순환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서비스 패널(91)과 토출 패널(92)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하고 순환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환기 덕트 패널(94)을 외부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컨트롤 박스(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인렛 패널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컨트롤 박스(1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토출 패널(9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패널(120)은 도어(20)의 일부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도어(20)의 함몰된 부분에 수용되어 도어(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을 통해 조리 기기(1) 외부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외부와 연통되는 인렛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에 형성된 인렛 홀(12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전장실(60)을 냉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렛 홀(121)은 제1 냉각공기 유입구(121)로 지칭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60)을 냉각한 후 조리실(30)로 다시 유입되어 도어(20)의 후면을 냉각한 후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냉각공기 배출구(93)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공기 배출구(93)는 외부 하우징(11)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는 탑 플레이트(top plate)(81) 및 프런트 플레이트(front plate)(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플레이트(81)는 내부 하우징(1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프런트 플레이트(80)는 내부 하우징(12)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의 전방에는 컨트롤 박스(100)가 장착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의 후방에는 전장실(60)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60)은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60)에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60)은, 프런트 플레이트(80), 탑 플레이트(81), 냉각 디바이더(51) 및 순환 플레이트(56)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서 구획될 수 있다. 전장실(60)은 구획 플레이트(63)에 의해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플레이트(56)는 전장실(6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순환 플레이트(56)는 바텀 플레이트(97)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디바이더(51)는 순환 플레이트(56)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디바이더(51)는 후술할 리어 브래킷(52)의 일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디바이더(51)는 구획 플레이트(63)와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다.
순환 플레이트(56)와 냉각 디바이더(51)에 의해 전장실(60)이 구획됨에 따라,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유입된 유증기가 전장실(60)로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장실(6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유증기나 다른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전장실(61)의 내부에는 냉각팬(71)이 수용될 수 있다. 냉각팬(71)은 인렛 패널(12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제1 전장실(61)과 연통되도록 프런트 플레이트(81)에 장착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의 인렛 홀(121)을 통해 컨트롤 박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컨트롤 박스(100)를 냉각할 수 있다.
제2 전장실(62)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73) 및 변성기(74)가 수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73)과 변성기(74)는 고주파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73)과 변성기(74)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는 조리실(30) 내부로 공급되어 피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63)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획 플레이트(63)는 냉각팬(71)에 의해 인렛 패널(120)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전장실(61)을 지나 제2 전장실(62)로 유입되도록 냉각팬(71)과 연통되는 로어 개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획 플레이트(63)는 제2 전장실(62)과 가이드 덕트(72)가 연통되는 어퍼 개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장실(62)로 유입된 공기는 변성기(74) 및 마그네트론(73)을 냉각한 후 구획 플레이트(63)에 장착된 가이드 덕트(72)로 유동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72)는 제1 전장실(61)에 배치되어 제2 전장실(62)과 조리실(30) 내부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덕트(72)로 유동된 공기는 조리실(30)의 내부로 유동되어 도어(20)의 후면을 냉각할 수 있다. 이후 공기는 조리실(30)의 상면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31)로 유동되어 배기 덕트(31)와 연통되는 냉각공기 배출구(93)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전장실(60)과 도어(20)를 냉각하는 냉각 유로(C)외에도, 유증기 등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하여 배출하는 순환 유로(V1, V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순환팬(41, 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팬(41, 42)은 조리실(30)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 마련되는 제1 순환팬(41)과 제2 순환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순환팬(41)과 제2 순환팬(42)은 본체(10) 내부의 양 측에 배치되는 바, 본체(10)의 전체 높이는 감소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주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조리 기기(1)의 내부에는 제1 순환팬(41)에 의해 유동되는 제1 순환 유로(V1)와 제2 순환팬(42)에 의해 유동되는 제2 순환 유로(V2)를 갖는 복수의 순환 유로(V1, V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조리 기기(1)는 리어 브래킷(5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브래킷(52)은 제2 순환팬(42)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순환팬 수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브래킷(52)의 전장실(60)을 향하도록 마련된 일 면(냉각 디바이더(51))은 전장실(60)과 순환팬 수용부(521)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60)과 순환팬 수용부(521)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리어 브래킷(52)은 순환팬 수용부(521)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연통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브래킷(52)의 형상에 따라,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 유로(V2)를 따라 본체(10)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은 바텀 플레이트(97)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의 상부에는 내부 하우징(12)의 사이드 플레이트(89)가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89)의 일부는 절개되어 유입된 공기가 제1 순환팬(41)의 상부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플레이트(89)는 제1 연통홀(8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순환팬(42)은 바텀 플레이트(97)에 형성된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순환팬(42)은 리어 브래킷(52)의 순환팬 수용부(5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리어 브래킷(52)의 연통부(522)를 통해 본체(10) 내부의 후방을 따라 이동하다 내부 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제1 순환 유로(V1), 제2 순환 유로(V2) 및 냉각 유로(C)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염된 공기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여과되어 제1 순환팬(41)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을 통과한 공기는 제1 순환팬(41)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89)의 제1 연통홀(891)을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유동된 공기는,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제1 순환 유로(V1)라 명명할 수 있다.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1 순환공기 흡입부(14)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 덕트 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염된 공기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여과되어 제2 순환팬(42)을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는 순환 플레이트(56)에 형성된 통공(561)을 통해 리어 브래킷(52)의 순환팬 수용부(521)로 유입될 수 있다. 리어 브래킷(52)의 연통부(522)는 외부 하우징(11)의 백 플레이트(95)와 내부 하우징(12)의 리어 플레이트(88) 사이를 구획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통공(561)으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부(522)를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바텀 브래킷(53), 구획 브래킷(54) 및 순환 디바이더(55)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브래킷(53)과 구획 브래킷(54)은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텀 브래킷(53)과 구획 브래킷(54)은 내부 하우징(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획 브래킷(54)은 바텀 브래킷(53)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획 브래킷(54)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 디바이더(55)는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 디바이더(55)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디바이더(55)는 리어 브래킷(52)의 연통부(52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 브래킷(54)은 제2 연통홀(54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제2 연통홀(541)을 통해 유동될 수 있다.
리어 브래킷(52), 바텀 브래킷(53), 구획 브래킷(54) 및 순환 디바이더(55)는,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 플레이트(56)의 통공(561)을 지나 제2 순환팬(42)을 통과하고, 리어 브래킷(52)의 연통부(522)를 통과하여 바텀 브래킷(53)과 구획 브래킷(54)의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순환 디바이더(55)는 개방된 부분 없이 폐쇄되어 구획 브래킷(54)과 바텀 브래킷(5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된 공기는 구획 브래킷(54)의 제2 연통홀(541)을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후방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연통홀(541)을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된 공기는 본체(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제2 순환 유로(V2)라 명명할 수 있다.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2 순환공기 흡입부(15)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 덕트 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 배출구를 통해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순환 디바이더(55)가 폐쇄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 순환팬(41)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제2 순환팬(42)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내부 하우징(12)의 하부에서는 분리된 상태로 유동하여 내부 하우징(12)의 상부에서 합쳐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인렛 패널(120)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전장실(61)과 제2 전장실(62)을 유동하며 각종 전장품을 냉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렛 패널(120)의 인렛 홀(제1 냉각공기 유입구)(121)로 유입된 공기는 프런트 플레이트(80)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홀(제2 냉각공기 유입구)(83)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내부 하우징(12)의 탑 플레이트(81)에 형성된 탑 개구(top opening)(811)를 통해 전장실(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전장실(61)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팬(71)을 통해 제2 전장실(62)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전장실(62)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실(30)의 측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덕트(72)에 의해 조리실(30)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로 가이드된 공기는 도어(20)의 후면을 냉각한 후 조리실(30) 상부와 연통되는 배기 덕트(31)로 유동될 수 있다. 배기 덕트(31)는 냉각공기 배출구(93)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을 완료한 공기는 냉각공기 배출구(93)를 통해 조리 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냉각 유로(C)라 명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공기 유동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와 달리 하나의 순환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순환팬(41)만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순환 디바이더(55)와 구획 브래킷(54)의 구성이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 외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조리 기기(1)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 하우징(12)과 외부 하우징(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순환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순환팬(41)을 통해, 제1 순환공기 흡입구와 제2 순환공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순환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순환팬(41)을 지나 사이드 플레이트(89)의 제1 연통홀(891)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연통홀(891)을 통과한 공기는 서비스 패널(91)의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토출 패널(92)의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통해 조리 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1 순환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 덕트 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 배출구를 통해 조리 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순환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 플레이트(56)의 통공(561)을 지나 리어 브래킷(52)의 연통부(522)를 통해 구획 브래킷(54)과 바텀 브래킷(53)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구획 브래킷(54)은 개방된 부분 없이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와 달리 구획 브래킷(54)에 제2 연통홀(54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구획 브래킷(54)이 폐쇄되고 순환 디바이더(55)에 제2 연통홀(55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순환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구획 브래킷(54)과 바텀 브래킷(53)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어 순환 디바이더(55)의 제2 연통홀(551)을 통해 제1 순환팬(41)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이후, 제1 순환팬(41)을 통과한 공기는 사이드 플레이트(89)의 제1 연통홀(891)을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유동된 공기는 서비스 패널(91)의 제1 순환공기 배출구(911)와 토출 패널(92)의 제2 순환공기 배출구(921)를 통해 조리 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연통덕트(미도시)가 있어 여과된 유증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2 순환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 덕트 패널(94)에 형성된 순환공기 배출구를 통해 조리 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와 달리, 구획 브래킷(54)을 폐쇄하고 순환 디바이더(55)를 개방함으로써, 제1 순환팬(41)의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제1 순환공기 흡입구와 제2 순환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조로 조리 기기를 제작함에 따라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구획 브래킷(54)과 순환 디바이더(55)의 구성만 교체할 수 있어 순환팬의 개수에 따라 내부 설계를 복잡하게 변경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 컨트롤 박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컨트롤 박스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10)는 프런트 플레이트(front plate)(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조리실(30)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전장실(60)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조리실(30)과 연통되는 제1 개구(80a) 및 전장실(60)과 연통되는 제2 개구(8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80b)는 프런트 개구(front opening)(80b)로 지칭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도어(20)의 래치 돌기(21)가 삽입되는 삽입부(8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80c)는 제1 개구(80a)와 제2 개구(80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래치 돌기(21)는 삽입부(80c)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어 래치 바디(22)에 의해 록킹될 수 있다. 래치 돌기(21)가 래치 바디(22)에 록킹된 상태에서, 도어(20)는 조리실(30)을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플레이트 홀(8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홀(83)은 컨트롤 박스(100)와 연통될 수 있다. 플레이트 홀(83)은 전장실(60)과 연통될 수 있다. 플레이트 홀(83)은 컨트롤 박스(100)의 인렛 패널(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전장실(60)로 가이드할 수 있다. 플레이트 홀(83)은 가이드 홀로 지칭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본체(10)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프런트 플레이트(80)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의 후방은 전장실(60)과 인접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의 후방은 제2 개구(80b)와 인접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조리 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전장실(60)에 배치된 각종 전장품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상부에 결합되는 인렛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 박스(100)는, 브래킷 패널(130), 가이드 부재(140), 회로 기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브래킷 패널(130), 가이드 부재(140) 및 회로 기판(150)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브래킷 패널(130), 가이드 부재(140) 및 회로 기판(150)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컨트롤 박스(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개방부(110a)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케이스(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개방부(110a)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가이드 부재(140)와 본체(1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패널(120)는 프런트 플레이트(80)에 형성된 플레이트 홀(8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인렛 패널(120)은 케이스(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인렛 패널(120)과 스크류(screw)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인렛 패널(120)은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렛 패널(120)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패널(120)에는 전장실(60)을 냉각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홀(121)은 제1 냉각공기 유입구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인렛 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프런트 플레이트(80)에 형성된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전장실(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플레이트 홀(83)은 제2 냉각공기 유입구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장실(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6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장실(60)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전장품들의 안정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브래킷 패널(130)은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브래킷 패널(130)은 회로 기판(15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 패널(130)은 회로 기판(15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패널(130)의 상부에는 가이드 부재(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 패널(130)은 가이드 부재(140)를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부(131)를 포함하고, 결합부(131)는 가이드 부재(140)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브래킷 패널(130)은 가이드 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브래킷 패널(130)은 케이스(1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 패널(130)의 전면(130a)은 케이스(110)의 후면(110b)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브래킷 패널(130)과 케이스(110) 사이에는 수분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가이드 부재(140)는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는 인렛 패널(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는 브래킷 패널(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는 브래킷 패널(13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는 컨트롤 박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40)는 수분을 전방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1에서, 케이스(110), 인렛 패널(120), 브래킷 패널(130) 및 가이드 부재(140)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110), 인렛 패널(120), 브래킷 패널(130) 및 가이드 부재(1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 인렛 패널(120), 브래킷 패널(130) 또는 가이드 부재(140) 중 일부의 구성들만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회로 기판(150)은 브래킷 패널(130)에 수용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0)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 등이 장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60)에 배치된 전장품은 회로 기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프런트 플레이트(80)에는 프런트 개구(80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개구(80b)를 통해 전장실(60)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컨트롤 박스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0)는 탑 플레이트(top plate)(81)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81)는 전장실(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81)에는 전장실(60)과 연통되는 탑 개구(811)가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81)는 탑 개구(811)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플랜지(upper flange)(8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실(60)을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 공기가 인렛 패널(120) 및 프런트 플레이트(80)를 통해 전장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외에도 수분(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패널(120)의 인렛 홀(121)을 통해 컨트롤 박스(10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프런트 플레이트(80)의 플레이트 홀(83)로 유입될 수 있다.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유입된 수분은, 탑 플레이트(81)의 탑 개구(811)를 지나 전장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전장실(60)에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조리 기기의 오동작, 부품 파손, 곰팡이 발생 등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수분이 전장실(6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전장실(6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인렛 패널(120)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전장실(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전장실(6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제1 전장실(6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프런트 플레이트(8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결합부(1200)와 트레이(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의 결합부(1200)는 본체(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결합부(1200)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200)는 탑 플레이트(81)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0)는 탑 개구(811)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플랜지(81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200)는 어퍼 플랜지(812)에 안착되는 플랜지 홈(1210)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81)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와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8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브래킷(813)은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를 향하여 연장되는 브래킷 바디(814)와 브래킷 바디(814)를 관통하는 브래킷 홀(81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00)는 브래킷 홀(815)과 대응되는 결합 홀(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브래킷 홀(815)과 결합 홀(1220)이 각각 1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2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 바디(814)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814a)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8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상하 방향(Z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좌우 방향(Y 방향)일 수 있다.
브래킷 홀(815)은 브래킷 바디(814)의 제2 연장부(814b)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장부(814a)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결합 홀(1220)은 제1 연장부(814a)와 대응되도록 결합부(1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 홀(815)과 결합 홀(1220)은 별도의 체결 부재(1300)를 통해 스크류(screw)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의 트레이(1100)는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고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1100)는 내부에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100)는 플레이트 홀(83)의 하단부(83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100)의 상단부(1130)는 플레이트 홀(83)의 하단부(83a)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트레이(1100)는 플레이트 홀(83)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는 수분을 받아낼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전장실(60)과 연통되는 프런트 개구(80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개구(80b)는 플레이트 홀(83)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0)는 프런트 개구(80b)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플랜지(rear flange)(85)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110)는 리어 플랜지(85)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끼움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1121)는 트레이(1110)의 저면(11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1121)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결합부(1200) 뿐만 아니라 트레이(1110)도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트레이(1100)의 일부는 래치 바디(22)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100)의 상단부(1130)의 일부는 래치 바디(22)의 상부 내측면(22a)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11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결합부(1200)는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100)는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써, 수분 유입 방지 부재(1100)는, 플??이트 홀(83)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면서 탑 개구(811)를 최대한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장실(6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200)와 트레이(1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1200)와 트레이(1100)는 별개의 구성으로서 상호 조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컨트롤 박스(100)와 전장실(6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 기기(1)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인렛 패널(120)의 인렛 홀(121)을 통해 조리 기기(1) 외부의 수분이 컨트롤 박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인렛 홀(121)을 통해 유입된 수분은 가이드 부재(140)에 의해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홀(121)을 통해 유입된 수분은, 가이드 부재(140)에 의해, 케이스(110)의 후면(110a)과 브래킷 패널(130)의 전면(130a) 사이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15의 일점 쇄선 화살표 참조). 이로써, 인렛 패널(120)로부터 유입된 수분은, 가이드 부재(140)에 의해, 회로 기판(150)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40)는 컨트롤 박스(100) 내부로 유입된 수분으로부터 회로 기판(150)을 보호할 수 있다.
인렛 홀(121)을 통해 유입된 수분 중 가이드 부재(140)에 의해 전방으로 가이드되지 않은 수분은 플레이트 홀(83)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홀(121)을 통해 유입된 수분은, 가이드 부재(140)를 거치지 않고 플레이트 홀(83)을 바로 통과하거나, 가이드 부재(140) 상에서 튐에 따라 플레이트 홀(83)을 통과할 수 있다.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전장실(60) 상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전장실(6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의 트레이(1110)는 플레이트 홀(83)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받아낼 수 있다. 이로써, 플레이트 홀(83)을 통과한 수분은 트레이(1110)에 고이게 되며 전장실(60) 내로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즉, 수분 유입 방지 부재(1000)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수분으로부터 전장실(60)에 위치된 각종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 기기
10: 본체
20: 도어
30: 조리실
60: 전장실
80: 프런트 플레이트
81: 탑 플레이트
100: 컨트롤 박스
1000: 수분 유입 방지 부재

Claims (20)

  1.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전장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홀; 및
    상기 인렛 패널으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상기 플레이트 홀을 통해 상기 전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장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 홀의 하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고이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장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탑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탑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어퍼 플랜지에 안착되는 플랜지 홈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브래킷 바디 및 상기 브래킷 바디를 관통하는 브래킷 홀을 갖는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래킷 홀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홀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바디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홀은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되는 조리 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실과 연통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의 하측에 형성되는 프런트 개구와, 상기 프런트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리어 플랜지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전장실로부터 구획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래치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 및
    상기 전장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 돌기를 록킹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의 트레이의 일부는 상기 래치 바디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패널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홀은, 상기 전장실의 냉각을 위해, 상기 인렛 패널의 인렛 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장실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인렛 패널의 하측에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인렛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홀은,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조리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브래킷 패널로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브래킷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는 수분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브래킷 패널 사이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6. 조리실;
    상기 조리실로부터 구획되는 전장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전장실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인렛 패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장실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전장실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고이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브래킷 패널; 및
    상기 브래킷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인렛 패널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상기 케이스와 상기 브래킷 패널 사이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9.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
    상기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컨트롤 박스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인렛 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의 인렛 패널로부터 상기 전장실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마련되는 수분 유입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장실과 상기 컨트롤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로서, 상기 인렛 패널과 연통되는 플레이트 홀을 형성하는 프런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 유입 방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홀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리 기기.
KR1020210132451A 2021-07-05 2021-10-06 조리 기기 KR20230007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8756 WO2023282499A1 (ko) 2021-07-05 2022-06-21 조리 기기
US18/528,263 US20240099508A1 (en) 2021-07-05 2023-12-04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03 2021-07-05
KR20210087603 2021-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211A true KR20230007211A (ko) 2023-01-12

Family

ID=8492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451A KR20230007211A (ko) 2021-07-05 2021-10-06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2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KR102549151B1 (ko) 조리기기
US7671310B2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US6972398B2 (en) 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RU2139644C1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US20230003392A1 (en) Cooking apparatus
KR100938205B1 (ko) 오븐
US6737622B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20230007741A1 (en) Cooking apparatus
KR20230007211A (ko) 조리 기기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US20240099508A1 (en) Cooking apparatus
KR20220115074A (ko) 조리 기기
JP2966658B2 (ja) 加熱調理器
US20220390120A1 (en) Cooking apparatus
KR20220163229A (ko) 조리 기기
KR20230006358A (ko) 조리 기기
KR20220163837A (ko) 조리 기기
US20240060652A1 (en) Cooking equipment
KR20230006359A (ko) 조리 기기
KR2005003037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US20240077209A1 (en) Cooking appliance
US20230383961A1 (en) Cooking apparatus
KR20230006360A (ko) 조리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