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260A - Label device - Google Patents

Labe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260A
KR20220169260A KR1020210079455A KR20210079455A KR20220169260A KR 20220169260 A KR20220169260 A KR 20220169260A KR 1020210079455 A KR1020210079455 A KR 1020210079455A KR 20210079455 A KR20210079455 A KR 20210079455A KR 20220169260 A KR20220169260 A KR 2022016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abel
sub
label paper
tens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훈
기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메리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메리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메리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7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260A/en
Publication of KR2022016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2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ing apparatus, comprising: a grip module fixing a label sheet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label sheet maintains a movement path in the single direction and is not wrinkled i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ingle direction; a tensioning module located in plurality on the movement path of a label sheet, adjus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sheet, and maintaining elasticity of the label sheet; a labeling module attaching a label separated from the label sheet to the exterior according to rotation; a storage module to which a bundle of label sheet is attached; and a label spin module which moves the label sheet as the label sheet is attached to the exterior. The tensioning module includes the first to fifth sub-tensioning modules. The labeling apparatus is capable of performing labeling without affecting an exterior object.

Description

라벨링 장치{LABEL DEVICE}Labeling device {LABEL DEVICE}

본 발명은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하는 외부 물체에 대해서 라벨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라벨이 오차없이 외부 물체에 부착되고 라벨지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labeling a moving external object, a label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without error and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errors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abel sheet is proposed. are doing

제조 분야에서 물건의 불량율은 사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불량율을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초기시장 진입과는 별도로 브랜드가치를 방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the defect rate of a product acts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running a business. If the defect rate is not managed, there may be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efend the brand value apart from entering the initial market.

특히, 2차 전지 롤을 제조하고 검수하는 과정에서, 그 표면에 굴곡이 있는 부분을 표시하는 것은 불량율을 관리하는 대에 아주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이러한 롤 같은 경우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고 있으며, 그에 정확한 위치를 포착하여 라벨링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에서 개시하지 못하는 기술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inspecting the secondary battery roll, marking the curved portion on the surface corresponds to a very important factor in managing the defect rate. In the case of such a roll, it continuously moves in a certain direction, and capturing and labeling an accurate position thereof has a technical problem that cannot be disclosed in the prior art.

예를 들어, 이동하는 롤에 수직으로 라벨링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롤에 영행을 미칠 위험이 있는데, 해당 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라벨링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에서 해결되지 못한 기술적 문제에 해당하였다.For example, if labeling is performed perpendicularly to a moving roll, there is a risk of affecting that roll, but accurately performing labeling without affecting that roll is a technical problem that has not been solved in the art. did

본 발명은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olution to this as follows.

한국등록특허 제10-0848960(2008.07.21)호는 라벨 스티커 분리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지 크기의 라벨 스티커를 가공한 후 라벨 스티커 분리시 사용자가 일 일이 수작업으로 이형지와 라벨 스티커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이 제기된 것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코 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이형지와 라벨 스티커로 구성된 라벨 스티커지의 권취롤을 육면체 형태의 절첩식 케 이스에 내장하고 내장된 라벨 스티커지를 케이스 외부로 인출시켜 라벨 스티커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형지의 절취 선을 따라 라벨 스티커와 이형지가 낱장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공된 라벨 스티커 분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48960 (2008.07.21) relates to a label sticker separation device. Conventionally, when a label sticker is separated after processing a battery-sized label sticker, a user manually separates the release paper and the label sticker one by on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inding roll of label sticker paper composed of perforated release paper and label sticker is embedded in a hexahedron-shaped folding case, and the embedded label sticker is placed outside the case. It relates to a label sticker separation mechanism provided so that the label sticker and the release paper can be easily separated into sheets along the perforated line of the release paper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label sticker by drawing it out.

한국등록특허 제10-1277069(2013.06.14)호는 그라비아 롤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레지스트가 도포되는 패턴(pattern)과 다수의 얼라인 마크(align mark)가 외면에 형성되는 그라비아 롤(gravure roll)이 회전 가능하게 그립핑되는 롤 그립퍼(roll gripper); 및 롤 그립퍼와 이격된 위치에서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그라비아 롤의 패턴 또는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는 검사 카메라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7069 (2013.06.14) relates to a gravure roll inspection device, which includes a device body; A roll gripper provid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device body and rotatably gripping a gravure roll having a resist applied pattern and a plurality of align mark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oll gripper); and an inspection camera provided in the device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ll gripper and photographing the pattern or alignment mark of the gravure roll.

한국등록특허 제10-0848960(2008.07.2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8960 (2008.07.21) 한국등록특허 제10-1277069(2013.06.1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7069 (2013.06.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하는 라벨링 모듈을 통해서 외부 물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라벨링을 수행할 수 있는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labeling without affecting an external object through a rotating label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물체에 정확한 라벨링을 수행하기 위해서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elasticity of label paper in order to perform accurate labeling on external obj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라벨지의 이동 경로를 단일의 방향으로 유지하고 상기 단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구겨지지 않도록 상기 라벨지를 일자형으로 고정하는 그립 모듈,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상에 복수개로 위치하여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고 상기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텐셔닝 모듈;-제1 내지 제5 서브 텐셔닝 모듈 상기 라벨지로부터 회전에 따라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에 부착시키는 라벨링 모듈 라벨지 묶음이 부착되는 스토리지 모듈 및 상기 라벨지가 외부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라벨지를 이동 시키는 라벨 스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b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sheet in a single direction and fixes the label sheet in a straight line so as not to be wrinkl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ingl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rip modules on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sheet. A tensioning module positioned to adjust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paper and maintain elasticity of the label paper; -First to fifth sub-tensioning modules Labeling module for attaching the label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rotation A bundle of label paper A storage module to which the label paper is attached and a label spin module for moving the label paper as the label paper is attached to the outside may be included.

상기 그립 모듈은, 상기 라벨지가 부착되는 외부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서 형성되며 상기 각도는 수직이 아닐 수 있다.The grip modul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label paper is attached, and the angle may not be perpendicular.

상기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4 서브 텐셔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 모듈은,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 및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 사이에서 상기 라벨지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tensioning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sub-tensioning modules located on a moving path of the label paper, and the grip module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The label paper may be located on a moving path.

상기 제1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가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리지 모듈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상기 그립 모듈 방향으로 향하도록 변경시키며 상기 제1 서브 텐셔닝 모듈과의 관계에서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 방향으로 수직에 가깝게 변경시키며 상기 그립 모듈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과 수평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is disposed diagonally apart from the storage module to maintain tension while the label paper is moved to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and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It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toward the grip module and is located above in relation to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to the fourth sub-ten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movement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and may be positioned on top of the grip module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ensioning module to be close to vertical. there is.

상기 라벨링 모듈은, 상기 그립 모듈로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에 부착시키고,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외부 부재의 이동에 제약을 주지 않을 수 있다.The labeling module may externally attach a label separated by the grip module and may be configured in a rotatable form so as not to restrict movement of an external member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상기 스토리지 모듈은, 원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라벨지 묶음을 부착시킬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o attach the label bundle.

상기 라벨 스핀 모듈은, 상기 라벨지를 회전력을 이용하여 당기되, 상기 라벨지가 쌓이는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과의 관계에서 우측 아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The label spin module may pull the label paper using rotational force and may be positioned in a lower right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in consideration of the stacked thickness of the label paper.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장치는 상기 라벨지에 빛을 입사시켜 상기 라벨지 라벨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라벨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abel inspection unit for inspecting whether or not the label paper label is present by incident light on the label paper.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장치는 라벨이 부착되는 외무 물체 방향으로 빛을 입사시켜 상기 라벨지로부터 상기 라벨이 분리되어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검수하는 라벨 검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abel inspector for inspecting that the label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and attached to the outside by inciden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회전하는 라벨링 모듈을 통해서 외부 물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라벨링을 수행할 수 있다.A lab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labeling without affecting an external object through a rotating label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는 외부 물체에 정확한 라벨링을 수행하기 위해서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Lab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elasticity of the label paper in order to accurately label the external objec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가 시스템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의 평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lab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mplemented by a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 lab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b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right side view of a lab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lan view of a lab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300)가 시스템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explaining that a label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mplemented by a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라벨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라벨링 장치(30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abeling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 labeling device 300 and a database 150 .

사용자 단말(110)은 라벨링 장치(300)를 통해 수행되는 라벨링의 횟수, 라벨링 진행 시간 등 라벨링 장치(300)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라벨링 장치(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라벨링 장치(30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erform a function of monitoring the labeling device 300, such as the number of labeling performed through the labeling device 300 and the labeling progress tim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or a wearable device, and mus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labeling apparatus 30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connected to the labeling apparatus 300 at the same time.

라벨링 장치(300) 내부에서는 라벨링을 수행하여야 하는 위치에 대한 입력, 라벨링을 수행하여야하는 시점을 수신하고 특정 시간에 라벨링을 수행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라벨링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inside of the labeling apparatus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receives an input for a location to be labeled, a time to perform labeling, and receives a signal to perform labeling at a specific time. The labeling device 3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Bluetooth, WiFi, or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데이터베이스(150)는 라벨링 장치(300)가 라벨링을 수행하는 정보 및 각각의 롤에 대한 불량률 등 라벨링 장치(300)가 라벨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 및 메타 데이터 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The database 150 corresponds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meta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abeling by the labeling device 300, such as information on labeling by the labeling device 300 and the defect rate for each roll. can do.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300)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 label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라벨링 장치(3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labeling apparatus 30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rocessor 210, a memory 230,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프로세서(210)는 라벨링 장치가 라벨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라벨링 장치(3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라벨링 장치(3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that performs an operation in the process of labeling by the labeling device,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volatile in the memory 230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abeling device 3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there is.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labeling device 30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라벨링 장치(30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labeling device 300, and RAM.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device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라벨링 장치(30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labeling device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may be includ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300)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bel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300)의 우측면도이다.4 is a right side view of a label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 장치(300)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 label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내지 도5를 참조하면, 라벨링 장치(300)는 그립 모듈(310), 텐셔닝 모듈(320), 라벨링 모듈(330), 스토리지 모듈(340), 라벨 스핀 모듈(350), 라벨 검사 모듈(360) 및 라벨 검수 모듈(370)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labeling device 300 includes a grip module 310, a tensioning module 320, a labeling module 330, a storage module 340, a label spin module 350, and a label inspection module. (360) and a label inspection module (370).

그립 모듈(310)은 라벨지의 이동 경로를 단일의 방향으로 유지하고 상기 단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구겨지지 않도록 상기 라벨지를 일자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모듈(310)은 라벨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자의 관통공을 가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립 모듈(310)은 라벨지를 구김없이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립 모듈(310)의 일 방향에는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이 위치할 수 있고, 다른 방향에는 라벨링 모듈(33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라벨지는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 그립 모듈(310) 그리고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을 통과할 수 있다.The grip module 310 may fix the label sheet in a straight line so as to maintain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sheet in a single direction and not to be wrinkl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ingle direction. For example, the grip module 3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rough hole of a date therein so that label paper can pass therethrough. Through this, the grip module 310 can pass the label paper without wrinkles. Also,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may be positioned in one direction of the grip module 310, and the labeling module 330 may be positioned in the other direction. Here, the label paper may pass through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 the grip module 310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

일 실시예에서, 그립 모듈(310)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라벨 검사 모듈(360)을 통해 라벨지 상에 라벨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ip module 3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label exists on the label paper through the label inspection module 360 as described below.

일 실시예에서, 그립 모듈(310)은 라벨지가 부착되는 외부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서 형성되며 상기 각도는 수직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모듈(310)은 라벨지가 부착되는 외부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라벨지 상의 라벨과 라벨지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그립 모듈(310) 상의 라벨지는 라벨링을 수행하여야하는 순간에 라벨 스핀 모듈(350)을 통해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시점에 라벨지 위에 접착되어 있던 라벨은 라벨지로부터 분리되게 되고, 라벨링 모듈의 회전을 통해서 라벨지가 부착되어야 하는 외부 표면에 해당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ip module 310 is formed at an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label sheet is attached, and the angle may not be perpendicular. For example, the grip module 310 may form a certain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label paper is attached, and serve to separate the label paper from the label paper. More specifically, the label paper on the grip module 310 moves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label spin module 350 at the moment when labeling is to be performed, and at this point, the label adhered on the label paper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An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abeling module, the corresponding label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label paper is to be attached.

텐셔닝 모듈(320)은 라벨지의 이동 경로상에 복수개로 위치하여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고 상기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텐셔닝 모듈(320)은 라벨지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역할 및 라벨지의 경로를 유지시키는 역할 등을 각 위치 및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텐셔닝 모듈은 복수개의 서브 텐셔닝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tensioning module 320 may be located in plurality on the moving path of the label paper to adjust the moving path of the label paper and maintain the elasticity of the label paper. The tensioning module 320 may perform a ro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a role of maintaining elasticity of the label paper, and a role of maintaining the path of the label paper according to each position and need. The tensioning modul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tensioning module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일 실시예에서, 텐셔닝 모듈(320)은 라벨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4 서브 텐셔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텐셔닝 모듈은 라벨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부터 순서대로 스토리지 모듈(340) 및 라벨 스핀 모듈(35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라벨지는 스토리지 모듈(340)로 부터 라벨 스핀 모듈(350)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 및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nsioning module 32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sub-tensioning modules located on the moving path of the label paper. The first to fourth sub-tensioning modules are located on the moving path of the label paper, and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toward the storage module 340 and the label spin module 350 in order.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label paper moves from the storage module 340 toward the label spin module 350,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It may pass through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and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in sequence.

여기에서, 그립 모듈(310)은 제2 서브 텐셔닝 모듈 및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 사이에서 상기 라벨지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 모듈(310)은 라벨지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라벨지의 구겨짐을 방지하고, 라벨지로부터 라벨(401)이 분리 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 위치는 라벨지 경로 기준으로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 및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grip module 310 may be located on a path along which the label paper moves between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grip module 310 serves to prevent the label paper from being wrinkled on the path on which the label paper moves, and to separate the label 401 from the label paper, and its position is second based on the label paper path.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sub-tensioning module 322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은, 상기 라벨지가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리지 모듈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은, 라벨지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라벨지가 이동하는 경로를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은 제1 서브 텐셔닝 모듈 내지 제4 서브 텐셔닝 모듈 중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은 라벨지의 진행 반향을 변경하는 역할 및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is disposed diagonally apart from the storage module to maintain tension while the label paper moves to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can For example,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may be disposed on a path along which the label paper moves, in other words, may serve to designate a path along which the label paper moves.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may have the smallest size among the first to fourth sub-tensioning modules. In addition,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may play a role of changing the reverberation of the label paper and maintaining the elasticity of the label paper.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상기 그립 모듈 방향으로 향하도록 변경시키며 상기 제1 서브 텐셔닝 모듈(321)과의 관계에서 윗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라벨지를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변경 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은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그립 모듈(310) 방향으로 향하도록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위치상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 및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toward the grip module and may be positioned upward in relation to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1 there is. For example,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may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sheet so that the label sheet moving upward moves downward. In addition,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may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is directed toward the grip module 310,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and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3 positionally It may be located below the tensioning module 324.

서포트 부재(402)는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에 대해 접선의 각도를 가진채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트 부재(402)는 라벨지가 제2 서브 텐셔닝 모듈(322)로 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02 may have a tangential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 The support member 402 may serve to fix the label sheet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2 .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 방향으로 수직에 가깝게 변경시키며 상기 그립 모듈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은 라벨 스핀 모듈(350)이 라벨지를 당기는 힘을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라벨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은 도르래의 원리에 따라서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은 그립 모듈(310)로부터 이동해오는 라벨지의 방향을 수직에 가깝게 변경시켜, 라벨 스핀 모듈(350) 방향 및 그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을 통해 변경되는 라벨지의 각도는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의 위치에 따라서 조금 변경될 수는 있으나, 그 목적은 그립 모듈(310)로부터 이동해오는 라벨지의 방향을 라벨 스핀 모듈(350) 및 그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 방향으로 변경시키는대에 있다.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to be near vertical to the direction of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and may be located on top of the grip module.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may transfer the force that the label spin module 350 pulls on the label paper to the label paper using the principle of a pulley. Also,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may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according to the pulley principle. More specifically,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moving from the grip module 310 to be close to vertical,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label spin module 350 and the first It can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4 sub-tensioning module 324. The angle of the label paper that is changed through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may be slightly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but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label paper moving from the grip module 310.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direction of the label spin module 350 and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therewith.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과 수평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은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라벨 스핀 모듈(350)에 원형으로 쌓이게 되는 라벨지의 텐션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지가 지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라벨 스핀 모듈(350)에 적재되는 라벨지의 양이 늘어나게 되고, 적재되는 라벨지의 양이 늘어남에 원형의 라벨지는 더욱 두꺼워지게 되어 라벨 스핀 모듈(350)의 중심으로부터 적재된 라벨지의 끝까지의 반지름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은 해당 라벨지의 텐션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 및 제3 서브 텐셔닝 모듈(323)은 적재되는 라벨지의 양을 고려하여 라벨 스핀 모듈(35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라벨지가 최대한으로 적재된 상태의 라벨 스핀 모듈(35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maintains a constant movement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and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may play a role of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label paper stacked circularly in the label spin module 35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For example, as the label paper continuously moves, the amount of label paper loaded in the label spin module 350 increases, and as the amount of label paper loaded increases, the circular label paper becomes thicker, so that the label spin module 350 The radius from the center to the end of the stacked label sheets can be large. Accordingly,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serves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orresponding label paper. In addition,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3 may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op of the label spin module 350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label paper to be loaded, and the label paper is maximized. It may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op of the label spin module 350 in a loaded state.

라벨링 모듈(330)은 라벨지로부터 회전에 따라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모듈(330)은 그립 모듈(310)로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에 부착시키고,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외부 부재의 이동에 제약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링 모듈(330)은 그립 모듈(310)에 의해 라벨지로부터 분리되는 라벨이 1차적으로 외부에 부착되고 난 이후에 해당 라벨이 부착 위치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해당 라벨을 누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라벨링 모듈(330)은 외부 물체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하는 원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라벨지로부터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 물체에 정확하게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labeling module 330 may externally attach a label that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by rotation. 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module 330 attaches the label separated by the grip module 310 to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in a rotatable form so as not to restrict movement of the external member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For example, the labeling module 330 may serve to press the label so that the label separated from the label sheet by the grip module 310 is not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after the label is primarily attached to the outside. there is. In other words, the labeling module 330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hat rotat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an external object, and may serve to accurately attach a label separated from a label sheet to an external object.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모듈(330)은 라벨링 장치 몸통으로 부터 라벨링을 수행하여야하는 물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링을 수행하여야하는 물체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라벨링 장치(300)의 구성 중 라벨링 모듈만이 라벨링을 수행하여하는 물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라벨링 장치(300)는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2차 전지 롤 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라벨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module 330 may protrude from the body of the labeling device toward an object to be labeled. For example, an object to be labeled may move from top to bottom, and only a labeling module among components of the labeling apparatus 300 may contact the object to be labeled. Through this, for example, the labeling apparatus 300 may perform labeling without affecting the surface of the secondary battery roll moving in one direction.

스토리지 모듈(340)은 라벨지 묶음이 부착될 수 있다. 라벨지 묶음은 라벨지 원형 다발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가 될 수 있다. 라벨지 ?굼습? 원형의 형태로 스토리지 모듈(34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리지 모듈(340)은 원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라벨지 묶음이 부착될 수 있다.A bundle of label paper may be attached to the storage module 340 . The label sheet bundle is a circular bundle of label sheets, which may be label sheets to which labels are attached. Label paper ?slow? It may be attached to the storage module 340 in a circular shape.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module 340 is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o which the label bundle may be attached.

라벨 스핀 모듈(350)은 라벨지가 외부에 부착되어야 할 시점에 라벨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 스핀 모듈(350)은 라벨링이 수행되어야할 시점에 라벨지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립 모듈(310)에서 라벨지로부터 라벨이 분리되면서 외부에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The label spin module 350 may move the label paper at the time when the label paper is to be attach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label spin module 350 may move the label paper at the time when labeling is to be performed, and accordingly, the label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while the label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by the grip module 310 .

일 실시예에서, 라벨 스핀 모듈(350)은 라벨지를 회전력을 이용하여 당기되, 상기 라벨지가 쌓이는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과의 관계에서 우측 아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이용해서 라벨지를 당길 수 있고, 라벨지는 스토리지 모듈(340)로부터 라벨 스핀 모듈(35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라벨지가 쌓임에 따라 라벨 스핀 모듈(350)에 적재되는 라벨지의 두께가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4 서브 텐셔닝 모듈(324)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bel spin module 350 pulls the label paper using rotational force,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in consideration of the stacked thickness of the label paper. As described above, the label sheet may be pulled using rotational force, and the label sheet may move from the storage module 340 toward the label spin module 350 .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label paper loaded in the label spin module 350 changes as the label paper is piled up, it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24 in consideration of this.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장치(300)는 라벨지에 빛을 입사시켜 상기 라벨지 라벨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라벨 검사 모듈(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벨 검사 모듈(360)은 라벨지 상에 라벨이 존재하는지 빛을 입사하여 검사할 수 있으며, 이는 라벨지의 교체 주기를 사용자로 하여금 결정할 수 있도록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 검사 모듈(360)을 통해 라벨지 상에 라벨이 없다는 것을 라벨링 장치(300) 상의 제어부에 입력되면, 해당 정보를 통해 알림을 울리거나 사용자 단말(110)에 라벨링 장치(300) 상의 제어부가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 검사 모듈(360)은 라벨지에 빛을 입사시켜 통과하는 빛의 양을 체크하는 방법 또는 라벨지에 빛을 입사시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체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label inspection module 360 that inspects whether or not the label paper label exists by incident light on the label paper. The label inspection module 360 may inspect whether a label is present on the label paper by incident light, which may serve to notify the user of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label paper so that the user can decide. For example, if it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on the labeling device 300 that there is no label on the label paper through the label inspection module 360, a notification is sounded through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110 on the labeling device 300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label inspection module 360 may use a method of incident light on the label paper to check the amount of passing light or a method of incident light on the label paper and check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장치(300)는 라벨이 부착되는 외부 물체 방향으로 빛을 입사시켜 상기 라벨지로부터 상기 라벨(401)이 분리되어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검수하는 라벨 검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 검수 모듈(370)은 외부 물체에 빛을 입사시켜 라벨이 해당 외부 물체에 부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라벨링 장치(300)는 라벨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데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 혹은 알림음을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label inspection module for inspecting that the label 401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and attached to the outside by incident light in the direction of an external object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 For example, the label inspection module 370 may determine whether a label is attached to the external object by incident light on the external object, and the labeling device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label is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110. Or it can be displayed through a notification sound.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장치(300)의 구성 중에서 그립 모듈(310), 텐셔닝 모듈(320), 스토리지 모듈(340) 및 라벨 스핀 모듈(350)을 라벨지 묶은과 같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 가능한 구성들은 모듈화 되어 사용자가 편이하게 미리 세팅을 하여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ip module 310, the tensioning module 320, the storage module 340, and the label spin module 350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labeling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such as binding label paper. there is. For example, detachable components may be modularized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set them in advance and attach or detach the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10: 사용자 단말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00: 라벨링 장치
310: 그립 모듈
321: 제1 서브 텐셔닝 모듈 322: 제2 서브 텐셔닝 모듈
323: 제3 서브 텐셔닝 모듈 324: 제4 서브 텐셔닝 모듈
330: 라벨링 모듈 340: 스토리지 모듈
350: 라벨 스핀 모듈 360: 라벨 검사 모듈
370: 라벨 검수 모듈 380: 제어부
401: 라벨 402: 서포트 부재
110: user terminal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00: labeling device
310: grip module
321: first sub-tensioning module 322: second sub-tensioning module
323: third sub-tensioning module 324: fourth sub-tensioning module
330: labeling module 340: storage module
350: label spin module 360: label inspection module
370: label inspection module 380: control unit
401: label 402: support member

Claims (9)

라벨지의 이동 경로를 단일의 방향으로 유지하고 상기 단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구겨지지 않도록 상기 라벨지를 일자형으로 고정하는 그립 모듈;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상에 복수개로 위치하여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고 상기 라벨지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텐셔닝 모듈;
상기 라벨지로부터 회전에 따라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에 부착시키는 라벨링 모듈;
라벨지 묶음이 부착되는 스토리지 모듈; 및
상기 라벨지가 외부에 부착되어야 할 시점에 상기 라벨지를 이동시키는 라벨 스핀 모듈을 포함하는 라벨링 장치.
a grip module for fixing the label sheet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label sheet maintains a moving path in a single direction and is not wrinkl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ingle direction;
Tensioning modules located in plurality on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paper to adjust the movement path of the label paper and to maintain elasticity of the label paper;
A labeling module for attaching a label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rotation;
A storage module to which a bundle of label paper is attached; and
A labeling device comprising a label spin module for moving the label sheet at a time when the label sheet is to be attach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모듈은,
상기 라벨지가 부착되는 외부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서 형성되며 상기 각도는 수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module,
Lab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making a certain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label paper is attached, the angle is not perpendicu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4 서브 텐셔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 모듈은,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 및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 사이에서 상기 라벨지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ing module,
It includes first to fourth sub-tensioning modules located on the moving path of the label paper,
The grip module,
The lab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a path along which the label paper moves between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and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가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리지 모듈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상기 그립 모듈 방향으로 향하도록 변경시키며 상기 제1 서브 텐셔닝 모듈과의 관계에서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 방향으로 수직에 가깝게 변경시키며 상기 그립 모듈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은,
상기 라벨지의 이동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제3 서브 텐셔닝 모듈과 수평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The label paper is disposed diagonally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module to maintain tension while moving to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The second sub-tensioning module,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toward the grip module and is located upward in relation to the first sub-tensioning module,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It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to be close to vertical in the direction of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and is located on top of the grip module,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The lab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beling device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sub-tensioning modul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movement direction of the label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링 모듈은,
상기 그립 모듈로 분리되는 라벨을 외부에 부착시키고,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외부 부재의 이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beling module,
A lab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bel separated by the grip module is attached to the outside and configured in a rotatable form so as not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member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모듈은,
원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라벨지 묶음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module,
A labeling devic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o which the label paper bundle is atta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스핀 모듈은,
상기 라벨지를 회전력을 이용하여 당기되, 상기 라벨지가 쌓이는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제4 서브 텐셔닝 모듈과의 관계에서 우측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bel spin module,
The lab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bel paper is pulled using a rotational force and positioned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fourth sub-tensioning module in consideration of the stacked thickness of the label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에 빛을 입사시켜 상기 라벨지 라벨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라벨 검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Labe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label inspection module for inspecting whether the label paper label exists by incident light on the label paper.
제1항에 있어서,
라벨이 부착되는 외부 물체 방향으로 빛을 입사시켜 상기 라벨지로부터 상기 라벨이 분리되어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검수하는 라벨 검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bel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label inspection module for inspecting that the label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and attached to the outside by incident light in the direction of an external object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KR1020210079455A 2021-06-18 2021-06-18 Label device KR202201692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455A KR20220169260A (en) 2021-06-18 2021-06-18 Labe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455A KR20220169260A (en) 2021-06-18 2021-06-18 Labe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260A true KR20220169260A (en) 2022-12-27

Family

ID=8456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455A KR20220169260A (en) 2021-06-18 2021-06-18 Labe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26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60B1 (en) 2004-08-10 2008-07-29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Single-mode optical fiber
KR101277069B1 (en) 2011-06-30 2013-06-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Apparatus for inspecting gravure ro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60B1 (en) 2004-08-10 2008-07-29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Single-mode optical fiber
KR101277069B1 (en) 2011-06-30 2013-06-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Apparatus for inspecting gravure ro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8241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0595728C (en) Inventory system with image display
JP5234958B2 (en) Defective label removal mechanism
US8055887B2 (en) Dynamically updating barcode data
TW200946994A (en) Method for inspecting a polarization film
TW201510512A (en) Defect inspection system and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9139239A (en) Optical film having optical axis,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KR102241700B1 (en) Defect inspection system, and film manufacturing device
KR20220169257A (en) Label device
KR20220169260A (en) Label device
JP6257859B1 (en) Article and method for parallel labeling of connected arrays
TW201408546A (en) Separating device
TW201126424A (en) Reproduction image reading method and reproduction image reading device
JP2014214006A (en) Label separating device
JP2008068434A (en) Printed matter inspecting equipment, printed matter defect removing equipment, printed matter inspecting method, printed matter defect remov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inspecting system
JP5890726B2 (en) Information reader
JP2004045071A (en) Continuous sheet-like material marking device
CN206208153U (en) A kind of tool of inspection FPC plates
JP6550168B2 (en) Defect inspection system and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W513899B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in a TAB automatic handling machine, and automatic handling machine
KR20220169261A (en) Event detection -based roll area labeling device and method
US202301530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media handling defects in a printing device
JP5153528B2 (en) Single sheet supply mechanism
US201503800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riting data to both sides of sequential storage media
JP2006065375A (en) Inspection device and convey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