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601A -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 Google Patents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601A
KR20220168601A KR1020210077897A KR20210077897A KR20220168601A KR 20220168601 A KR20220168601 A KR 20220168601A KR 1020210077897 A KR1020210077897 A KR 1020210077897A KR 20210077897 A KR20210077897 A KR 20210077897A KR 20220168601 A KR20220168601 A KR 20220168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support plate
planarization lay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영
강석기
최신일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601A/en
Publication of KR2022016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ack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supports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display elements on a flexible substrate.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late made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Young's modulus than the flexible substrate and having opened patterns formed on a folded area; a first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to cover a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made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to cover a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ich faces the first surface and made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filling patterns disposed to fill the insides of the opened patterns, connect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nd made of a thir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third elastic polymer and a third carbon material. Accordingly, the visibility of a boundary between a folded area and a non-folded area is reduced and the radius of the folded area can be decreased.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Backpl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딩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plate for a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최근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따라 폴딩이 가능한 대면적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대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Recently, the display fiel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has developed rapidly, and accordingly, many technologies for large-area foldable mobile displays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해야 하므로, 표시패널은 매우 얇은 고분자 기판 상에 표시소자들이 형성된 구조를 가져서 내충격성이 매우 약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백플레이트가 적용된다. Since these flexible display devices generally need to be foldable and unfoldable, since the display panel has a structure in which display elements are formed on a very thin polymer substrate, the impact resistance is very weak, so a back plate is applied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do.

현재 백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기재는 고분자계 재질 또는 금속계 재질을 이용하고 있으나, 고분자계 재질의 경우 탄성 및 강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고, 금속계 재질의 경우에는 굴곡반경이 크고 접힘에 대한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Currently, polymer-based materials or metal-based materials are used as substrates constituting the backplate, but in the case of polymer-based materials, there is a problem of insufficient elasticity and rigidity, and in the case of metal-based materials, the bending radius is large and the durability against folding is weak. there i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계 기재 중 폴딩부 영역에 개구 패턴을 형성한 후 이를 열가소성 수지를 충진한 구조가 개발되었으나, 폴딩부 영역에만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강성 및 두께의 편차가 발생하여 패턴 전사 및 폴딩 경계부가 시인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ructure was developed in which an opening pattern was formed in the folding region of a metal substrate and then filled with a thermoplastic res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lding boundary portion is visually recogniz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폴딩부 영역와 비폴딩부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폴딩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plate for a flexible display capable of reducing the visibility of a boundary between a folding area and a non-folding area and reducing a folding radi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백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having the back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표시소자가 형성된 플렉시블 표시패널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보다 큰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폴딩 영역에 형성된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1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1 평탄화층;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2 평탄화층; 및 상기 개구 패턴들 내부를 충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과 연결되며, 제3 탄성 중합체와 제3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3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충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back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a flexible display panel on which display elements are formed on a flexible substrat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modulus than that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has a folding area. a support plate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thereon; a first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a second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formed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filling patterns disposed to fill the insides of the opening patterns, connect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nd formed of a thir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third elastomer and a third carbon material. can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탄성 중합체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및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탄소 소재는 카본 블랙, 키친블랙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to third elastomers is a polyethylene (PE) elastomer,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a polyolefin (POE) elastomer, and a polyurethane (TPU) elastome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the first to third carbon material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kitchen black, and carbon nanotub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복합체 재료에 있어서, 상기 탄소 소재는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materials, the carbon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omer resi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 있어서, 폴딩부(FR)와 이에 인접한 비폴딩부(UFR)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 step between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adjacent thereto may be 10 μm or les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 패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난반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including a concave-convex patter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patter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이 이형 처리된 지그의 표면 상에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복합체 필름,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제2 복합체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복합체 필름을 표면이 경면가공된 금형으로 가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FR; A first composite film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on a surface of a jig having a release treatment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stacking a second composite film formed of a support plate and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and a third step of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and then pressing the second composite film with a mold having a mirror-finished surf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형으로는 표면이 이형처리된 글라스 금형 또는 표면이 이형처리된 금속 또는 세라믹 금형이 사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glass mold having a release treatment surface or a metal or ceramic mold having a release treatment surface may be used as the mol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금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의 반경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온도로 하강한 후 일정시간 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fter the third step,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lowered to a temperature capable of mak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s in a semi-cured state in a state of pressurization with the mold, and then maintain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이 이형 처리된 지그의 표면 상에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복합체 필름,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제2 복합체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복합체 필름을 표면에 난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요철패턴이 형성되고 이형처리된 금형으로 가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FR; A first composite film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on a surface of a jig having a release treatment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stacking a second composite film formed of a support plate and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and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and then pressurizing the second composite film with a mold in which a concavo-convex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It can include 3 step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금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의 반경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온도로 하강한 후 일정시간 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fter the third step,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lowered to a temperature capable of mak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s in a semi-cured state in a state of pressurization with the mold, and then maintain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소자를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보다 큰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폴딩 영역에 형성된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1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1 평탄화층;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2 평탄화층; 및 상기 개구 패턴들 내부를 충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과 연결되며, 제3 탄성 중합체와 제3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3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충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and a display element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backplate disposed below the flexible substrate and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the backplate being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Young's Modulus than the flexible substrate, and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area. a support plate; a first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a second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formed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filling patterns disposed to fill the insides of the opening patterns, connect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nd formed of a thir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third elastomer and a third carbon material. can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접착층을 통해 상기 제1 평탄화층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through an adhesive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 있어서, 폴딩부(FR)와 이에 인접한 비폴딩부(UFR)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 step between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adjacent thereto may be 10 μm or les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 패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난반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including a concave-convex patter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patter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평탄화층과 상기 충진패턴들이 흑색 복합체 소재로 형성되어 빛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화층 상부에 적용되는 금속 박막을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극한 반경의 폴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평탄화층과 상기 충진패턴들이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형성되어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nce the first and second flattening layers and the filling patterns are formed of a black composite material to reduce light reflection, the conventional pattern The metal thin film applied on top of 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removed to prevent it from being visible, and as a result, folding of an extreme radius may be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lanarization layers and the filling patterns are formed of a composite including a carbon material,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shown in FIG. 3 .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shown in FIG. 4 .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step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Back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100)는 지지 플레이트(110), 제1 평탄화층(120), 충진패턴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back plate 100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10, a first flattening layer 120, and filling patterns 130. .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폴딩 영역(FR) 및 비폴딩 영역(UFR)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폴딩 영역(FR)에는 폴딩 시에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구 패턴들(도 3a의 '10a’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110 may include a folding region FR and a non-folding region UFR, and the folding region FR may include opening patterns ('10a' in FIG. 3A) for improving elasticity during folding. reference)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패널의 기판보다 큰 강성, 즉,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스테인레스스틸(SUS), 인바(Invar) 등과 같은 합금 소재나,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등의 무기계 소재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과 같은 유기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stiffness, ie, Young's Modulus, than a substrate of a display panel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110 is an alloy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US) or Inva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morphous metal or amorphous silicon, or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or polymethylmethacrylate. Polycarbonate (PC), polyacrylate (PA), polyvinylalcohol (PVA),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t may be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the like.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충진패턴들(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의 개구 패턴들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패턴들(130)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의 개구 패턴들 전체 영역이 충진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개구 패턴들 중 상부 영역 일부는 상기 제1 평탄화층(120)에 의해 충진될 수도 있다.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formed to fill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 110 . Although the entire area of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 110 may be filled by the filling patterns 130 , a part of the upper area of the opening patterns may be filled by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 may b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120) 상부에 표시패널(도 4의 1200 참조)이 배치되므로,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상기 무기 박막(140) 및 상기 표시패널의 외관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의 상부 표면은 우수한 평탄도를 가지고,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낮은 열팽창계수(CTE)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약 15 내지 100㎛의 두께 및 약 1㎛ 이하의 표면 조도를 가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since a display panel (refer to 1200 in FIG. 4 ) is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may affect the inorganic thin film 140 and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panel.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has excellent flatness,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Do. For example,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5 to 100 μm and a surface roughness of about 1 μm or les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120)과 상기 충진패턴들(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평탄화층(120)과 상기 충진패턴들(13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MI(용융지수)가 약 1 내지 10 사이이고, 퍼짐성이 약 3% 이하인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평탄화층(120)과 상기 충진패턴들(13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평탄화층(120)과 상기 충진패턴들(130) 각각의 재료는 가교제 및 열안정제를 약 0.1% 내지 2% 함유하는 가교형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modulus smaller than that of the support plate 110 .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is independently formed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having an MI (melting index) of about 1 to 10 and a spreadability of about 3% or less. can be formed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flattening layer 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polyethylene (PE)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polyolefin (POE) elastomer, and thermoplastic poly It may be formed of a urethane (TPU) elastomer or the like. In one embodiment, each material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formed using a crosslink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bout 0.1% to about 2%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heat stabiliz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120)과 상기 충진패턴들(130)은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상기 충진패턴들(130)의 재료보다 녹는점 및 경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충진패턴들(130)은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의 재료보다 녹는점(Melt Point, Tm)이 약 5 내지 10℃ 정도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and higher hardness than the material of the filling patterns 130 ,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formed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melting point (Tm) lower than that of the material of (120) by about 5 to 10°C.

일 실시예로, 상기 충진패턴들(130)은 쇼어(shore) 경도가 약 A70 이상이고, 녹는점이 약 70℃ 이상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쇼어 경도가 약 A75 내지 90이고, 녹는점이 약 75℃ 이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진패턴들(130)과 상기 제1 평탄화층(120) 각각은 첨가제를 이용하여 경도 및 녹는점이 조정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lling patterns 130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hore hardness of about A70 or more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70° C. or more, and the first flattening layer 120 has a shore hardness of about A75 to about A75 to about 70° C. 90,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75° C. or higher. Meanwhile, each of the filling patterns 130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may be formed using a composition whose hardness and melting point are adjusted using an additive.

한편, 상기 충진패턴들(130)과 상기 제1 평탄화층(120) 사이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상기 충진패턴들(130)과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은 서로 혼합될 수 있는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lling patterns 130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the filling patterns 130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re made of materials that can be mixed with each other. can be formed

이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120)과 상기 충진패턴들(130)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평탄화층(12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진패턴들(130)의 존재로 인해 상기 폴딩 영역(FR)과 상기 비폴딩 영역(UFR)의 경계가 상기 표시패널에 시인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는 무기박막(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ck plat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and due to the existence of the filling patterns 130, the folding region FR and the An inorganic thin film 140 capable of reducing visibility of the boundary of the non-folding region UFR on the display panel and reinforcing elasticit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무기박막(140)은 상기 충진패턴들(130) 및 상기 제1 평탄화층(120)의 재료보다 모듈러스가 큰 무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기박막(140)은 스테인레스스틸(SUS), 인바(Invar) 등과 같은 합금 소재나,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등의 무기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organic thin film 14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higher modulus than materials of the filling patterns 130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20 . For example, the inorganic thin film 140 may be formed of an alloy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US) or Invar, o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morphous metal or amorphous silicon.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shown in FIG. 1 .

도 1과 함께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10)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제1 녹는점을 갖는 제1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녹는점보다 낮은 제2 녹는점을 갖는 제2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중 폴딩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2 필름을 각각 배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상기 제2 녹는점 이상이고 상기 제1 녹는점보다 낮은 제1 온도 및 제1 압력으로 상승시켜 용융된 상기 제2 필름의 상기 제1 탄성 중합체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 패턴들을 충진하는 제3 단계; 상기 챔버의 온도를 상기 제1 녹는점 이상의 제2 온도로 상승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to 2C together with FIG. 1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10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FR; A first film formed of a first elastomer having a first melting poin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in the chamber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nd a second film low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a second step of disposing second films formed of a second elastomer having a melting point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folding area on the lower surface; The first elastomer of the second film melt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side the chamber to a first temperature and a first pressure that is higher than the second melting point and low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and the opening of the support plate A third step of filling the patterns; A fourth step of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to a second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may be included.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폴딩 영역(FR)에 개구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폴딩 영역(FR)에 개구 패턴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패턴들은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들의 형상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패턴들은 사각형, 마름모,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as shown in FIG. 2A ,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in the folding region FR of the support plate 10 . A method of forming opening patterns in the folding region FR of the support plat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through a wet or dry etching process. The shape of the opening patterns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a rhombus, and a triangle, a circular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을 각각 배치시킬 수 있다. In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film 20' and the second film 3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10 inside the chamber. can

상기 제1 필름(2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 예를 들면, 상기 상부면 면적의 약 95% 이상 100% 이하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필름(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하부면 중 폴딩 영역(FR)에 대응하는 면적, 예를 들면, 상기 폴딩 영역 면적의 약 100% 이상 130% 이하의 면적을 갖고 상기 폴딩 영역(FR)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30’)의 면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 패턴들의 부피, 상기 제2 필름(30’)의 두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필름(10) 및 상기 제2 필름(30’)의 두께는 각각 약 15 내지 100 ㎛ 및 약 50 내지 150 ㎛일 수 있다. 다만, 이들 각각의 두께는 중립면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film 20 ′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rea of the support plate 10 , for example, an area of about 95% or more and about 100% or less of the upper surface area. And, the second film 30'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region F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for example, an area of about 100% or more and 130% or less of the area of the folding region. 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olding region FR. The area of the second film 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opening pattern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30',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10 and the second film 30 'may be about 15 to 100 ㎛ and about 50 to 150 ㎛, respectively. However, each of these thicknesse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eutral plane.

상기 제1 필름(20’) 및 상기 제2 필름(3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MI(용융지수)가 약 1 내지 10 사이이고, 퍼짐성이 약 3% 이하인 탄성 중합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필름(20’) 및 상기 제2 필름(3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필름(20’) 및 상기 제2 필름(3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가교제 및 열안정제를 약 0.1% 내지 2% 함유하는 가교형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첨가제를 이용하여 경도 및 녹는점이 서로 다르게 조정된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film 20' and the second film 30' may be independently formed of an elastic polymer resin having a melt index (MI) of about 1 to about 10 and a spreadability of about 3% or less.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film 20 'and the second film 30' may independently be a polyethylene (PE) elastomer,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a polyolefin (POE) elastomer, or a thermoplastic. It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TPU) elastomer or the like.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film 20' and the second film 30' may be independently formed using a crosslink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bout 0.1% to 2%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heat stabilizer. And, each of these may be formed using compositions in which hardness and melting point are adjust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using additiv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20’)은 제1 녹는점을 갖는 제1 탄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필름(30’)은 상기 제1 녹는점보다 약 5 내지 10℃ 정도 낮은 제2 녹는점을 갖는 제2 탄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film 20' may be formed of a first elastomer having a first melting point, and the second film 30' may be formed of about 5 to 10 times low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It may be formed of a second elastomer having a second melting point as low as °C.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상기 제2 녹는점 이상이고 상기 제1 녹는점보다 낮은 제1 온도 및 대기압보다 높은 제1 압력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필름(20’)은 고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필름(30’)이 액화되고, 상기 제2 필름(30’)의 재료들인 제2 탄성 중합체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개구 패턴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개구 패턴들을 충진할 수 있다. In the third step, as shown in FIG. 2B,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side the chamber are raised to a first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cond melting point and low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can In this case, the second film 30' is liquefied while the first film 20' maintains a solid state, and the second elastic polymer,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second film 30', is applied to the supporting plate. It may flow into the opening patterns of (10) and fill the opening patterns.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의 압력을 상기 제1 압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녹는점 이상인 제2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필름(20’)이 용융되어 상기 개구 패턴들 내부를 충진하는 상기 제2 탄성 중합체와 혼합될 수 있다. In the fourth step, as shown in FIG. 2B ,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may be increased to a second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chamber at the first pressur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raised to the second temperature, the first film 20 ′ may be melted and mixed with the second elastomer filling the inside of the opening patterns.

이 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개구 패턴들은 상기 제2 탄성 중합체에 의해 이미 충진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 필름(20’)이 용융되어 상기 제2 탄성 중합체와 혼합되더라도, 상기 제1 필름(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평탄화층(도 1의 120)의 상부면에는 단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ing plate 10 are already filled with the second elastic polymer, even if the first film 20' is melted and mixed with the second elastic polymer, the first film 20' is melted and mixed with the second elastic polymer. A level difference may hardly occu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 120 in FIG. 1 ) formed by (20').

이어서,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킴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제1 평탄화층(20)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개구패턴들을 충진하는 충진패턴들(30a)을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by cooling the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as shown in FIG. 2C,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 10 are filled. Filling patterns 30a may be formed.

한편, 도 3b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개구 패턴들을 충진하기 위한 제2 필름(30’)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2 필름(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제1 필름(2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3B , the second film 30 ′ for filling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 1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but the second film 30 ')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film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평탄화층(20) 상에 무기 박막(40)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fth step of forming an inorganic thin film 40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0, as shown in FIG. 3C. .

상기 무기 박막(40)은 스테인레스스틸(SUS), 인바(Invar) 등과 같은 합금 소재나,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등의 무기계 소재로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평탄화층(20) 상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inorganic thin film 40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heet formed of an alloy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US) or Invar o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morphous metal or amorphous silicon on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0. ca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패턴들을 충진하는 단계에서 발생되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 사이의 단차를 제거하거나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단차가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ck pla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olding area and the non-folding area generated in the filling of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 can be removed or significantly reduced. As a result, when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solve or significantly reduce the problem of the level difference being recogniz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300)는 지지 플레이트(310), 제1 평탄화층(320), 충진패턴들(330) 및 제2 평탄화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back plate 300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310, a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filling patterns 330,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는 폴딩 영역(FR) 및 비폴딩 영역(UFR)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폴딩 영역(FR)에는 폴딩 시에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구 패턴들(도 6a의 '10a’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310 may include a folding region FR and a non-folding region UFR, and the folding region FR may include opening patterns ('10a' in FIG. 6A) for improving elasticity during folding. reference)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패널의 기판보다 큰 강성, 즉,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a, 310b)는 스테인레스스틸(SUS), 인바(Invar) 등과 같은 합금 소재나,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등의 무기계 소재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과 같은 유기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stiffness, ie, Young's Modulus, than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s 310a and 310b are made of an alloy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US) or Inva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morphous metal or amorphous silicon, or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polycarbonate (PC), polyacrylate (PA), polyvinylalcohol (PVA),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the like.

상기 제1 평탄화층(32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충진패턴들(330a, 330b)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a, 310b)의 개구 패턴들을 채우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평탄화층(34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제2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filling patterns 330a and 330b are formed to fill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s 310a and 310b. ,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320), 상기 충진패턴들(3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34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갖고,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색상, 예를 들면 흑색(black)을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may have a modulus smaller than that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reduce reflection of light.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lor, for example, black.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320), 상기 충진패턴들(3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34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MI(용융지수)가 약 1 내지 10 사이이고, 퍼짐성이 약 3% 이하인 탄성 중합체 수지 및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흑색 복합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independently has an MI (melting index) of about 1 to 10, and has a spreadability It may be formed of a black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bout 3% or less of an elastomeric resin and a carbon material.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는 가교형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 소재는 카본 블랙, 키친블랙, 탄소나노튜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소 소재는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The elastomer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PE)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polyolefin (POE) elastomer,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lastomer. For example, the elastic polymer resin may include a cross-linking polymer resin. The carbon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carbon black, kitchen black, and carbon nanotubes. In one embodiment, the carbon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omer resin.

상기 제1 평탄화층(320), 상기 충진패턴들(3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340)이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와 상기 탄소 소재의 복합체로 형성된 경우,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UFR)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플레이트(300)의 방열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평탄화층(320), 상기 충진패턴들(3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34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 및 상기 탄소 소재와 함께 가교제 및 열안정제를 약 0.1% 내지 2% 함유하는 컴파운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are formed of a composite of the elastomeric resin and the carbon material, a folding region FR and a non-folding region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boundary between UFR) and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ck plate 300 .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independently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and a heat stabilizer along with the elastic polymer resin and the carbon material. It may be formed using a compound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bout 0.1% to 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320), 상기 충진패턴들(3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340) 각각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이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 평탄화층(320), 상기 충진패턴들(3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340)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재료로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재료는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one or more of them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re is. However,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different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mixed. desira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320)의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평탄화층(320)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FR)와 상기 비폴딩부(UFR) 사이의 단차는 약 10㎛ 이하일 수 있고, 표면 조도는 약 1 ㎛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may be flat. For exampl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the step between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may be about 10 μm or less, and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about 1 μm or less.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400)는 지지 플레이트(410), 제1 평탄화층(420), 충진패턴들(430) 및 제2 평탄화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back plate 400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410, a first planarization layer 420, filling patterns 430,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440).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 상기 충진패턴들(430) 및 상기 제2 평탄화층(44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300)의 지지 플레이트(310), 충진패턴들(330) 및 제2 평탄화층(3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upport plate 410, the filling patterns 4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440 are the support plate 310 of the back plat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Since the filling patterns 330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340 are substantially the same, duplicat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평탄화층(420)은 표면에 난반사 패턴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300)의 제1 평탄화층(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420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of the back plat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except that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Since they are the same, the following will focus on their differences.

상기 난반사 패턴은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개구 패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난반사 패턴은 사각형, 삼각형, 원, 타원, 부정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요철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화층(420)은 표면에 난반사 패턴이 형성된 경우, 상기 폴딩 영역의 패턴이나 상기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may include a concavo-convex pattern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opening pattern formed in the folding portion. For example,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may include concavo-convex patterns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a triangle, a circle, an ellipse, or an irregular shape. When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420, the pattern of the folding area or the boundary between the folding area and the non-folding area may be further reduced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shown in FIG. 3 .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10)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이 이형 처리된 지그(1)의 표면 상에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복합체 필름(30’), 상기 지지 플레이트(10) 및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제2 복합체 필름(2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복합체 필름(20’)을 표면이 경면가공 및 이형처리된 금형(2)으로 가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10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FR; A first composite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o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jig 1 having a release-treated surface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 second composite film 20' formed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lm 30', the support plate 10,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stacking;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the surface of the second composite film 20' is mirror-finished and released. 2) may include a third step of pressurizing.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폴딩 영역(FR)에 개구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폴딩 영역(FR)에 개구 패턴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패턴들은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들의 형상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패턴들은 사각형, 마름모,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as shown in FIG. 5A ,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in the folding region FR of the support plate 10 . A method of forming opening patterns in the folding region FR of the support plat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through a wet or dry etching process. The shape of the opening patterns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a rhombus, and a triangle, a circular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 배치된 지그(1)의 표면 상에 상기 제1 복합체 필름(30’), 상기 지지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 복합체 필름(2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In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composite film 30',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second composite film are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jig 1 disposed inside the chamber. (2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의 재료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Material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지그(1)의 표면은 상기 제1 복합체 필름(30’)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형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그(1)의 표면은 불소코팅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jig 1 may be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first composite film 30'.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jig 1 may be coated with fluorine.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은 용융될 수 있고, 상기 금형(2)으로 가압하는 경우 용융된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의 재료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 패턴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개구 패턴들을 충진할 수 있다. In the third step, as shown in FIG. 5B,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raised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The two composite films 30' and 20' can be melted, and when pressed with the mold 2, the melted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melts the opening of the support plate. It may flow into the patterns and fill the opening patterns.

상기 금형(2)으로는 표면이 이형처리된 글라스 금형, 표면이 이형처리되고 경면 가공된 금속 또는 세라믹 금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mold 2, a glass mold having a mold release treatment, a metal or ceramic mold having a mold release treatment and mirror polishing, or the like may be used.

한편, 상기 금형(2)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형 소재가 상기 제1 평탄화층의 표면에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의 용융 후 상기 금형(2)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의 반경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온도로 하강한 후 일정시간 이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release material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mold 2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fter melt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the mold In the state of pressurization in (2),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may be lowered to a temperature capable of mak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s in a semi-hardened state, and then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백플레이트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평탄화층(320)의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평탄화층(320)의 표면은 상기 폴딩부(FR)와 상기 비폴딩부(UFR) 사이의 단차가 약 10㎛ 이하일 수 있고, 표면 조도는 약 1 ㎛ 이하일 수 있다.In the back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may be flat. For exampl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of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20 may be about 10 μm or less, and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about 1 μm or less.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shown in FIG. 4 .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10)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이 이형 처리된 지그(1)의 표면 상에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복합체 필름(30’), 상기 지지 플레이트(10) 및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제2 복합체 필름(2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30’, 20’)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복합체 필름(20’)을 표면에 난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요철패턴이 형성되고 이형처리된 금형(2’)으로 가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10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FR; A first composite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o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jig 1 having a release-treated surface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 second composite film 20' formed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lm 30', the support plate 10,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stacking; Aft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raised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30' and 20', a concavo-convex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mposite film 20'. A third step of pressing with the formed mold 2'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의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기 제3 단계에서 표면에 난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요철패턴이 형성되고 이형처리된 금형(2’)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복합체 필름(20’)을 가압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a 및 도 5b는 참조하여 설명한 백플레이트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of this embodiment excludes that the second composite film 20' is pressed using the mold 2' in which a concave-convex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in the third step and the mold 2' is released. 5A and 5B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 and thus duplicat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백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제1 평탄화층(420)의 표면에 상기 폴딩부에 형성된 개구 패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난반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난반사 패턴은 사각형, 삼각형, 원, 타원, 부정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요철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back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including a concavo-convex patter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pattern formed in the fold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420 . In one embodiment,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may include concavo-convex patterns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a triangle, a circle, an ellipse, or an irregular sha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평탄화층과 상기 충진패턴들이 흑색 복합체 소재로 형성되어 빛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화층 상부에 적용되는 금속 박막을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극한 반경의 폴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평탄화층과 상기 충진패턴들이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형성되어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ck pla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lattening layers and the filling patterns are formed of a black composite material to reduce light refl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metal thin film applied on the top of the planarization layer in order to prevent the conventional pattern from being view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ld the limit radiu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lanarization layers and the filling patterns are formed of a composite including a carbon material,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may be improv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백플레이트(1100) 및 표시패널(12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ck plate 1100 and a display panel 1200 .

상기 백플레이트(1100)로는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100)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back plate 100 shown in FIG. 1 can be applied to the back plate 1100,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표시패널(1200)은 상기 백플레이트(1100) 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1210)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1210) 상에 형성되는 표시소자(1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200 may include a flexible substrate 1210 disposed on the back plate 1100 and a display element 1220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210 .

상기 플렉서블 기판(1210)은 상기 백플레이트(1100)의 지지 플레이트(1110)보다 모듈러스가 작은 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1210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a lower modulus than the support plate 1110 of the back plate 1100 , for example, a polyimide material.

상기 표시소자(1220)로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1210) 상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소자(1220)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element 12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210 to display an image and has flexibility.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220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한편, 상기 표시패널(1200)은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백플레이트 상에 부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panel 1200 may be attached to the back plate using an adhesive layer (not show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0a, 2000b)는 백플레이트(2100a, 2100b), 표시패널(2200a, 2200b) 및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A and 8B , flexible display devices 2000a and 2000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ack plates 2100a and 2100b,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and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can include

상기 백플레이트(2100a, 2100b)는 지지 플레이트(2110a, 2110b), 제1 평탄화층(2120a, 2120b) 및 충진 패턴들(2130a, 2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110a, 2110b), 상기 제1 평탄화층(2120a, 2120b) 및 상기 충진 패턴들(2130a, 2130b)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백플레이트(1100)의 지지 플레이트(1110), 제1 평탄화층(1120) 및 충진 패턴들(1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ack plates 2100a and 2100b may include support plates 2110a and 2110b, first planarization layers 2120a and 2120b, and filling patterns 2130a and 2130b. The support plates 2110a and 2110b,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s 2120a and 2120b, and the filling patterns 2130a and 2130b are the back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Since the support plate 1110,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0, and the filling patterns 1130 of the plate 11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2100a)는 상기 제1 평탄화층(2120a) 상부에 적층된 무기박막(2140a)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광산란 필름(2300a)은 상기 무기박막(2140a)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무기박막(2140a)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백플레이트(100)의 무기박막(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A , the back plate 2100a may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thin film 2140a stack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120a. In this case, the light scattering film (2300a) may be laminated on the inorganic thin film (2140a). Since the inorganic thin film 2140a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organic thin film 140 of the back plat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2100b)는 상기 무기박막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광산란 필름(2300b)은 상기 제1 평탄화층(2120b) 상에 적층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B , the back plate 2100b may not include the inorganic thin film, and in this case, the light scattering film 2300b is form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120b. can be layered.

상기 표시패널(2200a, 2200b)은 상기 백플레이트(2100a, 2100b) 상부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200a, 2200b)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표시패널(1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are disposed on the back plates 2100a and 2100b and can display images. Since the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play panel 12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duplicat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은 상기 백플레이트(2100a, 2100b)와 상기 표시패널(2200a, 2200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2200a, 2200b)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난반사시켜, 상기 백플레이트(2100a, 2100b)의 개구 패턴들 및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UFR) 사이의 경계가 상기 표시패널(2200a, 2200b)에 시인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are disposed between the back plates 2100a and 2100b and the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and scatter or diffusely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The opening patterns of the back plates 2100a and 2100b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folding area FR and the non-folding area UFR may be reduced from being visible on the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은 탄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은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은 약 50 내지 150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약 2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may be formed of an elastic polymer. For example,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PE)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polyolefin (POE) elasto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lastomer, or the like. . For example,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may have a modulus value of about 50 to 150 and a thickness of about 20 to 50 μm.

한편,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의 광흡수율을 높여서 입사광의 반사에 의해 상기 백플레이트(2100a, 2100b)의 개구 패턴들 및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UFR) 사이의 경계가 상기 표시패널(2200a, 2200b)에 시인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은 흑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은 상기 탄성 중합체와 탄소 소재의 복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by increasing the light absorptance of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the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patterns of the back plates 2100a and 2100b and the folding area FR and the non-folding area UFR is formed by reflection of incident light. In order to further reduce what is visible on the display panels 2200a and 2200b,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may have a black color. In this case,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may be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the elastic polymer and a carbon materi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의 상부면에는 입사광을 산란 또는 난반사시키는 미세 요철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 상부면에는 약 5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미세 요철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fine concavo-convex patterns that scatter or diffusely reflect incident light may be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For example, fine concavo-convex patterns having a size of about 5 μm to 10 μm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의 하부면은 상기 백플레이트(2100a, 2100b)의 무기박막(2140a) 또는 제1 평탄화층(2120b)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상기 무기박막(2140a) 또는 제1 평탄화층(2120b)의 상부면은 편평하기 때문에, 상기 광산란 필름(2300a, 2300b)의 하부면과 상기 무기박막(2140a) 또는 제1 평탄화층(2120b)의 상부면은 완전 밀착되어 이들 사이에는 공극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s of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may direct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inorganic thin film 2140a or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120b of the backplates 2100a and 2100b.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inorganic thin film 2140a or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120b is flat,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scattering films 2300a and 2300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organic thin film 2140a or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2120b are formed. may be complete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no air gap is created between them.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백플레이트(3100), 표시패널(3200) 및 광산란 필름(33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 flexible display device 30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ck plate 3100, a display panel 3200, and a light scattering film 3300.

상기 백플레이트(3100)는 지지 플레이트(3110), 제1 평탄화층(3120) 및 충진 패턴들(3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110) 및 상기 충진 패턴들(313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백플레이트(1100)의 지지 플레이트(1110) 및 충진 패턴들(1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ack plate 310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3110 , a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 and filling patterns 3130 . The support plate 3110 and the filling patterns 3130 are the support plate 1110 and the filling patterns of the back plate 11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30), so duplicat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평탄화층(3120)의 상부면에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1 평탄화층(3120)의 두께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1 평탄화층(31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 사이에 단차는 상기 백플레이트(3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3110)의 개구 패턴들을 충진하는 공정 동안 발생될 수 있다.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a folding region and a non-folding reg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 For example, a thickness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in the folding area may be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in the non-folding area. A step between the folding area and the non-folding area may be generated during a process of filling the opening patterns of the support plate 3110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ck plate 3100 .

상기 표시패널(3200)은 상기 백플레이트(3100) 상부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320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표시패널(1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panel 3200 is disposed on the back plate 3100 and can display an image. Since the display panel 3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play panel 12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은 상기 백플레이트(3100)와 상기 표시패널(3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3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난반사시켜, 상기 백플레이트(3100)의 개구 패턴들 및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UFR) 사이의 경계가 상기 표시패널(3200)에 시인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is disposed between the back plate 3100 and the display panel 3200 and scatters or diffusely reflects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panel 3200 to form an opening pattern of the back plate 3100. A boundary between the fields and the folding area FR and the non-folding area UFR may be reduced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on the display panel 320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은 탄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은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은 약 50 내지 150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약 2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polymer. For example,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PE)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polyolefin (POE) elasto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lastomer, or the like. For example,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may have a modulus value of about 50 to 150 and a thickness of about 20 to 50 μm.

한편,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의 광흡수율을 높여서 입사광의 반사에 의해 상기 백플레이트(3100)의 개구 패턴들 및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UFR) 사이의 경계가 상기 표시패널(3200)에 시인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은 흑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은 상기 탄성 중합체와 탄소 소재의 복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by increasing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the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patterns of the back plate 3100 and the folding area FR and the non-folding area UFR is formed by reflection of the incident light. ),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may have a black color. In this case,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may be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of the elastic polymer and a carbon materi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의 하부면은 상기 백플레이트(3100)의 제1 평탄화층(3120)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평탄화층(3120)의 상부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산란 필름(3300)의 하부면과 상기 제1 평탄화층(3120)의 상부면 사이에는 광산란 또는 난반사를 위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may direct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of the back plate 3100, and in this case,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Since a step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scattering film 3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3120, a gap for light scattering or diffuse reflection may be formed.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백플레이트와 표시패널 사이에 특정 표면 조도를 갖고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는 광산란 필름이 삽입된 구조를 가지므로, 백플레이트의 개구 패턴들 및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UFR) 사이의 경계가 표시패널에 시인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의 부족한 강성이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ince a light scattering film having a specific surface roughness and capable of reinforcing elasticity is inserted between the back plate and the display panel, opening patterns and folding of the back plate have a structure. Visibil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FR and the non-folding region UFR on the display panel may be further reduced, and insufficient rigidity or elasticity of the support plate may be reinforc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백플레이트(4100) 및 표시패널(42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 flexible display device 40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ck plate 4100 and a display panel 4200 .

상기 백플레이트(41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백플레이트(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back plate 4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ack plate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표시패널(4200)은 상기 백플레이트(4100) 상부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420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표시패널(1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panel 4200 is disposed on the back plate 4100 and can display an image. Since the display panel 4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play panel 12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백플레이트(5100) 및 표시패널(52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a flexible display device 50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ck plate 5100 and a display panel 5200 .

상기 백플레이트(51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백플레이트(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back plate 5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ack plate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표시패널(5200)은 상기 백플레이트(5100) 상부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520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표시패널(1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panel 5200 is disposed on the back plate 5100 and can display an image. Since the display panel 5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play panel 12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4 및 제5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백플레이트의 제1 및 제2 평탄화층과 충진패턴들이 흑색 복합체 소재로 형성되어 빛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백플레이트의 패턴이 표시패널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백플레이트의 평탄화층과 표시패널 사이에 적용되는 금속 박막을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극한 반경의 폴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평탄화층과 상기 충진패턴들이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백플레이트의 방열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s of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since the first and second flattening layers and the filling patterns of the backplate are formed of a black composite material to reduce light reflection, the pattern of the conventional backplate The metal thin film applied between the flattening layer of the backplate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removed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visible, and 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may be folded at an extreme radiu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lanarization layers and the filling patterns are formed of a composite including a carbon material,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ckplat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300, 400, 1100, 2100, 3100, 4100, 5100: 백플레이트
110, 310, 410, 1110, 2110, 3110, 4110, 5110: 지지 플레이트
120, 320, 420, 1120, 2120, 3120, 4120, 5120: 제1 평탄화층
130, 330, 430, 1130, 2130, 3130, 4130, 5130: 충진패턴
140, 1140, 2140: 무기박막
340, 440: 제2 평탄화층
1000, 2000, 3000, 4000, 500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00, 2200, 3200, 4200, 5200: 표시패널
1210, 2210, 3210, 4210, 5210: 플렉시블 기판
1220, 2220, 3220, 4220, 5220: 표시소자
2300, 3300: 광산란 필름
100, 300, 400, 1100, 2100, 3100, 4100, 5100: back plate
110, 310, 410, 1110, 2110, 3110, 4110, 5110: support plate
120, 320, 420, 1120, 2120, 3120, 4120, 5120: first planarization layer
130, 330, 430, 1130, 2130, 3130, 4130, 5130: filling pattern
140, 1140, 2140: inorganic thin film
340, 440: second planarization layer
1000, 2000, 3000, 4000, 5000: flexible display device
1200, 2200, 3200, 4200, 5200: display panel
1210, 2210, 3210, 4210, 5210: flexible substrate
1220, 2220, 3220, 4220, 5220: display element
2300, 3300: light scattering film

Claims (14)

플렉시블 기판 상에 표시소자가 형성된 플렉시블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보다 큰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폴딩 영역에 형성된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1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1 평탄화층;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2 평탄화층; 및
상기 개구 패턴들 내부를 충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과 연결되며, 제3 탄성 중합체와 제3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3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충진 패턴들;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A backplate for suppor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on which display elements are formed on a flexible substrate,
a support plat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modulus than that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a first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a second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formed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Filling patterns disposed to fill insides of the opening patterns, connect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nd formed of a thir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third elastomer and a third carbon material;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탄성 중합체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에틸렌(PE) 탄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EVA)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POE) 탄성중합체 및 폴리우레탄(TPU)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탄소 소재는 카본 블랙, 키친블랙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to third elastomers is independent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elastomer, ethylene vinyl acetate (EVA) elastomer, polyolefin (POE) elastomer, and polyurethane (TPU) elastomer contains the ingredients of
The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to third carbon materials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kitchen black, and carbon nanotub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복합체 재료에 있어서, 상기 탄소 소재는 상기 탄성 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to third composite materials, the carbon material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ic polymer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 있어서, 폴딩부(FR)와 이에 인접한 비폴딩부(UFR)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According to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attening layer, a step difference between a folding portion (FR) and a non-folding portion (UFR) adjacent thereto is 10 μm or 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ack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 패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난반사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According to claim 1,
A back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including a concavo-convex patter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patter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이 이형 처리된 지그의 표면 상에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복합체 필름,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제2 복합체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복합체 필름을 표면이 경면가공된 금형으로 가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the folding region FR;
A first composite film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on a surface of a jig having a release treatment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stacking a second composite film formed of a support plate and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And a third step of pressing the second composite film with a mold whose surface is mirror-finished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for a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으로는 표면이 이형처리된 글라스 금형 또는 표면이 이형처리된 금속 또는 세라믹 금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lass mold having a release treatment surface or a metal or ceramic mold having a release treatment surface is used as the mol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금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의 반경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온도로 하강한 후 일정시간 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third step, in the state of pressurization with the mold,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lowered to a temperature capable of mak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s in a semi-cured state, and then maintaining th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haracteriz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폴딩 영역(FR)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표면이 이형 처리된 지그의 표면 상에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제1 복합체 필름,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제2 복합체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 필름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복합체 필름을 표면에 난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요철패턴이 형성되고 이형처리된 금형으로 가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the folding region FR;
A first composite film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on a surface of a jig having a release treatment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upper surface; a second step of sequentially stacking a second composite film formed of a support plate and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A third process in which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raised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films, and then the second composite film is pressed with a mold in which a concavo-convex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iffus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release treatment is perform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금형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및 제2 복합체의 반경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온도로 하강한 후 일정시간 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9,
After the third step, in the state of pressurization with the mold,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lowered to a temperature capable of mak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s in a semi-cured state, and then maintaining th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haracteriz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 plat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소자를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보다 큰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폴딩 영역에 형성된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1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1 탄성 중합체와 제1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1 평탄화층;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제2 탄성 중합체와 제2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2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제2 평탄화층; 및
상기 개구 패턴들 내부를 충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과 연결되며, 제3 탄성 중합체와 제3 탄소 소재를 포함하는 제3 복합체 재료로 형성된 충진 패턴들;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and a display element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back plate disposed under the flexible substrate and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The back plate,
a support plat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modulus than that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having opening patterns formed in a folding region;
a first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of a first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elastic polymer and a first carbon material;
a second flatten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formed of a secon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second elastic polymer and a second carbon material; and
Filling patterns disposed to fill insides of the opening patterns, connect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nd formed of a third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third elastomer and a third carbon material; , a flexibl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접착층을 통해 상기 제1 평탄화층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substrate is directly attached to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through an adhesive layer, flexible display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 있어서, 폴딩부(FR)와 이에 인접한 비폴딩부(UFR)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flattening layer, a step difference between a folding portion (FR) and a non-folding portion (UFR) adjacent thereto is 10 μm or les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 패턴보다 작은 크기의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난반사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flexi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iffuse reflection pattern including a concave-convex patter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KR1020210077897A 2021-06-16 2021-06-16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KR202201686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97A KR20220168601A (en) 2021-06-16 2021-06-16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97A KR20220168601A (en) 2021-06-16 2021-06-16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01A true KR20220168601A (en) 2022-12-26

Family

ID=8454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897A KR20220168601A (en) 2021-06-16 2021-06-16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6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4998B2 (en) Antireflection film, display device and light transmissive member
JP6750188B2 (en) Nanostructured film with ma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16330B1 (en) Heat activated optically clear adhesive for bonding display panels
JP4758327B2 (en) Polarizer
JP6350653B2 (en) Method for produc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TWI721967B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2012102312A (en) Optical composi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and apparatus therewith
TWI691569B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WO2019205862A1 (en) Flexible polarizing cov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isplay panel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JP6632821B2 (e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2018500677A (en) Adhesive to replace bezel of electronic device ink step
KR20180116710A (en) UV Forming convert tackiness film
JP6495067B2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US20210333911A1 (en) Touch Display Device
WO2019196736A1 (en) Foam,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KR101993273B1 (en)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772916B (en)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laminate therefor
KR102289805B1 (en) A decorative laminate, an optical laminate, and a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TWI822651B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using the same
KR20220168601A (en)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KR20220168598A (en)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KR20230006670A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6837282B2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2011191368A (en) Antireflection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reflection member,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W202132877A (en) Optical film set and liquid crystal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