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54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354A
KR20220159354A KR1020227027047A KR20227027047A KR20220159354A KR 20220159354 A KR20220159354 A KR 20220159354A KR 1020227027047 A KR1020227027047 A KR 1020227027047A KR 20227027047 A KR20227027047 A KR 20227027047A KR 20220159354 A KR20220159354 A KR 2022015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ion
nonwoven fabric
hydrophilic
top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루 나카무라
마사시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5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61F2013/5111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the lotion having skin car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139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woven or knitted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탑 시트의 마찰 경감 효과를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장착자의 피부에 닿는 피부 접촉 영역을 포함한 탑 시트(30)를 가지며, 탑 시트(30)는 섬도 1∼3dtex, 평량 10∼30g/㎡, 두께 0.4∼1.4㎜의 단섬유 부직포이고, 피부 접촉 영역은,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이 함유 된 로션 함유 영역(32)을 갖고 있으며, 로션 함유 영역(32)은, 30㎜ 이상의 MD 방향 치수 및 5㎜ 이상의 CD 방향 치수를 갖고, 로션 함유 영역(32)의 평균 마찰 계수(MIU)가 0.2∼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또는 생리용 냅킨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착용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가 거칠어지는, 특히, 발진이 자주 문제가 된다. 그 요인으로서, 착용자 피부에 대한 물리적 자극(마찰이나 경도), 피부 건조를 들 수 있다.
사람의 체온보다 높은 연화점을 보이는 왁스형 물질을 부직포로 구성되는 탑 시트에 함유시켜, 착용자의 피부와 탑 시트와의 마찰을 경감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마찰 경감 등을 위해, 부직포로 구성되는 탑 시트에 친수성 로션을 도포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친수성 로션은 왁스형 물질의 경도나, 액 투과성 저하를 방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피부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는 탑 시트에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을 사용한 경우, 예상보다 마찰 경감 효과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52175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0-5266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5094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170534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탑 시트의 마찰 경감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 등에 있다.
본 발명자는,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이 함유된 부직포로 구성되는 탑 시트를 연구하던 중,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즉,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을 단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는 탑 시트에 도포한 경우, 제조 후에, 친수성 로션이 흡수체 측으로 이행하기 쉽고, 예상보다 탑 시트에 친수성 로션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마찰 경감 효과가 예상보다 저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이하에 서술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한 것이다.
<제1 양태>
장착자의 피부에 닿는 피부 접촉 영역을 포함한 탑 시트를 가지며,
상기 탑 시트는, 섬도 1∼3dtex, 평량 10∼30g/㎡, 두께 0.4∼1.4㎜의 단섬유 부직포이고,
상기 피부 접촉 영역은,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이 함유된 로션 함유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은 30㎜ 이상의 MD 방향 치수 및 5㎜ 이상의 CD 방향 치수를 갖고,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의 평균 마찰 계수(MIU)가 0.2∼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본 일회용 착용 물품은, 친수성 로션과 단섬유 부직포의 탑 시트의 조합에 있어서, 섬유가 가는 부직포를 채택한 점에 있다. 이러한 단섬유 부직포는, 섬유의 가늘기가 표면의 마찰 경감에 기여하여, 친수성 로션에 의한 마찰 경감 효과와 더불어, 전체적으로 마찰 경감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섬유가 가는 것으로 인해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도 향상되며, 이것에 의해서도 마찰 경감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로션 함유 영역의 치수가 너무 작으면, 마찰 경감 효과가 국소적이 되어,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의의가 적은 것이 된다.
<제2 양태>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의 표면 수분율이 3∼10%인,
제1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로션 함유 영역의 표면 수분율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착용자의 피부를 알맞게 적셔서 건조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양태>
상기 친수성 로션은, 글리세린 70∼90중량% 및 물 10∼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은, 단위면적당 상기 친수성 로션의 함유량이 5∼15g/㎡인,
제2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친수성 로션의 조성 및 로션 함유 영역에서의 로션 함유량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본 양태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양태>
상기 단섬유 부직포는, 소수성 수지의 섬유에 친수화제가 도포된 친수화 섬유의 부직포인,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단섬유 부직포로서는, 소수성 수지의 섬유를 사용한 것이 저비용이라서 바람직하지만, 그대로라면,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친수화제를 사용한 친수화 섬유의 단섬유 부직포를 사용하여, 단섬유 부직포에서의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양태>
상기 친수성 로션의 온도 20℃에서의 점도가 150∼400mPa·s인,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의 일회용 착용 물품.
(작용 효과)
단섬유 부직포로서는, 소수성 수지의 섬유를 사용한 것이 저비용이라서 바람직하지만, 그대로라면,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따라서, 친수성 로션의 점도를 본 양태의 범위 내로 해서, 단섬유 부직포에서의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 시트의 마찰 경감 효과가 향상하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전개 상태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7-7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8-8 단면도, (b)는 도 1의 9-9 단면도, 그리고, (c)는 도 1의 10-10 단면도이다.
도 6은 유공 부직포 구멍의 배열 패턴의 각종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유공 부직포 구멍의 배열 패턴예(모로칸 무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유공 부직포 구멍의 배열 패턴예(사슬형 무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유공 부직포 구멍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개 상태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전개 상태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공시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도 5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로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X는 연결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부호 Y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단면도에서 점 모양 부분은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를 나타낸다. 핫멜트 접착제는 슬롯 도포, 연속선형 또는 점선형 비드 도포, 스파이럴형, Z형, 파형 등의 스프레이 도포, 또는 패턴 코팅(철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 전사) 등, 공지의 수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것 대신 또는 이와 함께, 탄성 부재의 고정 부분에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탄성 부재의 외주면에 도포하여, 탄성 부재를 인접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따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부직포로서는, 부위나 목적에 따라 공지의 부직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단성분 섬유 외에, 심초 등의 복합 섬유도 포함함)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친수성 섬유(친수화제에 의해 친수성이 된 것을 포함함)여도, 소수성 섬유 혹은 발수성 섬유(발수제에 의해 발수성이 된 것을 포함함)여도 된다. 또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섬유의 길이나 시트 형성 방법, 섬유 결합 방법, 적층 구조에 따라, 단섬유 부직포, 장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써멀 본드(에어스루)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적층 부직포(동일 또는 유사한 부직포층이 적층된 SSS 부직포 등 외에, 다른 부직포층이 적층된, 스펀 본드층 사이에 멜트 블로운층을 개재한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을 포함함) 등으로 분류되지만, 이들 어느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적층 부직포는, 모든 층을 포함한 일체의 부직포로서 제조되어, 모든 층에 걸친 섬유 결합 가공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며, 개별 제조된 복수의 부직포를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으로 맞붙인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F)과,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B)을 갖고 있다. 또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형상은, 제품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앞쪽부터, 제품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뒤쪽까지 연장되는 고간 부분(M)과, 제품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앞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양측에 돌출된 앞 날개(80)와, 제품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뒤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양측에 돌출된 뒷 날개(81)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고간부를 포함한 범위에 내장된 흡수체(56)와, 흡수체(56)의 표측을 덮는 액 투과성 탑 시트(30)와, 흡수체(56)의 이측을 덮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측을 덮어, 제품 외면을 구성하는 외장 부직포(12)를 갖는 것이다.
이하, 각 부의 소재 및 특징 부분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흡수체)
흡수체(56)는 배설액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부분으로서, 섬유의 집합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상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 토우(섬유 다발)를 필요에 따라, 개섬하여 얻을 수 있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 가능하다. 섬유 평량으로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할 경우,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고,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흡수체(56)의 평면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 외에, 전후 방향(LD)의 중간이 다리 둘레를 따르도록 잘록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흡수체(56)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이용한 체질(5분간 진탕)과, 이 체질로 체 아래로 떨어지는 입자에 대하여 18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이용한 체질(5분간 진탕)을 실시하였을 때에, 500㎛의 표준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180㎛의 표준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이른바 역행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통상의 경우, 50∼350g/㎡로 할 수 있다.
(포장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흡수체(56)의 형상 유지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체(56)는 포장 시트(58)로 감싸서 이루어지는 흡수 요소(50)로서 내장시킬 수 있다. 포장 시트(58)로서는, 화장지,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SM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장 시트(5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매로 흡수체(56)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하는 것 외에, 상하 2매 등, 여러 장의 시트로 흡수체(56) 전체를 감싸도록 해도 된다. 포장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전후 방향에서는, 제품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장되고, 폭 방향(WD)에서는, 흡수체(56)보다 옆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기립 개더(60)의 기점이 흡수체(56)의 옆 테두리보다 폭 방향(WD)의 중앙 측에 위치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탑 시트(30)의 폭을 흡수체(56)의 전체 폭보다 짧게 하는 등,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탑 시트(30)는, 장착자의 피부에 닿는 피부 접촉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 액 투과성 및 촉감의 관점에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탑 시트(30)에는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쿠션성, 유연성, 연변(수성변이나 이상(泥狀)변)의 투과성 등을 고려하면, 장섬유(연속 섬유) 부직포보다,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단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며, 통상은 섬도 1∼10dtex, 평량 10∼30g/㎡, 두께 0.4∼1.4㎜ 정도의 단섬유 부직포가 적합하다. 단섬유 부직포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5∼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탑 시트(30)는, 표리로 관통되는 구멍(14)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구멍 배열 영역을 갖는 유공 부직포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구멍(14)의 형상, 치수, 배열 패턴 등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도록, 탑 시트(30)의 일부(D)에만 구멍(14)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구멍 배열 영역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구멍 배열 영역은, 탑 시트(30)에서 전후 방향(LD)의 중간 영역으로만 하거나, 탑 시트(30)에서 폭 방향(WD)의 중간 영역으로만 하거나 할 수 있다(일부에 구멍(14)이 없는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구멍 배열 영역은 탑 시트(30) 전체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즉, 구멍 배열 영역은 피부 접촉 영역에 마련되는 한, 그 이외의 영역(예를 들면, 폭 방향(WD) 양측에 있어서, 개더 시트(62)가 접착된 영역 등)까지 퍼져 있어도 된다.
개개의 구멍(14)의 평면 형상(개구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구멍(14)은 도 6의 (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긴 구멍형으로 하는 것 외에, 도 6의 (c)(e)(f),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원형,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 별형, 구름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다른 형상의 구멍(14)이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개개의 구멍(14)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후 방향 치수(가장 긴 부분의 치수)(14L)는 0.5∼2.0㎜, 특히, 0.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 치수(가장 긴 부분의 치수)(14W)는 0.5∼2.0㎜, 특히, 0.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14)의 형상이 긴 구멍형, 타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한 방향의 전체 길이가,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 길이보다 긴 형상)의 경우, 전후 방향 치수는 이와 직교하는 폭 방향 치수의 1.2∼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멍(14)의 형상이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의 경우, 구멍(14)의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MD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CD 방향이나 이것들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탑 시트(30)를 구성하는 유공 부직포의 MD 방향은 대개의 경우, 전후 방향(LD)과 같은 것이 된다.
구멍 배열 영역에서의 구멍(14)의 면적 및 면적율은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면적은 0.25∼4.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면적율은 0.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14)의 배열 패턴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a)(c)(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4)의 배열 패턴은, 전후 방향(LD)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직선적으로 나열된 구멍(14)의 열이 폭 방향(WD)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하는 행렬 형상인 것은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6의 (a)(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4)의 전후 방향(LD) 간격(14y)이 구멍(14)의 폭 방향(WD) 간격(14x)보다 짧은 배열로 하는 것 외에,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4)의 전후 방향(LD) 간격(14y)과 구멍(14)의 폭 방향(WD) 간격(14x)이 거의 같은 배열, 또는, 도 6의 (b)(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4)의 전후 방향(LD) 간격(14y)이 구멍(14)의 폭 방향(WD) 간격(14x)보다 긴 배열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b)(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직선적으로 나열된 구멍의 열(95)이,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전후 방향(LD)의 위치가 틀어지도록 나열된 배열로 할 수 있다. 도 6의 (a)(b)에 도시하는 예는, 서로 이웃한 구멍의 열(95)에 있어서, 구멍(14)의 배치가 엇갈리게 되는, 이른바 지그재그형(육각 격자형) 배열이다.
구멍(14)의 전후 방향 간격(14y) 및 폭 방향 간격(14x)은 각각 일정해도, 변해도 된다. 이것들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구멍(14)의 전후 방향 간격(14y)은 0.9∼8.0㎜, 특히, 1.0∼3.0㎜로 할 수 있고, 구멍의 폭 방향 간격(14x)은 2.0∼10㎜, 특히, 3.0∼5.0㎜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멍(14)의 배열 패턴은 도 6의 (f)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한 겹의 파형(91, 92)을 이루도록 나열된 구멍(14)의 군(90)이,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동위상 또는 다른 위상으로 나열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의 패턴은, 폭 방향(WD)으로 서로 이웃한 구멍(14)의 군(90)의 파형 위상이 역위상으로 되어 있고, 구멍(14)을 잇는 가상선이 모로칸 무늬(2개의 곡선을 사용하여 수증기가 피어올라가는 모양을 나타내는 무늬)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사슬형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나열된 구멍(14)의 군(90)이,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14)의 군(90)이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다」란, 폭 방향(WD)으로 서로 이웃한 구멍(14)의 군(90) 사이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똑바로 연속된 무공 부분(93)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구멍(14)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멍(14)은 둘레 테두리가 섬유의 절단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펀칭 타입 구멍일 수도, 구멍(14)의 둘레 테두리에 섬유의 절단단이 거의 없이, 핀이 섬유간에 삽입되고 확대되어서 형성된 비펀칭 타입 구멍(테두리부의 섬유 밀도가 높음)일 수도 있다. 펀칭 타입 구멍은 도 9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4)의 지름이 두께 방향 중간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이어도, 도시하지 않지만, 두께 방향 일방 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이어도 된다.
비펀칭 타입 구멍(14)은 구멍(14)의 지름이 핀 삽입 측으로부터 반대 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이다. 여기에는, 구멍(14)의 지름이 부직포층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 계속 감소하는 것 외에, 두께 방향의 중간에서 구멍(14)의 지름 감소가 거의 없어지는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비펀칭 타입 구멍에는 도 9의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삽입 측과 반대 측에서 구멍(14)의 테두리부에 섬유가 핀 삽입 측과 반대 측으로 밀려나온 돌출부(버)(14e)가 형성되고, 핀 삽입 측에는 돌출부(14e)가 형성되지 않는 것과,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삽입 측과 반대 측에서 구멍(14)의 테두리부에 섬유가 핀 삽입 측과 반대 측으로 밀려나온 돌출부(14e)가 형성되는 동시에, 핀 삽입 측에는 섬유가 핀 삽입 측으로 밀려나와서 형성된 돌출부(14e)가 형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전자 타입의 구멍(14)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e)의 돌출 높이(14h)가 거의 균일한 것과,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e)가, 돌출 높이(14i)가 가장 높은 대향 부분과,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 부분에서, 돌출 높이(14j)가 가장 낮은 대향 부분을 갖는 것이 포함된다. 돌출부(14e)는 구멍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또는 전부 구멍(14)의 돌출부(14e)가, 구멍(14)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 높이(14h, 14i, 14j)(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외관 높이)는 0.2∼1.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4e)에서 가장 높은 돌출 높이(14i)는, 가장 낮은 돌출 높이(14j)의 1.1∼1.4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4e)의 돌출 높이는 구멍(14)의 둘레 방향으로 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a)(b)(d)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의 구멍(14)을 핀의 삽입에 의해 형성하면, 구멍(14)의 테두리부의 섬유가 외측 또는 수직 방향으로 물러나, 구멍(14)의 길이 방향의 대향 부분의 돌출 높이(14i)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대향 부분의 돌출 높이(14j)보다 높은 돌출부(버)(14e)가 형성된다. 구멍(14)의 돌출부(14e)는 섬유 밀도가 그 주위 부분에 비하여 낮게 되어 있어도 되지만, 같은 정도 또는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공 부직포가, 섬도 0.1∼5.0dtex(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dtex), 평량 15∼20g/㎡(보다 바람직하게는 15∼18g/㎡), 두께 0.3∼0.8㎜(보다 바람직하게는 0.3∼0.6㎜)의 장섬유 부직포인 경우, 핀의 삽입에 의해 구멍(14)을 형성하면, 구멍(14)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4e)가 낮아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특정 범위의 장섬유 부직포의 경우, 핀 삽입 구멍의 형성 시, 섬유가 두께 방향으로 밀려나오기 어렵다. 이는 핀의 삽입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섬유는, 부직포 전체에 걸쳐 얽히면서 연속(연속 섬유)되어 있어, 핀의 삽입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부분의 섬유 이동이, 그 외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특정 범위의 장섬유 부직포는, 기본적으로 알맞게 낮은 섬유 밀도를 갖기 때문에,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섬유 이동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 결과, 상술한 특정 범위의 장섬유 부직포에 핀을 삽입하여, 상술한 특정 범위의 치수의 구멍(14)을 형성하면, 핀 삽입 시, 핀 근방의 섬유가 핀의 삽입 방향을 중심으로 한 방사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핀 출구 측을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돌출부(14e)는 형성되되, 그 높이는 낮아진다. 또한, 그 때문에, 구멍(14)의 테두리부에는 주위보다 섬유 밀도가 높은 고밀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고밀도부에 의해, 구멍의 주위와 구멍과의 음영이 보다 강해져, 구멍의 시인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중간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함)(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여,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부직포 등의 액 투과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로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심지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이어도 좋지만, 강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17∼80g/㎡가 바람직하고, 18∼6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부피가 크게 만들기 위해,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서, 심지가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 및 중공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해도 된다. 또한, 중간 시트(40)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해도 되지만, 도시한 예와 같이, 배설 위치를 포함한 전후 방향(LD)의 중간 부분에만 마련해도 된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는, 부직포를 기재로 하여, 방수성을 높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 있어서, 흡수체(56)와 같거나 또는 보다 광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차수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 있어서, 흡수체(56)의 단부를 덮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외장 부직포)
외장 부직포(12)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측 전체를 덮어서, 제품 외면을 옷감과 같은 외관으로 만드는 것이다. 외장 부직포(12)의 섬유 평량은 10∼50g/㎡, 특히, 15∼30g/㎡이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장 부직포(12)는 생략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제품의 옆 테두리까지 연장할 수 있다.
(기립 개더)
탑 시트(30) 위를 지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설물을 저지하여, 이른바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의 폭 방향(WD) 양측에는, 장착자의 피부 측으로 기립하는 기립 개더(60)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물론, 기립 개더(60)는 생략할 수도 있다.
기립 개더(60)를 채택할 경우,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모든 구조를 채택 가능하다. 도시한 예의 기립 개더(60)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연속된 개더 시트(62)와, 이 개더 시트(62)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 상태로 고정된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6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62)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개더 탄성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측에서 여러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 있다.
개더 시트(62)의 내면은, 탑 시트(30)의 측부 상에 폭 방향(WD)의 접합 시단을 가지며, 이 접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 부분은 각 사이드 플랩(SF)의 내면, 즉, 도시한 예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측부 및 그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장 부직포(12)의 측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다리 둘레에서는, 기립 개더(60)의 접합 시단보다 폭 방향의 중앙 측은, 제품 전후 방향 양 단부에서는 탑 시트(30) 상에 고정되어 있되, 그 사이 부분은 비고정 자유 부분이며, 이 자유 부분이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여, 신체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엔드 플랩, 사이드 플랩)
도시한 예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체(56)의 앞쪽 및 뒤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한 쌍의 엔드 플랩(EF)과, 흡수체(56)의 양방 옆 테두리보다 옆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SF)을 갖고 있다. 사이드 플랩(SF)은 도시한 예와 같이, 흡수체(56)를 갖는 부분으로부터 연속된 본체 시트(외장 부직포(12) 등)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다른 소재를 부착하여 형성해도 된다.
(평면 개더)
각 사이드 플랩(SF)에는, 실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사이드 플랩(SF)의 다리 둘레 부분이 평면 개더로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개더 시트(62)의 접합 부분 중, 접합 시단 근방의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개더 시트(6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 외에, 사이드 플랩(SF)에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외장 부직포(12)의 사이에 마련할 수도 있다. 사이드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각 측에서 여러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도 있다. 물론, 사이드 탄성 부재(64)(평면 개더)는 생략할 수도 있다.
평면 개더는, 사이드 탄성 부재(64)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도면 내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도시된 부분)이다. 따라서, 평면 개더의 부위에만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존재하는 형태 외에, 평면 개더보다 앞쪽, 뒤쪽, 또는 그 양측에 걸쳐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존재하지만, 평면 개더의 부위 이외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가 한 곳 또는 다수 개소에서 잘게 절단되어 있거나, 사이드 탄성 부재(64)를 개재한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그 양방이거나 함으로써, 평면 개더 이외의 부위에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고(실질적으로는, 탄성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과 같음), 평면 개더의 부위에만 사이드 탄성 부재(64)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구조도 포함된다.
(앞 날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제품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앞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양측에 돌출된 앞 날개(80)를 갖고 있다. 앞 날개는 생략할 (즉, 제품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부터 제품의 전단까지 폭이 변하지 않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앞 날개(80)의 폭 방향(WD)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물품 전체 길이(Y)의 5∼20%(특히, 7∼15%)로 할 수 있다. 앞 날개(80)의 폭 방향(WD) 치수는, 후술하는 뒷 날개(81)의 폭 방향(WD) 치수와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뒷 날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제품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뒤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좌우 양측에 돌출된 뒷 날개(81)를 갖고 있다.
뒷 날개(81)의 폭 방향(WD)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앞 날개(80)의 폭 방향 치수와 같게 하는 것 외에, 앞 날개(80)의 폭 방향 치수보다 작거나 또는 크게 할 수도 있다.
(중간 부분)
앞 날개(80)와 뒷 날개(81)의 사이에서 제품의 양방 옆 테두리는 예를 들면, 전후 방향(LD)에 대한 예각 측 교차각이 ±2도 미만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 폭의 범위를 통과하는 거의 직선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앞 날개(80)와 뒷 날개(81)의 사이에서 제품의 양방 옆 테두리는 파형이나 호형(弧狀)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도시 생략), 도시한 예와 같이, 직선형일 수 있다.
(날개의 형성)
도시한 예와 같이, 사이드 플랩(SF)의 측부를 오목형으로 절제(切除)함으로써, 앞 날개(80)의 하연으로부터, 앞 날개(80)와 뒷 날개(81)의 사이에서 제품의 양방 옆 테두리를 거쳐, 뒷 날개(81)의 하연에 이르는 오목형 테두리 전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플랩(SF)의 적층 구조에 의해 앞 날개(80) 및 뒷 날개(81)의 적층 구조가 정해지며, 도시한 예에서는, 개더 시트(62) 및 외장 부직포(12)에 의해 앞 날개(80) 및 뒷 날개(81)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 플랩(SF)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된 앞 연장 시트를 마련하여, 앞 날개(80)의 전체 또는 선단 측의 일부를 앞 연장 시트로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랩(SF)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된 뒤 연장 시트를 마련하고, 뒷 날개(81)의 전체 또는 선단 측의 일부를 뒤 연장 시트로 형성해도 된다. 앞 연장 시트 및 뒤 연장 시트로서는,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부)
뒷 날개(81)에는, 착용 시에 배측 부분(F)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즉, 착용 시에는, 뒷 날개(81)의 양 측부를 장착자의 배측으로 넣어서, 뒷 날개(81)의 연결부(13A)를 배측 부분(F)의 외면에 연결한다. 연결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雄材))를 마련하는 것 외에, 점착제층을 마련해도 된다. 훅재는, 그 연결면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 것으로서,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レ자형, J자형, 버섯형, T자형, 더블 J자형(J자형의 것을 맞대어 결합한 형상의 것) 등, 공지의 모든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연결부(13A)는, 뒷 날개(81)에 직접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 외에, 도시한 예와 같이, 연결부(13A)를 갖는 연결 테이프(13)를 뒷 날개(8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연결 테이프(1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플랩(SF)에 고정된 테이프 장착부(13C)와, 이 테이프 장착부(13C)로부터 돌출된 테이프 본체부(13B) 및 이 테이프 본체부(13B)의 폭 방향(WD) 중간부에 마련된 연결부(13A)를 가지며, 이 연결부(13A)로부터 선단 측 부분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다. 테이프 장착부(13C)부터 테이프 본체부(13B)까지를 형성하는 시트재로서는,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배측 부분(F)의 외면에서의 연결부(13A)의 연결 개소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좌우 앞 날개(80)의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만을 연결 개소로 하는 것이어도 되고, 본체부의 측부부터 앞 날개(80)의 기단 측까지의 범위를 연결 개소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 연결 개소는, 연결부(13A)의 연결이 쉽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결부(13A)가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인 경우, 배측 부분(F)의 외면에서의 연결 개소를, 메커니컬 패스너의 루프재(자재(雌材))(20) 또는 부직포로 형성하면 된다. 루프재(20)로서는, 플라스틱 필름에 루프사를 꿰매 붙인 것도 알려져 있지만, 섬유의 연속 방향이 폭 방향(WD)의 장섬유 부직포(섬도 2.0∼4.0dtex, 평량 20∼50g/㎡, 두께 0.3∼0.5㎜ 정도의 스펀 본드 부직포 등)에, 적어도 폭 방향(WD)으로 간헐적으로 섬유 상호를 용착한 용착부를 마련한 것이 통기성, 유연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배측 부분(F)의 외면에서의 연결 개소를 포함한 영역이 외장 부직포(12)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아무것도 부가하지 않고, 외장 부직포(12)에 훅재를 연결할 수 있다. 도시한 예와 같이, 배측 부분(F)의 외면에서의 연결 개소에만 루프재(20)를 붙여도 된다. 또한, 연결부(13A)가 점착재층인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하고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을, 배측 부분(F)의 외면에서의 연결 개소에 붙일 수도 있다.
(탑 시트의 고정)
탑 시트(30)는, 소수성 핫멜트 접착제(31)를 통해, 탑 시트(30)의 이측에 배치된 이측 부재에 접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것 대신 또는 이와 함께, 탑 시트(30) 및 그 이측에 배치된 이측 부재 중 적어도 한쪽 용착에 의해, 탑 시트(30)가 그 이측에 배치된 이측 부재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탑 시트(30) 고정 영역은 적어도 구멍 배열 영역 전체에 걸치는 한, 그 이외의 영역까지(예를 들면, 탑 시트(30)의 전체) 미쳐 있어도, 구멍 배열 영역으로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측 부재는 도시한 예의 경우, 중간 시트(40), 포장 시트(58)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수성 핫멜트 접착제(31)로서는, EVA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핫멜트 접착제(31)의 도포량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0.1∼10g/㎡ 정도로 할 수 있다. 특히, 소수성 핫멜트 접착제(31)의 도포량이 0.5∼5g/㎡ 정도이면, 구멍(14)으로부터 핫멜트 접착제(31)가 비어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후술하는 친수성 로션에 의한 접착 저해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친수성 로션의 도포 패턴의 연구 등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핫멜트 접착제(31)의 도포 패턴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미소한 비도포 부분이 산재하는 치밀한 패턴(스파이럴형, Z형, 파형 등의 스프레이 도포)이 적합하지만, 슬롯 도포와 같은 연속면 형상의 도포 패턴일 수 있다.
(로션 함유 영역)
탑 시트(30)의 피부 접촉 영역은 도 7,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이 함유된 로션 함유 영역(32)을 갖는다. 로션 함유 영역의 치수가 너무 작으면, 마찰 경감 효과가 국소적이 되어,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의의가 적은 것이 되기 때문에, 로션 함유 영역(32)은 30㎜ 이상의 MD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전후 방향(LD)) 치수(32L) 및 5㎜ 이상의 CD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폭 방향(WD)) 치수(32W)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션 함유 영역(32)의 MD 방향 치수(32L)는 5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로션 함유 영역(32)의 MD 방향 치수(32L)의 상한은 제품 전체 길이(Y)이지만, 이보다 짧아도 된다. 로션 함유 영역(32)의 CD 방향 치수(32W)는 1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로션 함유 영역(32)의 CD 방향 치수(32W)의 상한은 탑 시트(30)의 폭 방향(WD) 치수이지만, 이보다 짧아도 된다.
로션 함유 영역(32)은 어느 정도 큰 면적으로 1개소만 마련해도 되고, 복수 개소에 마련해도 된다. 로션 함유 영역(32)은 도시한 예와 같이, 세로 줄무늬형으로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가로 줄무늬형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이웃한 로션 함유 영역(32)의 간격(32X)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5∼10㎜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탑 시트(30)의 부직포로서는, 섬도 1∼3dtex(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dtx), 평량 10∼30g/㎡(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g/㎡), 두께 0.4∼1.4㎜(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의 단섬유 부직포를 채택하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단섬유 부직포는 섬유의 가늘기가 표면의 마찰 경감에 기여하여, 친수성 로션에 의한 마찰 경감 효과와 더불어, 전체적으로 마찰 경감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섬유가 가는 것으로 인해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도 향상되며, 이것에 의해서도 마찰 경감 효과가 향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섬유 부직포와 친수성 로션의 조합에 의해, 탑 시트(30)에서 로션 함유 영역의 평균 마찰 계수(MIU)가 0.2∼0.4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션 함유 영역(32)의 표면 수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10%, 특히, 4∼8%이면, 착용자의 피부를 알맞게 적셔서, 건조 방지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친수성 로션은 물을 포함하는 한, 물 이외의 성분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친수성 로션의 물 이외 성분으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자일리톨, 피롤리돈카르본산 나트륨, 나아가,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무코 다당류(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 콘드로이틴 및 그 유도체, 헤파린 및 그 유도체 등), 엘라스틴 및 그 유도체, 콜라겐 및 그 유도체, NMF 관련 물질, 유산, 요소, 고급 지방산 옥틸도데실, 해조 추출물, 자란 뿌리(자란) 추출물, 각종 아미노산 및 그들의 유도체들 중에서, 1종 또는 여러 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유화제, 인산에스테르, 파라핀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여러 종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EO/PO형을 포함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상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친수성 로션은 방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지만, 친수성 로션은 피부에 전사되어, 피부를 적시는 것이기 때문에,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친수성 로션은 글리세린 70∼90중량% 및 물 10∼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렇게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여, 적당량의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은, 피부에 전사되었을 때에 보습제로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물이 글리세린 중에 결합수로서 유지(글리세린은 물 보유성이 극히 높음)되어, 썩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을 사용할 경우에, 글리세린을 다량으로 함유시켜, 표면 수분율을 충분히(예를 들면, 전술한 3∼10%) 확보하면서, 친수성 로션의 수분 활성치를 낮게, 예를 들면, 0.8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7,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5로 억제하면,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고서도 미생물 번식이 억제되어, 보존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피부에 전사되었을 때의 보습 효과도 높은 것이 된다.
로션 함유 영역(32)에서 친수성 로션의 함유량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된다. 일례로서, 글리세린 70∼90중량% 및 물 10∼30중량%를 포함한 친수성 로션의 경우, 로션 함유 영역(32)은 단위면적당 함유량이 5∼15g/㎡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친수성 로션의 함유량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가질 경우, 또는 친수성 로션의 도포량이 연속적으로 변할 경우, 친수성 로션의 함유량은 로션 함유 영역(32) 전체적으로 2∼20g/㎡이거나, 5∼15g/㎡인 부분이 로션 함유 영역(32) 면적의 20% 이상이거나, 또는 그 양방이면 바람직하다.
단섬유 부직포로서는, 소수성 수지의 섬유를 사용한 것이 저비용이라서 바람직하지만, 그대로라면,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따라서, 친수성 로션은 온도 20℃에서의 점도가 150∼400mPa·s이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단섬유 부직포에서의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 부직포로서는, 소수성 수지의 섬유를 사용한 것이 저비용이라서 바람직하지만, 그대로라면,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따라서, 소수성 수지의 섬유에 친수화제가 도포된 친수화 섬유의 단섬유 부직포를 탑 시트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로써, 단섬유 부직포에서의 친수성 로션의 유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제로서는, 인체에의 안전성, 공정상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알킬페놀 등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한 비이온계 활성제, 알킬 인산 에스테르염(옥틸, 도데실계), 알킬 황산염 등의 음이온계 활성제 등의 단독 혹은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부여량은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대상 시트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 정도, 특히, 0.2∼1.0중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 확인 시험>
표 1∼3에 나타내는 각종 탑 시트의 샘플에 대해서, 평균 마찰 계수(MIU), 표면 수분율, 수분 활성치 등의 각종 특성을 측정하였다. 샘플 1∼10은 제품에 조립하기 전의 부직포에 친수성 로션을 도포한 것 또는 도포하지 않은 것이고, 샘플 11∼15는 시판 제품으로부터 탑 시트를 떼어낸 것이다. 또한, 각 탑 시트의 표면을 손으로 전후 방향으로 어루만져서, 매끄러움 및 촉촉함을, 샘플 5와 비교하여 3단계(◎…매우 우수, △…샘플 5보다는 우수, ×…동일 정도)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샘플 1∼4 및 6∼9, 그 중에서도, 샘플 1∼4, 8 및 9는 탑 시트의 표면이 매우 매끄럽게 느껴지는 동시에, 촉촉한 느낌인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들에 비하여, 샘플 10∼15는 매끄러움 및 촉촉함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샘플 9는 촉촉하지만, 끈적거리는 촉감이 되었다.
<명세서 내의 용어 설명>
명세서 내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전후 방향」이란, 도면 중에 부호 LD로 나타내는 방향(세로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도면 중에 WD로 나타내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은 직교하는 것이다.
·「MD 방향」 및 「CD 방향」이란, 제조 설비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MD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가로 방향(CD 방향)을 의미하고, 제품 부분에 의해 어느 한쪽이 전후 방향이 되는 것이고, 다른 한쪽이 폭 방향이 되는 것이다. 부직포의 MD 방향은 부직포의 섬유 배향 방향이다. 섬유 배향이란, 부직포의 섬유가 따르는 방향이며, 예를 들면, TAPPI 표준법 T481의 영거리 인장 강도에 의한 섬유 배향성 시험법에 준한 측정 방법이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인장 강도비로부터 섬유 배향 방향을 결정하는 간이적 측정 방법으로 판별할 수 있다.
·「표측」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이측」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표면」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의 면을 의미하고, 「이면」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을 의미한다.
·「면적율」이란, 단위면적에서 차지하는 대상 부분의 비율을 의미하며, 대상 영역(예를 들면, 커버 부직포)에서 대상 부분(예를 들면, 구멍)의 총합 면적을 해당 대상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대상 부분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는 형태에서는, 대상 부분이 10개 이상 포함되는 크기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면적율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멍의 면적율은 예를 들면, KEYENCE사의 상품명 VHX-1000을 사용하고, 측정 조건을 20배로 하여, 이하의 순서로 측정할 수 있다.
(1) 20배 렌즈에 세팅하여, 핀트를 조절한다. 구멍이 4×6 들어가도록, 부직포의 위치를 조정한다.
(2) 구멍의 영역 밝기를 지정하여, 구멍의 면적을 계측한다.
(3) 「계측·코멘트」의 「면적 계측」의 색 추출을 클릭한다. 구멍 부분을 클릭한다.
(4) 「일괄 계측」을 클릭하여, 「계측 결과 윈도우를 표시」에 체크하고, CSV 데이터로 보존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장율이 200%란, 신장 배율이 2배인 것과 같은 뜻이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2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를 혼합한 것)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하여,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 RH의 항온 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서, 커드미터(I. techno Engineering사 제조: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시킨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온도 100℃의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시료 채취용 형판(100㎜×100㎜)을 사용하여, 100㎜×100㎜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100배하여 1평방미터당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계측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하중: 0.098N/㎠ 및 가압 면적: 2㎠ 조건 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유공 부직포의 두께는 구멍 및 그 주위의 돌출부 이외의 부분에서 측정한다.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용융 점도」는 JIS Z 8803에 따라, 브룩필드 B형 점토계(스핀들 No. 027)를 이용하여, 규정 온도에서 측정되는 것이다.
·구멍의 「최대 치수」란, MD 방향 치수 및 CD 방향 치수 중 긴 쪽의 치수를 의미한다.
·「평균 마찰 계수(MIU)」 및 「평균 마찰 계수의 변동 편차(MMD)」는 카트텍 주식회사 제조의 마찰감 테스터 KES-SE(10㎜ 모서리 실리콘 센서, 하중 50g)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센서 이동 거리 20㎜의 값을 의미한다. 센서의 이동 방향(마찰 방향)은 탑 시트의 MD 방향으로 한다. 제품을 측정할 경우, 제품에서 탑 시트 이외의 부재를, 탑 시트 표면의 마찰 시험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떼어내거나 또는 절제하여(따라서, 예를 들면, 탑 시트에 용착된 부재는 떼어내지 않는다), 전개 상태에서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탑 시트에서 로션 함유 영역의 CD 방향 치수가 센서의 치수(10㎜) 미만일 때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 시트(30)를 로션 함유 영역(32)의 옆 테두리를 따라 절단하고, 로션 함유 영역(32)만의 공시체(300)(센서(100)보다 폭이 좁음)를 작성하여, 이 공시체에 대해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100)의 중심을 공시체(300)의 CD 방향 중심에 맞추어서 측정을 실시한다. 또한, 1회 측정마다, 센서(100)의 표면에 부착한 친수성 로션을 충분히 닦아내고나서, 다음 측정을 실시한다.
또한, 로션 함유 영역을 육안으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로션 함유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션 함유 영역(32)의 위치가 동일한 공시체를 필요수(측정용 및 위치 특정용) 준비하고, 위치 특정용 공시체의 탑 시트(30)에서의 로션 함유 영역(32)을, 적절한 착색제로 주위와 다른 색으로 착색하여, 착색 위치를 자나 적절한 화상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한 후, 측정용 공시체에 있어서, 위치 특정용 공시체에서 특정한 착색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로션 함유 영역(32)으로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로션 함유 영역(32)을 착색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주식회사 타세트의 누수 발색 현상제 「모레밀W」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로션 함유 영역(32)의 MD 방향 치수(32L) 및 CD 방향 치수(32W)를 측정할 경우, 그리고, 후술하는 표면 수분율 측정 등에도, 이 방법으로 로션 함유 영역(32)을 특정할 수 있다.
·「표면 수분율」은, 스칼라(Scalar)사 제조 모이스처 체커(MY-808S)를 이용하여, 로션 함유 영역(32)의 임의의 세 곳을 계측하여 산출되는 평균치로 한다. 또한, 1회 계측마다, 모이스처 체크의 측정면에 부착된 친수성 로션을 충분히 닦아내고나서, 다음 측정을 실시한다.
·「수분 활성치」는, 플로인트 산업 주식회사 제조 EZ-100ST(전기 저항식) 등의 전기 저항식 수분 활성 측정 장치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전에는, 포화 용액을 사용하여 교정한다. 측정은, 식품 위생 검사 지침에 근거한 전기 저항식 시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수분 활성 측정 장치의 검출기 내 공간 용적의 3% 이상의 용적이 되는 양의 시료를 채취하여, 알루미늄박 접시 또는 개방형 납작 접시에 놓고, 즉시 검출기에 넣고 밀폐시켜서, 25±2도의 조건에 두고, 10분 간격으로 수치를 읽어서, 수치 변동이 인정되지 않는 시점을 검출기 내의 수증기압이 평형 상태가 되었다고 간주하여, 그 시점의 수치를 해당 시료의 측정치로 한다. 각 시료에 대해서 3회 측정하여, 3회 측정치의 평균치를 수분 활성치로 한다.
·「점도」는 JIS Z 8803에 따라, 브룩필드 B형 점토계(스핀들 No. 027)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측정되는 것이다.
·시험이나 측정에서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패드 타입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수영복, 기저귀 커버, 생리용 냅킨 등, 일회용 착용 물품 전반에 이용 가능한 것이다.
11 액 불투과성 시트
12 외장 부직포
14 구멍
14e 돌출부
20 루프재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50 흡수 요소
56 흡수체
58 포장 시트
60 기립 개더
62 개더 시트
LD 전후 방향
WD 폭 방향
90 군
93 무공 부분
31 소수성 핫멜트 접착제
32 로션 함유 영역
94 단위 배열 부분

Claims (5)

  1. 장착자의 피부에 닿는 피부 접촉 영역을 포함한 탑 시트를 가지며,
    상기 탑 시트는, 섬도 1∼3dtex, 평량 10∼30g/㎡, 두께 0.4∼1.4㎜의 단섬유 부직포의 부직포이고,
    상기 피부 접촉 영역은, 물을 포함한 친수성 로션이 함유된 로션 함유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은, 30㎜ 이상의 MD 방향 치수 및 5㎜ 이상의 CD 방향 치수를 갖고,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의 평균 마찰 계수(MIU)가 0.2∼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의 표면 수분율이 3∼10%인,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로션은, 글리세린 70∼90중량% 및 물 10∼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로션 함유 영역은, 단위면적당 상기 친수성 로션의 함유량이 5∼15g/㎡인,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 부직포는, 소수성 수지의 섬유에 친수화제가 도포된 친수화 섬유의 부직포인,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로션의 온도 20℃에서의 점도가 150∼400mPa·s인,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227027047A 2020-03-25 2021-03-16 일회용 착용 물품 KR20220159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4788 2020-03-25
JP2020054788 2020-03-25
PCT/JP2021/010574 WO2021193228A1 (ja) 2020-03-25 2021-03-16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354A true KR20220159354A (ko) 2022-12-02

Family

ID=7789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047A KR20220159354A (ko) 2020-03-25 2021-03-16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19436A1 (ko)
EP (1) EP4088700A4 (ko)
JP (1) JP2021154123A (ko)
KR (1) KR20220159354A (ko)
CN (1) CN115087415A (ko)
TW (1) TW202135759A (ko)
WO (1) WO2021193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383B1 (ko) * 2018-03-20 2023-11-01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6488040B1 (ja) * 2018-03-20 2019-03-2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75A (ja) 1994-06-24 1996-02-27 Mcneil Ppc Inc 吸収材製品が示す摩擦係数を低くする方法およびそれで製造したワツクス被覆製品
JP2002509457A (ja) 1996-12-03 2002-03-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スキンケア組成物が上に配置されているカフスを有する吸収体
JP2010526630A (ja) 2007-05-15 2010-08-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親水性ローション及びハイバリア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9170534A (ja) 2018-03-27 2019-10-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588A (en) * 1994-11-28 1997-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 lotioned topsheet
US5607760A (en) * 1995-08-03 1997-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tioned topsheet containing an emollient and a polyol polyester immobilizing agent
CN1198547C (zh) * 1997-11-14 2005-04-27 宝洁公司 多孔顶片上具有护肤组合物的一次性吸湿用品
US6533765B1 (en) * 1998-05-01 2003-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lotion resistant adhesive
CA2357516A1 (en) * 2000-09-28 2002-03-28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barrier agent for absorbent article
CA2698628A1 (fr) * 2007-09-12 2009-04-16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Utilisation d'excipients en tant que conservateurs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les comprenant
JP5913881B2 (ja) * 2011-09-22 2016-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418818B2 (ja) * 2014-06-30 2018-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PL3244856T3 (pl) * 2015-01-14 2021-04-1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Produkt chłonny zawierający materiał włókninowy
JP2018513749A (ja) * 2015-04-29 2018-05-3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処理された内側表面を有するベルト
JP6754212B2 (ja) * 2016-04-04 2020-09-0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EP3840709B1 (en) * 2018-08-22 2023-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75A (ja) 1994-06-24 1996-02-27 Mcneil Ppc Inc 吸収材製品が示す摩擦係数を低くする方法およびそれで製造したワツクス被覆製品
JP2002509457A (ja) 1996-12-03 2002-03-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スキンケア組成物が上に配置されているカフスを有する吸収体
JP2010526630A (ja) 2007-05-15 2010-08-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親水性ローション及びハイバリア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9170534A (ja) 2018-03-27 2019-10-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9436A1 (en) 2023-04-20
EP4088700A4 (en) 2024-01-17
JP2021154123A (ja) 2021-10-07
CN115087415A (zh) 2022-09-20
TW202135759A (zh) 2021-10-01
EP4088700A1 (en) 2022-11-16
WO2021193228A1 (ja)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0773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20230019073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220159354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220159355A (ko) 일회용 착용 물품
WO2020026683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の伸縮構造を有する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KR20230073174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7498092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22054087A5 (ko)
WO2021060133A1 (ja) 吸収性物品
JP7512189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装置
JP7212804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114206290B (zh) 吸收性物品
JP2019146916A (ja) パッドタイプ吸収性物品
RU2806394C1 (ru) Одноразовое изделие для ношения
JP2022054088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22054088A5 (ko)
JP2022147054A5 (ko)
CN116600756A (zh) 一次性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JP2022147055A5 (ko)
JP2020043965A (ja) 使い捨ておむ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