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63U - 물품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63U
KR20230000863U KR2020210003209U KR20210003209U KR20230000863U KR 20230000863 U KR20230000863 U KR 20230000863U KR 2020210003209 U KR2020210003209 U KR 2020210003209U KR 20210003209 U KR20210003209 U KR 20210003209U KR 20230000863 U KR20230000863 U KR 202300008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cross
guide rail
screw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엽
강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20210003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863U/ko
Publication of KR20230000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는,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받침부와; 상기 이동 받침부 위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물건이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이동 받침부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절첩식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 운반 장치{CONVEYANCE CART}
본 고안은 물품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되도록 구성된 물품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어느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물품 운반 장치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단순히 사람이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된 수동 카트는 물론이고, 소정의 물품을 실어서 다른 장소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로봇 형태도 포함된다.
특히 현재 배송에 적용/사용 중인 로봇은 음식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물건이 놓이는 상판(플레이트)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물품 운반 장치는 택배 상하차에도 이용될 수 있는데, 현재 택배 상하차에서 이용되는 물품 운반 장치 역시 상판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고정된 상판(플레이트)으로는 다양한 크기(부피)의 물품을 운반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예를 들어 상판을 여러 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그 상판들 간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다면, 중간에 있는 상판에 놓여지는 물품의 높이는 그 상판들 간의 거리에 의해 제한되게 되고, 다른 예로써 아주 작은 물품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판들 간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공간 활용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물품 운반 장치가 자동 로봇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라도 특정 장소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그 특정 장소에서 물품을 내려놓는 것은 사람이 수동으로 진행해야 하거나 해당 특정 장소에 구비된 별도의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738134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판(플레이트) 배치 높이가 가변되고, 운반장소에서 물품을 자동으로 이동(하차)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물품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는,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받침부와; 상기 이동 받침부 위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물건이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이동 받침부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절첩식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첩식 승강수단은, 상기 이동 받침부의 좌우측 상부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 하부면에 각각 맞닿는 복수 개의 X자형 교차 가이드와; 상기 X자형 교차 가이드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고 해당 스크류를 정역 회전시킬 때 상기 X자형 교차 가이드 적어도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X자형 교차 가이드가 상호 절첩되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플레이트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X자형 교차 가이드는, 상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각 X자형 교차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축으로 고정되는 고정되며, 상호 교차 힌지 결합하는 두 개의 링크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은 상기 두 개의 링크암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내에 안착된 부위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자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와; 상기 복수 개의 롤러를 감싸는 이송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측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상기 모터부와 연결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송벨트의 안쪽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X자형 교차 가이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의 차에 의해 기울임이 발생되도록 좌우측 전면과 후면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품 운반 장치가 복수 개의 절첩식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됨으로써, 각 층간의 높이가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물품이 놓이는 플레이트에 물품의 이송을 위한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물품 운반 완료 후 사람의 수작업 없이도 해당 물품을 내려놓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물품 하차시에 물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절첩식 승강수단을 각 층마다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아랫단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층의 플레이트까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절첩식 승강수단을 최대로 절첩되도록 한 경우 보관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절첩식 승강수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모든 절첩식 승강수단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상태에서 일부 절첩식 승강수단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이동 받침부의 플레이트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플레이트의 좌측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플레이트의 롤러를 이송벨트가 감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모든 절첩식 승강수단가 절첩된 상태를 좌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물품 운반 장치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복수 개의 절첩식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플레이트의 경사를 유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운반 장치(1)는, 이동 받침부(100), 절첩식 승강수단(200), 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이동 받침부(100)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운반 장치(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01)가 구비된 것으로서, 여기서 바퀴는 전동바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받침부(100)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부(미 도시함)가 구비되고, 바퀴는 모터부와 결합하여 회전을 함으로써, 물품 운반 장치(1)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자동 로봇 형태로 물품 운반 장치(1)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제어부(미 도시함)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그러한 제어 과정이 아니라 물품 운반 장치(1)의 구조에 대한 것이므로,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어부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후술하는 절첩식 승강수단(200)의 승강/하강 제어와 관련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플레이트(300)는 운반할 물건이 놓이는 것으로서, 이동 받침부(100) 위쪽으로 소정의 이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물론 플레이트(300)가 이동 받침부(100)와 바로 맞닿아서 배치되는 것은 아니라 절첩식 승강수단(200)과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플레이트(300)의 구조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절첩식 승강수단(200)에 대한 설명을 한 후에 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2는 이러한 플레이트(30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물품 운반 장치(1)의 측면도이다.
상술한 이동 받침부(100)의 상부면과 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410) 및 제2 가이드 레일(42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첩식 승강수단(200)의 움직임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절첩식 승강수단(200)은 이동 받침부(100)의 상부면와 플레이트(300)의 하부면를 상호 연결하며, 이동 받침부(10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300)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절첩식 승강수단(200)은 X자형 교차 가이드(210), 스크류(220), 모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X자형 교차 가이드(210)는 이동 받침부(100)의 좌우측 상부면과 플레이트(300)의 좌우측 하부면에 각각 맞닿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는 이러한 X자형 교차 가이드(210)가 2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는데, 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된 좌측 X자형 교차 가이드와, 우측에 배치된 우측 X자형 교차 가이드(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X자형 교차 가이드(2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측이 고정되되 타측이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플레이트(300)의 승하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X자형 교차 가이드(210)는, 일단이 제1 가이드 레일(410) 또는 제2 가이드 레일(420)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타단이 이동 받침부(100)의 상부면 또는 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 고정축으로 고정되며, 상호 교차 힌지 결합하는 두 개의 링크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링크암 중에 제1 링크암(211)은 일단이 제1 가이드 레일(410)에 안착하여 이동하되 타단이 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 고정축(214)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제2 링크암(212)은 일단이 제2 가이드 레일(420)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타단이 이동 받침부(100)의 상부면에 고정축(213)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제1 링크암(211)과 제2 링크암(212)은 상호 교차 힌지(215)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스크류(220)는 이러한 X자형 교차 가이드(210)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스크류(220)의 일측은 상술한 제1 링크암(211) 또는 제2 링크암(212)이 제1 가이드 레일(410) 또는 제2 가이드 레일(420)내에 안착된 부위(21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이러한 스크류(220)와 결합하여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모터부(230)는 스크류(220) 중간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20) 중간에 모터부(230)가 구비되고, 모터부(230)와 스크류(220)간의 결합(일 예로 기어 결합)에 의해 스크류(220)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부(230)는 스크류(220)를 정역 회전시킬 때 X자형 교차 가이드(210) 적어도 일단이 전후 이동되면서 해당 X자형 교차 가이드(210)가 상호 절첩되거나 펼쳐지면서 플레이트(300)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모터부(230)는 이동 받침부(100)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터부를 관통한 스크류(220)는 모터부(2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도 4에 도시되었다.
도 4에는 모터부(230)의 정회전 제어에 따라 스크류(220)가 정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X자형 교차 가이드(210)와 연결된 스크류(220) 끝단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X자형 교차 가이드(210)는 절첩되게 되고, 따라서 이동 받침부(100)와 플레이트(300) 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이동 받침부(100)의 상부면도 일종의 플레이트(300)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전체 플레이트(300)의 개수가 2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플레이트(300)는 개수는 더 적층식으로 더 증가될 수 있다.
도 5에는 전체 플레이트(300)가 3 개 구비된 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었고, 도 6에는 도 5의 측면도가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구비된 플레이트(300)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 플레이트(301), 제2 플레이트(302), 제3 플레이트(303)라고 칭한다면, 제1 플레이트(301)와 제2 플레이트(302) 사이는 물론이고, 제2 플레이트(302)와 제3 플레이트(303)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절첩식 승강수단(201, 20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2 플레이트(302)는 제3 플레이트(303)의 관계에서는 일종의 받침부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각 층마다 절첩식 승강수단(20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모든 층의 절첩식 승강수단(200)이 절접될 수도 있고, 또는 도 8과 도 9와 같이 각 층별로 절첩식 승강수단(200)이 절접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도면들에서는 절첩식 승강수단(200)이 완전하게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모터부에 의한 스크류(220)의 회전 횟수에 따라 각 층(각 플레이트(301,302,303) 간의 공간)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물품 운반 장치(1)의 플레이트(300)는 물건이 놓일 수 있는 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놓인 물건을 이송시키는 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0)는 양측 프레임(311, 312), 복수 개의 롤러(320), 이송 벨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측 프레임(311, 312)은 좌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프레임(311)과, 우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프레임(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양측 프레임(311, 312) 사이에는 복수 개의 롤러(32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각 롤러의 양단은 양측 프레임(311, 312) 내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각 롤러(320)들은 양단 베어링 구조(미 도시함)를 통해 자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베어링 구조를 통한 롤러의 회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이러한 양측 프레임(311, 312) 내부에 대한 측면 단면도와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양측 프레임(311, 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롤러(321, 3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321)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미 도시함)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0과 같이 모든 롤러들(321, 322)이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특정 롤러(321)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롤러(322)들도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미 도시함)가 양측 프레임(311, 312)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롤러가 회전하는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 벨트(330)는 복수 개의 롤러(320)를 감싸는 것으로서, 그 위에 놓인 물품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로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2와 같이 양측 프레임(311, 312) 사이의 복수 개의 롤러(320)들을 감싸는 형태로 이송 벨트(3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안쪽면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321)와 맞닿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롤러(320) 중 모터부와 연결된 롤러(321)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 이와 맞닿은 이송 벨트(330)가 회전하면서 결국 이송 벨트(330)의 상부면이 앞뒤로 이동하면서 물품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운반 장치(1)에 별도의 제어부(미 도시함)가 구비되는 경우, 플레이트(300)에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물품 운반 지점 도착한 경우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양측 프레임(311, 312) 내에 구비된 모터부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송벨트(330)가 움직여서 물건을 아래로 떨어뜨리게 된다.
즉, 사람의 수동 조작 없이도 물품 하차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300)가 3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 플레이트(300)들 사이에 절첩식 승강수단(200)이 배치되어 각 플레이트(300)를 연결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절첩식 승강수단(200)의 한쪽이 모두 제1 플레이트(301)에 닿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도 13 내지 15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302')를 받치는 X자형 교차 가이드(201')의 반대쪽 끝단도 제1 플레이트(301)의 상부면에 맞닿아 있고, 제3 플레이트(303)를 받치는 X자형 교차 가이드(202')의 반대쪽 끝단도 제1 플레이트(301)의 상부면에 맞닿아 있다.
이 경우 모든 X자형 교차 가이드(201', 202')가 절첩되는 경우 도 14와 같이 완전히 포개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 14에서는 제3 플레이트(303)의 아랫면에 제2 플레이트(302)가 내삽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절첩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제2 플레이트(302) 자체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포개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X자형 교차 가이드(210)가 각 층별로 좌측 1개, 우측 1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각 층별로 좌측 앞뒤로 2개, 우측 앞뒤로 2개씩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앞선 실시예에서는 X자형 교차 가이드(210)가 한번 교차한 상태에서 바로 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 고정/이동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처럼 좌/우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힌지를 통해 추가적적인 링크암(203)이 연결되고, 이러한 추가 링크암(203)이 각각 플레이트(300)의 하부면의 한 지점(204)에서 만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에 위치한 X자형 교차 가이드(210)에 의한 높이와 후면에 위치한 X자형 교차 가이드(210)의 높이를 다르게 할 경우 실질적으로 플레이트(300)가 기울어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물품 운반 장치(1)의 좌측면을 나타내고 있는데, 도 16은 후방으로 기울어진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7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들에서는 제1 플레이트(301")에 연결되는 X자형 교차 가이드 끝단이 모두 이동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모터부(230)의 동작에 따른 스크류(220)의 회전에 따라 X자형 교차가이드 양쪽 아래 끝단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특히 향 양쪽 아래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모터의 동작에 따라 이처럼 양측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구조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추가 링크암(203)이 구비된 전체 X자형 교차 가이드가 수직 방향 높이가 변경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 X자형 교차 가이드와 후면 X자형 교차 가이드에 연결된 모터에 대한 독립 제어에 따라 제2 플레이트(302")가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물품 운반 장치 100 : 이동 받침부
200 : 절첩식 승강수단 300 : 플레이트

Claims (7)

  1.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받침부와;
    상기 이동 받침부 위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물건이 놓이는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이동 받침부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절첩식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승강수단은,
    상기 이동 받침부의 좌우측 상부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 하부면에 각각 맞닿는 복수 개의 X자형 교차 가이드와;
    상기 X자형 교차 가이드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고 해당 스크류를 정역 회전시킬 때 상기 X자형 교차 가이드 적어도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X자형 교차 가이드가 상호 절첩되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플레이트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X자형 교차 가이드는,
    상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각 X자형 교차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받침부의 상부면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축으로 고정되는 고정되며, 상호 교차 힌지 결합하는 두 개의 링크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은 상기 두 개의 링크암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내에 안착된 부위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자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와;
    상기 복수 개의 롤러를 감싸는 이송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양측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상기 모터부와 연결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송벨트의 안쪽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교차 가이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의 차에 의해 기울임이 발생되도록 좌우측 전면과 후면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 장치.
KR2020210003209U 2021-10-25 2021-10-25 물품 운반 장치 KR202300008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09U KR20230000863U (ko) 2021-10-25 2021-10-25 물품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09U KR20230000863U (ko) 2021-10-25 2021-10-25 물품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63U true KR20230000863U (ko) 2023-05-03

Family

ID=8631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09U KR20230000863U (ko) 2021-10-25 2021-10-25 물품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86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134B1 (ko) 2015-10-19 2017-05-22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물품 운반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134B1 (ko) 2015-10-19 2017-05-22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물품 운반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6234B (en) Load storage equipment
KR20210091239A (ko) 물품 이송탑재 설비
JP2003072905A (ja) 荷取り扱い設備
CN111824654A (zh) 配送终端和货箱
JP5671910B2 (ja) 積込装置および積込システム
KR20230000863U (ko) 물품 운반 장치
US10815082B2 (en) Inventory storage module having a conveying loop with vertical lift
JP7400769B2 (ja) 移載装置
KR102572511B1 (ko) 보드 이송 장치
CN213230123U (zh) 一种用于立体仓库的仓储***
JP6536218B2 (ja) 昇降搬送装置
JP3222203U (ja) 物品搬送機
JP2005311287A (ja) 基板搬入出装置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JP2003206020A (ja) 物品姿勢変更装置
CN216270441U (zh) 一种台架
CN218261793U (zh) 旋转整形平台
US11787640B2 (en) Floor-bound continuous conveyor
CN217806695U (zh) 一种分拣设备和分拣***
US20220411200A1 (en) Product transportation system with product presentation device
JP2023114590A (ja) 搬送ロボット及び搬送システム
JPH06183513A (ja) 荷保管設備
CN214932947U (zh) 用于平面订单播种的挂箱机构以及挂箱播种分拣装置
WO2024100952A1 (ja) 搬送装置(transport apparatus)
JP4424172B2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