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891A -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891A
KR20220112891A KR1020210016145A KR20210016145A KR20220112891A KR 20220112891 A KR20220112891 A KR 20220112891A KR 1020210016145 A KR1020210016145 A KR 1020210016145A KR 20210016145 A KR20210016145 A KR 20210016145A KR 20220112891 A KR20220112891 A KR 2022011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picker
display module
removal device
preliminar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서인
김민지
정태현
강호윤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891A/ko
Priority to US17/561,092 priority patent/US11780217B2/en
Priority to CN202210116273.7A priority patent/CN114863800A/zh
Priority to CN202220251294.5U priority patent/CN217238989U/zh
Publication of KR2022011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3Cu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2251/5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26Using direct fluid current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32Using vacuum directly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28Differential fluid pressure delaminating means
    • Y10T156/1944Vacuum delaminating means [e.g., vacuum chambe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유효 부분 및 유효 부분 주변의 더미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 표시 모듈에서 더미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더미 제거 장치는 더미 부분의 특정 지점을 피킹한 후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피커 및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분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DUMMY REMOVAL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더미 제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더미 부분을 주변의 유효 부분으로부터 제거하는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표시 소자층, 표시 소자층의 구동을 위한 회로 소자층등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의 제조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 영역을 포함한 기판에 회로 소자층, 표시 소자층 등을 공통적으로 형성한 후, 각 셀 영역 단위로 커팅하는 커팅 공정을 거쳐 예비 표시 모듈을 획득한다. 이후, 각 예비 표시 모듈을 필요에 맞게 형상 가공하여 원하는 형상의 표시 모듈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 제작 시, 표시 모듈에 대응하는 예비 표시 모듈의 유효 부분을 유효 부분의 주변에 대응하는 더미 부분과 분리시키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미 제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는 유효 부분 및 유효 부분 주변의 더미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 표시 모듈에서 상기 더미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상기 더미 부분의 특정 지점을 피킹한 후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분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특정 지점은 예비 표시 모듈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특정 지점은 제1 지점 및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모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커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기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커는 상기 제1 이동 기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점을 피킹하는 제1 피커 흡착부 및 상기 제1 이동 기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점을 피킹하는 제2 피커 흡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기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기구부 및 상기 제2 이동 기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피커는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을 피킹하여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모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프트부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프트부는 양 끝단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더미 부분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블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피커는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을 피킹하여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의 측면 및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상기 피커 및 상기 분리기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에러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에러 감지기는 상기 피커가 상기 특정 지점을 피킹한 힘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낮을 경우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에러 감지기는 상기 분리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을 경우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부분 및 유효 부분 주변의 더미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 표시 모듈에서 상기 더미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은 피커를 통하여 상기 더미 부분의 특정 지점을 피킹한 후, 상기 피커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분리기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더미 제거 장치는 피커 및 분리기가 연결된 몸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피커가 상기 제거된 더미 부분을 보관부에 놓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피커 및 상기 분리기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피커가 상기 특정 지점을 피킹한 힘의 크기와 기 설정된 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와 기 설정된 거리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커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지점을 피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커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킹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예비 표시 모듈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 부분과 더미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 표시 모듈에서 더미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더미 부분에 확보해야 할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더미 제거 장치는, 예비 표시 모듈의 일 측에 위치하는 더미 부분만을 피킹하여 더미 부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 표시 모듈의 타 측에는 피킹을 위한 더미 부분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유효 부분을 포함한 예비 표시 모듈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한 장의 기판에서 얻을 수 있는 예비 표시 모듈의 개수를 늘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컷팅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컷팅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비 표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더미 제거 장치의 피커가 더미 부분을 피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의 피커가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의 분리기가 더미 부분의 제2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더미 제거 장치의 분리기가 더미 부분의 제2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기에 포함된 리프트부의 형상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에 의해 분리된 더미 부분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예비 표시 모듈 중 더미 부분이 제거된 유효 부분의 경계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DD)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접이식(폴더블) 전자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들(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폴딩축들(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를 폴딩 상태로 정의하고,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비폴딩 상태로 정의한다.
폴딩축들(FX1, FX2)은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폴딩축을 제1 폴딩축(FX1)으로 정의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폴딩축을 제2 폴딩축(FX2)으로 정의한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어느 하나의 폴딩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어느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DR3)은 제1 및 제2 방향(DR1, DR2)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TA)은 꼭지점들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투과 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 영역(T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Z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 장치(DD)는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및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정의된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의 타측과 인접하다. 폴딩 영역(FA)은 제1 폴딩축(FX1)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제1 폴딩축(FX1)은 제1 방향(DR1), 즉 표시 장치(DD)의 장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인-폴딩(In-Folding) 또는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여기서, 인-폴딩은 표시면(IS)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하고, 아웃-폴딩은 표시 장치(DD)의 후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한다.
도 2a에 도시된 표시 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IS)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DD)가 아웃-폴딩될 경우 표시면(IS)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및 아웃-폴딩 상태로 폴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 장치(DD)는 인-폴딩과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만 폴딩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의 타측과 인접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2 폴딩축(FX2)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제2 폴딩축(FX2)은 제2 방향(DR2), 즉 표시 장치(DD)의 단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을 구비하여, 단축 방향 및 장축 방향으로 폴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어느 하나의 폴딩축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DD)에 하나의 폴딩 영역(FA)이 정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에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상측 모듈(U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무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 소자는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하고, 무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 소자는 무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 소자는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표시 패널(DP)은 영상(IM)을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은 표시면(IS)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제1 폴딩축(FX1, 도 1 참조) 또는 제2 폴딩축(FX2, 도 1 참조)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2 비표시 영역(NDA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비표시 영역(NDA1)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비표시 영역(NDA1)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비표시 영역(NDA2)은 표시 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칩(미도시)이 실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비표시 영역(NDA2)은 밴딩되어 표시 패널(DP)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은 투과 영역(T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상측 모듈(UM)은 다양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측 모듈(UM)은 반사 방지층(RPL) 및 입력 센서층(ISP)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을 따라 제1 폴딩축(FX1) 또는 제2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폴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 패널(DP)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편광필름 및/또는 위상지연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의 동작 원리에 따라 위상지연필름의 개수와 위상지연필름의 위상지연 길이(
Figure pat00001
또는
Figure pat00002
)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복수의 컬러 필터들 및 컬러 필터들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센서층(ISP)은 정전용량 방식 또는 압력감지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센서층(ISP)는 연속 공정에 의해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센서층(ISP)과 표시 패널(DP)은 접착 필름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센서층(ISP)은 표시 패널(DP)과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접착 필름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영상(IM, 도 1 참조)을 출사할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단일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의 상면은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을 정의한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BZA)은 실질적으로 윈도우(WM)의 일 영역에 소정의 컬러를 포함하는 물질이 인쇄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윈도우(WM)는 베젤 영역(BZA)을 정의하기 위한 차광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패턴은 유색의 유기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컷팅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컷팅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셀 영역들(CE)을 포함하는 기판(MG)이 준비된다. 각각의 셀 영역들(CE)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NAA)을 포함한다.
각각의 셀 영역들(CE)을 둘러싼 제1 절단선(CL1)을 따라 제1 컷팅 공정을 실시하여 기판(MG)으로부터 각 예비 표시 모듈(PDM, 도 6 참조)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절단선(CL1)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컷팅 공정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컷팅 공정은 제1 파장을 가진 제1 레이저(LD1)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1 컷팅 공정은 제1 레이저(LD1)의 위치를 고정한 채 기판(MG)을 이동시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판(MG)을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레이저(LD1)를 이동시켜 제1 컷팅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컷팅 공정을 통해 얻어진 각 예비 표시 모듈(PDM)이 준비된다. 각 예비 표시 모듈(PDM)에 포함된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NAA)의 경계에 위치한 제2 절단선(CL2)을 따라 제2 컷팅 공정을 실시하여 유효 영역(AA)으로부터 비유효 영역(NAA)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컷팅 공정은 제1 파장과 다른 제2 파장을 가진 제2 레이저(LD2)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파장은 제1 파장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컷팅 공정은 각 예비 표시 모듈(PDM)의 위치를 고정한 채 제2 레이저(LD2)를 이동시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는 제1 및 제2 컷팅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기판(MG)은 셀 영역들(CE)에 각각 대응하는 예비 표시 패널들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셀 영역들(CE)에 각각 대응하는 예비 입력 센서층들을 포함하는 제2 층을 포함 할 수 있다. 그 후 제1 컷팅 공정을 통하여 예비 표시 패널 및 예비 입력 센서층을 포함하는 각 예비 표시 모듈(PDM)을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각 예비 표시 모듈(PDM) 상에 반사 방지층(RPL)을 포함하는 예비 반사 방지층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컷팅 공정을 통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비유효 영역(NAA)을 제거하여 표시 모듈(DM)을 얻을 수 있다.
윈도우(WM)는 제2 컷팅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표시 모듈(DM)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윈도우(WM)는 예비 표시 모듈(PDM) 상에 배치되고, 제2 컷팅 공정을 통하여 표시 장치(DD)를 얻을 수도 있다.
비록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컷팅 공정과 제2 컷팅 공정이 서로 다른 컷팅 장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및 제2 컷팅 공정은 하나의 컷팅 장비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비 표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절단선(CL2, 도 6 참조)에 의해 절단된 예비 표시 모듈(PDM)은 유효 부분(EP)와 유효 부분(EP) 주변의 더미 부분(PP)을 포함한다. 유효 부분(EP)은 유효 영역(AA, 도 6 참조)과 대응될 수 있고, 더미 부분(PP)은 비유효 영역(NAA, 도 6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유효 부분(EP)은 제1 유효 부분(EP1)과 제2 유효 부분(E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효 부분(EP1)은 표시 영역(DA, 도 4 참조) 및 비표시 영역(NDA, 도 4 참조)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유효 부분(EP2)은 제2 비표시 영역(NDA2, 도 4 참조)에 대응되어 밴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더미 부분(PP)은 제1 더미 부분(PP1), 제2 더미 부분(PP2) 및 제3 더미 부분(P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부분(PP1)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서브 더미 부분(PP1_a) 및 제2 서브 더미 부분(PP1_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더미 부분(PP1_a)와 제2 서브 더미 부분(PP1_b)는 제2 유효 부분(EP2)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서브 더미 부분(PP1_a)과 제2 서브 더미 부분(PP1_b)은 제2 유효 부분(EP2)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더미 부분(PP1)은 후술할 더미 제거 장치(PRD, 도 8a 참조)의 피커(PK, 도 8a 참조)가 피킹할 특정 지점(A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특정 지점(AR)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특정 지점(AR)은 제1 지점(AR1) 및 제2 지점(A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점(AR1)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하고, 제2 지점(AR2)은 제1 지점(AR1)과 제1 및 제3 방향(DR1, DR3)과 모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서브 더미 부분(PP1_a)은 제1 지점(AR1)을 포함하고, 제2 서브 더미 부분(PP1_b)은 제2 지점(A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점(AR1, AR2)들은 제1 및 제2 서브 더미 부분들(PP1_a, PP1_b)의 위치에 대응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의 단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즉, 제 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서브 더미 부분들(PP1_a, PP1)b)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지점들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장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즉, 제 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3 더미 부분(PP3)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3 더미 부분(PP3)은 제1 더미 부분(PP1)과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및 제3 더미 부분(PP1, PP3)들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장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예비 표시 모듈(PDM)의 양 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3 더미 부분(PP1, PP3)들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단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예비 표시 모듈(PDM)의 양 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더미 부분(PP2)은 제1 더미 부분(PP1)과 제3 더미 부분(PP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더미 부분(PP2)은 제3 서브 더미 부분(PP2_a) 및 제4 서브 더미 부분(PP2_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더미 부분(PP2_a)과 제4 서브 더미 부분(PP2_b)은 제1 유효 부분(EP1)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더미 부분(PP1)은 제1 방향(DR1) 상에서 제1 더미 폭(PW1)을 갖고, 제3 더미 부분(PP3)은 제1 방향(DR1) 상에서 제3 더미 폭(PW3)을 갖는다. 제1 더미 부분(PP1)은 제1 및 제2 지점(AR1, AR2)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므로, 제1 더미 폭(PW1)은 제3 더미 폭(PW3)보다 클 수 있다. 제2 더미 부분(PP2)은 제1 방향(DR1) 상에서 제2 더미 폭(PW2)을 갖고, 제2 더미 폭(PW2)은 은 제1 유효 부분(EP1)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과 같을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더미 제거 장치의 피커가 더미 부분을 피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더미 제거 장치(PRD)는 몸체(BD), 피커(PK) 및 분리기(SPT)를 포함한다.
작업대(WS) 상에 예비 표시 모듈(PDM)이 배치되면, 예비 표시 모듈(PDM) 위로 더미 제거 장치(PRD)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미 제거 장치(PRD)는 작업대(WS) 상에 위치한 예비 표시 모듈(PDM)에서 더미 부분(PP, 도 7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몸체(BD)는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제1 레일(RL1)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2 레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피커(PK)는 몸체(BD)와 연결되어 제1 레일(RL1)을 따라 제3 방향(DR3) 및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커(PK)는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미 부분(PP)의 특정 지점(AR)을 피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피커(PK)는 흡착 패드(SP)를 포함하고, 흡착 패드(SP)와 특정 지점(AR)간의 진공 상태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AR)을 피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피커(PK)는 몸체(BD)와 연결되어 제3 방향(DR3) 및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기구부(MP1) 및 제1 이동 기구부(MP1)에 연결되고 특정 지점(AR)을 피킹하는 피커 흡착부들(PSP1, PSP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커 흡착부들(PSP1, PSP2)은 제1 지점(AR1)을 피킹하는 제1 피커 흡착부(PSP1) 및 제2 지점(AR2)을 피킹하는 제2 피커 흡착부(PSP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피커 흡착부(PSP1, PSP2) 각각은 흡착 패드(SP)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정 지점(AR)이 3개 이상의 지점들을 포함할 경우, 피커(PK)도 3개 이상의 피커 흡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기(SPT)는 몸체(BD)와 연결되어 제2 레일을 따라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분리기(SPT)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a 내지 도 11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더미 제거 장치(PRD)는 피커(PK) 및 분리기(SPT)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에러 감지기(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에러 감지기(ED)는 피커(PK)가 특정 지점(AR)을 피킹한 힘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라고 할 때, 측정 크기와 기 설정된 크기와 비교하여 피커(PK)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는 측정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경우, 피커(PK)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더미 제거 장치(PRD)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반면 에러 감지기(ED)는 측정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 피커(PK)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더미 제거 장치(PRD)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송신한다. 더미 제거 장치(PRD)는 에러 감지기(ED)로부터 에러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를 통해, 피커(PK)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분리기(SPT)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가 분리기(SPT)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10c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5,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더미 제거 장치(PRD)는 피커(PK) 및 분리기(SPT)를 통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한 특정 지점(AR)을 통하여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3 더미 부분(PP3)은 특정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3 더미 폭(PW3)을 제1 더미 폭(PW1)보다 작게 할 수 있어 기판(MG)에 포함되는 셀 영역들(CE)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컷팅 공정을 통하여 기판(MG)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표시 모듈(DM) 또는 표시 장치(DD)의 개수를 늘릴 수 있어 표시 장치(DD)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의 피커가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더미 부분(PP)은 제1 부분(PP_a) 및 제1 부분(PP_a)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PP_b)를 포함한다. 피커(PK)는 더미 부분(PP)의 제1 및 제2 지점들(AR1, AR2)을 피킹한 후,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하여 더미 부분(PP) 중 제1 부분(PP_a)을 예비 표시 모듈(PDM)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더미 부분(PP) 중 제2 부분(PP_b)은 피커(PK)에 의해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작업대(WS)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의 분리기가 더미 부분의 제2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더미 제거 장치의 분리기가 더미 부분의 제2 부분을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분리기(SPT)는 몸체(BD)와 연결되어 제1 방향(DR1) 또는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기구부(MP2) 및 제2 이동 기구부(MP2)에 연결되어 제1 방향(DR1) 또는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트부(LP)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리프트부(LP)는 피커(PK)에 의해 분리된 제1 부분(PP_a)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업대(WS)에 위치한 제2 부분(PP_b)은 리프트부(LP)에 의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국 더미 부분(PP)은 피커(PK) 및 분리기(SPT)에 의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커(PK)는 제1 부분(PP_a)의 상면(US)을 피킹한 후 제1 부분(PP_a)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분리시킨다. 리프트부(LP)는 피커(PK)에 의해 분리된 제1 부분(PP_a)의 하면(DS)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되며 더미 부분(PP) 중 제1 부분(PP_a)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PP_b)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리프트부(LP)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부(LP)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부(LP)는 몸체(BD)에 연결된 제2 이동 기구부(MP2)와 연결되어, 더미 부분(PP)을 제3 방향(DR3)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는 분리기(SPT)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는 분리기(SPT)에 포함된 리프트부(LP)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 거리(DS)를 이동 거리(DS)라고 할 때, 이동 거리(DS)와 기 설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분리기(SPT)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는 이동 거리(DS)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경우, 분리기(SPT)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더미 제거 장치(PRD)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반면 에러 감지기(ED)는 이동 거리(DS)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 분리기(SPT)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더미 제거 장치(PRD)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송신한다. 더미 제거 장치(PRD)는 에러 감지기(ED)로부터 에러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에러 감지기(ED)를 통해 분리기(SPT)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더미 제거 장치(PRD)의 동작을 멈추어, 후술할 제거된 더미 부분(PP)을 보관부(SR, 도 12 참조)에 놓는 단계에서 예비 표시 모듈(PDM)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기에 포함된 리프트부의 형상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리프트부(LP_a)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직선부(SLP_a) 및 직선부(SLP_a)의 양 끝단에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블럭부(B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부(LP_a)가 블럭부(BK)를 더 포함할 경우, 제2 부분(PP_b, 도 10b 참조)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1 부분(PP_a, 도 10b 참조)이 제2 방향(DR2)으로 흔들리지 없도록 가이드하여 유효 부분(EP)이 제1 부분(PP_a)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블럭부(BK)는 제1 부분(PP_a)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리프트부(LP_b)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직선부(SLP_b) 및 피커(PK)에 의해 분리된 제1 부분(PP_a)의 측면 및 하면(DS, 도 10b 참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그립부(GR)를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지만, 그립부(GR)는 분리된 제1 부분(PP_a)을 붙잡는 동작을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립부(GR)는 제2 부분(PP_b, 도 10b 참조)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1 부분(PP_a)이 제2 방향(DR2)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하여 유효 부분(EP)이 제1 부분(PP_a)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에 의해 분리된 더미 부분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12를 참조하면,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한 후, 더미 제거 장치(PRD)는 제거한 더미 부분(PP)을 보관부(SR)에 놓을 수 있다. 더미 제거 장치(PRD)는 몸체(BD)와 연결된 피커(PK)와 분리기(SPT)를 통해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한 후, 몸체(BD)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몸체(BD)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 후, 피커(PK)는 제1 피커 흡착부(PSP1)가 제1 지점(AR1)을 피킹하는 힘 및 제2 피커 흡착부(PSP2)가 제2 지점(AR2)을 피킹하는 힘의 크기를 작게 하여 더미 부분(PP)을 보관부(SR)에 놓을 수 있다. 그 후 더미 제거 장치(PRD)는 몸체(BD)를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에서 더미 부분(PP)을 제거하는 동작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보관부(SR)가 작업대(WS)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보관부(SR)는 작업대(WS)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더미 제거 장치(PRD)는 몸체(BD)를 작업대(WS)에 인접한 보관부(SR)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에서 더미 부분(PP)을 제거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예비 표시 모듈 중 더미 부분이 제거된 유효 부분의 경계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8a,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사진(S1)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한 특정 지점(AR, 도 7 참조)을 피킹하는 피커(PK)만을 이용하여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한 경우의 제1 유효 부분(EP1)의 경계를 측정한 것이다.
제2 사진(S2)은 예비 표시 모듈(PDM)의 일 측에 위치한 특정 지점(AR)을 피킹하는 피커(PK) 및 분리기(SPT)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더미 제거 장치(PRD)로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한 경우의 제2 유효 부분(EP2)의 경계를 측정한 것이다.
제1 사진(S1)의 유효 부분(EP1)에는 제1 하얀색 얼룩들(WP1)이 시인되고, 제2 사진(S2)의 유효 부분(EP2)에는 제2 하얀색 얼룩들(WP2)이 시인된다. 제1 하얀색 얼룩(WP1)은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1 유효 부분(EP1)이 데미지를 받아 생기는 얼룩이다. 제2 하얀색 얼룩(WP2)은 더미 부분(PP)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2 유효 부분(EP2)이 데미지를 받아 생기는 얼룩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하얀색 얼룩들(WP1)이 제2 하얀색 얼룩들(WP2)보다 크게 시인된다. 더미 부분(PP)을 피커(PK)만을 이용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더미 부분(PP) 중 피커(PK)에 의해 피킹된 특정 지점(AR)으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부분은 제1 유효 부분(EP1)으로부터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효 부분(EP1)이 받는 데미지가 클 수 있다. 반면, 더미 부분(PP)을 피커(PK)뿐만 아니라 분리기(SPT)를 이용하여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더미 부분(PP) 전체를 제2 유효 부분(EP)으로부터 제대로 분리된 상태에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효 부분(EP2)이 받는 데미지가 작아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8b 및 도 14를 참조하면, 더미 제거 장치(PRD)에 포함된 피커(PK)가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해 더미 부분(PP)의 특정 지점(AR, 도 7 참조)을 피킹할 수 있다(S100). 이때, 더미 제거 장치(PRD)에 포함된 에러 감지기(ED)는 피커(PK)가 특정 지점을 피킹한 힘의 크기와 기 설정된 크기를 비교하여 피커(PK)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101). 도 9a, 9b 및 도 14를 참조하면, 에러 감지기(ED)가 피커(PK)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더미 제거 장치(PRD)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피커(PK)가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해 피킹한 제1 부분(PP_a)를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S200). 미도시 되었지만, 에러 감지기(ED)는 피커(PK)가 피킹한 제1 부분(PP_a)을 예비 표시 모듈(PDM)로부터 충분히 분리하였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도 10a 내지 도 10c 및 도 14를 참조하면, 더미 제거 장치(PRD)는 분리기(SPT)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더미 부분(PP)의 나머지 제2 부분(PP_b)을 예비 표시 모듈(PDM)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S300).
또한, 에러 감지기(ED)는 분리기(SPT)에 포함된 리프트부(LP)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 거리를 기 설정된 거리와 비교하여 분리기(SPT)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301).
에러 감지기(ED)가 피커(PK) 및 분리기(SPT)의 동작이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경우, 더미 제거 장치(PRD)에 포함된 몸체(BD)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그 후 피커(PK)는 피킹하고 있는 제거된 더미 부분(PP)을 보관부(SR)에 놓을 수 있다(S400). 그 후 몸체(BD)는 다시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더미 제거 장치(PRD)는 새로운 예비 표시 모듈으로부터 더미 부분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에러 감지기(ED)가 적어도 피커(PK) 및 분리기(SPT) 중 하나의 동작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경우, 더미 제거 장치(PRD)는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더미 제거 장치(PRD)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적어도 에러 감지기(ED)를 통하여 피커(PK)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01) 또는 에러 감지기(ED)를 통하여 분리기(SPT)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01) 중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PRD: 더미 제거 장치 PDM: 예비 표시 모듈
PK: 피커 SPT: 분리기
BD: 몸체 EP: 유효 부분
PP: 더미 부분 AR: 특정 지점
PP_a: 제1 부분 PP_b: 제2 부분
AR1: 제1 지점 AR2: 제2 지점
MP1: 제1 이동 기구부 PSP1: 제1 피커 흡착부
PSP2: 제2 피커 흡착부 MP2: 제2 이동 기구부
LP: 리프트부 BK: 블럭부
GR: 그립부 ED: 에러 감지기
SR: 보관부

Claims (20)

  1. 유효 부분 및 유효 부분 주변의 더미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 표시 모듈에서 상기 더미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더미 제거 장치에서,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상기 더미 부분의 특정 지점을 피킹한 후,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피커; 및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예비 표시 모듈의 일 측에 위치하는 더미 제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은
    제1 지점; 및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모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 지점을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커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기구부;
    상기 제1 이동 기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점을 피킹하는 제1 피커 흡착부; 및
    상기 제1 이동 기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점을 피킹하는 제2 피커 흡착부를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더미 제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제거 장치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기구부; 및
    상기 제2 이동 기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커는,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을 피킹하여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더미 제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모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양 끝단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더미 부분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블럭부를 더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커는,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을 피킹하여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의 측면 및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커 및 상기 분리기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에러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감지기는,
    상기 피커가 상기 특정 지점을 피킹한 힘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동작을 멈추는 더미 제거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감지기는,
    상기 분리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을 경우, 상기 더미 제거 장치의 동작을 멈추는 더미 제거 장치.
  15. 유효 부분 및 유효 부분 주변의 더미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 표시 모듈에서 상기 더미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더미 제거 장치에서,
    피커를 통하여 상기 더미 부분의 특정 지점을 피킹한 후, 상기 피커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제1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분리기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더미 제거 장치는 상기 피커 및 분리기가 연결된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피커가 상기 제거된 더미 부분을 보관부에 놓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커 및 상기 분리기의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피커가 상기 특정 지점을 피킹한 힘의 크기와 기 설정된 크기를 비교하는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와 기 설정된 거리를 비교하는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부분의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커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지점을 피킹하는 단계; 및
    상기 피커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킹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예비 표시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예비 표시 모듈의 일 측에 위치하는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10016145A 2021-02-04 2021-02-04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112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45A KR20220112891A (ko) 2021-02-04 2021-02-04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US17/561,092 US11780217B2 (en) 2021-02-04 2021-12-23 Dummy removal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2210116273.7A CN114863800A (zh) 2021-02-04 2022-02-07 虚设去除装置
CN202220251294.5U CN217238989U (zh) 2021-02-04 2022-02-07 虚设去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45A KR20220112891A (ko) 2021-02-04 2021-02-04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91A true KR20220112891A (ko) 2022-08-12

Family

ID=8261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145A KR20220112891A (ko) 2021-02-04 2021-02-04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80217B2 (ko)
KR (1) KR20220112891A (ko)
CN (2) CN217238989U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5857B2 (en) * 2005-12-23 2009-09-29 Lg Displa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06876B1 (ko) * 2012-09-04 2019-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박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박리방법
KR20140049305A (ko) 2012-10-17 2014-04-25 (주)미래컴퍼니 디스플레이 패널의 편광필름 가공장치 및 방법
ITFI20120233A1 (it) * 2012-10-29 2014-04-30 Esanastri S R L Dispositivo di micro-sfridatura di film plastici o in carta a uno o più strati autoadesivi, biadesivizzati o elettrostatici accoppiati con un liner di supporto antiaderente
KR101674539B1 (ko) 2015-10-15 2016-11-0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가공 시스템, 레이저 가공 시스템의 픽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이송 방법
KR101843695B1 (ko) 2017-11-15 2018-03-29 김현우 자동화된 보호필름 박리장치
CN108461443B (zh) * 2018-03-30 2021-0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膜材分离机和膜材分离方法
KR102191517B1 (ko) 2018-11-27 2020-12-15 코스텍시스템(주) 임시접합필름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00144163A (ko) * 2019-06-17 2020-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제조설비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0217B2 (en) 2023-10-10
US20220242104A1 (en) 2022-08-04
CN217238989U (zh) 2022-08-19
CN114863800A (zh)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62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69758B1 (ko) 결함 검사 시스템
KR102322135B1 (ko)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2109933B (zh) 具有显示面板和光学传感框架的组件及使用其的显示***
JP4780094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130853A (ja) ローラブル表示装置
CN100541766C (zh) 由叠置元件组成的微结构的集体性制造过程
JP7381246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06780B2 (en) Display device
KR2018003922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036682A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Moisture-Insensitive Optical Touch Sensors
CN103091884B (zh) 手持电子设备
KR20220112891A (ko) 더미 제거 장치 및 더미 제거 장치의 구동 방법
EP3086535B1 (en) Mobile device with an increased display size
KR2021001343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49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07217A (ja) 異物検出方法、異物検出装置、および液滴吐出装置
KR101452353B1 (ko) 박리유무 확인이 가능한 보호필름 박리장치
KR202100862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7059B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31003A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70113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WO2018103229A1 (zh) 玻璃盖板、玻璃盖板的制作方法及3d显示装置
KR100510720B1 (ko) 유리기판 파손감지 수단을 구비한 기판 이송장치
JPH0817901A (ja) 半導体ウェハ保管装置及びその不良収納検出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