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79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798A
KR20220121798A KR1020227020100A KR20227020100A KR20220121798A KR 20220121798 A KR20220121798 A KR 20220121798A KR 1020227020100 A KR1020227020100 A KR 1020227020100A KR 20227020100 A KR20227020100 A KR 20227020100A KR 20220121798 A KR20220121798 A KR 20220121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s
absorbent article
skin
top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노모토
히사타카 나나우미
아키히로 기무라
고 데타니
유미 에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139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woven or knitted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15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specific distance between the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형성된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형성된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복수의 실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직물 또는 편물을 갖고, 상기 복수의 실은, 각각, 서로 교차하고 있는 교차부와,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상기 복수의 실의 상기 비교차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각 시트재를 적층시켜 제품 형상으로 절단한 후, 외연부(外緣部)를 시일함으로써 제품 전후 단부의 각 시트의 적층 상태를 고정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보다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서로 히트 시일되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한 쌍의 시일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표면 시트로서는, 열가소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제 시트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2901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누설 방지 시트(23)를 개재시키면서 시트끼리를 강고하게 고정하여, 시트끼리가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시일부는 열융착에 의해 딱딱해지기 쉬워, 시일부의 경계에서 장착 시에 절곡이 발생하는 것이나, 딱딱한 시일 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가 딱딱해지기 어렵고, 사용자가 부드러움을 느끼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형성된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형성된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복수의 실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직물 또는 편물을 갖고, 상기 복수의 실은, 각각, 서로 교차하고 있는 교차부와,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상기 복수의 실의 상기 비교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백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가 딱딱해지기 어렵고, 사용자가 부드러움을 느끼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생리용 냅킨(1)을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용 냅킨(1)을 비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표면 시트(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표면 시트(3)를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표면 시트(3)의 직물(40)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Y-Y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형성된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형성된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복수의 실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직물 또는 편물을 갖고, 상기 복수의 실은, 각각, 서로 교차하고 있는 교차부와,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상기 복수의 실의 상기 비교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실끼리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는, 실이 하나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그러한 실이 하나 하나로 이루어지는 비교차부를 가짐으로써 딱딱해지기 어렵고,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단(端)까지 부드러움을 느끼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경사(經絲)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緯絲)를 갖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는, 각각, 상기 교차부와 상기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의 상기 비교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직물의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는, 경사 또는 위사가 하나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단가장자리가 그러한 비교차부를 가짐으로써 딱딱해지기 어려우며,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단까지 부드러움을 느끼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不織)의 섬유 집합체를 더 갖고, 상기 섬유 집합체는,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비피부측 면에 교락에 의해 일체화되며, 일부의 구성 섬유가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피부측 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교락에 의해 표면 시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직물 또는 편물과 섬유 집합체를 강고하게 접착 등 하지 않고 적층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길이 방향 단부의 강성도 높아지기 어렵다. 또한, 교락에 의해 직물의 위사 및 경사의 위치 어긋남, 혹은, 편물의 실끼리의 위치 어긋남도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 사이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쉽고, 미관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설액이, 피부측으로 연장된 섬유를 타고 하방의 흡수체로 이행하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각 시트를 접합한 후에 제품 형상으로 커트했을 때에, 직물의 경사 및 위사, 혹은, 편물의 실끼리 흩어지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경사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를 갖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압착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의 바닥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은, 상기 직물의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상기 폭 방향의 교점 사이의 길이의 평균값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압착부는, 어느 정도 굵기가 있음으로써 절곡되기 쉬워져, 몸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착부의 폭 중에 경사와 위사의 교점(교차부)이 존재함으로써, 압착했을 때에, 교점이 없는 부분보다 교점의 두께에 의해 압착부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직물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도는 3∼8%이고, 상기 편물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도는 80∼100%이며, 상기 압착부의 깊이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직물 및 편물의 길이 방향의 신도가 낮기 때문에, 직물 및 편물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표면 시트 전체의 신도는 낮아진다. 신장하기 어려운 표면 시트에 대해서는, 요철이 없는 롤 등을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균일한 깊이를 갖는 압착부를 형성하기 쉽다. 압착부의 바닥부에 요철이 있는 경우, 즉, 깊이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압착부가 딱딱해지기 쉬우나, 깊이가 일정함으로써 압착부는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압착부는, 배설액을 균일하게 인입하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직물의 구성사(構成絲)는, 복수의 원사(原絲)로 이루어지는 연사(撚絲)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사의 섬도(纖度)는, 30 면번수 이상, 100 면번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구성사가 가는 실일수록, 직물은 부드러움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직물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 자체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의 섬유 집합체를 더 갖고, 상기 섬유 집합체는,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피부측 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피부측 연장 부분과,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비피부측 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비피부측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피부측 연장 부분의 최대 두께는, 상기 피부측 연장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비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 쪽이 큼으로써, 섬유 집합체의 섬유를 타고 보다 많은 액체가, 섬유 집합체보다 하측(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의 섬유 집합체를 더 갖고, 상기 섬유 집합체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친수성 섬유에 의해, 표면 시트가 천과 같은 촉감을 갖고, 배설물의 긁어냄성이 우수하며, 소수성 섬유에 의해, 섬유끼리의 달라붙음에 의한 접힘 자국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친수성 섬유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레이온은, 액의 인입성을 향상시킬 뿐만이 아니라, 섬유 자체가 가늘고 부드럽기 때문에, 섬유 집합체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친수성 유제(油劑)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통상, 소수성의 섬유에 친수성 유제를 이용하여 친수 성능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으나, 레이온 등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친수성을 갖기 때문에, 친수성 유제를 사용하지 않고 섬유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제가 피부에 닿는 것에 의한 피부 발진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부에 순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상기 소수성 섬유의 중량이, 상기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상기 친수성 섬유의 중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소수성 섬유의 중량이 큼으로써, 섬유 집합체가 액체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액체는 섬유 집합체의 섬유를 타고 흡수체측으로 유도된다. 또한, 착용 중에 체압으로 액체가 되돌아가려고 해도, 되돌아가려고 한 액체를 인입하기 어려워, 액 복귀를 억제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경사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를 갖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는, 각각, 상기 교차부와 상기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단가장자리 중, 상기 표면 시트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모든 상기 비교차부의 수 중 상기 위사의 상기 비교차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모든 상기 비교차부의 수 중 상기 위사의 상기 비교차부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폭 방향의 양단부는, 착용 중에 착용자의 서혜부가 닿기 쉬운 부분이고, 위사의 비교차부가 있음으로써 위사의 실 단부가 서혜부에 닿아, 피부 감촉이 좋아진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냅킨을 예로 들어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예컨대, 팬티라이너나 소변 흡수 패드 등의 그 외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생리용 냅킨(1)의 기본 구성>
도 1은 생리용 냅킨(1)(이하 「냅킨(1)」이라고도 함)을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용 냅킨(1)을 비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냅킨(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다. 냅킨(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하복부에 접촉하는 측을 전측이라고 하고, 착용자의 둔부에 접촉하는 측을 후측이라고 한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에 접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냅킨(1)은, 흡수체(2)와, 흡수체(2)보다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형성된 표면 시트(3)와, 흡수체(2)보다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형성된 이면 시트(4)와, 한 쌍의 사이드 시트(5)를 갖고 있다. 표면 시트(3)와 흡수체(2)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는, 평면 사이즈가 흡수체(2)보다 크고, 흡수체(2)의 평면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서로 적층된 표면 시트(3), 이면 시트(4) 및 사이드 시트(5)는, 냅킨(1)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8)(도 2 참조)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시트(3)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고, 표면 시트(3)보다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겹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5)는, 표면 시트(3)에 공지된 접착 수단 또는 용착 수단을 포함하는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또한, 냅킨(1)은, 냅킨(1)의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윙부(6)를 갖는다. 윙부(6)는, 표면 시트(3)의 폭 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사이드 시트(5), 및 이면 시트(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냅킨(1)은, 윙부(6)를 갖지 않는 형태여도 좋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냅킨(1)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3)와 흡수체(2) 사이에 비교적 섬유 밀도가 높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중간 시트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흡수체(2)와 이면 시트(4) 사이에 있어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액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누설 방지 시트를 배치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냅킨(1)의 비피부측 면(이면 시트(4)의 비피부측 면)에는, 접착제의 도포 등에 의해 형성된 점착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의 사용 시에, 점착 영역(11)은 속옷 등의 피부측 면에 접착되고, 이에 의해 냅킨(1)은 속옷 등에 고정된다. 도 2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6개의 점착 영역(11)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으나, 점착 영역(11)의 형상이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각 윙부(6)의 비피부측 면(이면 시트(4)의 비피부측 면)에는, 윙부용 점착 영역(12)이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의 사용 시에, 윙부용 점착 영역(12)은, 속옷 등의 비피부측 면에 접착되고, 이에 의해 냅킨(1)은 속옷 등에 고정된다. 도 2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윙부용 점착 영역(12)을 각 윙부(6)에 하나씩 형성하고 있으나, 윙부용 점착 영역(12)의 형상이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 영역(11) 및 윙부용 점착 영역(12)은, 각각, 플라스틱 필름제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피복된다.
또한, 냅킨(1)은, 표면 시트(3)와 흡수체(2)가 압착된 압착부(오목부)(7)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3)의 피부측 면으로부터 표면 시트(3) 및 흡수체(2)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되어, 표면 시트(3) 및 흡수체(2)가 접합 일체화되어 있다. 압착부(7)에 의해, 표면 시트(3)의 들뜸을 방지하고, 경혈 등이 압착부(7)에 유입된 경우에는, 흡수체(2)로의 침투를 촉진하여,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표면 시트(3)는 투액성이며,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측 면(상면)(3a)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면(하면)(3b)을 갖고,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4)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5)는, 공지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체액의 가로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소수성 혹은 발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2)는, 경혈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여 내부에 유지하는 부재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10)와, 흡수성 코어(10)의 보형성(保形性) 및 액 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수성 코어(10)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투액성의 코어 랩 시트(20)를 갖고 있다.
흡수성 코어(10)는, 액체 흡수성 섬유인 펄프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흡수성 섬유 등에, 액체 흡수성 입상물(粒狀物)인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이 첨가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다. 코어 랩 시트(20)는, 액 투과성의 시트이며, 티슈 페이퍼, 친수성의 부직포, 에어레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코어 랩 시트(20)는, 흡수성 코어(10)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코어 랩 시트(20) 중,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20a, 20b)끼리가 흡수성 코어(10)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비피부측에 있어서 서로 적층되어 있다(도 3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랩 시트(20)는 1장의 연속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나, 흡수성 코어(10)의 피부측 면을 덮는 시트 부재와, 비피부측 면을 덮는 시트 부재가 나뉘어져 구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3)의 직물(40) 및 섬유 집합체(50)>
도 4는 표면 시트(3)를 피부측에서 본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표면 시트(3)를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시트(3)는, 피부측 면에 위치하는 직물(40)과, 비피부측 면에 위치하는 섬유 집합체(50)를 갖고 있다. 직물(40)은, 도 3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도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집합체(50)와 대향하는 하면(40a)과, 그 반대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이 되는 상면(40b)을 갖는다.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는, 서로 뒤얽힘(교락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직물(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짜 넣어진 구성사(41)로 구성된다. 구성사(41)는, 복수의 경사(42)와, 경사(42)와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43)를 갖고, 상기 교차에 의해 복수의 발(織目; 45)이 형성된다. 직물(40)의 구성사(41)는, 면사(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꼬아 형성된 연사이다. 원사의 재료에는, 코튼 섬유 외에, 마나 펄프 섬유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원사에 사용되는 면사로서는, 30 면번수 이상, 100 면번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사(41)가 가는 실일수록, 직물(40)은 부드러움을 얻을 수 있다.
주로 면 소재 등을 포함하는 직물(40)이 표면 시트(3)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기분 좋은 촉감을 얻을 수 있고, 피부 트러블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직물(40)의 짜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짜 넣어진 평직에 한정되지 않고, 능직, 주자직, 레노직 등의 공지된 짜는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3)는 직물(40)을 갖고 있으나, 직물(40)은, 편물이어도 좋다. 편물은, 다수의 섬유를 묶어 꼬아진 실을 짬으로써 구성되지만, 직물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실이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다. 편물은, 경편, 위편 중 어느 쪽의 짜는 방법이어도 좋고, 예컨대, 천축, 트리코, 프레이즈(fraise), 모스(moss), 허니컴 메쉬, 더블 니트, 이모(裏毛; fleecy) 등을 들 수 있다.
섬유 집합체(50)는, 장섬유를 사용한 스펀 본드법이나 단섬유를 카드기로 일정 방향으로 카딩을 행하여, 섬유를 가지런히 하여 웹을 형성하는 건식법 등의 공지된 제법에 의해 형성된, 포밍되어 부직포가 되기 전의 단계의 섬유 집합체이다. 또한, 섬유 집합체(50)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 섬유(51)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친수성 섬유로서는, 레이온 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레이온 섬유에 의해 액체의 인입성을 향상시킬 뿐만이 아니라, 레이온 섬유는, 섬유 자체가 가늘고 부드럽기 때문에, 섬유 집합체(50)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또한, 친수성 섬유는 레이온 섬유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코튼, 분쇄 펄프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등이어도 좋다.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 일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공지된 수류 교락법을 이용할 수 있다. 수류 교락법에 의한 투액성 시트의 제조 공정에서는, 직물(40)의 자재인 연속된 격자형의 직물의 상면에 섬유 집합체(50)의 자재인 연속된 섬유의 집합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연속 적층체에 대해, 연속 적층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한다. 그에 의해, 섬유 집합체(50)의 구성 섬유(51)와 직물(40)의 구성사(41)가 뒤얽혀,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의 압력에 의해, 일체화된 시트에 무늬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직물(40)이 편물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편물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 일체화시킬 수 있다.
피부측에 위치하는 직물(40)과, 직물(40)의 하면(비피부측 면)(40a)에 위치하는 섬유 집합체(50)를 교락시킴으로써 형성된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3)는, 부직포만으로 형성된 경우의 표면 시트(3)에 비해 강도가 높다. 또한, 섬유 집합체(50)가 접착제 등을 통하지 않고 직물(40)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통해 서로 접합하는 경우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그러한 표면 시트(3)를 이용한 냅킨(1)은, 길이 방향의 단부(1ep)까지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교락에 의해, 직물(40)의 경사(42) 및 위사(43)의 위치 어긋남(편물인 경우에는, 실끼리의 위치 어긋남)도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각 실 사이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쉽고, 표면 시트(3)의 미관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섬유(51)의 일부가, 직물(40)의 경사(42)와 위사(43)에 얽히거나, 엉겨 붙도록 권회되어 있거나, 나아가서는, 경사(42)와 위사(43)의 원사 사이에 들어가도록 하여 교락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섬유 집합체(50)와 직물(40)은, 안정적으로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부의 구성 섬유(51)는, 직물(40)의 피부측 면(상면)(40b)보다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도 3의 일부 확대도), 표면 시트(3)에 배설된 체액은, 직물(40)의 경사(42)와 위사(43)를 따라 확산되고, 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섬유 집합체(50)의 구성 섬유(51)를 타고 하방의 흡수체(2)로 신속히 이행된다. 또한, 섬유 집합체(50)의 구성 섬유(51)는, 섬유 길이가 25∼64 ㎜, 바람직하게는, 32∼58 ㎜, 더욱 바람직하게는 38∼51 ㎜의 단섬유이다.
또한, 만일 표면 시트(3)가 직물(40)만으로 구성되면, 제품 단부를 제품 형상으로 절단할 때에, 직물(40)의 구성사(41)가 냅킨(1)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도 1)에서 꼬여 버릴 우려가 있으나,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 일체화시킴으로써, 직물(40)의 발(45)이 안정되어, 절단 시에도 구성사(41)는 꼬이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품 단부(여기서는 1ep)를 깨끗이 커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은,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 일체화시킨 표면 시트(3)를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측에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생리용 냅킨의 표면 시트는 부직포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제조 시에, 각 시트재를 접착하여 제품 단부를 제품 형상으로 절단한 후, 외연부를 열융착시켜 각 시트재끼리를 고정하는 경우가 있다. 열융착에 의해 시일된 부분은 강고하게 접합되지만, 접합한 부분이 딱딱해지기 쉽기 때문에, 접합한 부분과의 경계에서 장착 시에 절곡될 우려나, 사용자의 피부에 닿았을 때에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서는, 표면 시트(3)에 있어서의 외주 시일부(8)에 있어서, 면사를 포함하는 직물(40)이 열융착되지 않고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가 접합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외연부(단부(1ep))는 딱딱해지지 않고 부드러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3)의 직물(40)이 냅킨(1)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도 1)까지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은 표면 시트(3)의 직물(40)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에서는, 직물(40)의 경사(42) 및 위사(4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편의상, 섬유 집합체(50) 및 사이드 시트(5)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40)의 경사(42) 및 위사(43)는, 각각, 서로 교차하고 있는 교차부(cx)와,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nx)를 갖고 있다. 그리고, 냅킨(1)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CL) 부근에 있어서는, 냅킨(1)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는, 복수의 경사(42)의 비교차부(nx)를 갖고 있다. 또한,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단가장자리(1ed)는, 복수의 위사(43)의 비교차부(nx) 및 경사(42)의 비교차부(nx)를 갖고 있다.
직물(40)의 경사(42)와 위사(43)가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nx)는, 경사(42) 또는 위사(43)가 하나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가, 그러한 실이 하나 하나로 이루어지는 비교차부(nx)를 복수 갖고 있기 때문에, 단가장자리(1ed)는 딱딱해지기 어려워진다. 냅킨(1)의 단가장자리(1ed)까지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부드러움을 느끼기 쉬워진다.
또한, 직물(40)이 편물이었던 경우, 편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실이 각각 서로 교차하고 있는 부분을 교차부(cx),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비교차부(nx)로 하고, 냅킨(1)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가 상기 복수의 실의 비교차부(nx)를 가짐으로써, 직물(40)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은, 길이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부(각 단가장자리(1ed)를 포함함)에 있어서,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3)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친 영역 내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가 예컨대 Ω 패턴이나 스파이럴 패턴 등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가 단가장자리(1ed)까지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고정 후에 제품 단부를 제품 형상으로 절단했을 때에도, 직물(40)의 경사(42) 및 위사(43)는 흩어지기 어려워진다. 단가장자리(1ed)에 있어서 경사(42) 및 위사(43)의 풀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냅킨(1)의 미관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시일부(8)를 형성하고 있으나,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 일체화시켜 표면 시트(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적층된 표면 시트(3), 이면 시트(4) 및 사이드 시트(5)를 전술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접합시키면, 외주 시일부(8)를 형성하지 않아도, 제품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품 단부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냅킨(1)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 중, 표면 시트(3)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의 중앙을 중앙부(1ch)로 하고, 폭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단부(1et)로 하면, 직물(40)의 경사(42) 및 위사(43)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중앙부(1ch)는, 냅킨(1)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1ed)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3)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 중 10%분만큼, 중앙 위치(CL)로부터 폭 방향의 양측(외측)을 향한 부분이고, 양단부(1et)는, 마찬가지로, 단가장자리(1ed)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3)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 중 10%분만큼, 표면 시트(3)의 폭 방향의 외단(1ee)(도 4)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을 향한 부분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중앙부(1ch)에 있어서는, 단가장자리(1ed)에 배치된 교차부(cx) 및 비교차부(nx)의 합계의 수는 12개이고, 모두가 경사(42)의 비교차부(nx)이다. 또한, 단부(1et)에서는, 단가장자리(1ed)에 배치된 교차부(cx) 및 비교차부(nx)의 합계의 수는 18개이고, 그 중 15개가 비교차부(nx)이며, 3개가 교차부(cx)이다. 또한, 단부(1et)의 비교차부(nx) 중, 위사(43)의 비교차부(nx)의 수는 7개이다. 즉, 단부(1et)에 있어서의, 모든 비교차부(nx)의 수(15개) 중 위사(43)의 비교차부(nx)가 차지하는 비율(즉, 7/15개=약 47%)은, 폭 방향의 중앙부(1ch)에 있어서의, 모든 비교차부(nx)의 수(12개) 중 위사(43)의 비교차부(nx)(0개)가 차지하는 비율(0/12=0%)보다 크다. 폭 방향의 양단부(1et)는, 냅킨(1)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서혜부가 닿기 쉬운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중앙부(1ch)와 비교하여, 그러한 양단부(1et)에 있어서의 위사(43)의 비교차부(nx)의 비율이 큼으로써, 위사(43)의 실 단부가 서혜부에 닿기 쉬워지고, 피부 감촉이 좋아진다.
<압착부(7)>
전술한 바와 같이, 냅킨(1)은, 표면 시트(3)와 흡수체(2)가 압착된 압착부(7)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부(7)는, 흡수체(2)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 연속되어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환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압착부(7)의 형상 및 배치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착부(7)는 바닥부(7d)를 갖고(도 3 참조), 바닥부(7d)의 폭(L)(폭 방향의 길이(L))의 평균값은, 직물(40)의 경사(42)와 위사(43)의 폭 방향의 교점 사이의 길이(M)(도 4 및 도 6 참조)의 평균값보다 길게 되어 있다. 각각의 길이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압착부(7) 및 직물(40)을 포함하는 표면 시트(3)의 확대 사진을 기엔스사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0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다. 직물(40)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45) 중, 하나의 발(45)에 있어서, 1개의 위사(43)에 대해 인접하는 경사(42)끼리의 각각의 위사(43)와의 교점을 C1 및 C2로 한다. 폭 방향의 교점 사이인 C1과 C2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길이가 폭 방향의 교점 사이의 길이(M)가 된다. 도 4에서는, 또한 일례로서, 다른 위사(43)에 대해 인접하는 경사(42)끼리의 각각의 위사(43)와의 교점을 C3과 C4로 하고, 마찬가지로 C3과 C4를 연결하는 직선을 교점 사이의 길이(M)로서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확대 사진에 기초하여, 상기 길이(M)를, 부작위로 예컨대 10개소 계측하고, 계측한 값의 평균값을 구한다. 압착부(7)에 대해서도, 표면 시트(3)의 피부측에서 본 확대 사진에 있어서, 바닥부(7d)의 폭 방향의 길이(L)를 부작위로 예컨대 10개소 계측하고, 계측한 값의 평균값을 구한다.
압착부(7)는, 어느 정도 굵기가 있음으로써 절곡되기 쉬워져, 냅킨(1)의 몸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착부(7)의 바닥부(7d)의 폭(L) 쪽이 경사(42) 및 위사(43)의 폭 방향의 교점 사이의 길이(M)보다 길어서, 압착부(7)의 폭(폭 방향의 길이) 중에 경사(42)와 위사(43)의 교점(교차부(cx))이 존재하게 된다. 압착부(7)를 형성할 때에, 압착한 개소에 교점(교차부(cx))이 있는 것이, 실이 겹쳐 있는 교점의 두께에 의해 압착부(7)의 형상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압착부(7)는, 표면 시트(3)와 흡수체(2)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그때, 표면 시트(3)가 갖는 직물(40)의 길이 방향의 신도는, 3∼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6%이다. 또한, 직물(40)의 폭 방향의 신도는, 15∼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26%이다. 표면 시트(3)의 직물(40)이 편물인 경우, 편물의 길이 방향의 신도는, 바람직하게는 8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95%이며, 폭 방향의 신도는, 150∼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신도」란, 직물(40)(또는 편물)의 신장률(%)이며, JIS L1906 「직물 및 편물의 옷감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집합체(50)와 교락하기 전의 상태의 직물(40)(또는 편물)을 폭 25 ㎜, 길이 150 ㎜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작성하고, 소정의 인장 속도(예컨대 100 ㎜/min)로 신장시켜, 파단 시의 신도의 값을 구한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예컨대,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 오토그래프형 인장 시험기(형명(型名): AG-I)를 이용할 수 있다. 측정은 3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직물(40)(또는 편물)의 신도로 한다.
압착부(7)를 형성할 때에는, 냅킨(1)을 MD 방향(길이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압착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직물(40) 또는 편물의 길이 방향의 신도가 낮음으로써, 압착부(7)의 바닥부(7d)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직물(40)의 길이 방향의 신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직물(40)과 섬유 집합체(50)를 교락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3) 전체의 신도도 낮아진다. 그러한 신장하기 어려운 표면 시트(3)에 대해, 요철이 있는 엠보스 롤 등으로 압착부(7)를 형성하고자 하면, 표면 시트(3)가 요철에 맞춰 신장하지 않고 직물(40)의 실이 끊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요철이 없는 표면이 똑같은 롤 등으로 압착부(7)를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깊이의 압착부(7)를 형성할 수 있다.
압착부(7)의 깊이란, 압착부(7)의 바닥면(바닥부)(7d)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착부(7)의 바닥면(바닥부)(7d)으로부터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길이(P)(도 3)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균일」이란, 압착부(7)의 깊이가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완전히 동일하다고 하는 엄밀한 균일성이 아니라, 표면 시트(3)를 피부측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했을 때에, 압착부(7)의 바닥부(7d)에 요철이 보이지 않고, 또한, 바닥부(7d)까지의 깊이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만일, 신도가 높은 시트재에 대해, 바닥부에 요철을 형성하도록 압착하면서 선형의 압착부를 형성한 경우, 형성된 요철에 의해 압착부는 딱딱해지기 쉽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압착부(7)와 같이, 바닥부(7d)에 요철이 없고 깊이가 일정함으로써 바닥부(7d)의 표면은 매끄러워지고, 압착부(7)는,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깊이에 의해, 압착부(7)에 모이는 배설액을 균일하게 인입하기 쉽다.
또한, 일반적으로, 편물은 직물과 비교하면 신장하기 쉬운 경향이 있으나, 예컨대, 경편인 트리코편 등에 의해 형성된 편물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그러한 편물을 포함하는 표면 시트(3)에, 직물(40)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착부(7)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위편으로 형성되는 편물은, 통상, 신도가 높으나, 그러한 위편의 편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압착부(7)를 형성할 때에 찢어지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나, 친수성 섬유뿐만이 아니라, 소수성 섬유도 포함하고 있다. 소수성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적합하지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섬유나, PP와 PE를 포함하는 코어 시스 구조의 복합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복합 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섬유 집합체(50)가 친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친수성 섬유에 의해, 표면 시트(3)가 천과 같은 촉감을 갖고, 배설물의 긁어냄성이 우수하며, 소수성 섬유에 의해, 섬유끼리의 달라붙음에 의한 접힘 자국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의 섬유에 대해서는, 친수성 유제를 이용하여 친수 성능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섬유 집합체(50)는, 친수성 유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즉, 섬유 집합체(50)는, 친수성 섬유인 레이온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친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친수성 유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유제가 피부에 닿는 것에 의한 피부 발진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부에 순하다.
또한, 섬유 집합체(50)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의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의 배합 비율은, 단위 체적당 포함되는 소수성 섬유의 중량이, 단위 체적당 포함되는 친수성 섬유의 중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소수성 섬유가 70 중량%, 친수성 섬유가 30 중량%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50)에 소수성 섬유가 포함됨으로써, 섬유 집합체(50) 자체가 액체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액체는 섬유 집합체(50)의 구성 섬유(51)를 타고 흡수체(2)측으로 유도되기 쉬워진다. 또한, 냅킨(1)을 착용 중에 체압으로 액체가 되돌아가려고 해도, 섬유 집합체(50)의 섬유의 구성 비율로서, 단위 체적당 포함되는 소수성 섬유의 중량 쪽이 크기 때문에, 되돌아가려고 한 액체를 인입하기 어려워, 액 복귀를 억제한다.
도 7은 도 4의 Y-Y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표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코어 랩 시트(20) 및 흡수성 코어(10)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면 시트(3)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50)의 일부의 구성 섬유(51)는, 직물(40)보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측 혹은 비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집합체(50)는, 직물(40)의 상면(피부측 면)(40b)보다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피부측 연장 부분(52)과, 직물(40)의 하면(비피부측 면)(40a)보다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을 포함하고 있다.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은, 수류 교락법에 의해 형성될 때에, 고압 수류가 직접 분사된 부분이다. 한편 피부측 연장 부분(52)은, 고압 수류가 분사되었을 때에 하방에 위치하고 있던 직물(40)의 격자형의 구성사(41) 및 구성사(41) 사이를 관통하여 반송 수단인 메쉬 벨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40)의 상면(피부측 면)(40b)으로부터 피부측 연장 부분(52)의 가장 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51a)까지의 두께를 피부측 연장 부분(52)의 최대 두께(D1)로 하고, 직물(40)의 하면(비피부측 면)(40a)으로부터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의 가장 비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51b)까지의 두께를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의 최대 두께(D2)로 하면,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의 최대 두께(D2)는, 피부측 연장 부분(52)의 최대 두께(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두께(D1) 및 최대 두께(D2)는 외관의 두께이고, 그 두께 치수의 측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표면 시트(3)를 바람직하게는 섬유 집합체(5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절단면의 확대 사진을 기엔스사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0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다. 이 확대 사진에 기초하여, 직물(40)의 상면(40b)으로부터 피부측 연장 부분(52)의 가장 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51a)까지의 이격 치수(D1)를 측정하고, 직물(40)의 하면(40a)으로부터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의 가장 비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51b)까지의 이격 치수(D2)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섬유 집합체(50)의 비피부측 연장 부분(53)의 최대 두께(D2) 쪽이 큼으로써, 섬유 집합체(50)의 섬유(51)를 타고 보다 많은 액체가 비피부측으로 인입되고, 섬유 집합체(50)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2)로 액체를 신속히 이행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1ch: 폭 방향의 중앙부
1ed: 단가장자리 1ee: 외단
1ep: 단부 1et: 폭 방향의 단부
2: 흡수체 3: 표면 시트
3a: 피부측 면(상면) 3b: 비피부측 면(하면)
4: 이면 시트 5: 사이드 시트
6: 윙부 7: 압착부
7d: 바닥부(바닥면) 8: 외주 시일부
10: 흡수성 코어 11: 점착 영역
12: 윙부용 점착 영역 20: 코어 랩 시트
20a, 20b: 양측 가장자리부 40: 직물
40a: 하면(비피부측 면) 40b: 상면(피부측 면)
41: 구성사 42: 경사
43: 위사 45: 발
50: 섬유 집합체 51: 구성 섬유
52: 피부측 연장 부분 53: 비피부측 연장 부분
60: 친수성 섬유 C1∼C4: 교점

Claims (13)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형성된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형성된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복수의 실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직물 또는 편물을 갖고,
    상기 복수의 실은, 각각, 서로 교차하고 있는 교차부와,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은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상기 복수의 실의 상기 비교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경사(經絲)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緯絲)를 갖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는, 각각, 상기 교차부와 상기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는,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의 상기 비교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不織)의 섬유 집합체를 더 갖고,
    상기 섬유 집합체는,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비피부측 면에 교락에 의해 일체화되며, 일부의 구성 섬유가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피부측 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경사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를 갖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압착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의 바닥부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의 평균값은, 상기 직물의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상기 폭 방향의 교점 사이의 길이의 평균값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도는 3∼8%이고, 상기 편물의 상기 길이 방향의 신도는 80∼100%이며, 상기 압착부의 깊이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구성사(構成絲)는, 복수의 원사(原絲)로 이루어지는 연사(撚絲)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사의 섬도(纖度)는, 30 면번수 이상, 100 면번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의 섬유 집합체를 더 갖고,
    상기 섬유 집합체는,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피부측 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피부측 연장 부분과,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비피부측 면보다 상기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비피부측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피부측 연장 부분의 최대 두께는, 상기 피부측 연장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의 섬유 집합체를 더 갖고,
    상기 섬유 집합체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친수성 유제(油劑)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상기 소수성 섬유의 중량이, 상기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상기 친수성 섬유의 중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경사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고 있는 복수의 위사를 갖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는, 각각, 상기 교차부와 상기 비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단가장자리 중, 상기 표면 시트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모든 상기 비교차부의 수 중 상기 위사의 상기 비교차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모든 상기 비교차부의 수 중 상기 위사의 상기 비교차부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27020100A 2019-12-26 2020-10-14 흡수성 물품 KR20220121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6983 2019-12-26
JP2019236983A JP7254690B2 (ja) 2019-12-26 2019-12-26 吸収性物品
PCT/JP2020/038750 WO2021131250A1 (ja) 2019-12-26 2020-10-1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798A true KR20220121798A (ko) 2022-09-01

Family

ID=7657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100A KR20220121798A (ko) 2019-12-26 2020-10-1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54690B2 (ko)
KR (1) KR20220121798A (ko)
CN (1) CN114828797B (ko)
WO (1) WO202113125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019A (ja) 1999-11-02 2001-05-15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528899Y1 (ko) * 1958-11-06 1960-10-31
JPS3926277Y1 (ko) * 1963-05-04 1963-09-07
JPS474218Y1 (ko) * 1967-10-03 1972-02-14
JPS4718800Y1 (ko) * 1968-04-03 1972-06-28
JPH09117470A (ja) * 1995-10-27 1997-05-06 Chisso Corp 吸収性物品
JP2005270347A (ja) * 2004-03-25 2005-10-06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2010148730A (ja) * 2008-12-25 2010-07-08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5529631B2 (ja) * 2010-06-04 2014-06-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84768B2 (ja) * 2014-12-03 2019-10-02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JP6704236B2 (ja) * 2015-10-16 2020-06-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115597A (ja) * 2017-12-27 2019-07-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019A (ja) 1999-11-02 2001-05-15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04201A (ja) 2021-07-26
WO2021131250A1 (ja) 2021-07-01
JP7254690B2 (ja) 2023-04-10
CN114828797A (zh) 2022-07-29
CN114828797B (zh)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052B1 (ko) 초흡수성 얀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US7132585B2 (e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cquisition layer
EP2612635B1 (en) Absorbent article
US8329978B2 (en) Absorbent product
TWI510223B (zh) Absorbent items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AU2005339200A1 (en) Absorbent product
CN108366885B (zh) 吸收性物品
CN112334110B (zh) 吸收性物品用的透液性片材
JP7337494B2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KR102593672B1 (ko) 흡수성 물품
CN108697564B (zh) 吸收性物品
KR20220121798A (ko) 흡수성 물품
JP7085921B2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JP6620004B2 (ja) 吸収性物品
CN215131703U (zh) 吸收性物品
WO2023233780A1 (ja) 吸収性物品
TW202400102A (zh) 吸收性物品、及吸收性物品用的吸收體的製造方法
TW202400104A (zh) 吸收性物品
JP2020000720A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WO2012105464A1 (en) Absorben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