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273B1 -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273B1
KR101993273B1 KR1020170127631A KR20170127631A KR101993273B1 KR 101993273 B1 KR101993273 B1 KR 101993273B1 KR 1020170127631 A KR1020170127631 A KR 1020170127631A KR 20170127631 A KR20170127631 A KR 20170127631A KR 101993273 B1 KR101993273 B1 KR 10199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rimer layer
film
protective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7861A (en
Inventor
김철우
윤진영
김광섭
황보격
배종우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3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09J2201/3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이형필름; 제1 점착층; 프라이머층; 제2 점착층;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수학식 1]
(1) Re(λ) = (nx - ny) × d
(2) 0.1(nm) ≤│ Re(550) │≤5(nm)
(수학식 1에서, Re(λ)는 기준 파장 λ㎚에서 면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필름의 면내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면내 y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d는 프라이머층의 두께이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comprising: a first release film sequentially laminated; A first adhesive layer; A primer layer; A second adhesive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wherein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Equation 1]
(1) Re (?) = ( Nx - ny ) xd
(2) 0.1 (nm)? Re (550)?? 5 (nm)
(In the equation 1, Re (λ) represents the retardation value direction side from the reference wavelength λ㎚. N x is a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x-axis direction of the film, n y is a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y-axis direction of the film d Is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Description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 등방성을 가지며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protective film excellent in optical properti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ptical isotropy and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최근 스마트폰, 일체형 컴퓨터와 같은 전자 제품의 크기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중 일부 제품의 경우 표면을 곡면화시켜 제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제품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기기 분야에서는 터치 패널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최 외 표면에 커버글래스(cover glass)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며, 상기 커버글래스 상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점착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의 경우, 필름의 손상 및 오염 시에는 표면 보호 필름의 분리가 용이하여야 하고, 교체시에는 디스플레이 표면인 커버글래스에 대한 우수한 점착성이 요구된다.Recently,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 phones and integrated computers have become smaller and lighter in size, and some of them are manufactured by curving the surface. Among these electronic products, in the field of display devices, a surface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a display device is manufactured on the cover glass so as to include a cover glass on the outermost surface to protect the touch panel and the like from the outside, A surface protective film having adhesiveness is used. In the case of such a surface protective film, when the film is damaged or contaminate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must be easily separated, and when it is replaced, excellent adhesion to the cover glass as a display surface is required.

한편, 최근 디스플레이 기기 중 그립감 등을 위해 커버글래스의 가장자리(edge) 일부에 굴곡을 형성하여 소위 엣지(edge)형 커버글래스를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3D(혹은 2.5D) 타입의 커버글래스와 같이 굴곡이나 각이 진 경우에도 커버글래스에 대한 충분한 보호가 요구되고 있어, 3D(혹은 2.5D) 타입의 커버글래스의 표면 전면을 보호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전자제품에 대한 소형화 및 경량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의 감소에 대한 요구 역시 증대되고 있어,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 감소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 curved edge is formed on a part of the edge of a cover glass to produce a so-called edge-type cover glass. In the case of such a 3D (or 2.5D) type cover glass, sufficient protection against the cover glass is required even when it is bent or angl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glass of the 3D (or 2.5D) typ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urface protective films.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electronic products, so tha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demand for the thickness reduc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also increasing.

하지만, 기존의 표면 보호 필름의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혹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를 기재 필름으로서 포함하는데 이러한 기재 필름들은 기본적으로 두께가 30μm이상이어서 표면 보호 필름의 전체 두께가 과도하게 제조된다.However, conventional surface protective films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s a substrate film. These base films are basically thicker than 30 μm, Is excessively produced.

일 예로, 도 1에는 기존의 표면 보호 필름이 기재되어 있고, 이때 기존의 표면 보호 필름은 두께가 두꺼운 PET 필름을 가운데층에 포함하고,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부분에 PET 필름을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이 경우, 전체 두께가 두껍게 제조될 수밖에 없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점착력이 강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기기의 커버글래스의 가장자리(소위 엣지) 부분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고 스프링 백(spring-back) 현상(기재 필름이 원상태인 평면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2.5D나 3D 타입의 커버글래스, 특히 커버글래스의 가장자리(엣지) 부분을 완벽하게 보호하기 어려워 제품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고, 소비자가 전자기기를 이용할 때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다.For example, a conventional surface protective film is shown in FIG. 1, wherein a conventional surface protective film is made to include a thick PET film in the middle layer and a PET film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ard coat layer. In this case,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adhesion force to compensate the strong adhesive force is not strong, so tha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lifted at the edge (so-called edge) of the cover glass of the display device, (A phenomenon in which the base film is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urface).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otect the 2.5D or 3D type cover glass, especially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glass, so that the product is likely to be damaged, and the user will have to inconvenience when using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최근 소비자들의 아웃도어 레저 활동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아웃도어 레저 활동을 위해 레저용 전자제품(예를 들어, 액티브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레저용 전자제품의 경우 충격방지기능이 보다 요구되므로 외부 비산 방지 보호 필름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비산 방지 보호필름은 필수 구성요소로서 기능성 하드코팅 필름(고내마모성, 고경도 등)을 포함하는데, 이 필름의 두께는 무려 250μm ~ 300μm이다. 이러한, 이러한 기능성 하드코팅 필름을 터치패널 보호용 커버글래스에 접합하기 위해서는 그 사이에는 점착 필름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포함하면 보호필름의 총 두께는 무려 350μm ~ 400μm의 고두께를 가지게 되어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광학적 특성을 굉장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of consumers are increasing recently, and demand for leisure electronic products (for example, active smart phones) is also increasing for such outdoor leisure activities. In the case of such a leisure electronic product, the use of an external scattering-resistant protective film is required because an impact-preventing function is more required. Such a shatterproof protective film includes a functional hard coating film (high abrasion resistance, hardness, etc.)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as much as 250 탆 to 300 탆. In order to bond such a functional hard coating film to the cover glass for protecting the touch panel, an adhesive film is required in between. In this case,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has a high thickness of 350 to 400 μ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greatly deteriorated.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전자제품의 커버글래스에 적용시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착 보호 필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n adhesive protective film which has a thin thickness and does not affect optical properties when applied to a cover glass of an electronic product, as an adhesive protective film used for a surface protective film.

KR 10-2015-0094156 AKR 10-2015-0094156 A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우수한 등방성 및 광학 투명성을 갖는 점착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excellent isotropy and optical transparency.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tape comprising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이형필름; 제1 점착층; 프라이머층; 제2 점착층; 및 제2 이형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점착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protective film comprising: a first release film sequentially laminated; A first adhesive layer; A primer layer; A second adhesive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And an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 (1) "

[수학식 1][Equation 1]

(1) Re(λ) = (nx - ny) × d(1) Re (?) = ( Nx - ny ) xd

(2) 0.1(nm) ≤│ Re(550) │≤5(nm)(2) 0.1 (nm)? Re (550)?? 5 (nm)

(수학식 1에서, Re(λ)는 기준 파장 λ㎚에서 면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필름의 면내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면내 y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프라이머층의 두께이다.)In the formula (1), Re (?) Represents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plane direction at the reference wavelength? Nm, n 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x-axis direction of the film, n 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50~100:50~100:4~7:100~200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코팅 용액의 건조물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may be a dried product of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0: 100: 50-100: 4 to 7: hav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80~100:50~70:4~6:100~150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코팅 용액의 건조물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may be a dried product of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80: 100: 50 to 70: 4: 6: hav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Re(550)는 0.1~1(n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e (550) of the primer layer may be in the range of 0.1 to 1 (nm).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1 내지 5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50 [mu] m.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제2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silicone-based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adhesiv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20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200 [mu] m or less.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광학적 등방성을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have optical isotropy.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Re(550)는 0.1 ~5nm 범위 내에 있고, 헤이즈 값은 0.9(%) 이하에 있을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e (550)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be in the range of 0.1 to 5 nm and the haze value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0.9 (%).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의 노출된 일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제1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시키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다른 일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점착층의 제2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for producing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The method of fabricating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primer layer on a base film;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primer layer; Forming a first release film on the first adhesive layer; Peeling the base film from the primer layer; Forming a second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imer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of a second adhesive layer; , And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may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수학식 1][Equation 1]

(1) Re(λ) = (nx - ny) × d(1) Re (?) = ( Nx - ny ) xd

(2) 0.1(nm)≤│ Re(550)│≤5(nm)(2) 0.1 (nm)? Re (550)?? 5 (nm)

(수학식 1에서, Re(λ)는 기준 파장 λ㎚에서 면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필름의 면내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면내 y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d는 프라이머층의 두께이다.)(In the equation 1, Re (λ) represents the retardation value direction side from the reference wavelength λ㎚. N x is a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x-axis direction of the film, n y is a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y-axis direction of the film d Is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베이스 필름의 표면 조도에 의하여 프라이머층의 표면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베이스 필름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base film such that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rimer layer does not occur due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se film.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보호 필름은 우수한 등방성 및 광학 투명성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져 전자제품에 대한 소형화 및 경량화에 대한 요구에 부합할 수 있다.The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isotropy and optical transparency. Accordingly, it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s a very thin thickness, it can meet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electronic products.

아울러, 본 발명의 점착 보호 필름을 하드코팅 필름과 함께 전자기기의 커버글래스 표면 보호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두께가 얇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레저용 스마트폰, 3D(혹은 2.5D) 타입의 커버글래스를 갖는 스마트폰(이른바, 엣지형 스마트폰) 등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for a cover glass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together with a hard coating film. In this case, since the thickness is thin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 is excellent, A smartphone having a cover glass (so-called edge smart phone), and the like.

도 1은 기존 점착 보호필름을 3D(혹은 2.5D) 커버글래스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적용 시 발생하는 스프링-백 현상과 들뜸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보호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보호 필름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로 사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각각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프라이머층의 파장에 따른 위상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 따른 PET 필름(두께: 5.5㎛)의 위상차 측정 그래프 및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8은 비교예 2에 따른 PET 필름(두께: 12㎛)의 위상차 측정 그래프 및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9는 비교예 3에 따른 PET 필름(두께: 36㎛)의 위상차 측정 그래프 및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0은 비교예 4에 따른 강화유리의 위상차 측정 그래프 및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위상차 측정 그래프 및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2는 비교예 5 및 실시예 4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편광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시 3D(혹은 2.5D) 커버글래스를 갖는 스마트폰과의 스프링-백 현상과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해 관찰한 후 촬영한 사진이다.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spring-back phenomenon and a lifting phenomenon occurring when a conventional adhesive protective film is applied to a smartphone including a 3D (or 2.5D) cover glass.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used a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n an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respectively.
5A to 5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has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primer layer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Fig. 7 shows a graph of phase difference measurement and experimental data of a PET film (thickness: 5.5 mu 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Fig.
Fig. 8 shows a graph of phase difference measurement and experimental data of a PET film (thickness: 12 mu 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 9 shows a graph of phase difference measurement and experimental data of a PET film (thickness: 36 mu 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fference measurement of tempered glas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and experimental data.
11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fference measurement of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Example 1 and experimental data.
12 shows results of polarization experiment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5 and 4.
FIG. 13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observing whether a spring-back phenomenon and a lifting phenomenon with a smartphone having a 3D (or 2.5D) cover glass were observed when a surface protective film was produced using the adhesive tape prepared in Example 4 It is the photograph which was taken afterward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에서 피착체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점착 보호필름이 사용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일반 산업용 기기, IT 전자 제품 내지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강화 유리 패널 내지 스크린 등과 같이 표면 보호가 요구되는 부재이다.The adherend in this specification is a member in which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example, it is required to have surface protection such as a tempered glass panel or screen of general industrial equipment, IT electronic products or display devices .

본 명세서에서 ‘3D(혹은 2.5D) 커버글래스를 갖는 스마트폰’이란 화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곡면형태로 제조된 스마트폰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smartphone having a 3D (or 2.5D) cover glass' means a smartphone having a curved edge formed on the edge of the screen.

본 명세서에서 ‘표면 보호 필름’이란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직접 사용되어 최외면(예컨대, 커버글래스)을 보호하는 용도의 필름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surface protective film" means a film which is used directly in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to protect the outermost surface (for example, cover glass).

본 명세서에서 ‘점착 보호 필름’이란 표면 보호 필름의 일부에 사용되는 점착용 필름을 의미한다. 즉, ‘점착 보호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제조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형 필름을 제외한 점착 보호 필름의 구성은 ‘표면 보호 필름’에 포함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dhesive protective film' means a point-application film used for a part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That is,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constitution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except for the release film may be included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점착 보호 필름Adhesiv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보호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2를 기초로 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점착 보호 필름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이형 필름(10), 제1 점착층(20), 프라이머층(30), 제2 점착층(40) 및 제2 이형 필름(50)을 포함한다.2,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lease film 10, a first adhesive layer 20, a primer layer 30, a second adhesive layer 40, and a second release film 50).

제1 이형 필름(10)은 제1 점착층(20)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제1 점착층(20)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release film 10 is formed to contact the first adhesive layer 20 to protect the first adhesive layer 20.

제1 이형 필름(10)에 사용되는 이형제로서는 낮은 표면 저항을 가지고 제1 점착층(20)에 적절한 이형성을 가질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실리콘계 이형제 또는 아크릴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방식은 열과 자외선 경화형 방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The release agent used for the first release film 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a low surface resistance and suitable releasability to the first adhesive layer 20,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ilicone release agent or an acrylic release agent And the curing method can be used both in a heat and ultraviolet curing type.

일 구현예에서, 제1 이형 필름(10)은 실리콘계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형 필름(10)은 실록산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lease film 10 may be a silicone-based release film. For example, the first release film 10 may comprise a siloxane-based material.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이형 필름으로서 ㈜ 율촌화학의 S-1, FS-1 이형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S-1, FS-1 release film of Yulchon Chemical Co., Ltd. may be used as the first release film.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이형 필름(10)은 50 내지 1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release film 10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100 占 퐉.

제 1 이형 필름(10)의 두께가 50μm보다 얇으면 이형박리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우려가 있으며, 100μm을 초과하는 경우 점착 보호 필름의 터널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lease film 10 is thinner than 50 탆, there is a fear that the deformation peeling force is excessively increased.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100 탆, a tunneling problem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occur.

한편, 제1 점착층(20)의 경우 제1 이형 필름(10)과 후술되는 프라이머층(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20)의 일 면은 프라이머층(30)과 점착되고 다른 일 면은 제1 이형 필름(10)과 점착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release film 10 and a primer layer 30 described below.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be adhered to the primer layer 30 and the other side may be adhered to the first release film 10.

제1 점착층(20)에 사용되는 점착 조성물로서는 스마트폰 액정화면, 태블릿 PC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점착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실록산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Th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dhered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liquid crystal screen or a tablet PC, but a siloxane adhesive or a silicone adhesive can be used.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점착층(20)에 사용되는 점착 조성물은 실리콘 공중합체: 경화제: 촉매를 80 ~120: 0.5~2:0.7~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공중합체: 경화제: 촉매를 90~100:0.8~1.2:0.8~1.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리콘 공중합체로서는 4관능형(SiO4/2)가 포함된 실록산계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화제로서는 폴리실리콘 하이드라이드(Si-H polymer)가 사용될 수 있고 촉매로서는 백금(Pt)계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include a silicone copolymer: a hardener: a catalyst in a weight ratio of 80 to 120: 0.5 to 2: 0.7 to 2, Copolymer: Hardener: The catalyst may be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90 to 100: 0.8 to 1.2: 0.8 to 1.2. As the silicone copolymer, a siloxane-based material including tetrafunctional (SiO 4/2 ) may be used. As the curing agent, polysilicon hydride (Si-H polymer) may be used. As the catalyst, a platinum (Pt) Can be us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점착층(20)은 10 내지 8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으며,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점착층(20)의 두께가 10μm 미만인 경우 점착 성능이 미비할 수 있으며, 80μm을 초과하는 경우 점착 보호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외부 충격에 의한 점착층 눌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80 탆, and specifically may have a thickness of 15 to 50 탆.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less than 10 mu m, the adhesive performance may be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more than 80 mu 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be too thick.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점착층(20)은 고른 표면 및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불투명한 백색을 띌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have an even surface and a uniform thickness, may be opaque white, and may not hav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제1 점착층(20)은 고온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박리시에는 손쉽게 피착제로부터 잔사 발생 없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stably held at a high temperature, and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even by a physical impact, and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adherend without any residue at the time of peeling.

한편, 프라이머층(30)은 제1 점착층(20) 및 제2 점착층(40) 사이에 기재될 수 있으며, 제1 점착층(20) 및 제2 점착층(4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imer layer 30 may be describ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and serves to support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프라이머층(30)은 특정 함량범위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코팅용액의 건조물로 제조되고, 이에 따라 낮은 면내 위상차(Re) 값을 보여 점착 보호 필름의 광학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점착 보호 필름이 광학적 등방성을 보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imer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from the dried product of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specific range of acrylate oligomer, acrylate monomer, photopolymerization agent and organic solvent, thereby exhibiting a low in-plane retardation (Re)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film, and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can contribute to show optical isotropy.

본 발명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may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수학식 1][Equation 1]

(1) Re(λ) = (nx - ny) × d(1) Re (?) = ( Nx - ny ) xd

(2) 0.1(nm)≤│ Re(550)│≤5(nm)(2) 0.1 (nm)? Re (550)?? 5 (nm)

(여기서, Re(λ)는 기준 파장 λ㎚에서 면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필름의 면내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면내 y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또한, d는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나타낸다.)Plane direction retardation value at the reference wavelength? Nm, n 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x-axis direction of the film, and n y is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y- and d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즉, 550 nm 파장의 입사광에 대한 프라이머층(30)의 면내 위상차(Re)는 0.1 내지 5nm값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nm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층(30)이 낮은 면내 위상차(Re)를 갖는 경우 점착보호필름의 레인보우 현상을 줄이고 점착보호필름이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화면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30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may have a value of 0.1 to 5 nm, and more specifically 0.1 to 1 nm. When the primer layer 30 has a low in-plane retardation (Re), the rainbow phenomenon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can be reduced and the sharpness of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used can be improv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프라이머층(30)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50~100:50~100:4~7:100~200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코팅 용액이 건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프라이머층(30)의 파단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후공정 시 표면 불량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경화도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프라이머층(30)의 경화도가 낮아져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파단 강도가 저하되어 후공정의 수행이 어려울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30 comprises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an acrylate-based oligomer, an acrylate-based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0 to 100: 50 to 100: 4 to 7: May be formed by drying. When the acrylate olig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not only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primer layer 30 is lowered but also problems such as surface defects may occur in a subsequent step. When the acrylate olig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100 parts by weight, Problems may arise. When the acrylate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the degree of curing of the primer layer 30 may be lowered, which may cause a decrease. If the acrylate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100 parts by weight, have.

또한, 상기 광경화제가 4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경화도가 낮아져 물성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7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환경시험 조건에서 물성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가 1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혹은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코팅 공정 시 표면 레벨링 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If the photocur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4 parts by weight, the degree of curing may be lowered,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f the photocur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7 parts by weight, have. If the organic solv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00 parts by weight or more than 200 parts by weight, surface leveling failure may occur during the coating process.

일 구현예에서, 프라이머층(30)을 제조하는 코팅 용액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80~100:50~70:4~6:100~150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면내 위상차(Re)값이 보다 저하되고 필름의 투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ating solution for preparing the primer layer 30 comprises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80: 100: 50 to 70: 4: 6: 100: In this case, the in-plane retardation (Re) value may be lowered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be further improv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운데실아클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에리스리톨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아크릴리에트, 디에리스리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2-페닐페녹시아크릴레이트, 4-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3-(2-페닐페닐)-2-히드록시프로필아클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카닐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놀이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스테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돌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릴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크릴레이트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crylate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butyl acrylate, sec-butyl acrylate, tert-butyl acrylate, pentyl acrylate, isoamyl acrylate, hexyl acrylate, Acrylate, oc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nonyl acrylate, decyl acrylate, undecyl acrylate, dodecyl acrylate, tetrahydrofurfuryl acrylate, erythritol acrylate, 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methoxyethylene glycol acrylate, methoxypolypropylene glycol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acrylate, ethoxyethyleneglycol acrylate, pentaerythritol acrylate, diethylyltol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 Phenoxy-2-methyl- Acrylate, 2-phenylphenoxy acrylate, 4-phenylphenoxyethyl acrylate, 3- (2-phenylphenyl) -2-hydroxypropyl acrylate, tricyclodecanyl acrylate, phenoxyethoxyeth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2-methylcyclohexyl acrylate, dipentaerythritol acrylate, dicyclopentanyl acrylate, dicyclopentanyloxyeth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lkyl acrylate, stearyl acrylate, benzyl acrylate, 2-hydroxy acrylate, trimethoxy butyl acrylate , Ethylcarbyl cyclohexyl acrylate, ethylcarbyl acrylate, phenoxyethyl acrylate, 4-hydroxybutyl acrylate, phenoxypolyethylene glycol acrylate, tetrahydrofur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 2-acryloxyethyl-2-hydroxypropyl phthalate,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and methacrylates thereof.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crylate oligomers include epoxy acrylate resins, urethane acrylate resins, polyester acrylate resins, silicone acrylate resins, aminoacrylate resins, epoxy methacrylate resins, urethane methacrylate resins, polyester Methacrylate resin, silicone methacrylate resin, aminomethacrylate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광경화제로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 cyclr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등의 하이드록시케톤계열 경화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포리닐)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yl)phenyl]-1-butanone, Irgacure 369),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α-Amino Acetophenone, Irgacure 907) 등의 아미노케톤 계열 경화제,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Irgacure-651) 등의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경화제, 페닐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 (phenyl bis(2,4,6-trimethyl benzoyl) 등의 비스-아실 포스파인(bis-acyl phosphine) 계열 경화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PO) 등의 모노-아실 포스파인(mono-acyl phosphine) 계열의 광경화제를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examples of the photocuring agent include a hydroxyketone-based curing agent such as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and Irgacure 184, 2-benzyl-2- (dimethylamino) -1- [ (4-morpholinyl) phenyl] -1-butanone, Irgacure 369), alpha-aminoacetophenone (2,4,6-trimethylbenzoyl) (2,4,6-trimethylbenzoyl) (benzyl dimethyl ketal, Irgacure-651 and the like) such as an amino ketone type curing agent such as? -amino acetophenone and Irgacure 907 bis-acyl phosphine series curing agents such as phenyl bis (2,4,6-trimethyl benzoyl), and mono-acyl groups such as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A mono-acyl phosphine photo-curing agent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유기용제로서는 에테르계 용매, 방향족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rganic solvent may be an ether solvent, an aromatic solvent, an acetate solvent, a ketone solvent, an alcohol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00~100,000(Mw)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시 2,500~30,000(Mw)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2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500(Mw)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 시 올리고머 종류에 따라 환경안전 시험에서의 안정성 및 물성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30,000(Mw)를 초과하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 시 점도에 따른 코팅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crylate oligo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ranging from 500 to 100,000 (Mw). In one embodiment, the acrylate oligome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wo or more acrylate oligomers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2,500 to 30,000 (Mw). When acrylate oligomers of less than 2,500 (Mw) are used, they may cause stability and property deterioration in environmental safety tests depending on oligomer types. When acrylate oligomers exceeding 30,000 (Mw) are used, It can affect.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프라이머층(30)은 1 내지 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내지 3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프라이머층(30)이 1μ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경우 점착보호 필름의 파단강도, 가공성 등의 물리적인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50μm를 초과하는 경우 프라이머층(30)을 포함하는 점착 보호 필름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외부 충격에 의한 프라이머층 눌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기에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30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50 占 퐉, and specifically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30 占 퐉. When the primer layer 30 has a thickness of less than 1 m, it may cause physical problems such as breaking strength and workability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When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30 exceeds 50 m,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primer layer may be pressed by an external impact, which may not be easy to apply to a display device.

한편, 상기 프라이머층(30)은 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mer layer 30 can be made transparent.

예컨대, 상기 프라이머층(30)의 헤이즈 값은 0.9(%)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 내지 0.8(%) 이내에 있을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1(%) 이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haze value of the primer layer 30 may be 0.9% or less, specifically 0.01 to 0.8%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0.1% or less.

아울러, 점착 보호 필름의 광투과율(T.T)은 90%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92%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ance (T.T)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be 90% or more, specifically 92% or more.

한편, 제2 점착층(40)은 프라이머층(30) 및 제2 이형필름(50)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rimer layer 30 and the second release film 50.

제2 점착층(40)에 사용되는 점착 조성물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an acrylic adhesive may be used.

예컨대, 상기 점착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실란커플링제: 경화제를 80 ~120: 0.1~0.5:0.04~0.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공중합체: 실란커플링제: 경화제를 90~100:0.3~0.4:0.07~0.1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 silane coupling agent: a curing agent in a weight ratio of 80 to 120: 0.1 to 0.5: 0.04 to 0.2, specifically, a silicone copolymer: silane coupling agent: 100: 0.3 to 0.4: 0.07 to 0.1.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아크릴산과 같은 산계열이나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혹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옥실아크릴레이트의 세가지 단량체를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acrylic resin, an acid series resin such as acrylic acid or an acrylate resin such as 2-hydroxypropyl methacrylate may be used. Alternatively, a resin prepared by mixing a certain amount of three monomers such as 2-ethylhexyl acrylate, n-butyl acrylate and iso-oxyl acrylate may be used.

이와 달리,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 -50~0℃의 유리전이온도, 구체적으로는 -40~-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0℃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점착제의 절대경도가 증가하여 초기점착강도에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저온에서 점착제 크랙등의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고, 반대로 -50℃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는 점착제 유연성이 매우 증가하여 흐름성이 생기는 문제로 인해 치수안정성과 제품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lternatively,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 to 0 캜, specifically,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to -10 캜 may be used as the acrylic resin.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ises to 0 ° C or higher, the absolute hardness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ncreases,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the initi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trength and may cause problems such as cracking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t low temperatures. On the other hand, Can increase dimensional stability and product reliability due to the problem of flowability.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 디옥시 실란, 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및 메타크릴옥시 프로필 메틸 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로서는 에폭시계 경화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idoxypropylmethyldioxysilane, 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More than one can be used. As the curing agent, an epoxy curing agent resin may be used.

한편, 제1 점착층(20)이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제2 점착층(40)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1 점착층(40)이 전술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제2 점착층(40)이 전술한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ncludes the silicone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includes the acrylic adhesive, the first adhesive layer 40 may include the acrylic adhesive, ,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may be made to include the above-described silicone-based adhesiv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 점착층(40)은 10 내지 8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으며,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점착층(40)의 두께가 10μm 미만인 경우 점착 성능이 미비할 수 있으며, 80μm을 초과하는 경우 점착 보호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80 占 퐉, and specifically may have a thickness of 15 to 50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is less than 10 mu m, the adhesive performance may be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is more than 80 mu 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too thick.

한편, 제2 이형 필름(50)은 점착 보호 필름의 최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50)에 사용되는 이형제로서는 낮은 표면 저항을 가지고 제2 점착층(40)에 적절한 이형성을 가질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lease film 50 may be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As the releasing agent used in the second release film 50, any material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a low surface resistance and a proper releasability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상술한 본 발명의 점착 보호 필름은 낮은, 면내 위상차 값(Re)를 갖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 있어 낮은 위상차(Re) 값을 가질 수 있고 광학적 등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primer layer having a low in-plane retardation value (Re), can have a low retardation (Re) value and can have optical isotropy. Accordingly, it can be widely used in a flexible display or the like.

아울러,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프라이머층은 낮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별도의 필름을 형성하지 않아도 우수한 광학성 물성을 보이는 바, 이를 포함하는 점착 보호 필름이 매우 얇은 두께(약 200μm이하, 구체적으로 150 μm이하)를 가져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mer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have a low thickness and exhibit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without forming a separate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compri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has a very thin thickness (about 200 탆 or less, specifically 150 μm or less) can be easily used.

한편, 본 발명의 점착 보호 필름의 광학적 물성은 매우 우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Re(550)은 0.1~5nm 범위 내에 있으며, 550nm에서의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Re(550)은 0.1~1nm 내에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property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excellent. For example, Re (550)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in the range of 0.1 to 5 nm, and Re (550)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at 550 nm may be within 0.1 to 1 nm.

또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투명성을 띄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헤이즈값은 0.9(%)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내지 0.8(%) 이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광투과율(T.T) 은 90%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99%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9.9%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be made to have transparency. For example, the haze value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be 0.9 (%) or less, specifically 0.1 to 0.8 (%) or less.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ance (T.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be 90% or more, specifically 99%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99.9% or more.

이에 따라,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광학적 등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광학성 물성(투명성 등)을 보이고, 얇은 두께를 가져 TV, 컴퓨터, 휴대용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의 커버글래스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얇은 두께 및 낮은 강성을 가져 곡면형 가장자리를 갖는 전자기기의 3D(혹은 2.5D) 커버글래스 등에도 들뜸 현상 혹은 스프링-백 현상 없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not only has optical isotropy, but also exhibit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transparency and the like) and has a thin thickness and can be widely used for cover glass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computers, and portable mobile display devices . In particular,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s a thin thickness and low rigidity, and can be easily used in a 3D (or 2.5D) cover glass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urved edge without lifting or spring-back.

아울러,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레저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하드코팅 필름과 함께 표면 보호 필름에 제조되어도, 얇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학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수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s a small thickness, it can be manufactured to a surface protective film together with a functional hard coating film used in a leisure electronic product, and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thin thickness, May be attached.

한편,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제1 점착층(20), 프라이머층(30) 및 제2 점착층(40)은 표면 보호 필름 내에서 점착테이프(200, 도 3 참조)서 기능 할 수 있는데 도 4a 및 도 4b에는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면 보호 필름이 도시되어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20, the primer layer 3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may function as the adhesive tape 200 (see FIG. 3)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FIG. 4B shows a surface protective film of a display device using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구체적으로, 도 4a에는 본 발명의 점착 보호 필름의 제2 이형필름(50)이 제거되어 노출된 제2 점착층(40)에는 고 내마모성, 고경도를 갖는 하드코팅 필름(300)이 부착되어 제조된 단면의 표면 보호 필름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2 점착층(40)은 프라이머층(30) 상에 형성되어 안정적인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하드코팅 필름(3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4A, the hard coat film 300 having high wear resistance and hardness is attached to the exposed second adhesive layer 40 after the second release film 50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I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is formed on the primer layer 30 to provide a stable adhesive force, so that the hard coating film 300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even by a physical impact.

한편, 상기 하드코팅 필름(300)으로는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하드코팅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rd coating film 300 is not limited to a typical hard coating film.

일 구현예에서, 하드코팅필름(300)은 베이스 필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필름,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필름,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필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필름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ard coating film 300 comprises a base film comprising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carbonate (PC) film, a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film, a cycloolefin polymer (COP) film, a 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film,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and the like can be us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50μ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as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at least 50 탆.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보호 필름을 양면 점착 테이프로 사용한 경우이다. 4B shows a case where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double-faced adhesive tape.

구체적으로, 점착 보호 필름의 제2 이형필름(50)이 제거되어 노출된 제2 점착층(40)에는 고내마모성, 고경도를 갖는 하드코팅 필름(300)이 부착될 수 있고, 제1 이형필름(10)이 제거되어 노출된 제1 점착층(20)에는 스마트폰 액정화면, 태블릿 PC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글래스가 피착제(100)로서 부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rd coat film 300 having high abrasion resistance and hardness can be adhered to the exposed second adhesive layer 40 by removing the second release film 50 of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A cover glass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liquid crystal screen, a tablet PC,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20 exposed as the adhesive 100 as the adhesive 100.

본 발명의 제1 점착층(20)은 프라이머층(30) 하부에 형성되어 안정적인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피착제(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박리시에는 손쉽게 피착제(100)로부터 박리를 할 수 있고 잔사 발생 없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재부착 시 손쉽게 피착제(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Since the first adhes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under the primer layer 30 to provide a stable adhesive force, the adhesive 100 can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even by a physical impact. In addition, at the time of peeling, peeling can be easily performed from the adherend 100 and can be completely separated without residue,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adherend 100 upon reattaching.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점착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 시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최외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광학적 등방성이고, 이를 포함하는 점착 보호 필름 역시 우수한 광학적 성능을 갖도록 제조되므로 이와 같은 점착 보호 필름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질을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as an application for protecting the outermost surface of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in manufactur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can be produced transparently and is optically isotropic, and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ncluding the same is also manufactured to have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to which such an adhesive protective film is applied can be clearly seen .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이 하드코팅필름과 함께 사용되어 표면 보호 필름으로 적용 시, 매우 두께가 얇은 표면 보호필름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표면 보호 필름의 강성이 PET 필름보다 낮게 제조되어 전자기기의 가장자리가 곡면을 갖도록 제조되어도(즉, 3D(혹은 2.5D) 커버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로 제조되어도) 전자기기의 표면을 스프링-백 현상 혹은 들뜸 현상 없이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hard coating film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film, it can function as a surface protective film having a very small thickness, and the rigidity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lower than that of the PET film. Even if the edge is made to have a curved surface (i.e., even if it is made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3D (or 2.5D) cover glass),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perfectly protected without spring-back phenomenon or floating phenomenon.

아울러,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기능성 하드코팅 필름과 함께 표면 보호 필름으로 사용되는 레저형 전자제품의 표면을 스프링-백 현상 혹은 들뜸 현상 없이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s a very thin thickness, the surface of the leisure-type electronic product used as the surface protective film together with the relatively thick functional hard coating film can be perfectly protected without spring-back phenomenon or lifting.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점착 보호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for producing an adhesiv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Sinc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above-mentioned adhesive protective film,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a 내지 5e는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본다.5A to 5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a를 살펴보면 먼저 프라이머층용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베이스 필름(31)상에 코팅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30)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5A, first, a coating solution for a primer layer is prepared, then coated on a base film 31 and dried to form a primer layer 30.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용 코팅 용액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50~100:50~100:4~7:100~200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ating solution for the primer layer may contain acrylate oligomer, acrylate monomer, photocuring agent, and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0 to 100: 50 to 100: 4 to 7: 100 to 200.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는 그라비아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슬롯 다이 코팅, 에어나이프코팅, 닥터나이프 코팅, 바코터 코팅 공정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ep of coating the coating solu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gravure coating, a Meyer bar coating, a slot die coating, an air knife coating, a doctor knife coating, a bar coater coating process or the like.

이후, 코팅된 조성물을 열경화, 자외선 경화 공정을 통해 건조, 경화하여 프라이머층(30)을 제조할 수 있다.Then, the primer layer 30 can be prepared by drying and curing the coated composition through a thermal curing or ultraviolet curing process.

이때, 프라이머층(30) 형성 시 열경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프라이머층과 점착층(20, 40) 간의 화학적 결합 강화를 이룰 수 있어 추후 후술되는 점착층(20, 40)과 프라이머층(30)간의 부착성 측면에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외선 경화를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 시 반응이 완료되는데 반해 열경화 반응은 프라이머층(30)이 미반응 상태로 유지되어 향후 점착층(20, 40)과의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남을 수 있어 점착층(20, 40)과 프라이머층(30)간의 부착성 측면에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thermosetting method in forming the primer layer 30. This can enhance the chemical bonding between the primer layer and the adhesive layers 20 and 40 so that the adhesive layers 20 and 40, The high reliability can be obta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0. When the ultraviolet ray curing is used, the reaction is completed when the ultraviolet ray curing is completed, but the thermosetting reaction can remain in a state in which the primer layer 30 remains unreacted and can be chemically bonded with the adhesive layers 20 and 40 in the future, High reliability can be obtained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between the primer layer (20, 40) and the primer layer (30).

한편,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시 베이스 필름(31)의 표면 조도에 의하여 프라이머층(30)의 표면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프라이머층용 코팅 용액을 베이스 필름(31)에 도포할 수 있으며, 이때 코팅용액의 양을 예컨대 0.5 내지 3g/㎡ 으로 조절하여 프라이머층(30)에 표면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The coating solution for the primer layer may be applied to the base film 31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rimer layer 30 does not occur due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se film 31 when the primer layer is formed, For example, 0.5 to 3 g / m < 2 > so as to prevent surface deflection on the primer layer 30.

이후, 점착제 조성물을 프라이머층(30)의 일면에 코팅 및 건조하여 제1 점착층(20)을 형성한다(도 5b). 예를 들어, 제1 점착층(20)에 사용되는 점착 조성물로서는 실리콘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Thereafter,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30 and dried to form the first adhesive layer 20 (FIG. 5B). For example, as the adhesive composition us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 silicone adhesive can be us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습식 코팅 공정을 통해 상기 프라이머층(30) 상에 도포 될 수 있다. 상기 습식 코팅법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gravure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coating), 콤마 코팅(comma coating)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 the primer layer 30 through a wet coating process. The wet coating method may be carried out by, for example, gravure coating, microgravure coating, dip coating, spray coating, slot die coating, comma coating, and the like.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실리콘 공중합체: 경화제: 촉매를 80 ~120: 0.5~2:0.7~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공중합체: 경화제: 촉매를 90~100:0.8~1.2:0.8~1.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mprise a silicone copolymer: a curing agent: a catalyst in a weight ratio of 80 to 120: 0.5 to 2: 0.7 to 2, specifically a silicone copolymer: curing agent: 90 to 100 : 0.8 to 1.2: 0.8 to 1.2.

이어서 도 5c를 살펴보면, 합지 공정을 통해 제1 점착층(20) 상에 제1 이형 필름(10)을 형성한다. 제1 이형 필름(10)을 형성하는 공정은 통상의 합지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5C, a first release film 10 is form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20 through a laminating process.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release film 10 can be performed through a conventional laminating process.

이후, 베이스 필름(31)을 프라이머층(30) 일면으로부터 제거한 후(도 5d), 도 5b 및 5c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과 동일 내지 유사한 방법을 통해 노출된 프라이머층(30) 일면에 제2 점착층(40)을 형성한 후, 제2 이형필름(50)을 형성한다(도 5e).5B and 5C, the base film 31 is removed from on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30 (FIG. 5D), and then a second adhesive layer 3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xposed primer layer 30 by the same or similar metho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fter the layer 40 is formed, a second release film 50 is formed (Fig. 5E).

제2 점착층(40)에 사용되는 점착 조성물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an acrylic adhesive may be used.

예컨대, 상기 점착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실란커플링제: 경화제를 80 ~120: 0.1~0.5:0.04~0.2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공중합체: 실란커플링제: 경화제를 90~100:0.3~0.4:0.07~0.1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 silane coupling agent: a curing agent in a weight ratio of 80 to 120: 0.1 to 0.5: 0.04 to 0.2, specifically, a silicone copolymer: silane coupling agent: 100: 0.3 to 0.4: 0.07 to 0.1.

한편, 제1 점착층(20)이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를 포함하고, 제2 점착층(40)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1 점착층(40)이 전술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제2 점착층(40)이 전술한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described as containing a silicone-based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as an acrylic adhesive, the first adhesive layer 40 may be formed of the acrylic adhesive ,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0 may be made to include the above-described silicone-based adhesive.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이형필름; 제1 점착층; 프라이머층; 제2 점착층;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커버글래스의 표면보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Thus, a first release film sequentially laminated; A first adhesive layer; A primer layer; A second adhesive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on the surface of the cover glas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조광페인트 社, CK-1245F) 10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조광페인트 社, CK-1260C) 50 중량부, 자외선 경화제(Irgacure 184) 4.5 중량부, 유기용제(메틸아이소뷰틸케톤)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코팅 용액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프라이머 베이스 상에 코팅법으로 형성 후, 건조 장치에서 70 ~ 120℃의 온도에서 30~60초간 충분히 건조한 후, 480 mW/cm2, 500 J/cm2 세기의 320~390 nm의 자외선으로 10초간 조사하여 10㎛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제조하였다., 50 parts by weight of an acrylate monomer (CK-1260C), 4.5 parts by weight of an ultraviolet curing agent (Irgacure 184), 10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methyl isobutyl ketone) 100 parts by weight. The coating solution was coated on a primer base using a bar coater, dried in a drying apparatus at a temperature of 70 to 120 ° C. for 30 to 60 seconds, mW / cm < 2 >, 500 J / cm < 2 > of ultraviolet light of 320 to 390 nm for 10 seconds to prepare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실시예 2][Example 2]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조광페인트 社, CK-1245F) 10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조광페인트 社, CK-1260C) 100 중량부, 자외선 경화제(Irgacure 184) 6 중량부, 유기용제(메틸아이소뷰틸케톤)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프라이머층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ate oligomer (CK-1245F manufactured by Chohwa Paint Co., Ltd.),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ate monomer (CK-1260C manufactured by Chohwa Paint Co., Ltd.), 6 parts by weight of an ultraviolet curing agent (Irgacure 18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solution was used.

[실시예 3][Example 3]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조광페인트 社, CK-1245F) 5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조광페인트 社, CK-1260C) 100 중량부, 자외선 경화제(Irgacure 184) 4.5 중량부, 유기용제(메틸아이소뷰틸케톤)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점착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50 parts by weight of an acrylate oligomer (CK-1245F, manufactured by Chohwa Paint Co., Ltd.),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ate monomer (CK-1260C manufactured by Chohwa Paint Co., Ltd.), 4.5 parts by weight of an ultraviolet curing agent (Irgacure 18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solution was used in an amount of 150 parts by weight.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프라이머층의 일면에 콤마(comma) 코팅 공정을 통해 30μm의 두께의 실리콘 점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다른 일 면에 20μm의 두께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2 점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A silicon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30 mu m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prepared in Example 1 through a comma coating process and then dried to form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thickness of 20 mu m wa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imer layer 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and dried to form a second adhesive layer to produc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비교예 1 내지 3] [Comparative Examples 1 to 3]

각각 5.5㎛, 12㎛ 및 36㎛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을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샘플로서 사용하였다.PET films having thicknesses of 5.5 占 퐉, 12 占 퐉 and 36 占 퐉, respectively, were used as sampl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강화유리를 비교예 4에 따른 샘플로서 사용하였다.The tempered glass was used as a sampl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우레탄 프라이머층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PET 필름(36㎛)상에 실리콘 점착제를 콤마(comma) 코팅 공정을 통해 도포한 후 건조시켜 30μm의 제1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PET 필름의 다른 이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20μm의 제2 점착층을 제조하여 [제1 점착층/우레탄프라이머층 /PET필름/우레탄프라이머층/제2 점착층]구조를 갖는 양면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A silicone adhesive was applied on a PET film (36 占 퐉) formed with upper and lower urethane primer layers by a comma coating process and then dried to prepare a first adhesive layer of 30 占 퐉. Then,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other back surface of the PET film and dried to prepare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탆 to form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urethane primer layer / PET film / urethane primer layer / second pressure-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produced.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1) 프라이머층의 물성 평가(1)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primer layer

프라이머층의 물성 비교를 위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광학적 물성(실시예 1~3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파장별 Re값)을 위상지연측정기 (EMS-150)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For comparis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imer layer, the optical properties (Re values per wavelength of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of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were measured using a phase delay meter (EMS-150) 6.

도 6을 살펴보면,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경우 위상차(Re) 값이 가장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550nm에서의 파장에 대한 위상차(Re) 값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면내 위상차(Re) 값은 0.88nm, 실시예 2의 Re 값은 7.52nm, 실시예 3의 Re값은 13.46nm로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광학적 물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retardation (Re) value of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Example 1 was the lowest. In particular, the retardation value (Re)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at 550 nm is 0.88 nm, the Re value in Example 2 is 7.52 nm, the Re value in Example 3 is 13.46 nm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Example 1 were remarkably excellent.

(2) 두께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물성 평가(2)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primer layer according to thickness

다양한 두께의 PET 필름 및 강화 유리와 비교하여 프라이머층의 등방성(위상차) 및 광학 물성을 평가하기 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각 -45~45°, 파장대 380~780nm 조건하에서 Otsuka社 RETS-100 측정장비로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및 실시예 1에 따른 샘플의 위상차 측정 그래프 및 실험데이터를 도 7 내지 11에 각각 나타내었다(도 7(비교예 1)/도 8(비교예 2)/도 9(비교예 3)/도 10(비교예 4)/도 11(실시예 1)).The isotropy (optical retard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primer layer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PET films and tempered glass films of various thicknesses. Specifically, the phase difference was measured with an RETS-100 measuring instrument manufactured by Otsuka under the conditions of the measurement angle of -45 to 45 ° and the wavelength band of 380 to 780 nm. The graphs and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phase difference measurement of the sampl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Example 1 are shown in Figs. 7 to 11, respectively (Fig. 7 (Comparative Example 1), Fig. 8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 Fig. 10 (Comparative Example 4) / Fig. 11 (Example 1)).

이 중 측정각 0°, 파장대 550nm 조건하에서 측정한 위상차(Re) 값은 하기 표 1에 광학 물성값인 T.T(광투과율) 및 헤이즈 값과 함께 나타내었다. 한편, 광학성 물성값인 T.T 및 헤이즈는 ASTM D1003 기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The retardation (Re) values measured at a measurement angle of 0 ° and a wavelength of 550 nm are shown in Table 1 together with optical properties T.T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value.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property values T.T and haze were measured using an ASTM D1003 instrument.

두께thickness Re(nm)Re (nm) T.T (%)T.T (%) 헤이즈(%)Haze (%) 비교예 1(5.5um PET 필름)Comparative Example 1 (5.5 um PET film) 100.99100.99 87.7187.71 5.775.77 비교예 2(12um PET 필름)Comparative Example 2 (12um PET film) 222.49222.49 90.4690.46 3.153.15 비교예 3(36um PET 필름)
(비교예 5의 베이스 PET 필름)
Comparative Example 3 (36um PET film)
(Base PET film of Comparative Example 5)
159.64159.64 90.5490.54 1.101.10
비교예 4(강화유리)Comparative Example 4 (tempered glass) 1.691.69 91.3291.32 0.120.12 실시예 1Example 1 0.760.76 92.1392.13 0.040.04

도 7 내지 11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평균적으로 가장 낮은 Re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7 to 11, it can be seen that the Re value is the lowest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아울러, 표 1을 살펴보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두께와 무관하게 100nm이상의 Re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4의 강화유리의 경우에도 약 1.7의 높은 위상차값(Re)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의 경우 현저히 낮은 Re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측정각 0°, 파장대 550nm 조건하에서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각각 7.52 및 13.46의 Re값을 보였다.As shown in Table 1, Re values of 100 nm or more were observ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ed glass of Comparative Example 4 exhibited a high retardation value (Re) of about 1.7 I coul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Re value was remarkably low. On the other hand, Re values of 7.52 and 13.46 were shown in the cases of Examples 2 and 3 under the conditions of the measurement angle of 0 DEG and the wavelength band of 550 nm, respectively.

또한, 광학 물성을 검토하여 보면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이 T.T.값이 가장 높고 헤이즈 값이 가장 낮아 광학적 물성 역시 가장 뛰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rther, examin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revealed that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Example 1 has the highest TTI value and the lowest haze value, and thus has the best optical properties.

한편, 비교예 3 및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측정각에 따른 위상차값(Re) 변화를 확인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the retardation value (Re) according to the measuring angle of the primer layer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 1 was confirmed and shown in Table 2.

측정각

Measurement angle

Re(nm)Re (nm)
프라이머층Primer layer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Example 1 -45-45 133.5133.5 4.144.14 -40-40 141.58141.58 2.962.96 -35-35 151.04151.04 22 -30-30 134.6134.6 1.371.37 -25-25 128.98128.98 0.960.96 -20-20 139.8139.8 0.60.6 -15-15 151.69151.69 0.80.8 -10-10 157.64157.64 0.430.43 -5-5 159.58159.58 0.510.51 00 159.64159.64 0.760.76 55 158.01158.01 0.750.75 1010 152.21152.21 0.690.69 1515 140.39140.39 0.780.78 2020 129.01129.01 0.670.67 2525 132.33132.33 0.830.83 3030 149.02149.02 1.461.46 3535 143.15143.15 2.12.1 4040 132.53132.53 2.92.9 4545 140.57140.57 4.084.08

표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프라이머층은 비교예 3에 따른 PET 필름 대비 현저히 낮은 위상차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mer layer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had a significantly lower retardation value than the PET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1) 점착테이프의 물성 평가(1)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adhesive tape

실시예 4 및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점착테이프의 점착력, 박리강도, 외관 및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adhesive strength, peel strength, appearance,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tape prepared in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5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3 below.

각 실험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method of each experiment is as follows.

[점착력][adhesiveness]

점착테이프의 일면을 25㎛의 PET 필름에 점착시켜 1일 동안 방치하고, 유리 기판에 2kgf로 합지하여 30분간 방치한 뒤, 0.3m/min의 박리(peeling) 속도로 180°박리강도기를 사용하여 ASTM D3330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On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was adhered to a 25 mu m PET film and allowed to stand for one day. The adhesive tape was laminated on the glass substrate at 2 kgf and left for 30 minutes. Thereafter, using a 180 DEG peel strength device at a peeling rate of 0.3 m / It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3330 standard.

[색상 및 점착층 외관][Appearance of color and adhesive layer]

색상 및 점착층 외관은 육안으로 확인 후 기재하였다.  Th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adhesive layer were visually confirmed and described.

단위unit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4Example 4 점착력adhesiveness gf/25mmgf / 25mm 아크릴계Acrylic 실리콘계Silicon system 아크릴계Acrylic 실리콘계Silicon system 1200±501200 ± 50 200±10200 ± 10 1100±1001100 ± 100 150±10150 ± 10 색상color 고투명High transparency 고투명High transparency 점착층 외관Adhesive layer appearance 양호Good 양호Good T.T.T.T. %% 91.091.0 99.999.9 헤이즈Hayes %% 0.90.9 0.40.4

표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등방성 및 투명성이 확보된 점착 보호 필름(실시예 4)이 점착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경우, 고점착력의 아크릴계 점착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비교예 5와 비교 시 높은 광투과율(T.T)값과 낮은 헤이즈 값을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등방성 및 투명성이 확보된 점착 보호 필름은 점착력과 광학적 물성의 측면에서 획기적인 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Example 4) having optical isotropy and transparency sec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adhesive tape, it has a high adhesive strength of acrylic adhesiv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cal transmittance (T.T) value and the low haze value were secured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5.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ptical isotropy and transparency sec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markable physical properties in terms of adhesive force and optical properties.

한편, 측정각을 달리하여 동일 조건 하에서 비교예 5 및 실시예 4에 따른 점착테이프의의 위상차값(Re)을 확인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On the other hand, the retardation values (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5 and 4 were confi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 different measurement angles, and are shown in Table 4.

측정각

Measurement angle

Re(nm)Re (nm)
양면점착테이프Double-sided adhesive tape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4Example 4 -45-45 117.72117.72 4.324.32 -40-40 129.31129.31 3.133.13 -35-35 144.46144.46 2.432.43 -30-30 126.51126.51 1.761.76 -25-25 124.78124.78 1.191.19 -20-20 138.56138.56 0.760.76 -15-15 152.34152.34 0.980.98 -10-10 159.15159.15 1.031.03 -5-5 161.5161.5 0.640.64 00 161.71161.71 0.580.58 55 161.77161.77 0.770.77 1010 160.68160.68 0.280.28 1515 157.39157.39 0.710.71 2020 147147 0.860.86 2525 131.54131.54 0.960.96 3030 120.88120.88 1.641.64 3535 136.22136.22 1.821.82 4040 139.15139.15 3.053.05 4545 120.53120.53 4.144.14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테이프는 비교예 5에 따른 점착테이프 대비 현저히 낮은 위상차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프라이머층(즉, 실시예 1의 프라이머층)의 위상차 값이 매우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As shown in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tap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4 had a significantly lower retardation value than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5. This is because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primer layer (i.e., the primer layer of Example 1) prepared in Example 4 is very low.

(2) 광학적 특성 평가(2) Evalu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두 장의 편광 필름을 사이에 비교예 5 및 실시예 4에 따른 점착테이프를 위치시킨 후, 먼저 편광 필름의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게 위치시킨 후 빛의 투과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이후 2개의 편광 필름의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게 위치시킨 후 빛의 투과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또한, 편광 필름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게 위치하고 그 사이에 비교예 5 및 실시예 4을 위치하여 광학 특성을 관찰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After placing the adhesive tap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5 and Example 4 between the two polarizing films, th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was first cros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the transmission of light was observed. Then, The direction of the light was cro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olarizing film wa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mparative Example 5 and Example 4 were placed therebetween,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물성Properties 단위unit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4Example 4 T.T.T.T. %% 27.327.3 27.427.4 헤이즈Hayes %% 1.21.2 0.60.6

도 12 및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점착 테이프는 광학적 등방성을 보여 위상차(retardation) 필름의 역할을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적 특성 관련하여, 실시예 4의 광투과율 값은 비교예 5와 유사한 값을 가지나 헤이즈 값은 절반정도의 낮은 값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광학적 투명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 4를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 위상차 측면과 광학적 측면에서 획기적인 물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12 and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tap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4 has optical isotropy and thus has a role of a retardation film. In addition, regard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value of Example 4 has a value similar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5, but the haze value is as low as about half.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cal transparency was excellent. Thus, it was confirmed that when prepared using Example 4, the phase difference and optical properties were remarkably improved.

아울러, 점착테이프 자체의 500nm에서의 위상차값(Re)를 측정하여 광학 특성과 함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Otsuka社 RETS-100 측정장비로 측정 조건은 측정각 0°, 파장대 550nm로 설정을 하여 위상차(retardation)를 측정하였다.In addition, the retardation value (Re) at 500 nm of the adhesive tape itself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6 together with the optic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retardation was measured with a RETS-100 measuring instrument manufactured by Otsuka under the conditions of a measurement angle of 0 ° and a wavelength of 550 nm.

물성Properties 단위unit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4Example 4 T.T.T.T. %% 90.990.9 99.999.9 헤이즈Hayes %% 0.90.9 0.50.5 ReRe nmnm 161.71161.71 0.580.58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점착 테이프는 광학적 등방성을 보여 위상차(retardation) 필름의 역할을 가지게 되고 광학적 특성상 비교예 5의 경우 161.nm의 위상차 값을 가지나, 실시예 4의 경우 0.5nm로 가장 낮은 위상차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광학적 물성에서도 실시예 4가 비교예 5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Table 6, the adhesive tap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4 exhibits optical isotropy and thus has a role of a retardation film. In terms of optical properties, Comparative Example 5 has a retardation value of 161. nm,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the lowest phase difference value of 0.5 nm. It was also confirmed that Example 4 wa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 5 in optical properties.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등방성 및 투명성이 확보된 점착 보호 필름은 등방성 및 투명성 측면에서 획기적인 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ptical isotropy and transparency sec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markable properties in terms of isotropy and transparency.

(3) 점착테이프의 유전율 실험(3) Permittivity experiment of adhesive tape

비교예 5 및 실시예 4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유전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유전율은 임피던스 분석기 E4991A 모델로 측정하였으며,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 관련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 TetraFluoroEthylene, PTFE)의 유전율을 2.1로 기준을 정하여 측정하였다.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5 and Example 4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6 below. The dielectric constant was measured with an impedance analyzer E4991A model.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was measured with reference to calibration in reference to 2.1.

두께thickness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4Example 4 유전율permittivity 2.802.80 2.502.50

표 7을 살펴보면 비교예 1(2.80)과 실시예 4(2.50)은 유전율 3.0 이하로 측정이 되어 양 점착테이프 모두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유전율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점착테이프가 더 낮은 값을 보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7, the dielectric constants of Comparative Example 1 (2.80) and Example 4 (2.50) were measured to be 3.0 or le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4 exhibited lower values and were excellent.

(4) 점착테이프의 점착성 평가(4) Evaluation of the tackiness of the adhesive tape

실시예 4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일면에 PET 필름 및 하드코팅 필름을 순차적으로 부착하고 다른 일면을 스마트폰의 3D(혹은 2.5D) 커버글래스에 부착하여 모바일 기기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부착력이 우수한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의 3D(혹은 2.5D) 커버글래스의 가장자리 엣지 부분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스프링-백 현상 혹은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지 관찰한 후 카메라로 촬영하여 도 13에 나타내었다.A PET film and a hard coating film were sequential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ample 4 and the other surface was attached to a 3D (or 2.5D) cover glass of a smart phone to confirm that the adhesive force was excellent as a surface protective film for mobile devices Respectively. Specifically, a spring-back phenomenon or lift-off phenomen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ccurs at the edge portion of the 3D (or 2.5D) cover glass of the smartphone, and the camera is photographed and shown in FIG.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커버글래스의 보호 필름으로 사용시, 들뜸 혹은 스프링-백 현상 없이 표면에 우수하게 점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1과 비교 시 엣지 부분에서도 들뜸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커버글래스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comprising the adhesive tap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xcellently adhered to the surface without lifting or spring-back effect when used as a protective film for a cover glass. Particularly, in comparison with Fig. 1, it was confirmed that no peeling phenomenon occurred at the edge portion, and it was adhered to the cover glass.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제1 이형필름
20: 제1 점착층
30: 프라이머층
31: 베이스 필름
40: 제2 점착층
50: 제2 이형필름
100, 300: 피착체
200: 점착테이프
10: First release film
20: first adhesive layer
30: Primer layer
31: base film
40: Second adhesive layer
50: Second release film
100, 300: adherend
200: Adhesive tape

Claims (11)

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이형필름; 제1 점착층; 프라이머층; 제2 점착층; 및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며,
[수학식 1]
(1) Re(λ) = (nx - ny) × d
(2) 0.1(nm) ≤│ Re(550) │≤5(nm)
(수학식 1에서, Re(λ)는 기준 파장 λ㎚에서 면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필름의 면내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면내 y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프라이머층의 두께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50~100:50~100:4~7:100~200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코팅 용액의 건조물인 점착 보호 필름.
As an adhesive protective film,
A first release film sequentially laminated; A first adhesive layer; A primer layer; A second adhesive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Equation 1]
(1) Re (?) = ( Nx - ny ) xd
(2) 0.1 (nm)? Re (550)?? 5 (nm)
In the formula (1), Re (?) Represents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plane direction at the reference wavelength? Nm, n 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x-axis direction of the film, n 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Wherein the primer layer is a dried product of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0 to 100: 50 to 100: 4 to 7: 100 to 2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80~100:50~70:4~6:100~150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코팅 용액의 건조물인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mer layer is a dried product of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80 to 100: 50 to 70: 4 to 6: 100 to 1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Re(550)는 0.1 내지 1(nm) 범위 내인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 (550) of the primer layer is in the range of 0.1 to 1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1 내지 50μm의 두께를 갖는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mer layer has a thickness of 1 to 5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제2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comprises a silicone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omprises an acrylic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200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protective film has a thickness of 200 占 퐉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 프라이머층; 제2 점착층의 구성은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hesive layer; A primer laye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optically isotrop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의 Re(550)는 0.1 내지 5nm 범위 내에 있고, 헤이즈 값은 0.9(%) 이하에 있는 점착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 (550)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is in the range of 0.1 to 5 nm and the haze value is 0.9 (%) or less.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베이스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의 노출된 일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제1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시키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다른 일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점착층의 제2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며,
[수학식 1]
(1) Re(λ) = (nx - ny) × d
(2) 0.1(nm) ≤│ Re(550) │≤5(nm)
(수학식 1에서, Re(λ)는 기준 파장 λ㎚에서 면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필름의 면내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면내 y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d는 프라이머층의 두께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50~100:50~100:4~7:100~200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코팅 용액의 건조물인 것인,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n adhesive protective film,
Forming a primer layer on the base film;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primer layer;
Forming a first release film on the first adhesive layer;
Peeling the base film from the primer layer;
Forming a second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imer layer; And
And forming a second release film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primer layer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Equation 1]
(1) Re (?) = ( Nx - ny ) xd
(2) 0.1 (nm)? Re (550)?? 5 (nm)
(In the equation 1, Re (λ) represents the retardation value direction side from the reference wavelength λ㎚. N x is a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x-axis direction of the film, n y is a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y-axis direction of the film d Is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Wherein the primer layer is a dried product of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0: 100: 50-100: 4: 7: 100: 200 G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베이스 필름의 표면 조도에 따라 발생하는 프라이머 층의 표면 굴곡이 없도록 베이스 필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imer layer is formed on the base film so that the surface layer of the primer layer is not bent according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se film.
KR1020170127631A 2017-09-29 2017-09-29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93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31A KR101993273B1 (en) 2017-09-29 2017-09-29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31A KR101993273B1 (en) 2017-09-29 2017-09-29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861A KR20190037861A (en) 2019-04-08
KR101993273B1 true KR101993273B1 (en) 2019-06-26

Family

ID=6616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631A KR101993273B1 (en) 2017-09-29 2017-09-29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2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8766B2 (en) 2019-04-25 2024-02-27 恵和株式会社 Protective film for OLED displays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device
KR102045862B1 (en) * 2019-07-05 2019-11-18 주창환 Protection tape of optical film for camera of cellular phone comprising self adhesive silicone layer
KR102445751B1 (en) * 2020-10-16 2022-09-21 이프텍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rotective film and flexible protective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1119A (en) * 2015-11-30 2017-06-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02B1 (en) * 2008-07-01 2013-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rotective films for polarizer,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22662B1 (en) * 2011-09-08 2014-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Adhesive film with retarda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KR20150094156A (en) 2014-02-10 2015-08-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Anti-scattering film with excellent remova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1119A (en) * 2015-11-30 2017-06-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861A (en)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0900B (en) Image display device
TWI781992B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layered product including image display device constituent members, layered product forming kit, and use of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P3865295B1 (en) Protection film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243214B1 (en) adhesion composition, a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KR20180018503A (en) Polarizing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on both surfaces,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0691810A (en) Display screen protective film without base film
KR20140109265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nd adhesive sheet
JP6356786B2 (en) Adhesive sheet and laminate
KR101993273B1 (en) Adhesive protective film having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77859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film for Touch Panel with Improved Optical Performance
KR20150002459A (en) adhesion composition, a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WO2017002347A1 (en) Hard coating film, polarizing plate using same, display member and display device
KR20140102133A (en) adhesion composition, a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KR20150002460A (en) adhesion composition, a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KR20140103045A (en) adhesion composition, a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KR20160140754A (en) Protective film, and protective-film-attached film on which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to be laminated
KR20140103044A (en) adhesion composition, a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JP2020098320A (en) Image display panel with bezel,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TWI691577B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CN116515457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producing sam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95067B2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20160138154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gent, and adhesive sheet
KR20160080549A (en) Photo-curing composition and shatterproof film there of
KR20140086146A (en) Antiscattering film for mobile device
TW201906721A (en) Laminated body, method of forming optical body on substrate, and camera module mou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