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644A -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644A
KR20220133644A KR1020210039003A KR20210039003A KR20220133644A KR 20220133644 A KR20220133644 A KR 20220133644A KR 1020210039003 A KR1020210039003 A KR 1020210039003A KR 20210039003 A KR20210039003 A KR 20210039003A KR 20220133644 A KR20220133644 A KR 2022013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lithium ion
ion conductive
based solid
conductive sulf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657B1 (ko
Inventor
표명호
박운배
한수철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6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20Methods for preparing sulfides or polysulfide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17/00Compounds of germanium
    • C01G17/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germanium,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LiaGabGecS6
(여기서, 0.75≤a≤1.75, 0.75≤b≤1.75, 1.25≤c≤2.25)

Description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Lithium ion conductive sulfide solid electrolyt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차전지는 자동차, 전력저장시스템 등의 대형기기에서부터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등의 소형기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 향상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차전지 중 하나인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망간 전지나 니켈-카드뮴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고 단위면적 당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상용 리튬이온 배터리에 적용되는 시스템에는 리튬염을 포함하는 유기계 액체전해질을 사용하고 있어, 안전성 및 에너지 밀도의 향상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전해질로 액체전해질이 아니라 고체전해질을 이용하는 전고체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체전해질은 액체전해질에 비해 난연성을 가지므로 안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데도 유리하다. 이러한 고체전해질로는 현재까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과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산화물계 고체전해질로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가넷(garnet), 나시콘(NASICON)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공기 중에서의 안정성과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이온전도도가 낮고, 입계 저항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액체전해질에 근접할 정도로 높고, 가압에 의한 입계의 용이한 밀착성 때문에 가압성형만으로도 성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어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리튬 이온 전도성이 우수한 고체전해질이 다양하게 개발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9330호
본 발명은 높은 리튬 이온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LiaGabGecS6
(여기서, 0.75≤a≤1.75, 0.75≤b≤1.75, 1.25≤c≤2.25)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황 전구체, 갈륨 전구체, 게르마늄 전구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들을 혼합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혼합물을 700 ~ 950℃에서 열처리하여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황화물은 향상된 리튬 이온 전도도를 가져 전고체 전지의 전해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황화물의 X-선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LiGaGe2S6 샘플을 사용하여 셀을 제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Nyquist Plot을 사용하여 벌크 전해질의 저항 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황화물의 EIS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LiGaGe2S6 샘플의 온도별 EIS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LiaGabGecS6
(여기서, 0.75≤a≤1.75, 0.75≤b≤1.75, 1.25≤c≤2.25)
상기 화합물에 대해 CuKα선을 사용한 X선 회절 패턴 측정 시, 2θ=24°±1.00°, 2θ=28.5°±1.00°, 2θ=31.5°±1.00° 및 2θ=34°±1.00°에서 주요한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상온에서의 이온 전도도(S/cm)는 1.0E-07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2.0E-07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LiGaGe2S6 또는 Li1.5Ga1.5Ge1.5S6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은, 황 전구체, 갈륨 전구체, 게르마늄 전구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전구체들을 혼합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혼합물을 700 ~ 950℃에서 열처리하여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 전구체는 Li2S, 상기 갈륨 전구체는 Ga2S3, 상기 게르마늄 전구체는 GeS2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튬, 갈륨, 게르마늄 원소를 포함하는 황화물로 가열 합성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진공 분위기 또는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와 같은 비활성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합성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LiaGabGecS6
(여기서, 0.75≤a≤1.75, 0.75≤b≤1.75, 1.25≤c≤2.25)
[실시예]
대기중의 수분과 산소에 민감한 아지로다이트 구조를 가지는 황화물을 합성하기 위하여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의 글로브 박스(Glove box)를 사용하여 합성을 수행하였다.
먼저, 고체 상태의 전구체인 Li2S (99%, alfaaesar), Ga2S3 (≥99.98%, sigma Aldrich), GeS2 (99%, sigma Aldrich)를 사용하여, 화학량론적 계산식 LixGayGezS6 (x,y,z= 0.5, 1, 1.5, 2)에 일치하도록 4개의 샘플을 정량하였다.
정량 후 아게이트 몰탈을 사용하여 혼합 및 분쇄하였고, 각각의 정량된 샘플들을 석영관 안에 넣은 후 진공 하에 수소/산소 혼합가스 불꽃으로 밀봉하였다.
그 후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의 튜브형 가열로에서 700 ~ 950℃에서 20시간 동안 열처리(승온 속도: 5℃/min)를 하여 황화물을 합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황화물의 X-선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모든 황화물은 아지로다이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LiGaGe2S6 샘플을 사용하여 전도도 측정용 셀을 제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형태의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제작할 때, 분말 상의 고체전해질에 리튬(Li)을 놓고 프레스할 경우, 리튬(Li)이 고체전해질 사이에 파고 들어 쇼트가 발생하므로, 고체전해질 펠렛과 리튬과 구리 포일을 별도로 제작하였다.
고체전해질(SSE) 펠렛은 고체전해질 분말 200mg을 프레스를 사용하여 4톤으로 2분간 가압하는 방식으로 제작한 후, POM 몰드의 가운데에 위치시켰다. 이어서, 인듐 포일(두께 50㎛) 을 고체전해질 펠렛의 상,하면에 배치하여 SUS와의 표면저항을 줄어들도록 하였다.
도 3은 Nyquist Plot을 사용하여 벌크 전해질의 저항 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황화물의 이온 전도도는 EIS 측정으로 도출된 Nyquist Plot에서 임피던스 궤적을 반원이 실수축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벌크 전해질의 저항 값(Rb)를 구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황화물의 EIS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표 1은 도 4의 EIS 분석을 통해 분석된 리튬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것이다.
샘플 Li0.5Ga0.5Ge2.5S6 LiGaGe2S6 Li1.5Ga1.5Ge1.5S6 Li2Ga2GeS6
전도도
(S/cm)
8.3E-08 3.0E-07 2.9E-07 8.6E-09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LiGaGe2S6 Li1.5Ga1.5Ge1.5.5S6 의 이온 전도도는 나머지 2개의 샘플에 비해 더 우수하기 때문에 더 바람직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샘플 중에서 가장 이온 전도도가 우수한 LiGaGe2S6 샘플의 온도별 EIS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표 2는 도 5의 EIS 분석을 통해 분석된 리튬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것이다.
샘플온도
(℃)
-20 25 50 70 100 140 155 220
전도도
(S/cm)
4.8E-08 4.2E-07 1.1E-06 1.7E-06 3.5E-06 1.3E-05 7.5E-05 1.3E-04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LiGaGe2S6 는 -20℃에서 220℃에 이르기 까지 양호한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황화물은 전고체 전지의 고체전해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화학식 1]
    LiaGabGecS6
    (여기서, 0.75≤a≤1.75, 0.75≤b≤1.75, 1.25≤c≤2.2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에 대해 CuKα선을 사용한 X선 회절 패턴 측정 시, 2θ=24°±1.00°, 2θ=28.5°±1.00°, 2θ=31.5°±1.00° 및 2θ=34°±1.00°에서 주요한 피크가 나타나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상온에서의 이온 전도도(S/cm)는 1.0E-07 이상인,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4. 황 전구체, 갈륨 전구체, 게르마늄 전구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들을 혼합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혼합물을 700 ~ 950℃에서 열처리하여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황 전구체는 Li2S, 상기 갈륨 전구체는 Ga2S3, 상기 게르마늄 전구체는 GeS2인,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조성을 가지는,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1]
    LiaGabGecS6
    (여기서, 0.75≤a≤1.75, 0.75≤b≤1.75, 1.25≤c≤2.25)
KR1020210039003A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03A KR102498657B1 (ko)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03A KR102498657B1 (ko)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44A true KR20220133644A (ko) 2022-10-05
KR102498657B1 KR102498657B1 (ko) 2023-02-09

Family

ID=8359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03A KR102498657B1 (ko)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6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236A (ja) * 1997-12-09 1999-07-02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および電池
WO2014051147A1 (ja) * 2012-09-28 2014-04-03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74587A (ko) * 2017-12-20 2019-06-28 전자부품연구원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20200129330A (ko) 2019-05-08 2020-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할로겐 원소의 함량이 조절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236A (ja) * 1997-12-09 1999-07-02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および電池
WO2014051147A1 (ja) * 2012-09-28 2014-04-03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74587A (ko) * 2017-12-20 2019-06-28 전자부품연구원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20200129330A (ko) 2019-05-08 2020-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할로겐 원소의 함량이 조절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657B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174B2 (en) Solid electroly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olid electrolyte
KR101496533B1 (ko) 고체 전해질 재료 및 리튬 전지
KR101718187B1 (ko)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Meesala et al. All-solid-state Li-ion battery using Li1. 5Al0. 5Ge1. 5 (PO4) 3 as electrolyte without polymer interfacial adhesion
EP2317596B1 (en) Ceramic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5701741B2 (ja) 硫化物系固体電解質
EP2504879B1 (en) Lithium ion conducting material and lithium battery
KR101501329B1 (ko) 액상의 소수성 상전이 물질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
JP6242620B2 (ja) 全固体電池
KR101752866B1 (ko) 고분자 복합공정에 의한 llzo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11159534A (ja) リチウム電池
EP3518251B1 (en) Solid electrolyte and all-solid battery
JP6442134B2 (ja) 全固体電池、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Beaupain et al. Reaction of Li1. 3Al0. 3Ti1. 7 (PO4) 3 and LiNi0. 6Co0. 2Mn0. 2O2 in co-sintered composite cathodes for solid-state batteries
CN112573574A (zh) 一种通过调控锂空位含量制备石榴石型固态电解质的方法
KR101816289B1 (ko)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전해질, 및 상기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1915558B1 (ko) 이차전지 용 복합 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5919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KR20220020960A (ko) 리튬-이온 전도성 할로보로-옥시설파이드
KR10153706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5676883B (zh) 一种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498657B1 (ko) 리튬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7436984B2 (ja) 固体電解質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体、及び全固体二次電池
KR20230013089A (ko) 고체 전해질 재료, 고체 전해질, 이것들의 제조 방법 및 전고체 전지
CN109962232B (zh) 正极活性材料、制备方法、正极和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