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910A -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910A
KR20220111910A KR1020210015308A KR20210015308A KR20220111910A KR 20220111910 A KR20220111910 A KR 20220111910A KR 1020210015308 A KR1020210015308 A KR 1020210015308A KR 20210015308 A KR20210015308 A KR 20210015308A KR 20220111910 A KR20220111910 A KR 20220111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rame
cover
vehic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진
오헌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910A/ko
Priority to US17/586,011 priority patent/US11787477B2/en
Priority to CN202220244647.9U priority patent/CN216636631U/zh
Priority to DE202022100570.2U priority patent/DE202022100570U1/de
Publication of KR2022011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사이드실부와, 사이드실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부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지지하는 커버부 및 프레임부와 커버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배터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CHASSIS FRAM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교류 또는 직류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인다.
샤시프레임은 전기자동차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품으로, 전기자동차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며,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배터리모듈을 별물로 볼팅하는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배터리팩을 보호하는 압출재와, 샤시프레임에 사용하는 압출재가 2중으로 적용되어 제작 및 조립에 있어 다소 비효율적이고, 배터리 모듈의 별도 공급이 요구되어 과다한 물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샤시프레임과 배터리의 조립을 위한 볼팅 좌면 확보를 위해 배터리 측벽을 연장한 날개부 형상이 요구되어 재료비가 과도하게 소모되며, 사이드멤버의 상방에 사이드실이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이드멤버와 사이드실의 매칭부를 고정해주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800호(2019.03.06 공개, 발명의 명칭: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수용 면적을 확장시키고, 배터리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사이드실부; 상기 사이드실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이드실부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사이드멤버부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크로스멤버부가 구비되는 멤버부; 상기 사이드멤버부와 상기 크로스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일측이 상기 멤버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동방지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유동방지부와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접촉되는 유동방지부재; 및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 상기 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진입되는 체결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타측은 상기 수용부를 향해 소정 거리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멤버부와 상기 유동방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가스켓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부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멤버부와 상기 유동방지부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프레임부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기존 별물로 제작된 배터리모듈에 의해 수행되던 배터리 측벽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부품 제작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프레임부가 사이드실부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프레임부와 사이드실부의 매칭부를 고정해주는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이음 발생의 우려가 없으며, 사이드실부의 높이를 기존 프레임부의 위치까지 연장시킬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측면 충돌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배터리모듈을 프레임부에 조립하기 위한 날개부으 형성이 불필요 하여 배터리의 수용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어 배터리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커버부의 탈거만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어 조립의 효율성과, A/S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유동방지부에 의해 배터리가 수용부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배터리의 조립 및 교체 작업 시 배터리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은 가스켓부에 의해 배터리로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도 4와 다른 측면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와 가스켓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의 구성을 도 4와 다른 측면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1)은 차량의 상부 차체(2)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차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1)은 사이드실부(100), 프레임부(200), 커버부(300), 유동방지부(400), 가스켓부(500)를 포함한다.
사이드실부(10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사이드실부(100)는 범퍼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사이드실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사이드실부(100)는 차량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사이드실부(100)는 양단부가 차량의 전,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3) 및 후방 프레임(4)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차체의 플로어패널(미도시)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이드실부(110)는 알루미늄, 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실부(100)는 사이드실바디(110), 립부(120), 플랜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실바디(110)는 사이드실부(1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실바디(100)는 폐단면을 갖는 중공형의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실바디(100)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차체에 가해지는 길이방향의 하중을 지지한다.
립부(120)는 사이드실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사이드실바디(1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부(12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사이드실바디(110)의 내부에 격자 패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립부(120)는 사이드실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립부(120)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사이드실바디(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하중을 격자 패턴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플랜지부(130)는 사이드실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부(130)는 용접, 볼팅 등에 의해 차량의 플로어패널 등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이드실바디(110)를 차체에 대해 지지한다. 플랜지부(130)의 개수, 위치 등은 차체의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프레임부(200)는 사이드실부(100)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프레임부(200)는 내부에 배터리(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00)는 차량의 하중 지지뿐만 아니라 기존 배터리모듈에 의해 수행되던 배터리(10)의 측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배터리모듈 제작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볼팅 좌면 확보를 위한 날개부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사이드실부(10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00)는 기존 사이드실부(100)가 프레임부(200)의 상방에 안착되는 구조에 비해 사이드실부(100)의 높이를 높게 형성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측면 충돌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0)는 배터리의 수용 면적을 확장시키는 등 공간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0)는 멤버부(210), 수용부(220), 장착부(230)를 포함한다.
멤버부(210)는 프레임부(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멤버부(210)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부(21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사이드멤버부(211)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크로스멤버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멤버부(211)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의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며, 크로스멤버부(212)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의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는 폐단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수용부(220)는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터리(10)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220)는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가 폐단면을 형성함에 따라 멤버부(210) 중앙에 마련되는 빈 공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20)의 길이, 폭은 한 쌍의 사이드멤버부(211)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와, 한 쌍의 크로스멤버부(21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값을 갖는다. 수용부(220)의 높이는 사이드멤버부(211) 또는 크로스멤버부(212)의 높이에 대응되는 값을 갖는다.
장착부(230)는 일측이 멤버부(210)의 내부로 함몰 형성되고, 타측이 수용부와 연통된다. 장착부(230)는 후술하는 유동방지부(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멤버부(210) 내부에 유동방지부(4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230)는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내측면으로부터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30)는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장착부(230)는 내측면이 수용부(230)와 연통되고, 하측면이 후술하는 제2커버(320)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장착부(230)는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부(2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100)를 지지한다. 커버부(300)가 프레임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커버부(300)의 탈거만으로 프레임부(2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10)의 교체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00)는 제1커버(310), 제2커버(320)를 포함한다.
제1커버(310)는 멤버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부(220)의 일측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310)는 멤버부(2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수용부(220)의 상측을 폐쇄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310)는 멤버부(2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커버(310)는 하측면 둘레가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상측면에 접촉된다. 제1커버(310)는 나사 등으로 예시되는 체결부재(5)에 의해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320)는 멤버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부(220)의 타측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320)는 멤버부(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수용부(220)의 하측을 폐쇄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320)는 멤버부(2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커버(320)는 상측면이 수용부(220)의 하측과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수용부(22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10)를 지지한다. 제2커버(320)는 상측면이 장착부(230)의 하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장착부(230)에 장착된 유동방지부를 지지한다. 제2커버(320)는 상측면 둘레가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하측면에 접촉된다. 제1커버(310)는 나사 등으로 예시되는 체결부재(5)에 의해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400)는 프레임부(200)와 커버부(300)의 사이에 구비되고, 배터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유동방지부(400)는 배터리(10)에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배터리(10)와 멤버부(21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배터리(10)가 수용부(22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유동방지부(400)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배터리(10) 교체를 위한 제2커버(320)의 탈거 시에도 배터리(10)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와 가스켓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400)는 유동방지부재(410), 체결홀부(420)를 포함한다.
유동방지부재(410)는 일측이 장착부(320)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이 배터리(10)의 측면에 접촉된다. 배터리(10)의 측면에 접촉되는 유동방지부재(410)의 타측은 수용부(220)를 향해 소정 거리 돌출되어 배터리(10)의 측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410)는 장착부(230)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는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재(410)는 장착부(230) 내부에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장착부(230)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동방지부(410)의 상, 하측면은 각각 사이드멤버부(211) 및 크로스멤버부(212)의 하측면과 제2커버(320)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유동방지부재(410)의 좌측면(도 3 기준)은 사이드멤버부(211) 및 크로스멤버부(212)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유동방지부(410)의 우측면(도 3 기준)은 수용부(220)의 내부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수용부(22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10)의 측면을 밀착 지지한다. 유동방지부(410)가 수용부(220) 내부로 돌출되는 거리는 배터리(10)와 멤버부(210) 사이의 간격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유동방지부재(410)는 멤버부(210) 둘레 전체에 걸쳐 배터리(10)와 접촉됨에 따라 배터리(10)의 수용부(220) 내에서의 모든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체결홀부(420)는 유동방지부재(4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체결홀부(420)는 유동방지부재(410), 멤버부(210) 및 커버부(300)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5)가 진입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체결홀부(4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개의 체결홀부(420)는 유동방지부(4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홀부(420)는 유동방지부재(410)를 상하로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부(420)의 직경은 체결부재(5)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체결부재(5)가 스크류 나사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부재(5)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부(4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부(500)는 멤버부(210)와 유동방지부(400) 사이에 구비되고, 수용부(220)를 밀폐시킨다. 즉, 가스켓부(500)는 양측이 각각 멤버부(210)와 유동방지부(400)에 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멤버부(210)와 유동방지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수용부(220)에 수용된 배터리(10)로 이물질, 수분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부(500)는 하면이 유동방지부(4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유동방지부재(4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부(500)는 유동방지부재(410)가 장착부(230)에 장착되는 경우, 상면이 사이드멤버부(211)와 크로스멤버부(212)의 하면에 밀착된다. 가스켓부(50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켓부(500)는 탄성 변형에 의해 멤버부(210)와 유동방지부(400) 사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부(5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멤버부(210)와 유동방지부(400)의 틈새를 밀봉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2 : 상부 차체
3 : 전방 프레임 4 : 후방 프레임
100 : 사이드실부 110 : 사이드실바디
120 : 립부 130 : 플랜지부
200 : 프레임부 210 : 멤버부
211 : 사이드멤버부 212 : 크로스멤버부
220 : 수용부 230 : 장착부
300 : 커버부 310 : 제1커버
320 : 제2커버 400 : 유동방지부
410 : 유동방지부재 420 : 체결홀부
500 : 가스켓부

Claims (8)

  1.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사이드실부;
    상기 사이드실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이드실부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사이드멤버부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크로스멤버부가 구비되는 멤버부;
    상기 사이드멤버부와 상기 크로스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일측이 상기 멤버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동방지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 및
    상기 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유동방지부와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접촉되는 유동방지부재; 및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 상기 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진입되는 체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타측은 상기 수용부를 향해 소정 거리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부와 상기 유동방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가스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멤버부와 상기 유동방지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KR1020210015308A 2021-02-03 2021-02-03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KR20220111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08A KR20220111910A (ko) 2021-02-03 2021-02-03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US17/586,011 US11787477B2 (en) 2021-02-03 2022-01-27 Chassis frame for electric vehicle
CN202220244647.9U CN216636631U (zh) 2021-02-03 2022-01-29 用于电动车辆的底盘框架
DE202022100570.2U DE202022100570U1 (de) 2021-02-03 2022-02-01 Fahrgestell für Elektro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08A KR20220111910A (ko) 2021-02-03 2021-02-03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10A true KR20220111910A (ko) 2022-08-10

Family

ID=8047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08A KR20220111910A (ko) 2021-02-03 2021-02-03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7477B2 (ko)
KR (1) KR20220111910A (ko)
CN (1) CN216636631U (ko)
DE (1) DE202022100570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3066A (ko) 2022-12-15 2024-06-24 주식회사 엠디엠 자동차 샤시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7888B1 (fr) * 2010-03-29 2012-03-23 Renault Sa Vehicule et support de reservoir d'energie associe
US20120161472A1 (en) * 2010-12-22 2012-06-28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DE102013006702A1 (de) * 2013-04-18 2014-10-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anordnung in einem zweispurigen Fahrzeug
JP6555236B2 (ja) * 2016-11-30 2019-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977309B2 (ja) * 2017-04-28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KR102429018B1 (ko) 2017-08-24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US10773582B2 (en) * 2018-02-19 2020-09-15 Dura Operating, Llc Automobile vehicle battery tray with side impact rails
US11148720B2 (en) * 2020-02-12 2021-10-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rrier assembly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a vehicle that utilizes the barrier assembly
KR20210119213A (ko) * 2020-03-24 2021-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KR20220055892A (ko) * 2020-10-27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결합 구조
KR102464315B1 (ko) * 2020-12-18 2022-11-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 유닛
KR20220151799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포스코 차체
KR20220170481A (ko) * 2021-06-23 2022-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로어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3066A (ko) 2022-12-15 2024-06-24 주식회사 엠디엠 자동차 샤시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636631U (zh) 2022-05-31
US11787477B2 (en) 2023-10-17
US20220242487A1 (en) 2022-08-04
DE202022100570U1 (de)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6259B (zh) 前地板总成及汽车
JP671450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エンド用の一体部品型エアガイド及び前記を備えた自動車
JP3939654B2 (ja) 乗用車のリアエンドモジュール
US11136069B2 (en) Center floor structure for vehicle
CN114174103B (zh) 用于机动车的蓄能器-底部组件
WO2019185023A1 (zh) 车身结构及汽车
JP3880901B2 (ja) 高圧電装部品の車両搭載構造
KR20180055485A (ko) 차체의 배터리 지지구조
CN111284566B (zh) 前地板结构及汽车
KR20160102349A (ko) 차량용 전지 팩의 냉각 유닛
KR102664126B1 (ko) 차량용 사이드실구조
WO2020070935A1 (ja) 車体下部構造
CN114379656A (zh) 封闭体积夹层式罩
WO2013061847A1 (ja) 車両駆動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KR20220111910A (ko)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KR20190115346A (ko) 이중 단면구조의 크래쉬박스를 포함하는 cff(combined front bumper beam and front end module) 유닛
JP2013071694A (ja) 車体構造
US11414137B2 (en) Vehicle part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JP2014201277A (ja) 電気自動車などに使用するバッテリー搭載構造
JP6163450B2 (ja) 電気デバイスの冷却構造
KR20180125249A (ko) 배터리 조립체
JP6276989B2 (ja) 燃料タンクのカバー構造及びバス車両
JP2014129005A (ja) 車体内部構造
JP2020050275A (ja) 自動車のパネル構造
CN217918096U (zh) 集成有电池箱的底盘结构